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711A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711A
KR20200133711A KR1020200158260A KR20200158260A KR20200133711A KR 20200133711 A KR20200133711 A KR 20200133711A KR 1020200158260 A KR1020200158260 A KR 1020200158260A KR 20200158260 A KR20200158260 A KR 20200158260A KR 20200133711 A KR20200133711 A KR 2020013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beverage
material receiving
receiving portion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341B1 (ko
Inventor
김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645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84419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34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711A/ko
Priority to KR1020210066314A priority patent/KR102571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42Cartridge magaz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재료가 담긴 캡슐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캡슐을 천공하는 천공부가 형성된 캡슐 컨테이너, 및 상기 캡슐과 캡슐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덮는 리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외면과 상기 캡슐 컨테이너의 내면에는, 상기 캡슐이 회전되면서 상기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공간에서 인출되게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음료 제조기{BEVERAGE MAKER}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제조를 위한 음료 재료가 담긴 캡슐로부터 상기 음료 재료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여 섭취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 등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켜 제조한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섭취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보다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액상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액상 맥아에 첨가되어 액상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크게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맥주와 같은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그 사용이 편리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1693호 (2014.03.13. 자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캡슐 내에 수용된 음료 재료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음료 제조기는 캡슐을 수용하는 캡슐 컨테이너의 내면과, 상기 캡슐의 외면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캡슐이 캡슐 컨테이너에 회전하면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가이드는 상기 캡슐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캡슐 컨테이너의 내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를 안내하는 나선형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캡슐에 형성되는 돌기는 캡슐 바디의 외둘레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캡슐 컨테이너의 내부에 형성되어 캡슐을 천공하는 천공부는 상기 캡슐 컨테이너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천공부는 상기 나선형 그루브가 형성되는 둘레벽과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천공부는 상기 캡슐 컨테이너의 하판과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재료가 수용된 캡슐이 캡슐 컨테이너에 회전하면서 천공부에 의해 천공되어 천공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캡슐이 보다 신뢰성 있게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캡슐의 측면에 형성되는 캡슐 바디에 돌기가 구비되어, 캡슐이 보다 안정감있게 회전하면서 캡슐 컨테이너에 삽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공부는 캡슐 컨테이너의 중심축과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캡슐의 회전에 의해 천공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캡슐에 형성되는 천공의 크기가 증가하므로, 캡슐 내의 음료 재료가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포함된 캡슐 컨테이너에 캡슐이 안착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캡슐 컨테이너에 캡슐이 안착되기 이전의 단면도 및 캡슐의 저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캡슐 컨테이너에 안착된 캡슐이 천공 중일 때의 단면도 및 캡슐의 저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디스펜서의 리드모듈이 캡슐 및 캡슐 컨테이너를 덮었을 때의 단면도 및 캡슐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지 않았을 때의 캡슐 천공상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캡슐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 및 사시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슐을 갖는 음료 제조기의 구성 및 외관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모듈(1)과, 발효모듈(1)과 메인유로(2)로 연결된 디스펜서(3)와, 디스펜서(3)와 급수유로(4)로 연결된 급수모듈(5)와, 발효모듈(1)에서 발효된 음료가 외부로 취출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한다.
발효모듈(1)은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11)를 포함한다.
발효조 어셈블리(11)는 상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112)와, 개구부(111)를 덮는 발효조 덮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에는 메인유로(2)와 연결되는 메인유로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효모듈(1)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음료 제조팩(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밀폐된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음료 제조기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는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될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음료는 음료 제조팩(12)으로 물과 재료가 투입되어 혼합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효조(112)는 제조된 음료가 포함된 음료 제조팩(12)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보관 용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음료의 일 예로서 맥주가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이, 음료 제조팩(12)과 디스펜서(3)를 모두 포함하지 않고, 별도의 음료 제조팩(12) 없이, 디스펜서(3)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디스펜서(3)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모든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된 모든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와 첨가제가 함께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주재료와 첨가제는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동시에 공급되거나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별도의 음료 제조팩(12)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음료 제조를 위한 일부 재료를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직접 투입하고, 음료 제조를 위한 나머지 재료는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주 재료를 발효조 어셈블리(11)로 직접 투입하고, 디스펜서(3)에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내에 기투입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음료 제조팩(12) 내로 투입된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되어 음료 취출기(6)로 취출될 수 있다.
발효모듈(1)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와 증발기 중 어느 하나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가열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응축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라인 히터(Line Heater)로 구성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길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유로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유로 및 압축기(131)의 토출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3)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펜서(3)는 급수히터(53)와 급수유로(4)로 연결되고 발효조 어셈블리(11)와 메인유로(2)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디스펜서(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는 디스펜서(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이러한 캡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컨테이너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될 경우, 디스펜서(3)는 캡슐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캡슐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캡슐을 의미한다.
디스펜서(3)에는 메인유로(2)와 급수유로(4)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급수유로(4)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캡슐 컨테이너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캡슐 컨테이너 각각은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재료 수용부와 디스펜서(3)의 캡슐 컨테이너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캡슐이 디스펜서(3)에 삽입되는 경우, 캡슐 컨테이너로 칭할 수 있으며, 재료가 캡슐에 담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펜서(3)에 직접 수용될 경우 재료 수용부로 칭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와 캡 슐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3)에 캡슐 컨테이너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3)는 첨가제가 수용된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컨테이너가 형성되고,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입구유로에는 디스펜서 입구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 출구유로에는 메인유로(2)의 유체가 캡슐 컨테이너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복수개의 캡슐 컨테이너(31)(32)(33)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캡슐 컨테이너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컨테이너(31)(32)(33)는 그 각각의 디스펜서 입구유로 및 그 각각의 디스펜서 출구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컨테이너(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컨테이너(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컨테이너(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캡슐 컨테이너(31)에는 제1캡슐 컨테이너(31)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캡슐 컨테이너(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에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3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에는 제1캡슐 컨테이너(31)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1캡슐 컨테이너(31)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1캡슐 컨테이너(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2캡슐 컨테이너(32)에는 제2캡슐 컨테이너(32)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디스펜서 입구유로(321)가 연결될 수 있고, 제2캡슐 컨테이너(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에는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3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에는 제2캡슐 컨테이너(32)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2캡슐 컨테이너(32)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2캡슐 컨테이너(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3캡슐 컨테이너(33)에는 제3캡슐 컨테이너(33)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3디스펜서 입구유로(331)가 연결될 수 있고, 제3캡슐 컨테이너(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에는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를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에는 제3캡슐 컨테이너(33)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3캡슐 컨테이너(33)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3체크밸브(33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3캡슐 컨테이너(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유로(4)에서 급수된 물이 캡슐 컨테이너(31)(32)(33)를 바이패스하여 메인유로(2)로 공급될 수 있는 바이패스 유로(34)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는 급수유로(4) 및 메인유로(2)와 연결되고 급수유로(4)의 물 또는 공기는 캡슐 컨테이너(31)(32)(33)를 바이패스하여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바이패스 유로(34)에 안내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는 제1캡슐 컨테이너(31)의 유로와, 제2캡슐 컨테이너(32)의 유로와, 제3캡슐 컨테이너(33)의 유로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에는 바이패스 유로(34)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연결된 공통관과,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 유로(34) 및 공통관에 연결된 합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연결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중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된 메인유로 연결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4)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4)는 급수모듈(5)에 연결된 공통관과, 공통관에서 분지되고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된 다수의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모듈(5)는 물이 담겨지는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와;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에는 수조 출수유로(54)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펌프(52)는 수조 출수유로(5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히터(53)은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급수히터(53)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7: Thermistor)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유로(54), 급수펌프(52), 급수펌프 출수유로(55)를 통해 급수히터(53)로 안내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안내된 물은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된 후 급수유로(4)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고 메인유로(2)의 음료가 안내되는 음료 취출유로(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음료 취출유로(61)에 연결된 음료 취출밸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유로(61)에는 거품차단부(63, Anti-Foaming path)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음료 취출유로(61)로 유동된 음료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거품차단부(63)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취출밸브(6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와,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Micro Switch)를 갖는 탭 밸브(Tap Valve)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음료 제조기는 메인유로(2)를 개폐하는 메인밸브(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메인유로(2) 중 메인유로(2)와 음료 취출유로(61)의 연결부(91)과 메인유로(2)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연결부(9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제조팩(12)으로 온수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메인유로(2)를 폐쇄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제조팩(12)에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첨가제를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음료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음료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음료 제조기의 저면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발효조 어셈블리(11), 압축기(131), 급수히터(53), 급수펌프(52), 수조(51)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2)와 증발기(134)를 함께 둘러싸는 단열벽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은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폴리스티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단열벽의 둘레면와, 단열벽의 상면을 둘러싸는 단열벽 커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는 하나의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커버의 결합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열벽 커버(104)는 하부가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는 단열벽을 보호할 수 있고, 음료 제조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는 단열벽의 둘레면 전체를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고, 단열벽의 둘레면 일부만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단열벽 커버(104)는 수조(51)를 마주보는 면에 사이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의 연장튜브는 사이드 개구부를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조(51)는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는 베이스(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와 베이스(100)의 사이에는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51)는 단열벽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수조(51)를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수조 서포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고, 수조(51)를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하단이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고, 그 상부에 수조(51)가 올려질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발효조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와 수조(51)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 및 수조(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발효조 모듈(1)과 급수모듈(5) 각각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발효조 모듈(1)과 급수모듈(5)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펜서(3)는 측면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음료 제조기의 컴팩트화를 가능하게 한다.
디스펜서(3)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캡슐(7)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컨테이너가 형성된 캡슐 수용바디(36; 도 3 참조)와, 캡슐 컨테이너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는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음료 제조기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펜서(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캡슐(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은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과 수조(51)의 사이이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와 베이스(100)의 사이인 공간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다수의 부품이 이러한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음료 제조기는 컴팩트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에 수용된 다수의 부품은 단열벽과 수조(51), 베이스(100)와 디스펜서(3), 및 센터 커버(66)와 리어 커버(107)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에 설치되어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13)(323)(333)는 캡슐 수용바디(36)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센터 커버(66)는 단열벽 커버(104)와 수조 서포터(106)와 일체의 프론트 커버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론트 커버와 리어 커버(107)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음료 제조기의 전면 외관과 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캡슐(7)은 도 2에 도시된 캡슐(C1)(C2)(C3)을 의미할 수 있다.
캡슐(7)은 캡슐 바디(71),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바디(71),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는 캡슐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가 변질되지 않도록 외부와 밀폐시키거나, 상기 음료 재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캡슐 바디(71)는 캡슐(7)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캡슐(7)의 측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캡슐 바디(71)는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구현되어, 소정 충격에도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캡슐 바디(71)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캡슐 바디(71)는 어퍼 커버(72)가 접합되는 상부 접합부, 상부 접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캡슐(7)의 측면을 형성하는 바디부, 및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캡슐(7)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로어 커버(73)가 접합되는 하부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접합부 및 하부 접합부는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가 효과적으로 접합되기 위해, 가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캡슐을 캡슐 컨테이너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상부 접합부의 외경은 바디부의 상단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캡슐(7)의 적재 공간을 최소화하고, 제조시 로어 커버(73)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하부 접합부의 외경은 바디부의 하단 외경과 같게 형성되고, 하부 접합부의 내경(또는 개구부의 직경)은 바디부의 하단 내경 또는 최소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 및 내경의 폭이 좁아지는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슐(7)은 로어 커버(73)를 구비하여 캡슐(7)의 하부가 보다 용이하게 천공(절개)되므로, 캡슐 내부의 음료 재료가 보다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는 디스펜서(3)의 어퍼 천공부 및 로어 천공부에 의해 천공되기 용이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는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이나 PE 필름(polyethylene film)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의 강도는 캡슐 바디(71)의 강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는 천공부에 의해 천공될 때, 천공부와 접촉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인접한 부분까지 절개될 수도 있다. 또한, 절개된 어퍼 커버(72)를 통해 물이 유입될 때, 입수압에 의해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의 절개 면적이 보다 넓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캡슐(7)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물 또는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고, 캡슐(7)의 하부를 통해 음료 재료가 보다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캡슐(7)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캡슐(7)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는 액상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가 절개되면, 음료 재료 또는 음료 재료와 물의 혼합물은 캡슐(7)의 하부를 통해 디스펜서 추출유로(312, 322, 332)로 추출될 수 있다.
캡슐(7)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는, 로어 커버(73)의 절개 면적이 넓을수록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7)의 외면, 구체적으로는 캡슐 바디(71)의 외측면과, 캡슐(7)이 수용되는 이너 수용바디의 내면에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로 인해, 로어 커버(73)의 절개 시 천공의 크기가 증가하여 캡슐(7) 내부의 음료 재료가 원활하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와 관련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는 추후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포함된 캡슐 컨테이너에 캡슐이 안착되기 이전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펜서(3)는 캡슐(C1)(C2)(C3)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컨테이너(31)(32)(33)가 형성된 캡슐 수용바디(36), 및 캡슐 컨테이너(31)(32)(33)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바디(36)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된 캡슐(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컨테이너(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캡슐 컨테이너(31)(32)(33)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캡슐 컨테이너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 캡슐 컨테이너(31)(32)(33)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컨테이너(31)(32)(33)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좌우 방향으로 슬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펜서(3)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 캡슐 컨테이너(31)(32)(33)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리드(38)를 록킹하기 위한 록커(37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리드 모듈(37) 특히, 리드(38)에 록커(372)가 록킹되는 록킹부가 형성될 수 있다.
리드(38)가 닫히는 경우, 록커(372)는 리드(38)가 임의로 회동하여 캡슐 컨테이너(31)(32)(33)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리드(38)를 록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록킹 해제부(371)를 누르는 경우, 리드(38)는 록킹이 해제되어 상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 및 리드(38)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 해제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는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드(38)는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 중 적어도 하나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록킹 해제부(371)를 누르는 경우, 리드(38)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다. 록킹이 해제됨에 따라, 캡슐 수용바디(36)와 힌지 연결된 리드(38)는 캡슐 수용바디(36)의 상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리드가 상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캡슐 수용바디(36)에 구비된 캡슐 컨테이너(31)(32)(33)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컨테이너(31)(32)(33)는 리드 모듈(37)에 의해 함께 개방되거나 함께 폐쇄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컨테이너(31)(32)(33)의 면적 합은 리드 모듈(37)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복수개의 캡슐 컨테이너(31)(31)(32)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38A)(38B) 연결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과 캡슐 수용바디(36) 중 어느 하나에는 힌지축(38A)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38A)은 리드 모듈(37)과 캡슐 수용바디(36) 중 어느 하나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과 캡슐 수용바디(36) 중 다른 하나에는 힌지축(3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 연결부(38B)가 형성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힌지축(38A)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복수개 캡슐 컨테이너(31)(32)(33)의 면적 합 보다 크게 형성되고, 힌지축(38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복수개 캡슐 컨테이너(31)(32)(33)를 모두 개방하거나 모두 폐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힌지축(38A)은 힌지축(38A)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리드 모듈(37)의 상측 회동을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드 모듈(37)은 캡슐 컨테이너(31)(32)(33)를 덮을 때, 캡슐(C1)(C2)(C3) 및 캡슐 컨테이너(31)(32)(33)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3)는 각각의 캡슐 컨테이너 별로 각각의 리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펜서(3)는 하나의 캡슐 컨테이너를 하나의 리드 모듈이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3개의 캡슐 컨테이너가 형성되면, 캡슐 수용바디(36)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3개의 리드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캡슐 수용바디(36)에 복수개의 리드 모듈이 설치되면, 디스펜서(3)의 부품수는 많고 복수개 캡슐의 장착, 분리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리드 모듈(37)이 복수개의 캡슐 컨테이너(31)(32)(33) 모두를 개폐할 경우,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고, 그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자는 디스펜서(3)를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드 모듈(37)을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복수개의 캡슐 컨테이너(31)(32)(33) 모두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드 모듈(37)을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복수개의 캡슐 컨테이너(31)(32)(33) 모두를 한꺼번에 덮을 수 있다.
캡슐(C1)(C2)(C3)이 안착된 후 사용자가 리드(38)를 닫는 경우, 로어 리드(39)에 구비된 어퍼 천공부(441)(451)(461)에 의해 캡슐(C1)(C2)(C3)의 어퍼 커버(72)가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캡슐 컨테이너(31)(32)(33)에 포함된 로어 천공부(31A; 도 4 참조)에 의해 캡슐(C1)(C2)(C3)의 로어 커버(73)가 천공될 수 있다.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가 천공됨에 따라, 캡슐(C1)(C2)(C3) 내부의 음료 재료가 추출될 수 있다. 한편, 어퍼 천공부(441)(451)(461)는 리드(38)를 닫을 때 캡슐(C1)(C2)(C3)을 아래로 가압하는 가압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슐 컨테이너(31)(32)(33) 및 캡슐(C1)(C2)(C3)은, 로어 커버(73)의 천공 시 형성되는 홀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가이드를 가짐으로써, 캡슐(C1)(C2)(C3) 내부의 음료 재료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6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 컨테이너의 단면도이고, 도 5와 도 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들에서는 복수의 캡슐 컨테이너(31)(32)(33) 중 제1 캡슐 컨테이너(31)에 대한 실시 예들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캡슐 컨테이너(31)에 대한 실시 예들은 제2 캡슐 컨테이너(32) 및 제3 캡슐 컨테이너(33)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캡슐 컨테이너(31)는 내부에 음료 재료가 담겨진 캡슐(7)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캡슐 컨테이너(31)는 캡슐(7)이 안착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에 형성되고 내부에 캡슐(7)이 수용되기 위한 둘레벽(317)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컨테이너(31)는 캡슐(7)의 하부에 구멍을 형성하는 로어 천공부(31A)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천공부(31A)는 캡슐 컨테이너(31)의 하판에서 캡슐 컨테이너(31)의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컨테이너(31)에는 복수의 로어 천공부(31A)가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캡슐(7)은 그 장착시 캡슐 컨테이너(31)의 상측 위치에서 캡슐 컨테이너(31)의 내부로 삽입(또는 캡슐 컨테이너(31)의 하판에 안착)될 수 있다. 캡슐(7)의 로어 커버(73)는 캡슐 컨테이너(31)에 구비된 로어 천공부(31A)와 접촉되어 천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캡슐(7)의 로어 커버(73)에는 물과 음료 재료가 함께 유출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캡슐 컨테이너(31)의 하판에는 내부에 물과 음료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추출유로가 형성된 로어 가이드(312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가이드(312A)에는 밸브(314)가 연결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312A)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캡슐 컨테이너(31) 및 캡슐(7)에는, 캡슐(7)이 회전되면서 캡슐 컨테이너(31)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공간에서 인출되게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의 일 예로서, 캡슐 컨테이너(31)의 내면에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그루브(317A)가 형성되고, 캡슐(7)의 외면에는 돌기(71A)가 형성될 수 있다. 캡슐(7)에 형성되는 돌기(71A)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나선형 그루브(317A)는 둘레벽(317) 내면에 형성될 수 있고, 돌기(71A)는 캡슐 바디(71)의 외둘레면에 적어도 하나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캡슐(7)이 캡슐 컨테이너(31)에 삽입될 때, 나선형 그루브(317A)는 돌기(71A)를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7)은 캡슐 컨테이너(31)에 삽입시 가이드에 의해 회전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캡슐 컨테이너(31)의 내면에는 돌기(317B)가 형성되고, 캡슐(7)의 외면에는 나선형 그루브(71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돌기(317B)가 둘레벽(317) 내면에 적어도 하나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나선형 그루브(71B)가 캡슐 바디(71)의 외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캡슐(7)의 삽입 시 나선형 그루브(71B)는 돌기(317B)를 따라 안내되고, 캡슐(7)은 캡슐 컨테이너(31)에 회전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캡슐(7)에 나선형 그루브(71B)가 형성되는 경우, 캡슐 바디(71)의 두께가 증가하게 될 수 있고, 제조 난이도와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캡슐(7)에 돌기(71A)가 형성되고, 캡슐 컨테이너(31)에 나선형 그루브(317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로어 천공부(31A)는 캡슐 컨테이너(31)의 중심축(또는 캡슐(7)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어 천공부(31A)는 캡슐(7)의 삽입 시 로어 커버(73)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을 절개할 수 있다. 그 결과, 로어 커버(73)의 절개 면적은 캡슐(7)이 회전함에 따라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로어 천공부(31A)는 둘레벽(317)과는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로어 커버(73)의 천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로어 천공부(31A)는 캡슐 컨테이너(31)의 하판과 경사각을 갖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천공부(31A)가 비스듬하게 형성됨에 따라, 회전하면서 삽입되는 캡슐(7)의 로어 커버(73)가 보다 용이하게 천공될 수 있다.
캡슐(7)이 캡슐 컨테이너(31)로 삽입되어 천공되는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도 8 내지 도 1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캡슐 컨테이너에 캡슐이 안착되기 이전의 단면도 및 캡슐의 저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캡슐 컨테이너에 안착된 캡슐이 천공 중일 때의 단면도 및 캡슐의 저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디스펜서의 리드모듈이 캡슐 및 캡슐 컨테이너를 덮었을 때의 단면도 및 캡슐의 저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지 않았을 때의 캡슐 천공상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캡슐의 저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캡슐 컨테이너(31) 및 캡슐(C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캡슐 컨테이너(31) 및 캡슐(7)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도 8 내지 도 14의 실시 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캡슐 컨테이너(31) 및 캡슐(7)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바디(36)에 포함된 구성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캡슐 컨테이너(31)의 외둘레 및 하부를 보호하는 하우징(36A)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컨테이너(31)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6A)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36A)은 캡슐 컨테이너(3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 수용바디(362A)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수용바디(362A)에는 로어 가이드(312A)가 관통되는 관통부(363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363A)는 아우터 수용바디(362A)의 내측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어 가이드(312A) 및 캡슐 컨테이너(31)가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어 가이드(312A)를 통해 음료 재료와 물이 디스펜서 출구유로(312)로 유출되고, 하우징(36A) 내부로는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36A)의 청결이 유지될 수 있다.
하우징(36A)의 하부와 캡슐 컨테이너(31) 사이에는 탄성 부재(316)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316)는 캡슐 컨테이너(31)를 하우징(36A)으로부터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316)는 로어 가이드(312A)의 일부 외둘레 및 관통부(363A)의 외둘레를 감싸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현됨으로써, 로어 가이드(312A) 및 관통부(363A)에 의해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캡슐 컨테이너(31)가 개방되는 경우, 탄성 부재(316)는 인장되어 캡슐 컨테이너(3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 컨테이너(31)는 하우징(36A)의 상부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캡슐 컨테이너(31)의 하부에는 로어 가이드(312A)의 외둘레 일부 및 탄성 부재(316)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안착부(31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부(318)와 로어 가이드(312A)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316)가 수용되는 탄성부재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수용 공간의 형성으로 인해, 탄성 부재(316)가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안착부(318)는 리드(38)가 닫혀 캡슐 컨테이너(31)가 폐쇄되는 경우, 아우터 수용바디(362A)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 컨테이너(31)는 하우징(36A)에 안착될 수 있다.
하우징(36A)의 하부에는 캡슐 컨테이너(31)의 상승 정도를 한정하는 스토퍼(315)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315)는, 캡슐 컨테이너(31)의 상승 시 하우징(36A)의 저면에 걸릴 수 있고, 캡슐 컨테이너(31)의 하강 시 하우징(36A)의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스토퍼(315)가 하우징(36A)의 저면에 걸림에 따라, 캡슐 컨테이너(31)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스토퍼(315)는 캡슐 컨테이너(31)의 상승 높이를 소정 높이 이내로 제한함으로써, 캡슐 컨테이너(31)의 과다 상승에 따른 고장이나 이탈에 따른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315)는 상술한 밸브(314)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밸브(314)가 상기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캡슐(7)이 캡슐 컨테이너(31)에 안착되기 이전에는 로어 커버(73)가 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7)의 로어 커버(73)에는 홀이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캡슐(C1)이 캡슐 컨테이너(31)에 안착된 후, 사용자는 리드모듈(37)을 회전시켜 리드모듈(37)로 캡슐 컨테이너(31) 및 캡슐(C1)을 덮을 수 있다.
리드모듈(37)이 캡슐 컨테이너(31) 및 캡슐(C1)을 덮기 시작하면, 리드모듈(37)에 형성된 가압부는 캡슐(C1)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캡슐(C1)은 캡슐 컨테이너(31)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캡슐 컨테이너(31)와 함께 하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캡슐 컨테이너(31)의 하강시, 탄성부재(316)는 캡슐 컨테이너(31)에 의해 압축되면서 캡슐 컨테이너(31)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캡슐(C1)의 하강시, 캡슐(C1)은 리드모듈(37)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캡슐(C1)의 천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캡슐 컨테이너(31)의 하강시, 로어 가이드(312A), 밸브(314), 및 스토퍼(315) 각각은 하강할 수 있다. 캡슐 컨테이너(31)의 안착부(318)가 아우터 수용바디(362A)의 저면과 접촉되면, 캡슐 컨테이너(31)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안착부(318)에 의해 캡슐 컨테이너(31)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면, 캡슐(C1)의 어퍼 커버(72)로 가해지는 외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C1)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71A)는 캡슐 컨테이너(31)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 그루브(317A)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돌기(71A)가 나선형 그루브(317A)를 따라 안내되므로, 캡슐(C1)은 회전하면서 캡슐 컨테이너(3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캡슐(C1)이 회전하면서 캡슐 컨테이너(31)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로어 커버(73)는 로어 천공부(31A)에 의해 절개되기 시작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C1)이 회전하면서 삽입되므로, 로어 커버(73)의 천공(731)은 동심원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리드모듈(37)이 캡슐 컨테이너(31) 및 캡슐(C1)을 덮었을 때,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의 록커(372)에 록킹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부재(316)의 탄성 복원력이 캡슐 컨테이너(31) 및 캡슐(C1)을 통해 작용되더라도, 리드 모듈(37)이 록커(372)에 록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리드모듈(37)의 임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리드모듈(37)이 닫힌 후, 음료 제조기는 급수유로(4)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공급된 물은 리드모듈(37)의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급수 바디(41)를 거쳐 이너 급수유로(422)로 안내될 수 있다. 이너 급수유로(422)로 안내된 물은 어퍼 커버(72)가 천공됨에 따라 형성된 구멍을 통해 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캡슐(C1)로 유입된 물은 캡슐(C1) 내부의 음료 재료와 혼합되고, 혼합된 물과 음료 재료는 로어 커버(73)에 형성된 천공을 통해 로어 가이드(312A) 및 디스펜서 출구유로(312)로 유출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리드모듈(37)이 캡슐 컨테이너(31) 및 캡슐(C1)을 완전히 덮게 되면, 캡슐(C1)은 도 10에 비해 더욱 회전하면서 삽입되므로, 캡슐(C1)의 로어 커버(73)에 형성되는 천공(732)의 크기는 도 10에 비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캡슐(C1)이 회전하지 않고 삽입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커버(73)에 형성되는 천공(733)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천공의 크기가 작은 경우, 캡슐(C1)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가 원활하게 추출되지 못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캡슐 컨테이너(31) 및 캡슐(C1)에 형성된 가이드(317A, 71A)에 의해 캡슐(C1)이 회전하면서 캡슐 컨테이너(31)로 삽입되므로, 로어 천공부(31A)에 의해 형성되는 천공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천공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캡슐(C1)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가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되므로, 제조되는 음료의 맛이나 향과 같은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메인유로(2), 급수유로(4), 음료 취출유로(61), 가스 취출유로(71), 에어 주입유로(81), 에어 공급유로(154) 등의 유로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호스나 튜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호스나 복수개의 튜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조절밸브 등의 타 구성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2개의 호스나 튜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음료 제조팩;
    음료 재료가 내장된 캡슐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재료 수용부;
    상기 재료 수용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캡슐이 장착되면, 상기 재료 수용부를 덮는 커버모듈;
    상기 재료 수용부와 상기 음료 제조팩을 연결하는 출구유로;
    상기 커버모듈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모듈이 상기 재료 수용부를 덮는 경우, 상기 캡슐의 상면을 가압하는 어퍼천공부; 및
    상기 재료 수용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모듈이 상기 재료 수용부를 덮는 경우, 상기 캡슐의 하면을 가압하는 로어천공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재료 수용부의 외둘레를 감싸는,
    음료 제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모듈이 상기 재료 수용부를 덮는 경우, 상기 재료 수용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모듈이 상기 재료 수용부를 덮는 경우, 상기 재료 수용부가 하강함에 따라 탄성부재가 압착되는, 음료 제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부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캡슐 하면이 상기 로어천공부에 의해 절개되는, 음료 제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에는 분말형태를 음료 재료가 수용되고,
    상기 커버모듈이 상기 재료 수용부를 덮는 경우, 상기 음료 재료가 상기 캡슐의 하부를 통해 상기 출구유로로 추출되는,
    음료 제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부는
    하부에 상기 음료 재료가 안내되는 유로인 로어 가이드가 형성된,
    음료 제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모듈이 상기 재료 수용부를 덮는 경우, 상기 재료 수용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로어 가이드의 일부 외둘레를 감싸는,
    음료 제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천공부는 상기 재료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유로는 상기 복수의 돌기들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는 음료 제조기.
  10. 내부 공간을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음료 제조팩;
    음료제조용 첨가제가 내장된 캡슐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재료 수용부;
    상기 캡슐이 장착되면, 상기 재료 수용부를 덮는 커버모듈;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 의해 유체가 유동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커버모듈을 연결하는 입구유로;
    상기 재료 수용부와 상기 음료 제조팩을 연결하는 출구유로; 및
    상기 출구유로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커버모듈이 상기 재료 수용부를 덮으면 상기 캡슐을 절개하는 천공부를 포함하는,
    음료제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에는 상기 급수유로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가 배치되는, 음료 제조 장치.
KR1020200158260A 2017-05-25 2020-11-23 음료 제조기 KR102259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260A KR102259341B1 (ko) 2017-05-25 2020-11-23 음료 제조기
KR1020210066314A KR102571262B1 (ko) 2020-11-23 2021-05-24 음료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32A KR102184419B1 (ko) 2017-05-25 2017-05-25 음료 제조기
KR1020200158260A KR102259341B1 (ko) 2017-05-25 2020-11-23 음료 제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532A Division KR102184419B1 (ko) 2017-05-25 2017-05-25 음료 제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314A Division KR102571262B1 (ko) 2020-11-23 2021-05-24 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711A true KR20200133711A (ko) 2020-11-30
KR102259341B1 KR102259341B1 (ko) 2021-06-01

Family

ID=7364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260A KR102259341B1 (ko) 2017-05-25 2020-11-23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3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8938A (en) * 1984-04-30 1987-11-24 Hickinbotham Winemakers Pty. Ltd. Alcoholic fermentation
CN201019539Y (zh) * 2007-01-10 2008-02-13 王冬雷 一种酿造咖啡胶囊的咖啡机
KR20120117392A (ko) *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다인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40031693A (ko) 2012-09-05 2014-03-13 코웨이 주식회사 커피캡슐 장착구
KR20150092025A (ko) * 2015-03-19 2015-08-12 주식회사 나조산업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KR20160031648A (ko) * 2014-09-12 2016-03-23 코웨이 주식회사 커피 추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8938A (en) * 1984-04-30 1987-11-24 Hickinbotham Winemakers Pty. Ltd. Alcoholic fermentation
CN201019539Y (zh) * 2007-01-10 2008-02-13 王冬雷 一种酿造咖啡胶囊的咖啡机
KR20120117392A (ko) *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다인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40031693A (ko) 2012-09-05 2014-03-13 코웨이 주식회사 커피캡슐 장착구
KR20160031648A (ko) * 2014-09-12 2016-03-23 코웨이 주식회사 커피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50092025A (ko) * 2015-03-19 2015-08-12 주식회사 나조산업 캡슐 원두커피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341B1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748B1 (ko) 음료 제조기
KR102219783B1 (ko) 음료 제조장치 및 음료 제조장치의 음료 취출방법
KR102282446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3690B1 (ko) 음료 제조팩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380876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28B1 (ko) 재료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5580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4419B1 (ko) 음료 제조기
KR102521998B1 (ko) 음료 제조기
KR102259341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1262B1 (ko) 음료 제조기
KR102223917B1 (ko) 음료 제조팩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KR102180141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5677B1 (ko) 음료재료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463325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7330B1 (ko) 음료 제조기
KR102200598B1 (ko) 음료 제조기
KR102528396B1 (ko) 음료 제조기
KR102457236B1 (ko) 음료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481834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33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19B1 (ko) 음료 제조기
KR20180102451A (ko)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KR102223915B1 (ko) 음료 제조기
KR102247827B1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