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10Y1 -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 Google Patents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10Y1
KR200478810Y1 KR2020150004391U KR20150004391U KR200478810Y1 KR 200478810 Y1 KR200478810 Y1 KR 200478810Y1 KR 2020150004391 U KR2020150004391 U KR 2020150004391U KR 20150004391 U KR20150004391 U KR 20150004391U KR 200478810 Y1 KR200478810 Y1 KR 200478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ailway
road
shaft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일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일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일카
Priority to KR2020150004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1/00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및 철도에서 모두 주행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효율적인 궤도공사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공사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양측에 도로용 전륜(12)이 결합된 전방 차축(10); 및 양측에 도로용 후륜(22)이 결합된 후방 차축(20);을 구비한 공사용 차량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례와 관련된 공사용 차량은, 상기 전방 차축(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의 양측에 결합되는 철도용 전륜(32); 상기 후방 차축(2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철도용 차륜축(40);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양측에 결합되는 철도용 후륜(42); 도로 주행 모드 및 철도 주행 모드 중 선택된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되는 후미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되, 상기 도로용 후륜(22)은,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타이어(26); 및 안쪽에 위치한 내측 타이어(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은 쓰리축을 이용하며, 상기 도로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이 노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도로용 전륜(12) 및 상기 도로용 후륜(22)을 이용하여 도로(2)의 주행이 가능하며, 상기 철도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이 철도의 선로(6)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가 상기 선로(6) 상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을 이용하여 상기 철도의 주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CONSTRUCTION VEHICLE BOTH FOR ROAD AND RAIL}
본 고안은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및 철도에서 모두 주행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효율적인 궤도공사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공사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이나 고속철도공사 등의 세계 각국의 철도 궤도공사에 토목공사 겹쳐 부분 부분 궤도 공사 구간에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고, 모터카, M.T.T, S.T.T의 기능을 궤도공사 초기 단계에 적절히 활용하여 궤도가 완전히 연결되면 최종적으로 M.T.T, S.T.T 작업을 하도록 유도한다.
궤도공사를 위한 공사장비(모터카, M.T.T, S.T.T)는 이동이 전제로 공사구간이 연결되어야 하며 고가의 임대 운영비와 장비가격으로 준공 전 마지막 최종 공사로 활용하고 이전 공사는 본 고안의 공사용 차량으로 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공사용 차량은 콘크리트 타설 구간은 모터카 양로기 기능을 하고 자갈도상은 다지기 기능을 추가하여 운행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6-0102809호
본 고안은 도로 및 철도에서 모두 주행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효율적인 궤도공사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주행 환경에 따라 철도용 차륜축을 승강시켜 도로 주행 모드나 철도 주행 모드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효율적이면서도 신속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쓰리축에 철도용 차륜축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변경을 통하여 시공에 활용할 수 있으며 경제성이 높은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철도공사에 필요한 장비를 구비함으로써 동선을 줄일 수 있으며 궤도공사에 최적화된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부설된 레일을 간편하게 승강시킬 수 있으며, 침목 부근에 위치된 자갈을 고르게 다질 수 있게 설계되어 신속하고 편리한 궤도공사를 수행케 할 수 있는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철도 공사장비가 도심 도로를 점유하여 교통정체를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고 시공에 따르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근이 어려운 난공사 구역에서도 장비의 동원이 가능하게 하여 원활한 공사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는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양측에 도로용 전륜(12)이 결합된 전방 차축(10); 및 양측에 도로용 후륜(22)이 결합된 후방 차축(20);을 구비한 공사용 차량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공사용 차량은, 상기 전방 차축(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의 양측에 결합되는 철도용 전륜(32); 상기 후방 차축(2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철도용 차륜축(40);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양측에 결합되는 철도용 후륜(42); 도로 주행 모드 및 철도 주행 모드 중 선택된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되는 후미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되, 상기 도로용 후륜(22)은,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타이어(26); 및 안쪽에 위치한 내측 타이어(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은 쓰리축을 이용하며, 상기 도로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이 노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도로용 전륜(12) 및 상기 도로용 후륜(22)을 이용하여 도로(2)의 주행이 가능하며, 상기 철도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이 철도의 선로(6)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가 상기 선로(6) 상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을 이용하여 상기 철도의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미 아웃트리거(50)는, 양측에 안테나 실린더(53)가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 실린더(5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신장 또는 단축되도록 설계되는 아웃트리거 축(51); 상기 안테나 실린더(53)와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안테나 실린더(53)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로드(54); 및 상기 제 1 로드(54)와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 1 로드(54)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2 로드(5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로드(55)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공사용 차량의 후방이 승강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미 아웃트리거(50)는, 상기 제 1 로드(54)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리프팅 부재(56); 및 상기 제 2 로드(55)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단(5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철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 1 로드(54) 및 상기 제 2 로드(55) 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로 소정 거리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받침단(57)의 하면은 상기 철도의 지면에 접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는 상기 선로(6)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상기 선로(6)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드(54)가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선로(6)가 상기 철도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로 올라간다
또한, 상기 공사용 차량의 후방의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72); 양단이 각각 상기 슬라이딩 레일(72)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레일(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다지기 축(71); 및 상기 다지기 축(72)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승하강 가능한 다지기 장치(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도 주행 모드에서 상기 다지기 장치(7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다지기 장치(70)가 상기 철도를 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지기 장치(70)는, 상기 다지기 축(71)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지기 장치(70)는, 상부는 상기 다지기 축(72)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 또는 단축 가능하여 상기 다지기 장치(70)의 승강을 지원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하단에 연결된 본체(79); 및 상기 본체(79)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단에 설치된 첨단부(81)를 이용하여 상기 철도를 다지는 복수의 다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은 상기 전방 차축(10)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은 상기 후방 차축(20)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외측 타이어(26)는 상기 도로용 전륜(12)과 정렬되고,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는 상기 철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선로(6) 상에 위치되기 위하여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과 정렬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로 및 철도에서 모두 주행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효율적인 궤도공사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주행 환경에 따라 철도용 차륜축을 승강시켜 도로 주행 모드나 철도 주행 모드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효율적이면서도 신속한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쓰리축에 철도용 차륜축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변경을 통하여 시공에 활용할 수 있으며 경제성이 높은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철도공사에 필요한 장비를 구비함으로써 동선을 줄일 수 있으며 궤도공사에 최적화된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설된 레일을 간편하게 승강시킬 수 있으며, 침목 부근에 위치된 자갈을 고르게 다질 수 있게 설계되어 신속하고 편리한 궤도공사를 수행케 할 수 있는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철도 공사장비가 도심 도로를 점유하여 교통정체를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고 시공에 따르는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근이 어려운 난공사 구역에서도 장비의 동원이 가능하게 하여 원활한 공사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는 공사용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공사용 차량의 도로 주행 모드와 철도 주행 모드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는 철도 주행 모드에서 도로용 차륜과 철도용 차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공사용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후미 아웃트리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공사용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후미 아웃트리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공사용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다지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공사용 차량에 의하여 수행되는 궤도공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고안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은 궤도공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공사용 차량의 도로 주행 모드와 철도 주행 모드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은 궤도공사를 위한 자재를 들어올리거나 운반할 수 있는 크레인(102) 차량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은 콘크리트를 공사현장에 운송하는 레미콘 믹서카, 콘크리트를 시공 현장으로 압송하여 타설하는 콘크리트 펌프카, 지면을 파내거나 지면을 정리하는 굴삭기, 화물을 적재하는 트럭 등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의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은 도로용 전륜(前輪)(12)과 도로용 후륜(後輪)(22) 사이에 철도용 전륜(前輪)(32)이 배치되고, 도로용 후륜(22)의 후방에는 철도용 후륜(後輪)(42)이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차량의 차체 하면에 설치된 전방 차축(10)과 후방 차축(20) 사이에 전방 철도용 차륜축(30)을 설치하고, 후방 차축(20)의 후방에는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을 설치한다.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과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양측에는 각각 철도용 전륜(32)과 철도용 후륜(42)이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의 구조를 고려하였을 때,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은 전방 차축(10)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은 후방 차축(2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에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설치를 위한 공간에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의 차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에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전방 철도용 차륜축(30)은 크레인(102) 차량의 구조상 유압축을 이용할 수밖에 없으나,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은 쓰리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쓰리축을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장착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이다. 유압식 구조는 설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고안은 효율적인 구조로 설계가 가능하다.
본 고안은 쓰리축을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으로 활용함으로 인하여 제동을 확실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하중을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쓰리축의 경우에는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자체 제동이 가능하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약 10톤 이상의 큰 하중을 받아줄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은 도 1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로(2)를 주행하기 위한 도로 주행 모드로 작동할 수 있으며, 도 1b에 도시한 같이 철도를 주행하기 위한 철도 주행 모드로 작동할 수도 있다. 차량의 운전자는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시공 현장으로의 주행하면서 주행 환경에 따라 상기 도로 주행 모드 및 철도 주행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는 이에 따라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승강을 제어한다.
도로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1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상승하여 철도용 전륜(32) 및 철도용 후륜(42)이 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다. 도로용 전륜(12) 및 도로용 후륜(22)은 노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고, 도로용 전륜(12) 및 도로용 후륜(22) 중 적어도 하나가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도로(2)의 주행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로는 도로법 제8조에 따른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特別市道), 광역시도(廣域市道), 지방도, 시도(市道), 군도(郡道), 구도(區道)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철도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하강하여 철도용 전륜(32) 및 철도용 후륜(42)이 철도의 선로(6)에 안착된다.
철도 주행 모드에서는 철도 궤도공사를 위하여 본 고안의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에 슬라이딩 레일(72)에 다지기 장치(70)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지기 장치(70)의 구동에는 큰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지기 장치(70)를 위한 별도의 동력장치(104)가 차량에 함께 적재되어야 한다.
상기 철도 주행 모드에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2a 내지 도 2c를 살펴본다. 도 2a 내지 도 2c는 철도 주행 모드에서 도로용 차륜과 철도용 차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도 1b의 "A"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2b는 도 1b의 "B"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2c는 도 1b의 "C"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볼 수 있듯이, 도로용 전륜(12)은 하나의 타이어로 구성되나, 도로용 후륜(22)은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타이어(26)와 안쪽에 위치한 내측 타이어(24)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외측 타이어(26)는 도로용 전륜(12)과 정렬되고,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는 철도용 전륜(32) 및 철도용 후륜(42)과 정렬된다.
철도 주행 모드가 선택되어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하강하는 경우,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철도용 전륜(32)은 철도의 선로(6)에 안착되며, 도로용 전륜(12)은 철도에서 떨어진 상태가 된다.
반면에,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는 철도용 전륜(32) 및 철도용 후륜(42)과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도 2b 및 도 2c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철도 주행 모드에서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는 철도의 선로(6) 상에 접촉하게 된다.
즉, 철도 주행 모드에서는 철도용 전륜(32) 및 철도용 후륜(42)이 철도의 선로(6)에 안착하고,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는 철도의 선로(6)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도로용 후륜(22), 철도용 전륜(32) 및 철도용 후륜(42) 중 적어도 하나는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이에 의하여 철도의 주행이 가능하다.
도로 주행 모드에서 철도 주행 모드로의 전이나 철도 주행 모드에서 도로 주행 모드로의 전이는 도로(2)와 철도 사이에 부설된 건널목에서 가능하며, 상기 건널목은 자갈이나 목침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행 모드의 전이 시 차량의 자중과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승강에 의하여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격은 철도용 차륜축(30,40)에 무리를 주어 안정적인 사용의 보장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에는 흡수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공사용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후미 아웃트리거의 일례를 나타낸다.
후미 아웃트리거(50)는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의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후방에 설치되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과 슬라이딩 레일(72) 사이에 배치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차량의 운행 중 외부 방해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미 아웃트리거(50)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250mm 높이 위에 배치된다.
후미 아웃트리거(50)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며,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의 후방을 소정의 높이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후미 아웃트리거(50)는 아웃트리거 축(51)을 중심으로 양단에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 하우징(52)을 구비하고 있다. 아웃트리거 축(51)은 신장 또는 단축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철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조절된다.
아웃트리거 축(51)과 박스 하우징(52)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아웃트리거 축(51)과 박스 하우징(52)의 체결을 분리할 수 있으며, 박스 하우징(52)의 높이를 적절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박스 하우징(52) 내부에는 원통형의 안테나 실린더(53)가 설치되어 있다. 안테나 실린더(53)는 제 1 로드(54)와 제 2 로드(55)가 결합된 구조로 설계된다. 제 1 로드(54)와 제 2 로드(55)는 유압의 작용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운동한다. 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로드(54)와 제 2 로드(55)의 운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 1 로드(54)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리프팅 부재(56)가 설치된다. 제 2 로드(55)의 하단에는 받침단(57)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공사용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후미 아웃트리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철도 주행 모드에서 제 1 로드(54)가 하부로 소정 거리 이동되는 경우, 제 2 로드(55)의 받침단(57) 하면은 철도의 지면에 접하게 된다. 철도의 지면이 기울어진 형태를 이루는 경우에는 받침단(57)은 제 2 로드(55)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받침단(57)의 하면이 철도 지면에 안정적으로 접하게 된다.
박스 하우징(52)은 대략 550mm의 높이를 가지며, 선로(6)의 길이가 153mm 내지 170mm 정도인 점을 고려하였을 때, 돌출부의 단부와 박스 하우징(52) 하단의 길이는 400mm 내지 420mm의 범위를 갖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돌출부의 상부에 선로(6)가 위치된 상태에서 제 2 로드(55)가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선로(6)가 철도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공사용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다지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a는 다지기 장치(70)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다지기 장치(70)의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의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슬라이딩 레일(72)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레일(72)은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슬라이딩 레일(72)에는 다지기 축(71)이 결합되어 있다. 크레인(102)을 이용하여 다지기 장치(70)를 탈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지기 축(71)의 좌측 단부는 좌측 슬라이딩 레일(72)의 우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다지기 축(71)의 우측 단부는 우측 슬라이딩 레일(72)의 좌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다지기 축(71)은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슬라이딩 레일(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다지기 장치(70)는 철도의 자갈 등을 다지는 데 이용하는 장비로서, 다지기 장치(70)는 바이브레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은 다지기 장치(70)를 위한 별도의 동력장치(104)를 구비하고 있다.
다지기 축(71)에는 연결부(73)가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부(73)는 제 1 유압 실린더(76)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유압 실린더(78)가 본체(79)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유압 실린더(78)는 다지기 장치(70)의 틸팅동작을 지원한다.
다지기 장치(70)는 다지기 축(71)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즉, 연결부(73)는 다지기 축(71)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철도의 상태에 따라 다지기 장치(70)를 적절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유압 실린더(76, 78)가 신장 또는 단축될 수 있으며, 제 1 유압 실린더(76)와 제 2 유압 실린더(78)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지기 장치(70)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으며, 소정 각도로 틸팅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76, 78)의 하단에는 본체(79)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79)는 유압 실린더(76, 78)의 신장이나 단축에 따라서 상하로 함께 이동된다.
본체(79)의 하부에는 복수의 다리(80)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리(80)가 4개 설치된다. 다리(80)의 하단에는 첨단부(81)가 설치되어 있으며, 첨단부(81)를 이용하여 철도에 배치된 자갈 등을 고르게 다질 수 있다.
복수의 다리(80)에는 제 1 유압부(74), 제 2 유압부(75) 및 제 3 유압부(77)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부(74, 75, 77)는 복수의 다리(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1 유압부(74)는 4개의 다리(80) 중 좌측에 배치된 두 개의 다리에 연결되어 힘을 제공하고, 제 2 유압부(75)는 4개의 다리(80) 중 우측에 배치된 두 개의 다리에 연결되어 힘을 제공한다. 제 3 유압부(77)는 좌측에 배치된 두 개의 다리와 우측에 배치된 두 개의 다리를 제어하며, 제 3 유압부(77)에 의해 좌측과 우측의 다리가 오므려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의 공사용 차량에 의하여 수행되는 궤도공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은 궤도공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부분에 정지하며, 후미 아웃트리거(50)의 제 2 로드(55)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제 2 로드(55)의 하단의 받침단(57)이 철도 지면에 접하게 되면, 리프팅 부재(56)의 돌출부에 선로(6)가 위치된 상태에서 제 1 로드(54)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선로(6)와 침목(4)이 일정 높이로 들리게 된다.
이어서,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지기 장치(70)가 하강하게 되며, 다지기 장치(70)가 바이브레이션 기능을 통하여 침목(4) 주변의 자갈을 고르게 다지게 된다. 다지기 장치(70)의 동작에 의해서 자갈이 침목(4) 아래와 주변에 고르게 분포된다.
이어서,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지기 과정을 마치게 되면, 선로(6)와 침목(4)이 자갈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다지기 장치(70)와 후미 아웃트리거(50)의 로드(54, 55)가 상승된다.
이어서,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100)은 다음 선로(6) 부분으로 이동하며,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선로(6)는 약 5m의 길이로 배치되기 때문에 5m 단위로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2: 도로
4: 침목
6: 선로
10: 전방 차축
12: 도로용 전륜
20: 후방 차축
22: 도로용 후륜
24: 내측 타이어
26: 외측 타이어
30: 전방 철도용 차륜축
32: 철도용 전륜
40: 후방 철도용 차륜축
42: 철도용 후륜
50: 후미 아웃트리거
51: 아웃트리거 축
52: 박스 하우징
53: 안테나 실린더
54: 제 1 로드
55: 제 2 로드
56: 리프팅 부재
57: 받침단
70: 다지기 장치
71: 다지기 축
72: 슬라이딩 레일
73: 연결부
74: 제 1 유압부
75: 제 2 유압부
76: 제 1 유압 실린더
77: 제 3 유압부
78: 제 2 유압 실린더
79: 본체
80: 다리
81: 첨단부
100: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102: 크레인
104: 동력장치

Claims (7)

  1. 양측에 도로용 전륜(12)이 결합된 전방 차축(10); 및 양측에 도로용 후륜(22)이 결합된 후방 차축(20);을 구비한 공사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차축(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의 양측에 결합되는 철도용 전륜(32);
    상기 후방 차축(2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철도용 차륜축(40);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양측에 결합되는 철도용 후륜(42);
    도로 주행 모드 및 철도 주행 모드 중 선택된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되는 후미 아웃트리거(50);를 포함하되,
    상기 도로용 후륜(22)은,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타이어(26); 및
    안쪽에 위치한 내측 타이어(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미 아웃트리거(50)는,
    양측에 안테나 실린더(53)가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 실린더(5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신장 또는 단축되도록 설계되는 아웃트리거 축(51);
    상기 안테나 실린더(53)와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안테나 실린더(53)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로드(54);
    상기 제 1 로드(54)와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 1 로드(54)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2 로드(55);
    상기 제 1 로드(54)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리프팅 부재(56); 및
    상기 제 2 로드(55)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단(5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로드(55)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공사용 차량의 후방이 승강 가능하고,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은 쓰리축을 이용하며,
    상기 도로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이 노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도로용 전륜(12) 및 상기 도로용 후륜(22)을 이용하여 도로(2)의 주행이 가능하며,
    상기 철도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이 철도의 선로(6)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가 상기 선로(6) 상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을 이용하여 상기 철도의 주행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철도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 1 로드(54) 및 상기 제 2 로드(55) 중 적어도 하나가 하부로 소정 거리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받침단(57)의 하면은 상기 철도의 지면에 접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는 상기 선로(6)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용 차량.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상기 선로(6)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로드(54)가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선로(6)가 상기 철도로부터 분리되어 상부로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용 차량.
  5. 양측에 도로용 전륜(12)이 결합된 전방 차축(10); 및 양측에 도로용 후륜(22)이 결합된 후방 차축(20);을 구비한 공사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차축(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의 양측에 결합되는 철도용 전륜(32);
    상기 후방 차축(2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철도용 차륜축(40);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양측에 결합되는 철도용 후륜(42);
    도로 주행 모드 및 철도 주행 모드 중 선택된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되는 후미 아웃트리거(50);
    상기 공사용 차량의 후방의 양측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72);
    양단이 각각 상기 슬라이딩 레일(72)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레일(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다지기 축(71); 및
    상기 다지기 축(72)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승하강 가능한 다지기 장치(70);를 포함하되,
    상기 도로용 후륜(22)은,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타이어(26); 및
    안쪽에 위치한 내측 타이어(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은 쓰리축을 이용하며,
    상기 도로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이 노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도로용 전륜(12) 및 상기 도로용 후륜(22)을 이용하여 도로(2)의 주행이 가능하며,
    상기 철도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방 철도용 차륜축(30) 및 상기 후방 철도용 차륜축(40)이 하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이 철도의 선로(6)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가 상기 선로(6) 상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도로용 후륜(22)의 내측 타이어(24), 상기 철도용 전륜(32) 및 상기 철도용 후륜(42)을 이용하여 상기 철도의 주행이 가능하며,
    상기 철도 주행 모드에서 상기 다지기 장치(70)가 하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다지기 장치(70)가 상기 철도를 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용 차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 장치(70)는,
    상기 다지기 축(71)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용 차량.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 장치(70)는,
    상부는 상기 다지기 축(72)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 또는 단축 가능하여 상기 다지기 장치(70)의 승강을 지원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하단에 연결된 본체(79); 및
    상기 본체(79)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단에 설치된 첨단부(81)를 이용하여 상기 철도를 다지는 복수의 다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용 차량.
KR2020150004391U 2015-06-30 2015-06-30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KR200478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91U KR200478810Y1 (ko) 2015-06-30 2015-06-30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91U KR200478810Y1 (ko) 2015-06-30 2015-06-30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810Y1 true KR200478810Y1 (ko) 2015-11-17

Family

ID=5486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391U KR200478810Y1 (ko) 2015-06-30 2015-06-30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1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1343A (zh) * 2022-04-02 2022-07-15 江苏柳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隧道养护的高空作业平台
CN115042569A (zh) * 2022-07-01 2022-09-13 湖南利美防爆装备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公铁两用防爆蓄电池牵引车
KR102490826B1 (ko) * 2022-05-20 2023-01-20 주식회사 트랙앤로드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KR102548619B1 (ko) 2022-10-19 2023-06-28 대동이앤티(주)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후방 선로주행장치
KR102548617B1 (ko) 2022-10-19 2023-06-28 대동이앤티(주) 도로 레일 겸용 차량
KR102609078B1 (ko) 2023-06-27 2023-12-04 (주)미래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KR20240054551A (ko) 2022-10-19 2024-04-26 대동이앤티(주)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전방 선로주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256Y1 (ko) * 1999-11-29 2000-05-15 대동상공업주식회사 철도차량의 탈선복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256Y1 (ko) * 1999-11-29 2000-05-15 대동상공업주식회사 철도차량의 탈선복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1343A (zh) * 2022-04-02 2022-07-15 江苏柳工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隧道养护的高空作业平台
KR102490826B1 (ko) * 2022-05-20 2023-01-20 주식회사 트랙앤로드 철도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해 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투웨이카
CN115042569A (zh) * 2022-07-01 2022-09-13 湖南利美防爆装备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公铁两用防爆蓄电池牵引车
KR102548619B1 (ko) 2022-10-19 2023-06-28 대동이앤티(주)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후방 선로주행장치
KR102548617B1 (ko) 2022-10-19 2023-06-28 대동이앤티(주) 도로 레일 겸용 차량
KR20240054551A (ko) 2022-10-19 2024-04-26 대동이앤티(주)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전방 선로주행장치
KR102609078B1 (ko) 2023-06-27 2023-12-04 (주)미래로 궤륙양용(軌陸兩用) 작업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810Y1 (ko)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CN101559793B (zh) 公铁两用轨道辅设牵引车
CN201400057Y (zh) 公铁两用轨道辅设牵引车
CN1989037A (zh) 维修车辆
CN107143351A (zh) 一种自行式隧道超长仰拱移动模板钢箱梁栈桥
CN203021883U (zh) 一种轮轨式铁路铺轨机组
CN103074829B (zh) 一种铁路道岔换铺工法及其铁路道岔铺轨机组
CN110722940A (zh) 一种公铁两用双向行驶牵引及载货运输车及其使用方法
US4520735A (en) Convertible rail-highway maintenance vehicle
CN211032067U (zh) 一种公铁两用双向行驶牵引及载货运输车
CN106956554B (zh) 一种公铁两用作业车的底盘结构
GB2052406A (en) Road/rail vehicle
CN109130736B (zh) 可以快速上下道的公铁两用车辆
CN211642352U (zh) 一种多功能液压驱动铁路专用车底盘
CN203807002U (zh) 隧道救援车
CN103101845A (zh) 一种井下变轨液压吊车
CN207015096U (zh) 可以快速上下道的公铁两用车辆
CN202924623U (zh) 一种井下变轨液压吊车
CN204384814U (zh) 一种铁路用货运装卸叉车用升降平台
CN110341802A (zh) 一种多功能液压驱动铁路专用车底盘
US3361268A (en) Tower crane
JP4834461B2 (ja) 軌陸式運搬装置
JPH06185106A (ja) 暗渠の据付用台車及び暗渠の据付方法
RU161483U1 (ru) Путеукладчик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CN211969586U (zh) 一种工程机械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