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724Y1 -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 Google Patents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724Y1
KR200235724Y1 KR2020010009107U KR20010009107U KR200235724Y1 KR 200235724 Y1 KR200235724 Y1 KR 200235724Y1 KR 2020010009107 U KR2020010009107 U KR 2020010009107U KR 20010009107 U KR20010009107 U KR 20010009107U KR 200235724 Y1 KR200235724 Y1 KR 200235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ice cake
water supply
steam generat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영
Original Assignee
장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주영 filed Critical 장주영
Priority to KR2020010009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7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724Y1/ko

Links

Landscapes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 다수의 소형 떡시루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스팀발생장치와 가열부를 구비하여 동시에 다수의 시루떡을 생산해낼 수 있도록 하므로써 종래 재래식보다 짧은 조리시간과 적은 연료의 사용으로 다량의 시루떡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수의 소형 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A)는 상면 중앙부에 스팀배출공(12)이 구비된 상부덮개(14)와 통체(16)로 소정형상의 떡시루(10) ; 상면에 다수의 스팀노즐(22)이 환상으로 배열되고 그 하부에 스팀관(24)이 각각 연결되어 된 소정 크기의 원형 판상의 회전판(20) ; 상면이 상기 회전판(20)의 하부면에 체결고정되고 측면에는 상기 스팀관(24)이 연결되도록 다수의 결합공(32)이 형성되고 그 내부 상부면에 베어링(35)이 설치된 결합부(34)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측 개구부에 나사부(36)가 형성되어 된 원통형의 회전부재(30) ;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1)와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44)과 하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46)를 가진 채 상기 회전부재(30)에 삽입되어 결합고정되는 원통형의 연결관(40) ; 결합환턱(52)이 상부면에 돌출형성되고 그 상부 중앙에 관통공(54)이 형성되며 일측에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56)과 이에 결합된 하부의 배출밸브(58)를 포함하여 된 원형판상의 막음부재(50) , 중앙부에 스팀배출공(63)이 형성된 덮개부(67)와 이와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 일측에 배수관(62)과 중앙부에 체크밸브(66)가 설치된 통체로 구성된 스팀발생기(60) ; 상부에 상기 스팀발생기(60)의 덮개부(67)가 끼워지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스팀발생기(60)와 그 하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을 감싸는 단열재(72)가 내부에 충진된 소정형상의 함체(70) ; 토출측의 급수관(64)이 상기 체크밸브(66)와 연결되는 수중펌프(88)와 급수ON-OFF동작을 자동제어하는 볼탭밸브(84)와 통체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급수구(87)와 배수구(86)가 형성되어 상기 함체(7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저수통(80)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적은 수요에 알맞게 소형으로 다수개의 시루떡을 생산가능하게 하여 재료의 낭비를 절감하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뜨거운 떡시루 취급을 최대한 용이하도록 하여 시루떡 생산작업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연료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Rice cake manufacture apparatus}
본 고안은 떡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다수의 소형 떡시루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스팀발생장치와 가열부를 구비하여 동시에 다수의 시루떡을 생산해낼 수 있도록 하므로써 종래 재래식보다 짧은 조리시간과 적은 연료의 사용으로 다량의 시루떡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래식 떡시루는 떡시루가 나무, 대나무,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작업자가 들고 운반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하여 스팀공급조 위에 작업자가 직접 떡시루를 4단 내지 5단으로 적층하여 시루떡을 생산하는 방식이었으므로 시루떡이 5단까지 완전히 증숙이 되어야만 작업자가 증숙된 떡시루를 5단부터 분리하여 차례로 4단, 3단, 2단, 1단의 증숙된 떡시루를 분리하여 증숙된 시루떡을 떡판위에 올려놓고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생산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증숙된 떡시루를 떡판 위에 올리기 위해 작업자가 증숙된 떡시루를 운반할 때 증기 및 뜨거운 떡시루에 의한 화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1단에서 5단까지의 시루떡 증숙정도의 차이로 인해 시루떡이 떡시루에 붙어 있어 시루떡의 외주 끝단 모양이 좋지 못하고, 떡시루에 붙어있는 잔여물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시루떡을 생산할 때마다 반복됨으로 인해 시간적 낭비와 그로인해 대량생산에 차질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아니라 5단의 증숙된 떡시루로부터 분리하여 차례로 4단,3단,2단,1단의 증숙된 떡시루를 분리하여 작업해야하므로 완전히 증숙되는 시간으로 인해 많은 연료의 손실과 생산시간의 낭비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가지의 것들이 제안된 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65143호에 기재된 것을 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조(6)를 포함한 3단 다층식 자동 떡시루 찜 장치(7) 및 떡시루 180 °회전장치(8)와 빈 떡시루 원상 복귀 장치(9)를 특징으로 구성되어진 다다다층식자동떡시루찜장치를 PLC리미트센서 및 릴레이와 타이머 등을 주 구성부품으로 하는 컨트롤제어장치(1)에 의해 작동되는 모타(31)(32)(33), 체인(41)(42)(43) 및실린더(50)(51)(52)(53)와 기아(60)(61) 등을 구동하여 위에 명기한 모든 장치들을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시루떡을 짧은 시간내에 많은 양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자동 스팀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연료비의 손실과 시간 및 인건비등을 최소화하도록 한 다단다층식자동떡시루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1987-0001805호에 기재된 것을 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실(1) 내를 체인(2)에 다수개 연결된 시루(3)가 통과토록한 것에 있어서 시루(3)의 양축저면에 얇은 판(4)(4')을 연설하며 그리고 양측벽에 산부(5)(5')를 형성하고 산부(5)(5')의 중앙에는 안내간(6)(6')을 형성하여 안내간(6)(6')은 증기실(1)내의 측벽에 형성된 안내홈(7)(7')에 끼워지도록 하고 산부(5)(5')는 증기실(1)내의 측벽에 형성된 산부(8)(8')에 맞대어지도록 하며, 증기 실(1)내의 입구와 배출구 안쪽에는 스프링(9)(9')으로 받쳐진 판(10)(10')의 선단이 시루(3)의 저면에 맞대도록 한 시루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97-000325호에 기재된 것을 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외주연에 걸림턱(21)을 형성한 받침용기(20)와 이 받침용기(20)에 설치하며 저면에 다수개의 통공(31)을 형성한 시루(30)와, 상측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한 뚜껑(6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시루(30)의 운반을 위해 구비된 쟁반(40)과 상기 시루(30)와 뚜껑(60) 사이에 위치되며 외주연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하고 중앙부분에 요홈(52)을 형성하며 이 요홈(52)에 꼭지(51)를 설치한 평면형의 평뚜껑(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떡시루 세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것들중에 전술한 것들은 대형 떡제조업체에서 짧은 시간내에 대량의 시루떡을 생산함을 목적으로 한 것과 일반가정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인데 떡제조장치의 규모가 크고 가격이 고가라서 작은 떡제조업체에서사용하기에는 비용의 부담이 크고 낭비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후술한 것은 일반가정에서 소량으로 떡을 만들도록 한 것이라 작은 떡제조업체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생산량이 작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은 수요에 알맞게 소형으로 다수개의 시루떡을 생산가능하게 하는 한편 작업자의 뜨거운 떡시루 취급을 최대한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소형 떡시루를 원형의 회전판 상면에 환상으로 배열시키고 그 하부에 스팀발생기와 가열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절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팀의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10에 대한 절개사시도
도 6은 B에 대한 일부절개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 도 9는 종래기술에 대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떡시루 12 : 스팀배출공
14 : 상부덮개 16 : 통체
18 : 통공 15 : 찜판
20 : 회전판 22 : 스팀노즐
24 : 스팀관 30 : 회전부재
31 : 고정공 32 : 결합공
34 : 결합부 36 : 나사부
40 : 연결관 41 : 결합부
42 : 환턱 43 : 끼움부
44 : 통공 46 : 나사부
50 : 막음부재 51 : 나사부
52 : 결합환턱 54 : 관통공
60 : 스팀발생기 62 : 배수관
64 : 급수관 66 : 체크밸브
68 : 통체 70 : 함체
72 : 단열재 80 : 저수통
82 : 부유구 84 : 볼탭밸브
86 : 배수구 88 : 수중펌프
87 : 급수구 100 : 원적외선소재
102 : 가열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 제조기(A)는 상면 중앙부에 스팀배출공(12)이 구비된 상부덮개(14)와 통체(16)로 소정형상의 떡시루(10) ; 상면에 다수의 스팀노즐(22)이 환상으로 배열되고 그 하부에 스팀관(24)이 각각 연결되어 된 소정 크기의 원형 판상의 회전판(20) ; 상면이 상기 회전판(20)의 하부면에 체결고정되고 측면에는 상기 스팀관(24)이 연결되도록 다수의 결합공(32)이 형성되고 그 내부 상부면에 베어링(35)이 설치된 결합부(34)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측 개구부에 나사부(36)가 형성되어 된 원통형의 회전부재(30) ;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1)와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44)과 하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46)를 가진 채 상기 회전부재(30)에 삽입되어 결합고정되는 원통형의 연결관(40) ; 결합환턱(52)이 상부면에 돌출형성되고 그 상부 중앙에 관통공(54)이 형성되며 일측에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56)과 이에 결합된 하부의 배출밸브(58)를 포함하여 된 원형판상의 막음부재(50) ; 중앙부에 스팀배출공(63)이 형성된 덮개부(67)와 이와 끼워져 결합되며 하부 일측에 배수관(62)과 중앙부에 체크밸브(66)가 설치된 통체로 구성된 스팀발생기(60) ; 상부에 상기 스팀발생기(60)의 덮개부(67)가 끼워지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스팀발생기(60)와 그 하부에 설치되는 가열수단을 감싸는 단열재(72)가 내부에 충진된 소정형상의 함체(70) ; 토출측의 급수관(64)이 상기 체크밸브(66)와 연결되는 수중펌프(88)와 급수ON-OFF동작을 자동제어하는 볼탭밸브(84)와 통체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급수구(87)와 배수구(86)가 형성되어 상기 함체(7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저수통(8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절개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스팀의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10에 대한 절개사시도이고 도 6은 B에 대한 일부절개 분해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 도 9는 종래기술에 대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떡시루(10)는 상부에 덮개(14)를 갖는 소형의 통체(16)로써, 상면 중앙부에 스팀배출공(12)이 설치된 상부덮개(14)가 통체(16)의 상부 개구부에 덮어지며, 중앙부에 통공(18)이 형성된 찜판(15)이 통체(16)의 하부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회전판(20)은 중앙부에 다수의 고정공(21)이 형성된 소정 크기의 원형 판상으로써, 하부에 스팀관(24)이 연결된 스팀노즐(22)이 환상으로 다수개 배열 설치되어 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위치에서 상기 회전판(20)만 돌려주므로써 다수의 떡시루(10)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원통체로써, 상면에 다수의 고정공(3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0)의 중앙부 하부측에 체결고정되며 측면에는 상기 스팀관(24)이 연결되도록 다수의 결합공(32)이 형성되고 그 내측 상부면 즉, 상기 상면의 저면에는 베어링(35)이 설치된 결합부(34)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측 개구부에 나사부(36)가 형성되어 된 것으로, 상기 회전판(20)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설치되어 회전판(20)의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연결관(4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체로써, 그 상단부에 끼움부(43)와 환턱(42)이 형성된 결합부(41)와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44)과 하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46)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 상기 회전부재(3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41)가 회전부재(30)의 결합부(34)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막음부재(50)는 외주면에 나사부(51)가 형성된 결합환턱(52)이 돌출형성된 원형의 판상으로, 결합환턱(52)의 중앙부에 상기 연결관(40)이 끼워지는 관통 공(54)이 형성되고, 일측에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56)과 이에 결합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밸브(58)를 포함하여 된 것이다.
상기 스팀발생기(60)는 하부 일측에 배수관(62)과 급수관(64)이 연결된 체크밸브(66)가 중앙부에 설치된 통체(68)와, 외주면에 고정환턱(61)이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내측 상부에 나사부(65)를 갖는 스팀배출공(63)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통체(68)의 상부에 덮혀지는 덮개부(67)로 된 것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체(68)의 내부에 옥 및 맥반석과 같은 원적외선소재(100)를 충입하여 인체에 이로운 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64)은 열전도율이 높고 변질이 없어 위생적인 동(銅)관이 바람직하며, 공급되는 물의 열전달을 높이기 위해 물의 흐름에 지장이 없는 각도내에서 여러번 절곡하여 곡선으로 배관을 한다. 상기 배수관(62)은 저수통(8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저수통(80)의 배수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열면 저수통(80)의 물과 함께 상기 통체(68)에 잔류된 물이 배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함체(70)는 강판재질로 사각 또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부에 상기 스팀발생기(60)의 덮개부(67)가 끼워지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스팀발생기(60)와 가스버너와 같은 가열수단(102)이 설치되며 스팀발생기(6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단열재(72)가 충진되어 된 것이다.
상기 저수통(80)은 내부에 수중펌프(88)와 부유구(82)가 설치된 통체로, 수중펌프(88)의 토출측에 급수관(64)이 연결되어 상기 체크밸브(66)와 연결되며, 저수량을 일정한 수위로 항상 자동제어하기 위해 부유구(82)가 부착된 볼탭밸브(84)를 설치하고, 저수통(8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급수구(87)와 배수구(86)가 형성되어 된 것이다.
즉, 상기 볼탭밸브(84)는 공지된 기술로 부유구(82)가 수위가 내려감과 동시에 내려가게 되면 일단에 설치된 급수구가 개방되어 급수동작이 이루어지며, 수위가 일정수위로 차오르면 부유구(82)가 떠오르면서 급수구가 차단되어 급수가 정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다수의 떡시루(10)에 떡분말을 적층시키고 덮개(14)를 덮고, 상기 저수통(80)의 수중펌프(88)를 가동하여 상기 스팀발생기(60)에 물을 공급한 후, 상기 가열수단(102)을 점화시켜 스팀발생기(60)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스팀발생기(60)에 공급된 물은 그 하부의 체크밸브(66)에 의해 역류가 방지된다.
상기 스팀발생기(60)의 내부온도가 100℃정도의 증발온도에 이르면 내부의 물이 증기가 되어 상승하게 되고, 이 발생된 증기는 덮개부(67)의 스팀배출공(63)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막음부재(50)를 통과해서 상기 연결관(40)에 공급된다.
상기 연결관(40)에 공급된 증기는 그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44)과 이에 연결된 상기 회전부재(30)의 스팀관(24)을 통해서 상기 회전판(20)의 스팀노즐(22)로 분출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노즐(22) 상부에 위치한 떡시루(10)에 스팀이 공급되어 그 내부의 떡분말을 증숙시켜 시루떡을 생산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떡제조기(A)는 필요한 적정 수요량만큼 시루떡을 생산할 수 있어 떡을 스낵화할 수 있으므로 사업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것이며, 작업자가 움직이지 않고도 한 위치에서 상기 회전판(20)을 돌려가면서 각 떡시루(10)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스팀의 낭비가 없어 연료소비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에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는 적은 수요에 알맞게 소형(1인분정도의 불량)으로 다수개의 시루떡을 생산가능하게 하여 재료의 낭비를 절감하도록 하고 상기 떡제조기가 소형이므로 떡을 스낵화할 수 있어 사업적 수익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한편 작업자의 뜨거운 떡시루 취급을 최대한 용이하도록 하여 시루떡 생산작업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연료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면 중앙부에 스팀배출공(12)이 형성된 상부덮개(14)가 통체의 상부 개구부에 덮어지며, 통체의 하부에 중앙부에 통공(18)이 형성된 찜판(15)이 설치된 떡시루(10);
    중앙부에 다수의 고정공(21)이 형성된 소정 크기의 원형판상으로써, 하부에 스팀관(24)이 연결된 스팀노즐(22)이 환상으로 다수개 배열 설치되어 된 소정 크기의 원형 판상의 회전판(20) ;
    하부가 개방된 원통체로써, 상면에 다수의 고정공(3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20)의 중앙부 하부측에 체결고정되며 측면에는 상기 스팀관(24)이 연결되도록 다수의 결합공(32)이 형성되고 그 내측 상부면 즉, 상기 상면의 저면에는 베어링(35)이 설치된 결합부(34)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측 개구부에 나사부(36)가 형성되어 된 원통형의 회전부재(30) ;
    하부가 개방된 원통체로써, 상단부에 끼움부(43)와 환턱(42)이 형성된 결합부(41)와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44)과 하부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46)가 구비된 원통형의 연결관(40) ;
    외주면에 나사부(51)가 형성된 결합환턱(52)이 돌출형성된 원형의 판상으로, 결합환턱(52)의 중앙부에 상기 연결관(40)이 끼워지는 관통공(54)이 형성되고, 일측에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56)과 이에 결합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밸브(58)를 포함하여 된 원형판상의 막음부재(50) ;
    하부 일측에 배수관(62)과, 중앙부에 급수관(64)이 연결된 체크밸브(66)가 설치된 통체(68)와, 외주면에 고정환턱(61)이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내측 상부에 나사부(65)를 갖는 스팀배출공(63)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통체(68)의 상부에 덮혀지는 덮개부(67)를 포함하여 된 스팀발생기(60);
    강판재질로 사각 또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부에 상기 스팀발생기(60)의 덮개부(67)가 끼워지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스팀발생기(60)와 가열수단(102)이 설치되며 스팀발생기(6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단열재(72)가 충진되어 된 함체(70) ;
    급수관(64)의 말단부에 체크밸브(66)가 연결된 급수관(54)이 토출측에 설치된 수중펌프(88)와, 저수량을 일정한 수위로 항상 자동제어하기 위해 부유구(82)가 부착된 볼탭밸브(84)와, 통체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급수구(87)와 배수구(86)가 포함되어 된 저수통(80)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KR2020010009107U 2001-03-31 2001-03-31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KR200235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107U KR200235724Y1 (ko) 2001-03-31 2001-03-31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107U KR200235724Y1 (ko) 2001-03-31 2001-03-31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724Y1 true KR200235724Y1 (ko) 2001-10-10

Family

ID=7308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107U KR200235724Y1 (ko) 2001-03-31 2001-03-31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72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73B1 (ko) * 2011-01-03 2011-09-08 뉴퓨리텍 주식회사 떡 제조장치
KR101227365B1 (ko) * 2010-12-06 2013-01-29 임철한 떡 찜 세트
KR101288527B1 (ko) 2011-07-01 2013-07-26 백성례 즉석떡 포장용기
KR101307930B1 (ko) * 2011-05-23 2013-09-12 뉴퓨리텍 주식회사 떡 제조장치
KR101332013B1 (ko) * 2011-02-09 2013-11-25 김강희 즉석떡 포장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365B1 (ko) * 2010-12-06 2013-01-29 임철한 떡 찜 세트
KR101063873B1 (ko) * 2011-01-03 2011-09-08 뉴퓨리텍 주식회사 떡 제조장치
WO2012093769A1 (ko) * 2011-01-03 2012-07-12 (주)뉴퓨리텍 떡 제조장치
KR101332013B1 (ko) * 2011-02-09 2013-11-25 김강희 즉석떡 포장용기
KR101307930B1 (ko) * 2011-05-23 2013-09-12 뉴퓨리텍 주식회사 떡 제조장치
KR101288527B1 (ko) 2011-07-01 2013-07-26 백성례 즉석떡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172B1 (ko) 전기밥솥
TWI439242B (zh) 一種具有快速卸壓功能的電壓力鍋
KR100390301B1 (ko)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WO2005102124A1 (fr) Bouilloire, bouilloire electrique et bouilloire electrique sans fil
KR200235724Y1 (ko) 다수의 소형떡시루를 갖는 떡제조기
KR101154010B1 (ko) 원적외선 밥솥장치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취사방법
CN111407145A (zh) 一种极速蒸锅
KR102028301B1 (ko) 밥 제조장치
CN105725773B (zh) 一种烧水设备
KR101204024B1 (ko) 스팀압력 조리기구
CN211833914U (zh) 烹饪器具
KR101754073B1 (ko) 자동 면 삶는 장치
CN211609168U (zh) 一种可持续翻滚的蒸汽烹饪器具
CN210204404U (zh) 一种蒸汽环绕的电饭煲
US6073541A (en) Stock making kettle
CN209136246U (zh) 一种锅体加热式烹调器
CN211609171U (zh) 一种蒸汽烹饪设备
CN217851205U (zh) 一种坚果蒸煮烘干一体机
JPH07298985A (ja) 二重茹麺槽及びそれを使用する茹麺機
CN216702332U (zh) 空气炸锅及其蒸炸两用的烤盘组件
KR200369449Y1 (ko) 빨래삶통 보조용기.
CN214414687U (zh) 改进的空气炸锅
CN217885789U (zh) 烹饪器具
CN109527980A (zh) 一种蒸烤组合机
CN220695204U (zh) 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