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964B1 -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964B1
KR102490964B1 KR1020227030140A KR20227030140A KR102490964B1 KR 102490964 B1 KR102490964 B1 KR 102490964B1 KR 1020227030140 A KR1020227030140 A KR 1020227030140A KR 20227030140 A KR20227030140 A KR 20227030140A KR 102490964 B1 KR102490964 B1 KR 102490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ignal line
data line
supplemental
line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790A (ko
Inventor
신-훙 예
워렌 에스. 루토르트-루이스
압바스 잠시디 로우드바리
치엔-야 리
룬 차이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12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7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02F1/13629Multilayer wi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활성 영역(AA) 내의 개구(52) 주위의 비-발광 경계 영역의 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들(D)은 경계 영역 내에 적층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 부분들은 경계 영역 내의 3개의 상이한 평면들에서 3개의 금속 층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활성 영역 내에 양의 전력 신호 분배 경로를 형성하는 금속 층이 경계 영역 내의 데이터 라인 부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금속 층이 경계 영역에 추가되어 경계 영역 내에서 데이터 라인 부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 신호들은 또한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들(106)을 이용하여 활성 영역 내의 개구의 양 측면 상의 픽셀들에 제공될 수 있다.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AA)을 통해 디스플레이 내의 개구의 대향 측면들 상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경로지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본 출원은, 2019년 7월 8일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505,532호, 및 2018년 8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20,70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로써 이들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비활성 영역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들은 종종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들 및 휴대용 컴퓨터들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및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발광 활성 영역 및 광을 방출하지 않는 비활성 영역을 갖는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들은 원한는 것보다 클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활성 영역에서 픽셀들의 어레이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제1 비활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또한 활성 영역 내에 형성된 제2 비활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활성 영역은 전자 컴포넌트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내의 물리적 개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내의 픽셀들에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은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 내에 형성된 비활성 영역을 우회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활성 영역 내의 개구 둘레의 비-발광 경계 영역의 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들은 경계 영역 내에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라인 부분들은 경계 영역 내의 3개의 상이한 평면들에서 3개의 금속 층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활성 영역 내에 양의 전력 신호 분배 경로를 형성하는 금속 층이 경계 영역 내의 데이터 라인 부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금속 층이 경계 영역에 추가되어 경계 영역 내에서 데이터 라인 부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 신호들은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들을 이용하여 활성 영역 내의 개구의 양 측면 상의 픽셀들에 제공될 수 있다.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 내의 개구의 대향 측면들 상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경로지정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에 대한 보완 데이터 라인의 전기적 연결은 둘 모두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에 대한 보완 데이터 라인의 전기적 연결들은 대신에 둘 모두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 보완 데이터 라인과 하나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 내에 있을 수 있고, 보완 데이터 라인과 다른 하나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갖는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픽셀 회로의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비활성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활성 영역 및 활성 영역 내에 포함된 제2 비활성 영역을 갖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활성 영역 내의 개구 및 개구의 경계 영역을 통해 경로지정된 신호 라인들을 갖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금속 층로부터 형성된 신호 경로들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금속 층들로 형성된 데이터 라인들이 어떻게 적층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들이 어떻게 활성 영역 내의 개구의 대향 측면들 상의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 및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 내의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 둘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완 데이터 라인을 포함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보완 데이터 라인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들이 어떻게 활성 영역 내의 개구의 대향 측면들 상의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 및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 내의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 둘 모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완 데이터 라인을 포함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라인들이 어떻게 활성 영역 내의 개구의 대향 측면들 상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 및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 내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 및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 내의 다른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완 데이터 라인을 포함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전자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갖는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디바이스(10)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 내장형 컴퓨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모니터, 태블릿 컴퓨터, 셀룰러 전화기, 미디어 재생기, 또는 다른 핸드헬드 또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손목-시계 디바이스(예컨대, 손목 스트랩을 갖는 시계)와 같은 보다 작은 디바이스, 펜던트(pendant) 디바이스, 헤드폰 또는 이어피스(earpiece) 디바이스, 안경 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다른 장비 내에 내장된 디바이스, 또는 다른 웨어러블 또는 소형 디바이스, 텔레비전, 내장형 컴퓨터를 포함하지 않는 컴퓨터 디스플레이, 게이밍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비가 키오스크(kiosk) 또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시스템과 같은 내장형 시스템, 이들 디바이스들 중 2개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장비, 또는 다른 전자 장비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제어 회로부(16)를 가질 수 있다. 제어 회로부(16)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부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저장소,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른 전기적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정적 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6) 내의 프로세싱 회로부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전력 관리 유닛들, 오디오 칩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 등에 기초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들(18)과 같은, 디바이스(10) 내의 입출력 회로부는, 데이터가 디바이스(10)로 공급될 수 있게 하고 데이터가 디바이스(1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들로 제공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들(18)은 버튼, 조이스틱, 스크롤링 휠, 터치패드, 키패드, 키보드, 마이크로폰, 스피커, 톤 생성기, 진동기, 카메라, 센서, 발광 다이오드 및 기타 상태 표시기, 데이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출력 디바이스들(18)을 통해 커맨드들을 공급함으로써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입출력 디바이스들(18)의 출력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0)로부터 상태 정보 및 기타 출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들(18)은 디스플레이(14)와 같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집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4)는 터치에 불감응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를 위한 터치 센서는 용량성 터치 센서 전극들의 어레이, 음향 터치 센서 구조체들, 저항성 터치 컴포넌트들, 힘-기반 터치 센서 구조체들, 광-기반 터치 센서, 또는 다른 적합한 터치 센서 배열물들에 기초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6)는 운영 체제 코드 및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디바이스(10) 상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의 동작 동안, 제어 회로부(16)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디스플레이(14) 상에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각각이 결정형 반도체 다이로 형성되는 개별적인 발광 다이오드들의 어레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4)의 픽셀들이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구성들은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예로서 기술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이다. 원하는 경우,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디스플레이가 디바이스(10)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는 기판 층(26)과 같은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층(26)과 같은 기판 층들은 직사각형 평면의 재료의 층들 또는 다른 형상들(예를 들어, 원형 형상들 또는 하나 이상의 만곡 및/또는 직선 에지들을 갖는 다른 형상들)을 갖는 재료의 층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의 기판 층들은 유리 층들, 중합체 층들, 중합체 및 무기 재료들을 포함하는 복합체 필름들, 금속 포일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를 위해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픽셀들(22)의 어레이, 예컨대 픽셀 어레이(28)를 가질 수 있다. 어레이(28)의 픽셀들(22)은 행(row)들과 열들로 배열될 수 있다. 어레이(28)의 에지들은 직선 또는 만곡될 수 있다(즉, 어레이(28) 내의 픽셀들(22)의 각각의 행 및/또는 픽셀들(22)의 각각의 열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음). 어레이(28)에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행들 및 열들(예컨대, 10개 이상, 100개 이상 또는 1000개 이상 등)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상이한 컬러의 픽셀들(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디스플레이(14)는 적색 픽셀들, 녹색 픽셀들 및 청색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14)에 백라이트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픽셀들(2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는 집적회로, 박막 트랜지스터 회로, 및/또는 다른 적합한 회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A), 및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20B)와 같은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를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20B)는 디스플레이(14)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20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의 좌변 및 우변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A)(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회로, 박막 트랜지스터 회로부 등)는 신호 경로(24)를 통해 시스템 제어 회로부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24)는 가요성 인쇄 회로 상의 트레이스들 또는 기타 케이블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는 전자 디바이스(10) 내의 하나 이상의 인쇄 회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동작 동안, 제어 회로부(예를 들어, 도 1의 제어 회로부(16))는 디스플레이(14) 상에 표시될 이미지들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회로부(20) 내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같은 회로부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A)는 디스플레이(14)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는 단지 예시적일 뿐이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A)는 디스플레이(14)의 하부 에지를 따라, 디스플레이(14)의 상부 및 하부 둘 모두에, 또는 디바이스(10)의 다른 부분들에 위치될 수 있다.
픽셀들(22) 상에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A)는 신호 경로들(30)을 통해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20B)와 같은 지원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에 제어 신호들을 발행하면서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데이터 라인들(D)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적인 배열에 따라, 데이터 라인들(D)은 디스플레이(14)에 걸쳐서 수직으로 이어지고, 픽셀들(22)의 개개의 열들과 연관된다.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20B)(때때로, 게이트 라인 드라이버 회로부 또는 수평 제어 신호 회로부로 지칭됨)는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있거나, 기판(26) 상의 박막 트랜지스터 회로부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수평 제어 라인들(G)(때때로, 게이트 라인들, 스캔 라인들, 방출 제어 라인들 등으로 지칭됨)은 디스플레이(14)에 걸쳐서 수평으로 이어진다. 각각의 게이트 라인(G)은 픽셀들(22)의 개개의 행과 연관된다. 원하는 경우, 픽셀들의 각각의 행과 연관된 게이트 라인들(G)과 같은 다수의 수평 제어 라인이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게이트 라인 신호(GI) 및 제2 게이트 라인 신호(GW), 하나 이상의 방출 제어 신호 등). 디스플레이(14) 내의 개별적으로 제어된 그리고/또는 글로벌 신호 경로들이 또한 다른 신호들(예를 들어, 전력 공급 신호들 등)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20B)는 디스플레이(14) 내의 게이트 라인들(G) 상에 제어 신호들을 활성설정할(assert)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부(20B)는 경로들(30) 상에서 회로부(20A)로부터 클록 신호들 및 다른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에 응답하여, 어레이(28) 내의 픽셀들(22)의 제1 행에서의 게이트 라인 신호(G)를 시작으로, 순서대로 게이트 라인들 상의 게이트 라인 신호(G)를 활성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게이트 라인이 활성설정됨에 따라, 데이터 라인들(D)로부터의 데이터는 대응되는 픽셀들의 행 내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A, 20B)와 같은 제어 회로부는 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픽셀들(22)에 지시하는 신호들을 픽셀들(22)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픽셀(22)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로부터의 제어 및 데이터 신호들에 응답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부(예를 들어, 기판(26) 상의 박막 회로부)를 가질 수 있다.
어레이(28) 내의 각각의 픽셀(22)에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예시적인 픽셀 회로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의 예에서, 픽셀 회로(22)는 7개의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TD) 및 하나의 커패시터(Cst)를 가지므로, 픽셀 회로(22)는 때때로 7T1C 픽셀 회로로서 지칭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다른 수의 트랜지스터들 및 커패시터들이 픽셀들(22)에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더 적은 트랜지스터들, 더 많은 트랜지스터들, 더 많은 커패시터들 등). 트랜지스터들은 p-채널 트랜지스터들(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p-채널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고/있거나 n-채널 트랜지스터들 또는 다른 유형의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다. 픽셀 회로(22)를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활성 영역들 및 디스플레이(14)의 다른 부분들은 실리콘(예를 들어, 폴리실리콘 채널 영역들), 반도체성 산화물들(예를 들어, 인듐 갈륨 아연 산화물 채널 영역들), 또는 다른 적합한 반도체 박막 층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셀 회로(22)는 발광 다이오드(44)(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 결정형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다이 등)를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44)는 트랜지스터(TD)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44)를 통해 구동되는 전류(I)의 양에 비례하여 광(46)을 방출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D), 트랜지스터(T4), 트랜지스터(T5), 및 발광 다이오드(44)는 개개의 전력 공급 단자들 사이에서 직렬로 결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양의 전력 공급 단자(ELVDD) 및 접지 전력 공급 단자(ELVSS) 참조). 트랜지스터(TD)는 노드(Nb)에 결합된 소스 단자, 트랜지스터(T5)에 결합된 드레인 단자, 및 노드(Na)에 결합된 게이트 단자를 가질 수 있다. 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에서의 노드(Na) 상의 전압은 트랜지스터(TD)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I)의 양을 제어한다. 이 전류는 발광 다이오드(44)를 통해 구동되므로, 트랜지스터(TD)는 때때로 구동 트랜지스터로 지칭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T4, T5)은 트랜지스터(TD)와 다이오드(44) 사이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도록 턴 오프될 수 있고, 트랜지스터들(T4, T5)은 트랜지스터(TD)와 다이오드(44) 사이의 전류 흐름을 가능하게 하도록 턴 온될 수 있다. 방출 인에이블 제어 신호(EM)는 공유된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트랜지스터들(T4, T5)의 게이트들에 인가될 수 있다. 동작 동안, 트랜지스터들(T4, T5)은 방출 인에이블 제어 신호(EM)에 의해 제어되고, 따라서 때때로 방출 트랜지스터들 또는 방출 인에이블 트랜지스터들로서 지칭된다. 때때로 스위칭 트랜지스터 제어 신호들, 스캔 신호들, 또는 게이트 라인 신호들(예를 들어, 게이트 초기화 및 게이트 기입 신호들, 게이트 신호들 등)로 지칭될 수 있는 제어 신호들(GW, GI)은 스위칭 트랜지스터들(T1, T2, T3, T6)의 게이트들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들(T1, T2, T3, T6)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신호들(EM, GI, GW)은 디스플레이(14)의 동작 동안 디스플레이(14)의 픽셀들(22)을 상이한 상태들에 두기 위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상태들 동안, 이미지 데이터가 픽셀들(22) 내에 로딩되고, 픽셀들(22)은 발광 다이오드들(44)을 사용하여 로딩된 픽셀 데이터에 비례하여 광(46)을 방출한다. 트랜지스터 이력(예를 들어, Vgs 이력 값들)의 차이들로 인한 임계 전압 변동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픽셀들 각각은 알려진 전압 스트레스(때때로 온-바이어스 스트레스로 지칭됨)를 구동 트랜지스터들(TD)에 의도적으로 인가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각각의 픽셀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부의 이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픽셀은 임의의 바람직한 회로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비활성 영역 부분을 갖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6)은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들(IA1, IA2)을 갖는다. 활성 영역에서, 기판(26)은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광을 방출하는 픽셀들(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유형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비활성 영역은 임의의 픽셀들을 포함하지 않고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비활성 영역은, 예를 들어 도 2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20A) 및 게이트 구동 회로부(20B)와 같은 디스플레이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 회로부는 디스플레이(14)의 제1 비활성 영역(IA1)에 형성될 수 있다. 비활성 영역(IA1)은 활성 영역과 경계를 이루고, 활성 영역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된다.
디스플레이는 또한 활성 영역의 개구 내에 형성된 고립된 비활성 영역(IA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비활성 영역(IA2)은 활성 영역(AA) 내에 포함된다. 비활성 영역(IA2)은 활성 영역(AA)에 의해 (예컨대, XY-평면 내에서) 완전히 측방향으로 둘러싸인다. 비활성 영역(IA2)은 때때로 섬 형상의 비활성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비활성 영역(IA2) 내에 기판(26) 내의 물리적 구멍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기판(26)은 비활성 영역(IA2) 내에서 투명할 수 있다(픽셀 컴포넌트들은 비활성 영역(IA2)에서 생략됨). 스피커, 카메라, 발광 다이오드(예컨대, 상태 표시자), 광 센서, 근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자기 센서, 압력 센서, 힘 센서, 온도 센서, 또는 기타 센서, 버튼, 터치-감응형 컴포넌트, 마이크로폰 또는 기타 오디오 컴포넌트, 또는 출력을 생성하고/하거나 입력을 수집하는 기타 전기 디바이스와 같은 전기 컴포넌트가 비활성 영역(IA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 내에 비활성 영역을 포함시키는 것은 디스플레이 내에 신호 라인들을 재우회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5는 활성 영역 내의 개구 및 개구 주위의 우회되는 신호들을 구비한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 영역(IA2)은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 내에 형성된다(IA2는 픽셀들(22)에 의해 모든 면에서 둘러싸임). 비활성 영역(IA2)은 물리적 개구(5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52)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판 내의 물리적 구멍일 수 있다. 이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개구(52)는 대신에 어떠한 디스플레이 픽셀 또는 디스플레이 신호 우회 컴포넌트들도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내의 투명 창일 수 있다. 개구(52)는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54)을 수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54)는 입출력 컴포넌트, 예컨대, 스피커, 카메라, 발광 다이오드(예컨대, 상태 표시자), 광 센서, 근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자기 센서, 압력 센서, 힘 센서, 온도 센서, 또는 기타 센서, 버튼, 터치-감응형 컴포넌트, 마이크로폰 또는 기타 오디오 컴포넌트, 또는 출력을 생성하고/하거나 입력을 수집하는 기타 전기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컴포넌트(54)는 물리적 구멍(52)에 의해 비워진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컴포넌트(54)는 개구(52)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기판 아래에 위치설정되고 개구(52)를 통해 외부 자극(예컨대, 광)을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 개구(52) 대신에 투명 창이 형성된 실시예들에서, 컴포넌트(54)는 투명 창 아래에 형성되어 창을 통해 광을 수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내의 비-발광 영역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물리적 개구(52)의 치수들이 비활성 영역(IA2)의 치수들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물리적 개구(52) 주위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내의 신호 라인들의 경로지정을 위한 공간을 허용하는 비-발광 경계(56)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라인(D1)과 같은 일부 데이터 라인들은 비활성 영역(IA2)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다. 이러한 데이터 라인들은 물리적 개구(52) 주위를 우회할 필요가 없이 디스플레이를 가로질러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게이트 라인(G1)과 같은 일부 게이트 라인들은 비활성 영역(IA2)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다. 이러한 게이트 라인들은 물리적 개구(52) 주위를 우회할 필요가 없이 디스플레이를 가로질러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 중 일부는 물리적 개구(52)에 의해 중단되고 따라서 물리적 개구(52) 주위에서 우회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 5에서, 데이터 라인(D2)은 물리적 개구(52)에 의해 중단된다. 데이터 라인(D2)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내의 픽셀들의 주어진 컬럼의 각각의 픽셀에 결합되는 일부분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라인(D2)은 또한 픽셀들의 주어진 컬럼 내의 픽셀(22-1)을 물리적 개구의 반대편 상의 픽셀들의 주어진 컬럼 내의 픽셀(22-2)로 연결하기 위하여 물리적 개구(52) 주위에서 만곡하는 우회 부분(D2-R)을 갖는다. 우회 부분(D2-R)은 데이터 라인(D2)의 수직 부분과는 별개의 평면에(그리고 별개의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라인(G2)은 또한 물리적 개구(52)에 의해 중단된다. 게이트 라인(G2)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내의 픽셀들의 주어진 행의 각각의 픽셀에 결합되는 일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게이트 라인(G2)은 픽셀들의 주어진 행 내의 픽셀(22-3)을 물리적 개구의 반대편 상의 픽셀들의 주어진 행 내의 픽셀(22-4)에 연결하기 위하여 물리적 개구(52) 주위에서 만곡하는 우회 부분(G2-R)을 갖는다. 우회 부분(G2-R)은 게이트 라인(G2)의 수평 부분과는 별개의 평면에(그리고 별개의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라인들의 우회 부분들은 물리적 개구(52) 주위의 비-발광 경계(56)에서 형성될 수 있다. 물리적 개구(52)의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신호 라인들이 경계(56) 내에서 물리적 개구 주위를 우회해야 할 것이다. 이는 원치 않게 경계(56)의 폭(58)을 증가시킬 수 있다. 폭(58)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 신호 라인들은 경계 영역(56) 내에서 적층될 수 있다(따라서 모든 우회되는 신호 라인들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측방향 영역을 감소시킴).
도 6은 활성 영역 내의 물리적 개구 주위의 경계 영역(56) 내의 적층된 데이터 라인들을 갖는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의 측단면도이다(도 5에 도시된 바와 유사함).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은 활성 영역 내에(물리적 개구로부터 멀리) 위치설정되며, 데이터 라인들의 우회는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데이터 라인들은 적층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는 기판 층(26) 상에 형성된 층들을 포함한다. 버퍼 층(64) 및 게이트 절연체 층(66)과 같은 유전체 층들은 기판(2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 층(64)은, 예를 들어, 무기 버퍼 층일 수 있다. 추가 중간층 유전체 층들(68, 70)은 게이트 절연체 층(66)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속 층(78)은 게이트 절연체(66) 상에 형성되고 중간층 유전체 층(68)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금속 층(78)은 디스플레이(14)에 대한 게이트 라인(예컨대, 도 2에서의 게이트 라인(G))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금속 층(80)은 중간층 유전체 층(68) 상에 형성되고, 중간층 유전체 층(7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금속 층(80)은 디스플레이(14)에 대한 게이트 라인(예컨대, 도 2에서의 게이트 라인(G))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금속 층들(78, 80)은 둘 모두 디스플레이 내의 단일 행의 픽셀들에 대한 게이트 라인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층(78)은 신호 GW(도 3 참조)를 행 내의 픽셀들에 제공할 수 있는 반면, 금속 층(80)은 신호 GI(도 3 참조)를 행 내의 픽셀들에 제공할 수 있다.
추가 금속 층(금속 층(82))이 중간층 유전체 층(7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층(82)(SD1)은 디스플레이(14)에 대한 데이터 라인(예컨대, 도 2의 데이터 라인(D))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금속 층(82)은 패시베이션 층(7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패시베이션 층(72)은 질화규소 또는 이산화규소와 같은 무기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 층(72)은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기 평탄화 층들(74, 76)이 패시베이션 층(72)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유기 평탄화 층들(74, 76)은 임의의 바람직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기 평탄화 층들(74, 76)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층(84)(SD2)은 유기 평탄화 층들(74, 7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 내의 물리적 구멍의 경계 이외의 디스플레이의 부분들에서, 금속 층(84)은 디스플레이(14)에 대한 전력 공급 분배 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층(84)은 양의 전력 공급 분배 라인(ELVDD)(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접지 전력 공급 분배 라인(ELVSS)(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개구(52)(도 5 참조) 주위의 경계 영역(56)의 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들은 경계 영역(56)에서 적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에서 데이터 라인들은 금속 층(8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이 경계 영역(56)에 적층되도록 하기 위하여, 비아는 금속 층(82)을(데이터 라인 신호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내의 추가 금속 층들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라인들은 금속 층(82)에 의해 형성된 제1 부분들 및 디스플레이 내의 추가 금속 층들로부터 형성된 추가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데이터 라인들이 적층된 디스플레이의 경계 영역(56)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와 유사한, 버퍼 층(64), 게이트 절연체(66), 중간층 유전체 층들(68, 70), 패시베이션 층(72), 및 유기 평탄화 층들(74, 76)을 구비한 기판(26)을 도시한다. 금속 층들(78, 80)은 도 6에서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도 7은 기판(26) 내의 개구(52)를 도시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개구(52)는 기판 내의 물리적 개구이고, 입출력 컴포넌트(54)는 개구 내에 형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개구(52)는 대신에 투명 창일 수 있고, 입출력 컴포넌트(54)는 투명 창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경계 영역(56)에서, 금속 층(82)은 각각 상이한 데이터 라인 신호들을 전달하는 다수의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82-1)은 제1 데이터 라인 신호를 전달하고, 부분(82-2)은 제2 데이터 라인 신호를 전달하고, 부분(82-3)은 제3 데이터 라인 신호를 전달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부분은 각각의 데이터 라인(D)의 일부를 형성한다. 금속 층(82-1)은 중간층 유전체 층(70) 위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층들(82-2, 82-3)은 비아를 이용하여 추가 금속 층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층(82-2)은 전도성 비아(86)를 이용하여 금속 층(8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 신호는 금속 층(82-2)으로부터 금속 층(84)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이 부분에서, 금속 층(84)은 도 6에서와 같이 양의 전력 공급 분배 라인(ELVDD) 대신에 데이터 라인 부분의 역할을 한다. 전도성 비아(86)는 원하는 경우 금속 층(84)과 동일한 재료(및 동일한 침착 단계)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경계 영역(56) 내의 데이터 라인들에 대한 금속 층들(82, 84) 둘 모두를 이용함으로써 경계 영역(56)의 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경계를 추가적으로 최소화하는 것은 경계 영역(56) 내의 데이터 라인 부분의 역할을 하는 추가 금속 층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층(88)은 게이트 절연체(66)와 버퍼 층(6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층(82-3)은 전도성 비아(90)를 이용하여 금속 층(8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 신호는 금속 층(82-3)으로부터 금속 층(88)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이 부분에서, 금속 층(88)은 데이터 라인 부분의 역할을 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도성 비아(90)는 금속 층(82)과 동일한 재료로부터(동일한 침착 단계에서) 형성된 제1 부분 및 금속 층(78)과 동일한 재료로부터(동일한 침착 단계에서) 형성된 제2 부분을 갖는다. 이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전도성 비아(90)는 임의의 바람직한 수량 및 유형의 금속 층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경계 영역(56) 내에서 데이터 라인의 역할을 하도록 금속 층(88)을 포함시키는 것은 추가로 경계 영역(56)의 폭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경우, 중첩된 데이터 라인들(예컨대, 도 7에서 데이터 라인의 역할을 하는 모든 금속 층(84), 금속 층(82-1), 및 금속 층(88))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피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데이터 라인들은 데이터 라인들 사이의 중첩 영역을 감소시키는 인터레이스된 경로들을 따를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층(88)과 금속 층(84) 사이의 분리는 이러한 데이터 라인들을 크로스-토크로부터 보호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층(88) 및 금속 층(84)은 경계 영역(56)에서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층(88)을 추가 데이터 라인으로서 포함시키는 것은 추가적인 경계 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14)의 경계 영역(56)은 또한 댐 구조물들(92)을 포함할 수 있다. 댐 구조물들(92)은 유기 평탄화 층(76), 추가 유전체 층(94), 및 스페이서 층(96)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유전체 층(94)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픽셀 정의 층(PDL)과 동일한 재료로부터(및 동일한 침착 단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층(96)은 포토스페이서 층일 수 있다. 댐 구조물들(92)의 이러한 예들은 단지 예시일뿐이다. 바람직한 경우, 댐 구조물들(92)은 옵션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댐 구조물들(92)은 또한 옵션적으로 경계 영역(56)의 내측 에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댐 구조물들(92)은 경계 영역(56)의 외측 에지 상에 형성되고, 금속 층들(84, 82-1, 88)은 댐 구조물들(92)과 개구(52) 사이에 개재된다. 대안적으로, 그러나, 댐 구조물들(92)은 경계 영역(56)의 내측 에지 상에 형성될 수 있고, 개구(52)와 금속 층들(84, 82-1, 88)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이 물리적 개구(52) 주위에서 우회되는(그리고 물리적 개구(52) 주위의 경계 영역(56) 내에 적층되는) 도 5 내지 도 7의 예는 데이터 라인 신호들 및 게이트 라인 신호들을 물리적 개구의 모든 면 상의 픽셀들에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옵션이다. 도 8은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들이 물리적 개구의 반대편 상의 픽셀들에 데이터 라인 신호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대안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도 8은 물리적 개구(52)를 구비한 기판(26)을 갖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는 디스플레이 내의 픽셀들의 컬럼들에 신호를 제공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라인(D1)과 같은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는 물리적 개구(52)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라인들은 디스플레이에 걸쳐 연장되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컬럼 내의 각각의 픽셀에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2)과 같은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는 물리적 개구(52)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필요한 데이터 라인 신호들을 물리적 개구(52)의 양 측면 상의 픽셀들에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들(D2)의 각각은 물리적 개구의 제1 측면 상의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2)(때때로 데이터 라인 부분으로 지칭됨) 및 물리적 개구의 제2, 반대편 측면 상의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4)(때때로 데이터 라인 부분으로 지칭됨)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102, 104)은 도 5에서와 같이 물리적 개구의 경계 주위의 데이터 라인의 일부분을 우회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대신, 보완 데이터 라인(106)(때때로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106), 보완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6) 등으로 지칭됨)이 제공된다.
보완 데이터 라인(106)은 전기적 연결(108)에서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IA1) 내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보완 데이터 라인(106)은 (예컨대, 픽셀들 사이의)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AA)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반대편 상의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으로 경로설정된다. 그리고, 보완 데이터 라인(106)은 전기적 연결(110)에서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 내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2)로부터의 신호들은 물리적 개구(52)의 경계 내의 데이터 라인의 우회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4)에 제공된다. 따라서, 도 8에서, 물리적 개구(52)는 매우 작은 경계 영역을 가질 수 있다(왜냐하면 경계 영역을 통해 우회되는 데이터 라인이 없기 때문임). 디스플레이 내의 게이트 라인들은 옵션적으로 여전히 물리적 개구의 경계 영역을 통해 우회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데이트 구동 회로부는 디스플레이의 양면 상에 제공되어, 게이트 라인들을 물리적 개구 주위에서 우회시킬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9는 보완 데이터 라인들(106)을 나타내는 도 8의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의 측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층(26) 상에 형성된 층들은 버퍼 층(64) 및 게이트 절연체 층(66)과 같은 유전체 층들을 포함한다. 추가 중간층 유전체 층들(68, 70)은 게이트 절연체 층(66)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속 층(78)은 게이트 절연체(66) 상에 형성되고 중간층 유전체 층(68)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제2 금속 층(80)은 중간층 유전체 층(68) 상에 형성되고, 중간층 유전체 층(7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에서 금속 층들(78, 80)은 디스플레이(14)에 대한 게이트 라인(G)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에서, 금속 층들(78, 80)은 데이터 라인 신호들에 대한 신호 경로들의 역할을 할 수 있다(예컨대, 금속 층들(78, 80)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부터 데이터 라인들(D)로 신호들을 제공하는 것을 도움).
추가 금속 층(금속 층(82))이 중간층 유전체 층(7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에서 금속 층(82)(SD1)은 디스플레이(14)에 대한 데이터 라인(예컨대, 도 2의 데이터 라인(D))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층(82)은 디스플레이(14)에 대한 전력 공급 분배 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층(82)은 양의 전력 공급 분배 라인(ELVDD)(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접지 전력 공급 분배 라인(ELVSS)(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 층(82)은 패시베이션 층(7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패시베이션 층(72)은 질화규소 또는 이산화규소와 같은 무기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 층(72)은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기 평탄화 층들(74, 76)이 패시베이션 층(72)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유기 평탄화 층들(74, 76)은 임의의 바람직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기 평탄화 층들(74, 76)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층(84)(SD2)은 유기 평탄화 층들(74, 7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층(82)은 디스플레이(14)에 대한 전력 공급 분배 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 영역에서와 유사함). 예를 들어, 금속 층(82)은 양의 전력 공급 분배 라인(ELVDD)(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접지 전력 공급 분배 라인(ELVSS)(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형성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금속 층들(82, 84) 둘 모두 도 9에 도시된 비활성 영역에 양의 전력 공급 분배 라인(ELVDD)을 형성한다.
보완 데이터 라인(106)은 패시베이션 층(72) 위에 형성된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기 평탄화 층(74)은 보완 데이터 라인(106)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보완 데이터 라인(106)은 비아(112)를 이용하여 금속 층(80)(이는 데이터 라인 신호를 제공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도성 비아(112)는 보완 데이터 라인(106)과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2) 사이의 전기적 연결(108)을 형성한다. 도 9에서, 전도성 비아(112)는 보완 데이터 라인(106)과 동일한 재료로부터(동일한 침착 단계에서) 형성된다. 이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전도성 비아(112)는 임의의 바람직한 수량 및 유형의 금속 층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보완 데이터 라인(106)(예컨대, 패시베이션 층(72)과 유기 평탄화 층(74) 사이의 금속 층)은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통해 경로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다른 면 상에서, 다른 전기적 연결(110)은 보완 데이터 라인을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4)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완 데이터 라인(106)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패시베이션 층(72)과 유기 평탄화 층(74) 사이의 금속 층의 이러한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바람직한 경우, 보완 데이터 라인(106)은 디스플레이 내의 다른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내의 다수의 금속 층들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패시베이션 층(72)과 유기 평탄화 층(74) 사이의 (그리고 금속 층들(82, 84)에 의해 형성된 ELVDD 신호 경로들 사이의) 금속 층을 이용하는 것은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 보완 데이터 라인이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통해 경로설정되어 디스플레이 내의 개구의 대향 측면들 상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에서,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에 대한 보완 데이터 라인의 전기적 연결들은 둘 모두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에 있다. 그러나, 이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에 대한 보완 데이터 라인의 전기적 연결들은 대신에 둘 모두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에 있을 수 있다(도 10에서와 같음).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완 데이터 라인과 하나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 내에 있을 수 있고, 보완 데이터 라인과 다른 하나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 내에 있을 수 있다(도 11에서와 같음).
도 10은 물리적 개구(52)를 구비한 기판(26)을 갖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는 디스플레이 내의 픽셀들의 컬럼들에 신호들을 제공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라인(D1)과 같은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는 물리적 개구(52)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라인들은 디스플레이에 걸쳐 연장되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컬럼 내의 각각의 픽셀에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2)과 같은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는 물리적 개구(52)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필요한 데이터 라인 신호들을 물리적 개구(52)의 양 측면 상의 픽셀들에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들(D2)의 각각은 물리적 개구의 제1 측면 상의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2)(때때로 데이터 라인 부분으로 지칭됨) 및 물리적 개구의 제2, 반대편 측면 상의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4)(때때로 데이터 라인 부분으로 지칭됨)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102, 104)은 도 5에서와 같이 물리적 개구의 경계 주위의 데이터 라인의 일부분을 우회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대신, 보완 데이터 라인(106)이 제공된다.
보완 데이터 라인(106)은 전기적 연결(108)에서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AA) 내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보완 데이터 라인(106)은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통해 경로설정되어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 내의 전기적 연결(110)에서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2)로부터의 신호들은 물리적 개구(52)의 경계 내의 데이터 라인의 우회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4)에 제공된다. 따라서, 도 10에서, 물리적 개구(52)는 매우 작은 경계 영역을 가질 수 있다(왜냐하면 경계 영역을 통해 우회되는 데이터 라인이 없기 때문임). 디스플레이 내의 게이트 라인들은 옵션적으로 여전히 물리적 개구의 경계 영역을 통해 우회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데이트 구동 회로부는 디스플레이의 양면 상에 제공되어, 게이트 라인들을 물리적 개구 주위에서 우회시킬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보완 데이터 라인들(106)은 패시베이션 층(72)과 유기 평탄화 층(74) 사이의 금속 층(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다른 원하는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부분(114)과 같은 보완 데이터 라인들(106)의 수평 부분들은 방출 인에이블 제어 신호(EM)를 픽셀들에 제공하는 신호 라인 위로 경로설정될 수 있다(방출 인에이블 제어 신호(EM)가 트랜지스터(T4, T5)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도 3 참조). 방출 인에이블 제어 신호(EM)를 제공하는 신호 라인은 때때로 게이트 라인 또는 방출 라인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방출 인에이블 제어 신호(EM)를 제공하는 게이트 라인 위로 보완 데이터 라인들(106)의 수평 부분들을 경로설정하는 것은 크로스-토크를 완화시킬 수 있다. 수직 부분(116)과 같은 보완 데이터 라인들(106)의 수직 부분들은 금속 층들(82, 84)(도 9에 도시된 바와 유사함)로부터 형성된 양의 전력 신호 공급 경로들(예컨대, ELVDD 공급 라인들) 사이에서 경로설정되어 크로스-토크를 완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보완 데이터 라인들과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도 10에서와 같음) 내의 두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개구(52)가 큰 경우(다수의 데이터 라인들이 중단될 것이고 그럼으로써 다수의 보완 데이터 라인들이 필요할 것임을 의미함) 및/또는 물리적 개구가 활성 영역의 에지에 가까이 위치설정된 경우(보완 데이터 라인들을 경로설정하고 전기적 연결(110)을 만들기 위한 공간이 제한될 것임을 의미함), 보완 데이터 라인들과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 내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 중 하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1은 이 유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물리적 개구(52)를 구비한 기판(26)을 갖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는 디스플레이 내의 픽셀들의 컬럼들에 신호들을 제공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 라인(D1)과 같은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는 물리적 개구(52)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다. 데이터 라인들(D2)과 같은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는 물리적 개구(52)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필요한 데이터 라인 신호들을 물리적 개구(52)의 양 측면 상의 픽셀들에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들(D2)의 각각은 물리적 개구의 제1 측면 상의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2) 및 물리적 개구의 제2, 반대편 측면 상의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4)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들(102, 104)은 도 5에서와 같이 물리적 개구의 경계 주위의 데이터 라인의 일부분을 우회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대신, 보완 데이터 라인(106)이 제공된다.
보완 데이터 라인(106)은 전기적 연결(108)에서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AA) 내의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서 보완 데이터 라인(106)은 디스플레이의 활성 영역을 통해 경로설정되어 디스플레이의 비활성 영역 내의 전기적 연결(110)에서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2)로부터의 신호들은 물리적 개구(52)의 경계 내의 데이터 라인의 우회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104)에 제공된다. 따라서, 도 11에서, 물리적 개구(52)는 매우 작은 경계 영역을 가질 수 있다(왜냐하면 경계 영역을 통해 우회되는 데이터 라인이 없기 때문임). 디스플레이 내의 게이트 라인들은 옵션적으로 여전히 물리적 개구의 경계 영역을 통해 우회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데이트 구동 회로부는 디스플레이의 양면 상에 제공되어, 게이트 라인들을 물리적 개구 주위에서 우회시킬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1에서, 보완 데이터 라인들(106)은 패시베이션 층(72)과 유기 평탄화 층(74) 사이의 금속 층(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다른 원하는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0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수평 부분(114)과 같은 보완 데이터 라인들(106)의 수평 부분들은 방출 인에이블 제어 신호(EM)를 픽셀들에 제공하는 신호 라인 위로 경로설정될 수 있다. 수직 부분(116)과 같은 보완 데이터 라인들(106)의 수직 부분들은 금속 층들(82, 84)(도 9에 도시된 바와 유사함)로부터 형성된 양의 전력 신호 공급 경로들(예컨대, ELVDD 공급 라인들) 사이에서 경로설정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둘 이상의 전술된 배열들이 단일 디스플레이 내의 데이터 라인들에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라인은 전술된 배열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활성 영역 내의 물리적 개구의 양면 상의 픽셀들에 데이터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활성 영역 및 활성 영역 내의 개구를 갖는 기판 - 개구는 제1 및 제2 대향 측면들을 갖고, 경계 영역에 의해 둘러싸임 -, 픽셀들의 어레이에 결합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및 픽셀들의 어레이에 결합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서브세트는 경계 영역 내에서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 우회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서브세트는 제1 평면 내에 형성된 제1 금속 층, 제1 평면보다 낮은 제2 평면 내에 형성된 제2 금속 층 및 제2 평면보다 낮은 제3 평면 내에 형성된 제3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된 경계 영역 내의 부분들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평면과 제3 평면 사이에 개재된 제4 평면에 형성된 제4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4 평면과 상이하고 제2 평면과 제3 평면 사이에 개재된 제5 평면에 형성된 제5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제1 금속 층과 제2 금속 층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제1 유전체 층 및 제2 금속 층과 제3 금속 층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제2 유전체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제1 유전체 층은 유기 평탄화 층 및 무기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제2 유전체 층은 중간층 유전체 층 및 게이트 절연체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제3 금속 층과 기판 사이에 개재된 버퍼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제3 금속 층을 제2 금속 층의 제1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전도성 비아; 및 제1 금속 층을 제2 금속 층의 제2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도성 비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금속 층은 경계 영역 내에 형성된 제1 부분 및 제1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활성 영역 내에 형성된 제2 부분을 갖고, 제1 금속 층의 제1 부분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서브세트 중 일부를 형성하고, 제1 금속 층의 제2 부분은 양의 전력 공급 분배 라인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금속 층은 경계 영역 내에 형성된 제1 부분 및 활성 영역 내에 형성된 제2 부분을 갖고, 제2 금속 층의 제1 부분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서브세트 중 일부를 형성하고, 제2 금속 층의 제2 부분은 활성 영역 내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부분들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금속 층은 활성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기판 상에 형성된 무기 버퍼 층 및 무기 버퍼 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체 층을 포함하고, 제3 금속 층은 게이트 절연체 층과 무기 버퍼 층 사이에 개재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제1 및 제2 중간층 유전체 층들, 제1 중간층 유전체 층에 의해 덮인 제4 금속 층 및 제2 중간층 유전체 층에 의해 덮인 제5 금속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제2 중간층 유전체 층 상에 형성된 무기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고, 제2 금속 층은 무기 패시베이션 층과 제2 중간층 유전체 층 사이에 개재되고, 제1 유기 평탄화 층은 무기 패시베이션 층 상에 형성되고, 제2 유기 평탄화 층은 제1 유기 평탄화 층 상에 형성되고, 제3 금속 층은 제1 유기 평탄화 층과 제2 유기 평탄화 층 사이에 개재된다.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활성 영역 및 활성 영역 내의 개구를 갖는 기판 - 개구는 제1 및 제2 대향 측면들을 가짐 -, 픽셀들의 어레이에 결합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및 픽셀들의 어레이에 결합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제1 부분은 개구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제2 부분은 개구에 의해 중단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제2 부분 내의 각각의 데이터 라인은 개구의 제1 측면 상의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개구의 제2 측면 상의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및 활성 영역을 통해 경로설정되고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및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은 활성 영역을 둘러싼 비활성 영역을 갖고, 비활성 영역은 제1 및 제2 대향 측면들을 갖고, 각각의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비활성 영역의 제1 측면 상의 각각의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비활성 영역의 제2 측면 상의 각각의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은 활성 영역을 둘러싼 비활성 영역을 갖고, 각각의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활성 영역 내의 각각의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비활성 영역 내의 각각의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활성 영역 내의 각각의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활성 영역 내의 각각의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금속 층에 의해 형성되고, 제1 금속 층은 양의 전력 공급 분배 라인을 형성하는 제2 금속 층과 제3 금속 층 사이에 개재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들의 제1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방출 인에이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방출 라인 위로 경로설정된 제1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된 수평 부분을 갖고, 제1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수평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직 부분을 갖고, 수직 부분은 양의 전력 공급 분배 경로 위로 경로설정된 제2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픽셀들의 어레이를 구비한 활성 영역 및 활성 영역을 둘러싼 비활성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로서, 활성 영역 내의 물리적 개구를 갖는 기판,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중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1 금속 층, 제1 금속 층 위에 형성된 제2 금속 층 - 제2 금속 층은 양의 전력 공급 분배 경로를 형성하는 활성 영역 내의 제1 부분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제1 서브세트의 추가 부분을 형성하는 물리적 개구 주위의 경계 영역 내의 제2 부분을 가짐 - 및 물리적 개구 주위의 경계 영역 내의 제1 금속 층 아래에 형성된 제3 금속 층 - 제3 금속 층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제2 서브세트의 추가 부분을 형성함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금속 층은 물리적 개구 주위의 경계 영역 내의 제3 금속 층과 중첩된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로서,
    픽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비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 내의 개구를 갖는 기판 - 상기 개구는 제1 및 제2 대향 측면들을 가짐 -; 및
    상기 픽셀들의 어레이에 결합된 복수의 신호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라인들의 제1 부분은 상기 개구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신호 라인들의 제2 부분은 상기 개구에 의해 중단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라인들의 상기 제2 부분 내의 신호 라인은 상기 개구의 제1 측면 상의 제1 신호 라인 세그먼트, 상기 개구의 제2 측면 상의 제2 신호 라인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완 신호 라인 경로를 갖고,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1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활성 영역을 통해 경로지정되는, 디스플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영역은 제1 및 제2 대향 측면들을 갖고,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의 상기 제1 측면 상에서 상기 제1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의 상기 제2 측면 상에서 상기 제2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2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2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제1 금속 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 층은 전력 공급 분배 라인을 형성하는 제2 및 제3 금속 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방출 인에이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방출 라인 위에서 경로지정되는 제1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되는 제1 부분을 갖는, 디스플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제1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부분을 갖고, 상기 제2 부분은 전력 공급 분배 경로 위에서 경로지정되는 제2 금속 층으로부터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9. 디스플레이로서,
    픽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비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 내의 개구를 갖는 기판 - 상기 개구는 제1 및 제2 대향 측면들을 가짐 -; 및
    상기 픽셀들의 어레이에 결합된 복수의 신호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라인들의 제1 부분은 상기 개구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신호 라인들의 제2 부분은 상기 개구에 의해 중단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 라인들의 상기 제2 부분 내의 신호 라인은 상기 개구의 상기 제1 측면 상의 제1 신호 라인 세그먼트, 상기 개구의 제2 측면 상의 제2 신호 라인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신호 라인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완 신호 라인 경로를 갖고,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제1 금속 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 층은 상기 픽셀들의 어레이에 대한 전력 공급 분배 라인을 형성하는 제2 및 제3 금속 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활성 영역을 통해 경로지정되는, 디스플레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영역은 제1 및 제2 대향 측면들을 갖고,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의 상기 제1 측면 상에서 상기 제1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의 상기 제2 측면 상에서 상기 제2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2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는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2 신호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의 제1 부분은 상기 제1 금속 층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보완 신호 라인 경로의 제2 부분은 방출 인에이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방출 라인 위로서 경로지정되는, 디스플레이.
  15. 디스플레이로서,
    픽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비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 내의 개구를 갖는 기판 - 상기 개구는 제1 및 제2 대향 측면들을 가짐 -; 및
    상기 픽셀들의 어레이에 결합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제1 부분은 상기 개구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제2 부분은 상기 개구에 의해 중단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의 상기 제2 부분 내의 데이터 라인은 상기 개구의 상기 제1 측면 상의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상기 개구의 상기 제2 측면 상의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를 갖고, 상기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상기 활성 영역을 통해 경로지정되는, 디스플레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영역은 제1 및 제2 대향 측면들을 갖고, 상기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의 상기 제1 측면 상에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의 상기 제2 측면 상에서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상기 비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상기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2 데이터 라인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데이터 라인 경로는 제1 금속 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 층은 전력 공급 분배 라인을 형성하는 제2 및 제3 금속 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디스플레이.
KR1020227030140A 2018-08-21 2019-08-08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KR102490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20705P 2018-08-21 2018-08-21
US62/720,705 2018-08-21
US16/505,532 2019-07-08
US16/505,532 US10852607B2 (en) 2018-08-21 2019-07-08 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PCT/US2019/045646 WO2020041002A1 (en) 2018-08-21 2019-08-08 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KR1020217004380A KR102440021B1 (ko) 2018-08-21 2019-08-08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380A Division KR102440021B1 (ko) 2018-08-21 2019-08-08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790A KR20220126790A (ko) 2022-09-16
KR102490964B1 true KR102490964B1 (ko) 2023-01-19

Family

ID=695860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380A KR102440021B1 (ko) 2018-08-21 2019-08-08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KR1020227030140A KR102490964B1 (ko) 2018-08-21 2019-08-08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380A KR102440021B1 (ko) 2018-08-21 2019-08-08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10852607B2 (ko)
EP (2) EP4255155A3 (ko)
JP (3) JP7137706B2 (ko)
KR (2) KR102440021B1 (ko)
CN (2) CN116300226A (ko)
TW (1) TWI721528B (ko)
WO (1) WO2020041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2607B2 (en) * 2018-08-21 2020-12-01 Apple Inc. 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US11852938B2 (en) 2018-08-21 2023-12-26 Apple Inc. 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JP7057740B2 (ja) 2018-08-30 2022-04-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200088930A (ko) * 2019-01-15 2020-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148384B (zh) * 2019-06-28 2021-08-03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和像素驱动电路的驱动方法
KR20210014810A (ko) * 2019-07-30 2021-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473883B (zh) * 2019-08-21 2021-01-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oled显示装置
US11778874B2 (en) * 2020-03-30 2023-10-03 Apple Inc. Reducing border width around a hole in display active area
KR20210127270A (ko) * 2020-04-13 2021-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627335B (zh) * 2020-06-10 2022-08-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5148776A (zh) * 2022-06-30 2022-10-04 厦门天马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7902A (ja) * 2007-08-20 2009-03-05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2010032760A (ja) * 2008-07-29 2010-02-12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2010066461A (ja) * 2008-09-10 2010-03-25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KR102006775B1 (ko) 2012-08-30 2019-08-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5909198B2 (ja) 2013-01-21 2016-04-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CN105164743B (zh) 2013-03-15 2018-05-25 夏普株式会社 有源矩阵基板、有源矩阵基板的制造方法以及显示面板
KR102096051B1 (ko) * 2013-03-27 2020-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704888B2 (en) * 2014-01-08 2017-07-11 Apple Inc. Display circuitry with reduced metal routing resistance
WO2015183334A1 (en) 2014-05-28 2015-12-03 Pylemta Management Llc Narrow border touch screen
KR102263982B1 (ko) * 2014-10-20 2021-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1309B1 (ko) * 2015-06-25 2022-08-11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표시 장치
WO2017037560A1 (en) 2015-08-28 2017-03-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9853096B1 (en) * 2015-09-18 2017-12-26 Apple Inc. Display with inactive area surrounded by active area
US10670917B2 (en) 2015-10-05 2020-06-02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70110041A1 (en) * 2015-10-14 2017-04-20 Innolux Corporation Display panel
KR102476563B1 (ko) * 2015-12-01 2022-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65379B1 (ko) * 2015-12-02 2022-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0891B1 (ko) * 2015-12-04 2023-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241609B2 (en) 2015-12-30 2019-03-2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KR20170077780A (ko) * 2015-12-28 2017-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83956B1 (ko) * 2016-03-31 2023-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6110B1 (ko) 2016-04-12 2023-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7305757A (zh) * 2016-04-21 2017-10-31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180000771A (ko) * 2016-06-23 2018-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95102B1 (ko) 2016-11-01 2023-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807223B2 (ja) * 2016-11-28 2021-01-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255355B (zh) * 2016-12-29 2021-01-15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内嵌式触控显示面板
CN110199341A (zh) * 2017-01-24 2019-09-03 夏普株式会社 柔性显示器
CN106896609B (zh) * 2017-04-28 2019-11-1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包括其的显示装置
CN107104113B (zh) * 2017-06-30 2019-08-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7221281B (zh) 2017-07-17 2021-02-0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7342036B (zh) * 2017-08-21 2020-10-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7870492B (zh) * 2017-10-31 2020-06-0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CN108277473B (zh) * 2018-01-22 2020-05-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掩膜装置、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8649133A (zh) 2018-03-30 2018-10-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其制备方法和有机发光显示装置
CN108847415B (zh) * 2018-06-29 2020-08-1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栅极驱动电路以及显示面板
US10852607B2 (en) * 2018-08-21 2020-12-01 Apple Inc. 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CN108983519A (zh) * 2018-08-31 2018-12-11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器
KR102663899B1 (ko) * 2018-09-28 202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55155A2 (en) 2023-10-04
US20230221606A1 (en) 2023-07-13
JP2022171731A (ja) 2022-11-11
TW202026837A (zh) 2020-07-16
CN110851010A (zh) 2020-02-28
US20220066272A1 (en) 2022-03-03
JP7137706B2 (ja) 2022-09-14
CN116300226A (zh) 2023-06-23
KR20220126790A (ko) 2022-09-16
EP3841615A1 (en) 2021-06-30
US10852607B2 (en) 2020-12-01
WO2020041002A8 (en) 2021-02-25
US11204534B2 (en) 2021-12-21
KR102440021B1 (ko) 2022-09-07
TWI721528B (zh) 2021-03-11
US20210041752A1 (en) 2021-02-11
JP2023104943A (ja) 2023-07-28
JP2021533424A (ja) 2021-12-02
KR20210033009A (ko) 2021-03-25
WO2020041002A1 (en) 2020-02-27
JP7476265B2 (ja) 2024-04-30
EP3841615B1 (en) 2023-10-11
EP4255155A3 (en) 2023-11-22
US11619851B2 (en) 2023-04-04
US20200064702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964B1 (ko) 개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라인들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KR102181916B1 (ko) 보충 로딩 구조체를 갖는 디스플레이
US9336709B2 (en) Displays with overlapping light-emitting diodes and gate drivers
US11049445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narrow display borders
US10311782B2 (en)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reduced leakage
US9704888B2 (en) Display circuitry with reduced metal routing resistance
US979971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barrier layer
KR20210130781A (ko) 픽셀 정의 층을 갖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KR20210140746A (ko) 디스플레이 아래의 센서들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구성
US8994906B2 (en) Display with multilayer and embedded signal lines
US10019090B2 (en) Display with touch sensor circuitry
WO2018038814A1 (en) Dummy pixels in electronic device displays
JP7483914B2 (ja) 低減したルーティング線抵抗を有する大型パネルディスプレイ
US11852938B2 (en) Displays with data lines that accommodate openings
US20240065057A1 (en) Fanout Lines with Shielding in an Active Area
US10950679B1 (en) Display having vertically driven gate and data paths
JP2023520649A (ja) 表示アクティブエリアの穴の周囲の境界幅の低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