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125B1 -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125B1
KR100764125B1 KR1020060044917A KR20060044917A KR100764125B1 KR 100764125 B1 KR100764125 B1 KR 100764125B1 KR 1020060044917 A KR1020060044917 A KR 1020060044917A KR 20060044917 A KR20060044917 A KR 20060044917A KR 100764125 B1 KR100764125 B1 KR 10076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acuum pump
rice
rice cooker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경
Original Assignee
에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펠산업(주) filed Critical 에펠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044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진공펌프에 의해 밥솥 내부를 진공감압하는 방식에 의해 가열하지 않고서도 상온에서 밥을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밥의 보관기간 및 보관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면서도, 진공펌프의 사용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이 거의 없어 정숙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쌀과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수용된 쌀과 물을 가열하여 취사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밥솥 몸체와, 밥솥 몸체의 수용부를 덮어 밀폐하는 밥솥 뚜껑과, 밥솥 몸체에 설치되어 수용부를 진공감압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되, 진공펌프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진공펌프를 내장시키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특징으로 한다.
진공펌프, 밥솥

Description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VACUUM TYPE ELECTRIC RICE COOKER FOR LOW NOISE AND LOW VIB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와 진공펌프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에 진공펌프가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제1하우징에 진공펌프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소음원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보관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진공보관법에 따른 전기밥솥의 상태를 보여주는 일련의 참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제1하우징
12 : 제2하우징 13 : 걸림단
14 : 걸림홈 15 : 결합단턱
16 : 장착단턱 17 : 관통홈
18 : 홈부 19 : 안착부
20 : 진공펌프 21 : 모터
23 : 스폰지패킹 30 : 공기배출구
111 : 밥솥 몸체 112 : 밥솥 뚜껑
113 : 발열체 114 : 보온재
121 : 취반용기 123 : 속뚜껑
133 : 연결호수 135 : 역류방지밸브
137 : 압력감지센서 138,139,140 : 솔레노이드 밸브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펌프에 의해 밥솥 내부를 진공감압하는 방식에 의해 가열하지 않고서도 상온에서 밥을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밥의 보관기간 및 보관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면서도, 진공펌프의 사용으로 야기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이 거의 없어 정숙함을 유지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밥을 짓거나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로서 자동으로 제어하기 편리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력을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밥을 주식으로 하는 여러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밥솥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솥의 밑바닥에 발열체가 설치되어 있어서 내부에 물과 쌀을 넣고 가열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물이 증발하여 사라지면서 밥이 된다.
전기밥솥은 이미 취사되어 지어진 밥을 단지 보온만 할 수 있는 제품으로부터 시작하여 취사와 보온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제품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사용의 편리함 때문에 취사와 보온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제품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같은 전기밥솥은 제어방법에 따라 일반형, 타이머형, 마이콤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형은 취사가 완료된 다음 보온으로 자동적으로 넘어가며, 타이머형은 일반형에 예약 타이머를 부착하여 밥 짓는 시간을 예약할 수가 있어 새벽밥을 지을 때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형이다. 마이콤형은 반도체의 IC 칩을 내장하여 시간 예약은 물론 밥상태조절, 밥맛조정 등을 병행토록하여 보다 맛있는 밥을 지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가열방식에 따라 열판식 일반밥솥, 열판식 압력밥솥, IH식 압력밥솥 등으로 구불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전기밥솥은 전술된 것처럼 주부들의 수고를 덜어주는 편리함으로 인해 애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초 취식된 후 남은 밥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전기밥솥은 취식 후 남은 밥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대기압 상태에 서 지속적으로 가열하면서 보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가열로 인한 밥의 조직변화 및 수분감소가 크고, 특유의 쉰 냄새가 나고 누렇게 변색되는 등 처음의 밥맛을 유지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펌프에 의해 밥솥 내부를 진공감압함으로써 가열하지 않고서도 상온에서 밥을 보관하면서, 동시에 진공펌프의 사용으로 야기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은, 쌀과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수용된 쌀과 물을 가열하여 취사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밥솥 몸체와, 상기 밥솥 몸체의 수용부를 덮어 밀폐하는 밥솥 뚜껑과, 상기 밥솥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진공감압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펌프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진공펌프를 내장시키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진공펌프를 용이하게 내장시키기 위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측면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걸림단이 각각 구비되 고, 상기 제2하우징의 측면에는 제1하우징의 걸림단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 테두리 둘레에는 결합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 테두리 둘레에는 제1하우징의 결합단턱과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장착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는 진공펌프의 공기흡입부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하우징의 관통홈과 대응되어 일정한 원형이 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의 테두리 또는 제2하우징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시 그 사이에서 압착되는 탄성 소재의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는 진공펌프의 모터를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에는 진공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구는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솥 뚜껑에 설치되고 상기 밥솥 뚜껑의 외부와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밥솥 몸체의 수용부와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연결호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호수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와 진공펌프간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호수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로부터 진공펌프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은 허용하나 그 반대방향의 흐름은 차단하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호수는 최저점의 부위가 상기 밥솥 몸체의 외부를 경유하여 상기 진공펌프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호수의 최저점 부위는 단절되어 상기 수용부에서 진공펌프로 흡입되는 수분을 낙수시키는 단절구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밥솥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호수의 단절부위를 밀봉되게 감싸면서 낙수되는 수분을 받는 수분받이용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은, 밥을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 진공보관하므로 밥의 조직변화 및 수분감소 현상을 제거하고, 특유의 쉰 냄새가 나거나 누렇게 변색되는 일없이 처음의 밥맛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진공감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진공펌프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우려되는 소음 및 진동 문제가 거의 없이 전기밥솥의 정숙한 운전을 보장받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진공펌프를 감싸 내장하는 간단한 구성의 진공펌프 케이스를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이하, 상기 진공펌프 케이스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저소음 저진동의 전기밥솥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관은 통상의 전기밥솥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밥솥 몸체(111)와, 밥솥 뚜껑(112)과, 진공펌프(20)와, 케이스(1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들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밥솥 몸체(111)는 쌀과 물을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121A) 및 수용된 쌀과 물을 가열하여 취사하는 발열체(113)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밥솥 몸체(111)는 수용부(121A)가 형성된 취반용기(121)를 삽입 및 이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한다. 여기서, 밥솥 몸체(111)에 구비되는 발열체(113) 및 보온재(114)를 내장하는 구비하는 것이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미도시됨), 제어부와 연결되는 각종의 조작패널(111A)을 구비하는 등의 구성은 다른 통상의 전기밥솥과 대동소이하다.
상기 밥솥 뚜껑(112)은, 상기 밥솥 몸체(111)에 힌지결합되어 밥솥 몸체(111)의 수용부(121A)를 덮어 밀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밥솥 뚜껑(112)의 하측에는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를 덮는 속뚜껑(123)을 구비한다. 상기 속뚜껑(123)의 하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취반용기(121)와의 사이에서 압착되 면서 상기 수용부(121A)를 밀봉하는 실링용 오링(125)이 설치된다. 상기 실링용 오링(125)는 소재로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나 유사 성질을 갖는 것이면 적당하다. 여기서, 상기 속뚜껑(123)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밥솥 뚜껑(112)이 자체적으로 속뚜껑(123) 역할을 겸하게 되며 상기 실링용 오링(125)는 상기 밥솥 뚜껑(112)의 하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밥솥 뚜껑(112)에는 상기 상기 밥솥 뚜껑(112)의 외부와 수용부(112A)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38)가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138)는 상기 수용부(121A)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고 페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진공펌프(20)는 진공펌프용 케이스(10)와 함께 모듈화된 진공펌프 모듈(131)을 이루면서 밥솥 몸체(111)의 후측부에 내장되어,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를 진공감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공펌프(20)는 연결호수(133)에 의해 상기 수용부(121A)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20)로부터 케이스(10)를 관통하여 돌출된 흡입부(22)가 연결호수(133)의 끝단부(133A)와 직접 연결된다.
상기 연결호수(133)는 상기 밥솥 몸체(111)의 후측벽 및 밥솥 뚜껑(112) 내부를 통해 상기 진공펌프(20)와 수용부(121A)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연결호수(133)상에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139)가 설치되고 역류방지밸브(139)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139)는 필요에 따라 수용부(121A)와 진공펌프(20)간을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면서 상기 수용부(121A)의 진공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139)는 상기 수용부(121A)로부터 진공펌 프(20)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은 허용하나 그 반대방향의 흐름은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솔레노이드 밸브(139)와 역류방지밸브(139)는 동시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둘 가운데 어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호수(133)는 밥솥 몸체(111) 후측부의 외부를 경유하여 상기 진공펌프(2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호수(133)의 최저점에 위치한 부위는 상기 밥솥 몸체(111)의 외부로 노출되고, 그 노출부위에 단절부위(133B)가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수용부(121A)에서 진공펌프(20)로 흡입되는 수분이 자연스럽게 단절부위(133B)에서 낙수가 되어 떨어진다. 이때 상기 단절부위(133B)로부터 떨어지는 낙수를 받아 걸러내기 위해서 수분받이용기(115)가 구비된다. 상기 수분받이용기(115)는 상기 밥솥 몸체(111)에 후측부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호수(133)의 단절부위(133B)를 밀봉되게 감싸면서 낙수되는 수분을 받아낸다. 이때 상기 수분받이용기(115)는 싱기 연결호수(133)의 단절부위(133B)를 밀봉되게 감싸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상기 진공펌프(20)의 진공 흡입력이 상기 연결호수(133)의 단절부위(133B)에도 불구하고 상기 수용부(121A)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21A)에 저장되는 밥이 상온 상태에서 식게 되면 진공펌프(20)의 가압시에도 연결호수(133)를 통한 수분의 흡수량은 많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전기밥솥이 업소용과 같이 대량의 밥을 저장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수용부(121A)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상기 수분받이용기(115)는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연결호수(133)의 외부노출이나 단절부위(133B)는 불필요 하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진공펌프(2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진공펌프(20)를 내장시키는 박스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진공펌프(20)를 내장시킨 상태로 도면과 같이 상기 밥솥 몸체(111)의 후측부에 내설되거나, 상기 밥솥 몸체(111) 일부에 내설된다. 상기 진공펌프용 케이스(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와 진공펌프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에 진공펌프가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제1하우징에 진공펌프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용 케이스(10)는 기본적으로 상기 진공펌프(20)의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진공펌프(20)를 내장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진공펌프(20)를 용이하게 내장시키기 위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측면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걸림단(13)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12)의 측면에는 제1하우징(11)의 걸림단(13)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14)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측 테두리 둘레에는 결합단턱(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12)의 외측 테 두리 둘레에는 제1하우징(11)의 결합단턱(15)과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장착단턱(16)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하우징(11)의 테두리 또는 제2하우징(12)의 테두리를 따라 탄성 소재의 패킹부재(10-1)가 설치된다. 상기 패킹부재(10-1)는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결합시 그 사이에서 압착되어 진공펌프(20)의 작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간의 이음부 진동을 감쇄시키는 동시에 기밀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측에는 진공펌프(20)의 공기흡입부(22)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홈(17)이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12)의 일측에는 제1하우징(11)의 관통홈(17)과 대응되어 일정한 원형이 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홈부(18)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측에는 진공펌프(20)의 모터(21)를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1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제1하우징(11) 및/또는 제2하우징(12)에는 진공펌프(2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배출구(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구(30)는 2개 이상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구(30)의 하부면에는 발생된 소음을 용이하게 흡수하기 위한 소음흡수재 패킹(31)이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진공펌프(20)에 구비된 모터(21)의 외측면에는 제1하우징(11)의 안착부(19)에 상기 모터(21)가 안착될 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키고 안착부(19)의 표면에 의한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스폰지패킹(23)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진공펌프용 케이스(10)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케이스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10)는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으로 이루어져 있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측에 진공펌프(20)를 안착시키되,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측에 구비된 안착부(19)에 진공펌프(20)의 모터(21)를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시킨다. 하지만, 별도의 안착부(19) 없이 상기 스폰지패킹(23)에 의해서만 상기 모터(21)가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진공펌프(20)에 구비된 모터(21)의 외측면에 스폰지패킹(23)을 감싸지게 구비시킨다면 상기 제1하우징(11)의 안착부(19)에 모터(21)가 안착되는 과정과 구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키거나 안착부(19)의 표면에 의한 훼손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측에 구비된 관통홈(17)에 진공펌프(20)의 공기흡입부(22)를 안착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제1하우징(11) 외측으로 공기흡입부(22)의 일부와 연결호수(133)의 끝단부(133A)가 열결된다. 이로써 취 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로부터 진공감압을 위한 공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1하우징(11)으로 진공펌프(20)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면, 상기 제2하우징(12)으로 제1하우징(11)과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측면에 각각 구비된 걸림단(13)이 상기 제2하우징(12)의 측면에 각각 구비된 걸림홈(14)에 끼워져 결합되게 되고, 이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걸림단(13)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하우징(12)의 걸림홈(14)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 쉽고 간편하게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측 테두리 둘레에는 결합단턱(15)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제2하우징(12)의 외측 테두리 둘레에 장착단턱(1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이 상호 결합될 경우 상기 결합단턱(15)과 장착단턱(16)이 서로 밀착되어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1)의 테두리 또는 제2하우징(12)의 테두리를 따라 탄성 소재의 패킹부재(10-1)가 설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간의 이음부 진동 감쇄와 기밀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하우징(11)의 관통홈(17)에 안착된 진공펌프(20)의 공기흡입부(22)를 덮어주도록 상기 제2하우징(12)에 홈부(18)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관통홈(17)과 홈부(18)가 맞닿아 밀착될 시 일정한 원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하우징(11)의 관 통홈(17)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하우징(12)의 홈부(18)가 덮어지므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측에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력을 흡수할 수 있는 패킹재(1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제1하우징(11)에는 공기배출구(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공펌프(2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상기 케이스(10)의 제2하우징(12)에는 공기배출구(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공펌프(2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에는 공기배출구(30)가 2개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진공펌프(2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소음 방지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펌프(20)의 구동시, 먼저 진공펌프(20)의 공기흡입부(22)를 통해 흡입된 공긱 진공펌프(20)에 의해서 진공으로 압축되면서 토출부(22-1)를 통해 토출되는데, 이때 진공펌프(20)에 의해서 진공으로 압축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소음은 토출구(22-1)를 통해 토출됨과 동시에 팽창되려는 경향을 갖는다.
만일, 케이스(10)가 없다면 진공펌프(20)의 토출부(22-1)로 토출되면서 발생된 소음 및 진동이 그대로 외부로 전달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공펌프(20)가 상기 케이스(10)에 안착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흡입부(22)를 통해 흡 입된 공기가 토출부(22-1)의 좁은 관을 통해 배출되는 동시에 밀폐공간으로 확산되면서 대기로 배출되는 대신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압축된다. 이는 케이스(10)의 공기배출구(30)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이때 1차적으로 토출부(22-1)를 통해서 넓은 공간으로 나오는 공기와 소음은 압축이 되면서 케이스(10)의 내부면에 부딪치게 되어 소음이 감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면에 부딪치면서 뒷편으로 돌아나온 소음은 진공펌프(20)의 본체에 부딪치어 2차로 감쇄되며, 마지막 남은 소음은 밀폐된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소음흡수재 패킹(31)을 거쳐 작은 공기배출구(30)로 빠져나간다. 이 과정에서 같은 주파수의 소음원이 충동하면서 소음의 대부분이 소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밥솥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밥의 진공보관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진공보관법은 밥을 보온 및 유지하는 단계(S100), 밥을 식히는 단계(S200), 진공감압하는 단계(S300), 진공보관하는 단계(S400), 재가열하는 단계(S500) 및 보온 및 유지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보관법이 실시되기 전에 우선은 밥을 취사하여 짓는 단계가 선행된다. 이를 위해 도 8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적당량의 물(W, water)과 쌀(R, Rice)을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에 담고 밥솥 뚜껑(112)을 덮는다. 그러면 밥솥 뚜껑(112) 하부에 설치된 속뚜껑(123)이 상기 취반용기(121)의 상부를 덮게 되는데, 이때 속뚜껑(123)에 설치된 밀폐수단인 오링(125)이 상기 취반용 기(121)와 속뚜껑(123)의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가 밀폐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만일 상기 속뚜껑(123)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았다면 상기 밥솥 뚜껑(112)이 상기 속뚜껑(123)의 기능을 대체하게 된다.
이후 밥솥 몸체(111) 설치된 조작패널(111A, 도 1 참조) 중 취사버튼을 누르면 발열체(113)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발열체(113)가 고열(H)을 발하면서 취반용기(121)가 가열된다. 이로써 시간이 지나면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에 담긴 물이 끓으면서 쌀(R)이 익어 밥(BR, Boiled Rice)이 된다. 이 과정에서 끓는 물로부터 증발하는 수증기는 열려져 있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3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취사의 대상물은 밥뿐만이 아니라 고구마, 감자, 옥수수 등과 같이 취사 후 보관이 필요한 다양한 음식물들로 대치될 수 있으며, 꼭 밥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본 발명의 진공보관법이 본격적으로 실시된다. 도 9에서처럼 취사된 밥(BR)을 설정된 시간동안 보온 및 유지하는 단계(S100)가 진행된다(단, 도 9는 밥이 지어지고 나서 사용자가 밥솥 뚜껑(112)을 열고 일부를 취식한 다음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제어부에서 발열체(113)의 발열 수준을 보다 낮게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113)에서 취사시보다 낮은 온도의 미열(WH)이 일정시간(약 40 내지 50분) 발생한다. 이는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가 지어진 밥(BR)을 취식하다가 한차례 정도 더 밥(BR)을 덜어내어 취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한 것으로 이처럼 추가 취식시에도 따뜻한 밥(BR)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이다.
이후, 도 10에서처럼 밥을 식히는 단계(S200)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발열체(113)의 작동을 중단시켜 취식후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에 남은 밥(BR)이 자연적으로 식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열체(113)의 작동이 중지된 이후로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138)와 제2솔레노이드 밸브(139)를 닫거나 열어둘 수 있으며,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138)를 열어두는 경우 밥(BR)이 식는 동안 발생하는 미량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밥(BR)이 충분한 정도로 식으면 다음 단계가 진행된다. 단, 밥(BR) 충분한 정도로 식었는지 여부는 전기밥솥 내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미도시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가지고 판단한다. 또한,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밥(BR)이 충분하게 식은 것으로 간주하여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전자와는 달리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불필요하고 절차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밥(BR)이 충분한 정도로 식으면 도 11에서처럼 진공감압하는 단계(S300)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를 진공감압하여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를 진공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38)를 닫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139)를 연 상태로 진공펌프(2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진공펌프(20)는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연결호수(133)를 통해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에 진공압을 형성시 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는 점차 대기압 이하의 진공상태가 되고, 상기 수용부(121A) 내의 진공압은 압력감지센서(137)에 의해 측정되면서 설정된 정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한한다. 이때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로부터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소량의 수분은 진공펌프(20)에 흡입되지 않고 도중에 연결호수(133)의 단절부위(133B)에서 낙수(BW)가 되어 떨어지면서 수분받이용기(115)에 걸러진다. 이때 상기 수분받이용기(115)는 상기 연결호수(133) 중 최저점에 위치한 단절부위(133B)를 밀봉되게 감싸기 때문에 진공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연결호수(133) 중 상기 단절부위(133B) 이후의 끝단부(133A)는 상기 진공펌프(20)의 공기흡입부(22)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139)와 함께 상기 연결호수(133)상에 역류방지밸브(135)가 설치되면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로부터 진공펌프(20)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허용되지만 그 반대방향으로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어 진공펌프(20)의 진공감압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취반용기(121)를 진공하는 시점은 밥이 상온으로 충분히 식은 다음이 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밥(BR)으로부터 발생하는 다량의 수증기로 인해 취반용기(121) 수용부(121A)의 진공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를 진공감압할 때 진공펌프(20)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상기 진공펌프(20)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10)에 의해 감쇄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펌프(20)가 상기 케이스(10)에 안착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흡입부(2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부(22-1)의 좁은 관을 통해 배출되는 동시에 밀폐공간으로 확산되면서 대기로 배출되는 대신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압축된다. 이는 케이스(10)의 공기배출구(30)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이때 1차적으로 토출부(22-1)를 통해서 넓은 공간으로 나오는 공기와 소음은 압축이 되면서 케이스(10)의 내부면에 부딪치게 되어 소음이 감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면에 부딪치면서 뒷편으로 돌아나온 소음은 진공펌프(20)의 본체에 부딪치어 2차로 감쇄되며, 마지막 남은 소음은 밀폐된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소음흡수재 패킹(31)을 거쳐 작은 공기배출구(30)로 빠져나간다. 이 과정에서 같은 주파수의 소음원이 충동하면서 소음의 대부분이 소멸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진공펌프(20)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은 케이스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쇄되어 진공펌프(20)가 작동되지 않을 때와 마찬가지로 정숙함이 유지되는 것이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밥을 진공보관하는 단계(S400)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가 밀폐된 상태에서 전 단계(S300)를 통해 진공감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취반용기(121) 수용부(12A)의 진공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는 예상치 못한 만일의 사태를 대비할 수 있다. 즉, 연결호수(133)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137)에 의해 취반용기(121) 수용부(121A)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있다가 상기 취반용기(121) 수용부(121A)의 진공도가 떨어지면 이를 즉시 상기 제어부에 통보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즉시 진공펌프(20)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취반용기(121) 내의 진공도를 원래상태로 복구시키게 된다. 이처럼 밥(BR)을 담고 있는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가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 부(121A) 내에서는 공기, 산소 및 미생물과 같이 밥(BR)의 변질을 유발하는 물질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취반용기(121) 내에 담겨있는 밥(BR)은 가열 없이도 상온에서 무균상태로 장시간에 걸쳐 거의 완벽에 가깝게 보관된다. 즉 통조림이 상온에서 거의 품질변화 없이 장기간에 걸쳐 보관 가능한 것처럼 밥(BR)도 처음 지어진 품질 그대로 유지하면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밥(BR)을 재가열하는 단계(S500)가 진행된다. 이 단계는 얼마의 시간이 흐른 후 사용자가 다시 취식하기 전에 직접 전기밥솥의 재가열 버튼(미도시됨)을 누르면 시작된다. 이때 제어부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38)를 열어 취반용기(121) 수용부(121A)의 진공을 해제하고 발열체(113)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온에서 진공상태로 보관되던 밥(BR)이 다시 고열(H)을 받아 몇 분후면 취식하기 적당한 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밥(BR)이 잃어버렸던 수분을 보충하기 위해 취반용기(121) 수용부(121A)에 분무형태로 수분을 공급하는 형태의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도시되었지만 수분저장용기와, 상기 수분저장용기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아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을 간단히 구비하기만 하면 된다. 이때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로 재공급되는 수분의 양은 정밀하게 맞추지 않고 경험치에 근거하여 소량 정도로 하면 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밥을 보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가열하지 않기 때문에 잃어버리는 수분의 양이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며 수분을 보충할 필요가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맞다.
이후,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설정된 시간동안 밥을 보온 및 유지하는 단 계(S600)가 진행된다. 이 단계는 처음 밥(BR)을 취식할 때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추가 취식을 염두한 것으로,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밥(BR)을 덜어 취식하는 경우를 염두하고 밥(BR)의 온도를 설정된 시간(약 40 내지 50분)동안 취식하기 적당한 수준으로 유지한다. 이때 발열체(113)는 재가열시보다 약한 미열(WH)을 발생시킨다.
이후, 상기 취반용기(121)의 수용부(121A) 내에 아직 밥(BR)이 남아 있는 경우 전술된 것처럼 밥을 식히는 단계(S200), 진공감압하는 단계(S300), 진공보관하는 단계(S400) 등을 거쳐 밥(BR)을 다시 진공보관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된 전기밥솥은 변형전과 달리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140)만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40)가 연결호수(133)상에 설치되고, 상기 밥솥 뚜껑(112)의 외부와 수용부(121A)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거나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121A)와 진공펌프(20)간은 상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호수(133)상에는 역류방지밸브(135)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로부터 진공펌프(20)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은 허용하나 그 반대방향의 흐름은 차단한다.
이처럼 변형된 구성에 따르면 밥을 취사할 때에도 상기 수용부(120A)와 진공펌프(20)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더운 증기나 압력의 유입으로 상기 진공펌프(20)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칠 수 있지만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140)만을 구비하는 보다 간결한 구성을 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소음 및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은 밥을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 진공보관하면서도 진공펌프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거의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펌프의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키면서도 별도의 사이렌서 또는 소음기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비용이 최소화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며, 진공펌프의 설치도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펌프와 케이스를 하나로 모듈화시켜 전체 조립과정을 간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밥의 조직변화 및 수분감소가 거의 없고, 특유의 쉰 냄새가 나거나 누렇게 변색되는 일없이 처음의 밥맛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밥을 보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가열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 소비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음식물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밥뿐만이 아니라 고구마, 감자, 옥수수 등과 같이 취사 후 상하지 않도록 보관이 필요한 다양한 음식물들에 응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쌀과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수용된 쌀과 물을 가열하여 취사하는 발열체를 구비하는 밥솥 몸체와, 상기 밥솥 몸체의 수용부를 덮어 밀폐하는 밥솥 뚜껑과, 상기 밥솥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진공감압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펌프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진공펌프를 내장시키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진공펌프를 용이하게 내장시키기 위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에는 진공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측면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걸림단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측면에는 제1하우징의 걸림단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 테두리 둘레에는 결합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 테두리 둘레에는 제1하우징의 결합단턱과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장착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는 진공펌프의 공기흡입부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하우징의 관통홈과 대응되어 일정한 원형이 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테두리 또는 제2하우징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시 그 사이에서 압착되는 탄성 소재의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는 진공펌프의 모터를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 뚜껑에 설치되고 상기 밥솥 뚜껑의 외부와 수용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밥솥 몸체의 수용부와 진공펌프를 연결하는 연결호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호수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와 진공펌프간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호수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로부터 진공펌프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은 허용하나 그 반대방향의 흐름은 차단하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호수는 최저점의 부위가 상기 밥솥 몸체의 외부를 경유하여 상기 진공펌프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호수의 최저점 부위는 단절되어 상기 수용부에서 진공펌프로 흡입되는 수분을 낙수시키는 단절구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밥솥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호수의 단절부위를 밀봉되게 감싸면서 낙수되는 수분을 받는 수분받이용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KR1020060044917A 2006-05-19 2006-05-19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KR100764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917A KR100764125B1 (ko) 2006-05-19 2006-05-19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917A KR100764125B1 (ko) 2006-05-19 2006-05-19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125B1 true KR100764125B1 (ko) 2007-10-05

Family

ID=3941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917A KR100764125B1 (ko) 2006-05-19 2006-05-19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1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7451A (zh) * 2016-08-17 2016-10-26 谢煌凌 汤液循环电热壶或锅
CN108113453A (zh) * 2016-11-30 2018-06-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降噪均温锅具
WO2018133368A1 (en) * 2017-01-20 2018-07-26 Zhejiang Supor Electrical Appliances Manufacture Co., Ltd. Cooking appliance
KR20190055651A (ko) * 2017-11-15 2019-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조
KR20190056094A (ko) * 2017-11-16 2019-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210060003A (ko) * 2019-11-18 2021-05-26 (주)실리만 진공 보관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875U (ko) * 1993-10-05 1995-05-15 임길형 진공청소기
KR0174068B1 (ko) * 1995-08-01 1999-02-18 이현숙 진공 전기밥솥
KR19990085694A (ko) * 1998-05-21 1999-12-15 장병철 진공전기밥솥
JP2004105488A (ja) * 2002-09-19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気装置を備えた炊飯器および炊飯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875U (ko) * 1993-10-05 1995-05-15 임길형 진공청소기
KR0174068B1 (ko) * 1995-08-01 1999-02-18 이현숙 진공 전기밥솥
KR19990085694A (ko) * 1998-05-21 1999-12-15 장병철 진공전기밥솥
JP2004105488A (ja) * 2002-09-19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気装置を備えた炊飯器および炊飯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7451A (zh) * 2016-08-17 2016-10-26 谢煌凌 汤液循环电热壶或锅
CN108113453A (zh) * 2016-11-30 2018-06-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降噪均温锅具
WO2018133368A1 (en) * 2017-01-20 2018-07-26 Zhejiang Supor Electrical Appliances Manufacture Co., Ltd. Cooking appliance
KR20190055651A (ko) * 2017-11-15 2019-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조
KR102491226B1 (ko) * 2017-11-15 202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조
KR20190056094A (ko) * 2017-11-16 2019-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515595B1 (ko) * 2017-11-16 202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210060003A (ko) * 2019-11-18 2021-05-26 (주)실리만 진공 보관 용기
KR102275246B1 (ko) * 2019-11-18 2021-07-09 (주)실리만 진공 보관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125B1 (ko)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KR100810672B1 (ko) 마이크로웨이브 및 진공을 이용한 전기밥솥 및 진공보관법
CN110558832A (zh) 一种多功能蒸汽炸锅
WO2008029976A1 (en) Rice cooking and vacuum-preserving method and electronic rice cooker using the same
FR2532731A1 (fr) Groupe motocompresseur hermetique
CN108354444A (zh) 一种便携式压力锅
CN107510356A (zh) 单人适用低容量电压力炊具
JP2010508951A (ja) 冷却システムを備えたバーベキューグリル
CN109965682B (zh) 烹饪装置的控制方法、控制系统及烹饪装置
JP5808890B2 (ja) 調理器具用の蒸気放出部材及び蒸気放出部材を備えた調理器具
KR20070012421A (ko) 마늘 요리 기기 및 요리 방법
US3840686A (en) Method of cooking and thawing
JP2009100890A (ja) 炊飯器
CN2412495Y (zh) 一种蒸汽锅
KR100933680B1 (ko) 압력밥솥용 증기응축기
KR20080042656A (ko) 저온을 활용한 밥의 진공보관법과 이를 이용한 전기밥솥
CN112773179A (zh) 一种超声波鸡汤快煮锅
CN217309928U (zh) 一种多胆式多功能空气炸锅
CN110537830A (zh) 一种电饭煲上盖及电饭煲
KR100454768B1 (ko) 저온유지장치가 구비된 생선회전용 식탁
CN219962599U (zh) 一种驱动装置及烹饪器具
CN109106030A (zh) 一种户外用加热食盒
CN215687022U (zh) 一种多功能空气炸锅
CN113520175A (zh) 一种多胆式多功能空气炸锅
JP7455967B2 (ja) 調理器具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