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451A -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451A
KR20180102451A KR1020170029105A KR20170029105A KR20180102451A KR 20180102451 A KR20180102451 A KR 20180102451A KR 1020170029105 A KR1020170029105 A KR 1020170029105A KR 20170029105 A KR20170029105 A KR 20170029105A KR 20180102451 A KR20180102451 A KR 20180102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beverage
dispenser
cov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김희연
홍진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2451A/ko
Publication of KR2018010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의 제조를 위한 음료 재료가 수용되는 음료 재료 캡슐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캡슐 바디, 상기 캡슐 바디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공간을 덮는 어퍼 커버, 및 상기 캡슐 바디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개구부를 막는 로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바디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바디부, 및 상기 제1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폭이 일정한 제2바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BEVERAGE INGREDIENT CAPSULE AND BEVERAGE MAKER HAVING SAME}
본 발명은 음료 재료 캡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제조를 위한 음료 재료가 수용된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여 섭취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 등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켜 제조한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섭취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보다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액상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액상 맥아에 첨가되어 액상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크게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맥주와 같은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그 사용이 편리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료 제조기로 투입되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재료 캡슐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가 보다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는 음료 재료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음료 재료 캡슐의 제조시 캡슐 외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 재료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제조된 캡슐의 유통 또는 보관시 적재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음료 재료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음료 재료 캡슐은 내부에 음료 재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캡슐 바디, 상기 캡슐 바디의 상부를 덮는 어퍼 커버, 및 상기 캡슐 바디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개구부를 막는 로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로어 커버의 절개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음료 재료가 보다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캡슐 바디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폭이 일정한 제2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재료 캡슐의 제조시 로어 커버의 외곽 부분을 컷팅할 때, 캡슐 바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캡슐 바디는 상기 제2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부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상기 제2바디부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재료 캡슐의 제조시 로어 커버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제조된 캡슐의 적재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부의 높이는 상기 제2바디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음료 재료 캡슐을 캡슐 수용부에 삽입할 때 캡슐이 보다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의 면적은 상기 어퍼 커버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의 강도는 상기 캡슐 바디의 강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하부 접합부의 외경은 상기 캡슐 바디의 하단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재료 캡슐의 제조시 캡슐 바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접합부는 개구부가 다수 형성된 다공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부 접합부에 접합된 로어 커버의 절개 또는 제거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음료 재료가 원활히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을 갖는 음료 제조기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슐 수용부에 캡슐 천공부재가 제공된 캡슐 수용바디, 상기 캡슐 수용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 재료 캡슐, 및 상기 캡슐 수용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니들이 제공된 리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재료 캡슐은 캡슐 바디 보다 강도가 작은 로어 커버가 캡슐 바디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고, 음료 재료 캡슐이 음료 제조기의 캡슐 수용부에 삽입되었을 때 캡슐 수용부의 천공부재가 로어 커버를 쉽게 절개될 수 있어, 재료 추출의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제2바디부의 폭이 일정하여, 로어 커버의 외곽 커팅시, 캡슐 바디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로어 커버가 어퍼 커버 보다 작아 재료비를 최소화할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 접합부 및 로어 커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음료 재료 캡슐의 크기를 최소화할 있고, 음료 재료 캡슐의 유통 또는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음료 재료 캡슐이 안착되기 이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음료 재료 캡슐이 안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안착된 음료 재료 캡슐이 천공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 및 사시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을 갖는 음료 제조기의 구성 및 외관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모듈(1)과, 발효모듈(1)과 메인유로(2)로 연결된 디스펜서(3)와, 디스펜서(3)와 급수유로(4)로 연결된 급수모듈(5)와, 발효모듈(1)에서 발효된 음료가 외부로 취출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한다.
발효모듈(1)은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 어셈블리(11)를 포함한다.
발효조 어셈블리(11)는 상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112)와, 개구부(111)를 덮는 발효조 덮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발효조(112)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에는 메인유로(2)와 연결되는 메인유로 연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효모듈(1)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음료 제조팩(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의 개구부(111)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조 덮개(114)는 음료 제조팩(12)이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의 개구부(111)를 덮을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발효조(112)와 발효조 덮개(114)에 의해 밀폐된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은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음료 제조기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는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될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음료는 음료 제조팩(12)으로 물과 재료가 투입되어 혼합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효조(112)는 제조된 음료가 포함된 음료 제조팩(12)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보관 용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음료의 일 예로서 맥주가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음료 제조팩(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이, 음료 제조팩(12)과 디스펜서(3)를 모두 포함하지 않고, 별도의 음료 제조팩(12) 없이, 디스펜서(3)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디스펜서(3)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모든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된 모든 재료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주재료와 첨가제가 함께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 수용된 주재료와 첨가제는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동시에 공급되거나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별도의 음료 제조팩(12)를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가 음료 제조를 위한 일부 재료를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직접 투입하고, 음료 제조를 위한 나머지 재료는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주 재료를 발효조 어셈블리(11)로 직접 투입하고, 디스펜서(3)에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조 어셈블리(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내에 기투입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디스펜서(3)와 음료 제조팩(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음료 제조팩(12) 내로 투입된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유로 연결부(115)를 통해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되어 음료 취출기(6)로 취출될 수 있다.
발효모듈(1)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고, 응축기와 증발기 중 어느 하나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가열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응축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34)가 발효조(112)에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긴 증발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라인 히터(Line Heater)로 구성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길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유로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유로 및 압축기(131)의 토출유로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유로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3)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펜서(3)는 급수히터(53)와 급수유로(4)로 연결되고 발효조 어셈블리(11)와 메인유로(2)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디스펜서(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는 디스펜서(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디스펜서(3)에는 이러한 캡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될 경우, 디스펜서(3)는 캡슐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디스펜서(3)는 캡슐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음료 재료 캡슐을 의미한다.
디스펜서(3)에는 메인유로(2)와 급수유로(4)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급수유로(4)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메인유로(2)로 유동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3)에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 각각은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의 재료 수용부와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재료가 캡슐에 수용된 상태에서 캡슐이 디스펜서(3)에 삽입되는 경우, 캡슐 수용부로 칭할 수 있으며, 재료가 캡슐에 담겨지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펜서(3)에 직접 수용될 경우 재료 수용부로 칭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와 캡 슐 수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펜서(3)에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3)는 첨가제가 수용된 캡슐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고,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고,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입구유로에는 디스펜서 입구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 출구유로에는 메인유로(2)의 유체가 캡슐 수용부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는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그 각각의 디스펜서 입구유로 및 그 각각의 디스펜서 출구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캡슐 수용부(31)에는 제1캡슐 수용부(31)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가 연결될 수 있고,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에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3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1캡슐 수용부(31)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1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1캡슐 수용부(31)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1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2캡슐 수용부(3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디스펜서 입구유로(321)가 연결될 수 있고,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에는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3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에는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2캡슐 수용부(32)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2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2캡슐 수용부(32)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2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제3캡슐 수용부(33)에는 제3캡슐 수용부(33)로 물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3디스펜서 입구유로(331)가 연결될 수 있고,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가 안내되는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에는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를 개폐하는 제3개폐밸브(3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에는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체가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하면서 메인유로(2)의 유체가 제3캡슐 수용부(33)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 제3체크밸브(33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제3캡슐 수용부(33)에서 유출된 물, 물과 제3첨가물의 혼합물, 공기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유로(4)에서 급수된 물이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메인유로(2)로 공급될 수 있는 바이패스 유로(34)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는 급수유로(4) 및 메인유로(2)와 연결되고 급수유로(4)의 물 또는 공기는 캡슐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메인유로(2)로 유동되게 바이패스 유로(34)에 안내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는 제1캡슐 수용부(31)의 유로와, 제2캡슐 수용부(32)의 유로와, 제3캡슐 수용부(33)의 유로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34)에는 바이패스 유로(34)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연결된 공통관과,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와,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와,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 및 바이패스 유로(34) 및 공통관에 연결된 합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어셈블리(11)에 연결될 수 있고, 발효조 어셈블리(11) 중 발효조 덮개(114)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유로(2)는 발효조 덮개(114)에 구비된 메인유로 연결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4)는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4)는 급수모듈(5)에 연결된 공통관과, 공통관에서 분지되고 제1 디스펜서 입구유로(311)와, 제2 디스펜서 입구유로(321)와, 제3 디스펜서 입구유로(331) 및 바이패스 유로(34)에 연결된 다수의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모듈(5)는 물이 담겨지는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와;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에는 수조 출수유로(54)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펌프(52)는 수조 출수유로(5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가 연결될 수 있고, 급수히터(53)은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 출수유로(55)에는 급수펌프 출수유로(55)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급수히터(53)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7: Thermistor)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유로(54), 급수펌프(52), 급수펌프 출수유로(55)를 통해 급수히터(53)로 안내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안내된 물은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된 후 급수유로(4)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메인유로(2)에 연결되고 메인유로(2)의 음료가 안내되는 음료 취출유로(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음료 취출유로(61)에 연결된 음료 취출밸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유로(61)에는 거품차단부(63, Anti-Foaming path)가 구비될 수 있고, 메인유로(2)에서 음료 취출유로(61)로 유동된 음료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거품차단부(63)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취출밸브(6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와,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Micro Switch)를 갖는 탭 밸브(Tap Valve)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음료 제조기는 메인유로(2)를 개폐하는 메인밸브(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메인유로(2) 중 메인유로(2)와 음료 취출유로(61)의 연결부(91)과 메인유로(2)와 발효조 어셈블리(11)의 연결부(9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제조팩(12)으로 온수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발효조 어셈블리(11)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메인유로(2)를 폐쇄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제조팩(12)에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첨가제를 음료 제조팩(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음료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음료 제조팩(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밸브(9)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메인유로(2)를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음료 제조기의 저면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발효조 어셈블리(11), 압축기(131), 급수히터(53), 급수펌프(52), 수조(51)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2)와 증발기(134)를 함께 둘러싸는 단열벽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은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폴리스티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단열벽의 둘레면와, 단열벽의 상면을 둘러싸는 단열벽 커버(104)(105)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하나의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커버의 결합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하면이 개방되고 단열벽(102)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로어 단열벽 커버(104)와, 로어 단열벽 커버(104)의 상부에 배치되고 단열벽(102)의 상면를 덮는 어퍼 단열벽 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단열벽 커버(104)는 하부가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어퍼 단열벽 커버(105)는 하부가 로어 단열벽 커버(104)의 상단에 올려질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단열벽을 보호할 수 있고, 음료 제조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단열벽의 둘레면 전체를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고, 단열벽의 둘레면 일부만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단열벽 커버(104)(105)는 수조(51)를 마주보는 면에 사이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의 연장튜브는 사이드 개구부를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조(51)는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는 베이스(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와 베이스(100)의 사이에는 압축기(131)와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51)는 단열벽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수조(51)를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하는 수조 서포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고, 수조(51)를 베이스(100) 상측에 베이스(100)와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수조 서포터(106)는 하단이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고, 그 상부에 수조(51)가 올려질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발효조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와 수조(51)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디스펜서(3)가 발효조 덮개(114) 및 수조(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캡슐(7)이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가 형성된 캡슐 수용바디(36)와, 캡슐 수용부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캡슐(7)은 도 1에 도시된 캡슐(C1)(C2)(C3)을 의미할 수 있다. 캡슐(7)의 구조 또는 형태 등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수조(51)를 마주보는 일측판이 수조(51)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어 수조(51)에 지지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좌측판과 우측판 중 발효조 덮개(114)를 마주보는 타측판이 단열벽 커버(104)(105)에 안착될 수 있고, 단열벽 커버(104)(105)에 지지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는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음료 제조기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펜서(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캡슐(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다수의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은 좌우 방향으로 단열벽과 수조(51)의 사이이고 상하 방향으로 디스펜서(3)와 베이스(100)의 사이인 공간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다수의 부품이 이러한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음료 제조기는 컴팩트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에 수용된 다수의 부품은 단열벽과 수조(51), 베이스(100)와 디스펜서(3)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에 설치되어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13)(323)(333)는 캡슐 수용바디(36)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장착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2)는 센터 커버(66)에 전방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음료 재료 캡슐이 안착되기 이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음료 재료 캡슐이 안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안착된 음료 재료 캡슐이 천공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디스펜서(3)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 이전에, 캡슐(7)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캡슐(7)은 캡슐 바디(71),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바디(71),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는 캡슐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가 변질되지 않도록 외부와 밀폐시키거나, 상기 음료 재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캡슐 바디(71)는 캡슐(7)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캡슐(7)의 측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캡슐 바디(71)는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구현되어, 소정 충격에도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캡슐 바디(71)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캡슐 바디(71)는 상부 접합부(711), 상부 접합부(7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캡슐(7)의 측면을 형성하는 바디부(712)(713), 및 바디부(712)(713)의 하부에 구비되어 캡슐(7) 하부에 개구부(75)를 형성하는 하부 접합부(7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접합부(711)의 상측에는 어퍼 커버(72)가 접합(예컨대, 융착)될 수 있고, 하부 접합부(714)의 하측에는 로어 커버(73)가 접합(예컨대, 융착)될 수 있다. 상부 접합부(711) 및 하부 접합부(714)는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가 효과적으로 접합되기 위해, 가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캡슐을 캡슐 수용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상부 접합부(711)의 외경은 바디부(712)(713)의 상단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슐(7)의 적재 공간을 최소화하고, 제조시 로어 커버(73)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하부 접합부(714)의 외경은 바디부(712)(713)의 하단 외경과 같게 형성되고, 하부 접합부(714)의 내경(또는 개구부(75)의 직경)(D1)은 바디부(712)(713)의 하단 내경 또는 최소 내경(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712)(713)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부(712)(713)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 및 내경의 폭이 좁아지는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부(712)(713)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바디부(712)와, 제1바디부(7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바디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부(713)는 제1바디부(712)와 달리,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712)(713) 중 하부 접합부(714)로부터 소정 높이에 해당하는 제2바디부(713)는, 그 단면이 수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바디부(713)는 상부와 하부의 폭이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바디부(713)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캡슐(7)의 제조 공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캡슐 바디(71)의 상부 접합부(711)에 어퍼 커버(72)가 접합되거나, 하부 접합부(714)에 로어 커버(73)가 접합될 수 있다. 이후, 캡슐(7) 내로 음료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재료가 수용된 후, 이전에 접합되지 않은 나머지 커버(72 또는 73)가 접합부(711 또는 714)에 접합될 수 있다.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가 접합된 후, 상부 접합부(711) 및 하부 접합부(714)의 외부로 돌출된 커버를 컷팅하는 공정이 존재할 수 있다.
로어 커버의 컷팅 공정에 있어서, 바디부(712)(713)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컷팅 공정 시 바디부(712)(713)의 일부가 컷팅 장치와 접촉하여 손상될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바디부(712)(713)의 일부가 손상되는 경우, 캡슐(7) 내부의 음료 재료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캡슐(7)의 바디부(712)(713)에 있어서, 하부 접합부(714)로부터 소정 높이에 해당하는 제2바디부(713)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컷팅 공정 시 바디부(712)(71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바디부(712)의 높이(H1)는 제2바디부(713)의 높이(H2)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부(31)(32)(33)로 캡슐(7)이 삽입될 때, 캡슐(7)이 보다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는, 캡슐(7)이 캡슐 수용부(31)(32)(33)에 수용된 후 디스펜서(3)의 천공부재 또는 니들에 의해 절개될 수 있다.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가 절개됨에 따라, 캡슐 내부의 음료 재료(74)가 캡슐(7)의 하부를 통해 디스펜서 출구유로(312)로 유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슐(7)은 로어 커버(73)를 구비하여 캡슐(7)의 하부가 보다 용이하게 절개되므로, 캡슐 내부의 음료 재료(74)가 보다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는 디스펜서(3)의 천공부재 또는 니들에 의해 절개되기 용이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는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이나 PE 필름(polyethylene film)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의 강도는 캡슐 바디(71)의 강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커버(72)와 로어 커버(73)는 천공부재에 의해 절개될 때, 천공부재와 접촉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인접한 부분까지 절개될 수도 있다. 또한, 절개된 어퍼 커버(72)를 통해 물이 유입될 때, 입수압에 의해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의 절개 면적이 보다 넓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캡슐(7)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물 또는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유입되고, 캡슐(7)의 하부를 통해 음료 재료가 보다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캡슐(7)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74)가 수용될 수 있다. 캡슐(7)의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74)는 액상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가 절개되면, 음료 재료(74)는 캡슐(7)의 하부를 통해 디스펜서 추출유로(312)로 유출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디스펜서(3)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디스펜서(3) 내로 캡슐(7)을 투입하기 위해 리드 모듈(37)을 회전시켜 캡슐 수용부(31)(32)(33)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펜서(3)의 캡슐 수용바디(36)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된 캡슐(7)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캡슐 수용부(31)(32)(33)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좌우 방향으로 슬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스펜서(3)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도 1에 도시된 메인유로(2)와 디스펜서 출구유로(312)(322)(332)로 연결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내부에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는 캡슐 수용부(31)(31)(32)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는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추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출구유로(312)(322)(332)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에는 체크밸브(314)(324)(334)가 연결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캡슐(7)에 구멍을 형성하는 캡슐 천공부재(31A)(32A)(33A)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천공부재(31A)(32A)(33A)는 캡슐 수용부(31)(32)(33)의 내측 하부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캡슐 천공부재(31A)(32A)(33A)는 캡슐 수용부(31)(32)(33)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캡슐 수용부(31)(32)(33)에는 복수의 캡슐 천공부재(31A)(32A)(33A)가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캡슐(7)은 그 장착시 캡슐 수용부(31)(32)(33)의 상측 위치에서 캡슐 수용부(31)(32)(33) 내부로 삽입(또는 캡슐 수용부(31)(32)(33)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캡슐(7)의 로어 커버(73)은 캡슐 수용부(31)(32)(33)에 위치하는 캡슐 천공부재(31A)(32A)(33A)와 접촉되어 절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캡슐(7)의 로어 커버(73)에는 물과 음료 재료가 함께 유출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편의상 캡슐(7)을 제1캡슐(C1), 제2캡슐(C2), 제3캡슐(C3)로 구분하여 설명하나, 제1 캡슐(C1) 내지 제3캡슐(C3)은 캡슐(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수용부(31)에는 제1캡슐(C1)에 구멍을 형성하는 제1캡슐 천공부재(31A)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캡슐 수용부(31)의 하부에는 내부에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추출유로가 형성된 제1로어 가이드부(31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로어 가이드부(312A)에는 제1체크밸브(314)가 연결될 수 있다. 제1로어 가이드부(312A)는 도 1에 도시된 제1 디스펜서 출구유로(31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수용부(32)에는 제2캡슐(C2)에 구명을 형성하는 제2캡슐 천공부재(32A)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캡슐 수용부(32)의 하부에는 내부에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추출유로가 형성된 제2로어 가이드부(32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로어 가이드부(322A)에는 제2체크밸브(324)가 연결될 수 있다. 제2로어 가이드부(322A)는 도 1에 도시된 제2 디스펜서 출구유로(32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수용부(33)에는 제3캡슐(C3)에 구명을 형성하는 제3캡슐 천공부재(33A)가 설치될 수 있다. 제3캡슐 수용부(33)의 하부에는 내부에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추출유로가 형성된 제3로어 가이드부(33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로어 가이드부(332A)에는 제3체크밸브(324)가 연결될 수 있다. 제3로어 가이드부(332A)는 도 1에 도시된 제3 디스펜서 출구유로(33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수평판(361)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는 수평판(361)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를 보호하는 캡슐 브라켓(362A)(362B)(36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는 적어도 일부가 캡슐 브라켓(362A)(362B)(362C)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캡슐 브라켓(362A)(362B)(362C)은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 중 수평판(361)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을 전,후,좌,우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캡슐 브라켓(362A)(362B)(362C)의 하부와 캡슐 수용부(31)(32)(33) 사이에는 탄성 부재(316)(326)(336)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316)(326)(336)는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의 일부를 감싸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가 개방되는 경우, 탄성 부재(316)(326)(336)는 인장됨으로써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를 캡슐 브라켓(362A)(362B)(362C)의 상부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캡슐 브라켓(362A)(362B)(362C)의 하부에는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의 상승 정도를 한정하는 피팅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팅 구조는 체크 밸브(314)(324)(334), 및 로어 가이드부(312A)(322A)(332A)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15)(325)(3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팅 구조는,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의 상승 시 캡슐 브라켓(362A)(362B)(362C)의 하부와 접촉함으로써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의 상승을 소정 높이 이내로 한정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가 폐쇄되는 경우, 탄성 부재(316)(326)(336)는 리드 모듈(37)에 의해 압축되고,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는 캡슐 브라켓(362A)(362B)(362C)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은 리드 모듈(37)에 의해 함께 개방되거나 함께 폐쇄될 수 있다.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의 면적 합은 리드 모듈(37)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1)(32)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38A)(38B) 연결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과 캡슐 수용바디(36) 중 어느 하나에는 힌지축(38A)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38A)은 리드 모듈(37)과 캡슐 수용바디(36) 중 어느 하나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과 캡슐 수용바디(36) 중 다른 하나에는 힌지축(3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 연결부(38B)가 형성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힌지축(38A)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의 면적 합 보다 크게 형성되고, 힌지축(38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복수개 캡슐 수용부(31)(32)(33)를 모두 개방하거나 모두 폐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힌지축(38A)은 힌지축(38A)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리드 모듈(37)의 상측 회동을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3)는 각각의 캡슐 수용부 별로 각각의 리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펜서(3)는 하나의 캡슐 수용부를 하나의 리드 모듈이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펜서(3)에 3개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면, 캡슐 수용바디(36)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3개의 리드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캡슐 수용바디(36)에 복수개의 리드 모듈이 설치되면, 디스펜서(3)의 부품수는 많고 복수개 캡슐의 장착, 분리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리드 모듈(37)이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 모두를 개폐할 경우,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고, 그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자는 디스펜서(3)를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드 모듈(37)을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 모두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드 모듈(37)을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복수개의 캡슐 수용부(31)(32)(33) 모두를 한꺼번에 덮을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스펜서(3)는 리드 모듈(37)을 캡슐 수용바디(36)에 록킹할 수 있는 록킹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3)는 리드 모듈(37)을 통해 물을 급수하게 구성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38A)(38B) 연결된 리드(38)와, 리드(38)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급수 바디(41)(42)(4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드(38)은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 중 하나는 캡슐 수용바디(36)에 연결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는 캡슐 수용바디(36)에 힌지(38A)(38B) 연결될 수 있고, 어퍼 리드(40)는 로어 리드(39)의 상면을 덮게 로어 리드(39)와 결합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급수 바디(41)(42)(43)는 도 1에 도시된 급수유로(4)와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로 연결될 수 있다. 급수 바디(41)(42)(43)에는 캡슐 수용부(31)(31)(32)에 수용된 캡슐(C1)(C2)(C3)로 물을 안내하는 이너 급수유로(44)(45)(46)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가 급수 바디(41)(42)(43)에 연결되면, 디스펜서 입구유로(311)(321)(331)를 통과한 물은 이너 급수유로(44)(45)(46)에 안내되어 캡슐(C1)(C2)(C3)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 바디(41)(42)(43)는 캡슐 수용부(31)(32)(33)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캡슐 수용부에 하나의 급수 바디가 대응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와, 제2캡슐 수용부(32)와, 제3캡슐 수용부(33)가 형성될 수 있고, 리드(38)에는 제1캡슐 수용부(31)을 마주볼 수 있는 제1급수바디(41)와, 제2캡슐 수용부(32)를 마주볼 수 있는 제2급수바디(42)와, 제3캡슐 수용부(33)를 마주볼 수 있는 제3급수바디(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급수바디(41)의 하부에는 제1캡슐(C1)의 어퍼 커버를 절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니들(441)과, 제1캡슐 수용부(31)를 향해 물을 안내하는 제1이너급수유로(4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급수바디(42)의 하부에는 제2캡슐(C2)의 어퍼 커버를 절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니들(451)과, 제2캡슐 수용부(32)를 향해 물을 안내하는 제2이너급수유로(4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급수바디(43)의 하부에는 제3캡슐(C3)의 어퍼 커버를 절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니들(461)과, 제3캡슐 수용부(33)을 향해 물을 안내하는 제3이너급수유로(46)가 형성될 수 있다.
리드(38)에 설치된 복수개 급수바디(41)(42)(43)는 그 배치 위치가 상이하나 그 각각의 상세구조가 동일할 수 있다.
급수바디(41)(42)(43)의 하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바디(41)(42)(43)의 하부에는 캡슐(C1)(C2)(C3)의 어퍼 커버(72)을 절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니들(441)(451)(461), 및 캡슐(C1)(C2)(C3) 내부로 물을 안내하는 이너급수유로(44)(45)(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급수유로(44)(45)(46)는 급수바디(41)(42)(43)의 하부에 소정 크기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바디(41)(42)(43)로 유입되는 물은 이너급수유로(44)(45)(46)를 통해 캡슐(C1)(C2)(C3)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드모듈(37)을 캡슐 수용바디(36) 방향으로 회동시켜 캡슐 수용부(31)(32)(33)를 폐쇄하면, 캡슐(C1)(C2)(C3)의 어퍼 커버(72)은 적어도 하나의 니들(441)(451)(461)에 의해 절개될 수 있고, 로어 커버(73)은 적어도 하나의 캡슐 천공부재(31A)(32A)(33A)에 의해 절개될 수 있다.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이 절개된 후, 급수바디(41)(42)(43) 및 이너급수유로(44)(45)(46)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어퍼 커버(72)의 절개된 공간을 통해 캡슐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캡슐 내부로 안내된 물은, 로어 커버(73)의 절개된 공간을 통해 캡슐 내부의 음료 재료(74)와 함께 디스펜서 출구유로(312)(322)(332)로 추출될 수 있다.
캡슐 내부로 물이 안내될 때, 압력(입수압)에 의해 어퍼 커버(72) 및 로어 커버(73)의 절개 면적이 보다 넓어질 수 있다.
한편, 리드모듈(37)은 캡슐 수용바디(36)의 상면과 리드모듈(37)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수용바디(36)와 리드 모듈(37)의 사이에는 제1급수바디(41)의 저면과 캡슐 수용바디(36)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실링부재(47A)와, 제2급수바디(42)의 저면과 캡슐 수용바디(36)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실링부재(47B)와, 제3급수바디(43)의 저면과 캡슐 수용바디(36)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3실링부재(47C)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실링부재(47A) 내지 제3실링부재(47C)는 물의 유입 시 역류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 각각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캡슐(7A)(7B)(7C)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 및 도 6에서 상술한 캡슐(7)과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캡슐(7A)은 캡슐 바디(71A)의 바디부(712A)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슐(7)의 유통시 또는 보관시 차지하는 적재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부 접합부(714A)의 외경은 바디부(712A)의 하단 외경과 동일할 수 있고, 개구부(75A)의 직경(D3)은 바디부(712A)의 최소 내경(D4)보다 작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캡슐(7B)은 하부 접합부(714B)의 외경(D5)이 바디부(712B)의 하단 외경(D6)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접합부(714B)에 접합되는 로어 커버(73B) 중 하부 접합부(714B)의 외곽 부분에 존재하는 로어 커버를 컷팅할 때, 바디부(712B)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캡슐(7C)의 경우, 하부 접합부(714C)는 캡슐 바디(71B)의 하단에 형성되고, 개구부(75C)가 다수 형성된 다공판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천공부재(31A)(31B)(31C)에 의해 로어 커버(73C)가 절개되면, 내부의 음료 재료(74)는 상기 다공판을 통해 캡슐(7) 하부로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공판의 구멍은 캡슐 천공부재(31A)(32A)(33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캡슐(7C)의 경우, 사용자는 로어 커버(74C)를 제거한 후 캡슐(7C)을 투입할 수도 있다. 즉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펜서(3) 내에 캡슐 천공부재(31A)(32A)(33A)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캡슐(7C) 내부의 음료 재료(74C)가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재료 캡슐은,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가 보다 용이하게 추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캡슐의 상부뿐만 아니라 캡슐의 하부에도 디스펜서(3)의 캡슐 천공부재(31A)(32A)(33A)에 의해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는 연질의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개된 커버를 통해 물이 유입될 때 입수압에 의해 커버의 절개 면적이 보다 넓어질 수 있으므로, 특히 분말 타입의 음료 재료가 보다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메인유로(2), 급수유로(4), 음료 취출유로(61), 가스 취출유로(71), 에어 주입유로(81), 에어 공급유로(154) 등의 유로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호스나 튜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복수개의 호스나 복수개의 튜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조절밸브 등의 타 구성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2개의 호스나 튜브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음료의 제조를 위한 음료 재료가 수용되는 음료 재료 캡슐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캡슐 바디;
    상기 캡슐 바디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공간을 덮는 어퍼 커버; 및
    상기 캡슐 바디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개구부를 막는 로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바디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바디부; 및
    상기 제1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폭이 일정한 제2바디부를 포함하는 음료 재료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바디는
    상기 제2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부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재료 캡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상기 제2바디부의 내경보다 작은 음료 재료 캡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의 높이는 상기 제2바디부의 높이보다 높은 음료 재료 캡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어퍼 커버보다 작고,
    상기 로어 커버의 강도는 상기 캡슐 바디의 강도 보다 작은 음료 재료 캡슐.
  6. 음료의 제조를 위한 음료 재료가 수용되는 음료 재료 캡슐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캡슐 바디;
    상기 캡슐 바디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공간을 덮는 어퍼 커버; 및
    상기 캡슐 바디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개구부를 막는 로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바디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어퍼 커버 보다 작고,
    상기 로어 커버의 강도는 상기 캡슐 바디의 강도 보다 작은 음료 재료 캡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바디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부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재료 캡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상기 캡슐 바디의 최소 내경보다 작은 음료 재료 캡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합부의 외경은 상기 캡슐 바디의 하단 외경보다 큰 음료 재료 캡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합부는 상기 개구부가 다수 형성된 다공판을 포함하는 음료 재료 캡슐.
  11. 적어도 하나의 캡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슐 수용부에 캡슐 천공부재가 제공된 캡슐 수용바디;
    상기 캡슐 수용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 재료 캡슐; 및
    상기 캡슐 수용부를 덮고 적어도 하나의 니들이 제공된 리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료 재료 캡슐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캡슐 바디;
    상기 캡슐 바디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공간을 덮는 어퍼 커버; 및
    상기 캡슐 바디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개구부를 막는 로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어퍼 커버 보다 작은 음료 재료 캡슐을 갖는 음료 제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바디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슐 바디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재료 캡슐을 갖는 음료 제조기.
KR1020170029105A 2017-03-07 2017-03-07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KR20180102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105A KR20180102451A (ko) 2017-03-07 2017-03-07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105A KR20180102451A (ko) 2017-03-07 2017-03-07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451A true KR20180102451A (ko) 2018-09-17

Family

ID=6372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105A KR20180102451A (ko) 2017-03-07 2017-03-07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24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783B1 (ko) 음료 제조장치 및 음료 제조장치의 음료 취출방법
KR20190001134A (ko) 음료 제조기
KR102282446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3690B1 (ko) 음료 제조팩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380876B1 (ko) 음료 제조기
KR1025580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521998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28B1 (ko) 재료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481824B1 (ko) 음료 제조기
KR20180102451A (ko) 음료 재료 캡슐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KR102481834B1 (ko) 음료 제조기
KR102259341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5677B1 (ko) 음료재료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463325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1262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4419B1 (ko) 음료 제조기
KR102200598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0141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7330B1 (ko) 음료 제조기
KR20190051372A (ko) 음료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481833B1 (ko) 음료 제조기
KR102522000B1 (ko) 음료 제조기
KR102223915B1 (ko) 음료 제조기
KR102247827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19B1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