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968B1 - 접착식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접착식 도로표지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9968B1 KR102489968B1 KR1020220144969A KR20220144969A KR102489968B1 KR 102489968 B1 KR102489968 B1 KR 102489968B1 KR 1020220144969 A KR1020220144969 A KR 1020220144969A KR 20220144969 A KR20220144969 A KR 20220144969A KR 102489968 B1 KR102489968 B1 KR 1024899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adhesive
- space
- road
- road sig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101 luminescent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5—Glued to surface, e.g. roa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패드에 의하여 노면에 부착되는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복수개의 경사면이 각 측면을 구현하되 상측방향으로 향할수록 상기 각 경사면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경사면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각 경사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에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되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및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공간, 상기 제2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반사부재의 형상을 따라 지지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표지병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부재를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접착패드를 이용하여 노면을 천공하지 않고도 노면에 설치가 가능한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해가 진 밤이나 눈, 비, 안개 등으로 시야확보가 어려운 날에는 운전자들이 도로의 차선을 시인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들이 차선을 침범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선이 발광할 수 있도록 차선을 형성하는 도료에 유리알과 같은 반사물질 또는 축광물질을 첨가하거나 차선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도로표지병을 설치하곤 한다. 그러나, 발광 도료는 값이 비싸고 차량 바퀴와의 마찰에 의하여 쉽게 벗겨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로표지병은, 차량 등에서 제공되는 광을 반사하여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차선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노면을 천공하고, 천공된 노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지주식 도로표지병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지주식 도로표지병은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반사판이 설치되고 천공된 노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본체로 구성되어 노면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지주식 도로표지병은 시공시 노면을 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노면 파손의 큰 원인이 될 수 있고, 시공시간이 길고 시공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한, 지주식 도로표지병이 노면에서 이탈되는 경우에는 지주가 차량의 바퀴에 박히거나 차량의 앞유리에 박히는 등 2차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56909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강부재를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접착패드를 이용하여 노면을 천공하지 않고도 노면에 설치가 가능한 접착식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패드에 의하여 노면에 부착되는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복수개의 경사면이 각 측면을 구현하되 상측방향으로 향할수록 상기 각 경사면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경사면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각 경사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에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되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및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공간, 상기 제2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반사부재의 형상을 따라 지지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구획부재에는, 상기 구획부재의 돌출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는, 상기 보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보강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면; 일단부가 상기 제1면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제2면; 및 상기 제1면의 타단부와 상기 제2면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고, 상기 접착패드에 부착되는 제3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는, 상기 구획부재의 복수의 제1돌출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함몰부가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제1함몰부는, 상기 각각의 제1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면에는,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제2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제2함몰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면에는, 상기 접착패드와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3함몰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3함몰부는, 단계적으로 함몰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3함몰부에는, 상기 각각의 제3함몰부의 함몰 깊이를 단계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단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제3함몰부를 제1함몰구간, 제2함몰구간 및 제3함몰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도로표지병의 시공이 간편해지고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도로표지병으로 인한 2차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노면을 천공하지 않기 때문에 노면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보강부재로 인하여 내구성이 향상되어 차량 및 기타 외력에 의하여 도로표지병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부착패드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인하여 도로표지병이 부착패드에서 이탈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이 분해된 모습을 평면 기준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이 분해된 모습을 저면 기준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보강부재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보강부재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이 분해된 모습을 평면 기준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이 분해된 모습을 저면 기준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보강부재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보강부재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10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이 분해된 모습을 평면 기준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이 분해된 모습을 저면 기준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보강부재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보강부재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1000)은 본체(100), 구획부재(200), 반사부재(300) 및/또는 보강부재(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식 도로표지병(1000)은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패드(p)에 의해 노면에 부착되어 운전자의 차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100)는 측면(110)과 상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복수개의 경사면이 각 측면(110)을 구현하되 상측방향으로 향할수록 각 경사면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면(120)은 각 경사면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복수개의 경사면을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측면(110)은 사다리꼴 형상의 제1측면(111), 제1측면(111)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고 제1측면(111)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3측면(113), 제1측면(111)의 우측단부와 제3측면(113)의 좌측단부에 연결되어 제1측면(111)과 제3측면(113)을 연결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2측면(112), 제2측면(112)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고 제2측면(112)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제1측면(111)의 좌측단부와 제3측면(113)의 우측단부를 연결하는 제4측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은 직사각형상으로 구현되어 제1측면(111), 제2측면(112), 제3측면(113), 제4측면(114)의 상측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본체(100)는 상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직사각뿔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측면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본체(100)는 통행 차량의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고강도의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배치되는 노면 차선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제1측면(111)과 제3측면(113)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본체(100)를 파지하여 노면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파지부(115)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15)는 제1측면(111)과 제3측면(113)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일 수 있다. 함몰되어 형성되는 측면은 작업자의 손가락이 본체(100)를 파지하기 쉽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함몰되어 형성되는 하면은 작업자가 본체(100)를 노면 방향으로 부착할 때 노면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노면과 평행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15)는 작업자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세한 돌기들이 복수개 돌출형성되어 작업자의 손가락과 파지부(115) 사이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지부(115)의 측면과 하면에는 작업자의 파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실리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층은 작업자의 손가락과 파지부(115) 사이의 마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100)에 형성된 파지부(115)의 하면에는 보강부재(400)와의 결합을 위한 기둥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파지부(115)의 하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기둥부가 보강부재(400) 방향으로 복수개 돌출형성 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기둥부는 보강부재(4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어 보강부재(400)와 본체(100)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재(4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은 기둥부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기둥부는 보강부재(400)의 배치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기둥부의 외측면에는 실리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층은 각각의 기둥부가 각각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경우 각각의 기둥부와 각각의 결합홈 사이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리콘층의 외면에는 돌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돌기는 각각의 기둥부와 각각의 결합홈 사이의 마찰력을 더욱 상승시켜 보강부재(400)가 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본체(100)와 보강부재(400)간의 결합 공정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체(100)의 제2측면(112)과 제4측면(114)에는 반사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반사부재(300) 형상과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개구부는 반사부재(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반사부재(300)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0)에는 후술하는 반사부재(300)의 형상을 따라 지지부(13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본체(100)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 될 수 있으며, 제1측면(111)과 제2측면(112)이 연결되는 부분, 제2측면(112)과 제3측면(113)이 연결되는 부분, 제3측면(113)과 제4측면이 연결되는 부분 및 제4측면과 제1측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0)의 배치에 의하면, 차량 바퀴가 어느방향에서 접촉되더라도 본체(100)의 지지부(130)에 가장 먼저 접촉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곡면을 가지도록 돌출되어 차량 바퀴가 지지부(130)와 접촉되더라도 차량 바퀴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돌출된 지지부(130)는 차량이 본체(100)를 밟고 지나갈 때 가장 먼저 차량 바퀴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지지부(130)는 본체(100)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차량 바퀴가 본체(100)와 접촉될 때 차량 바퀴와 본체(100) 사이의 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차량 바퀴가 인가하는 외력이 지지부(130)에 의해 사방면으로 동시에 분산되어 본체(100) 자체에 인가되는 외력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바퀴가 본체(100) 및 반사부재(300)에 접촉되는 면적이 감소되어 차량 바퀴로 인하여 본체(100) 및 반사부재(300)가 파손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체(100)에는 구획부재(200)가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재(200)는 본체(100)의 상면(120)에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획부재(200)는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되 본체(100)의 전체높이와 동일한 수준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구획부재(200)는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함과 동시에 본체(100)의 상면(1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본체(100)에 인가되는 하중에 구획부재(200)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구획부재(200)에는 구획부재(200)의 돌출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210)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구획부재(200)는 상면(120)에서 돌출형성되되 상면(120)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본체(100)의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획부재(200)의 양측면에는 구획부재(200)의 돌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210)가 구획부재(200)의 양측면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출부(210)는 후술하는 보강부재(400)와 결합되어 보강부재(400)의 좌우측 이동을 제지할 수 있다. 즉, 제1돌출부(210)는 보강부재(400)와 결합되어 보강부재(400)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부재(300)는 한쌍으로 마련되고, 본체(100)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되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반사부재(300)는 제2측면(112)과 제4측면(11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300)는 제2측면(112)과 제4측면(114)에 마련된 개구부를 마감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각 측면(112,114)방향으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각 측면(112,114)의 개구부는 반사부재(300)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반사부재(300)가 각 측면(112,114)에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반사부재(300)가 본체(100) 내부공간에서 각 측면(112,114)의 개구부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반사부재(300)가 파손되더라도 본체(100)에 의해 외곽부분의 이동이 제지되므로 파손된 반사부재(300)가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반사부재(300)는 일정한 패턴이 구현되고, 입사된 광을 재귀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사부재(300)에는 광 반사를 일으키는 비즈들이 전조방식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재(300)는 미량의 광에서 최적의 빛 반사율을 가지도록 다이아몬드 형상의 복수개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아몬드 형상의 렌즈는 미량의 광 조사를 통해 반사되는 재귀시험측정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반사기능을 가지도록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사부재(300)는 노면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의 헤드라이터 불빛 또는 기타 불빛들을 통해 입사된 광을 운전자에게 재귀반사시켜 운전자의 차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부재(300)는 본체(100)의 색에 따라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00)가 노면의 중앙선에 배치되기 위하여 노란색상으로 만들어진 경우, 반사부재(300) 또한 노란색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반사부재(300)는 제2측면(112)과 제4측면(114)의 배치 각도를 따라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노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반사부재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반사가 가능하므로 노면에서 높은 위치에서 운전하는 운전자들에게 보다 반사광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반사부재(300)에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반사부재(300)에 먼지 등이 쌓이면 재귀반사력이 현저히 떨어지는데, 반사부재(300)에 정전기 방지 물질이 도포되면 반사부재(300)에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이 방지되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의 보강부재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보강부재(400)의 정면, 도 5의(b)는 보강부재(400)의 배면, 도 5의 (c)는 보강부재(400)의 평면, 도 5의 (d)는 보강부재(400)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강부재(400)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구획부재(200)에 의해 구획된 제1공간, 제2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각 보강부재(400)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구현될 수 있고, 더 상세하게는 제1면(410), 제2면(420) 및/또는 제3면(4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 보강부재(40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된 면이 직삼각형일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400)는 본체(100)와 결합되어, 본체(100)에 인가되는 차량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본체(100)를 지지하여 본체(100)가 파손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각 보강부재(400)가 제1공간 또는 제2공간에 각각 배치될 때 제1면(410)은 구획부재(200)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면(410)은 제1공간 또는 제2공간 내의 보강부재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면(420)은 제1면(41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본체(100)의 측면(110)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측면(110)은 제2측면(112)과 제4측면(114)일 수 있다.
제3면(430)은 제1면(410)의 타단부와 제2면(42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제1면(410)과 제2면(4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3면(430)은 노면에 직접 부착되는 면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면(410)에는 구획부재(200)의 복수의 제1돌출부(21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1함몰부(411)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제1함몰부(411)는 각 제1돌출부(210)의 돌출 길이보다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각 제1돌출부(210)가 각 제1함몰부(411)에 삽입될 때, 각 제1함몰부(411)와 각 제1돌출부(210) 사이에는 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즉, 각 제1돌출부(210)와 각 제1함몰부(411)의 형성 길이에 의하여 각 제1돌출부(210)가 각 제1함몰부(411)에 완전히 삽입되어도, 각 제1돌출부(210)와 각 제1함몰부(41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접착식 도로표지병(1000)을 노면에 부착할 때에는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패드(P)를 사용한다. 이러한 접착패드(P)는 경화된 고체의 상태로 존재하다가 일정 구간의 열을 인가하면 연화될 수 있다. 이때 연화된 접착패드(P)에 도로표지병(1000)을 적층시키고 노면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면 접착패드(P)에 도로표지병(1000)이 부착될 수 있다. 연화된 접착패드(P)는 젤 형태가 되어 자유롭게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돌출부(210)와 복수의 제1함몰부(4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연화된 접착패드(P)가 일부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화된 접착패드(P)에 적층된 도로표지병(1000)에 작업자가 힘을 인가하게 되면, 연화된 접착패드(P)의 일부가 복수의 제1돌출부(210)와 복수의 제1함몰부(411)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이후, 시간이 지나 다시 접착패드(P)가 경화되면, 복수의 제1돌출부(210)와 복수의 제1함몰부(411) 사이에 인입된 접착패드(P)가 복수의 제1돌출부(210)와 복수의 제1함몰부(411) 사이에서 경화되어 구획부재(200)와 각 보강부재(40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각 보강부재(400)가 본체(100) 내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돌출부(210)와 복수의 제1함몰부(411) 사이에 인입된 접착패드(P)의 일부가 경화되면서 접착패드(P)와 도로표지병(1000)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도로표지병(1000)에 횡방향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복수의 제1돌출부(210)와 복수의 제1함몰부(411) 사이에서 경화된 접착패드(P)의 일부에 의해 도로표지병(1000)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돌출부(210)와 복수의 제1함몰부(4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접착패드(P)가 모든 공간에 인입되지 않고, 상측 부분에는 접착패드(P)가 인입되지 않을 수 있다. 접착패드(P)가 인입되지 않은 복수의 제1돌출부(210)와 복수의 제1함몰부(4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공기가 머무를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본체(100)에 인가된 충격 하중 및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면(420)에는 반사부재(300)와 제2면(42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제2함몰부(42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2함몰부(421)는 제2면(420)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제2면(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2함몰부(421)는 제2면(420)에서 함몰 형성됨으로써 보강부재(400)가 본체(100)에 결합됐을 때, 반사부재(30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층은 반사부재(300)에 인가된 외력을 완화시켜 보강부재(400)에 인가되는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2함몰부(421)에는 에어패드(미도시)가 각각 배치되어 반사부재(300)와 보강부재(400) 사이의 외력을 완화할 수도 있다. 에어패드는 PE폼과 같이 다공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에어패드는 균일한 형태의 기포가 고르게 생성되어 다공을 가지는 패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한 에어패드의 다공에는 에어가 머무를 수 있다. 즉, 에어가 균일하게 분포된 에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재(300)와 에어패드에 인가되는 진동 및 충격 하중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다공 및 에어층에는 열이 저장될 수 있으므로, 지면에서 올라오는 열이 반사부재(300)로 이동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에어패드는 각각의 제2함몰부(421)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면(430)에는 접착패드(P)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3함몰부(43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3함몰부(431)는 단계적으로 함몰 깊이가 깊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3면(430)에는 복수개의 제3함몰부(431)가 형성되되 제1면(410) 방향으로 향할수록 함몰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함몰 형상은 보강부재(400)의 형상을 따라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3함몰부(431)에 의하면, 연화된 접착패드(P)가 제3함몰부(431)로 인입되어 경화됨으로써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각 제3함몰부(431)에는 제3함몰부(431)의 함몰 깊이를 단계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단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에 의하면 각각의 제3함몰부(431)는 제1함몰구간(4311s), 제2함몰구간(4312s), 제3함몰구간(4313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제3함몰부(431)에는 제1단(4311)과 제2단(431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단(4311)과 제2단(4312)의 돌출 방향은 함몰된 제3함몰부(431)에서 제3면(430) 방향일 수 있다. 즉, 제1단(4311)과 제2단(4312)은 도로표지병(1000)이 노면에 설치되었을 때 제3함몰부(431)에서 노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단(4311)과 제2단(4312)에 의하면, 제3함몰부(431)가 함몰 깊이에 따라 제1함몰구간(4311s), 제2함몰구간(4312s), 제3함몰구간(4313s)으로 구분되어 깊이 다른 각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함몰구간(4311s), 제2함몰구간(4312s), 제3함몰구간(4313s)에는 연화된 접착패드(p)가 인입될 수 있는데, 이때 제1함몰구간(4311s), 제2함몰구간(4312s), 제3함몰구간(4313s) 각각의 함몰 깊이가 상이하여 인입되는 접착패드(p)의 양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함몰 깊이가 깊지 않은 부분에는 접착패드(p)가 모든 공간에 인입되어 경화될 수 있고, 함몰 깊이가 깊은 부분에는 접착패드(p)가 일부분의 공간에 인입되어 경화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함몰구간(4311s)에는 접착패드(p)가 가득 차도록 인입될 수 있고, 제2함몰구간(4312s)은 접착패드(p)가 2/3 내지 가득 차도록 인입될 수 있고, 제3함몰구간(4313s)은 접착패드(p)가 1/2 내지 2/3 정도 차도록 인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2함몰구간(4312s)과 제3함몰구간(4313s)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층은 앞서 상술했듯이 도로표지병(1000)에 인가되는 충격 하중과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제3함몰부(431)는 접착패드(p)와 보강부재(400)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충격 하중과 진동까지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각각의 제3함몰부(431)의 제1함몰구간(4311s)에는 제3함몰부(43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4함몰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4함몰부(432)는 제1함몰구간(4311s)의 함몰 깊이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3함몰부(431)와 제4함몰부(43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패드(p)와 보강부재(400)간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다양한 방향에서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보강부재(400)는 본체(100) 내부에 배치된 후, 초음파 융착방식에 의해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기타 접착부재가 없어도 본체(100)와 보강부재(40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부재(400)는 상술한 초음파 융착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본체(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식 도로표지병(1000)은 초음파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자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는 관리자에 의해 일정한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는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초음파 진동자를 작동시키거나,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비, 눈 등이 내린 날에 초음파 진동자를 작동시킬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가 작동되면 본체(100) 및 본체(100)와 연결된 반사부재(300)에는 초음파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본체(100) 및 반사부재(300)에 전달된 초음파 진동은 본체(100) 및 반사부재(300)에 부착된 오물 및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에 의해 본체(100) 및 반사부재(300)에서 제거된 오물 및 먼지는 본체(100)의 경사를 따라 본체(100) 하측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반사부재(300) 및 본체(100)에 부착된 오물 및 먼지를 직접 청소하지 않아도 원격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눈이 녹아내리거나, 빗물 등이 본체(100) 및 반사부재(300)에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는 오물 및 먼지 등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본체(100), 구획부재(200), 반사부재(300) 및/또는 보강부재(400)를 포함하는 접착식 도로표지병(1000)에 의하면, 각 구성 및 접착패드(p) 사이에 복수개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외부에 의한 진동 및 차량 하중에 완화될 수 있고, 보강부재(400)가 본체(100)를 지지하므로 도로표지병(1000)의 내구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도로표지병의 시공이 간편해지고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도로표지병으로 인한 2차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노면을 천공하지 않기 때문에 노면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의하면, 부착패드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인하여 도로표지병이 부착패드에서 이탈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식 도로표지병
100: 본체
200: 구획부재
300: 반사부재
400: 보강부재
100: 본체
200: 구획부재
300: 반사부재
400: 보강부재
Claims (6)
-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패드에 의하여 노면에 부착되는 접착식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복수개의 경사면이 각 측면을 구현하되 상측방향으로 향할수록 상기 각 경사면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경사면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각 경사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상면에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되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 및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공간, 상기 제2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반사부재의 형상을 따라 지지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재에는, 상기 구획부재의 돌출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돌출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돌출부는, 상기 보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각 보강부재는,
상기 구획부재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면; 일단부가 상기 제1면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제2면; 및 상기 제1면의 타단부와 상기 제2면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연결하고, 상기 접착패드에 부착되는 제3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에는, 상기 구획부재의 복수의 제1돌출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함몰부가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제1함몰부는, 상기 각각의 제1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도로표지병.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는,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제2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제2함몰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도로표지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면에는,
상기 접착패드와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3함몰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3함몰부는,
단계적으로 함몰 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도로표지병.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3함몰부에는,
상기 각각의 제3함몰부의 함몰 깊이를 단계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단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제3함몰부를 제1함몰구간, 제2함몰구간 및 제3함몰구간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도로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067902 | 2022-06-03 | ||
KR1020220067902 | 2022-06-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9968B1 true KR102489968B1 (ko) | 2023-01-18 |
Family
ID=8510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4969A KR102489968B1 (ko) | 2022-06-03 | 2022-11-03 | 접착식 도로표지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9968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78538A (en) * | 1989-06-16 | 1992-01-07 | Stimsonite Corporation | Base for roadway mark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
KR20030066499A (ko) * | 2003-06-30 | 2003-08-09 | 김영동 | 도로 표지병 |
KR100827373B1 (ko) * | 2007-10-18 | 2008-05-07 | 주식회사 이도산업 | 탄성 지지봉용 하부 고정부 |
KR100845116B1 (ko) * | 2007-05-02 | 2008-07-10 | 신정기 | 공기층이 형성된 반사체 |
KR20130132194A (ko) * | 2012-05-25 | 2013-12-04 | 재영에스텍 주식회사 | 제설차량에 의한 파손방지형 도로표지병 |
KR101568970B1 (ko) * | 2015-03-12 | 2015-11-12 | 주식회사재영비즈 | 부착식 도로표지병 |
KR101629420B1 (ko) * | 2014-12-23 | 2016-06-13 | 동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도로표지병 |
KR102157982B1 (ko) * | 2020-03-10 | 2020-09-21 | 신창기계(주) | 접착용 패드를 갖는 도로표지병 |
-
2022
- 2022-11-03 KR KR1020220144969A patent/KR1024899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78538A (en) * | 1989-06-16 | 1992-01-07 | Stimsonite Corporation | Base for roadway mark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
KR20030066499A (ko) * | 2003-06-30 | 2003-08-09 | 김영동 | 도로 표지병 |
KR20030090583A (ko) * | 2003-06-30 | 2003-11-28 | 김영동 | 도로 표지병 |
KR100845116B1 (ko) * | 2007-05-02 | 2008-07-10 | 신정기 | 공기층이 형성된 반사체 |
KR100827373B1 (ko) * | 2007-10-18 | 2008-05-07 | 주식회사 이도산업 | 탄성 지지봉용 하부 고정부 |
KR20130132194A (ko) * | 2012-05-25 | 2013-12-04 | 재영에스텍 주식회사 | 제설차량에 의한 파손방지형 도로표지병 |
KR101629420B1 (ko) * | 2014-12-23 | 2016-06-13 | 동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도로표지병 |
KR101568970B1 (ko) * | 2015-03-12 | 2015-11-12 | 주식회사재영비즈 | 부착식 도로표지병 |
KR102157982B1 (ko) * | 2020-03-10 | 2020-09-21 | 신창기계(주) | 접착용 패드를 갖는 도로표지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89968B1 (ko) | 접착식 도로표지병 | |
KR20240113094A (ko) | 접착식 단면 도로표지병 | |
EP1187955A1 (en) | Pavement marker with improved daytime visibility | |
RU2358060C2 (ru) | Маркер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 |
KR200304306Y1 (ko) | 도로표지병 | |
CN101173506A (zh) | 警示装置 | |
KR200410537Y1 (ko) | 도로 경계블럭 | |
KR20220163557A (ko) |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 |
JPS6115203B2 (ko) | ||
KR200191507Y1 (ko) | 차선표시용 도로표지병 | |
KR102616794B1 (ko) | 태양광 충전식 발광시스템을 구비하는 부착식 도로 표지병 | |
KR200419650Y1 (ko) |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 |
KR200248484Y1 (ko) |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도로경계석 | |
KR102602809B1 (ko) | 고휘도 특성을 가지며 모듈화 된 차선 및 이의 시공방법 | |
CN214219258U (zh) | 一种带玻璃微珠反光层的混凝土侧石 | |
JP3122842B2 (ja) | 光反射体及び標識構造 | |
KR200393732Y1 (ko) | 도로경계석 | |
KR101172440B1 (ko) | 비노출식 도로라인 시선유도 반사체 및 그 시공방법 | |
KR200245960Y1 (ko) | 사각 표지병 | |
CN215252428U (zh) | 高反射高强度突起路标 | |
KR200208133Y1 (ko) | 완충구조를 갖는 도로 표지병 | |
JP3223345U (ja) | 光反射具 | |
KR20230064091A (ko) | 접착력이 향상되는 부착식 도로표지병 | |
KR101000414B1 (ko) | 도로용 과속방지턱 | |
JP3129180U (ja) | 警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