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826B1 -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 Google Patents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826B1
KR102490826B1 KR1020220061998A KR20220061998A KR102490826B1 KR 102490826 B1 KR102490826 B1 KR 102490826B1 KR 1020220061998 A KR1020220061998 A KR 1020220061998A KR 20220061998 A KR20220061998 A KR 20220061998A KR 102490826 B1 KR102490826 B1 KR 10249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ck
way car
roads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근
박영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랙앤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랙앤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랙앤로드
Priority to KR102022006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1/00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 B60F1/04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with rail and road wheels on different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관한 것으로서, 투웨이카의 하부에 형성되며 도로 또는 선로에 따라 바퀴를 가변되어 주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화물 또는 장비를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크레인을 통해 상기 화물 또는 상기 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승강에 의해 고소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소작업부와, 상기 이송부, 상기 지지부, 상기 고소작업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Two-way car to move tracks and roads for railwa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본 발명은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철도를 건설하거나 유지보수할 때 사용되는 장치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도로 또는 선로에 따라 바퀴를 가변시켜 이동할 수 있는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관한 것이다.
투웨이카는 철도 선로와 일반 도로를 모두 주행할 수 있는 차량을 의미하며 신규 궤도부설 및 전차선 지지물 설치 작업 또는 철도의 유지보수 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철도 신선 건설은 노반(토목)공사 완료 시점이 공정에 따라 개소별로 다르기 때문에 궤도, 전차선, 신호, 통신 등 후속 공종은 노반이 완료된 개소별로 투입 가능한 순서를 정해서 진행된다.
이때 궤도 유무에 따라 후속 공정의 시공 장비 및 작업방법이 달라지며, 전차선공사의 경우 궤도가 없는 개소에서 고소작업차, 카고트럭, 크레인, 오거, 레미콘 등 도로용 특장차를 활용하여 시공하고, 궤도가 부설된 후에는 전철모터카 및 평판화차, 가선차 등 철도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도로를 따라 배전선로를 시공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업방법이 매우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며 시공비도 월등히 소요된다.
현실적으로 작업현장에 궤도가 부설되어 있음에도 기존 운영노선과 궤도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도로용 장비와 철도장비의 진입이 모두 불가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상당하며, 필요시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별도의 철도장비를 이송, 투입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철도장비의 작업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운행 중인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 철도운영사의 승인이 필요하며, 사전협의 및 행정기간으로 1개월 이상 지연되어 공사일정에 차질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1028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와 선로에 맞춰 바퀴가 가변될 수 있어 공사 또는 작업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이 가능한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화물을 운반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작업공정 맞는 장비를 탈부착하여 운반 및 사용할 수 있는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로를 주행하기 위해 바퀴가 가변될 때 선로의 위치에 맞춰 차량의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선로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주행 가능하도록 하는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는 투웨이카의 하부에 형성되며 도로 또는 선로에 따라 바퀴를 가변되어 주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화물 또는 장비를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크레인을 통해 상기 화물 또는 상기 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승강에 의해 고소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소작업부와, 상기 이송부, 상기 지지부, 상기 고소작업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웨이카의 하부에 다수 개가 분산되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하중을 지면에 분산하고 상기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바퀴와, 상기 투웨이카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선로에 접촉되어 상기 선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방궤도주행유닛과, 상기 투웨이카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선로에 접촉되어 상기 선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후방궤도주행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상기 제어부는 지면을 촬영하여 도로와 선로를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면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면카메라는 상기 투웨이카가 상기 선로에 진입하였을 때 상기 선로의 위치를 영상으로 제공하고, 상기 전방궤도주행유닛 및 상기 후방궤도주행유닛의 위치와 상기 선로의 위치가 정렬되기 위한 보정 값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가 선로 주행 중 긴급제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전방궤도주행유닛 및 상기 후방궤도주행유닛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전방궤도주행유닛 및 상기 후방궤도주행유닛의 제동력과 상기 구동바퀴의 제동력을 이용하여 긴급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상기 지지부는 상부면에 상기 고소작업부가 적재되면 상기 고소작업부의 위치를 정렬하고 자기력에 의해 임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틱의 상부 방면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소작업부를 하부 방면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수 개의 클램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유압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어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소작업부를 자동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상기 고소작업부는 지지부에 형성되며 외부인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안전펜스와, 상기 안전펜스 내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승강유닛과, 상기 제1승강유닛의 상단에 결합되며 작업자가 수평방면으로 이동하면서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제1작업대와, 상기 제1작업대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승강유닛과, 상기 제2승강유닛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작업대 보다 높은 위치의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작업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웨이카의 수평상태를 측정 및 판단하여 자세가 수평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고소작업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소작업부에 작업자가 탑승한 경우 상기 이송부가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크레인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상기 전방주행궤도유닛은 상기 투웨이카의 하부 전방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에 형성되어 유압모터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전방구동축과, 상기 전방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륜과, 상기 전방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방구동축을 따라 회전되는 전방제동디스크와, 상기 전방제동디스크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압에 의해 작동되면 회전되는 상기 전방제동디스크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방구동축을 제동시키는 전방제동패드와, 상기 전방프레임에 형성되며 선로 또는 도로주행에 따라 상기 구동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회동축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범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상기 후방궤도주행유닛은 상기 투웨이카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에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유압모터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두 개의 후방구동축과, 상기 두 개의 후방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후륜과, 상기 두 개의 후방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후방구동축을 따라 회전되는 후방제동디스크와, 상기 후방제동디스크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압에 의해 작동되면 회전되는 상기 후방제동디스크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후방구동축을 제동시키는 후방제동패드와,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방프레임을 회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회동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의하면, 도로와 선로에 맞춰 바퀴가 가변될 수 있어 공사 또는 작업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의하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화물을 운반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작업공정 맞는 장비를 탈부착하여 운반 및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의하면, 선로를 주행하기 위해 바퀴가 가변될 때 선로의 위치에 맞춰 차량의 위치를 보정하도록 유도하여 선로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가 도로를 주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가 선로를 주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고소작업부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고소작업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전방궤도주행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의 후방궤도주행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철도를 건설하거나 유지보수할 때 사용되는 장치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도로 또는 선로에 따라 바퀴를 가변시켜 이동할 수 있는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가 도로를 주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가 선로를 주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12)와 도로(11)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10)는 투웨이카(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도로(11) 또는 선로(12)에 따라 바퀴를 가변되어 주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부(100)와, 이송부(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화물 또는 장비를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크레인(230)을 통해 화물 또는 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부(200)와, 이송부(100), 지지부(200), 고소작업부(3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부(100)는 투웨이카(10)의 하부에 다수 개가 분산되어 형성되어 지지부(200)에 하중을 지면에 분산하고 도로(11)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바퀴(110)와, 투웨이카(10)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선로(12)에 접촉되어 선로(12)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투웨이카(10)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선로(12)에 접촉되어 선로(12)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후방궤도주행유닛(1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웨이카(10)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화물차 또는 상용차를 이용하여 선로(12)와 도로(11) 주행이 가능하도록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므로, 전면에는 주행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21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투웨이카(10)는 일반적인 화물차 또는 상용차에 대한 기능 및 구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항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송부(100)는 투웨이카(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도로(11)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식 타이어로 이루어진 구동바퀴(110)와 철도의 선로(12)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궤도주행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이송부(100)는 도로(11)를 주행할 때에는 구동바퀴(110)만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궤도주행유닛을 상부 방면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하며, 선로(12)를 주행할 때에는 구동바퀴(110)가 선로(12)의 궤도(레일)에 닿지 않도록 궤도주행유닛이 하부로 하강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즉, 궤도주행유닛이 상부 방면으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구동바퀴(110)만 지면에 닿아 투웨이카(10)에 형성된 엔진을 기반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할 수 있게 되고, 궤도주행유닛이 하부 방면으로 하강된 상태에서는 궤도주행유닛에 형성된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선로(12)를 따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궤도주행유닛은 투웨이카(10)의 하부 전면에 형성된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하부 후면에 후방궤도주행유닛(130)으로 나누어져 있어 하중을 분산시킨 상태로 선로(12)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궤도주행유닛의 세부 구조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부(200)는 투웨이카(10)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화물차의 적재함(2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크레인(230)과 고소작업부(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크레인(230)은 적재함(210)의 상부 일단에 위치되어 있으며 적재함(210)에 철도공사에 필요한 화물이나 공구, 장비를 실어 나르거나 크레인(230)을 통해 화물을 공사현장의 적재적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230)은 지지부(200)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붐을 이용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고, 각각의 붐은 서로 포개어져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크레인(230)의 끝에는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를 통해 갈고리의 위치를 붐으로부터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크레인(230)의 끝에는 작업대를 장착하여 작업자가 고소작업할 수 있도록 퀵클램프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퀵클램프를 통해 갈고리 외에 다른 중장비를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고소작업대를 장착하여 작업자가 다양한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부(200)의 적재함(210) 양측에는 다수 개의 아웃트리거(220)가 마련되어 있어 크레인(230)이나 고소작업부(300)가 작동될 때 투웨이카(10)가 흔들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웃트리거(220)는 제어부에 의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투웨이카(10)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아웃트리거(220)나 승강되는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아웃트리거(220)에 의해 투웨이카(10)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어부는 투웨이카(10)의 수평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정된 수평상태를 기반으로 각각의 아웃트리거(2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는 투웨이카(10) 및 투웨이카(10)에 장착된 각종 장치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아 운전자에게 작동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충돌발생이나 사고위험이 있는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투웨이카(1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각종 환경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 장치의 동작으로부터 발생되는 사고위험도를 측정하여 위험률이 상승한 경우 작동을 정지시키고 작업자에게 안내하여 사고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지면을 촬영하여 도로(11)와 선로(12)를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면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노면카메라는 투웨이카(10)가 선로(12)에 진입하였을 때 선로(12)의 위치를 영상으로 제공하고, 전방궤도주행유닛(120) 및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의 위치와 선로(12)의 위치가 정렬되기 위한 보정 값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웨이카(10)는 신규철도공사 또는 유지보수공사가 필요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해 도로(11)를 따라 고속주행하게 이후 선로(12)로 진입하여 유지보수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로(11)에서 선로(1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선로(12)에 형성된 두 개의 궤도(레일)사이에 궤도주행유닛이 위치되어야 선로(12)를 따라 주행이 가능하며, 투웨이카(10)에 형성된 구동바퀴(110)의 폭에 비해 궤도주행유닛의 폭이 더 좁기 때문에 투웨이카(10)의 운전석에서 선로(12)의 폭에 맞춰 궤도주행유닛이 궤도(레일)에 안착되도록 조절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궤도주행유닛의 위치가 두 개의 궤도(레일) 사이에 안착되어 선로(12)를 주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카메라(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선로(12)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카메라는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투웨이카(10)가 선로(12)로 진입하여 카메라에 두 개의 궤도(레일)가 촬영되면 운전석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에 두 개의 궤도(레일) 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카메라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각각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는 전방에서 촬영된 두 개의 궤도(레일)와 후방에서 촬영된 두 개의 궤도(레일)가 동일한 위치에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운전자가 선로(12)에 맞춰 투웨이카(1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에서 촬영된 영상과 후방에서 촬영된 영상에는 각각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이 하강되었을 때 바퀴가 궤도(레일)에 접촉되는 위치를 가상의 선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되며, 이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을 안정적으로 선로(12)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제어부는 자율주행을 적용하여 선로(12)에 진입하였을 때 제어부에서 감지되는 궤도(레일)의 위치에 맞춰 투웨이카(10)의 위치를 자동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에는 각각 하강되어 궤도(레일)에 접촉되었을 때 접촉상태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각각의 바퀴에 형성되어 있어,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에 의해 제어부는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의 바퀴가 궤도(레일)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었는지 검토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이 하강된 상태에서 각각의 바퀴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다르게 감지되면 제어부는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을 상승시킨 후 운전자를 통해 위치를 보정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은 각각 투웨이카(10)의 하부면에서 좌우 방면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궤도(레일)의 위치와 전방궤도주행유닛(120) 및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의 위치가 서로 틀어져 있더라도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을 궤도(레일)에 맞춰 회전시켜 정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이 궤도(레일)에 안착된 후 주행되면서 회전된 상태가 원상태로 서서히 복귀되도록 하여 보다 쉽게 선로(12)에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는 이송부(100)가 선로(12) 주행 중 긴급제동이 필요한 경우 전방궤도주행유닛(120) 및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구동바퀴(110)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유도하고, 전방궤도주행유닛(120) 및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의 제동력과 구동바퀴(110)의 제동력을 이용하여 긴급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부(100)는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에 형성된 유압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기반으로 선로(12)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동패드 및 디스크를 이용하여 선로(12)에서 속도를 감속하여 정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궤도(레일)와 접촉되는 바퀴의 마찰력이 적기 때문에 슬립이 발생될 수 있어 긴급제동이 어렵기 때문에 고속주행에 의한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긴급제동이 필요한 경우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구동바퀴(110)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동바퀴(110)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투웨이카(10)를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선로(12)주행 중 긴급 정지가 필요한 경우 전방궤도주행유닛(120)과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의 제동기능과 구동바퀴(110)의 제동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추돌사고를 방지하여 화물 낙하 등에 의한 2차 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12)와 도로(11)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10)에 고소작업부(30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12)와 도로(11)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10)의 고소작업부(300)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12)와 도로(11)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10)는 지지부(200)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승강에 의해 고소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소작업부(300)를 더 포함하며, 고소작업부(300)는 지지부(200)에 형성되며 외부인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안전펜스(370)와, 안전펜스(370) 내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승강유닛(330)과, 제1승강유닛(330)의 상단에 결합되며 작업자가 수평방면으로 이동하면서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제1작업대(310)와, 제1작업대(310)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승강유닛(340)과, 제2승강유닛(34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1작업대(310) 보다 높은 위치의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작업대(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소작업부(300)는 높은 위치에 형성된 철도시설물을 설치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투웨이카(10)가 설치 위치나 유지보수위치에 도달하면 고소작업부(300)가 상부 방면으로 승강되면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소작업부(300)는 지지부(200)에 형성된 적재함(210)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작업공정이나 사용유무에 따라 분리하거나 장착하여 이동될 수 있게 되며, 탈부착이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소작업부(300) 전체가 하나의 모듈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소작업부(300)가 적재함(210)에 장착되었을 때 기준으로 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안전펜스(370)는 고소작업부(300) 내부에서 고소작업부(300)를 동작시키는 작업자 외에 제3자가 출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는 도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소작업부(300)가 동작되는 상태에서는 외부 인원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안전펜스(370) 내부에는 투웨이카(10)가 다음 작업위치로 이동할 때 작업자가 안전하게 착석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의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의자에는 안전벨트가 마련되어 있어 긴급제동에 의해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의자의 경우 도로(11) 주행과 같은 고속주행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소작업 후 다음 작업 위치까지 선로(12)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만 한정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승강유닛(330)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작업대(310)를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유압에 의해 상승되거나 하강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승강대가 회전되어 작업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작업대(310)는 제1승강유닛(3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수평방면으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다수의 작업자가 제1작업대(310)에서 여러 곳을 동시에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작업대(310)는 난간대(360)가 마련되어 있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난간대(360)는 제1작업대(310)의 측면으로 하강될 수 있어 도로(11)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작업대(310)의 일측에는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승강유닛(340)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작업대(320)는 제2승강유닛(34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1작업대(310)보다 더 높은 곳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승강유닛(330)과 제2승강유닛(340)에 의해 2단으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승강유닛(330)이 회전됨에 따라 제2작업대(320)의 위치도 가변될 수 있어 다양한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작업자가 제1작업대(3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전펜스(370) 내부에는 작업자 이동용 계단(350)이 마련되어 있으며, 계단(350)을 통해 작업자는 제1작업대(310)로 이동한 후 제1작업대(310)에 형성된 제어버튼을 이용하여 제1승강유닛(330)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작업대(320)에도 제어버튼이 마련되어 있어 제2작업대(320)에 탑승한 작업자가 제2작업대(32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제1작업대(310)와 제2작업대(320)에 각각 다수 개의 충돌방지센서(도시되지 않음)를 형성시켜 제1승강유닛(330)과 제2승강유닛(340)이 상승될 때 터널 또는 구조물 천장에 충돌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200)는 상부면에 고소작업부(300)가 적재되면 고소작업부(300)의 위치를 정렬하고 자기력에 의해 임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마그네틱과, 마그네틱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마그네틱의 상부 방면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고소작업부(300)를 하부 방면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수 개의 클램프를 더 포함하며, 클램프는 유압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어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고소작업부(300)를 자동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소작업부(300)를 탈부착할 때 크레인(230)을 이용하게 되는데, 적재함(2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소작업부(300)의 위치를 정렬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적재함(21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 개의 마그네틱이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때 고소작업부(300)의 하부면에는 마그네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연결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연결편에 의해 고소작업부(300)가 적재함(210)의 상부에 거치되면 마그네틱의 자기력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면서 임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마그네틱에 의한 결합은 수평방면의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수평방면으로 고소작업부(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마그네틱의 가장자리에는 다수 개의 클램프가 형성되게 된다.
클램프는 연결편의 상부로 회동된 후 하부 방면으로 하중을 가하여 고소작업부(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클램프에는 고정볼트가 마련되어 있어 회동된 후 고정볼트가 연결편 및 마그네트를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고소작업부(300)를 적재함(2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적재함(210), 마그네틱, 연결편은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되는 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고소작업부(300)가 적재함(210)에 정렬되면 적재함(210), 마그네틱, 연결편에 형성된 홀이 일치되면서 클램프의 고정볼트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수 개의 클램프는 유압에 의해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편이 정상적으로 정렬되지 않아 측면으로 튀어나와 있는 경우 회동 중인 클램프가 연결편을 밀어내면서 고소작업부(300)를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다수 개의 클램프가 동시에 작동되면서 회동되는 클램프에 의해 위치가 틀어진 고소작업부(300)를 자동으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되며 정렬된 상태에서 고정볼트가 삽입됨에 따라 적재함(210)에 고소작업부(300)를 빠르고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제어부는 투웨이카(10)의 수평상태를 측정 및 판단하여 자세가 수평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만 고소작업부(300)가 승강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고소작업부(300)에 작업자가 탑승한 경우 이송부(100)가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크레인(230)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소작업부(300)가 고소작업을 하기 위해 상부 방면으로 상승될 때 투웨이카(10)가 기울어진 경우 자세 불량에 의해 작업자가 넘어지거나 투웨이카(10)가 전복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투웨이카(10)의 수평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자이로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으며, 투웨이카(10)의 수평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아웃트리거(220)를 통해 투웨이카(10)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소작업부(300)가 상승된 상태에서 투웨이카(10)의 기울기가 감지되면 승강 중인 고소작업부(30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수평상태에서만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승강 중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제1작업대(310) 또는 제2작업대(320)에 작업자가 존재하는 경우 이송부(100)가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고, 크레인(230)의 작동을 중지시켜 고소작업부(300)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12)와 도로(11)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10)의 전방궤도주행유닛(120)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12)와 도로(11)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10)의 전방주행궤도유닛은 투웨이카(10)의 하부 전방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방프레임(121)과, 전방프레임(121)에 형성되어 유압모터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전방구동축(122)과, 전방구동축(12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회전력에 의해 선로(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륜(123)과, 전방구동축(12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전방구동축(122)을 따라 회전되는 전방제동디스크와, 전방제동디스크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압에 의해 작동되면 회전되는 전방제동디스크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전방구동축(122)을 제동시키는 전방제동패드(124)와, 전방프레임(121)에 형성되며 선로(12) 또는 도로(11)주행에 따라 구동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되는 회동축(127)과, 전방프레임(121)의 전방에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범퍼(1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방프레임(121)은 각종 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투웨이카(10)의 하부면에 체결 또는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유압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유압에 의해 전방구동축(122)을 회전시키거나 전방제동패드(124)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전방구동축(122)은 유압장치에 형성된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구동축(122)의 양측에는 궤도(레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전륜(123)이 마련되어 있어 선로(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방구동축(122)의 양 끝단에는 각각 전방디스크(125)가 마련되어 있으며 전방디스크(125)는 전방구동축(122)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부에 형성된 전방제동패드(124)가 동작되면 전방제동패드(124)가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전방구동축(122)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웨이카(10)가 선로(12)가 아닌 도로(11)를 주행하는 경우 전방궤도주행유닛(120)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방지해야 하므로 전방프레임(121)에는 회동축(127)이 마련되어 있어 전방구동축(122), 전륜(123), 전방제동패드(124), 전방디스크(125)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회동축(127)에 의해 전방구동축(122), 전륜(123), 전방제동패드(124), 전방디스크(125)가 회동되면 전면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는데, 회동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프레임(121)의 전면에는 범퍼(126)가 마련되어 있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전방궤도주행유닛(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궤도주행유닛(120)에는 전방현가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선로(12)를 주행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전방현가장치가 흡수하여 투웨이카(10)의 탑승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륜(12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12)와 도로(11)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10)의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12)와 도로(11)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10)의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은 투웨이카(10)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후방프레임(131)과, 후방프레임(131)에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유압모터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두 개의 후방구동축(132)과, 두 개의 후방구동축(13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회전력에 의해 선로(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후륜(133)과, 두 개의 후방구동축(13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후방구동축(132)을 따라 회전되는 후방제동디스크와, 후방제동디스크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압에 의해 작동되면 회전되는 후방제동디스크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후방구동축(132)을 제동시키는 후방제동패드(134)와, 후방프레임(131)의 상부에 형성되며 후방프레임(131)을 회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회동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방프레임(131)은 각종 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투웨이카(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압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유압에 의해 후방구동축(132)을 회전시키거나 후방제동패드(134)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후방구동축(132)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유압장치에 형성된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후방구동축(132)의 양측에는 궤도(레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후륜(133)이 마련되어 있어 총 4개의 바퀴를 이용하여 선로(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후방구동축(132) 양 끝단에는 각각 후방디스크(135)가 마련되어 있으며 후방디스크(135)는 후방구동축(132)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부에 형성된 후방제동패드(134)가 동작되면 후방제동패드(134)가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후방구동축(132)의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웨이카(10)가 선로(12)가 아닌 도로(11)를 주행하는 경우 후방궤도주행유닛(130)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방지해야 하므로 별도의 회동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으며 회동대는 후방프레임(131)과 투웨이카(10)를 서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후방프레임(131)을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후륜(133)이 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회동대에 의해 후방프레임(131)이 회동되면 후방구동축(132), 후륜(133), 후방제동패드(134), 후방디스크(135)가 모두 투웨이카(10)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게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방궤도주행유닛(130)에는 후방현가장치가 마련되어 있어 선로(12)를 주행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후방현가장치가 흡수하여 투웨이카(10)의 탑승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후륜(13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의하면, 도로와 선로에 맞춰 바퀴가 가변될 수 있어 공사 또는 작업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화물을 운반하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작업공정 맞는 장비를 탈부착하여 운반 및 사용할 수 있으며, 선로를 주행하기 위해 바퀴가 가변될 때 선로의 위치에 맞춰 차량의 위치를 보정하도록 유도하여 선로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투웨이카 11 : 도로
12 : 선로 100 : 이송부
110 : 구동바퀴 120 : 전방궤도주행유닛
121 : 전방프레임 122 : 전방구동축
123 : 전륜 124 : 전방제동패드
125 : 전방디스크 126 : 범퍼
127 : 회동축 130 : 후방궤도주행유닛
131 : 후방프레임 132 : 후방구동축
133 : 후륜 134 : 후방제동패드
135 : 후방디스크 200 : 지지부
210 : 적재함 220 : 아웃트리거
230 : 크레인 300 : 고소작업부
310 : 제1작업대 320 : 제2작업대
330 : 제1승강유닛 340 : 제2승강유닛
350 : 계단 360 : 난간대
370 : 안전펜스

Claims (6)

  1.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에 있어서,
    상기 투웨이카의 하부에 형성되며 도로 또는 선로에 따라 바퀴를 가변되어 주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화물 또는 장비를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크레인을 통해 상기 화물 또는 상기 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승강에 의해 고소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소작업부와;
    상기 이송부, 상기 지지부, 상기 고소작업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소작업부는
    지지부에 형성되며 외부인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안전펜스와;
    상기 안전펜스 내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승강유닛과;
    상기 제1승강유닛의 상단에 결합되며 작업자가 수평방면으로 이동하면서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제1작업대와;
    상기 제1작업대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승강유닛과;
    상기 제2승강유닛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작업대 보다 높은 위치의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작업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웨이카의 하부에 다수 개가 분산되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하중을 지면에 분산하고 상기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바퀴와;
    상기 투웨이카의 하부 전방에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선로에 접촉되어 상기 선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방궤도주행유닛과;
    상기 투웨이카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선로에 접촉되어 상기 선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후방궤도주행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면을 촬영하여 도로와 선로를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면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면카메라는 상기 투웨이카가 상기 선로에 진입하였을 때 상기 선로의 위치를 영상으로 제공하고, 상기 전방궤도주행유닛 및 상기 후방궤도주행유닛의 위치와 상기 선로의 위치가 정렬되기 위한 보정 값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면에 상기 고소작업부가 적재되면 상기 고소작업부의 위치를 정렬하고 자기력에 의해 임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틱의 상부 방면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소작업부를 하부 방면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다수 개의 클램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유압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어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소작업부를 자동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웨이카의 수평상태를 측정 및 판단하여 자세가 수평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고소작업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소작업부에 작업자가 탑승한 경우 상기 이송부가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크레인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KR1020220061998A 2022-05-20 2022-05-20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KR102490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998A KR102490826B1 (ko) 2022-05-20 2022-05-20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998A KR102490826B1 (ko) 2022-05-20 2022-05-20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826B1 true KR102490826B1 (ko) 2023-01-20

Family

ID=8510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998A KR102490826B1 (ko) 2022-05-20 2022-05-20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078B1 (ko) 2023-06-27 2023-12-04 (주)미래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809A (ko) 2005-03-25 2006-09-28 강인택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
KR200478810Y1 (ko) * 2015-06-30 2015-11-17 주식회사 레일카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KR20170043489A (ko) * 2017-04-03 2017-04-21 장진만 저상 탑승이 가능한 고소작업차
KR20220056013A (ko) * 2020-10-27 2022-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외판 전용 고소차 거치형 전처리 자동화 장비 탑재 보조 대차
KR102397272B1 (ko) * 2021-12-10 2022-05-13 근우테크 주식회사 육로 및 레일 주행 겸용 농업용 운반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809A (ko) 2005-03-25 2006-09-28 강인택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
KR200478810Y1 (ko) * 2015-06-30 2015-11-17 주식회사 레일카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KR20170043489A (ko) * 2017-04-03 2017-04-21 장진만 저상 탑승이 가능한 고소작업차
KR20220056013A (ko) * 2020-10-27 2022-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블록 외판 전용 고소차 거치형 전처리 자동화 장비 탑재 보조 대차
KR102397272B1 (ko) * 2021-12-10 2022-05-13 근우테크 주식회사 육로 및 레일 주행 겸용 농업용 운반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078B1 (ko) 2023-06-27 2023-12-04 (주)미래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09231A (ja) 軌框輸送装置
KR102490826B1 (ko)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CN110130230B (zh) 一种自动走行升降换道式台车安装声屏障施工方法
JP4916146B2 (ja) 脱線復旧装置付き鉄道車両
KR20140057756A (ko)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KR20130077363A (ko)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CN103109020A (zh) 用于进行轨道施工的设备
CN102528372A (zh) 敞车车体的检修装置
KR20140052554A (ko)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SE520733C2 (sv) Fordon för olika typer av körning samt sätt att köra sådant fordon
KR102155675B1 (ko) 교량 작업대차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20230162298A (ko) 철도 유지보수를 위한 궤도주행유닛이 구비된 투웨이카
JP2908575B2 (ja) トンネル覆工版の運搬据付装置
RU23127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грузки самоходной техник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ую платформу
CZ227495A3 (en) Track building machine
CN101570200A (zh) 跨座式单轨车辆外伸式升降检修装置
JP2000264219A (ja) 担車およびこの担車に適用されるアダプタ
JP3438161B2 (ja) 軌陸両用車両
JP2004115174A (ja) 部材架設用移動台車及びこれを用いた橋梁部材架設方法
JP2006248488A (ja) 軌道作業用トレーラーおよびその線路への移載方法
JPH082409A (ja) 車輌搬送用軌道走行台車
RU2229993C2 (ru)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 самоходной техник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ую платформу 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2383849B1 (ko)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
JP2004051335A (ja) 高所作業車
JP2015214827A (ja) レール削正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