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363A -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363A
KR20130077363A KR1020110146032A KR20110146032A KR20130077363A KR 20130077363 A KR20130077363 A KR 20130077363A KR 1020110146032 A KR1020110146032 A KR 1020110146032A KR 20110146032 A KR20110146032 A KR 20110146032A KR 20130077363 A KR20130077363 A KR 20130077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extension
workbench
moving plate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809B1 (ko
Inventor
김명호
최춘남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102011014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8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61D15/08Railway inspection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3/00Arrangements preventing shifting of the track
    • E01B13/02Rail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02Rails
    • E01B5/04Grooved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4 모서리의 저면에 각각 스토퍼를 구비한 바퀴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면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종단면이 "
Figure pat00005
"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의 상면 전,후부에서 바퀴의 구름방향 및 레일과 직각을 이루도록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어 작업대가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이동판 안내레일과; 사각 프레임의 전,후 바에 각각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의 내부에서 구름 운동하는 수개의 로울러형 바퀴가 설치되고, 사각 프레임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오를 수 있는 탑승판이 설치되며, 사각 프레임의 상면 각 모서리에는 작업대 고정봉이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대차의 이동판 안내레일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자체를 작업현장에서 선로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신속히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선로구간별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 대차를 포함하여 작업대 전체를 레일을 따라 전,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주행시키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선로의 특정 위치에서 대차를 정차시킨 다음 작업대만 일측 또는 타측 벽 측으로(즉, 좌우로) 또는 옆 선로로 이동시켜 제한된 시간 내에 터널의 천정면을 포함한 측벽의 보수공사 작업 등을 빠른 시간 내에 끝낼 수 있고, 특히 두 선로에 각각 설치한 대차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어 일측 선로로 모터카 또는 점검용 차량 등이 들어올 때 작업대만 타측의 선로에 설치해 둔 대차로 이동시키고 모터카 또는 점검용 차량이 들어오는 선로에 설치해 두었던 대차만 해당 선로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어 열차의 흐름에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작업효율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Front/rear and left/right movable work platform for repairing rail equipment}
본 발명은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선로의 이상 유무 점검작업이나, 선로 또는 터널의 보수공사 등의 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 선로의 작업현장에서 선로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신속히 조립하고, 선로구간별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 대차를 포함하여 작업대 전체를 레일을 따라 전,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주행시키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로의 특정 위치에서 대차를 정차시킨 다음 작업대만 일측 또는 타측 벽 측으로 또는 옆 선로로 이동시켜 제한된 시간 내에 필요한 작업을 빠른 시간 내에 끝낼 수 있도록 하고, 또 일측 선로로 모터카 또는 점검용 차량 등이 들어올 때 작업대만 타측의 선로에 설치해 둔 대차로 이동시키고 모터카 또는 점검용 차량이 들어오는 선로에 설치해 두었던 대차만 해당 선로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열차의 흐름에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작업효율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종래 대부분의 철로용 주행 대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모서리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퀴(1)에 의해 레일(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주행 대차(3)와, 터널의 천정을 보수작업할 때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4)가 주행 대차(3)의 상면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주행 대차는 선로의 이상유무 점검 또는 보수작업과, 터널의 천정을 보수작업시 필요한 자재류를 적재하거나 또는 작업자를 탑승시켜 선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철로용 주행 대차를 이용한 작업은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제한된 시간 내에 선로 상에서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신속한 작업이 요구되고, 작업중에 주행 대차가 선로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동장치를 구비해야되며, 주행 대차와 작업대를 작업현장에서 직접 조립할 수 있어야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철로용 주행 대차는, 레일(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바퀴(1)가 양단에 설치된 전후 차축(5,6)에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또는 작업시 필요한 자재류를 적재할 수 있도록 탑승판(7)이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탑승판(7)에 터널 천정의 보수작업시 작업자가 올라가는 작업대(4)가 용접 등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됨에 따라, 작업대(4)가 설치된 주행 대차(3)를 레일(2)에 올려놓거나 내려놓기 위해서는 중장비가 필요하거나, 또는 주행 대차(3)가 레일(2)의 시발점과 같은 특정구간을 경유하여 작업구간에 이동하게 되므로 주 작업을 준비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대(4) 위에 올라가 작업하는 도중, 작업구간이 비탈짐으로 인해 바퀴(1)가 경사진 레일(2)을 따라 미끄러져 작업자가 작업대(4)로부터 떨어져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퀴(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동용 안전고리(1a)를 사용하고 있으나, 레일(2)의 경사도에 의해 바퀴(1)가 제동용 안전고리(1a)를 쉽게 올라 넘어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3-0072174호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와, 레일 위에 안착되는 전륜이 양단부에 설치되고 고정핀이 좌우측에 형성된 제1고정축과, 후륜을 제동시키는 감속기가 양측에 고정되고 고정핀이 좌우측에 형성된 제2고정축과, 양단부가 상기 제1,2고정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탑승판과, 상기 제1,2고정축의 고정핀에 대응되게 결합홈이 4모서리의 지주하단에 형성된 비계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탑승판에 각각 탑재되어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가능한 배터리와 주행 대차의 주행속도를 가변조절할 수 있도록 감속기의 감속력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구비하되, 상기 배터리는 외부 상용전원에 배터리를 충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전원플러그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철로용 주행 대차는, 전술한 일반적인 철로용 주행 대차에 비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주행 대차와 고소작업시 작업자가 올라가는 작업대를 작업현장에서 선로 상에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후륜에 제동장치사 설치되어 있어 작업도중 주행대차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작업대로부터 떨어져 다치는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로구간의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 대차의 주행속도를 가변조절할 수 있어 작업구간별 주행 대차의 이동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철로용 주행 대차 역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만 주행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뿐 작업대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단지 터널의 천정 부위만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뿐 벽면을 보수할 수는 없고, 특히 작업대 자체를 옆 선로로 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없이 옆 선로의 천정면 등을 보수작업하기 위해서는 작업대를 철로용 주행 대차의 상면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주행 대차를 옆 설로로 옮겨 설치하고 이어서 작업대를 다시 주행 대차 상면에 결합시켜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1.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3-0072174호(2003년 09월 13일) 2.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6-0057178호(2006년 05월 26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선로의 이상 유무 점검작업이나, 선로 또는 터널의 보수공사 등의 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 작업현장에서 선로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신속히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선로구간별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 대차를 포함하여 작업대 전체를 레일을 따라 전,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주행시키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로의 특정 위치에서 대차를 정차시킨 다음 작업대만 일측 또는 타측 벽 측으로 또는 옆 선로로 이동시켜 제한된 시간 내에 터널의 천정면을 포함한 측벽의 보수공사 작업 등을 빠른 시간 내에 끝낼 수 있으며, 특히 일측 선로로 모터카 또는 점검용 차량 등이 들어올 때 작업대만 타측의 선로에 설치해 둔 대차로 이동시키고 모터카 또는 점검용 차량이 들어오는 선로에 설치해 두었던 대차만 해당 선로로부터 이탈시키면 되므로 열차의 흐름에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작업효율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4 모서리의 저면에 각각 스토퍼를 구비한 바퀴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면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종단면이 "
Figure pat00001
"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의 상면 전,후부에서 바퀴의 구름방향 및 레일과 직각을 이루도록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어 작업대가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이동판 안내레일과; 사각 프레임의 전,후 바에 각각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의 내부에서 구름 운동하는 수개의 로울러형 바퀴가 설치되고, 사각 프레임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오를 수 있는 탑승판이 설치되며, 사각 프레임의 상면 각 모서리에는 작업대 고정봉이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대차의 이동판 안내레일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의 상면 전,후부에는 작업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을 대차의 이동판 안내레일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수개의 토글 클램프형 고정구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을 필요에 따라 소정 길이만큼 좌,우 측으로 연장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장용 안내레일을 힌지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과 연장용 안내레일의 접촉부 상면에는 걸림고리와 클램프로 구성되는 안내레일 간 고정구를 더 설치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을 펼친 다음 상기 안내레일 간 고정구를 통해 상호 고정시켜 연장용 안내레일과 이동판 안내레일을 상호 일직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의 단부에는 이동판 안내레일 및 연장용 안내레일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이 연장용 안내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탈 방지판의 중앙에는 연장용 안내레일이 터널의 벽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간격 유지봉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의 외측에는 연장용 안내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는 "ㄷ"자형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연장용 안내레일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용 볼트, 상기 고정구의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너트 및 상기 너트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장 볼트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작업대를 대차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할 때 연장 안내레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대차 및 작업대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 방지수단을 선택적으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의 외측에는 연장용 안내레일을 힌지를 통해 절첩하여 이동판 안내레일의 외측면으로 접어둘 때 이탈 방지판에 설치되어 있는 간격 유지봉의 고정을 통해 연장용 안내레일이 이동판 안내레일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과 연장용 안내레일이 일체로 구비된 또 다른 대차를 타측 선로에 설치하고, 각 대차에서 서로 대향된 위치에 있는 연장용 안내레일을 각각 이동판 안내레일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한 다음, 각각의 연장용 안내레일 사이에 소정 길이를 갖고 양단부에는 고정용 볼트를 구비한 한 쌍의 연결용 안내레일을 착탈 가능하게 부가 설치하고, 일측 대차 위에 위치된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과 작업대를 타측의 대차 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에 의하면, 대차와 작업대가 분해 조립 가능한 형태를 갖고 있어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선로의 이상 유무 점검작업이나, 선로 또는 터널의 보수공사 등의 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 작업현장에서 선로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신속히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선로구간별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 대차를 포함하여 작업대 전체를 레일을 따라 전,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주행시키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대차의 상면에는 이동판 안내레일과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이 구비되어 있어 선로의 특정 위치에서 대차를 정차시킨 다음 작업대만 일측 또는 타측 벽 측으로(즉, 좌우로) 또는 옆 선로로 이동시켜 제한된 시간 내에 터널의 천정면을 포함한 측벽의 보수공사 작업 등을 빠른 시간 내에 끝낼 수 있고, 특히 두 선로에 각각 설치한 대차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어 일측 선로로 모터카 또는 점검용 차량 등이 들어올 때 작업대만 타측의 선로에 설치해 둔 대차로 이동시키고 모터카 또는 점검용 차량이 들어오는 선로에 설치해 두었던 대차만 해당 선로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어 열차의 흐름에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작업효율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철도용 주행 대차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작업대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작업대 중 대차와 이동판 안내레일,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 및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작업대 중 대차와 이동판 안내레일,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 및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작업대 중 대차와 이동판 안내레일,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 및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의 결합 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작업대를 일측 레일에서 타측 레일 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작업대의 설치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작업대 중 대차와 이동판 안내레일,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 및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의 결합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작업대 중 대차와 이동판 안내레일,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 및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의 설치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 작업대 중 대차와 이동판 안내레일,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 및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의 결합 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작업대를 일측 레일에서 타측 레일 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4 모서리의 저면에 각각 스토퍼(1b)를 구비한 바퀴(1)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레일(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차(3)와; 상기 대차(3)의 상면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4)를 포함하는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종단면이 "
Figure pat00002
"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3)의 상면 전,후부에서 바퀴(1)의 구름방향 및 레일(2)과 직각을 이루도록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어 작업대(4)가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이동판 안내레일(8)과;
사각 프레임(91)의 전,후 바(91a)에 각각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의 내부에서 구름 운동하는 수개의 로울러형 바퀴(92)가 설치되고, 사각 프레임(91)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오를 수 있는 탑승판(93)이 설치되며, 사각 프레임(91)의 상면 각 모서리에는 작업대 고정봉(94)이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대차(3)의 이동판 안내레일(8)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의 상면 전,후부에는 작업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을 대차(3)의 이동판 안내레일(8)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수개의 토글 클램프형 고정구(95)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을 필요에 따라 소정 길이만큼 좌,우측으로 연장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장용 안내레일(10)을 힌지(10a)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과 연장용 안내레일(10)의 접촉부 상면에는 걸림고리(111)와 클램프(112)로 구성되는 토글 클램프형 안내레일 간 고정구(11)를 더 설치하여 힌지(10a)를 중심으로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을 펼친 다음 상기 토글 클램프형 안내레일 간 고정구(11)를 통해 상호 고정시켜 연장용 안내레일(10)과 이동판 안내레일(8)을 상호 일직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의 단부에는 이동판 안내레일(8) 및 연장용 안내레일(1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이 연장용 안내레일(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101)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탈 방지판(101)의 중앙에는 연장용 안내레일(10)이 터널의 벽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간격 유지봉(102)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의 외측에는 연장용 안내레일(10)에 끼워져 결합되는 "ㄷ"자형 고정구(121)와, 상기 고정구(121)를 연장용 안내레일(10)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용 볼트(122), 상기 고정구(121)의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너트(123) 및 상기 너트(123)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장 볼트(124)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작업대(4)를 대차(3)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할 때 연장 안내레일(2)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대차(3) 및 작업대(4)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 방지수단(12)을 선택적으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의 외측에는 연장용 안내레일(10)을 힌지(10a)를 통해 절첩하여 이동판 안내레일(8)의 외측면으로 접어둘 때 이탈 방지판(101)에 설치되어 있는 간격 유지봉(102)의 고정을 통해 연장용 안내레일(10)이 이동판 안내레일(8)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81)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과 연장용 안내레일(10)이 일체로 구비된 또 다른 대차(3)를 타측 선로에 설치하고, 각 대차(3)에서 서로 대향된 위치에 있는 연장용 안내레일(10)을 각각 이동판 안내레일(8)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한 다음, 각각의 연장용 안내레일(10) 사이에 소정 길이를 갖고 양단부에는 고정용 볼트(131)를 구비한 한 쌍의 연결용 안내레일(13)을 착탈 가능하게 부가 설치하며, 일측 대차(3) 위에 위치된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과 작업대(4)를 타측의 대차(3) 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4 모서리의 저면에 각각 스토퍼(1b)를 구비한 바퀴(1)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레일(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차(3)와, 상기 대차(3)의 상면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4)를 포함하는 공지된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에, 한 쌍의 이동판 안내레일(8)과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을 더 설치하여 작업대(4) 자체를 레일(2)의 전후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본적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은 소정 두께를 갖는 철판을 이용하여 종단면이 "
Figure pat00003
"형상을 갖도록 길게 절곡 성형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대차(3)의 상면 전,후단부에서 바퀴(1)의 구름방향 및 레일(2)과 직각을 이루도록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하여 작업대(4)가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이 상기 한 쌍의 이동판 안내레일(8) 사이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은 사각 철봉을 이용하여 성형한 사각 프레임(91)의 전,후 바(91a)에 각각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의 내부에서 구름 운동하는 수개의 로울러형 바퀴(92)를 설치하고, 상기 사각 프레임(91)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오를 수 있는 탑승판(93)을 설치하며, 상기 사각 프레임(91)의 상면 각 모서리에는 작업대(4)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작업대 고정봉(94)을 설치한 구성을 갖고 상기 대차(3)의 상면에서 이동판 안내레일(8) 사이에 설치되어 자체는 물론 그의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4)가 대차(3)의 상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를 대차(3)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판 안내레일(8)에서 좌,우측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그냥 둘 경우,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의 상부에 결합된 작업대(4)에 작업자가 올라가 각종 작업을 수행하게 될 때 무게 중심의 변화나 측면에서 가해지는 작은 힘으로도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이 좌,우측으로 이동되어 작업자가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의 상면 전,후부에 수개의 토글 클램프형 고정구(95)를 더 설치하여, 작업시 상기 토글 클램프형 고정구(95)를 이용하여 도 2 및 도 6과 같이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의 전,후부를 대차(3)에 설치된 이동판 안내레일(8)에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중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 및 작업대(4)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소정 길이를 갖는 연장용 안내레일(10)을 힌지(10a)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을 필요에 따라 소정 길이(즉, 연장용 안내레일(10)의 길이)만큼 좌,우측으로 더 연장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과 연장용 안내레일(10)을 단순히 힌지(10a)를 통해서만 연결할 경우 연장용 안내레일(10)이 자유롭게 회동될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과 연장용 안내레일(10)의 접촉부 상면에는 걸림고리(111)와 클램프(112)로 구성되는 토글 클램프형 안내레일 간 고정구(11)를 더 설치하여 힌지(10a)를 중심으로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을 펼친 다음 상기 토글 클램프형 안내레일 간 고정구(11)를 통해 상호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과 이동판 안내레일(8)을 상호 일직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의 단부가 개구된 형태를 가질 경우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 및 연장용 안내레일(1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이 연장용 안내레일(10)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의 단부에 이탈 방지판(101)을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 및 연장용 안내레일(1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이 연장용 안내레일(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탈 방지판(101)의 중앙에 간격 유지봉(102)을 더 설치하여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이 터널의 벽 등에 직접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장용 안내레일(10)을 따라 이동한 작업대(4) 일부가 도 6과 같이 터널의 벽 등에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동판 안내레일(8)에 연장용 안내레일(10)을 더 설치하고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과 함께 작업대(4)를 대차(3)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시키게 되면 4개의 바퀴(1)에 의해 레일(2)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차(3)에 가해지는 무게중심이 현재 작업대(4)가 위치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리게 되어 대차(3)를 포함한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 및 작업대(4)가 무게중심이 쏠리는 측으로 전도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의 외측에 연장용 안내레일(10)에 끼워져 결합되는 "ㄷ"자형 고정구(121)와, 상기 고정구(121)를 연장용 안내레일(10)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용 볼트(122), 상기 고정구(121)의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너트(123) 및 상기 너트(123)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장 볼트(124)로 구성되는 전도 방지수단(12)을 선택적으로 더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도 방지수단(12)을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의 외측에 결합하고 저단면이 지면에 접촉되도록 장 볼트(124)를 적절히 회전시켜 도 6과 같이 연장 안내레일(2)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을 포함한 작업대(4)를 대차(3)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할 때 무게 중심이 집중되는 상기 연장 안내레일(2)이 전도 방지수단(12)의 지탱력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대차(3)와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 및 작업대(4)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이동판 안내레일(8)의 외측면에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81)를 더 설치하여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을 힌지(10a)를 통해 절첩하여 이동판 안내레일(8)의 외측면으로 접어둘 때, 도 3과 같이 상기 이탈 방지판(101)에 설치되어 있는 간격 유지봉(102)을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81)이 고정시켜 줌으로써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10)이 이동판 안내레일(8)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되어 작업시 또는 대차 등의 이동시 연장용 안내레일(10)이 덜렁거리거나 펴져 작업이나 이동에 지장을 주게 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이동판 안내레일(8)과 연장용 안내레일(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되 내경은 연장용 안내레일(10)의 외경보다 약간 크도록 절곡 성형함 상태에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함은 물론 양단부에는 고정용 볼트(131)를 구비한 한 쌍의 연결용 안내레일(13)을 더 구비시켜,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과 연장용 안내레일(10)이 일체로 구비된 또 다른 대차(3)를 타측 선로에 설치하고, 각 대차(3)에서 서로 대향된 위치에 있는 연장용 안내레일(10)을 각각 이동판 안내레일(8)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한 다음, 각각의 연장용 안내레일(1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8)과 연장용 안내레일(10)이 일체로 구비된 또 다른 대차(3)를 타측 선로에 설치하고, 각 대차(3)에서 서로 대향된 위치에 있는 연장용 안내레일(10)을 각각 이동판 안내레일(8)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한 다음, 각각의 연장용 안내레일(10) 사이에 소정 길이를 갖고 양단부에는 고정용 볼트(131)를 구비한 한 쌍의 연결용 안내레일(13)을 착탈 가능하게 부가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측 대차(3) 위에 위치된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과 작업대(4)를 도 6과 같이 타측의 대차(3) 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열차의 흐름에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작업효율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한 작업대(4)는 좌,우측 비계(41)와 한 쌍의 "X"자형 서포터(42) 및 상부 탑승판(43)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작업대(4)는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9)의 상면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1층 또는 다층으로 작업대를 설치하여 터널의 천정 보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는 기본적으로 대차와 작업대가 분해 조립 가능한 형태를 갖고 있어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선로의 이상 유무 점검작업이나, 선로 또는 터널의 보수공사 등의 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 작업현장에서 선로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신속히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선로구간별 작업조건에 따라 주행 대차를 포함하여 작업대 전체를 레일을 따라 전,후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주행시키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차의 상면에는 이동판 안내레일과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이 더 구비되어 있으므로 선로의 특정 위치에서 대차를 정차시키고 스토파(1b)를 이용하여 바퀴(1)를 고정시킨 다음 작업대만 일측 또는 타측 벽 측으로(즉 좌,우측으로) 또는 옆 선로로 이동시켜 제한된 시간 내에 터널의 천정면을 포함한 측벽의 보수공사 작업 등을 빠른 시간 내에 끝낼 수 있다.
또한, 두 선로에 각각 설치한 대차를 한 쌍의 연결용 안내레일을 통해 상호 연결시킬 수 있어 일측 선로로 모터카 또는 점검용 차량 등이 들어올 때 현재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대를 타측의 선로에 설치해 둔 대차(3)로 이동시키고 모터카 또는 점검용 차량이 들어오는 선로에 설치해 두었던 대차(3)만 해당 선로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어 열차의 흐름에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작업효율과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바퀴 1b : 스토퍼
2 : 레일 3 : 대차
4 : 작업대 41 : 좌,우측 비계
42 : "X"자형 서포터 43 : 상부 탑승판
8 : 이동판 안내레일 81 :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
9 :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
91 : 사각 프레임 91a : 전,후 바
92 : 로울러형 바퀴 93 : 탑승판
94 : 작업대 고정봉 95 : 토글 클램프형 고정구
10 : 연장용 안내레일 10a : 힌지
101 : 이탈 방지판 102 : 간격 유지봉
11 : 토글 클램프형 안내레일 간 고정구
111 : 걸림고리 112 : 클램프
12 : 전도 방지수단 121 : "ㄷ"자형 고정구
122 : 고정용 볼트 123 : 너트
124 : 장 볼트
13 : 연결용 안내레일 131 : 고정용 볼트

Claims (9)

  1. 4 모서리의 저면에 각각 스토퍼를 구비한 바퀴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면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종단면이 "
    Figure pat00004
    "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의 상면 전,후부에서 바퀴의 구름방향 및 레일과 직각을 이루도록 서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어 작업대가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이동판 안내레일과;
    사각 프레임의 전,후 바에 각각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의 내부에서 구름 운동하는 수개의 로울러형 바퀴가 설치되고, 사각 프레임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오를 수 있는 탑승판이 설치되며, 사각 프레임의 상면 각 모서리에는 작업대 고정봉이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대차의 이동판 안내레일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의 상면 전,후부에는 작업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을 대차의 이동판 안내레일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수개의 토글 클램프형 고정구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을 필요에 따라 소정 길이만큼 좌,우 측으로 연장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장용 안내레일을 힌지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과 연장용 안내레일의 접촉부 상면에는 걸림고리와 클램프로 구성되는 안내레일 간 고정구를 더 설치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을 펼친 다음 상기 안내레일 간 고정구를 통해 상호 고정시켜 연장용 안내레일과 이동판 안내레일을 상호 일직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의 단부에는 이동판 안내레일 및 연장용 안내레일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이 연장용 안내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판의 중앙에는 연장용 안내레일이 터널의 벽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간격 유지봉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용 안내레일의 외측에는 연장용 안내레일에 끼워져 결합되는 "ㄷ"자형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연장용 안내레일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용 볼트, 상기 고정구의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너트 및 상기 너트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장 볼트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작업대를 대차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할 때 연장 안내레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대차 및 작업대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도 방지수단을 선택적으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의 외측에는 연장용 안내레일을 힌지를 통해 절첩하여 이동판 안내레일의 외측면으로 접어둘 때 이탈 방지판에 설치되어 있는 간격 유지봉의 고정을 통해 연장용 안내레일이 이동판 안내레일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장용 안내레일 고정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안내레일과 연장용 안내레일이 일체로 구비된 또 다른 대차를 타측 선로에 설치하고, 각 대차에서 서로 대향된 위치에 있는 연장용 안내레일을 각각 이동판 안내레일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한 다음, 각각의 연장용 안내레일 사이에 소정 길이를 갖고 양단부에는 고정용 볼트를 구비한 한 쌍의 연결용 안내레일을 착탈 가능하게 부가 설치하고, 일측 대차 위에 위치된 작업대 결합겸 이동판과 작업대를 타측의 대차 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KR1020110146032A 2011-12-29 2011-12-29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KR101314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32A KR101314809B1 (ko) 2011-12-29 2011-12-29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32A KR101314809B1 (ko) 2011-12-29 2011-12-29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63A true KR20130077363A (ko) 2013-07-09
KR101314809B1 KR101314809B1 (ko) 2013-10-14

Family

ID=4899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032A KR101314809B1 (ko) 2011-12-29 2011-12-29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80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958B1 (ko) * 2013-08-12 2014-02-24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
KR101951286B1 (ko) * 2017-12-15 2019-02-22 최성일 반자동식 초지장치
CN111619597A (zh) * 2020-05-28 2020-09-04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便捷运输轨道平车及使用方法
CN111923945A (zh) * 2020-09-15 2020-11-13 中车戚墅堰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桥梁检查车
KR102180172B1 (ko) 2019-06-17 2020-11-18 주식회사 세종종합기술공사 철로용 작업 대차 고정장치
CN112239185A (zh) * 2020-09-21 2021-01-19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一种电力检修用升降装置
KR102286392B1 (ko) * 2021-02-03 2021-08-05 주식회사 선진이엔씨 선로용 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선로 간 대차 이동장치
KR20220101244A (ko) * 2021-01-11 2022-07-19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시스템
KR102458319B1 (ko) * 2022-04-27 2022-10-24 이영기 철로 공사용 이동식 대차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85B1 (ko) * 2017-02-17 2018-07-18 금희산업 주식회사 철도시설 및 구조물 유지보수용 작업대차
KR102138669B1 (ko) 2019-11-22 2020-07-28 서길원 철로의 보수 및 해체를 위한 스프링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1A (ja) * 1991-06-14 1993-01-08 Taihei Kogyo Co Ltd 軌道用作業車
JP2732234B2 (ja) * 1995-03-31 1998-03-25 有限会社関口アグリシステム 苗箱の自動整列方法およびその自動整列装置
JP2006193022A (ja) 2005-01-12 2006-07-27 Toko Sangyo Kk 投光装置
KR100955531B1 (ko) 2008-05-27 2010-05-03 (주)부경개발 철도선로용 틀비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958B1 (ko) * 2013-08-12 2014-02-24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
KR101951286B1 (ko) * 2017-12-15 2019-02-22 최성일 반자동식 초지장치
KR102180172B1 (ko) 2019-06-17 2020-11-18 주식회사 세종종합기술공사 철로용 작업 대차 고정장치
CN111619597A (zh) * 2020-05-28 2020-09-04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式便捷运输轨道平车及使用方法
CN111923945A (zh) * 2020-09-15 2020-11-13 中车戚墅堰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桥梁检查车
CN111923945B (zh) * 2020-09-15 2024-04-26 中车戚墅堰机车有限公司 一种轨道桥梁检查车
CN112239185A (zh) * 2020-09-21 2021-01-19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一种电力检修用升降装置
KR20220101244A (ko) * 2021-01-11 2022-07-19 (주)케이엘산업건설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시스템
KR102286392B1 (ko) * 2021-02-03 2021-08-05 주식회사 선진이엔씨 선로용 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선로 간 대차 이동장치
KR102458319B1 (ko) * 2022-04-27 2022-10-24 이영기 철로 공사용 이동식 대차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809B1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809B1 (ko) 전후좌우 이동식 철로설비 보수용 작업대
EP2559517B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re-profiling locomotive and rail car wheels
CN203496955U (zh) 移动式升降小推车
KR101232224B1 (ko) 고소작업용 작업차
US3906866A (en) Traction power rail module
CN102528372B (zh) 敞车车体的检修装置
KR20160109081A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CN104612046B (zh) 一种用于主缆加悬索结构桥梁的检查车
CN103787203A (zh) 用于安装预制梁千斤顶的支撑架
KR101264738B1 (ko) 모노레일용 수동이동 작업차
CN111408929A (zh) 螺栓紧固车
KR101878485B1 (ko) 철도시설 및 구조물 유지보수용 작업대차
KR101794206B1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KR101476538B1 (ko) 레일을 이용한 고소작업장치
JP6557320B2 (ja) 軌条車両の床下への機器取り付け装置及び機器取り付け方法
CN103708176A (zh) 汽车车身涂装车间摩擦输送专用台车
KR20120064289A (ko) 대차 이송용 캐리어
JP2013256370A (ja) 生産設備
CN217597077U (zh) 调整平台以及客车空调安装平台
CN217532839U (zh) 一种用于地铁区间隧道内单侧高空作业的简易梯车
CN103072604B (zh) 扶手架可侧滑的平板车
CN215794265U (zh) 一种车体宽度可调的轻量化应急救援小车
RU2774304C1 (ru) Комплекс мобиль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путевых работ
JPS6116313Y2 (ko)
KR20030072174A (ko) 철로용 주행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