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617B1 - 도로 레일 겸용 차량 - Google Patents

도로 레일 겸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617B1
KR102548617B1 KR1020220134655A KR20220134655A KR102548617B1 KR 102548617 B1 KR102548617 B1 KR 102548617B1 KR 1020220134655 A KR1020220134655 A KR 1020220134655A KR 20220134655 A KR20220134655 A KR 20220134655A KR 102548617 B1 KR102548617 B1 KR 10254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ruck
body frame
road
track ru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흥
Original Assignee
대동이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이앤티(주) filed Critical 대동이앤티(주)
Priority to KR102022013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1/00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 B60F1/04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with rail and road wheels on different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02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 B61F3/04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with driven axle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5/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substantially 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이 발명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은 상용 트럭의 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트럭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설치되되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축설된 차축은 전방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동작하면서 승하강 작동이 되는 전방 선로주행 유닛; 상용 트럭의 트럭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의 차축은 각각 상용 트럭의 트럭 차체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후방 승하강 실린더와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에 의해 지지되는 후방 대차 프레임에 축설되고 후방 대차 프레임은 후방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 시에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와 연계되어 승하강 작동이 되고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의 일측에는 각각 주행용 모터가 설치된 후방 선로주행 유닛; 및 철도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법선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상용 트럭이 철도 레일의 길이방향에 나란해지도록 후방 선로주행 유닛의 회전을 허용하는 상용 트럭 회전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 레일 겸용 차량{Road-rail vehicles}
본 발명은 도로 레일 겸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의 건설, 철로의 유지보수 등의 작업 수행을 위해서 일반도로에서는 일반적인 상용차량과 같이 도로 주행이 가능하고, 철도 작업 시에는 철로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도로 레일 겸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투웨이 카(Two way car), 즉 도로 레일 겸용 차량(Road-rail vehicle)은 철도의 건설, 철도의 유지보수 등을 위해서 도로에서의 주행과 철로에서의 주행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수차량의 하나이다.
이러한 투웨이 카는 사용용도에 따라서 차체 또는 적재함 상에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철로 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투웨이 카의 경우에는 레일 및 지지목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과 크레인이 설치되고, 철로 주변을 청소하기 위한 투웨이 카의 경우에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장치 및 분진탱크가 설치되며, 철로 상부에 전선을 설치하거나 전선의 유지보수를 위한 투웨이 카의 경우에는 리프트가 설치되는 등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공급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수차량의 하나인 투웨이 카는 자동차 메이커에서 제작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자동차 메이커에서 공급되는 일반적인 화물자동차를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서 튜닝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즉, 일반 도로 상에서 주행이 가능한 일반 화물자동차의 차체 하부의 전방 및 후방 위치에 철도의 레일을 따라 구동이 되는 궤도주행장치를 탑재하는 튜닝 공정을 통해서 제작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와 철로 상에서 모두 주행할 수 있도록 튜닝된 투웨이 카의 적재함 또는 차체 상에는 차량의 사용 용도에 맞는 장치(적재함, 크레인, 리프트, 진공흡입장치, 흡입탱크 등)가 설치된다.
한편, 종래에도 철도의 건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투웨이 카가 제작 및 공급되고 있으나 구조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일반도로 주행 상태에서 철도의 레일 주행 상태로 변경하는 방식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701216(2007.03.29. 공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176054(2012.08.28. 공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273317(2013.06.11. 공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2036583(2019.10.25. 공고)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8810(2015.11.17. 공고)
본 발명은 철도의 건설, 철로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일반 도로에서는 도로 주행이 가능하고 철로에서는 레일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은 철도의 건설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일반도로에서의 주행과 철도 레일 상에서의 주행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도로 레일 겸용 차량에 있어서, 전방에는 운전석이 마련되고 후방에는 적재함이 마련되며, 차체의 전방에는 전방 타이어가 설치되고 차체의 후방에는 후방 타이어가 설치되어 일반 도로를 주행하도록 구성되는 상용 트럭; 상기 상용 트럭의 전방 타이어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트럭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레일 바퀴가 차축에 축설된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축설된 회전부가 상호 결합 형성된 전방 대차 프레임과,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방 대차 프레임의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로터 회전부를 일정각도 회전 작동시키는 전방 승하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전방 대차 프레임의 고정부에는 회전축의 하방과 전방에 각각 제1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레일 바퀴 유닛의 상방에 제2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켜 제2 고정구가 제1 고정구 중 어느 하나에 맞춰진 상태에서 끼움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핀이 구비된 전방 선로주행 유닛; 및 상기 상용 트럭의 후방 타이어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트럭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레일 바퀴가 차축에 축설된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과 후방에 각각 축설되고 상기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의 한쪽 레일 바퀴에는 주행용 모터가 설치되며 다른 한쪽 레일 바퀴에는 제동수단이 설치된 후방 대차 프레임, 상기 2조의 전후 레일 바퀴 유닛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후방 대차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 대차 프레임이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는 상용 트럭 회전수단,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의 좌우 외측과 상기 상용 트럭 회전수단의 좌우 외측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후방 대차 프레임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 상기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의 좌우 외측에 설치되면서 인출 또는 인입 동작하는 피스톤의 끝단은 상기 양측의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와 각각 연결되어 후방 대차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후방 승하강 실린더, 상기 상용 트럭 회전수단의 좌우 내측에 각각 축설되고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며 세워진 상단에는 홈이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용 트럭 회전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도록 작동하는 지지대 작동 실린더,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세워진 지지대의 홈에 끼워지는 상태로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을 상기 지지대에 받치도록 하는 제2 고정핀이 구비된 후방 선로주행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에서 전방 선로주행 유닛의 1조의 레일 바퀴 및 후방 선로주행 유닛의 2조의 레일 바퀴의 일측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제동 켈리퍼가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은 상용 트럭 회전수단의 일측에는 후방 선로주행 유닛의 회전 작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은 상용 트럭의 트럭 차체 프레임 상에는 작업용 크레인 및 작업용 리프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에 의하면 철도의 건설 및 철로의 유지보수를 위한 차량을 일반 도로주행 상태에서 레일주행으로 전환하는 작업이 더욱 간단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에 의하면 전방 선로주행 유닛 및 후방 선로주행 유닛을 어셈블리 형태로 제작 및 공급함에 따라 상용 트럭의 튜닝 공정이 더욱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측면 구성도.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작동상태 측면 구성도.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평면 구성도.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전방 선로주행 유닛의 측면 구성을 보인 도면.
도5는 이 발명에 따른 전방 선로주행 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이 발명에 따른 전방 선로주행 유닛의 요부 구성을 분해한 설명도.
도7은 이 발명에 따른 전방 선로주행 유닛의 정면 구성을 보인 도면.
도8은 이 발명에 따른 전방 선로주행 유닛의 평면 구성을 보인 도면.
도9는 이 발명에 따른 후방 선로주행 유닛의 측면 구성을 보인 도면.
도10은 이 발명에 따른 후방 선로주행 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이 발명에 따른 후방 선로주행 유닛의 평면 구성을 보인 도면.
도12는 이 발명에 따른 후방 선로주행 유닛의 배면 구성을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측면 구성도이며, 도3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4 내지 도8은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전방 선로주행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9 내지 도12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후방 선로주행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을 지시하는 것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일반도로에서의 주행이 가능하되 철도의 건설 또는 철로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철로의 레일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은 자동차 메이커에서 공급되고 있는 상용 트럭(200)의 개조 공정 또는 튜닝 공정을 통해서 제작되는 것이 경제적일 것이다. 일반 도로에서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전방에는 운전석(210)이 마련되고 후방에는 적재함(220)이 마련되며, 차체의 전방에는 전방 타이어가 설치되고 차체의 후방에는 후방 타이어가 설치된 상용 트럭(200)이 이용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용 트럭(200)의 전방 하부측과 후방 하부측에 각각 철도 레일을 따라 구동되는 레일 바퀴가 포함된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과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이 탑재되도록 하는 개조 작업을 통해서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에서 상용 트럭(200)의 전방 타이어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트럭 차체 프레임(230)의 하부에는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이 설치된다.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은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레일 바퀴(310)가 차축(320)에 축설된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은 전방 승하강 실린더(350)의 작동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동작하면서 승하강 작동이 되도록 설치된다.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전방 승하강 실린더(350)는 트럭 차체 프레임(230)에 고정 설치되고, 전방 승하강 실린더(350)의 피스톤 끝단은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축설된 전방 대차 프레임(330)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전술한 전방 승하강 실린더(350)의 피스톤이 인출 또는 인입됨에 따라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이 일정 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방 대차 프레임(330)은 도4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40)을 기준으로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23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330a)와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레일 바퀴(310)가 차축(320)에 축설된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축설된 회전부(330b)가 상호 결합 형성되고,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230)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방 대차 프레임(330)의 회전부(330b)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330a)로터 회전부(330b)를 일정각도 회전 작동시키는 전방 승하강 실린더(35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전방 대차 프레임(330)의 고정부(330a)에는 회전축(340)의 하방과 전방에 각각 제1 고정구(33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330b)에는 상기 레일 바퀴 유닛의 상방에 제2 고정구(332)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330b)를 회전시켜 제2 고정구(332)가 제1 고정구(331) 중 어느 하나에 맞춰진 상태에서 끼움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핀(333)이 구비된다.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방 승하강 실린더(350)는 일정 간격을 두고 2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에서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의 일측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제동 디스크(372) 및 제동 켈리퍼(3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동수단(37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은 상용 트럭(200)의 후방 타이어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트럭 차체 프레임(230)의 하부에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쌍의 레일 바퀴가 차축에 축설된 레일 바퀴 유닛이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조 설치된다.
즉, 도9 내지 도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철도 레일을 따라 구동되는 한쌍의 레일 바퀴(410)가 차축(420)에 축설되어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구성되고, 그로 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또 다른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구성된다.
전술한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의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은 상용 트럭(200)의 트럭 차체 프레임(230) 하부에 설치되는 후방 승하강 실린더(450)와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460)에 의해 지지되는 후방 대차 프레임(430)에 축설된다. 즉, 상용 트럭(200)의 트럭 차체 프레임(230) 하부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후방 대차 프레임(430)이 후방 승하강 실린더(450)와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460)에 의해서 상용 트럭(200)의 후방 하측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후방 선로주행 유닛은 도9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조의 전후 레일 바퀴 유닛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후방 대차 프레임(430)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 대차 프레임(430)이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는 상용 트럭 회전수단(50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대차 프레임(43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460)는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230)의 좌우 외측과 상기 상용 트럭 회전수단(500)의 좌우 외측을 각각 연결하여 설치되고, 후방 승하강 실린더(450)는 상기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46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230)의 좌우 외측에 설치되면서 인출 또는 인입 동작하는 피스톤의 끝단은 상기 양측의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460)와 각각 연결되어 후방 대차 프레임(230)을 승강시킨다.
전술한 후방 대차 프레임(430)은 후방 승하강 실린더(450)의 작동 시에 승하강 안내 링크(460)와 연계되어 승하강 작동된다. 즉, 상용 트럭(200)의 트럭 차체 프레임(230)에 설치된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460)가 상용 트럭 회전수단(500)의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440)과 연결된 상태에서 후방 승하강 실린더(450)가 작동하면 피스톤이 하측으로 출현하면서 후방 대차 프레임(430)이 지면을 향해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하강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에서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에 포함되는 2조의 레일 바퀴 유닛(400)에 포함되는 2조의 레일 바퀴의 일측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제동 수단(470)이 설치될 수 있다.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에 설치되는 제동수단(470)은 제동 디스크(472) 및 제동 켈리퍼(4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 발명에 따른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의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의 일측에는 각각 주행용 모터(480)가 설치된다. 이 주행용 모터(480)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이 되도록 설치되고, 주행용 모터(480)에 전원이 인가되면 레일 바퀴가 회전 구동이 되면서 철도 레일 상에서 상용 트럭(200)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은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이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 뿐만이 아니라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이 일반도로에서 철도 레일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에는 상용 트럭(200)의 트럭 차체 프레임(230) 하부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후방 대차 프레임(430)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용 트럭 회전수단(500)이 설치되는 것이다.
부연하면, 철도의 건설 또는 철로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반도로를 이용하여 작업 위치까지 이동한 도로 레일 겸용 차량(110)이 철도 레일에서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전환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은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이 철도 레일 상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을 먼저 하강 동작시켜 철도 레일에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안착되도록 한 후,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의 레일 바퀴(410)를 구동시켜 철도 레일을 따라 일정 구간 이동시키게 되면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의 전방측이 자연스럽게 회전면서 끌려가다가 철도 레일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되고 이때,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의 전방측에 설치된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을 하강 동작시키면 1조의 레일 바퀴 유닛(310)이 자연스럽게 철도 레일 위로 올라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발명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의 상용 트럭 회전수단(500)은 철도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법선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용 트럭(200)이 철도 레일의 길이방향에 나란해질 수 있도록 전술한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이 상용 트럭(200)에 대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동작이 허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표현되지 않았지만,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에서 상용 트럭 회전수단(500)의 일측에는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의 회전 작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이 일반도로를 주행하거나 철도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과정 등에서는 후방 선로주행 유닛이 상용 트럭(200)과 일체로 동작하도록 안전 조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에서 상용 트럭 회전수단(500)의 상부 일측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에 대하여 상용 트럭(200)의 트럭 차체 프레임(230)이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대(600)가 더 설치되고, 지지대(600)의 상단은 'U'자 형태의 홈(610)이 형성되며, 상용 트럭(200)의 트럭 차체 프레임(230) 상에는 지지대(600)의 상단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지지대 고정핀(630)이 설치된다.
전술한 지지대(600)의 작동은 그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대 작동 실린더(620)에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전술한 지지대(600) 및 지지대 작동 실린더(620)는 일정 간격을 두고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이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철도 레일 상에 있는 별도의 철도차량(미도시)과의 연결을 위해서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의 후방 측으로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철도차량 연결유닛(700)이 설치될 수 있다.
철도차량 연결유닛(700)의 설치를 위해서 상용 트럭(200)의 트럭 차체 프레임(230) 후방 측에는 한쌍의 후방 고정 프레임(7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후방 고정 프레임(710)의 안쪽 측면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후방 고정 브라켓(720)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한쌍으로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710) 간에는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의 후방 승하강 실린더(450)가 회동 동작을 하도록 허용하는 힌지축(452)가 설치된다.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주 등을 세우거나 물건을 옮기는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용 크레인(110)이 설치될 수 있고, 철로 상에 설치된 전선 등의 유지관리 작업에 사용하는 작업용 리프트(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이 철도의 건설 또는 철로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위해 일반도로 주행 상태에서 철도 레일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의 후방 하측에 설치된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의 위치가 철도 레일 상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후방 승하강 실린더(450)를 작동시키게 되면 후방 승하강 실린더(450)의 피스톤이 출현되면서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에 포함된 2조의 레일 바퀴는 철도 레일에 안착되도록 조정하게 된다.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을 구성하는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철도 레일 상에 안착이 된 이후에도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의 후방 승하강 실린더(450)는 상용 트럭(200)이 완전히 들어 올려질 때까지 더 작동이 된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의 후방은 일정 높이 들어올려진 상태가 되고, 전방은 전방 타이어에 의해서 지면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후, 작업자는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의 일측에 마련된 상용 트럭 회전수단(500)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을 구성하는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의 레일 바퀴(410)를 구동시키는 주행용 모터(480)를 가동시키게 된다.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을 구성하는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의 레일 바퀴(410)가 철도 레일 상에 안착이 된 상태에 있음에 따라, 주행용 모터(480)의 동력에 의해서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은 후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의 운전자 또는 작업자는 차량의 회전방향에 순응하도록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전방 타이어의 방향을 조정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 발명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은 철도 레일과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된다.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의 전방 하측에 마련된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이 철도 레일 상에 위치될 때까지 후방 선로주행 유닛(400)의 주행용 모터(480)의 동력을 이용하여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이 철도 레일 상에 정렬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의 전방 하측에 마련된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이 철도 레일 상에 나란하게 정렬이 된 상태에서,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을 구성하는 전방 승하강 실린더(350)가 작동되면 전방 선로주행 유닛(300)이 하강 작동하면서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은 일정 높이 올려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주행방식 전환을 통해서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은 철도 레일 상에서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주행방식이 전환된 도로 레일 겸용 차량(100)은 철도 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을 하면서 철도 건설 또는 철로의 유지 보수 작업 수행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은 철도의 건설 및 철로의 유지보수를 위해 차량이 일반도로를 주행하던 상태에서 철도 레일 위에서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전환되도록 하는 작업이 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전방 선로주행 유닛 및 후방 선로주행 유닛은 어셈블리 형태로 제작 및 공급될 수 있음에 따라 상용 트럭의 튜닝 공정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구성 및 작동상태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0 : 도로 레일 겸용 차량 110 : 작업용 크레인
120 : 작업용 리프트 200 : 상용 트럭
210 : 운전석 220 : 적재함
230 : 트럭 차체 프레임 300 : 전방 선로주행 유닛
310 : 레일 바퀴 320 : 차축
330 : 전방 대차 프레임 340 : 회전축
350 : 전방 승하강 실린더 370 : 제동수단
400 : 후방 선로주행 유닛 410 : 레일 바퀴
420 : 차축 430 : 후방 대차 프레임
440 : 회전축 450 : 후방 승하강 실린더
460 :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 470 : 제동수단
480 : 주행용 모터 500 : 상용 트럭 회전수단
600 : 지지대 700 : 철도차량 연결유닛

Claims (5)

  1. 철도의 건설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도로에서의 주행과 철로에서의 주행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도로 레일 겸용 차량에 있어서,
    전방에는 운전석이 마련되고 후방에는 적재함이 마련되며, 차체의 전방에는 전방 타이어가 설치되고 차체의 후방에는 후방 타이어가 설치되어 일반 도로를 주행하도록 구성되는 상용 트럭;
    상기 상용 트럭의 전방 타이어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트럭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레일 바퀴가 차축에 축설된 1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축설된 회전부가 상호 결합 형성된 전방 대차 프레임과,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상기 전방 대차 프레임의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로터 회전부를 일정각도 회전 작동시키는 전방 승하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전방 대차 프레임의 고정부에는 회전축의 하방과 전방에 각각 제1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레일 바퀴 유닛의 상방에 제2 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켜 제2 고정구가 제1 고정구 중 어느 하나에 맞춰진 상태에서 끼움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핀이 구비된 전방 선로주행 유닛; 및
    상기 상용 트럭의 후방 타이어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트럭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철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레일 바퀴가 차축에 축설된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이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과 후방에 각각 축설되고 상기 2조의 레일 바퀴 유닛의 한쪽 레일 바퀴에는 주행용 모터가 설치되며 다른 한쪽 레일 바퀴에는 제동수단이 설치된 후방 대차 프레임, 상기 2조의 전후 레일 바퀴 유닛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후방 대차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 대차 프레임이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는 상용 트럭 회전수단,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의 좌우 외측과 상기 상용 트럭 회전수단의 좌우 외측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후방 대차 프레임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 상기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의 좌우 외측에 설치되면서 인출 또는 인입 동작하는 피스톤의 끝단은 상기 양측의 후방 승하강 안내 링크와 각각 연결되어 후방 대차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후방 승하강 실린더, 상기 상용 트럭 회전수단의 좌우 내측에 각각 축설되고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며 세워진 상단에는 홈이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용 트럭 회전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도록 작동하는 지지대 작동 실린더,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세워진 지지대의 홈에 끼워지는 상태로 상기 트럭 차체 프레임을 상기 지지대에 받치도록 하는 제2 고정핀이 구비된 후방 선로주행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레일 겸용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선로주행 유닛의 1조의 레일 바퀴 및 상기 후방 선로주행 유닛의 2조의 레일 바퀴의 일측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제동 켈리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레일 겸용 차량.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트럭 회전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후방 대차 프레임의 회전 작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레일 겸용 차량.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트럭의 트럭 차체 프레임 상에는 작업용 크레인 및 작업용 리프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레일 겸용 차량.
KR1020220134655A 2022-10-19 2022-10-19 도로 레일 겸용 차량 KR102548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55A KR102548617B1 (ko) 2022-10-19 2022-10-19 도로 레일 겸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55A KR102548617B1 (ko) 2022-10-19 2022-10-19 도로 레일 겸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617B1 true KR102548617B1 (ko) 2023-06-28

Family

ID=8699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655A KR102548617B1 (ko) 2022-10-19 2022-10-19 도로 레일 겸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61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210A (ja) * 1986-07-09 1988-01-23 Fanuc Ltd デジタイジング方法
KR100701216B1 (ko) 2005-03-25 2007-03-29 강인택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
KR101176054B1 (ko) 2010-11-30 2012-08-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하이브리드 교통 시스템
JP2013035401A (ja) * 2011-08-08 2013-02-21 Aichi Corp 軌陸車
KR101273317B1 (ko) 2012-11-15 2013-06-11 주식회사 광림 다목적 고소작업차
KR200478810Y1 (ko) 2015-06-30 2015-11-17 주식회사 레일카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JP2018537338A (ja) * 2015-11-11 2018-12-20 レイルプロ リミテッド 道路走行車両を鉄道上も走行できる車両に変換する変換装置
US20190070918A1 (en) * 2017-09-07 2019-03-07 Custom Truck & Equipment LLC Railcar-mover vehicle
KR102036583B1 (ko) 2018-01-02 2019-10-25 금천씨스템(주) 도로 및 레일 주행 겸용 차량
JP2022088776A (ja) * 2020-12-03 2022-06-15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軌陸車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210A (ja) * 1986-07-09 1988-01-23 Fanuc Ltd デジタイジング方法
KR100701216B1 (ko) 2005-03-25 2007-03-29 강인택 도로 및 철도 겸용 차량
KR101176054B1 (ko) 2010-11-30 2012-08-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하이브리드 교통 시스템
JP2013035401A (ja) * 2011-08-08 2013-02-21 Aichi Corp 軌陸車
KR101273317B1 (ko) 2012-11-15 2013-06-11 주식회사 광림 다목적 고소작업차
KR200478810Y1 (ko) 2015-06-30 2015-11-17 주식회사 레일카 도로 및 철도 겸용 공사용 차량
JP2018537338A (ja) * 2015-11-11 2018-12-20 レイルプロ リミテッド 道路走行車両を鉄道上も走行できる車両に変換する変換装置
US20190070918A1 (en) * 2017-09-07 2019-03-07 Custom Truck & Equipment LLC Railcar-mover vehicle
KR102036583B1 (ko) 2018-01-02 2019-10-25 금천씨스템(주) 도로 및 레일 주행 겸용 차량
JP2022088776A (ja) * 2020-12-03 2022-06-15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軌陸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543559U (zh) 换轮系统
CN103264625A (zh) 公铁两用牵引车
US4520735A (en) Convertible rail-highway maintenance vehicle
WO2021051786A1 (zh) 一种公铁两用双向行驶牵引及载货运输车
CN110722940A (zh) 一种公铁两用双向行驶牵引及载货运输车及其使用方法
CN101780933B (zh) 一种可野外作业的升降车
CN205601804U (zh) 小型汽车携升降平移器
CN110862018A (zh) 一种具有轨道与道路两用行走功能的铺轨起重机
KR102548617B1 (ko) 도로 레일 겸용 차량
JP4270401B2 (ja) 鉄道用保守車両
KR102548619B1 (ko)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후방 선로주행장치
CA2808032A1 (en) Vehicle and drive mechanism
CN214033207U (zh) 一种公铁两用焊轨车
CN213861751U (zh) 一种公铁两用车
JP2006248488A (ja) 軌道作業用トレーラーおよびその線路への移載方法
CN211644397U (zh) 一种具有轨道与道路两用行走功能的铺轨起重机
CN115465822A (zh) 一种隧道维护作业车组及其作业方法
KR20240054551A (ko) 도로 레일 겸용 차량의 전방 선로주행장치
KR20130029518A (ko) 궤도-육상 직각주행방식의 철도차량 견인차
CN112081438A (zh) 具有伸缩式自动平层装置的垂直升降类机械停车设备用横移台车
JP2022088776A (ja) 軌陸車
CN207877211U (zh) 公铁两用升降车
CN111002893A (zh) 运梁车
CN207484319U (zh) 一种全封闭隔音屏施工车
CN106553564B (zh) 一种接触网放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