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113B1 -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 - Google Patents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1113B1 KR102491113B1 KR1020220124066A KR20220124066A KR102491113B1 KR 102491113 B1 KR102491113 B1 KR 102491113B1 KR 1020220124066 A KR1020220124066 A KR 1020220124066A KR 20220124066 A KR20220124066 A KR 20220124066A KR 102491113 B1 KR102491113 B1 KR 1024911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uit
- paste
- aging
- enzyme
- ripened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04345 fruit ripen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1000228215 Aspergillus aculeat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193744 Bacillus amyloliquefacien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194108 Bacillus licheniform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21018 plum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5000019583 umami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4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00 m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651 Rubus glau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078534 Vaccinium myrt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251 balanced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65 commerci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13 rasp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07 umami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444063 Aro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1838 Lycium barb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231 Mo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18795 Prunus mu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58 Prunus mu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095 Vaccinium corymb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717 Vaccinium macrocarp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37 Vaccinium myrtil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650 aca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95 bisc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9 black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4 blue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9 cran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42 dietary patter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38 dru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200 fol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1078 naring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98 plum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polyphenol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1 standar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2 straw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A) 과실과 당류를 혼합하여 17 내지 25 ℃에서 1차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1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10 내지 15 ℃에서 2차 숙성시키는 단계; (C) 상기 2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4 내지 8 ℃에서 3차 숙성시키는 단계; (D) 상기 3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50 내지 70 ℃에서 진공추출하여 숙성 과실과 과실진액을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분리된 숙성 과실을 효소로 처리하여 페이스트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적은 양의 당류를 사용함에도 부패가 발생하지 않으며 과실 고유의 향과 맛이 강한 과실 페이스트를 수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은 양의 당류를 사용함에도 부패가 발생하지 않으며 과실 고유의 향과 맛이 강한 과실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식생활 패턴이 점점 서구화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지 못해 건강상태가 악화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는 각종 성인병의 유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바쁜 생활로 인해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게 됨에 따라 이의 대안으로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음식에 기능성 성분을 함유시키되 이들 성분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음식의 맛과 향, 색 등의 관능성을 떨어뜨리지 않거나 개선하기 위한 시도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매실(Prunus mume)은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교목인 매화나무의 핵과이다. 청매실은 껍질이 단단하며 푸른색을 낼 때 수확한 매실로 5월 말에서 6월 초중순에 수확하며, 국내에서는 주로 남쪽 지방인 하동, 광양, 순천 등(국내 매실 생산량의 60% 이상 차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매실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유기산, 당분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이나 노화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항산화, 항암, 항혈전, 항균, 간기능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매실은 수확기간이 1달 내외로 짧고 수확 후 상온에서 3~4일 만에 조직이 급격히 연화되고 부패되는 등 저장성이 낮아 가공식품 재료로의 활용이나 다른 과일과 같이 생과로의 섭취가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예로부터 매실은 침출 및 절임의 방법으로 제조된 매실청, 매실장아찌, 매실식초, 매실주 등의 가공용 식품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매실 등의 과실을 이용하여 몸에 이롭지 않은 당류의 함량을 낮추고, 당류의 함량을 줄여도 부패되지 않으며 오히려 과실 고유의 향과 맛이 강한 과실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양의 당류를 사용함에도 부패가 발생하지 않으며 과실 고유의 향과 맛이 강한 과실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실 페이스트는 (A) 과실과 당류를 혼합하여 17 내지 25 ℃에서 1차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1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10 내지 15 ℃에서 2차 숙성시키는 단계; (C) 상기 2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4 내지 8 ℃에서 3차 숙성시키는 단계; (D) 상기 3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50 내지 70 ℃에서 진공추출하여 숙성 과실과 과실액을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분리된 숙성 과실을 효소로 처리하여 페이스트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과실과 당류는 1 : 0.4-0.9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설탕, 올리고당, 과당, 맥아당, 물엿, 말토덱스트린, 젖당 및 맥아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1차 숙성은 10 내지 30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2차 숙성은 30 내지 50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3차 숙성은 50 내지 70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진공추출은 2 내지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 효소는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Aspergillus aculeatus)에서 유래된 효소;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효소; 또는 이들의 혼합 효소일 수 있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Aspergillus aculeatus)에서 유래된 효소는 비스코자임(viscozyme)일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효소는 프로타멕스(Protamex)일 수 있다.
상기 혼합 효소는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Aspergillus aculeatus)에서 유래된 효소;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효소가 1 : 0.5-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과실은 매실, 무화과 및 베리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실 페이스트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실 페이스트는 적은 양의 당류를 사용함에도 부패가 발생하지 않아 냉장에서 6 내지 7개월 동안 보관이 가능하며, 장기간 보관시에도 과실 고유의 향과 맛이 강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과실 페이스트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실 페이스트는 과실 특유의 색상을 유지하면서 깔끔하고 과실 특유의 상큼한 향과 맛이 강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과실 페이스트는 그 자체를 빵 또는 비스켓에 도포하여 섭취할 수 있고, 상기 과실 페이스트에 가당하여 빵소를 제조함으로써 빵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과실 페이스트를 고두밥 및 정제수와 혼합하여 누룩균으로 발효시킴으로써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과실 페이스트를 곡물가루와 혼합하여 찜으로써 떡을 제조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은 양의 당류를 사용함에도 부패가 발생하지 않으며 과실 고유의 향과 맛이 강한 과실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과실 페이스트를 제조 시 온도를 점차 낮춰가며 3차에 걸쳐 숙성을 진행하고, 3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에서 우수한 품질의 숙성 과실을 수득하기 위하여 진공추출을 진행함으로써, 당류의 함량을 줄여도 부패하지 않으며 향과 맛이 강하고 밝은 색의 과실 페이스트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실 페이스트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과실숙성액으로부터 분리된 숙성 과실을 효소로 처리하여 관능성 등의 품질이 우수한 과실 페이스트를 제공한다. 상기 숙성 과실을 분리하고 남은 과실액은 과실청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은 (A) 과실과 당류를 혼합하여 17 내지 25 ℃에서 1차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1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10 내지 15 ℃에서 2차 숙성시키는 단계; (C) 상기 2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4 내지 8 ℃에서 3차 숙성시키는 단계; (D) 상기 3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50 내지 70 ℃에서 진공추출하여 숙성 과실과 과실진액을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분리된 숙성 과실을 효소로 처리하여 페이스트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과실과 당류를 1 : 0.4-0.9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5-0.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7 내지 25 ℃,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0 ℃에서 10 내지 30일,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일 동안 1차 숙성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당류를 이용하여 숙성시킴으로써, 당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부패율을 낮추면서 추후 효소로 숙성 과실을 처리 시 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웰빙을 추구하는 최근의 요구에 맞추어 낮은 함량으로 당류를 사용한다.
과실을 기준으로 당류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부패되지 않지만 변질되고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되고 당 함량이 높아져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1차 숙성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과실을 숙성시 부패되거나 변질될 수 있고 특유의 텁텁한 맛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과육이 무르거나 변질되어 쓴맛이 발생하고 어두운 색의 숙성 과실로 제조되어 기호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과실은 세척하여 바로 페이스트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매실, 무화과 및 베리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베리류로는 블루베리, 스트로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크랜베리, 복분자, 오디, 아로니아, 아사이베리 또는 구기자를 들 수 있다.
상기 당류는 설탕, 올리고당, 과당, 맥아당, 물엿, 말토덱스트린, 젖당 및 맥아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1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교반한 후 10 내지 15 ℃,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5 ℃에서 30 내지 50일,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일 동안 2차 숙성을 수행한다.
상기 2차 숙성은 1차 숙성에 비하여 숙성온도가 낮으며, 더 오랜시간 동안 수행됨으로써, 더욱 깊고 부드러우면서 단맛과 감칠맛이 조화를 이룬 과실숙성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2차 숙성 시 1차 숙성에 비하여 높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 동안 숙성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어두운 색의 숙성 과실이 제조되고 변질될 뿐만 아니라 텁텁한 맛과 꿉꿉한 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
2차 숙성 시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1차 숙성시 보다 급격히 온도가 낮아져 숙성 기간이 늘어나고 제대로 숙성되지 않아 품질이 저하되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숙성 과실 고유의 상큼하고 깔끔한 맛 및 우수한 풍미 대신 텁텁한 맛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과실의 색상이 탁하고 꿉꿉한 냄새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2차 숙성 시 숙성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숙성 기간이 늘어나고 제대로 숙성되지 않아 품질이 저하되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갈변현상이 발생하고 알코올화가 진행되어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2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교반한 후 밀봉하여 4 내지 8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에서 50 내지 70일,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0일 동안 3차 숙성을 수행한다.
상기 3차 숙성은 2차 숙성에 비하여 더욱 저온에서 더 오랜시간 동안 수행함으로써, 2차 숙성시 제조된 과실숙성액에 비하여 더욱 깊고 부드러우면서 감칠맛이 우수한 과실숙성액을 수득한다. 상기 3차 숙성 시 2차 숙성에 비하여 높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 동안 숙성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어두운 색의 숙성 과실이 제조되고 과실 고유의 맛과 향이 전혀 없으며 텁텁한 맛이 강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알코올화가 진행되어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및 2차 숙성시에는 환경에 따라 밀봉을 하거나 하지 않고 숙성을 수행해도 품질에 차이가 없지만, 3차 숙성시에는 밀봉 등 공기 순환 및 차단을 수행하지 않으면 부패될 수 있고 적정과육을 수득할 수 없다.
3차 숙성 시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2차 숙성시 보다 급격히 온도가 낮아져 숙성 기간이 늘어나고 제대로 숙성되지 않아 품질이 저하되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패 및 알코올화로 인해 색상이 탁하고 과실 고유의 깔끔한 맛과 향이 사라질 수 있다.
또한, 3차 숙성 시 숙성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숙성 기간이 늘어나고 제대로 숙성되지 않아 품질이 저하되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패 및 알코올화로 인해 색상이 탁하고 과실 고유의 깔끔한 맛과 향이 사라지고 꿉꿉한 맛과 향이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3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의 당도는 44 내지 48 brix이다. 상기 과실숙성액은 과실액과 숙성 과실이 혼합된 것으로서, 당도는 과실액으로 측정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3차 숙성되어 과실액과 숙성 과실이 혼합된 과실숙성액을 50 내지 70 ℃,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0 ℃에서 2 내지 8시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시간 동안 진공추출을 수행함으로써, 숙성 과실과 과실액을 분리하여 각각 수득한다.
진공추출은 통상의 진공추출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실숙성액(과실액+숙성 과실)의 과실액 15 L를 기준으로 정제수 5 L를 투입하여 상기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진공추출을 수행한 후 상기 투입된 정제수 5 L를 증류액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진공추출을 수행함으로써 과실 고유의 맛, 향 및 색상을 강하게 유지하면서 과실액과 분리될 수 있으며, 진공추출을 수행하지 않거나 여과 등의 다른 분리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더욱 부드럽고 감칠맛이 높은 숙성 과실을 수득할 수 있다.
진공추출 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더욱 부드럽고 감칠맛이 향상된 숙성 과실을 수득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쓴맛이 발생하고 과실 고유의 맛, 향 및 색상이 변질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분리된 숙성 과실을 효소로 처리하여 과실 페이스트로 제조한다.
숙성 과실을 효소로 처리시킴으로써, 너무 달지 않으면서 더욱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감칠맛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효소는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Aspergillus aculeatus)에서 유래된 효소;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효소; 또는 이들의 혼합 효소일 수 있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Aspergillus aculeatus)에서 유래된 효소로는 상품으로 비스코자임(viscozyme)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효소로는 상품으로 프로타멕스(Protamex)를 들 수 있다.
상기 효소를 사용하지 않고 비스코플루우, 쉐어자임플러스, 나린기나아제 등의 다른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드럽지 않고 과실에서 쓴맛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과실의 색상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혼합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Aspergillus aculeatus)에서 유래된 효소;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효소가 1 : 0.5-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0.9-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Aspergillus aculeatus)에서 유래된 효소를 기준으로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효소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항산화 효과가 낮고 관능성이 향상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쓴맛과 기호도가 낮은 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효소는 숙성 과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부로 투입된다. 효소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달기만 하고 부드럽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쓴맛과 기호도가 낮은 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숙성 과실은 효소로 3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에서 2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시간 동안 처리된 것이다. 처리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이미, 이취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효소처리된 숙성 과실은 페이스트로 제조하면서 씨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한 과실만이 함유된 페이스트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는 과실 고유의 색을 유지하며, 깔끔하고 과실 특유의 상큼한 향과 맛이 강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단일 효소
세척한 매실과 백설탕을 1 : 0.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9 ℃에서 20일 동안 1차 숙성시킨 후 교반하여 14 ℃에서 40일 동안 2차 숙성시킨 다음 교반하여 밀봉 후 6 ℃에서 60일 동안 3차 숙성시켜 매실숙성액(숙성 매실과 매실액의 혼합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매실숙성액을 진공추출기에 투입한 후 매실액 15 L기준으로 정제수를 5 L 투입하여 60 ℃에서 4시간 동안 진공추출함으로써 숙성 매실과 매실진액 15 L를 분리하여 각각 수득하고 상기 정제수 5 L는 증류액으로 제거되었다. 상기 숙성 매실 100 중량부에 증류수 100 중량부를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비스코자임 1 중량부를 투입하여 45 ℃에서 3시간 동안 효소처리시킨 후 효소를 불활성화시킨 다음 분쇄(씨 제거 후 분쇄)하여 매실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단일 효소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비스코자임 대신 프로타멕스를 사용하여 매실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혼합 효소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비스코자임 대신 혼합 효소(비스코자임 0.5 중량부 + 프로타멕스 0.5 중량부)를 사용하여 매실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1차 및 2차 숙성_3차 숙성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3차 숙성과정을 생략하고 1차 및 2차 숙성만 수행하여 매실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1차 및 3차 숙성_2차 숙성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2차 숙성과정을 생략하고 1차 및 3차 숙성만 수행하여 매실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3. 2차 및 3차 숙성_1차 숙성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1차 숙성과정을 생략하고 2차 및 3차 숙성만 수행하여 매실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4. 3차->2차->1차 숙성조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매실과 백설탕을 1 : 0.6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밀봉 하여 6 ℃에서 60일 동안 1차(실시예 1에서 3차 숙성조건) 숙성시킨 다음 교반하여 14 ℃에서 40일 동안 2차(실시예 1에서 2차 숙성조건) 숙성시킨 다음 교반하여 19 ℃에서 20일 동안 3차(실시예 1에서 1차 숙성조건) 숙성시켜 제조된 숙성 매실을 이용하여 매실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5. 진공추출 생략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진공추출 대신 여과지로 여과하여 숙성 과실을 분리함으로써 매실 페이스트를 수득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관능검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매실 페이스트를 전문패널 15명에게 시식하게 한 다음 9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은 매실 페이스트를 15 ℃에서 1일 보관 후 측정한 것이며, [표 2]는 15 ℃에서 180일 보관 후 측정한 것이다.
- 색, 향, 부드러움, 감칠맛 및 종합적 기호도: 1점= 매우 나쁘다, 9점= 매우 좋다
구분 | 색 | 향 | 부드러움 | 감칠맛 | 종합적 기호도 |
실시예 1 | 7.25±0.95a | 7.31±0.69a | 7.27±0.88a | 7.54±0.66a | 7.36±0.81a |
실시예 2 | 7.29±0.82a | 7.40±0.42a | 7.15±0.69a | 7.35±0.59a | 7.27±0.69a |
실시예 3 | 7.85±0.71a | 7.99±0.62a | 8.02±0.72a | 7.84±0.47a | 7.81±0.72a |
비교예 1 | 3.51±0.88c | 3.48±0.51c | 3.36±0.83c | 3.72±0.56c | 3.48±0.80c |
비교예 2 | 4.02±0.39c | 4.06±0.39c | 4.00±0.42c | 4.05±0.82c | 4.03±0.38c |
비교예 3 | 4.06±0.53c | 4.02±0.52c | 4.09±0.51c | 4.03±0.65c | 4.04±0.51c |
비교예 4 | 2.98±0.76c | 2.82±0.43c | 2.72±0.84c | 2.91±0.72c | 2.88±0.49c |
비교예 5 | 4.55±0.64c | 4.61±0.69c | 4.43±0.72c | 4.87±0.73c | 4.69±0.33c |
구분 | 색 | 향 | 부드러움 | 감칠맛 | 종합적 기호도 |
실시예 1 | 5.56±0.85a | 6.64±0.64a | 5.61±0.42a | 5.94±0.62a | 5.72±0.72a |
실시예 2 | 5.51±0.72a | 6.41±0.82a | 5.70±0.68a | 5.71±0.58a | 5.67±0.90a |
실시예 3 | 6.48±0.46b | 7.18±0.67b | 6.85±0.53b | 6.54±0.43b | 6.49±0.67b |
비교예 1 | 1.68±0.67c | 1.52±0.85c | 1.34±0.11c | 1.48±0.19c | 1.42±0.27c |
비교예 2 | 1.94±0.51c | 1.65±0.43c | 2.04±0.07c | 1.99±0.08c | 2.14±0.36c |
비교예 3 | 1.58±0.09c | 1.35±0.88c | 1.88±1.08c | 1.75±0.11c | 1.58±0.09c |
비교예 4 | 0.99±0.18c | 1.21±0.71c | 0.73±0.06c | 1.18±0.06c | 1.07±0.14c |
비교예 5 | 2.51±0.31c | 1.98±1.01c | 2.68±0.32c | 2.48±0.24c | 2.43±0.38c |
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실 페이스트를 1일 보관 후 측정한 것에 비하여 180일 보관 후 측정 시 색, 향, 부드러움, 감칠맛 및 종합적 기호도가 모두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180일 보관 시 비교예 1 내지 5의 관능성이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매실 페이스트는 1일 보관 및 180일 보관에서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색, 향, 부드러움, 감칠맛 및 종합적 기호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혼합 효소로 처리한 실시예 1의 매실 페이스트는 다른 군에 비하여 색, 향, 부드러움, 감칠맛 및 종합적 기호도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폴리페놀(polyphenol)은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 중 하나로, 활성산소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DNA를 보호하고 세포구성 단백질 및 효소를 보호한다.
Folin-Denis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folin-ciocalteu's 페놀 용액(Folin & Ciocalteu's phenol; Sigma-Aldrich, USA)을 시료에 첨가하여 폴리페놀 화합물에 의해 환원되어 발생하는 몰리브덴 청색발색 반응을 원리로 하였다. 시료 0.14 ㎖에 0.2 N F.C용액 0.7 ㎖를 첨가하여 8분 동안 방치 후 7.5% Na2CO3 0.56 ㎖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혼합물을 10초 동안 12,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등액 1 ㎖를 이용하여 흡광도 값을 756 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lic acid(Sigma-Aldrich, USA)를 사용하였고, 단위는 작성한 gallic acid 검량선과 비교하여 mg gallic acid equivalent(GAE)/g dry matter(DM)로 표시하였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총 폴리페놀(mg GAE/g DM) | 23.47±0.39a | 22.68±1.08a | 33.49±1.34c | 11.38±0.85c |
구분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총 폴리페놀(mg GAE/g DM) | 14.68±0.73c | 10.96±0.69c | 16.29±0.88b | 10.85±0.65c |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매실 페이스트는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으므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2)
- (A) 과실과 당류를 1 : 0.4-0.9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7 내지 25 ℃에서 10 내지 30일 동안 1차 숙성시키는 단계;
(B) 상기 1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10 내지 15 ℃에서 30 내지 50일 동안 2차 숙성시키는 단계;
(C) 상기 2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4 내지 8 ℃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3차 숙성시키는 단계;
(D) 상기 3차 숙성된 과실숙성액을 50 내지 70 ℃에서 진공추출하여 숙성 과실과 과실액을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분리된 숙성 과실을 효소로 처리하여 페이스트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효소는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Aspergillus aculeatus)에서 유래된 효소;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효소가 1 : 0.5-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진공추출은 2 내지 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퍼질러스 아큘레아투스(Aspergillus aculeatus)에서 유래된 효소는 비스코자임(viscozy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시언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효소는 프로타멕스(Protam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은 매실, 무화과 및 베리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 제1항, 제6항, 제8항,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4066A KR102491113B1 (ko) | 2022-09-29 | 2022-09-29 |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4066A KR102491113B1 (ko) | 2022-09-29 | 2022-09-29 |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1113B1 true KR102491113B1 (ko) | 2023-01-27 |
Family
ID=8510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4066A KR102491113B1 (ko) | 2022-09-29 | 2022-09-29 |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111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4416A (ja) * | 2000-01-31 | 2001-07-31 | Hisashi Takeuchi | 果物ペー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10042044A (ko) * | 2011-04-04 | 2011-04-22 | 나광출 | 배 가공 부산물 슬러지를 이용한 배 페이스트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585188B1 (ko) | 2015-09-02 | 2016-01-21 | (주)영의정 | 홍시를 함유한 곶감 떡의 제조방법 |
KR101965144B1 (ko) | 2017-06-09 | 2019-04-04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향기 | 감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빵, 막걸리, 떡의 제조방법 |
KR20190067971A (ko) * | 2017-12-08 | 2019-06-18 |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후즈 | 식품 분해·발효 및 연화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화식품의 제조방법 |
-
2022
- 2022-09-29 KR KR1020220124066A patent/KR1024911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04416A (ja) * | 2000-01-31 | 2001-07-31 | Hisashi Takeuchi | 果物ペー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10042044A (ko) * | 2011-04-04 | 2011-04-22 | 나광출 | 배 가공 부산물 슬러지를 이용한 배 페이스트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585188B1 (ko) | 2015-09-02 | 2016-01-21 | (주)영의정 | 홍시를 함유한 곶감 떡의 제조방법 |
KR101965144B1 (ko) | 2017-06-09 | 2019-04-04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향기 | 감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빵, 막걸리, 떡의 제조방법 |
KR20190067971A (ko) * | 2017-12-08 | 2019-06-18 |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후즈 | 식품 분해·발효 및 연화식품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화식품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끝도없는 인기님의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21.06.27. [2022.10.25. 검색], 인터넷:<URL : https://blog.naver.com/nkh9475/222411880787>*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0334B1 (ko) | 오디식초와 그 제조방법 및 오디식초를 함유한 기능성 음료 | |
KR20170068691A (ko) | 사과 식초의 제조 방법 | |
KR100353480B1 (ko) | 곡류와 과실을 이용한 발효주의 제조방법 | |
KR100988387B1 (ko) | 산돌배 발효주 제조 방법 | |
US20080193592A1 (en) | Method for preparing alcoholic beverage using incubated wild ginseng root | |
KR20200093798A (ko) | 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일청의 제조방법 | |
KR101549140B1 (ko) | 오디 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61539B1 (ko) | 딸기 발효식초와 발효액을 블렌딩한 천연 식초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988378B1 (ko) | 산돌배 증류주 제조 방법 | |
KR102491113B1 (ko) | 과실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실 페이스트 | |
KR100543776B1 (ko) | 오디술의 제조방법 | |
KR100988426B1 (ko) | 산돌배 혼성주 제조 방법 | |
KR102655760B1 (ko) | 과실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실청 | |
KR102705688B1 (ko) | 매운맛과 이취가 제거된 마늘 음료의 제조방법 | |
KR101695927B1 (ko) | 조청이 첨가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 |
KR102372765B1 (ko) | 퀘르세틴 함량이 높은 자색 양파즙의 제조방법 | |
KR101708052B1 (ko) | 동결농축방법을 이용하여 향기가 우수한 복숭아 무가당 와인 및 아이스와인 제조방법 | |
KR100479783B1 (ko) | 감과 녹차를 이용한 고추장 | |
KR101485173B1 (ko) | 매실을 이용한 잼의 제조방법 | |
KR102479908B1 (ko) | 영양성 및 저장성이 증대된 사과주스 제조방법 | |
KR102648305B1 (ko) | 흑보리딸기식초가 함유된 음료 조성물 | |
JPH01265878A (ja) | 食酢の製造方法及び食酢組成物 | |
KR20130106179A (ko) | 과일박과 홍삼박을 이용한 증류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44816B1 (ko) |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 |
KR100859750B1 (ko) | 야콘발효주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