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447B1 -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447B1
KR102489447B1 KR1020200094168A KR20200094168A KR102489447B1 KR 102489447 B1 KR102489447 B1 KR 102489447B1 KR 1020200094168 A KR1020200094168 A KR 1020200094168A KR 20200094168 A KR20200094168 A KR 20200094168A KR 102489447 B1 KR102489447 B1 KR 10248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cucumber
cordyceps
present application
culture solution
cordyceps sinen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503A (ko
Inventor
김범철
박시향
Original Assignee
김범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철 filed Critical 김범철
Priority to KR102020009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4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해삼을 가열한 후 마쇄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동충하초균사체 전배양 균주를 마쇄하여 상기해삼에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및 균주를 불활성화시킨 후 여과하여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면역증강 활성 또는 항혈전 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및 이의 제조방법{CULTURE FLUID OF SEA CUCUMBER CORDYCEPS MILITARIS AND MA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삼은 극피동물문 해삼강에 속하는 해삼류의 총칭이다. 해삼의 몸은 원통형이고 배쪽이 납작하고 등쪽이 볼록한 것이 많으나 등과 배의 구별이 없는 것도 있다. 몸 앞 끝 쪽에 있는 입에는 끝이 가늘게 갈라진 촉수가 10~30 개 있다. 이 촉수로 해저의 뻘을 빨아들여 영양분만을 흡수하고 나머지는 체외로 배출한다. 점액으로 이루어져 미끈미끈하며 피부 속에는 석회질의 작은 골편이 무수히 많고 골편의 모양의 해삼의 분류형질로 이용된다. 체벽은 근육과 결합조직으로 되어 있어 두껍다. 체내에는 소화관, 수관, 혈동, 신경, 생식기관이 있으며 관족으로 기어다니거나 몸을 흔들며 헤엄치며 극히 적은 종류만 심해에서 부유 생활한다. 피부 속에는 석회질로 된 작은 골편(骨片)이 드문드문 들어 있다. 대부분 암수의 구별이 있으나, 겉모습으로는 구별하기 힘들다. 수온 17 ℃ 이하에서 식욕이 왕성하고 운동이 활발하며, 17 ℃ 이상이 되면 먹는 것을 중지하고, 25 ℃ 이상이 되면 여름잠을 잔다. 먹이를 먹을 때에는 촉수로 바다 밑에 깔린 모래 진흙을 입에 넣어 모래 진흙 속에 들어 있는 작은 생물을 잡아먹고 모래와 배설물은 밖으로 내보낸다. 외부에서 자극을 받으면 장(腸)을 끊어서 항문 밖으로 내보내는데, 재생력이 강해서 다시 생긴다. 전 세계적으로 1,500 여종의 해삼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해삼은 청삼, 홍삼, 흑삼 세 종류가 있다. 해삼은 우리나라 제주도, 남해, 동해, 서해 어디에서든 볼 수 있다.
해삼은 바다에서 나는 삼(蔘)이란 뜻으로 정약전의 자산어보(1814년) 이전부터 불린 이름이라 여겨진다. ‘물보’와 ‘오잡조(五雜組)’에는 해남자(海南子), ‘문선(文選)’에는 토육(土肉), ‘식경(食經)’에는 해서, ‘영파부지’에는 사손, ‘재물보’와 ‘자산어보’에는 해삼, ‘물명고’에는 토육, 해삼, 해남자, 흑충(黑蟲)이라 기록되어 있다.
해삼은 몸 부분이 잘려도 재생이 될 정도의 세포 재생력이 매우 높은 해양생물이다. 해삼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칼슘, 철, 인 및 요오드 등의 무기질 성분이 많이 들어 있다. 칼슘과 철의 함량이 매우 높아 성장기의 어린이나 임신부의 조혈 작용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인의 양이 칼슘의 흡수를 돕는 이상적인 비율로 들어 있어 칼슘 공급원으로 아주 좋은 식품으로 밝혀져 있으며, 요오드가 많아 신진대사 촉진 등에도 좋다. 또한, 해삼은 철분의 주요 공급원이 되고, 환자의 기력보강제로 적합한 식품이다. 상처 부위의 빠른 회복을 위해 조직의 염증을 빨리 가라앉게 하고, 상처 부위 세포들의 재생을 촉진하는 식품이다. 해삼은 저열량식품으로 열량이 높지 않으면서 건강 회복에 필요한 영양소가 풍부하다.
해삼의 다양한 효능을 이용하여 건강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으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0-0054373 (2010.05.25.공개)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삼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출원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항산화 활성, 면역증강 활성 또는 항혈전 활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출원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항산화 활성, 면역증강 활성 또는 항혈전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해삼을 가열한 후 마쇄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동충하초균사체(Cordyceps militaris) 전배양 균주를 마쇄하여 상기해삼에 접종하여 20℃ 내지 30℃에서 3일 내지 10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균주를 불활성화시킨 후 여과하여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후 효소를 불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수분해효소는. 알칼라아제(Alcalase), 알파 키모트립신(α-chymotrypsin),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코지자임(Kojizyme), 뉴트라제(Neutrase), 파파인(Papain), 펩신(Pepsin), 프로타멕스(Protamex) 및 트립신(Tryps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양하는 단계에서 동충하초균사체 전배양 균주는, 동충하초균사체를 배지에 20℃ 내지 30℃에서 3 내지 20일 동안 정치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정치배양된 동충하초균사체의 단편을 분리하고 20℃ 내지 30℃에서 3 내지 20일 동안 진탕배양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배양한 균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양하는 단계는, 100 rpm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양하는 단계에서 동충하초균사체 전배양 균주의 중량은, 해삼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전 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의하면 해삼의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항산화 활성, 면역증강 활성 또는 항혈전 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출원에 의하면 해삼의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항산화 활성, 면역증강 활성 또는 항혈전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해삼 가공 공정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해삼 열수추출액과 실시예 1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2의 해삼 효소가수분해액과 실시예 2의 해삼 효소가수분해 동충하초 배양액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해삼 열수추출액과 실시예 1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시료의 독성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해삼 열수추출액과 실시예 1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NO 생성량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비교예 1의 해삼 열수추출액과 실시예 1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PT clotting time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비교예 1의 해삼 열수추출액과 실시예 1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APTT clotting time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출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특정한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으로,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해삼 열수추출액, 해삼 동충하초 균사체배양액, 해삼 효소가수분해액, 해삼 효소가수분해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는 4가지 가공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제조방법은 해삼을 가열한 후 마쇄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동충하초균사체(Cordyceps militaris) 전배양 균주를 마쇄하여 상기해삼에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및 균주를 불활성화시킨 후 여과하여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단계는, 내장이나 불순물을 제거한 해삼을 100℃ 의 물에 1분 내지 10분, 구체적으로 3분 내지 7분 동안 가열한 후 해삼 중량의 3배 내지 1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호모게나제로 마쇄할 수 있다.
상기 배양하는 단계에서, 동충하초균사체 전배양 균주는, 동충하초균사체를 배지에 20℃ 이상, 22℃ 이상, 30℃ 이하, 27℃ 이하의 온도에서 3일 이상, 5일 이상, 7일 이상, 20일 이하, 15일 이하, 10일 이하 동안 정치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정치배양된 동충하초균사체의 단편을 분리하고 20℃ 내지 30℃에서 3 내지 20일 동안 진탕배양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배양한 균주일 수 있다.
상기 정치배양 후에 액체 배지를 첨가하고 100℃ 내지 130℃에서 10분 내지 30분간 고압 멸균한 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하는 단계 이후에 동충하초균사체의 단편을 분리하고 20℃ 이상, 22℃ 이상, 30℃ 이하, 27℃ 이하의 온도에서 3일 이상, 5일 이상, 20일 이하, 15일 이하, 10일 이하 동안 진탕배양하여 균주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균주를 호모게나제로 마쇄한 후 전처리한 해삼에 접종하여 배양할 수 있다. 상기 균주의 중량은, 해삼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로 접종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양하는 단계는, 20℃ 내지 30℃에서 100 rpm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하면서 1일 이상, 2일 이상, 10일 이하, 7일 이하, 5일 이하 동안 배양할 수 있다. 3일 이상 배양시, 효능이 좋고, 그 이상 배양시 효능 증가가 거의 없다. 10일 초과 배양시에는 부패 우려와 비용 증가로 인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10일 이하가 좋다.
상기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는, 100℃ 내지 130℃에서 10분 내지 30분간 고압 멸균하여 균주를 불활성화하고, 실온, 구체적으로 15℃ 내지 30℃로 냉각한 후, 0.1 내지 10 ㎛ 필터로 여과하여 배양액을 수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후 효소를 불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수분해효소는. 알칼라아제(Alcalase), 알파 키모트립신(α-chymotrypsin),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코지자임(Kojizyme), 뉴트라제(Neutrase), 파파인(Papain), 펩신(Pepsin), 프로타멕스(Protamex) 및 트립신(Tryps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알칼라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효소는 해삼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로 접종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면역증강 활성 또는 항혈전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혈전 질환은 심근경색, 협심증, 혈전성 정맥염, 동맥색전증, 관상동맥혈전증, 뇌동맥혈전증, 말초혈관혈전증, 심부정맥혈전증, 동맥혈전증, 정맥혈전증, 허혈성 뇌경색, 동맥경화, 고혈압, 폐고혈압, 뇌경색, 뇌졸중, 만성동맥폐색증, 폐경색, 뇌색전증, 신장색전증, 혈전색전증, 지주막하 출혈 후의 병적 증상,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PTCA) 또는 스텐트 (stent) 삽입 시의 혈전 생성, 스텐트 설치 후의 재협착, 카테터 혈전성 폐색 또는재폐색,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TIA(일과성 뇌허혈 발작 또는 급성 뇌혈관 증후군) 및 심부전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페놀 화합물과 함께 항혈전, 면역 증강 또는 혈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해삼 및 동충하초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해삼 및 동충하초 혼합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출원의 약학적 조성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 에탄올, 40 %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출원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또는 해삼 효소 가수분해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면역증강 활성, 또는 항혈전 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배양액에 대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대상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상기 홍해삼 가수분해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캡슐, 정제, 환 등에 상기 배양액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배양액을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건강음료로 음용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액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 활성, 면역증강 활성, 또는 항혈전 활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출원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출원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상기 식품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1 ~ 0.1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출원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실험예들을 통해서 본 출원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되, 하기 예는 본 출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해삼 동충하초균사체 배양액(실시예 1) 제조
(1) 해삼 전처리 공정단계
유구수산종묘배양장에서 제공받은 해삼을 배 부분을 잘라 내장을 제거하고 끓는 물에 5분간 데친 후, 데친 해삼 중량의 5배수의 정제수를 가하여 호모게나제로 마쇄하였다.
(2) 해삼 동충하초균사체 배양단계
동충하초균사체 (Cordyceps militaris, 농촌진흥청 씨앗은행)를 PDA(potato dextrose agar, BD Difco™, 213400) 배지에 25℃에서 7~ 10 일 동안 정치배양하였다. 250ml 삼각플라스크에 액체 배양용 기본배지(Potato Dextrose Broth, PDB, BD Difco™, 25492)를 100ml 가하고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한 후 방냉한다. Cork borer를 이용하여 균사체 단편을 분리하고, 분리한 균사체 단편을 접종하여 25℃에서 6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동충하초균사체 전 배양 균주를 호모게나제로 마쇄한 후, 전처리한 해삼 용량의 10%가 되도록 동충하초균사체 전배양 균주를 접종하였다. 25℃, 130~15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0일, 1일, 3일, 5일간)하였다.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하여 균주를 불활성화한 뒤,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1 ㎛ paper filter로 여과하여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해삼 효소가수분해 동충하초균사체 배양액(실시예 2) 제조
(1) 해삼 전처리 공정단계
제조예 1 과 동일한 과정으로 전처리 공정단계를 진행하였다.
(2) 해삼 효소가수분해단계
전처리한 해삼에 해삼 중량의 3% Alcalase(Novozymes®) 첨가하여 3시간동안 60℃에서 shaking incubator에서 가수분해하였다.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한 뒤,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1 ㎛ paper filter로 여과하여 해삼 효소가수분해액으로 하였다.
(3) 해삼 효소가수분해 동충하초 배양단계
전처리한 해삼에 해삼 중량의 3% Alcalase(Novozymes®) 첨가하여 3시간동안 60℃에서 shaking incubator에서 가수분해하였다.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한 뒤,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동충하초균사체 배양액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해삼 효소가수분해액에 전처리한 해삼 용량의 10%가 되도록 동충하초균사체 전배양 균주를 접종하였다. 25℃, 130~150 rpm 으로 교반하면서 배양(0일, 1일, 3일, 5일간)하였다.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하여 균주를 불활성화한 뒤,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1 ㎛ paper filter로 여과하여 해삼 효소가수분해 동충하초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해삼 열수추출액(비교예 1) 제조
(1) 해삼 전처리 공정단계
제조예 1 과 동일한 과정으로 전처리 공정단계를 진행하였다.
(2) 해삼 열수추출단계
전처리한 해삼을 100℃에서 30 min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1 ㎛ paper filter 로 여과하여 해삼 열수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해삼 효소가수분해액(비교예 2) 제조
(1) 해삼 전처리 공정
제조예 1 과 동일한 과정으로 전처리 공정단계를 진행한다.
(2) 해삼 효소가수분해단계
제조예 2 와 동일한 과정으로 해삼 효소가수분해단계를 진행한다.
실험예 1.해삼 가공 공정별 ABTS 항산화 활성 실험
본 출원의 최적 가공공정을 확인하기 위해 ABTS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기능적 활성을 탐색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하기와 같다. 즉, 7 mM ABTS 5 mL와 140 mM potassium persulfate 88 ㎕를 섞은 후 상온에서 16 시간 빛을 차단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다. 이후 이 용액을 414 nm에서 흡광도 값이 1.5가 되도록 PBS로 희석하였다. 조제된 희석용액 190 ㎕와 시료 10 ㎕를 혼합한 후 상온에서 6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79278504-pat00001
도 2는 비교예 1의 해삼 열수추출액과 실시예1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BTS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비교예 1의 해삼 열수추출액과 실시예1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활성을 비교에서 해삼 열수추출액, 해삼 동충하초 0, 1일 배양액의 모든 농도에서 ABTS 소거 활성이 비슷하였다.
하지만, 실시예 1의 해삼 동충하초 3, 5일 배양액에서는 ABTS 소거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열수 추출보다 동충하초 균사체를 이용하여 배양을 진행하는 것이 항산화 활성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도 3은 비교예 2의 해삼 효소가수분해액과 실시예 2의 해삼 효소가수분해 동충하초 배양액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 2의 해삼 효소가수분해액 및 실시예 2의 해삼 효소가수분해 동충하초 발효액의 ABTS 소거 활성을 비교가능하다. 해삼 효소가수분해액, 해삼 효소가수분해 동충하초 0, 1일 배양액의 모든 농도에서 ABTS 소거 활성이 비슷하였다.
하지만, 실시예 2의 해삼 가수분해 동충하초 3, 5일 배양액에서는 ABTS 소거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3일 이상은 크게 활성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해삼 가공 공정 중에서 해삼 효소가수분해 동충하초 3일 배양액이 가장 큰 항산화능 효과를 나타냈다.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과 해삼 효소가수분해 동충하초 배양액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3일 이상 배양 시 효능은 크게 증가하고 배양기간이 증가하여도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장기간의 배양은 부패할 우려가 있고, 장기간의 배양공정은 가공처리 비용의 증가로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최종 추출 공정은 해삼 동충하초 3일 배양액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예 2.해삼 가공 공정별 세포독성 실험
본 출원에서 해삼의 가공 공정별 독성 실험은 RAW 264.7 세포 배양을 먼저 실시한 후 이를 기초로 RAW 264.7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 RAW 264.7은 한국세포주은행(KCLB, 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배지는 10% Feral Bovine Serum (FBS)를 함유한 DMEM High glucose 성장배지를 사용하였다. 세포주는 습도 95%, 5% CO2, 37℃로 조절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이때 미생물의 오염이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배지용 항생제 Penicillin streptomycin, Gibco, CA, USA)를 사용하였다.
세포주의 생존율을 측정은 MTS (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Promega, USA)시약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세포를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 후 습도 95%, 5% CO2, 37℃로 조절된 배양기에서 24시간 안정화하였다. 이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습도 95%, 5% CO2, 37℃로 조절된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시약 1 ㎖에 배지(DMEM high glucose, free FBS) 9 ㎖을 넣어 희석한 후 well 당 100 ㎕씩 처리하였다. 37℃에서 60분간 반응 후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Versa Max ELISA Microplate Reader, USA)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비한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로 표시하였다.
도 4는 RAW 264.7 세포에 대한 시료의 독성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RAW 264.7 세포에 대한 시료의 세포 독성의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3.해삼 가공 공정별 면역증강 활성 실험(RAW 264.7 세포 NO 함량 측정)
본 출원에 실험예에 따라 해삼 가공 공정별 면역증강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면역 증강 효능의 측정은 RAW 264.7 세포주에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NO 생성량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주를 1×105 cells/㎖의 농도로 96 well plate에 100 ㎕분주하고, 24 시간 동안 37℃, 습도 95%, 5% CO2로 조절된 CO2 배양기에서 세포 안정화하였다. 새로운 배지에 각 시료를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알맞은 농도 범위로 희석 후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NO 생성량은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Griess 시약은 2.5%의 Phosphate 용액에 1% Sulfanilamide와 0.1% Naphthylethylene - diamine - dihydrochloride를 혼합하여 만들었다. 배양한 세포의 상등액 50 ul를 96 well plate에 취하고 여기에 Griess 시약 50 ul 취하여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Versa Max ELISA Microplate Reader,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NO 활성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로 표시하였다.
도 5는 해삼 가공 공정별 NO 생성량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각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NO 생성량 및 NO 생성비율을 수치로 나타내면 표 1 및 표 2과 같다. 표 1은 해삼 가공별 NO 생성량(μM)을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해삼 가공 공정별 NO 생성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표 1 및 표 2을 참조하면, RAW 264.7 세포 NO 함량 측정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험예에 따라 해삼 가공 공정별 NO 함량 측정 실험은 RAW 264.7 세포 독성 실험을 통해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진행하였다. 해삼 열수추출액(비교예 1) 및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실시예 1)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O 함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해삼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실시예1)은 원액에서 5.23 μM이였으며, 면역증강 효능은 해삼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실시예1)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ample Con. (%) 비교예 1
(해삼 열수추출액)
실시예 1
(해삼 동충하초 3일 배양액)
Control 3.48 ± 0.10
5 3.49 ± 0.26 3.88 ± 0.17*
10 3.53 ± 0.18 4.26 ± 0.26*
25 3.47 ± 0.29 4.47 ± 0.37*
50 3.92 ± 0.22* 4.71 ± 0.47*
100 4.66 ± 0.16* 5.23 ± 0.13*
Significant Probability : *p<0.05
Sample Con. (%) 비교예 1
(해삼 열수추출액)
실시예 1
(해삼 동충하초 3일 배양액)
Control 100.00 ± 2.92
5 100.11 ± 7.48 111.45 ± 4.78*
10 101.20 ± 5.14 122.35 ± 7.40*
25 99.56 ± 8.22 128.45 ± 10.57*
50 112.54 ± 6.45* 135.21 ± 13.59*
100 133.90 ± 4.65* 150.03 ± 3.64*
Significant Probability : *p<0.05
실험예 4.해삼 가공 공정별 항혈전 활성 실험(Prothrombin Time Test)
본 출원의 항혈전 활성실험은 Prothrombin Time Test(PT) 실험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 방법 중 Prothrombin이란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효소로, 간에서 비타민 K의 작용으로 인해 생성된다. Prothrombin은 Thromboplastin의 작용으로 활성화되어 Thrombin으로 변환된다. 상기 Thrombin이 Fibrinogen에 작용하여 Fibrin을 생성하고 혈전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혈액의 응고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여러 응고 인자들의 활동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Thrombin에 의한 Fibrinogen의 불용성 Fibrin으로의 변환 시간(초)은 Prothrombin Time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Prothrombin Time Test는 Thromboplastin과 칼슘을 첨가하여 외부 및 공통 경로의 응고 인자 II(Prothrombin), 인자 V(Proaccelerin), 인자 VII(Proconvertin), 인자 X(Stuart factor), 인자 I(Fibrinogen)의 기능을 평가하는 시험방법으로, Prothrombin Time의 연장은 인자 II, V, VII, X 및/또는 피브리노겐의 결핍이나 활동 저해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human plasma에 시료를 주입하여 Prothrombin Time을 확인함으로써, 시료가 인체 내 혈전이 생기는 것을 지연시켜 혈행 개선에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있다.
본 출원의 실험예 4를 실시하기 위해 Prothrombin Time Test는 STAGO사의 NEOPLASTINE® CI PLUS(REF 00539)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human plasma인 POOL NORM(STAGO, REF 00539)와 시료를 25 ul씩 분주하고, 37℃ incubator에 2분간 방치한다. Thromboplastin이 함유된 reagent 1과 칼슘 수용액인 reagent 2를 섞은 후, 그 혼합액을 각각의 well에 50 ul씩 주입하여 clotting time을 측정한다. 시료 용매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clotting time을 시간(초)으로 나타내었다.
도 6과 표 3은 비교예 1의 해삼 열수추출액과 실시예 1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항혈전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비교예 1의 해삼 열수추출액과 실시예 1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PT clotting time 결과이고, 표 3은 각각의 PT clotting time 결과 수치(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표 3을 참고하면, 5%와 10% 해삼 열수추출액(비교예1)의 혈전 생성 시간이 각각 5초, 14 초(± 1.4초)이었으며, 5%와 10% 해삼 동충하초 3일 배양액(실시예 1)의 혈전 생성 시간이 26초, 74 초(± 1.4초)이었다. 따라서, 항혈전 활성(PT)은 농도에 따라 응고시간이 길어지므로 실시예 1의 항혈전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mple Con. (%) 비교예 1
(해삼열수추출액)
실시예 1
(3일 배양액)
5 5.00 ± 1.41 26.00 ± 0.00
10 14.00 ± 1.41 74.00 ± 1.41
실험예 5.해삼 가공 공정별 항혈전 활성 실험(ActivatedPartial Thromboplastin Time Test)
본 출원의 항혈전 활성실험은 ActivatedPartial Thromboplastin Time Test(APTT) 실험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 방법 중 Thromboplastin이란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중요한 인자인 리포단백질로서, 혈액 응고에 있어서 혈장 속에 있는 비활성 Prothrombin에 작용하여 Thrombin으로 바꾸는 작용을 한다. 상기 이 Thrombin이 Fibrinogen에 작용하여 Fibrin을 생성하고 혈전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여러 응고인자들의 활동으로 인해 혈액의 응고가 일어난다.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Test(APTT)은 응괴형성과정에서 응고인자 ㅣ, II, V, X, VIII, lX , Xl, Xll 등 응고의 내부 및 공통 경로를 통하여 혈전이 응고되는 전체 속도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이다. APTT는 인간의 혈소판결핍혈장에 혈소판의 대치성분으로 인지질과 내적 경로의 활성제(Kaolin)를 넣고 반응시킨 후 칼슘 이온의 존재 하에 응괴가 형성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APTT의 연장은 응고인자 결핍 또는 기능이상, 억제인자의 존재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human plasma에 시료를 주입하여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을 확인함으로써, 시료가 인체의 내부 및 공통 경로에 작용하는 응고인자의 활동을 저해시켜 혈행 개선에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있다.
본 출원의 실험예 5를 실시하기 위해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Test는 STAGO사의 C.K. PREST(REF 00539)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human plasma인 POOL NORM(STAGO, REF 00539)와 시료를 25 ul씩 분주한다. Cephalin이 함유된 reagent 1과 Kaolin 활성제인 reagent 2를 섞은 후, 그 혼합액을 각각의 well에 25 ul씩 주입한다. 37℃ incubator에 3분간 방치한 뒤 0.025M CaCl2 25 ul 주입하여 clotting time을 확인함으로써, 시료가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test)를 지연시키는 기능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시료 용매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clotting time을 시간(초)으로 나타내었다.
도 7은 비교예 1의 해삼 열수추출액과 실시예 1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의 APTT clotting time 결과이고, 표 4는 각각의 APTT clotting time 결과 수치(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표 4를 참조하면, 해삼 가공 공정별의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Test(APTT) 결과는 하기와 같다.
비교예 1의 1% 와 2% 해삼 열수추출액의 혈전 생성 시간은 각각 14초, 78 초(± 1.4 초)이었다. 반면, 1%, 2% 해삼 동충하초 3일 배양액의 혈전 생성 시간은 각각 134(± 2.8 초), 325 초(± 3.5 초)였다. 따라서, 항혈전활성(APPT)은 실시예 1의 해삼 동충하초균사체 배양액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mple Con. (%) 비교예 1
(해삼열수추출액)
실시예 1
(3일 배양액)
1 14.00 ± 1.41 134.00 ± 2.83
2 78.00 ± 1.41 324.50 ± 3.54
이상, 본 출원을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출원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출원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해삼을 가열한 후 마쇄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동충하초균사체(Cordyceps militaris) 전배양 균주를 마쇄하여 상기 해삼에 접종하여 20℃ 내지 30℃에서 3일 내지 10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균주를 불활성화시킨 후 여과하여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 이후에,
    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후 효소를 불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효소는.
    알칼라아제(Alcalase), 알파 키모트립신(α-chymotrypsin), 플라보르자임(Flavourzyme), 코지자임(Kojizyme), 뉴트라제(Neutrase), 파파인(Papain), 펩신(Pepsin), 프로타멕스(Protamex), 및 트립신(Tryps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균사체 전배양 균주는,
    동충하초균사체를 배지에 20℃ 내지 30℃에서 3 내지 20일 동안 정치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정치배양된 동충하초균사체의 단편을 분리하고 20℃ 내지 30℃에서 3 내지 20일 동안 진탕배양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배양한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양하는 단계는,
    100 rpm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균사체 전배양 균주의 중량은,
    해삼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제조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8. 청구항 7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전 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9. 청구항 7의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094168A 2020-07-29 2020-07-29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168A KR102489447B1 (ko) 2020-07-29 2020-07-29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168A KR102489447B1 (ko) 2020-07-29 2020-07-29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03A KR20220014503A (ko) 2022-02-07
KR102489447B1 true KR102489447B1 (ko) 2023-01-16

Family

ID=8025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168A KR102489447B1 (ko) 2020-07-29 2020-07-29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4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358B1 (ko) * 2016-02-18 2018-03-30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373A (ko) 2008-11-14 2010-05-25 오상형 해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110030288A (ko) * 2009-09-15 2011-03-23 생물공학천연물연구소(주) 눈꽃동충하초를 이용한 녹용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녹용발효 추출물, 녹용칼슘 그리고 눈꽃동충하초 농축액
KR101594490B1 (ko) * 2014-06-03 2016-02-17 재단법인 강릉과학산업진흥원 발효 해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 해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358B1 (ko) * 2016-02-18 2018-03-30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03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50891A1 (en) Medicinal composition, food or drink having effect of enhancing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y
KR102204299B1 (ko)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CN110042138B (zh) 一种林蛙油抗氧化肽组分的制备方法及其分离方法与用途
KR20060128117A (ko) 발효녹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00940B1 (ko) 식물성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당뇨 및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6136966A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用飲食品組成物
KR101449804B1 (ko) 홍어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WO2016010182A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 유래의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07051090A (ja) 卵白ペプチ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血流改善剤
CN109527190A (zh) 黑木耳复合小分子肽粉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489447B1 (ko) 해삼 동충하초 배양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2170A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g-101 및 이의 용도
KR101302652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40066317A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WO2003082308A1 (fr) Medicaments comprenant des agents anticancereux et des immunostimulants, aliments sante et boissons associes
KR101991880B1 (ko)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03934B1 (ko) 넙치 유래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고혈압용 조성물
KR20130051678A (ko)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학습능력 향상 또는 기억력 향상을 위한 조성물
WO2020159842A1 (en) Production and use of yeast extract as a medical adjuvant
KR100996247B1 (ko) 태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 질환 개선용조성물
CN109275914A (zh) 黑木耳多肽功能食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780346C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гент против коронавируса, включающий экстракт elaeocarpus sylvestris
KR10252392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낫또 배양균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20120105972A (ko) 홍삼 추출물과 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고지혈증 및 항동맥경화 조성물
KR102173591B1 (ko) 효소처리 로얄젤리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