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404B1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404B1
KR102490404B1 KR1020197016379A KR20197016379A KR102490404B1 KR 102490404 B1 KR102490404 B1 KR 102490404B1 KR 1020197016379 A KR1020197016379 A KR 1020197016379A KR 20197016379 A KR20197016379 A KR 20197016379A KR 102490404 B1 KR102490404 B1 KR 102490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titanate
oxide
averag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524A (ko
Inventor
고스케 이나다
하루나 니시모토
다카시 하마우즈
히로요시 모리
Original Assignee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8Zirco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분산성이 향상된 금속 산화물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평균 입자 직경이 1㎛ 이하인 금속 산화물 입자와, 평균 지름 직경이 0.1㎛ 내지 10.0㎛이며, 평균 두께가 0.1㎛ 내지 4.0㎛인 레피도크로사이트형 판상 티타늄산염 입자를 함유하고, 티타늄산염 입자가, 화학식 K0.5∼0.7Li0.27Ti1.73O3.85∼3.95, K0.2∼0.7Mg0.4Ti1.6O3.7∼3.95 및 K0.2∼0.7Li0.27-(2x/3)MgxTi1.73-(x/3)O3.7∼3.95[식 중, x는, 0.004≤x≤0.4]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금속 산화물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의 착색 안료, 백색 안료, 체질 안료로서, 입자 직경이 0.01㎛ 내지 1㎛ 정도인 금속 산화물 입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립자 분체의 광산란능은 그 입자 직경과 광의 파장의 함수인데,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의 경우, 가시광에 대한 산란능은 입자 직경이 0.2㎛ 내지 0.3㎛의 범위에서 최대가 되고, 기체(基體)를 은폐하여 높은 백색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입자 직경이 0.2㎛ 내지 0.3㎛의 범위보다 작아지면, 은폐력이 최대가 되는 입자 직경 범위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가시광에 대한 산란능이 작아지므로 투명해지고, 그와 동시에 자외선 차폐성이 증대한다. 이들 특성을 이용하여, 입자 직경 0.2㎛ 내지 0.3㎛의 이산화티타늄은 메이크업 화장료 등에 사용되고, 0.1㎛ 이하의 이산화티타늄은 햇볕 그을림 방지 화장료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입자가 작아질수록, 입자 간의 응집력이 증가하여, 응집한 상태의 입자(2차 입자)의 분산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입자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기계적 분산에 의해 1차 입자의 상태에 근접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그래도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서는, 분산 매체 및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0.5㎛ 내지 20㎛, 평균 두께가 0.03㎛ 내지 0.35㎛, 애스펙트비가 15 내지 50인 α-알루미나 판상 입자를 모체로 하여, 그의 표면에 이산화티타늄을 30 내지 50질량% 고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3에 있어서는, 평균 두께가 0.1㎛ 내지 5㎛이며, 평균 긴 직경이 10㎛ 내지 100㎛인 화학식 K3xLixTi2-xO4, K2xMgxTi2-xO4 및 KxFexTi2-xO4(단, 어느 화학식에서든 0.05≤x≤0.5)의 군에서 선택되는 레피도크로사이트형 판상 티타늄산 결정 입자인 광휘성 안료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6-23972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83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62971호 공보
화장료 조성물은, 사람의 피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물질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은,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분산제를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2의 방법에서는, 기재 입자의 입자 직경이 크기 때문에, 미립자의 이산화티타늄이 갖고 있는 자외선 차폐성의 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 기타의 금속 산화물 입자에 있어서도, 이산화티타늄과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분산성이 향상된 금속 산화물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에 특정한 판상 티타늄산염 입자를 병용함으로써, 금속 산화물 입자의 분산성이 향상됨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항 1 평균 입자 직경이 1㎛ 이하인 금속 산화물 입자와, 평균 지름 직경이 0.1㎛ 내지 10.0㎛이며, 평균 두께가 0.1㎛ 내지 4.0㎛인 레피도크로사이트형 판상 티타늄산염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티타늄산염 입자가, 화학식 K0.5∼0.7Li0.27Ti1.73O3.85∼3.95, K0.2∼0.7Mg0.4Ti1.6O3.7∼3.95 및 K0.2∼0.7Li0.27-(2x/3)MgxTi1.73-(x/3)O3.7∼3.95[식 중, x는, 0.004≤x≤0.4]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항 2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가,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산화세륨, 산화지르코늄, 산화규소, 산화크롬, 산화마그네슘 및 흑산화티타늄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항 3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0.01㎛ 내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항 4 상기 티타늄산염 입자의 평균 긴 직경이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항 5 상기 티타늄산염 입자의 평균 지름 직경비가 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항 6 상기 티타늄산염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0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한 판상 티타늄산염 입자를 병용함으로써, 금속 산화물 입자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금속 산화물 입자가 갖는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입자로서 이산화티타늄을 선택한 경우, 은폐성이나 자외선 차폐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 형태는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평균 입자 직경이 1㎛ 이하인 금속 산화물 입자와, 평균 지름 직경이 0.1㎛ 내지 10.0㎛이며, 평균 두께가 0.1㎛ 내지 4.0㎛인 레피도크로사이트형 판상 티타늄산염 입자를 함유하고, 티타늄산염 입자가, 화학식 K0.5∼0.7Li0.27Ti1.73O3.85∼3.95, K0.2∼0.7Mg0.4Ti1.6O3.7∼3.95 및 K0.2∼0.7Li0.27-(2x/3)MgxTi1.73-(x/3)O3.7∼3.95[식 중, x는, 0.004≤x≤0.4]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금속 산화물 입자, 레피도크로사이트형 판상 티타늄산염 입자 이외에, 기타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금속 산화물 입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속 산화물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1㎛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직경이 0.01㎛ 내지 0.5㎛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 직경이란, 전자 현미경법에 의해 측정한 1차 입자의 50% 입자 직경이다.
금속 산화물 입자로서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산화물 입자라면, 구상 등의 입자 형상이나, 다공질, 무공질 등의 입자 구조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산화세륨, 산화지르코늄, 산화규소, 산화크롬, 산화마그네슘 또는 흑산화티타늄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을 함유하는 복합 분체도 포함되고,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실리콘계 화합물, 불소계 화합물, 금속 비누, 콜라겐,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 왁스, 로우,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속 산화물 입자는, 선택하는 금속 산화물 입자의 종류에 따라, 백색 안료, 적색 안료, 황색 안료, 흑색 안료, 광휘성 안료, 자외선 차폐재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입자에 있어서, 가시광에 대한 산란능은 입자 직경이 0.2㎛ 내지 0.3㎛로 최대가 되고, 기체를 은폐하여 높은 백색도를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0.5㎛인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백색 안료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자 직경이 0.2㎛ 내지 0.3㎛의 범위보다 작아지면, 은폐력이 최대가 되는 입자 직경 범위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가시광에 대한 산란능이 작아지는 점에서 투명해지고, 그와 동시에 자외선 차폐성이 증대하는 점에서, 평균 입자 직경이 0.01㎛ 내지 0.07㎛인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햇볕 그을림 방지용 화장품류의 자외선 차폐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결정 구조로서는 루틸형, 브루카이트 구조, 아나타아제형이 있는데, 어느 결정 구조여도 된다.
산화아연 입자에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0.3㎛ 내지 0.7㎛,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인 것을, 백색 안료로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산화아연 입자는, 피부에 대하여 약한 수렴 작용이 있기 때문에, 햇볕 그을림에 의한 피부의 달아 오름 등을 진정시키는 화장품에 배합할 수 있다.
산화철 입자로서는, 철의 산화도에 따라, 적색, 황색, 흑색 등의 색이 있고, 예를 들어 산화제2철(Fe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벵갈라는 적색 안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철 입자로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0.5㎛인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티타늄산염 입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티타늄산염 입자는, 평균 지름 직경이 0.1㎛ 내지 10.0㎛이며, 평균 두께가 0.1㎛ 내지 4.0㎛인 레피도크로사이트형의 티타늄산염 입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티타늄산염 입자의 형상은, 판상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티타늄산염 입자의 평균 지름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이다.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이다. 평균 긴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이다. 평균 지름 직경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다. 평균 지름 직경, 평균 두께, 평균 긴 직경 및 평균 지름 직경비가 각각,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금속 산화물 입자와 병용했을 때에 금속 산화물 입자의 응집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어, 분산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티타늄산염 입자의 평균 긴 직경, 평균 지름 직경, 및 평균 지름 직경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먼저,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관찰에 의해 임의의 50개의 입자를 선정하고, 그의 긴 직경 및 짧은 직경을 측정하였다. 평균 긴 직경은, 50개의 산술 평균으로부터 구하였다. 평균 지름 직경은, (긴 직경+짧은 직경)/2에 의한 50개의 산술 평균으로부터 구하였다. 평균 지름 직경비는, 긴 직경/짧은 직경에 의한 50개의 산술 평균으로부터 구하였다. 또한, 상기 티타늄산염 입자의 평균 두께는, SEM 관찰에 의해 임의의 10개의 입자를 선정하고, 그의 두께를 측정하고, 10개의 산술 평균으로부터 구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티타늄산염 입자는, 화학식 K0.5∼0.7Li0.27Ti1.73O3.85∼3.95, K0.2∼0.7Mg0.4Ti1.6O3.7∼3.95 및 K0.2∼0.7Li0.27-(2x/3)MgxTi1.73-(x/3)O3.7∼3.95[식 중, x는, 0.004≤x≤0.4]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K0.5∼0.7Li0.27Ti1.73O3.85∼3.95, K0.5∼0.7Mg0.4Ti1.6O3.85∼3.95 및 K0.5∼0.7Li0.27-(2x/3)MgxTi1.73-(x/3)O3.85∼3.95[식 중, x는, 0.004≤x≤0.2]에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층 간의 칼륨 이온의 용출을 한층 더 억제하는 관점에서, K0.5∼0.7Li0.27-(2x/3)MgxTi1.73-(x/3)O3.85∼3.95[식 중, x는, 0.004≤x≤0.2]이며, 이들 중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은, 사방정 층상 구조를 갖고 있으며, 마이카 등과 동일한 판상 형상을 갖고 있지만, 마이카 등과 비교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윤기나 광택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각도 의존성이 작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상기 K0.5∼0.7Li0.27Ti1.73O3.85∼3.95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03/037797호 대로이다. 또한, K0.2∼0.7Mg0.4Ti1.6O3.7∼3.95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02/010069호 대로이다. 또한, K0.2∼0.7Li0.27-(2x/3)MgxTi1.73-(x/3)O3.7∼3.95[식 중, x는, 0.004≤x≤0.4]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5/045954호 대로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열에 의해 이산화티타늄을 생성하는 화합물 또는 이산화티타늄(티타늄원)과, 가열에 의해 산화칼륨을 생성하는 화합물 또는 산화칼륨(칼륨원)과, 필요에 따라 가열에 의해 산화리튬을 생성하는 화합물 또는 산화리튬(리튬원)과, 필요에 따라 가열에 의해 산화마그네슘을 생성하는 화합물 또는 산화마그네슘(마그네슘원)을 원료로 하여 이들 원료를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반응의 균일화나 결정 성장의 목적으로 플럭스를 첨가하고, 얻어진 원료 혼합물을 소성(1차 소성)하고, 얻어진 1차 소성물로부터 칼륨분을 용출한 후, 건조하고, 필요에 따라 소성(2차 소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2차 소성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의 표면 처리는 한층 더 용이하게 되지만, 티타늄산염 입자의 결정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2차 소성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타늄원으로서는, 티타늄 원소를 함유하여 가열에 의해 이산화티타늄의 생성을 저해하지 않는 원재료(화합물) 또는 이산화티타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아산화티타늄, 오르토티타늄산 또는 그의 염, 메타티타늄산 또는 그의 염, 수산화티타늄, 퍼옥소티타늄산 또는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이다. 이산화티타늄의 결정형으로서는, 루틸형 또는 아나타아제형이 바람직하다.
칼륨원으로서는, 칼륨 원소를 함유하여 가열에 의해 산화칼륨의 생성을 저해하지 않는 원재료(화합물) 또는 산화칼륨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러한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산화칼륨,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탄산칼륨이다.
리튬원으로서는, 리튬 원소를 함유하여 가열에 의해 산화리튬의 생성을 저해하지 않는 원재료(화합물) 또는 산화리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러한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산화리튬, 수산화리튬, 탄산리튬, 불화리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탄산리튬이다.
마그네슘원으로서는, 마그네슘 원소를 함유하여 가열에 의해 산화마그네슘의 생성을 저해하지 않는 원재료(화합물) 또는 산화마그네슘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러한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불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이다.
예를 들어, K0.7Li0.27Ti1.73O3.95의 경우, 티타늄원과 칼륨원과 리튬원의 혼합 비율은, Ti:K:Li=1.73:0.8:0.27(몰비)의 비율을 기본으로 하지만, 각각 5% 정도라면 변화시켜도 지장은 없다. 상기 비율을 크게 벗어나면, 판상이 아닌 부생물 Li2TiO3, K2Ti6O13, K2Ti4O9가 석출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K0.7Mg0.4Ti1.6O3.95의 경우, 티타늄원과 칼륨원과 마그네슘원의 혼합 비율은, Ti:K:Mg=1.6:0.8:0.4(몰비)의 비율을 기본으로 하는데, 각각 5% 정도라면 변화시켜도 지장은 없다. 상기 배합을 크게 벗어나면, 판상이 아닌 부생물 MgTiO3, K2Ti6O13, K2Ti4O9가 석출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K0.7Li0.14Mg0.2Ti1.66O3.95의 경우, 티타늄원과 칼륨원과 리튬원과 마그네슘원의 혼합 비율은, Ti:K:Li:Mg=1.66:0.8:0.14:0.2의 비율을 기본으로 하는데, 각각 5% 정도라면 변화시켜도 지장은 없다. 상기 비율을 크게 벗어나면, 판상이 아닌 부생물 Li2TiO3, MgTiO3, K2Ti6O13, K2Ti4O9가 석출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플럭스로서는, 염화칼륨, 불화칼륨, 몰리브덴산칼륨, 텅스텐산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염화칼륨이 바람직하다. 플럭스의 배합 비율은, 상기 원료(티타늄원과 칼륨원과 리튬원과 마그네슘원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8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플럭스의 배합 비율을 이 범위 내로 하면, 입자 표면에 있어서의 요철이 적어지고, 각도 의존성이 한층 더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1차 소성은, 전기로, 로터리 킬른, 관상로, 유동 소성로, 터널 킬른 등을 사용하여 행하여지고, 원료 혼합물을 800 내지 1150℃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24시간 유지함으로써, 소성 반응을 완결할 수 있다.
칼륨분의 용출은, 1차 소성물의 수성 슬러리에 산을 혼합하여 수성 슬러리의 pH를 조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수성 슬러리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넓은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작업성 등을 고려하면, 예를 들어 1 내지 30질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질량% 정도로 하면 된다. 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황산, 염산, 질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산은 필요에 따라서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수성 슬러리에 대한 산의 첨가량은, 수성 슬러리의 pH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9가 되는 양으로 하면 된다. 또한, 수성 슬러리의 pH의 측정은, 산을 첨가하고, 1 내지 5시간 정도 교반한 후에 행한다. 산은 통상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된다. 산 수용액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넓은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1 내지 98질량% 정도로 하면 된다. 수성 슬러리의 pH를 상기 소정 범위로 조정한 후, 여과, 원심 분리 등에 의해 고형분을 해당 슬러리로부터 분리한다. 분리된 고형분은, 필요에 따라, 수세, 건조할 수 있다.
2차 소성은, 전기로, 로터리 킬른, 관상로, 유동 소성로, 터널 킬른 등을 사용하여 행하여지고, 칼륨분의 용출에 의해 얻어진 고형분을, 400 내지 700℃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24시간 유지함으로써, 소성 반응을 완결할 수 있다. 2차 소성 후, 얻어지는 분체를 원하는 사이즈로 분쇄하거나, 체에 통과시켜서 풀거나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티타늄산염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티타늄산염 입자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화합물, 불소계 화합물, 금속 비누, 콜라겐,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에스테르, 왁스, 로우,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임의 성분(기타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기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물; 탈이온수; 유지류; 탄화수소류;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실리콘류;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방부제; 금속 이온 봉쇄제; 고분자 화합물; 증점제; 분말 성분;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보습제; 약효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유지류로서는, 예를 들어, 동백유, 월견초유, 마카데미아 넛츠유, 올리브유, 채종유, 옥수수유, 참기름, 호호바유, 배아유, 소맥 배아유, 트리옥탄산글리세린 등의 액체 유지; 카카오 버터, 야자유, 경화 야자유, 팜유, 팜핵유, 목랍, 목랍핵유, 경화유,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고체 유지;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랍, 쌀겨 왁스, 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등의 왁스류;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류로서는, 예를 들어, 바셀린,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도코사헥사엔산(DHA),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의 직쇄 알코올;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옥틸도데칸올 등의 분지쇄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류로서는, 예를 들어, 쇄상 폴리실록산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 환상 폴리실록산의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나트륨 등의 지방산염;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POE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N-아실사르코신산; 술포숙신산염; N-아실아미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베타인, 아미도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류;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 에데트산나트륨염 등의 에데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라비아 고무, 트라가칸트 검, 갈락탄, 구아 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 덱스트란, 풀루란, 카르복시메틸 전분, 콜라겐, 카제인,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POL 등)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라기난, 트라가칸트 검, 퀸스시드,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CMC,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구아 검, 크산탄 검, 벤토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분말 성분으로서는,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 및 티타늄산염 입자 이외이며, 예를 들어, 황산바륨 등의 무기 백색 안료; 카본 블랙 등의 유색 무기 안료; 탈크, 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합성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합성 세리사이트, 구상 실리콘 파우더, 탄화규소, 규조토, 규산알루미늄, 메타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질화붕소 등의 백색 체질 분말; 카올린,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헥토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점토 광물, 및 그들의 유기 변성물; 이산화티타늄 피복 운모, 이산화티타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철운모티타늄, 감청 처리 운모티타늄, 카르민 처리 운모티타늄,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에폭시 적층 분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올레핀 적층 필름 분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적층 필름 분말, 산화티타늄 피복 유리 플레이크 등의 광휘성 분말;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유기 고분자 수지 분말; 스테아르산 아연, N-아실리신 등의 유기 저분자성 분말; 실크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천연 유기 분말;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5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주황색 203호, 주황색 204호, 청색 404호, 황색 401호 등의 유기 안료 분말; 알루미늄 분말, 금 분말, 은 분말 등의 금속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벤조산, 살리실산페닐,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남산옥틸,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로서는, 예를 들어, 탈크, 카르민, 벤토나이트, 카올린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어,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크실리톨, 말티톨, 말토오스, 소르비톨, 포도당, 과당,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락트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 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약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비타민 A유, 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염산염 등의 B6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모노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디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비타민 C류; 판토텐산칼슘 등의 판토텐산류; 비타민 D2,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α-토코페롤, 아세트산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태반 추출물, 글루타티온, 범의귀 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얄 젤리, 너도밤나무 추출물 등의 피부 부활제; 캡사이신, 진저론, 칸타리스 팅크, 이크타몰, 카페인, 탄닌산, γ-오리자놀 등의 혈행 촉진제;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아줄렌 등의 소염제; 아르기닌, 세린, 류신, 트립토판 등의 아미노산류; 상재균 컨트롤제의 말토오스 자당 축합물; 염화 리소자임; 카밀레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와인 효모 추출물, 자몽 추출물, 인동덩굴 추출물, 쌀 추출물, 포도 추출물, 홉 추출물, 쌀겨 추출물, 비파 추출물, 황백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당약 추출물, 전동싸리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감초 추출물, 작약 추출물, 사포나리아 추출물, 수세미외 추출물, 고추 추출물, 레몬 추출물, 겐티아나 추출물, 차조기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타임 추출물, 차 추출물, 해초 추출물, 오이 추출물, 정향나무 추출물, 인삼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하마멜리스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등의 각종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와, 상기 티타늄산염 입자와, 또한 필요에 따라, 분산매 등의 기타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티타늄산염 입자의 함유량은, 금속 산화물 입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0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40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티타늄산염 입자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가 금속 산화물 입자의 응집을 한층 더 억제하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금속 산화물 입자의 분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금속 산화물 입자가 갖는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겔계, 페이스트계, 유액계, 유화계 등의 폭넓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파우더상, 액상, 페이스트상, 로션상, 크림상, 젤상, 고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 등에 있어서 널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금속 산화물 입자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화장수, 미용액, 에센스유액, 햇볕 그을림 방지 로션, 햇볕 그을림 방지 크림, 하지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이산화티타늄의 배합이 필수인 메이크업 화장료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으며, 그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제조예 1: 티타늄산염 입자 1)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을, Ti:K:Li=1.73:0.8:0.27(몰비)이 되도록 칭량하고, 또한 플럭스로서 염화칼륨을,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55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동밀로 분쇄하면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얻어진 분쇄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850℃에서 4시간 소성 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을 수세하여 염화칼륨을 제거한 뒤, 수중에 분산시켜 20질량%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것에 98% 황산을 첨가하여 2시간 교반하고, pH를 7로 조정하였다. 이 슬러리의 고형분을 여과취출하고, 11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전기로에서 600℃에서 12시간 소성함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 1의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은,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발광 분광 분석 장치(SII·나노테크놀로지사제, 제품 번호 「SPS5100」)에 의해 레피도크로사이트형 층상 결정의 티타늄산리튬칼륨(K0.7Li0.27Ti1.73O3.95)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1의 형상은, 판상이었다.
(제조예 2: 티타늄산염 입자 2)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을 Ti:K:Li=1.73:0.8:0.27(몰비)이 되도록 칭량하고, 또한 플럭스로서 염화칼륨을,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55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동밀로 분쇄하면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얻어진 분쇄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800℃에서 4시간 소성 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을 수세하여 염화칼륨을 제거한 뒤, 수중에 분산시켜 20질량%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것에 98% 황산을 첨가하여 2시간 교반하고, pH를 7로 조정하였다. 이 슬러리의 고형분을 여과취출하고, 11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전기로에서 600℃에서 12시간 소성함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 2의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은, 제조예 1과 동일한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발광 분광 분석 장치에 의해 레피도크로사이트형 층상 결정의 티타늄산리튬칼륨(K0.7Li0.27Ti1.73O3.95)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2의 형상은, 판상이었다.
(제조예 3: 티타늄산염 입자 3)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을 Ti:K:Li=1.73:0.8:0.27(몰비)이 되도록 칭량하고, 또한 플럭스로서 염화칼륨을,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동밀로 분쇄하면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얻어진 분쇄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850℃에서 4시간 소성 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을 수세하여 염화칼륨을 제거한 뒤, 수중에 분산시켜 20질량%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것에 98% 황산을 첨가하여 2시간 교반하고, pH를 7로 조정하였다. 이 슬러리의 고형분을 여과취출하고, 11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전기로에서 600℃에서 12시간 소성함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 3의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은, 제조예 1과 동일한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발광 분광 분석 장치에 의해 레피도크로사이트형 층상 결정의 티타늄산리튬칼륨(K0.7Li0.27Ti1.73O3.95)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3의 형상은, 판상이었다.
(제조예 4: 티타늄산염 입자 4)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을 Ti:K:Li=1.73:0.8:0.27(몰비)이 되도록 칭량하고, 또한 플럭스로서 염화칼륨을,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동밀로 분쇄하면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얻어진 분쇄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800℃에서 4시간 소성 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을 수세하여 염화칼륨을 제거한 뒤, 수중에 분산시켜 20질량%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것에 98% 황산을 첨가하여 2시간 교반하고, pH를 7로 조정하였다. 이 슬러리의 고형분을 여과취출하고, 11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전기로에서 600℃에서 12시간 소성함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 4의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은, 제조예 1과 동일한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발광 분광 분석 장치에 의해 레피도크로사이트형 층상 결정의 티타늄산리튬칼륨(K0.7Li0.27Ti1.73O3.95)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4의 형상은, 판상이었다.
(제조예 5: 티타늄산염 입자 5)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을 Ti:K:Li=1.73:0.8:0.27(몰비)이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동밀로 분쇄하면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얻어진 분쇄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850℃에서 4시간 소성 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을 수중에 분산시켜 20질량%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것에 98% 황산을 첨가하여 2시간 교반하고, pH를 7로 조정하였다. 이 슬러리의 고형분을 여과취출하고, 11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전기로에서 600℃에서 12시간 소성함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 5의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은, 제조예 1과 동일한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발광 분광 분석 장치에 의해 레피도크로사이트형 층상 결정의 티타늄산리튬칼륨(K0.7Li0.27Ti1.73O3.95)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5의 형상은, 판상이었다.
(제조예 6: 티타늄산염 입자 6)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을 Ti:K:Li=1.73:0.8:0.27(몰비)이 되도록 칭량하여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동밀로 분쇄하면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얻어진 분쇄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950℃에서 4시간 소성 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을 수중에 분산시켜 20질량%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것에 98% 황산을 첨가하여 2시간 교반하고, pH를 7로 조정하였다. 이 슬러리의 고형분을 여과취출하고, 11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전기로에서 600℃에서 12시간 소성함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 6의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은, 제조예 1과 동일한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발광 분광 분석 장치에 의해 레피도크로사이트형 층상 결정의 티타늄산리튬칼륨(K0.7Li0.27Ti1.73O3.95)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6의 형상은, 판상이었다.
(제조예 7: 티타늄산염 입자 7)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을 Ti:K:Li=1.73:0.8:0.27(몰비)이 되도록 칭량하고, 또한 플럭스로서 염화칼륨을,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탄산리튬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동밀로 분쇄하면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얻어진 분쇄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1200℃에서 4시간 소성 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을 수세하여 염화칼륨을 제거한 뒤, 수중에 분산시켜 20질량%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것에 98% 황산을 첨가하여 2시간 교반하고, pH를 7로 조정하였다. 이 슬러리의 고형분을 여과취출하고, 11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전기로에서 600℃에서 12시간 소성함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 7의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은, 제조예 1과 동일한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발광 분광 분석 장치에 의해 레피도크로사이트형 층상 결정의 티타늄산리튬칼륨(K0.7Li0.27Ti1.73O3.95)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7의 형상은, 판상이었다.
(제조예 8: 티타늄산염 입자 8)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수산화마그네슘을, Ti:K:Mg=1.6:0.8:0.4(몰비)가 되도록 칭량하고, 또한 플럭스로서 염화칼륨을,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및 수산화마그네슘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55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동밀로 분쇄하면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얻어진 분쇄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1150℃에서 4시간 소성 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을 수세하여 염화칼륨을 제거한 뒤, 수중에 분산시켜 20질량%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것에 98% 황산을 첨가하여 2시간 교반하고, pH를 7로 조정하였다. 이 슬러리의 고형분을 여과취출하고, 11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전기로에서 600℃에서 12시간 소성함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 8의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은, 제조예 1과 동일한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발광 분광 분석 장치에 의해 레피도크로사이트형 층상 결정의 티타늄산마그네슘칼륨(K0.7Mg0.4Ti1.6O3.95)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8의 형상은, 판상이었다.
(제조예 9: 티타늄산염 입자 9)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탄산리튬 및 수산화마그네슘을, Ti:K:Li:Mg=1.66:0.8:0.14:0.2(몰비)가 되도록 칭량하고, 또한 플럭스로서 염화칼륨을, 이산화티타늄, 탄산칼륨, 탄산리튬 및 수산화마그네슘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55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동밀로 분쇄하면서 10분간 혼합하였다. 얻어진 분쇄 혼합물을 전기로에서 1050℃에서 4시간 소성 후, 소성물을 분쇄함으로써,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을 수세하여 염화칼륨을 제거한 뒤, 수중에 분산시켜 20질량%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것에 98% 황산을 첨가하여 2시간 교반하고, pH를 7로 조정하였다. 이 슬러리의 고형분을 여과취출하고, 11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전기로에서 600℃에서 12시간 소성함으로써, 티타늄산염 입자 9의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은, 제조예 1과 동일한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발광 분광 분석 장치에 의해 레피도크로사이트형 층상 결정의 티타늄산마그네슘칼륨(K0.7Li0.14Mg0.2Ti1.66O3.95)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9의 형상은, 판상이었다.
하기의 표 1에,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1 내지 9, 화장품 용도로 사용되는 시판하고 있는 마이카, 탈크, 세리사이트의 평균 지름 직경, 평균 긴 직경, 평균 지름 직경비, 평균 두께를 나타냈다.
또한, 티타늄산염 입자 1 내지 9, 마이카, 탈크, 세리사이트(입자)의 형상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히타치사제, 제품 번호 「S-4800」)에 의해 관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50개의 입자를 선정하고, 그의 긴 직경 및 짧은 직경을 측정하였다. 평균 지름 직경은, (긴 직경+짧은 직경)/2에 의한 50개의 산술 평균으로부터 구하였다. 평균 긴 직경은, 50개의 산술 평균으로부터 구하였다. 평균 지름 직경비는, 긴 직경/짧은 직경에 의한 50개의 산술 평균으로부터 구하였다. 평균 두께는, SEM 관찰에 의해 임의의 10개의 입자를 선정하고, 그의 두께를 측정하고, 10개의 산술 평균으로부터 구하였다.
얻어진 티타늄산염 입자 1 내지 9, 화장품 용도로 사용되는 시판하고 있는 마이카, 탈크, 세리사이트를 각각 압분체로 하고, 멀티앵글 분광 측정계(X-rite사제, 제품 번호 「MA68II」)로 여러가지 각도의 광을 샘플에 반사시킴으로써 반사율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기초하여 반사율의 각도 의존성을 산출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각도 의존성이 작으면 반사성이 강하고, 각도 의존성이 크면 음영이 없는 것을 나타내고, 각도 의존성 80.0 내지 93.0%의 것이 눈으로 보는 각도에서 윤기나 광택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예쁜 백색을 나타낸다.
각도 의존성[%]=[(110° 반사율)/(15° 반사율)] ×100
Figure 112019058268070-pct00001
(실시예 1 내지 8, 비교예 1 내지 4)
표 2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이 되도록, 티타늄산염 입자 1 내지 9, 마이카, 탈크, 세리사이트(시험 분체)와, 이산화티타늄(평균 입자 직경 0.05㎛, 이시하라 산교사제, 상품명 「TTO-80(A)」)을 재서 취하고, 각각 합계량을 5g으로 하였다. 그것을 용기에 넣고, 10초간 약숟가락에 의해 혼합하였다. 그 후, 혼합 분말을 압분체로 하였다. 또한, 이산화티타늄의 평균 입자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히타치사제, 제품 번호 「S-4800」)을 사용하여 1차 입자의 50% 입자 직경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혼합 분말의 분산성은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이산화티타늄 단체의 압분체 및 시험 분체 단체의 압분체에 대하여 색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제품 번호 「CR-300」)에 의해 L값을 측정하고, 균일 분산되어 있는 경우의 L값(계산 L값)을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계산 L값=(이산화티타늄 단체의 L값)/2+(시험 분체 단체의 L값)/2
또한, 얻어진 혼합 분말의 압분체에 대해서, 임의의 9군데를 색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제품 번호 「CR-300」)에 의해 L값(측정 L값)을 측정하고, 계산 L값과 측정 L값의 어긋남을 표준 편차로 계산하고, 표준 편차가 0.05 미만인 것을 분산성 「○」, 표준 편차가 0.05 이상 0.10 미만인 것을 분산성 「△」, 표준 편차가 0.10 이상인 것을 분산성 「×」로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타늄산염 입자 1 내지 6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6, 및 티타늄산염 입자 8, 9를 사용한 실시예 7, 8은, 마이카나 탈크 등의 판상 광물과 비교하여, 이산화티타늄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9058268070-pct00002
(실시예 9 및 비교예 5 내지 8)
표 3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이 되도록 이산화티타늄(평균 입자 직경 0.25㎛, 이시하라 산교사제, 상품명 「CR-50」), 티타늄산염 입자 1, 마이카를 재서 취하고, 합계량 5g으로 하였다. 거기에 아크릴 수지 20g을 추가하고, 호모믹서로 2500rpm, 5분간 교반시켰다. 얻어진 혼합 수지를 은폐 시험지에 두께 200㎛로 도포하고, 10분간, 85℃에서 굳혔다. 또한, 이산화티타늄의 평균 입자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히타치사제, 제품 번호 「S-4800」)을 사용하여 1차 입자의 50% 입자 직경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얻어진 은폐 시험지에 대해서, 백지 및 흑지 각각 임의의 3군데를 색채 색차계(코니카 미놀타사제, 제품 번호 「CR-300」)에 의해 L값을 측정하였다. 백지와 흑지의 명도차가 작을수록, 은폐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백지와 흑지의 L값의 차(명도차)를 사용하여, 은폐력[%]을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산화티타늄에 티타늄산염 입자 1을 가함으로써, 분산성이 향상된 결과, 이산화티타늄 단체와 비교하여, 은폐성(은폐력)이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은폐력[%]=〔(100-명도차)/100〕×100
Figure 112019058268070-pct00003
(실시예 10 및 비교예 9)
표 4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파우더리 파운데이션)이 되도록 티타늄산염 입자 1, 실리콘 처리 이산화티타늄(평균 입자 직경 0.25㎛), 실리콘 처리 황산화철(평균 입자 직경 0.2㎛), 실리콘 처리 적산화철(평균 입자 직경 0.2㎛), 실리콘 처리 흑산화철(평균 입자 직경 0.3㎛), 실리콘 처리 탈크, 실리콘 처리 마이카, 구상 실리콘 파우더,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바셀린,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를 재서 취하고, 헨쉘 믹서로, 5분간 교반시킨 후, 프레스 성형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샘플로 하였다. 또한,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철의 평균 입자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히타치사제, 제품 번호 「S-4800」)을 사용하여 1차 입자의 50% 입자 직경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또한, 비교예 9에서는, 티타늄산염 입자 1을 사용하지 않았다.
Figure 112019058268070-pct00004
(실시예 11 및 비교예 10)
표 5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리퀴드 파운데이션)이 되도록 티타늄산염 입자 8, 실리콘 처리 탈크, 시클로펜타실록산, 탈이온수, 실리콘 처리 이산화티타늄(평균 입자 직경 0.25㎛), 실리콘 처리 황산화철(평균 입자 직경 0.2㎛), 실리콘 처리 적산화철(평균 입자 직경 0.2㎛), 실리콘 처리 흑산화철(평균 입자 직경 0.3㎛), 디메틸폴리실록산, 글리세린을 재서 취하고, 호모믹서로, 5분간 교반시켜, 화장료 조성물의 샘플로 하였다. 또한,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철의 평균 입자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히타치사제, 제품 번호 「S-4800」)을 사용하여 1차 입자의 50% 입자 직경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또한, 비교예 10에서는, 티타늄산염 입자 8을 사용하지 않았다.
Figure 112019058268070-pct00005
(실시예 12 및 비교예 11)
표 6에 나타내는 배합 조성(루즈 파우더)이 되도록 티타늄산염 입자 9, 실리콘 처리 탈크, 실리콘 처리 마이카, 실리콘 처리 이산화티타늄(평균 입자 직경 0.25㎛), 실리콘 처리 산화아연(평균 입자 직경 0.4㎛), 디메틸폴리실록산, 1,3-부틸렌글리콜을 재서 취하고, 헨쉘 믹서로, 5분간 교반시켜, 화장료 조성물의 샘플로 하였다. 또한, 이산화티타늄 및 산화아연의 평균 입자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히타치사제, 제품 번호 「S-4800」)을 사용하여 1차 입자의 50% 입자 직경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또한, 비교예 11에서는, 티타늄산염 입자 9를 사용하지 않았다.
Figure 112019058268070-pct00006
실시예 10 내지 12, 비교예 9 내지 11에서 얻어진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고 눈으로 관찰함으로써, 레피도크로사이트형 판상 티타늄산염 입자를 배합함으로써, 레피도크로사이트형 판상 티타늄산염 입자를 배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색 불균일이 적고, 은폐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Claims (6)

  1. 평균 입자 직경이 1㎛ 이하인 금속 산화물 입자와, 평균 지름 직경이 0.1㎛ 내지 10.0㎛이며, 평균 두께가 0.1㎛ 내지 4.0㎛인 레피도크로사이트형 판상 티타늄산염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티타늄산염 입자가, 화학식 K0.5∼0.7Li0.27Ti1.73O3.85∼3.95, K0.2∼0.7Mg0.4Ti1.6O3.7∼3.95 및 K0.2∼0.7Li0.27-(2x/3)MgxTi1.73-(x/3)O3.7∼3.95[식 중, x는, 0.004≤x≤0.4]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며,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가,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규소, 산화크롬, 산화마그네슘 및 흑산화티타늄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0.01㎛ 내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산염 입자의 평균 긴 직경이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산염 입자의 평균 지름 직경비가 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산염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금속 산화물 입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0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KR1020197016379A 2017-02-07 2018-02-05 화장료 조성물 KR102490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20119 2017-02-07
JP2017020119 2017-02-07
JPJP-P-2017-055287 2017-03-22
JP2017055287 2017-03-22
PCT/JP2018/003717 WO2018147203A1 (ja) 2017-02-07 2018-02-05 化粧料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524A KR20190110524A (ko) 2019-09-30
KR102490404B1 true KR102490404B1 (ko) 2023-01-18

Family

ID=6310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379A KR102490404B1 (ko) 2017-02-07 2018-02-05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58135A1 (ko)
JP (1) JP6945567B2 (ko)
KR (1) KR102490404B1 (ko)
CN (1) CN110167513B (ko)
WO (1) WO2018147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27157A1 (en) * 2020-10-23 2022-04-28 Miyoshi America, Inc. Titanate crystals and surface treated titanate crystals
US20220127158A1 (en) * 2020-10-23 2022-04-28 Miyoshi America, Inc. Titanate crystal particle dispers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107A (ja) * 2005-05-10 2006-11-24 Nippon Denko Kk 複合紫外線遮断剤、化粧料及び樹脂組成物
JP2008162971A (ja) * 2006-12-28 2008-07-17 Fancl Corp 板状チタン酸塩からなる光輝性顔料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1039B2 (ja) * 1993-02-17 2003-04-28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化粧料
JPH0930918A (ja) * 1995-07-20 1997-02-04 Kanebo Ltd 複合粉体及び配合化粧料
JP3062497B1 (ja) * 1999-06-04 2000-07-10 大塚化学株式会社 薄片状チタン酸塩の製造方法
JP4398248B2 (ja) * 2001-10-29 2010-01-13 大塚化学株式会社 レピドクロサイト型チタン酸リチウムカリ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摩擦材
JP4611125B2 (ja) * 2005-06-09 2011-01-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口唇部用の化粧料
JP2007084478A (ja) * 2005-09-21 2007-04-05 Tayca Corp 化粧料
JP5081422B2 (ja) 2006-10-03 2012-11-28 株式会社コーセー 白色複合粉体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10106123A (ja) * 2008-10-29 2010-05-13 Fancl Corp 板状茶色系顔料
JP2012006892A (ja) * 2010-06-28 2012-01-12 Shiseido Co Ltd 化粧料
EP3210941B1 (en) * 2014-10-24 2019-05-08 Otsuka Chemical Co., Ltd. Porous titanate compound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107A (ja) * 2005-05-10 2006-11-24 Nippon Denko Kk 複合紫外線遮断剤、化粧料及び樹脂組成物
JP2008162971A (ja) * 2006-12-28 2008-07-17 Fancl Corp 板状チタン酸塩からなる光輝性顔料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203A1 (ja) 2018-08-16
CN110167513B (zh) 2023-06-23
JPWO2018147203A1 (ja) 2019-11-21
US20190358135A1 (en) 2019-11-28
JP6945567B2 (ja) 2021-10-06
KR20190110524A (ko) 2019-09-30
CN110167513A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8888C (zh) 性质有益的氧化钛粒子及其制造方法
US20140242128A1 (en) Composite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798191B1 (en) Novel titanium oxide powder and cosmetic formulated therewith
US10406083B2 (en) Cosmetic
ES2905098T3 (es) Polvo de óxido de zinc, dispersión, pintura y material cosmético
KR20110073611A (ko) 메이크업용 파우더 조성물 및 방법
EP3235878A1 (de) Pigmentgemisch
KR102490404B1 (ko) 화장료 조성물
JP6758033B2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08162971A (ja) 板状チタン酸塩からなる光輝性顔料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0264824A (ja) 紫外線防御化粧料
JP2003002634A (ja) 着色雲母チタン
JP2007176936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04026656A (ja) 化粧料
JP4666699B2 (ja) 化粧料
JP3736970B2 (ja) 被覆粉体並びに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JP2010106123A (ja) 板状茶色系顔料
JP3492937B2 (ja) 化粧料
JPH10212211A (ja) 化粧料
JP3677610B2 (ja) 酸化鉄含有二酸化チタン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H01175921A (ja) 外用剤
JP3776376B2 (ja) 化粧料
JP2010105843A (ja) 板状黄緑色系顔料
JP2003155215A (ja) 化粧料
JP2000327517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