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624B1 -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 Google Patents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624B1
KR102489624B1 KR1020220081848A KR20220081848A KR102489624B1 KR 102489624 B1 KR102489624 B1 KR 102489624B1 KR 1020220081848 A KR1020220081848 A KR 1020220081848A KR 20220081848 A KR20220081848 A KR 20220081848A KR 102489624 B1 KR102489624 B1 KR 102489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mber
weight
fire screen
vertical
vert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선복
위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기업
Priority to KR1020220081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2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50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유닛은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웨이트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제3 웨이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WEIGHT UNIT AND FIREPROOF SCREEN SHUT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웨이트 유닛 및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에 방화 스크린이 하강하는 경우 방화 스크린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하강할 수 있도록 돕고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는 지면 또는 바닥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용 셔터는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소방법에 의해 그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방화용 셔터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0714호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 형태의 슬레이트(Slate: 10)를 롤 포밍 가공을 통하여 제작한 후, 서로 다른 슬레이트(1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결합하였다. 그리고 통상 슬레이트(10)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철판은 방화용 셔터가 1000℃ 이상의 고온에서 1시간 이상을 버틸 수 있도록 그 두께가 1.5t ~ 1.6t인 것을 사용한다.
한편, 방화용 셔터는 평상시에는 와인딩(winding)되어 건물의 천정 내부에 수납되어 있고, 화재 발생시에만 언와인딩(unwinding)되어 펼쳐진다. 따라서, 방화용 셔터는 대부분 시간 동안 감긴(와인딩 된) 상태로 건물의 천정 내부에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방화용 셔터는 철판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당히 큰 무게를 가진다. 특히, 방화용 셔터의 폭이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무게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철판으로 된 종래의 방화용 셔터는 그 무게로 인해서 와인딩된 상태에서 천정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또한, 무게로 인해 철판으로 된 방화용 셔터의 상하 슬레이트 연결부가 변형되어 방화용 셔터가 펴질(언와인딩 될) 때 상하 슬레이트가 빠져서 안전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철판으로 된 방화용 셔터의 하중(무게)으로 인한 문제는 방화원단으로 된 방화 스크린을 사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가 해결할 수 있다. 방화 스크린 셔터는 방화원단을 사용하기 때문에 와인딩된 상태에서도 철제 방화용 셔터 보다 가볍고 천정에 큰 하중을 가하지 않는다.
반면에, 방화원단으로 된 방화 스크린은 철제 방화 셔터에 비하여 가볍기 때문에 화재시 방화 스크린을 펼칠 때(방화 스크린의 하강시) 방화 스크린의 하단에 하중을 주어야 한다.
그런데, 방화 스크린이 설치된 장소의 폭이 큰 경우에는 방화 스크린의 폭도 그에 맞춰서 길어져야 하는데, 방화 스크린의 폭이 큰 경우에는 방화 스크린의 하단에 가해지는 하중도 커져야 한다. 따라서, 방화 스크린의 하단에 연결되어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를 쉽게 조절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방화 스크린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 바람이 부는 등 환경 변화가 발생하면 방화 스크린에 공기의 힘이 작용하여 방화 스크린의 하단 즉, 하중이 걸리는 부분이 바닥이나 지면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여 방화 스크린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 하단이 바닥이나 지면과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분리되면 그 분리된 틈을 통해 연기나 화기가 새어 나갈 수 있다.
또한, 방화 스크린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중을 가하는 부재가 승강하면서 방화 스크린의 양단과 연결된 가이드 레일을 충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중을 가하는 부재가 승강하는 동안에 가이드 레일과 충돌하면 가이드 레일이 손상되거나 하중을 가하는 부재가 가이드 레일에 걸려서 방화 스크린이 정상적으로 승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90714호 (2009.08.2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방화 스크린의 폭이 큰 경우에도 방화 스크린에 충분한 하중을 가함으로써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언와인딩 될 수 있게 하는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의 크기 또는 폭에 따라 방화 스크린의 하단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한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 방화 스크린에 공기가 부딪히거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바닥이나 지면과 밀착한 상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이 승강하는 중에 가이드 레일을 충격하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유닛은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웨이트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제3 웨이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이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에 걸린 상태 또는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웨이트 부재는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웨이트 부재가 놓이는 부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단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을 포함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 웨이트 부재가 놓이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부의 폭은 상기 제2 수평부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평부의 한 쌍의 전체 폭은 상기 개구부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 수직부;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3 수직부; 및 상기 제3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수평부는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수직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되 상단은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수평부의 한 쌍의 전체 폭은 상기 개구부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웨이트 부재는 상기 제2 수직부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직 웨이트 부재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평 웨이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제3 웨이트 부재가 놓이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 수직부;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3 수직부; 상기 제3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수평부; 상기 제3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4 수직부; 및 상기 제4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 수평부의 폭 보다 짧은 폭을 가지는 제4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수평부, 상기 제4 수직부 및 상기 제4 수평부는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수직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되 상단은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수평부의 한 쌍의 전체 폭은 상기 개구부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웨이트 부재는 상기 제2 수직부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직 웨이트 부재 및 상기 제4 수평부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평 웨이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의 수직부 중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의 좌우 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하강 상태 유지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강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의 수직부 중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에 연결되는 제1 하강 유지부 및 상기 제1 하강 유지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하강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강 유지부의 하면은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하단 외면 또는 바닥면 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화 스크린의 좌우 방향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방화 스크린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의 하면 또는 바닥에 마련된 자석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의 수직부 중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의 좌우 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상기 제1 웨이트 부재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와 상기 가이드 레일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따른 웨이트 유닛이 하단에 마련되는 방화 스크린을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는 방화 스크린의 하단에 충분한 하중 또는 중력을 가하기 때문에 방화 스크린이 하강할 때(펼쳐질 때)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는 방화 스크린의 폭, 크기 또는 무게에 대응하여 방화 스크린의 하단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무게를 늘였다가 줄이는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길이 또는 무게를 가지는 방화 스크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는 방화 스크린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하강한 상태)에서 하강 상태 유지 부재가 가이드 레일의 내부 바닥에 마련된 자석에 부착되기 때문에 공기(열기)가 방화 스크린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바닥 또는 지면과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람이 대피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유독가스 등이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는 방화 스크린이 승강하는 동안 웨이트 유닛이 가이드 레일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웨이트 유닛이 가이드 레일을 충격하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강하는 중에 웨이트 유닛이 가이드 레일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에 적용되는 웨이트 유닛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웨이트 유닛의 제1 웨이트 부재 및 제2 웨이트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웨이트 유닛의 제1 웨이트 부재 및 제3 웨이트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에 적용되는 웨이트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웨이트 유닛의 제1 웨이트 부재 및 제3 웨이트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에 적용되는 웨이트 유닛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웨이트 유닛의 제1 웨이트 부재에 하강 상태 유지 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제1 웨이트 부재 및 하강 상태 유지 부재가 제2 웨이트 부재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하강 상태 유지 부재가 도 10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마련된 자석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에 따른 웨이트 유닛의 제1 웨이트 부재의 일단에 간격 유지 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 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에 적용되는 웨이트 유닛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웨이트 유닛의 제1 웨이트 부재 및 제2 웨이트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웨이트 유닛의 제1 웨이트 부재 및 제3 웨이트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에 적용되는 웨이트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웨이트 유닛의 제1 웨이트 부재 및 제3 웨이트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에 적용되는 웨이트 유닛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따른 웨이트 유닛의 제1 웨이트 부재에 하강 상태 유지 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제1 웨이트 부재 및 하강 상태 유지 부재가 제2 웨이트 부재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따른 하강 상태 유지 부재가 도 10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0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마련된 자석부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2에 따른 웨이트 유닛의 제1 웨이트 부재의 일단에 간격 유지 부재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방화 원단을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110); 및 방화 스크린(11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방화 스크린(120,130,140)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에 형성된 포켓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포켓부(150)에 삽입되거나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언와인딩 보조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언와인딩 보조 부재는 방화 스크린(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되 방화 스크린(110)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와인딩 보조 부재는 포켓부(150)에 삽입 또는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언와인딩 보조 부재가 포켓부(150)에 삽입 또는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언와인딩 보조 부재는 방화 스크린(110)의 좌우 방향 길이(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평철 형태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실리카 등 방염 또는 방화 기능이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방화 원단을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1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방화 스크린(110)이 와인딩 되어 건물 등의 천정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천정에 큰 하중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의 상단에는 방화 스크린(110)을 와인딩 또는 권취하는 샤프트(112)가 마련될 수 있다. 방화 스크린(110)의 상단(111)은 샤프트(112)에 대해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즉, 샤프트(112)가 회전할 때 방화 스크린(110)의 상단(111)이 샤프트(112)에 감기면서 방화 스크린(110)이 샤프트(112)에 연속적으로 와인딩 되도록(감기도록) 상단(111)은 샤프트(112)에 고정되어야 한다.
방화 스크린(110)의 상단(111)에는 샤프트(112)가 연결되는 반면에,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에는 웨이트 유닛이 연결 또는 마련될 수 있다.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에 웨이트 유닛을 연결하거나 장착함으로써 방화 스크린(110)이 언와인딩 되어 펼쳐질 때(하강할 때) 웨이트 유닛의 무게로 인해 방화 스크린(110)이 쫙 펴진 상태로 내려올 수 있다. 또한, 방화 스크린(110)이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하단(116)의 웨이트 유닛이 바닥과 밀착하기 때문에 방화 스크린(110)에 공기가 부딪혀도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은 바닥과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웨이트 유닛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방화 스크린(110)이 상하 방향으로 직조되거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직조된 금속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사는 SUS 재질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방화 스크린(110)의 방화 원단을 직조할 때 SUS 재질의 와이어를 원사와 함께 직조함으로써 금속사를 포함하는 방화 원단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금속사는 상하 방향 즉, 방화 스크린(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직조되거나, 금속사를 위사 및 경사로 이용하여 직조함으로써 금속사가 메쉬(mesh)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방화 스크린(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여러 가닥의 금속사로 인해서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에 웨이트 유닛에 의한 하중이 걸리더라도 방화 스크린(110)이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사는 상기 언와인딩 보조 부재의 무게를 지탱하는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상기 언와인딩 보조 부재는 방화 스크린(110)의 폭 방향을 따라 방화 스크린(11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 포켓부(150)에 삽입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포켓부(150) 및 상기 언와인딩 보조 부재는 방화 스크린(11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방화 스크린(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와인딩 보조 부재가 삽입되거나 수납되는 포켓부(150)는 방화 스크린(110)의 전후 양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되 방화 스크린(110)을 중첩하거나 덧대어 형성될 수 있다. 즉, 1장으로 마련된 방화 스크린(11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일면에 방화 스크린(11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띠모양의 방화 원단(미도시)을 덧대어 박음질함으로써 포켓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띠 모양의 방화 원단은 포켓부(150) 및 상기 언와인딩 보조 부재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필요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방화 스크린(1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 포켓부(미도시)를 방화 스크린(110)에 박음질하여 장착 고정하고, 상기 언와인딩 보조 부재가 다수개의 상기 분할 포켓부를 통과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에 연결되거나 장착되는 웨이트 유닛(200,300,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의 웨이트 유닛(2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은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230);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230)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웨이트 부재(210); 및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2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제3 웨이트 부재(280,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은 방화 스크린(110)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 바닥 또는 지면에 접촉 내지 밀착하는 제2 웨이트 부재(210), 일부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되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과 연결되는 제1 웨이트 부재(230), 그리고 제1 웨이트 부재(230) 또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3 웨이트 부재(280,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은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에 제1 웨이트 부재(230)가 연결되고, 제1 웨이트 부재(230)에 제2 웨이트 부재(210)가 연결되며, 제1 웨이트 부재(230) 또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제3 웨이트 부재(280,290)를 넣은 구조 내지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제1 웨이트 부재(230)와 제2 웨이트 부재(210)가 기본적인 하중(무게)을 생성하고 제3 웨이터 부재(280,290)의 개수, 크기 또는 형태에 의해서 필요한 하중(무게)을 조절하거나 가변할 수 있다.
제2 웨이트 부재(210)는 방화 스크린(110)이 하강하는 동안 제1 웨이트 부재(230)에 걸린 상태 또는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웨이트 유닛(200)의 하부를 구성하는 제2 웨이트 유닛(210)은 내부가 빈 중공의 관 형태의 부재로서, 바닥 또는 지면과 접촉 내지 밀착하도록 긴 직사각형 모양의 평면 형태를 가지는 하면(211), 하면(211)의 폭 방향에 양단에 절곡 형성된 긴 직사각형 모양의 수직면(212), 수직면(212)의 상단에서 절곡 형성된 상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면(211)과 달리 상면(21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4)는 상면(213)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웨이트 부재(210)는 상면(213)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214)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웨이트 부재(210)의 개구부(214)는 제1 웨이트 부재(230)와 제2 웨이트 부재(210)를 연결(조립)할 때 사용되고 제1 웨이트 부재(230)에 제2 웨이트 부재(210)가 걸리는 형태로 연결(조립)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웨이트 부재(210)는 후술하는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300,400)에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웨이트 부재(230)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과 연결되고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231,232,233,234) 및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2 웨이트 부재(210)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제3 웨이트 부재(280,290)가 놓이는 부분(235,236,237,2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웨이트 부재(230) 중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231,232,233,234)은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과 연결되는 기능 및 제3 웨이트 부재(280)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고, 제2 웨이트 부재(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235,236,237,238)은 제2 웨이트 부재(210)와 제1 웨이트 부재(230)을 체결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과 제3 웨이트 부재(290)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웨이트 부재(230)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231); 제1 수직부(231)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부(232); 제1 수평부(232)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 수직부(233); 제2 수직부(233)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수평부(234); 제2 수평부(234)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3 수직부(235); 제3 수직부(235)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수평부(236); 제3 수평부(236)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4 수직부(237); 및 제4 수직부(237)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3 수평부(236)의 폭 보다 짧은 폭을 가지는 제4 수평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수직부(231,233,235,237) 중 제2 수직부(233)가 가장 폭(상하 방향 길이)이 길고 그 다음으로는 제1 수직부(231)가 두번째로 폭이 길며, 제3 및 제4 수직부(235,237)의 폭이 가장 짧다. 제2 수직부(233)는 제3 웨이트 부재(280)가 부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폭이 가장 길고, 제1 수직부(231)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을 연결하기에 필요한 길이(폭)을 가져야 하며, 제3 수직부(235)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개구부(214)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정도의 길이(폭)을 가져야 한다.
제2 웨이트 부재(210)는 하나의 부재로 마련되지만, 제1 웨이트 부재(230)는 2개의 부재가 한 쌍으로 마련된다. 즉,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230)가 마주 보도록 한 상태에서 제1 수직부(231) 사이에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을 위치시킨 후 한 쌍의 제1 수직부(231)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체결함으로써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에 제1 웨이트 부재(230)를 연결하거나 장착하게 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의 제1 웨이트 부재(230)는, 제1 수직부(231), 제1 수평부(232), 제2 수직부(233) 및 제2 수평부(234)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3 수평부(236), 제4 수직부(237) 및 제4 수평부(238)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3 수직부(235)는 개구부(214)를 통과하되 상단은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3 수평부(236)의 한 쌍의 전체 폭은 개구부(214)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3 수평부(236)가 개구부(214)를 통과할 수 없고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상면(213)에 걸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수평부(234)의 한 쌍의 전체 폭 역시 개구부(214)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수평부(234)가 개구부(214)를 통과할 수 없고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상면에 제2 수평부(234)가 놓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수평부(236)의 폭이 제2 수평부(234) 또는 제4 수평부(238)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화 스크린(110)이 하강하는 동안 즉, 바닥이나 지면에 닿기 전까지는 제1 웨이트 부재(230)에 제2 웨이트 부재(210)가 매달린 상태가 되는데, 제3 수평부(236)에 개구부(214)가 걸리기 때문에 매달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에, 방화 스크린(110)이 완전히 하강해서 바닥이나 지면에 닿게 되면 제2 웨이트 부재(210)의 하면(211)이 바닥에 닿은 상태가 된다. 제2 웨이트 부재(210)가 바닥이나 지면에 닿게 되면 방화 스크린(110)의 하강이 즉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조금 더 하강하게 된다. 방화 스크린(110)의 폭이 긴 경우에는 제2 웨이트 부재(210)가 완전한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어느 한 쪽이 바닥이나 지면에 닿는 순간 방화 스크린(110)의 하강이 멈추면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다른 쪽은 바닥과 떨어진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이 떨어진 부분으로 연기 등이 새어 나갈 수 있다. 따라서,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일부분이 바닥이나 지면에 처음 닿은 이후에도 길이가 긴 제2 웨이트 부재(210)가 전체적으로 바닥이나 지면과 닿을 수 있도록 방화 스크린(110)이 조금 더 하강하게 된다.
다만, 방화 스크린(110)은 제3 수직부(235)의 길이만큼 더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수직부(235)의 상단에 연결된 제2 수평부(234)가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상면(213)에 닿게 되면 방화 스크린(110)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화 스크린(110)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 제2 수평부(234)가 개구부(214)를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상면(213)에 놓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의 제3 웨이트 부재(280,290)는 제2 수직부(233)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직 웨이트 부재(280) 및 제4 수평부(238)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평 웨이트 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의 경우, 제3 웨이트 부재(280,290)의 개수, 크기 또는 무게 등을 조절하여 웨이트 유닛(200)의 전체 하중 또는 무게를 조절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4의 경우에는 제2 수직부(233)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2개의 수직 웨이트 부재(280)와, 제4 수평부(238)에 놓이는 1개의 수평 웨이트 부재(290)가 도시되어 있는데, 수직 웨이트 부재(280)를 1개만 구비해서 웨이트 유닛(200)이 하중을 줄일 수 있다.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230)를 서로 체결한 후에 제3 웨이트 부재(280,290)를 제1 웨이트 부재(230)의 내부에 넣어서 하중(무게)을 조절할 수도 있고, 각각의 제1 웨이트 부재(230)에 제3 웨이트 부재(280)를 먼저 부착한 후에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280)를 서로 체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은 제1 웨이트 부재(230)와 제2 웨이트 부재(210)를 연결한 상태에서 제3 웨이트 부재(280,290)를 제1 웨이트 부재(230)의 내부에 넣으면 전체 유닛(200)의 하중(무게)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300)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과 비교하면, 제2 웨이트 부재(210)는 동일하고, 제1 웨이트 부재(33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웨이트 부재(230) 보다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가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300)은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330);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330)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웨이트 부재(210); 및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3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제3 웨이트 부재(280,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300)의 제1 웨이트 부재(330)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과 연결되고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331,332,333,334) 및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2 웨이트 부재(210)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부분(335,33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300)은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에 제1 웨이트 부재(330)가 연결되고, 제1 웨이트 부재(330)에 제2 웨이트 부재(210)가 연결되며, 제1 웨이트 부재(330) 및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제3 웨이트 부재(280,290)를 각각 넣은 구조 내지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제1 웨이트 부재(330)와 제2 웨이트 부재(210)가 기본적인 하중(무게)을 생성하고 제3 웨이터 부재(280,290)의 개수, 크기 또는 형태에 의해서 필요한 하중(무게)을 조절하거나 가변할 수 있다.
제2 웨이트 부재(210)는 방화 스크린(110)이 하강하는 동안 제1 웨이트 부재(330)에 걸린 상태 또는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300)의 제1 웨이트 부재(330)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331); 제1 수직부(331)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부(332); 제1 수평부(332)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 수직부(333); 제2 수직부(333)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수평부(334); 제2 수평부(334)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3 수직부(335); 및 제3 수직부(335)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수평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웨이트 부재(330) 중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331,332,333,334)은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과 연결되는 기능 및 제3 웨이트 부재(280)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고, 제2 웨이트 부재(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335,336)은 제2 웨이트 부재(210)와 제1 웨이트 부재(330)을 체결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과 달리, 제2 웨이트 부재(210)가 제3 웨이트 부재(290)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 웨이트 부재(330)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331); 제1 수직부(331)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부(332); 제1 수평부(332)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 수직부(333); 제2 수직부(333)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수평부(334); 제2 수평부(334)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3 수직부(335); 및 제3 수직부(335)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수평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수직부(331,333,335) 중 제2 수직부(333)가 가장 폭(상하 방향 길이)이 길고 그 다음으로는 제1 수직부(331)가 두번째로 폭이 길며, 제3 수직부(335)의 폭이 가장 짧다. 제2 수직부(333)는 제3 웨이트 부재(280)가 부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폭이 가장 길고, 제1 수직부(331)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을 연결하기에 필요한 길이(폭)을 가져야 하며, 제3 수직부(335)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개구부(214)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정도의 길이(폭)을 가져야 한다.
제2 웨이트 부재(210)는 하나의 부재로 마련되지만, 제1 웨이트 부재(330)는 2개의 부재가 한 쌍으로 마련된다. 즉,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330)가 마주 보도록 한 상태에서 제1 수직부(331) 사이에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을 위치시킨 후 한 쌍의 제1 수직부(331)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체결함으로써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에 제1 웨이트 부재(330)를 연결하거나 장착하게 된다.
제1 웨이트 부재(330)에서, 제1 수직부(331), 제1 수평부(332), 제2 수직부(333) 및 제2 수평부(334)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3 수평부(336)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3 수직부(335)는 개구부(214)를 통과하되 상단은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3 수평부(336)의 한 쌍의 전체 폭은 개구부(214)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3 수평부(336)가 개구부(214)를 통과할 수 없고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상면(213)에 걸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수평부(334)의 한 쌍의 전체 폭 역시 개구부(214)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수평부(334)가 개구부(214)를 통과할 수 없고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상면에 제2 수평부(334)가 놓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수평부(336)의 폭이 제2 수평부(334)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300)의 경우, 제3 웨이트 부재(280,290)는 제2 수직부(333)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직 웨이트 부재(280) 및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평 웨이트 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웨이트 부재(280,290)의 역할, 제1 웨이트 부재(330) 또는 제2 웨이트 부재(210)에 장착하는 과정 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400)은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430);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430)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웨이트 부재(210); 및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4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제3 웨이트 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400)의 제1 웨이트 부재(430)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과 연결되는 부분(431) 및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3 웨이트 부재(290)가 놓이는 부분(432,433,4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400)은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에 제1 웨이트 부재(430)가 연결되고, 제1 웨이트 부재(430)에 제2 웨이트 부재(210)가 연결되며,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웨이트 부재(430)에 제3 웨이트 부재(290)를 넣은 구조 내지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제1 웨이트 부재(430)와 제2 웨이트 부재(210)가 기본적인 하중(무게)을 생성하고 제3 웨이터 부재(290)의 크기 또는 형태에 의해서 필요한 하중(무게)을 조절하거나 가변할 수 있다.
제2 웨이트 부재(210)는 방화 스크린(110)이 하강하는 동안 제1 웨이트 부재(430)에 걸린 상태 또는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400)의 제1 웨이트 부재(430)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과 연결되며 개구부(214)를 통과하여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단 및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을 포함하는 제1 수직부(431); 제1 수직부(431)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부(432); 제1 수평부(432)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 수직부(433); 및 제2 수직부(433)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3 웨이트 부재(290)가 놓이는 제2 수평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직부(431)는 개구부(214)를 통과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제1 수평부(432)의 폭은 제2 수평부(434)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1 수평부(432), 제2 수직부(433) 및 제2 수평부(434)는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수평부(432)의 한 쌍의 전체 폭은 개구부(214)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웨이트 부재(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수평부(432)가 개구부(214)를 통과할 수 없고, 방화 스크린(110)이 하강하는 동안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상면(213)이 제1 수평부(432)에 걸려서 제2 웨이트 부재(210)가 제1 웨이트 부재(430)에 매달린 상태가 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유닛(400)의 경우 제3 웨이트 부재(290)는 수평 웨이트 부재(290)만 포함하며, 수평 웨이트 부재(290)는 제1 웨이트 부재(430)와 접촉할 뿐 제2 웨이트 부재(210)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다만, 제1 웨이트 부재(430)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평 웨이트 부재(290)의 개수 또는 무게 등을 조절하여 웨이트 유닛(400)의 전체 하중(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유닛(200,300,400)은 바닥 또는 지면과의 접촉 내지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웨이트 부재(230)에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가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웨이트 부재(330,430)에도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는 제1 웨이트 부재(230)의 수직부(231,233,235,237) 중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233)의 좌우 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는 제1 웨이트 부재(230)의 수직부(231,233,235,237) 중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233)의 좌우 방향 양단에 형성되거나, 좌우 방향 양단 중 어느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이 연결되는 수직부(231)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는 제1 웨이트 부재(230)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는, 제1 웨이트 부재(230)의 수직부 중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233)에 연결되는 제1 하강 유지부(252) 및 제1 하강 유지부(252)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하강 유지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강 유지부(252)의 일단(252a)은 제1 웨이트 부재(230)의 수직부(233)에 부착되고 타단(252b)은 제2 하강 유지부(251)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하강 유지부(252)의 일단(252a)은 제1 웨이트 부재(230)의 수직부(233)에 용접하여 부착되거나 볼트 등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고, 타단(252b)은 용접에 의해 제2 하강 유지부(25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하강 유지부(252) 중 타단(252b)을 포함하는 부분은 제1 웨이트 부재(230) 또는 제2 웨이트 부재(21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경우는 방화 스크린(110)이 완전히 하강하여 제2 웨이트 부재(210)의 하면(211)이 바닥면에 닿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강 유지부(251)는 수평 판재의 형태로 마련되고 하면이 제2 웨이트 부재(210)의 하단 외면(211) 또는 바닥면 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하강 유지부(251)와 바닥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G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110)의 양단을 수납하여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5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500)은 방화 스크린(110)의 상하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외부 가이드 레일(510) 및 내부 가이드 레일(5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00)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는 외부 가이드 레일(510)과, 1개의 내부 가이드 레일(53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가이드 레일(5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형 판상의 제1 외부 가이드(511), 제1 외부 가이드(511)의 일단에 연결되되 제1 외부 가이드(511)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 제2 외부 가이드(512), 제2 외부 가이드(512)의 일단에 연결되되 제1 외부 가이드(511)와 마주 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3 외부 가이드(513), 제3 외부 가이드(513)의 일단에 연결되되 제2 외부 가이드(512)와 마주 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4 외부 가이드(514), 제1 외부 가이드(511)의 타단에 연결되되 제2 외부 가이드(512)와 마주 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5 외부 가이드(515)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가이드 레일(53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형 판상의 제1 내부 가이드(531),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제1 내부 가이드(531)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2 내부 가이드(532), 한 쌍의 제1 내부 가이드(531)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되 제2 내부 가이드(532)와 마주 보도록 절곡 형성된 제3 내부 가이드(533)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가이드 레일(530)은 제1 내부 가이드(531), 제2 내부 가이드(532) 및 제3 내부 가이드(533)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내부 가이드(531)의 타단에 각각 형성된 제3 내부 가이드(533)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 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내부 가이드(531)의 외면과 제1 외부 가이드(511)의 내면이 마주 보며, 제5 외부 가이드(515)가 제2 내부 가이드(532)의 외면에 위치하고, 제3 내부 가이드(533)가 제2 외부 가이드(512)와 제4 외부 가이드(514)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외부 가이드 레일(510)에 있어서 제3 외부 가이드(513)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 보게 되고, 제3 외부 가이드(513) 사이의 틈새(519)에 방화 스크린(110)의 좌우 양단이 위치하게 된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내부 가이드 레일(530)의 내부 바닥에는 자석부(5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하강 유지부(251)의 하면은 방화 스크린(110)의 좌우 방향 양단이 삽입되어 방화 스크린(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500)의 하면 또는 바닥에 마련된 자석부(55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제2 하강 유지부(251)와 바닥면 사이의 간격(G1)은 자석부(550)의 두께를 고려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 스크린(110)이 완전히 하강해서 제2 웨이트 부재(210)의 하면(211)이 바닥면에 닿은 상태가 되면 제2 하강 유지부(251)가 가이드 레일(500)의 내부에 마련된 자석부(550)에 부착되기 때문에 방화 스크린(110)에 공기(열기)가 부딪혀도 제2 웨이트 부재(210)가 바닥면에서 떨어지지 않게 된다.
방화 스크린(110)의 좌우 양단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500)의 내부에 각각 자석부(550)가 마련되고, 제1 웨이트 부재(230) 또는 웨이트 유닛(200)의 양단에 각각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550)는 자석(551) 및 자석(551)이 내부에 수납되는 자석 하우징(5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자석부(550)의 사시도이고, (b)는 자석부(550)의 단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자석(551)은 두께가 얇은 동전(코인) 모양으로 형성되고, 자석 하우징(553)은 상단이 개구된 얇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석 하우징(553)은 볼트, 나사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500)의 바닥 또는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석(551)과 자석 하우징(553) 사이에는 충전재(555)가 마련될 수 있다. 충전재(555)는 자석(551)과 자석 하우징(553) 사이의 틈을 메우는 부재로서, 자석(551)을 자석 하우징(553)에 고정할 뿐만 아니라 자석(551)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재의 기능도 할 수 있다.
만약, 충전재(555) 없이 자석(551)이 자석 하우징(553)에 수납되어 자석 하우징(553)과 직접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웨이트 유닛(200,300,400)이 하강해서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가 자석(551)에 부착될 때 웨이트 유닛(200,300,400) 또는 하강 상태 유지 부재(250)가 자석(551)의 상면을 충격하기 때문에 자석(551)의 깨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충전재(555)는 자석(551)이 깨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석 하우징(553)에 자석(551)의 안착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자석 하우징(553) 없이 자석(551)의 하면에 충전재(555)를 도포하여 자석(551)을 고정하고 자석(551)을 보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제2 하강 유지부(251)와 바닥면 사이의 간격(G1)은 자석 하우징(553)의 높이 또는 자석(551)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의 웨이트 유닛(200,300,400)은 간격 유지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웨이트 부재(230)에 간격 유지 부재(260)가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웨이트 부재(330,430)에도 간격 유지 부재(260)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웨이트 부재(230)의 수직부(231,233,235,237) 중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233)의 좌우 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제1 웨이트 부재(230) 및 제2 웨이트 부재(210)와 가이드 레일(50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1 웨이트 부재(230) 및 제2 웨이트 부재(210)와 가이드 레일(5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 부재(26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간격 유지 부재(260)는 제1 웨이트 부재(230)의 수직부(231,233,235,237) 중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233)의 좌우 방향 양단에 형성되거나, 좌우 방향 양단 중 어느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260)는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116)이 연결되는 수직부(231)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 유지 부재(260)는 제1 웨이트 부재(230)의 수직부(233)에 부착되는 고정부(261) 및 고정부(261)의 일단에 마련되는 마찰저감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61)는 수직부(233)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거나 볼트 등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61)는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데, 수직부(233)에 부착되는 부분과 마주 보는 일단 측에 마찰저감부(262)가 마련될 수 있다.
마찰저감부(262)는 가이드 레일(50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찰저감부(262)가 가이드 레일(500)의 외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제1 웨이트 부재(230) 및 제2 웨이트 부재(210)의 일단과 가이드 레일(500) 사이에 일정한 간격(G2)이 유지될 수 있다.
제1 웨이트 부재(230) 및 제2 웨이트 부재(210)가 승강하는 동안 마찰저감부(262)가 가이드 레일(500)과 접촉하기 때문에 제1 웨이트 부재(230) 및 제2 웨이트 부재(210)가 가이드 레일(500)에 직접 충돌하거나 충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웨이트 부재(230) 및 제2 웨이트 부재(210)와 가이드 레일(500) 간에 일정한 간격(G2)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저감부(262)가 고정부(261)에 대해 회전 가능한 롤러 또는 바퀴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롤러 또는 바퀴 형태의 마찰저감부(262)는 회전축(263)에 의해서 고정부(261)에 장착됨으로써 고정부(261)에 대해서 회전 또는 구름 동작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웨이트 부재(230) 및 제2 웨이트 부재(210)가 승강하는 동안 마찰저감부(262)가 가이드 레일(500)에 접촉하게 되면 마찰저감부(262)가 가이드 레일(500)의 표면을 따라 회전 또는 구름 운동을 하기 때문에 마찰저감부(262)와 가이드 레일(500)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마찰저감부(262)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500)이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따른 웨이트 유닛(200,300,400)이 하단에 마련되는 방화 스크린(110)을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올풀림방지부(170)가 방화 스크린(110)의 폭 방향(좌우 방향) 양단의 전후면과 두께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박음질에 의해서 방화 스크린(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에서 도면부호 171은 박음질에 의해서 형성된 봉제선이다.
또한, 올풀림방지부(170)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110)의 양단에는 가이드 레일(500)에 체결되는 엔드락(180)이 마련될 수 있다. 엔드락(180)은 방화 스크린(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엔드락(180)에 의해 방화 스크린(1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화 스크린(110)의 양단에 아일렛 부재(190)을 장착하고, 아일렛 부재(190)에 엔드락(180)을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엔드락(180)은 아일렛 부재(190)에 대해서 회전 또는 구름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방화 스크린 셔터
110: 방화 스크린 120: 제1 방화 스크린
130: 제2 방화 스크린 140: 제3 방화 스크린
150: 포켓부 170: 올풀림방지부
180: 엔드락 190: 아일렛 부재
200,300,400: 웨이트 유닛 210: 제2 웨이트 부재
230,330,430: 제1 웨이트 부재 250: 하강 상태 유지 부재
260: 간격 유지 부재 280,290: 제3 웨이트 부재
500: 가이드 레일 550: 자석부
551: 자석 553: 자석 하우징
555: 충전재

Claims (15)

  1.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웨이트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제3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이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에 걸린 상태 또는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며,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부분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웨이트 부재가 놓이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단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단을 포함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 웨이트 부재가 놓이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부의 폭은 상기 제2 수평부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평부의 한 쌍의 전체 폭은 상기 개구부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웨이트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제3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이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에 걸린 상태 또는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며,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부분,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웨이트 부재가 놓이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 수직부;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3 수직부; 및
    상기 제3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수평부는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수직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되 상단은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수평부의 한 쌍의 전체 폭은 상기 개구부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웨이트 부재는 상기 제2 수직부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직 웨이트 부재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평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유닛.
  9. 삭제
  10.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웨이트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제3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이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에 걸린 상태 또는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며,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웨이트 부재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부분,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제3 웨이트 부재가 놓이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2 수직부; 상기 제2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3 수직부; 상기 제3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수평부; 상기 제3 수평부의 타단에 상단이 연결되는 제4 수직부; 및 상기 제4 수직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 수평부의 폭 보다 짧은 폭을 가지는 제4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부, 상기 제1 수평부, 상기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수평부, 상기 제4 수직부 및 상기 제4 수평부는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수직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되 상단은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수평부의 한 쌍의 전체 폭은 상기 개구부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웨이트 부재는 상기 제2 수직부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직 웨이트 부재 및 상기 제4 수평부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수평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유닛.
  12. 제1항, 제6항 내지 제8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의 수직부 중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의 좌우 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하강 상태 유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유닛.
  13. 방화 스크린의 하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의 일부분이 내부에 수납되는 제2 웨이트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웨이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마련되는 제3 웨이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의 수직부 중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의 좌우 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하강 상태 유지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하강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의 수직부 중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에 연결되는 제1 하강 유지부 및 상기 제1 하강 유지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하강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강 유지부의 하면은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하단 외면 또는 바닥면 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화 스크린의 좌우 방향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방화 스크린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의 하면 또는 바닥에 마련된 자석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트 부재의 수직부 중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수직부의 좌우 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상기 제1 웨이트 부재 및 상기 제2 웨이트 부재와 상기 가이드 레일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유닛.
  15. 제1항, 제6항, 제10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웨이트 유닛이 하단에 마련되는 방화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0220081848A 2022-07-04 2022-07-04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489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848A KR102489624B1 (ko) 2022-07-04 2022-07-04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848A KR102489624B1 (ko) 2022-07-04 2022-07-04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624B1 true KR102489624B1 (ko) 2023-01-18

Family

ID=8510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848A KR102489624B1 (ko) 2022-07-04 2022-07-04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6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392A (ja) * 1998-02-20 1999-08-31 Toyo Shutter Co Ltd 耐熱シートシャッターの火災時弱点部保護構造
KR20090090714A (ko) 2008-02-22 2009-08-26 남기호 방화용 셔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5392A (ja) * 1998-02-20 1999-08-31 Toyo Shutter Co Ltd 耐熱シートシャッターの火災時弱点部保護構造
KR20090090714A (ko) 2008-02-22 2009-08-26 남기호 방화용 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861B1 (ko) 보행통과내화스크린장치
IL135058A (en) Protective window shield for blast mitigation
WO2019071963A1 (zh) 一种安全逃生系统
KR102489624B1 (ko) 웨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48962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983342B1 (ko) 곡면의 개폐 궤적을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742044B1 (ko)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JP3132384B2 (ja) 防火・防煙区画構造
KR102263952B1 (ko) 스크린형 차열 방화셔터
KR100542792B1 (ko) 대형 건축물의 방화셔터 강화구조
JP2001087406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102540283B1 (ko) 스크린 자동 방화 셔터
KR102540282B1 (ko) 화재에 의한 변형에도 작동하는 가이드 레일 유닛
JP3574956B2 (ja) 連装式防火シャッタ−
JP4725424B2 (ja) 防火引き戸
JP2001079105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H11270255A (ja) 巻取り式耐火スクリーン装置
JP3477547B2 (ja) 捲込防火シヤツター
JP3643611B2 (ja) 耐火シート製巻取式可動たれ壁
JP2001120677A (ja) 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
JP3311897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WO2006085790A2 (fr) Dispositif et systeme d'evacuation d'urgence d'un batiment
US8579009B2 (en) Hanger assembly for architectural mesh under extreme loads
JP3785617B2 (ja) 建築用シートシャッター
JP3224742B2 (ja) 耐火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