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102B1 -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102B1
KR102487102B1 KR1020220110007A KR20220110007A KR102487102B1 KR 102487102 B1 KR102487102 B1 KR 102487102B1 KR 1020220110007 A KR1020220110007 A KR 1020220110007A KR 20220110007 A KR20220110007 A KR 20220110007A KR 102487102 B1 KR102487102 B1 KR 102487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glass bottle
unit
present
dry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민경
Original Assignee
삼안산업 주식회사
성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안산업 주식회사, 성민경 filed Critical 삼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2Machin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유리병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하는 1도 인쇄부(110); 및 이후 유리병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부를 LED의 불빛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LED 건조부(12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연속적인 흐름의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에서 도장된 유리병의 인쇄와 건조 및 조립을 일괄 처리하므로 인해 작업 시간 단축은 물론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인쇄 정밀성 향상과 품질향상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A system for batch processing of glass bottles inli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인 흐름의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인라인/in-line)에서 도장된 유리병의 인쇄와 건조 및 조립을 일괄 처리하므로 인해 작업 시간 단축은 물론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인쇄 정밀성 향상과 품질향상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도장된 화장품 유리병을 인쇄, 건조 및 조립을 하기 위해서는 도 1 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도장된 유리병을 1도 인쇄 → 자연건조(2~3시간) → 2도 인쇄 → 열처리(50~60분) → 조립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과정은 각 공정간 유리병을 운반 및 적층해야 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흐름의 작동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9~10시간 정도의 장시간이 소요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유리병의 운반 및 적층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종종 유리병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은 작업성 저하, 생산성 저하, 블량율이 많아지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85632호(2018. 07. 31)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23629호(2020. 06. 1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57049호(2018. 07. 31)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에 1도 인쇄부, 2도 인쇄부, 가경화 LED 건조부, 완전경화 LED 건조부, 몸체, 플레이트, LED 모듈 및 조립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연속적인 흐름의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인라인/in-line)에서 도장된 유리병의 인쇄와 건조 및 조립을 일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작업자가 유리병을 운반 및 적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리병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종래 9~10시간 정도 걸리는 작업 시간이 4~5분밖에 걸리지 않는 획기적인 작업시간 단축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연속 자동 라인에 의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따라서 제6목적은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이로 인해 시스템의 인쇄 정밀성 향상과 품질향상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리병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하는 1도 인쇄부; 및 이후 유리병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부를 LED의 불빛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LED 건조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에 1도 인쇄부, 2도 인쇄부, 가경화 LED 건조부, 완전경화 LED 건조부, 몸체, 플레이트, LED 모듈 및 조립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연속적인 흐름의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인라인/in-line)에서 도장된 유리병의 인쇄와 건조 및 조립을 일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유리병을 운반 및 적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리병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 9~10시간 정도 걸리는 작업 시간이 4~5분밖에 걸리지 않는 획기적인 작업시간 단축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속 자동 라인에 의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로 인해 시스템의 인쇄 정밀성 향상과 품질향상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유리병의 인쇄와 건조 및 조립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2 는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의 조립 과
정을 보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LED 건조부의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LED 건조부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LED 건조부의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LED 건조부의 세부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조립부의 구성도.
본 발명에 적용된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이하의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유리병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하는 1도 인쇄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병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부를 LED의 불빛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LED 건조부(120)가 포함된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LED 건조부(120)는 365~402 파장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파장이 365 이하이면 건조가 잘 되지 않게 되고, 상기 파장이 402 이상이면 인쇄부의가 들뜸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상기 LED 건조부(120)의 파장은 365~402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LED 건조부(120) 이후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유리병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하는 2도 인쇄부(110a)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병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부를 LED의 불빛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LED 건조부(120a)가 포함된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2도 인쇄부(110a)는 금박을 입히는 스탭핑 과정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LED 건조부(120)는 가경화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LED 건조부(120a)는 완전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LED 건조부(120a) 이후 유리병의 상단 입구에 프레싱 방식으로 장식을 입히는 조립부(130)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립부(130)는 다음 도 3 내지 5 와 같이 구성된다.
즉, LED 건조부(120a)의 컨베이어벨트(121c)와 같은 수평 선상으로 연결벨트(131)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벨트(131)와 같은 수평 선상으로 컨베이어벨트(134)가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34)를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유리병의 상단 장식품을 실린더(132)와 지그(133)의 하강 구동에 의해 프레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LED 건조부(120)와 LED 건조부(120a)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LED 건조부의 뼈대부를 이루는 몸체(1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121)의 상단에는 몸체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팬(121b)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21)에 구비되며, 유리병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121c)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몸체(121)의 상단 내부에 구비되며, 유리병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는 플레이트(123)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123)에 조립되며, 유리병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부위를 건조시키는 한 쌍의 LED 모듈(125)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몸체(121)의 하단에는 LED 건조부를 콘트롤 제어하는 컨트롤러(1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23)에는 LED 모듈(125)에서 발생된 열을 상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구멍(123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3)에는 플레이트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리브(123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23)의 일측에는 지지대(123b)가 구비되되, 이 지지대에는 플레이트를 상하로 승하강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4)이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에는 구동모터(124b)와 연결된 이송스크류(124a)가 연결 구비되어 플레이트를 상하로 승하강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LED 모듈(125)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트(127)와 가동브라켓트(126)에 의해 상호 플레이트(123)에 조립되되, 상기 고정브라켓트(127)에는 이동조절핸들(128a)의 조작으로 고정브라켓트(127)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로울러(12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트(127)에는 각도조절공(127a)에 연결된 각도조절핸들(127b)의 조작으로 LED 모듈(125)의 각도를 힌지축(126a)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 모듈(125)에는 LED 모듈(125)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방열팬(125b)이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 상기 몸체(121)의 입구 및 출구쪽에는 몸체 내부의 LED 불빛이 외부로 새어 나오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유리병의 크기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단막(121a)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연속적인 흐름의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에서 도장된 유리병의 인쇄와 건조 및 조립을 일괄 처리하므로 인해 작업 시간 단축은 물론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2 는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100)의 조립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LED 건조부(120, 120a)의 평면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LED 건조부(120, 120a)의 정면도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LED 건조부(120, 120a)의 측면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LED 건조부(120, 120a)의 세부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조립부(130)의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장이 완료된 유리병의 표면에 1도인쇄부(110)를 통해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원하는 인쇄를 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은 LED 건조부(120)의 불빛을 통해 상기 인쇄된 부위를 열처리로 건조시키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유리병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하는 2도 인쇄부(110a)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2도 인쇄부(110a)는 금박을 입히는 스탭핑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유리병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부를 LED의 불빛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LED 건조부(120a)를 거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LED 건조부(120)는 가경화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LED 건조부(120a)는 완전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LED 건조부(120)는 365~402 파장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파장이 365 이하이면 건조가 잘 되지 않게 되고, 상기 파장이 402 이상이면 인쇄부의가 들뜸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상기 LED 건조부(120)의 파장은 365~402 범위가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LED 모듈(125)의 작용효과를 도 3 내지 5 및 도 6 을 보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부를 통과한 유리병이 LED 건조부(120, 120a)의 컨베이버벨트(121c)를 통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LED 모듈(125)의 작동에 의해 인쇄부위를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몸체(121)의 입구 및 출구에 구비된 차단막(121a)은 LED 모듈(125)에서 발생된 빚을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차단해주게 되면서 유리병의 크기에 따라서 상하로 높이 조절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병의 크기에 따라 LED 모듈(125)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구동모터(124b)의 정,역 구동에 의해 이송스크류(124a)가 회전하면 플레이트(123)가 가이드레일(124)을 따라 상하로 승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LED 모듈(125)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리병의 사이즈에 따라 한 쌍으로 이루어진 LED 모듈(125)의 양 거리를 좁히거나 벌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동조절핸들(128a)을 풀면 고정브라켓트(127)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때 고정브라켓트(127)의 상단에 연결된 로울러(128)가 플레이트(123)의 상면을 따라 좌우로 구름 이동하게 되고, 고정브라켓트(127)의 하단에 연결된 가동브라켓트(126)는 LED 모듈(125)과 연결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고정브라켓트(127)가 작동하게 되면 LED 모듈(125)이 좌으로 이동하게 되어 한 쌍의 LED 모듈(125)의 양 거리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병의 굴곡진 부위에 인쇄가 될 경우 인쇄부위 까지 건조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LED 모듈(12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각도조절핸들(127b)을 풀면 각도조절공(127a)의 길이에 맞게 LED 모듈(12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동브라켓트(126)가 힌지축(126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결과저긍로 가동브라켓트(126)에 연결된 LED 모듈(125)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작동 과정에서 LED 모듈(125)에서 발산된 열을 방열팬(125b)이 식혀주게 되고, 플레이트(123)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123c)을 통해 열을 상부로 보내주게 되고 아울러 몸체(121)의 상단에 구비된 배기팬(121b)이 최종 열을 외부로 배출시켜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LED 건조부(120a) 이후 유리병의 상단 입구에 프레싱 방식으로 장식을 입히는 조립부(130)를 거치는 것으로, 상기 조립부(130)에는 LED 건조부(120a)의 컨베이어벨트(121c)와 같은 수평 선상으로 연결벨트(131)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벨트(131)와 같은 수평 선상으로 컨베이어벨트(134)가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34)를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유리병의 상단 장식품을 실린더(132)와 지그(133)의 하강 구동에 의해 프레싱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유리병을 연속적인 흐름의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인라인/in-line)에서 인쇄와 건조 및 조립을 일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속적인 흐름의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인라인/in-line)에서 도장된 유리병의 인쇄와 건조 및 조립을 일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작업자가 유리병을 운반 및 적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리병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종래 9~10시간 정도 걸리는 작업 시간이 4~5분밖에 걸리지 않는 획기적인 작업시간 단축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연속 자동 라인에 의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110: 1도 인쇄부
110a: 2도 인쇄부
120: 가경화 LED 건조부
120a: 완전경화 LED 건조부
121: 몸체
123: 플레이트
125: LED 모듈
130: 조립부

Claims (5)

  1.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유리병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하는 1도 인쇄부(110); 이후 유리병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부를 LED의 불빛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LED 건조부(120);
    상기 LED 건조부(120) 이후, 유리병의 표면에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인쇄하는 2도 인쇄부(110a); 이후 유리병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부를 LED의 불빛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LED 건조부(120a);
    상기 LED 건조부(120a) 이후, 유리병의 상단 입구에 프레싱 방식으로 장식을 입히는 조립부(130);
    상기 LED 건조부(120)와 LED 건조부(120a)는, 몸체(121); 몸체(121)에 구비되며, 유리병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121c); 몸체(121)의 상단 내부에 구비되며, 유리병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는 플레이트(123); 플레이트(123)에 조립되며, 유리병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부위를 건조시키는 한 쌍의 LED 모듈(125); 및 몸체(121)의 하단에는 LED 건조부를 콘트롤 제어하는 컨트롤러(122);가 포함되되,
    상기 플레이트(123)의 일측에는 지지대(123b)가 구비되되, 이 지지대에는 플레이트를 상하로 승하강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4)이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에는 구동모터(124b)와 연결된 이송스크류(124a)가 연결 구비되어 플레이트를 상하로 승하강 작동시키고,
    상기 LED 모듈(125)은 고정브라켓트(127)와 가동브라켓트(126)에 의해 상호 플레이트(123)에 조립되되, 상기 고정브라켓트(127)에는 이동조절핸들(128a)의 조작으로 고정브라켓트(127)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로울러(12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127)에는 각도조절공(127a)에 연결된 각도조절핸들(127b)의 조작으로 LED 모듈(125)의 각도를 힌지축(126a)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몸체(121)의 입구 및 출구쪽에는,
    몸체 내부의 LED 불빛이 외부로 새어 나오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유리병의 크기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단막(121a);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10007A 2022-08-31 2022-08-31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KR10248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007A KR102487102B1 (ko) 2022-08-31 2022-08-31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007A KR102487102B1 (ko) 2022-08-31 2022-08-31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102B1 true KR102487102B1 (ko) 2023-01-11

Family

ID=8489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007A KR102487102B1 (ko) 2022-08-31 2022-08-31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1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374U (ko) * 2009-07-07 2011-01-13 경남정보대학산학협력단 스크린 인쇄용 적외선 건조기
JP2014501896A (ja) * 2011-09-27 2014-01-23 アライド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近赤外線を用いた缶の乾燥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885632B1 (ko) 2018-02-07 2018-09-06 삼안산업 주식회사 유리병 표면에 자동 인쇄하는 장치
KR101923037B1 (ko) * 2018-04-10 2018-11-28 삼안산업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병 제조 시스템
KR102123629B1 (ko) 2019-12-19 2020-06-16 삼안산업 주식회사 도장 제품 자동 투입 및 배출 장치
KR102157049B1 (ko) 2020-08-03 2020-09-18 삼안산업 주식회사 연속적인 흐름으로 유리병을 자동 투입 및 배출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374U (ko) * 2009-07-07 2011-01-13 경남정보대학산학협력단 스크린 인쇄용 적외선 건조기
JP2014501896A (ja) * 2011-09-27 2014-01-23 アライド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近赤外線を用いた缶の乾燥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885632B1 (ko) 2018-02-07 2018-09-06 삼안산업 주식회사 유리병 표면에 자동 인쇄하는 장치
KR101923037B1 (ko) * 2018-04-10 2018-11-28 삼안산업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병 제조 시스템
KR102123629B1 (ko) 2019-12-19 2020-06-16 삼안산업 주식회사 도장 제품 자동 투입 및 배출 장치
KR102157049B1 (ko) 2020-08-03 2020-09-18 삼안산업 주식회사 연속적인 흐름으로 유리병을 자동 투입 및 배출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7307B2 (en) Oxygen inhibition for print-head reliability
KR101371912B1 (ko) 기판용 도포 장치 및 기판 도포 방법
KR950012620A (ko)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KR102487102B1 (ko) 유리병의 작업 과정을 인라인으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JP2017195357A (ja) インプリント装置およびインプリント方法
DE102008028949A1 (de) Oberflächenbehandlungsvorrichtung für bedruckte Blätter
KR102638145B1 (ko) 지문 인식 모듈의 uv 코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uv 코팅 방법
KR102148626B1 (ko) 판재의 성형 및 건조 장치
CN1253708A (zh) 对板状基片尤其是印刷电路板进行涂料的设备
CN105966066A (zh) 一种循环送料数码喷印机
JP4206252B2 (ja) 輪軸解体設備
KR100259618B1 (ko) 멀티칼라드 강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038016B1 (ko) 잉크경화장치
US6619462B2 (en) Device for conveying printed boards
DE10117873A1 (de) Transport- und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Substrate
JPH1059574A (ja) 印刷機の印刷装置用印刷物搬送装置
CN110744208A (zh) 产线激光划线设备及其使用方法
CN212073381U (zh) 一种uv打印机
ATE240273T1 (de) Maschine, insbesondere zum biegen und härten von glasscheiben
KR102311764B1 (ko) 다색 금속 판재 제조 장치
CN215153219U (zh) 一种新型印板烘干装置
KR101452782B1 (ko) 수지 경화장치
KR102249802B1 (ko) 기판 처리 장치
CA2096691A1 (en) Method for varnishing of individual items, apparatus for varnishing of individual items and uses of the method and the apparatus
JP2013233472A (ja) 薄膜形成方法及び薄膜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