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078B1 -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 Google Patents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078B1
KR102609078B1 KR1020230082641A KR20230082641A KR102609078B1 KR 102609078 B1 KR102609078 B1 KR 102609078B1 KR 1020230082641 A KR1020230082641 A KR 1020230082641A KR 20230082641 A KR20230082641 A KR 20230082641A KR 102609078 B1 KR102609078 B1 KR 10260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vehicle
outrigger
groove
cylinder
amphibi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필
Original Assignee
(주)미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로 filed Critical (주)미래로
Priority to KR102023008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1/00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 B60F1/04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with rail and road wheels on different axles
    • B60F1/043Vehicles comprising own propell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철도 레일에서 작업 중인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아웃트리거를 결합하여, 작업차량을 철도 레일에 쉽게 올라탈 수 있도록 하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도용 작업차량은 철도 레일에 올리기 위해서 램프 구간이 길어야 하고, 램프구간이 짧은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던 반면,
본 발명은,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된 아웃트리거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종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Work Vehicles for 2 way}
본 발명은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철도 레일에서 작업 중인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아웃트리거를 결합하여,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철도 레일에 쉽게 올라탈 수 있도록 하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은 철도 레일에 올리기 위해서 램프 구간이 길어야 하고, 램프구간이 짧은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던 반면,
본 발명은,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된 아웃트리거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종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상(道床)이란 철도에 열차하중이 열차, 레일, 침목, 자갈, 노반의 전달경로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므로 이 열차하중을 고르게 전달키 위한 중간매체 역할, 침목을 움직이지 않고 적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 열차하중으로 처지거나 변형 발생시 보수를 위한 재료로 활용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철도에서 사용되는 기초바닥을 말하며, 크게 자갈도상과 콘크리트도상으로 구분하고 있다.
즉, 자갈도상(gravel ballast)이란 철도의 침목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고 침목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궤도 구조의 구성요소로 자갈을 이용한 도상을 말하며, 특히, 자갈도상은 열차의 고속주행에 의한 진동수반과 무거운 차량을 지지하는데 비교적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뛰어나며, 또한 건설비가 콘크리트 도상보다 저렴하여 일반적인 철도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철도 상에서 자갈이 손실된 경우에는 자갈을 보충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화차를 이용하여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심야 시간에 자갈 보충하는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자갈도상을 보수하기 위해 화차에 자갈을 싣고 도상 위치에 자갈을 운반하여 놓으면, 바레스트 레귤레이터(ballast regulator)용 장비가 주행하면서 설포한 자갈을 고르게 밀어서 표준 도면상의 많은 개소의 자갈을 밀어서 운반하고, 브러쉬로 레일 저부 및 체결부, 침목의 상면의 청소를 행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하기 전에 자갈을 도상 하는 위치에 옮기는 데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철도의 화차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옮겨놓고 도상 작업을 행하였다.
이러한 작업과정에서 화차를 불러오는 문제와 이동하는위치의 거리까지 자갈을 운반하여 도상위치까지 가는 과정이 여러 번의 작업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증대되고 작업시간도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갈의 운반 및 수송을 위하여 별도의 자갈 채집지나 정차장을 이용하여 자갈선을 깔아서 이용하는 구간도 있었으나, 별도의 자갈선을 이용하는 경우는 구간이동이 효율적이지 않을뿐더러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 차량을 개조하여 철도궤도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나, 철도레일과 휠의 접촉부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구동력을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일반 도로와 철로를 구분하여 변경하는 변경시스템 및 차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등록특허공보 제10-0701216호의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이 개발되었다.
상기 기술은,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용 차륜과 및 철도용 차륜을 구비한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에 있어서, 도로용 전륜(1)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철도용 전륜(11)과, 상기 철도용 전륜(11)의 상방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철도용 전륜(11)을 승강시키는 전륜승강부(12)로 이루어진 철도용 전륜부(10)와; 도로용 후륜(2)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철도용 후륜(21)과, 상기 철도용 후륜(21)의 상방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철도용 후륜(21)을 승강시키는 후륜승강부(22)로 이루어진 철도용 후륜부(20)와; 상기 도로용 후륜(2)과 철도용 후륜(21) 사이에 설치되어, 도로용 후륜(2)의 동력을 마찰접촉에 의해 철도용 후륜(21)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와; 상기 철도용 전륜(11)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철도용 전륜(11)을 제동하는 제동부(40)와; 차체프레임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되어, 도로용 차륜과 철도용 차륜의 교체를 위해 차체를 승강시키는 차체승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철도 레일의 높이 조정 및 도상훼손을 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의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철도레일로 자갈의 운반을 편리하게 하고, 도로와 철도에 복합적으로 적용가능하고, 도료용 차륜과 철도용 차륜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 철도용 작업차량은 철도 레일에 올리기 위해서 램프 구간이 길어야 하고, 램프구간이 짧은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작업차량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01216호(2007.03.29.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810호(2015.11.17.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2490826호(2023.01.20.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2036583호(2019.10.25.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용 궤도 설치 중 또는 설치 후 전신주 및 부착 브라케트류 설치, 전선 관로 매립 및 전선 포설, 전차선 설치 등 관련 시설 공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때 기 부설된 철도레일로 인해 작업차량의 이동이 간섭을 받거나 이동이 불가한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철도레일을 이용해 이동하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작업차량이 철도레일에 올라 탈 수 있도록 설치된 램프 구간을 이용하여야 한다.
즉, 철도 부설 구간이 부분 개통되어 전기가 인가되는 경우 전기가 단전되는 야간에 약 4시간 정도의 작업시간이 주어지지 못한다.
또한, 작업차량이 철도레일 건너편으로 이동할 경우 램프 구간이 설치되어 있는 먼 거리를 우회해서 작업 공간으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이동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으며, 특히 철도 부설 구간이 부분 개통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극히 한정되어 공사 기간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공사비 증가의 원인이 된다.
한편,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 레일 설치 구간 중간에 있는 램프를 이용하여 레일에 올라 타야하는데 아래의 그림과 같이 램프 구간의 폭이 좁아 작업차량이 수차례 전/후진을 반복하여야 레일에 올라탈 수 있는 단점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공사 기간 증가 및 공사비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램프 구간이 없는 곳에서도 작업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아웃트리거를 이용하여 차량을 좌우로 이동시켜 레일에 올릴 수 있고, 별도의 경사판이 없이도 건너편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램프 구간에서도 레일에 올리기 위해 전후로 수차례 반복해서 올라 타는 시간을 최소화 시킬수 있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은, 운전석 뒷편의 트렁크에 전자식 사다리구조물을 포함하고, 트렁크의 다른 일측에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으로서,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 각각은 작업차량 일측에 실린더를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길이 가변이 가능하되,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가 좌/우 방향으로 2개가 1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 아웃트리거도 좌/우 방향으로 2개가 1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은,
그 하부에 실린더에 의해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레일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은, 철도 레일에서 작업 중인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아웃트리거를 결합하여, 작업차량을 철도 레일에 쉽게 올라탈 수 있도록 하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철도용 작업차량은 철도 레일에 올리기 위해서 램프 구간이 길어야 하고, 램프구간이 짧은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의 평면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후면형태로 나타낸 것으로서, 아웃트리거가 움직이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철도 레일에서 작업 중인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아웃트리거를 결합하여, 작업차량을 철도 레일에 쉽게 올라탈 수 있도록 하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도용 작업차량은 철도 레일에 올리기 위해서 램프 구간이 길어야 하고, 램프구간이 짧은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던 반면,
본 발명은,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된 아웃트리거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종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의 평면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의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후면형태로 나타낸 것으로서, 아웃트리거가 움직이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철도 레일 상에 안착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은, 트럭의 일종으로서 운전석 뒷편의 트렁크에 전자식 사다리구조물을 포함하고, 트렁크의 다른 일측에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는 종래의 유압식 또는 공압식을 이용한 구조물을 채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 각각은 작업차량 일측에 실린더를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길이 가변도 가능하도록 한다.
즉, 전방 아웃트리거가 좌/우 방향으로 2개가 1쌍으로 구성되고, 후방 아웃트리거도 좌/우 방향으로 2개가 1쌍으로 구성되되, 각각 모두가 실린더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 가변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통상의 차량 휠 외에도 철도 레일에 안착되어 철도 레일을 따라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이동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휠이 더 포함되는데, 이러한 레일 휠은 통상적으로 철도에 사용되는 휠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 휠은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의 하부 일측에 실린더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실린더 제어를 통해 레일 휠이 하강하여 철도 레일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의 일반 도로 운행시에는 상승하여 레일 휠이 도로에 닿지 않도록 한다.
상술된 구조에 따라,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일반 도로에서 레일로 안착되는 일예를 설명하면,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레일의 측방향에 위치시킨 후, 도 3과 같이 아웃트리거를 이용하여, 아웃트리거를 작동시켜 레일의 반대측까지 연장시킨 후,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들어올리고, 아웃트리거의 좌/우 방향 조절을 수행하여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레일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아웃트리거의 상/하 제어를 통해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레일 위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레일 위에 안착시키는 방법으로서, 레일이 시작하는 위치에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올려둔 경우, 통상 레일은 일반 노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주행하여 안착시킬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노면과 레일의 높낮이 차로 인해 충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아웃트리거를 구성함에 있어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과 아웃트리거의 결합을 실린더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레일에 안착시키는데 있어서, 작업차량이 전진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아웃트리거를 통해 들어올린 후, 실린더를 전진시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레일 상측으로 위치시키고, 아웃트리거를 통해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하강시켜 레일 위에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혹은,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철도레일에 안착시키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다.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레일을 향해 전방의 차량 휠이 레일에 올라탄 상태에서,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 각각의 우측방향의 것을 길이를 늘린 후,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 모두를 하강시켜 지면에 고정시킴으로써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을 띄운다.
이후,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의 좌측의 것을 길이를 늘리면서, 우측의 것을 길이를 줄여,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철도 레일에 더 인접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를 상승시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철도 레일에 닿아 안착되도록 한 후, 다시 후방 아웃틀거의 우측의 것이 길이가 늘어나도록 제어한 후,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철도 레일과 일직선 상의 방향에 위치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 각각을 본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승시키면서, 레일 휠을 하강시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철도 레일에 완전히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철도 레일과 일직선 상의 방향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동작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아래 [표 1]과 같은 연결구조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와 작업차량 사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에 따르면, 전방 아웃트리거는 상면에 홈을 형성하고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결합되는 하부 연결체와;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면에 홈을 형성하는 상부 회전체와; 상기 하부 연결체 및 상부 회전체의 각 홈에 내삽되는 회전보조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보조체는 2개의 봉이 결합되어, 어느 1개의 것이 다른 1개의 것에 내삽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회전의 용이성을 위하여 베어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보조체는 회전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 가변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체의 상측으로는 상술된 전방 아웃트리거가 결합된다.
또한, 후방 아웃트리거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에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일측에 상면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하부 연결체와; 상기 하부 연결체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면에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 회전체;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후방 아웃트리거의 하부 연결체의 홈 내부에는 모터가 구성되며, 후방 아웃트리거의 하부 연결체 및 상부 회전체가 맞닿는 일측에는 양자 간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맞물리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하부 연결체와 상부 회전체의 각 홈의 내측으로는 실린더가 구비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후방 아웃트리거에 구비된 실린더는 아웃트리거의 하강제어에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후방 아웃트리거의 상부 회전체 상측에 후방 아웃트리거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후방 아웃트리거가 하강할 때, 하부 연결체 및 상부 회전체 사이의 실린더가 길이가 늘어나면서 하부 연결체 및 상부 회전체 사이를 벌림으로써, 후방 아웃트리거의 하부 연결체 및 상부 연결체의 요철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모터의 제어에 따라 상부 회전체가 하부 연결체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후방 아웃트리거의 회전제어에 따라, 전방 아웃트리거는 회전보조체로 인해 길이 가변 및 회전의 보조가 가능해져,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이 아웃트리거의 하강으로 지면에 고정되어 뜬 채로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2)

  1. 운전석 뒷편의 트렁크에 전자식 사다리구조물을 포함하고, 트렁크의 다른 일측에 전방 및 후방에 걸쳐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으로서,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 및 후방 아웃트리거 각각은 작업차량 일측에 실린더를 이용하여 결합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길이 가변이 가능하되,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가 좌/우 방향으로 2개가 1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 아웃트리거도 좌/우 방향으로 2개가 1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는,
    상면에 홈을 형성하고 궤륙양용 작업차량에 결합되는 하부 연결체와;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면에 홈을 형성하는 상부 회전체와; 상기 하부 연결체 및 상부 회전체의 각 홈에 내삽되는 회전보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보조체는 2개의 봉이 결합되어, 어느 1개의 것이 다른 1개의 것에 내삽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후방 아웃트리거는,
    궤륙양용 작업차량에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일측에 상면에서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하부 연결체와; 상기 하부 연결체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면에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 회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 아웃트리거의 하부 연결체의 홈 내부에는 모터가 구성되며, 후방 아웃트리거의 하부 연결체 및 상부 회전체가 맞닿는 일측에는 양자 간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하부 연결체와 상부 회전체의 각 홈의 내측으로는 실린더가 구비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방 아웃트리거에 구비된 실린더는 아웃트리거의 하강제어에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제어됨으로써,
    후방 아웃트리거가 하강할 때, 하부 연결체 및 상부 회전체 사이의 실린더가 길이가 늘어나면서 하부 연결체 및 상부 회전체 사이를 벌림으로써, 후방 아웃트리거의 하부 연결체 및 상부 연결체의 요철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모터의 제어에 따라 상부 회전체가 하부 연결체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은,
    그 하부에 실린더에 의해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레일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2. 삭제
KR1020230082641A 2023-06-27 2023-06-27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KR10260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641A KR102609078B1 (ko) 2023-06-27 2023-06-27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641A KR102609078B1 (ko) 2023-06-27 2023-06-27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078B1 true KR102609078B1 (ko) 2023-12-04

Family

ID=8916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641A KR102609078B1 (ko) 2023-06-27 2023-06-27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07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998A (ja) * 1994-05-31 1995-12-12 Aichi Corp:Kk 軌道作業車
JPH08239018A (ja) * 1995-03-07 1996-09-17 Aichi Corp 軌陸作業車の脱輪復帰方法
JPH11227579A (ja) * 1998-02-17 1999-08-24 Aichi Corp 軌道走行車両の車体移動装置
KR100701216B1 (ko) 2005-03-25 2007-03-29 강인택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
JP2007320491A (ja) * 2006-06-02 2007-12-13 Takahagi Jiko:Kk 保守車両昇降装置および保守車両昇降方法
KR200478810Y1 (ko) 2015-06-30 2015-11-17 주식회사 레일카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US20160107660A1 (en) * 2013-06-14 2016-04-21 W & D Mcculloch Ltd. Railway vehicle
KR102036583B1 (ko) 2018-01-02 2019-10-25 금천씨스템(주) 도로 및 레일 주행 겸용 차량
KR102490826B1 (ko) 2022-05-20 2023-01-20 주식회사 트랙앤로드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998A (ja) * 1994-05-31 1995-12-12 Aichi Corp:Kk 軌道作業車
JPH08239018A (ja) * 1995-03-07 1996-09-17 Aichi Corp 軌陸作業車の脱輪復帰方法
JPH11227579A (ja) * 1998-02-17 1999-08-24 Aichi Corp 軌道走行車両の車体移動装置
KR100701216B1 (ko) 2005-03-25 2007-03-29 강인택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
JP2007320491A (ja) * 2006-06-02 2007-12-13 Takahagi Jiko:Kk 保守車両昇降装置および保守車両昇降方法
US20160107660A1 (en) * 2013-06-14 2016-04-21 W & D Mcculloch Ltd. Railway vehicle
KR200478810Y1 (ko) 2015-06-30 2015-11-17 주식회사 레일카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KR102036583B1 (ko) 2018-01-02 2019-10-25 금천씨스템(주) 도로 및 레일 주행 겸용 차량
KR102490826B1 (ko) 2022-05-20 2023-01-20 주식회사 트랙앤로드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216B1 (ko)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
US20040250724A1 (en) Multipurpose vehicle for various types of travel ways
JP4713017B2 (ja) 軌道更換装置
US4211170A (en) Mobile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replacement of an old track by a new track
US4103622A (en) Ballast tamping machine
JP2015067110A (ja) 車両および走行システム
US4542697A (en) Train for laying a new railroad track
JPH07145603A (ja) 枕木間隙のコンクリート注入装置
CN109130736B (zh) 可以快速上下道的公铁两用车辆
US5619931A (en) Road and rail using rail wheel drive and apparatus
US5778794A (en) Machine for laying a railroad track having multiple-part carrier frame connected by a disengageable joint
KR102609078B1 (ko)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CN110341802B (zh) 一种多功能液压驱动铁路专用车底盘
KR102197762B1 (ko)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
KR102194245B1 (ko) 도상 교체용 특수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차체 리프팅 장치
CN201023435Y (zh) 双向行驶无碴轨道运输车
GB2270103A (en) Continuously movable railway track tamping machine
KR101774510B1 (ko) 철도공사용 호이스트 연결장치
CN215482001U (zh) 一种轨道交通建设用轨道铺设装置
CN108842537A (zh) 铁路枕木铺设车
JP2814432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設置方法及び、その設置装置
US3503339A (en) Convertible rail-highway head block assembly
JP6579454B2 (ja) 軌道、走行路形成部、及び軌道の敷設方法
CN109778610A (zh) 一种铁路养护机械走行架及相应的走行方法和捣固机
KR102550570B1 (ko) 철도자재 운송시스템과 철도용 도상패널(사전제작형 pst) 운송방법 그리고 철도용 레일 운송방법 및 유지보수시 도상패널을 이용하는 운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