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694A - 진공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진공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694A
KR19990085694A KR1019980018257A KR19980018257A KR19990085694A KR 19990085694 A KR19990085694 A KR 19990085694A KR 1019980018257 A KR1019980018257 A KR 1019980018257A KR 19980018257 A KR19980018257 A KR 19980018257A KR 19990085694 A KR19990085694 A KR 1999008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pace
plate
secondary spa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철
이현숙
Original Assignee
장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철 filed Critical 장병철
Priority to KR101998001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694A/ko
Publication of KR1999008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694A/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서 밥맛이 변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써 밥솥 통을 여러 개의 밀폐된 칸막이로 상하 각각 3개의 공간을 만들고, 외부와 인접한 공간(3차공간)과 밥솥에 인접한 공간은 진공처리하고 중간공간(2차공간)과 밥솥 내부는 보온시 진공기의 동작으로 진공처리하며, 진공기는 이부착이 가능하게 하여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장치이다.

Description

진공전기밥솥
전기밥솥에서 밥맛이 변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보온시 밥솥 내부를 여러 개의 칸막이를 하여 각 공간마다 진공으로 만들어 수분 증발을 막고 열의 공급을 줄여 밥맛을 좋게 하고 소비전력을 줄이는 방법이다.
전기밥솥
[종래 기술]
보온시 열의 유출에 따른 가열이 뒤따라 밥알에서 수분이 증발되어 밥맛이 변했으며, 가열에 지속적 또는 주기적 가열을 하였으므로 소비전력이 높았다.
밥솥 케이스의 진공유지와 밥통의 기밀 유지를 위한 실 방법과 진공펌프의 운영방법.
도 1은 진공 전기밥솥의 횡단면도
도 2는 횡단면도 요부 확대도
도 3은 뚜껑의 종단면도
도 4는 횡 단면도의 히이터부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밥솥부의 단면도
도 6은 히이터 결합 너트부
도 7은 진공기의 펌프 단면도
도 8은 뚜껑의 상면도
도 9는 뚜껑의 종단면도
도 10은 뚜껑의 횡단면도
도 11은 진공기의 회로도
도 12는 진공기가 이탈되어 뒤집혀 보인 사시도
도 13은 압력판의 단면도
도 14는 체크밸브의 단면도
도 15는 흡입구의 평 단면도
도 16은 취사 보온 동작 흐름도
상부진공통(10)은 도 1, 2에서와 같이 상진공내판(8)과 상진공외판(7)의 말단의 원형절곡부(7')(8')에 상절열체링(9)에 의해 끼어 맞춤으로 결합되고, 증기 토출구(11)에는 도 13에서와 같이 토출구 파이프패킹(51-A)과 압착파이프(52-A)에 의해 끼어 맞춤으로 밀폐되어 상부진공통(10)은 진공으로 처리된다.
이때 파이프패킹(51-A)과 압착파이프(52-A)는 상케이스(4)와 상중간케이스(5)도 함께 밀폐시킨다.
상중간케이스(4)는 상진공외판(7)의 여러 너트부(45)에 여러 개의 볼트(54)로 결합하면 상2차공간(14)을 만들어지고 원형걸림부(5')는 상진공외판(7)의 원형외절곡부(7")에 걸려 결합되고, 상케이스(4)와 상케이스패킹(6)을 사이에 넣고 수개의 보스와 볼트로 결합되어 상3차공간(16)이 만들어지고 진공 처리된다.
취사중간판(17)은 취사밀폐고무링(18)이 말단에 결합되어 이부착이 가능토록 고무핀(19)에 의해 하진공내판(8)에 취부된다.
손잡이케이스(20)는 상케이스(4)에 결합되며 열림버튼(21)은 열림레버(22)에 일체화되고 열림밸브레버판(23)은 상2차공간(14)에서 나온 흡입구(25)와 흡입사이드홀(25')을 판 스프링의 효과로 눌러서 밀폐한다.
증기 배출구(26)는 제13도에서와 같이 상부진공통(10)과 상케이스(4), 상중간케이스(5)를 관통하여 외부로 통하게 된다. 이 증기배출구(26) 위에는 압력판(27)이 누르고 있고, 진공홀(28)이 형성되어 외연결호스(15)에 의해 외부로 나갔다가 다시 상2차공간(14)으로 되돌아와 연결호스(24)에 연결된다.
연결호스(24)는 진공구(29)에도 연결되고 도9, 10도에서와 같이 진공판(30)에 의해 밀폐된다.
진공기(31)는 모터(32)의 모터 축에 편심축(33)이 있고 좌우에 1차고무펌프(34)와 2차고무펌프(35)가 편심축(33)축에 연결된다. 모터(32)가 회전하면 2차고무펌프(35)는 편심축(33)에 의해 수축 팽창을 하게 되고 체크밸브에 의해 공기를 빨아 당기고 탱크(36)를 거쳐 1차고무펌프(34)를 통해 공기를 빨아당기는 2단 진공펌프로 구성되어 흡입구(44)에 의해 밥솥 내부의 공기가 빨아당긴다.
진공기(31)에는 진공스위치버튼(40)에 스위치(37)가 연결되고, 배터리(38)가 내장되어 전기가 없이도 작동된다. 스위치(37)에는 진공기접속핀(39)에 의해본체의 DC 전원이 스위치(37)의 단자에 접속되고, 배터리(38) 전원도 스위치단자에 연결된다. 진공스위치버튼(40)을 누르면 메인 전원이 없으면 배터리의 전원이 모터(32)를 구동시키고 메인 전원이 있으면 TR1(12)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고 TR2(13)의 베이스 전류를 어스시켜 배터리 전원은 차단시킨다.
이 진공기(31)는 도12에서와 같이 이부착이 가능하게 진공기(31)에는 걸림턱(45')과 자석(41)이 있고 전기밥솥에는 철판(42)과 진공기접속핀(39)의 걸림턱이 있어 결합하면 진공기패킹실(43)에 의해 밀폐된다.
하부진공통(60)은 하진공내판(62)과 하진공외판(61)은 말단의 원형절곡부(62'), (61')에서 하절열체링(63)에 의해 끼어 맞춤으로 결합되고, 중앙에는 취반 상태 감지 센서레버(64)가 빠져나오는 열감지홀(65)과 사이드에 전선홀(66)이 파이프패킹(51-B), (51-C)과 압착파이프(52-B), (51-C)에 의해 끼어 맞춤으로 밀폐되어 진공으로 처리된다.
취사히이터(78)는 히이터판(88)에 결합되어 하진공내판(62) 여러 개의 너트부(87)에 볼트로 취부된다.
전원 선은 콘트롤덥개(86)를 통해 들어오고 여러 전선은 전기밥솥을 진공을 유지하기 위해 전선밀폐실(68)을 통해 전자회로판(67)과 내부가 연결되고, 하케이스(69)와 하중간케이스(70) 사이에 차단실(71)이 삽입되어 하2차공간(74)을 밀폐시킨다.
하중간케이스(70)는 하진공외판(61)의 여러 너트부(72)에 여러 개의 볼트(54)로 결합하면 하2차공간(74)이 만들어지고 원형걸림부(70')는 하진공외판(61)의 원형외 절곡부(61")에 걸려 결합되고, 하케이스(69)와 하케이스패킹(75)을 사이에 넣고 수개의 보스와 볼트로 결합되어 하3차공간(76)이 만들어지고 진공 처리된다.
뚜껑(1)과 하부(2)는 결합장석(3)에 의해 연결되고 하케이스걸림턱(69')에 열림레버(22)가 걸려 밥솥실(77)에 의해 실(SEAL)이 이루어지게 되고, 진공판(30)과 열림밸브레버판(23)에 의해 완전 밀폐된다.
진공기(31)에 의해 전기밥솥 내부가 진공 처리되며 열림버튼(21)을 누르면열림밸브레버판(23)이 올라가고 흡입구(25)와 흡입사이드홀(25')을 통해 공기가 들어가고 평상 기압이 되면서 뚜껑(1)은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공 전기밥솥은 취사 버튼을 누르면 101단계에서 시작되어 솔레노이드(89)가 스위치레버(73)를 눌러주고 102단계로 넘어가 취사히이터(78)에 전류가 흘러 취사가 진행된다. 증기는 압력에 의해 압력판(27)을 들어올려 증기배출구(26)를 통해 증기를 배출시킨다. 밥통바닥(80')의 온도가 130도 이상이 되면 센서레바(64)는 온도감지장치(84)에 의해 내려가고 레바핀(85)에 연결된 스위치레버(73)가 움직여 마이크로스위치(79)를 동작시켜 103단계로 넘어가 보온으로 전환된다.
104단계에서 타이머는 초기로 RESET 되며, 105단계에서는 보온 히이터가 수분의 설정 시간에 따라 ON 되었다가 OFF 된다.
106 단계에서는 진공기가 동작하고 설정시간에 따라 수초후 OFF 된다. 이때 밥솥 내부는 취사에서 보온단계로 넘어가면 압력판(27)에 스프링 압력 의해 밀폐되고, 전자회로에 의해 진공기(31)가 동작하면 진공판(30)이 들어올려지고 밥솥 내부와 상2차공간(14)이 진공이 된다. 이때 하2차공간(74)은 열감지홀(65)을 통해 밥솥 외벽을 따라 상진공통(10)의 외벽을 따라 상2차공간(14)으로 공기가 빠져나간다.
상2차공간(14)이 공기가 빠져나가면 상3차공간(16)은 상2차공간(14)보다 압력이 높으면 스프링(82)이 들어올려지고 밀폐실(83)이 열려 체크벨브핀(81-A) 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간다.
이 106단계에서 하3차공간(76)은 하2차공간(74)보다 압력이 낮으면 그대로 압력을 유지하고, 압력이 높으면 체크벨브핀(81-B)을 통해 공기가 하2차공간(74)으로 빠져나간다. 이렇게 되면 상부진공통(10)과 하부진공통(60)에 의해 1차 열 차단에 되고, 상2차공간(14)과 하2차공간(74)의 진공에 의해 2차 열차단이 차단되고 상3차공간(16)과 하3차공간(76)의 진공에 의해 3차 열 차단이 차단되어 보온이 이루어진다.
107단계에서는 전원 OFF이면 112단계에서 종료되고, 아니면 수동 진공기 SW가 눌렸는가를 확인하여 눌렀으면 106단계로 되돌아가고, 누르지 않았으면 109단계로 넘어간다.
109단계에서 뚜껑이 열렸는가를 확인하여 열렸으면 104단계로 돌아가고, 열리지 않았으면 110단계에서 보온 설정온도 이하인가를 확인하여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107단계로 반복된다.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보온히이터가 일정시간 동작한 후 OFF되어 107단계로 되돌아간다.
밥솥 내부가 진공이 되면 밥의 수분 입자가 이동할 수가 없어 취사후 10일 정도는 밥맛이 변하지 않으며, 보온시 소비전력이 현저히 낮고 전기가 없는 야외에서도 보온이 가능한 효과가 있음.

Claims (5)

  1. 상부진공통(10)은 상진공내판(8)과 상진공외판(7)의 말단의 원형절곡부(7')(8')에 상절열체링(9)에 의해 끼어 맞춤으로 결합되고, 증기 토출구(11)에는 상케이스(4)와 상중간케이스(5)도 함께 밀폐시킨 파이프패킹(51-A)과 압착파이프(52-A)에 의해 끼어 맞춤으로 밀폐되어 상부진공통(10)은 진공으로 처리된다.
    상중간케이스(4)는 상진공외판(7)의 여러 너트부(45)에 여러 개의 볼트(54)로 결합하면 상2차공간(14)을 만들어지고 원형걸림부(5')는 상진공외판(7)의 원형외절곡부(7")에 걸려 결합되고, 상케이스(4)와 상케이스패킹(6)을 사이에 넣고 수개의 보스와 볼트로 결합되어 상3차공간(16)이 만들어지고 진공 처리된다.
    열림밸브레버판(23)은 상2차공간(14)에서 나온 흡입구(25)와 흡입사이드홀(25')을 판 스프링의 효과로 눌러서 밀폐한다.
    증기배출구(26)는 상부진공통(10)과 상케이스(4), 상중간케이스(5)를 관통하여 외부로 통하게 된다. 이 증기배출구(26) 위에는 압력판(27)이 누르고 있고, 진공홀(28)이 형성되어 외연결호스(15)에 의해 외부로 나갔다가 다시 상2차공간(14)으로 되돌아와 연결호스(24)에 연결된다.
    연결호스(24)는 진공구(29)에도 연결되고 진공판(30)에 의해 밀폐된다.
    하부진공통(60)은 하진공내판(62)과 하진공외판(61)은 말단의 원형절곡부(62'), (61')에서 하절열체링(63)에 의해 끼어 맞춤으로 결합되고, 중앙에는 취반 상태 감지 센서레버(64)가 빠져나오는 열감지홀(65)과 사이드에 전선홀(66)이 파이프패킹(51-B), (51-C)과 압착파이프(52-B), (51-C)에 의해 끼어 맞춤으로 밀폐되어 진공으로 처리된다.
    취사히이터(78)는 히이터판(88)에 결합되어 하진공내판(62) 여러 개의 너트부(87)에 볼트로 취부된다.
    하중간케이스(70)는 하진공외판(61)의 여러 너트부(72)에 여러 개의 볼트(54)로 결합하면 하2차공간(74)이 만들어지고 원형걸림부(70')는 하진공외판(61)의 원형의 절곡부(61")에 걸려 결합되고, 하케이스(69)와 하케이스패킹(75)을 사이에 넣고 수개의 보스와 볼트로 결합되어 하3차공간(76)이 만들어지고 진공 처리되어 상부진공통(10)과 하부진공통(60)에 의해 1차 열 차단에 되고, 상2차공간(14)과 하2차공간(74)의 진공에 의해 2차 열 차단이 차단되고 상3차공간(16)과 하3차공간(76)의 진공에 의해 3차 열 차단이 차단되어 보온이 이루어진다.
    뚜껑(1)과 하부(2)는 밥솥실(77)에 의해 실(SEAL)이 이루어지게 되고, 취사시에는 증기가 압력에 의해 압력판(27)을 들어올려 증기배출구(26)를 통해 증기를 배출시키고 보온시는 진공기(31)가 동작하면 진공판(30)이 들어올려지고 밥솥 내부와 상2차공간(14)이 진공이 된다. 이때 하2차공간(74)은 열감지홀(65)을 통해 밥솥 외벽을 따라 상진공통(10)의 외벽을 따라 상2차공간(14)으로 공기가 빠져나가 전기밥솥이 진공 처리되며 열림버튼(21)을 누르면 열림밸브레버판(23)이 올라가고 흡입구(25)와 흡입사이드홀(25')을 통해 공기가 들어가고 평상 기압이 되면서 뚜껑(1)은 열리게 되는 전기밥솥.
  2. 제1항에서 진공기(31)는 이부착이 가능하게 진공기(31)에는 걸림턱(45')과 자석(41)이 있고 전기밥솥에는 철판(42)과 진공기접속핀(39)의 걸림턱이 있어 결합하면 진공기패킹실(43)에 의해 밀폐되며 배터리(38)가 내장되어 진공스위치버튼(40)을 누르면 메인 전원이 없으면 배터리의 전원이 모터(32)를 구동시키고 메인 전원이 있으면 TR1(12)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고 TR2(13)의 베이스 전류를 어스시켜 배터리 전원은 차단시켜 모터를 구동시킨다.
  3. 제1항에서 상2차공간(14)이 공기가 빠져나가면 상3차공간(16)은 상2차공간(14)보다 압력이 높으면 스프링(82)이 들어올려지고 밀폐실(83)이 열려 체크벨브핀(81-A) 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가고, 하3차공간(76)은 하2차공간(74)보다 압력이 낮으면 그대로 압력을 유지하고, 압력이 높으면 체크벨브핀(81-B)을 통해 공기가 하2차공간(74)으로 빠져나간다.
  4. 제1항에서 보온 상태에서 뚜껑을 열면 타이머는 초기로 RESET되며, 보온 히이터가 수분의 설정 시간에 따라 ON 되었다가 OFF 되어 보온설정온도 확인 106단계에서 진공기(31)가 동작하고 설정시간에 따라 수초후 OFF 된후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5. 제2항에서 진공기(31)는 모터(32)의 편심축(33) 좌우에 1차고무 펌프(34)와 2차고무펌프(35)가 편심축(33)축에 연결되어 모터(32)가 회전하면 2차고무펌프(35)는 편심축(33)에 의해 수축 팽창을 하게 되고 체크밸브에 의해 공기를 빨아 당기고 탱크(36)를 거쳐 1차고무펌프(34)를 통해 공기를 빨아 당기는 2단 진공펌프
KR1019980018257A 1998-05-21 1998-05-21 진공전기밥솥 KR19990085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257A KR19990085694A (ko) 1998-05-21 1998-05-21 진공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257A KR19990085694A (ko) 1998-05-21 1998-05-21 진공전기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694A true KR19990085694A (ko) 1999-12-15

Family

ID=6589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257A KR19990085694A (ko) 1998-05-21 1998-05-21 진공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6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25B1 (ko) * 2006-05-19 2007-10-05 에펠산업(주)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KR100810672B1 (ko) * 2006-06-15 2008-03-07 에펠산업(주) 마이크로웨이브 및 진공을 이용한 전기밥솥 및 진공보관법
KR20190056900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210060003A (ko) * 2019-11-18 2021-05-26 (주)실리만 진공 보관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25B1 (ko) * 2006-05-19 2007-10-05 에펠산업(주)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KR100810672B1 (ko) * 2006-06-15 2008-03-07 에펠산업(주) 마이크로웨이브 및 진공을 이용한 전기밥솥 및 진공보관법
KR20190056900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210060003A (ko) * 2019-11-18 2021-05-26 (주)실리만 진공 보관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5625B2 (ja) 温度センサー及び自動開閉装置が配備された電気調理器具
US6694710B2 (en) Vacuum bag-sealing machine
JP6745385B2 (ja) 瀝米飯炊飯器
CN203898024U (zh) 烹饪器具
US7146783B2 (en) Vacuum packaging machine
KR19990085694A (ko) 진공전기밥솥
CN107713790A (zh) 烹饪器具
EP1178212A2 (en) Water cooled centrifugal pump
CN108926242B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CN216079909U (zh) 一种具有烹饪装置的集成灶
WO2006097016A1 (fr) Four a vapeur electrique et systeme de liberation rapide de la vapeur
CN106091573A (zh) 一种全自动加热冷藏一体化的厨房设备
KR100390301B1 (ko)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KR200338580Y1 (ko) 가정용 두부 제조기의 증기 유입방지구조
CN113693417A (zh) 杯组件
KR100584857B1 (ko) 공기 하향 배출식 진공포장기
KR0174068B1 (ko) 진공 전기밥솥
KR200235724Y1 (ko)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CN103536196B (zh) 用于加热液体的家用电器
KR200338470Y1 (ko) 증기토출기능을 구비한 가정용 두유두부 제조기
CN218186298U (zh) 烹饪器具
CN205860653U (zh) 一种全自动加热冷藏一体化的厨房设备
CN210673013U (zh) 烹饪器具
CN210979991U (zh) 厨卫器具联动排气结构
CN208926039U (zh) 灭酶装置和食物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