KR20200007187A - 음료 취출기 - Google Patents

음료 취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187A
KR20200007187A KR1020180081009A KR20180081009A KR20200007187A KR 20200007187 A KR20200007187 A KR 20200007187A KR 1020180081009 A KR1020180081009 A KR 1020180081009A KR 20180081009 A KR20180081009 A KR 20180081009A KR 20200007187 A KR20200007187 A KR 20200007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ispenser
beverage
shaft
c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웅
이경빈
홍진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7187A/ko
Priority to US16/508,494 priority patent/US11352245B2/en
Publication of KR20200007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11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B67D1/1422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comprising foam avoi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38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alve seat, e.g. sliding or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 B67D1/1466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the valve shutter being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iquid flow
    • B67D1/1472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the valve shutter being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iquid flow the valve shutter being integral with a compensa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2001/1483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electrically or 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취출기는, 디스펜서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디스펜서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음료 취출채널과 연결된 제1디스펜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바디; 채널 바디에 체결되고 제1디스펜서 채널과 연통된 제2디스펜서 채널을 형성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취출 바디; 디스펜서 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 바디; 승강 바디에 연결되어 승강바디와 함께 승강하고, 하단부에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개폐하는 패킹이 구비된 샤프트 콕; 및 취출 바디의 내면에 형성되고 샤프트 콕의 하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취출기{BAVERAGE EXTRACTOR}
본 발명은 음료 취출기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상세히는 음료 제조기에 포함된 음료 취출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개폐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된 음료 취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기계식 개폐동작과 전자식 개폐동작이 연계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취출기는, 취출 바디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에 의해 샤프트 콕의 하단부가 가이드 됨으로써, 샤프트 콕의 하단부에 구비된 패킹이 디스펜서 채널을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개폐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취출기는, 디스펜서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음료 취출채널과 연결된 제1디스펜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바디; 상기 채널 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제1디스펜서 채널과 연통된 제2디스펜서 채널을 형성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취출 바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 바디; 상기 승강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디와 함께 승강하고, 하단부에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개폐하는 패킹이 구비된 샤프트 콕; 및 상기 취출 바디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콕의 하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취출 바디의 상단과 하단 중 하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취출 바디의 내면에서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취출 바디의 내둘레를 따라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콕의 하단부는, 상기 패킹이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폐쇄하는 제1지점과 상기 패킹이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개방하는 제2지점 사이에서 승강되고, 상기 샤프트 콕의 하단부는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리브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은, 상기 취출 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패킹에 의해 개폐되는 로어 채널; 및 상기 로어 채널의 상측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샤프트 콕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며, 상기 로어 채널보다 큰 직경을 갖는 어퍼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바디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콕의 일부가 수용되는 샤프트 수용부; 및 상기 음료 취출채널과 연결되고 상기 제1디스펜서 채널이 형성되는 채널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콕의 상부를 수평 방향에 대해 지지하며 상기 샤프트 수용부에 체결된 샤프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콕은, 상기 승강 바디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샤프트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어퍼 바디; 및 상기 어퍼 바디의 하측에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취출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단부에 상기 패킹이 구비된 로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의 외둘레에는 상기 샤프트 수용부의 내둘레면에 접하는 실링 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의 외둘레에 감기고 상기 샤프트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 콕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가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바디의 외둘레에 감기고 상기 승강 바디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가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취출기는, 샤프트 콕에 구비된 패킹에 의해 수행되는 기계식 개폐동작의 수행 시,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오프되고 그에 따라 음료 취출밸브가 컨트롤러에 의해 오픈/클로즈 될 수 있다. 이로써, 기계식 개폐동작과 전자식 개폐동작이 연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취출기는, 디스펜서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음료 취출채널과 연결된 제1디스펜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바디; 상기 채널 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제1디스펜서 채널과 연통된 제2디스펜서 채널을 형성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취출 바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 바디; 상기 승강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디와 함께 승강하고, 하단부에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개폐하는 패킹이 구비된 샤프트 콕;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승강 바디가 상승하면 상기 승강 바디에 형성된 조작돌기에 의해 스위칭 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음료 취출채널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 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클로즈되는 음료 취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취출밸브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리브에 의해 샤프트 콕의 하단부가 가이드 됨으로써, 샤프트 콕의 하단부에 구비된 패킹이 디스펜서 채널을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기계식 개폐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샤프트 콕의 하단부는 샤프트 콕의 승강과 무관하게 항상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 리브와 오버랩되므로, 승강 동작 전체가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킹은 취출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된 로어 채널을 개폐하므로, 음료 취출기를 폐쇄한 이후에 흘러내리는 음료의 잔수량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킹에 의해 개폐되는 로어 채널은, 로어 채널 상측의 어퍼 채널에 비해 직경이 작으므로 패킹에 의해 용이하게 개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샤프트 콕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샤프트 지지부 및 가이드 리브에 의해 수평 방향에 대해 지지되므로, 샤프트 콕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링 링에 의해 음료가 샤프트 수용부 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가압 스프링 및 제2가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패킹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음료 취출밸브가 개폐되는 전자식 개폐구조에 의해 음료의 취출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콕의 패킹에 의한 기계식 개폐동작과, 음료 취출밸브에 의한 전자식 개폐동작이 서로 연계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음료 취출기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펜서의 개방 시에 디스펜서의 내부 및 음료 취출밸브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취출 바디의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서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모듈(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모듈(5)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 모듈(5)과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메인 채널(4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모듈(1)에서 취출된 음료가 제2메인 채널(42)의 일부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어, 음료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모듈(5)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는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 조절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발효 모듈(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발효 모듈(1)은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112)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가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효조(112)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112)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발효조(112)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압력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효 컨테이너(12)가 페트(pet)의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되고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의 내부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 리드(107)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 컨테이너(12)가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와 발효 리드(107)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되고 발효조(112)의 내면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로 에어가 공급되면, 발효조(112) 내부의 에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측에 배치되어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메인 채널,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메인 채널(42)와 연결되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채널 연결부(115)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제조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에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통된 튜브(115A)가 상하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튜브(115A)의 하단은 발효 컨테이너(12)의 바닥에 인접할 수 있고, 음료의 취출 시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튜브(115A)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온도 조절기(13)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조절기(13)는 발효조(112)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기(13)는 발효조(112)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3)는 냉각 사이클 장치와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조절기(13)는 열전소자(TEM)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례로, 온도조절기(13)의 냉각사이클 장치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사이클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기는 증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메인 채널(41)(42) 및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채널(41)(42)은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기(3)를 연결하는 제1메인 채널(41)과, 재료 공급기(3)와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제2메인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메인 채널(41)은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을 재료 공급기(3)로 안내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에서 추출된 재료와 물의 혼합물을 발효 모듈(1)로 안내할 수 있다.
제1메인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모듈(5)과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에는, 제1메인 채널(41)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 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재료 공급 밸브(310)는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에 수용된 첨가물의 투입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의 일 단은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에는, 제2메인채널(4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40)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조(112)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클로즈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첨가제를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를 개방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 채널(41)(42)은,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연속된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음료 제조기는, 물이나 공기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된 바이패스 채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제1메인 채널(41)과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 밸브(31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에는, 바이패스 채널(43)을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이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가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이하, 재료 공급기(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고, 발효 컨테이너(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취출기(6)로 유동되어 취출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공급기(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31)(32)(33)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1A)(32A)(33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1B)(32B)(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재료 수용부의 재료와 혼합되어 출구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캡슐(capsule)이나 포드(po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재료가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수용될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재료 컨테이너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재료 공급기(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재료 컨테이너(C1)이 수용되는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재료 컨테이너(C2)이 수용되는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재료 컨테이너(C3)이 수용되는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재료가 수압에 의해 추출되는 경우, 급수 모듈(5)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맥주의 제조 시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직렬로 연결될 경우,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입구(31A)에는 제1메인 채널(41)이 연결되고,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출구(31B)는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의 입구(32A)와 연통되고,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의 출구(32B)는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의 입구(33A)와 연통되고,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의 출구(33B)는 제2메인 채널(42)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급수 모듈(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급수 모듈(5)은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와 급수 펌프(52)는 수조 출수채널(55A)로 연결될 수 있고, 수조(51)에 담긴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 펌프(52)로 흡입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와 제1메인 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채널(55B)로 연결될 수 있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는 급수 채널(55B)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펌프(52)로 흡입되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되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 음료 취출기(6)에 대해 설명한다.
음료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취출기(6)는 발효 모듈(1)과 연통된 음료 취출채널(61)과, 음료 취출채널(61)에 설치된 음료 취출밸브(64)와, 음료 취출채널(61)에 연결된 디스펜서(6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되어 발효 모듈(1)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취출채널(61)은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제조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의 일 단(60)은 제2메인 채널(42)에 재료 공급기(3)와 메인 밸브(4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디스펜서(6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을 개폐하는 음료 취출밸브(64)가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의 취출 시 음료 취출밸브(64)는 오픈될 수 있고, 음료가 취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음료 취출밸브(64)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한 음료는 디스펜서(62)로 안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조작하여 음료의 취출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개방하면 디스펜서(62)에서 음료가 취출될 수 있다.
디스펜서(6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 가스 배출기(7)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고,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가스 배출채널(71)과, 가스 배출채널(71)에 연결된 가스 배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가스 배출채널(71)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제조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가스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로 유동될 수 있고, 오픈된 가스 배출밸브(73)로 배출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상부에서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배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음료의 발효 단계시 가스 배출밸브(73)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에어 주입기(8)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바이패스 채널(43)또는 제2메인 채널(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주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교반이나 에어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를 통과하며 잔수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된 에어 주입채널(81)과, 에어 주입채널(81)에 연결된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공기를 펌핑할 수 있다.
이하, 에어 조절기(1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은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에어조절기(15)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에어 공급채널(154)와, 에어 공급채널(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채널(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 단(154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발효 모듈(1)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는 에어 공급채널(154)가 연결되는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가 마련될 수 있고,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가 발효조(112)가 아닌 발효 리드(107)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에어 주입기(8)에서 제1메인채널(41)로 주입된 공기는 에어 공급채널(154)를 통해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조(112)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에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에어에 의해 눌린 발효 컨테이너(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와 음료 취출밸브(64)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한편,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부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와 발효조(112)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은 제1메인채널(41)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7A)까지의 제1채널과,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까지의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채널은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된 에어를 제2채널로 안내하는 급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채널은 급기채널을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배기 채널(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채널일 수 있다.
배기 채널(157)에는 배기 채널(157)을 개폐하는 배기 밸브(156)가 연결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의 도중에 발효 컨테이너(12)이 팽창될 때,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되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공급 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 중 제1메인채널(41)과의 연결부(154A)와 배기 채널(157)와의 연결부(157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디스펜서의 개방 시에 디스펜서의 내부 및 음료 취출밸브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취출 바디의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62)는 디스펜서 케이스(600)와, 채널 바디(620)와, 취출 바디(640)와, 승강 바디(610)와, 샤프트콕(630)과, 가이드 리브(64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케이스(600)는 디스펜서(6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채널 바디(6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펜서 케이스(6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채널 바디(620)는 음료 취출채널(61)과 연결된 제1디스펜서 채널(60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음료 취출채널(61)은 채널 바디(6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취출채널(61)은 디스펜서 케이스(6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채널 바디(6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채널 바디(620)의 일부가 디스펜서 케이스(6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은 디스펜서 케이스(600)의 외부에서 채널 바디(620)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채널 바디(620)는 샤프트콕(630)의 일부가 수용되는 샤프트 수용부(621)와, 상기 샤프트 수용부(621)와 연결되고 제1디스펜서 채널(601)이 연결되는 채널 형성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수용부(62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샤프트콕(630)의 일부가 위치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수용부(621)의 내둘레는 샤프트콕(630)의 외둘레를 마주볼 수 있다. 샤프트 수용부(621)의 내둘레와 샤프트콕(630)의 외둘레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채널 형성부(622)는 샤프트 수용부(621)와 연결될 수 있다. 채널 형성부(622)는 샤프트 수용부(6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 형성부(622)의 내부에는 제1디스펜서 채널(601)이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은 채널 형성부(622)에 연결되어 제1디스펜서 채널(601)과 연통될 수 있다.
채널 형성부(622)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디스펜서 채널(601)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취출 바디(64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취출바디(640)는 디스펜서 케이스(6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디스펜서 케이스(60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취출 바디(640)는 음료가 최종적으로 취출되는 구성일 수 있다.
취출 바디(640)는 채널 바디(620)와 체결될 수 있다. 취출 바디(640)에는 채널 바디(620)의 제1디스펜서 채널(601)과 연통된 제2디스펜서 채널(6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디스펜서 채널(602)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디스펜서 채널(602)은 취출 바디(64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로어 채널(602B)과, 로어 채널(602B)의 상측에 위치하는 어퍼 채널(602A)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채널(602B)은 취출 바디(640)의 하단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음료는 로어 채널(602B)을 통해 취출 바디(640)의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어퍼 채널(602A)은 제1디스펜서 채널(601)과 로어 채널(602B)을 연통시킬 수 있다. 어퍼 채널(602A)은 제1디스펜서 채널(601)의 음료를 로어 채널(602B)로 안내할 수 있다.
로어 채널(602B)은 샤프트콕(630)의 하단에 구비된 패킹(63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로어 채널(602B)의 직경(D2)은 어퍼 채널(602A)의 직경(D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패킹(634)에 의한 로어 채널(602B)의 개폐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취출바디(640)의 하단부에 위치한 로어 채널(602B)이 패킹(634)에 의해 폐쇄되므로, 제1디스펜서 채널(601) 또는 어퍼 채널(602A)이 패킹(634)에 의해 폐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음료 취출기(6)의 음료 잔수량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패킹(634)이 제1디스펜서 채널(601)을 폐쇄하는 경우 디스펜서(62)가 폐쇄되더라도 제2디스펜서 채널(602)에 남아있는 음료 잔수가 취출 바디(640)로 취출될 수 있고, 정확한 용량의 음료 취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리브(641)는 취출바디(64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 콕(630)의 하단부(630A)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641)는 샤프트 콕(630)의 하강 시에 패킹(634)이 로어 채널(602B)을 정확히 폐쇄하도록 샤프트 콕(630)의 하단부(630A)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641)는 취출 바디(640)의 내면에서 제2디스펜서 채널(60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64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641)는 취출 바디(640)의 내둘레를 따라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리브(641)는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641)는 취출 바디(640)의 상단과 하단 중 하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641)는 취출 바디(640)의 하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 바디(610)는 디스펜서 케이스(600)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승강 바디(6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케이스(600)에는 승강 바디(610)를 상하로 안내하는 승강바디 가이드부(610A)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바디 가이드부(610A)에는 승강 바디(61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강바디 가이드부(610A)의 내둘레는 승강바디(600)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승강 바디 가이드부(610)는 후술할 조작돌기(612)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바디(610)는 디스펜서 케이스(610)에 구비된 조작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작부는 레버(680)를 포함할 수 있고 승강 바디(610)는 레버(680)와 힌지(681)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레버(680)는 디스펜서 케이스(600)의 상측에 구비되고, 승강 바디(610)의 상측 일부는 디스펜서 케이스(60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레버(680)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680)가 세워진 경우에는 승강 바디(610)가 하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사용자가 레버(680)를 당기면 승강 바디(610)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승강 바디(610)는 채널 바디(620), 좀 더 상세히는 샤프트 수용부(621)의 상측에서 승강될 수 있다. 승강 바디(610)에는 샤프트 수용부(621)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회피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
회피부(611)는 승강 바디(610)의 저면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수용부(621)의 적어도 일부는 회피부(6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회피부(611)의 내둘레는 샤프트 수용부(621)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샤프트 콕(630)은 승강 바디(610)와 연결되어 승강 바디(61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샤프트 콕(63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콕(630)의 상부는 승강 바디(630)와 연결될 수 있고, 샤프트 콕(630)의 하단부(630A)에는 제2디스펜서 채널(602), 좀 더 상세히는 로어 채널(602B)을 개폐하는 패킹(634)이 구비될 수 있다.
패킹(634)은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디스펜서 채널(602)의 폐쇄 시 실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레버(680)가 세워진 경우에는 승강 바디(610) 및 샤프트 콕(630)이 하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제2디스펜서 채널(602)은 패킹(634)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680)를 당기면 승강 바디(610) 및 샤프트 콕(630)은 패킹(634)이 제2디스펜서 채널(602)을 개방하는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샤프트 콕(630)의 하단부(630A)는, 패킹(634)이 제2디스펜서 채널(602)을 폐쇄하는 제1지점(P1)과, 패킹(634)이 제2디스펜서 채널(602)을 개방하는 제2지점(P2) 사이에서 승강될 수 있다. 제1지점(P1)은 제2지점(P2)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샤프트 콕(630)의 하단부(630A)는 가이드 리브(641)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샤프트 콕(630)의 하단부(630A)는 제1지점(P1)에 위치한 경우에 가이드 리브(641)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고, 제2지점(P2)에 위치한 경우에도 가이드 리브(641)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로써, 샤프트 콕(630)의 상승 또는 하강시에 샤프트 콕(630)의 하단부(630A)가 가이드 리브(641)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샤프트 콕(630)은 어퍼 바디(631)와 로어 바디(63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631)는 적어도 일부가 채널 바디(620)의 샤프트 수용부(62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어퍼 바디(631)는 승강 바디(610)와 연결될 수 있다.
어퍼 바디(631)의 외둘레에는 샤프트 수용부(621)의 내둘레면에 접하는 실링 링(633)이 구비될 수 있다. 실링 링(633)은 제1디스펜서 채널(601) 및 제2디스펜서 채널(602)로 유동되는 음료가 샤프트 수용부(621)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 링(633)은 오 링(O-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링(633)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실링 링(633)은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어퍼 바디(631)의 외둘레와 샤프트 수용부(621)의 내둘레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이로써, 실링 링(633)은 어퍼 바디(631)의 외둘레와 샤프트 수용부(621)의 내둘레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다.
어퍼 바디(631)의 외둘레에는 실링 링(633)이 장착되는 실링 링 장착부(633A)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링 장착부(633A)는 어퍼 바디(631)의 외둘레에서 어퍼 바디(631)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실링 링(633)은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로어 바디(632)는 어퍼 바디(631)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바디(632)는 어퍼 바디(6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632)의 적어도 일부는 취출 바디(6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로어 바디(632)의 적어도 일부는 제2디스펜서 채널(602)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바디(632)의 직경은 제2디스펜서 채널(602)을 막지 않는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음료는 제2디스펜서 채널(602)에서 로어 바디(632)의 외둘레와 취출 바디(640)의 내둘레 사이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로어 바디(632)의 하단부(630A)에는 패킹(634)이 구비될 수 있다. 로어 바디(632)의 하단부(630A)는 샤프트 콕(630)의 하단부(630A)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펜서(62)는 샤프트 콕(630)의 상부를 수평 방향에 대해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부(650)는 채널 바디(620), 좀 더 상세히는 샤프트 수용부(621)에 체결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부(650)가 체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샤프트 지지부(650)는 승강 바디(610)의 회피부(6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부(650)는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에 관통공(650A)이 형성된 중공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샤프트 콕(630)의 어퍼 바디(631)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바디(631)의 외둘레는 관통공(650A)의 내둘레에 접하여 수평 방향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샤프트 콕(630)의 상부는 샤프트 지지부(650)에 의해 수평 방향에 대해 지지되고, 샤프트 콕(630)의 하부는 가이드 리브(641)에 의해 수평 방향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 콕(630)은 승강 시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62)는 샤프트 콕(630)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가압 스프링(660)과, 승강 바디(610)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가압 스프링(6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압 스프링(660)은 샤프트 콕(630), 좀 더 상세히는 어퍼 바디(631)의 외둘레에 감겨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압 스프링(660)은 샤프트 수용부(62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가압 스프링(660)은 압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가압 스프링(660)은 샤프트 지지부(650)와 실링 링 장착부(633A)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가압 스프링(661)은 승강 바디(610)의 외둘레에 감길 수 있다. 제2가압 스프링(661)은 승강바디 가이드부(610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가압 스프링은 압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2가압 스프링은 디스펜서 케이스와 승강바디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가압 스프링(660) 및 제2가압 스프링(661)의 탄성력에 의해 패킹(634)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레버(680)를 당긴 상태에서 손을 놓아 외력이 제거되면 제1가압 스프링(680) 및 제2가압 스프링(661)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 바디(610) 및 샤프트 콕(630)이 곧바로 하강하여 제2디스펜서 채널(602)이 패킹(63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62)는, 디스펜서(62)의 개폐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670)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670)는 디스펜서 케이스(600)에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 케이스(600)의 내부에는 마이크로 스위치(670)가 장착되는 스위치 장착부(670A)가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670)는 승강바디(610)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승강바디(610)에는, 승강 바디(610)의 상승시 마이크로 스위치(670)의 단자(671)를 접점시키는 조작돌기(612)가 돌출될 수 있다.
조작돌기(612)는 승강 바디(610)의 외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승강바디(610)가 상승하면 조작돌기(612)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670)의 단자(671)가 접점되고 마이크로 스위치(670)가 온(on) 될 수 있다. 반면 승강바디(610)가 하강하면 마이크로 스위치(670)의 단자(671)가 접점 해제되고 마이크로 스위치(670)가 오프(off)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레버(680)를 당기면 승강바디(610)는 상승되어 마이크로 스위치(670)를 온 시킬 수 있고, 레버(680)가 수직하게 세워질 경우, 승강바디(610)는 하강되어 마이크로 스위치(670)를 오프 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670)는 음료 제조기의 컨트롤러(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C)는 마이크로 스위치(670)의 온, 오프에 따라 음료 취출밸브(64)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 취출채널(61)에 설치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폐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디스펜서 케이스(6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로써 디스펜서(62)의 크기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레버(680)를 조작하면 승강바디(610)가 상승하며 마이크로 스위치(670)가 온 되고, 컨트롤러(C)는 디스펜서(62)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C)는 음료 취출밸브(64)를 오픈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레버(680)를 조작하거나 레버(68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승강바디(610)가 하강하며 마이크로 스위치(670)가 오프되고, 컨트롤러(C)는 디스펜서(62)의 폐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C)는 음료 취출밸브(64)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마이크로 스위치(670)의 온오프에 따라 음료 취출밸브(64)가 개폐되는 전자식 개폐구조를 가짐으로써 음료의 취출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콕(630)의 패킹(634)에 의한 기계식 개폐동작과, 음료 취출밸브(64)에 의한 전자식 개폐동작이 서로 연계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음료 취출기(6)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발효 모듈 6: 음료 취출기
61: 음료 취출채널 62: 디스펜서
600: 디스펜서 케이스 601: 제1디스펜서 채널
602: 제2디스펜서 채널 602A: 어퍼 채널
602B: 로어 채널 610: 승강 바디
620: 채널 바디 621: 샤프트 수용부
622: 채널 형성부 630: 샤프트 콕
631: 어퍼 바디 632: 로어 바디
633: 실링 링 634: 패킹
640: 취출 바디 641: 가이드 리브
650: 샤프트 지지부 660: 제1가압 스프링
661: 제2가압 스프링 670: 마이크로 스위치
680: 레버 64: 음료 취출밸브

Claims (14)

  1. 디스펜서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음료 취출채널과 연결된 제1디스펜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바디;
    상기 채널 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제1디스펜서 채널과 연통된 제2디스펜서 채널을 형성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취출 바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 바디;
    상기 승강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디와 함께 승강하고, 하단부에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개폐하는 패킹이 구비된 샤프트 콕; 및
    상기 취출 바디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콕의 하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음료 취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취출 바디의 상단과 하단 중 하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음료 취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취출 바디의 내면에서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향해 돌출 형성된 음료 취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취출 바디의 내둘레를 따라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개가 형성된 음료 취출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콕의 하단부는, 상기 패킹이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폐쇄하는 제1지점과 상기 패킹이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개방하는 제2지점 사이에서 승강되고,
    상기 샤프트 콕의 하단부는 상기 제1지점 및 제2지점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리브와 오버랩되는 음료 취출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은,
    상기 취출 바디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패킹에 의해 개폐되는 로어 채널; 및
    상기 로어 채널의 상측에 위치하고, 내부에 상기 샤프트 콕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며, 상기 로어 채널보다 큰 직경을 갖는 어퍼 채널을 포함하는 음료 취출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바디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콕의 일부가 수용되는 샤프트 수용부; 및
    상기 음료 취출채널과 연결되고 상기 제1디스펜서 채널이 형성되는 채널 형성부를 포함하는 음료 취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콕의 상부를 수평 방향에 대해 지지하며 상기 샤프트 수용부에 체결된 샤프트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취출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콕은,
    상기 승강 바디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샤프트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어퍼 바디; 및
    상기 어퍼 바디의 하측에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취출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단부에 상기 패킹이 구비된 로어 바디를 포함하는 음료 취출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외둘레에는 상기 샤프트 수용부의 내둘레면에 접하는 실링 링이 구비된 음료 취출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외둘레에 감기고 상기 샤프트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 콕을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가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음료 취출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바디의 외둘레에 감기고 상기 승강 바디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가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음료 취출기.
  13. 디스펜서 케이스;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음료 취출채널과 연결된 제1디스펜서 채널을 형성하는 채널 바디;
    상기 채널 바디에 체결되고 상기 제1디스펜서 채널과 연통된 제2디스펜서 채널을 형성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취출 바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승강 바디;
    상기 승강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디와 함께 승강하고, 하단부에 상기 제2디스펜서 채널을 개폐하는 패킹이 구비된 샤프트 콕;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승강 바디가 상승하면 상기 승강 바디에 형성된 조작돌기에 의해 스위칭 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음료 취출채널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 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클로즈되는 음료 취출밸브를 포함하는 음료 취출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취출밸브는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한 음료 취출기.
KR1020180081009A 2018-07-12 2018-07-12 음료 취출기 KR20200007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009A KR20200007187A (ko) 2018-07-12 2018-07-12 음료 취출기
US16/508,494 US11352245B2 (en) 2018-07-12 2019-07-11 Beverage dischar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009A KR20200007187A (ko) 2018-07-12 2018-07-12 음료 취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187A true KR20200007187A (ko) 2020-01-22

Family

ID=6913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009A KR20200007187A (ko) 2018-07-12 2018-07-12 음료 취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52245B2 (ko)
KR (1) KR20200007187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9151A (en) * 1968-03-05 1970-11-10 Reid Valve Co Inc Valve constuction
US4934566A (en) * 1989-04-11 1990-06-19 B.V.L. Controls, Ltd. Bulk liquid dispensing, counting and recording system
US5431302A (en) * 1993-12-13 1995-07-11 August Systems, Inc. Dispensed liquid volume control system
WO2013036564A2 (en) * 2011-09-09 2013-03-14 Fountain Master, Llc Beverage maker
US9624086B2 (en) * 2012-06-18 2017-04-18 Bunn-O-Matic Corporation Accessible faucet handle
US10053351B2 (en) * 2014-09-04 2018-08-21 Apds Originals B.V. Valve for dispensing a liquid and optionally aerating it
US10227225B2 (en) * 2014-09-04 2019-03-12 Apds Originals B.V.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valve assembly for use therewith
US10563908B2 (en) * 2015-07-13 2020-02-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lating treatment cartridge, fl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KR101758282B1 (ko) * 2015-08-28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52245B2 (en) 2022-06-07
US20200017348A1 (en)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6305B1 (en) Beverage maker
KR102515595B1 (ko) 음료 제조기
KR20170086880A (ko) 맥주제조장치
EP3633021A2 (en) Beverage maker
KR102304274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62706A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EP3666874A1 (en) Beverage maker
KR102548266B1 (ko) 발효조
EP3666875B1 (en) Fermentation container and beverage maker having fermentation container
US11999927B2 (en) Beverage maker
KR20200007187A (ko) 음료 취출기
KR20220006882A (ko) 음료 제조기
EP3739031B1 (en)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KR20200068299A (ko) 음료 제조기
KR102630846B1 (ko)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434281B1 (ko) 음료 제조기
KR102491226B1 (ko) 발효조
KR102312232B1 (ko) 발효장치
KR1022824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312229B1 (ko) 발효장치
KR102526537B1 (ko) 음료 제조기
KR102282483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KR20190105435A (ko)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