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242B1 - 파이프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242B1
KR102486242B1 KR1020210107026A KR20210107026A KR102486242B1 KR 102486242 B1 KR102486242 B1 KR 102486242B1 KR 1020210107026 A KR1020210107026 A KR 1020210107026A KR 20210107026 A KR20210107026 A KR 20210107026A KR 102486242 B1 KR102486242 B1 KR 10248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tter
roller
cutting devi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상
Original Assignee
권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상 filed Critical 권혁상
Priority to KR102021010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2007/013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the work being tubes, rods or lo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이 이루어짐에 따라 파이프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대차를 설치하여 고하중의 파이프를 쉽게 절단기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정확한 길이로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눌러주는 심압수단을 설치하여 파이프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절단작업을 할 수 있게 한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절단장치{sawing machine of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롤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절단이 이루어짐에 따라 파이프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대차를 설치하여 고하중의 파이프를 쉽게 절단수단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정확한 길이로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눌러주는 심압수단을 설치하여 파이프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절단작업을 할 수 있게 한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는 유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건축 자재의 하나로 배관을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는 PVC(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굵기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파이프는 절단할 때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직경이 큰 파이프의 경우 벽의 두께가 두꺼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파이프를 절단 할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파이프를 절단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하면에 블레이드가 장착되고 하강수단이 구비된 상부플레이트의 하강으로 하부플레이트에 이송된 파이프를 절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에 있어서, 하부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휠플레이트; 휠플레이트에 휠모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제1파이프이송휠과 제2파이프 이송휠; 제1, 제2파이프이송휠의 회전축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체인기어; 휠플레이트에 제1, 제2파이프이송휠과 파이프를 사이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제1, 제2파이프가이드롤러; 제1체인기어와 제2체인기어에 맞물린 회전체인으로 구성되어 파이프를 하부플레이트에 이송하는 파이프이송부; 하부플레이트의 타측에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센서가이드레일과, 고정수단에 의하여 센서가이드레일 상에 가변 되는 위치로 고정되어 파이프와의 접촉을 감지하여 하강수단에 하강 시를 전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구동부로 이루어져, 블레이드에서 센서까지의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는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이고,
특허문헌 2는 바디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핸들을 설치하고 바디에는 수직방향으로 나사 축을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함과 함께 나사 축에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커터 날이 회전하는 모터뭉치부를 나사 결합하여 핸들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모터뭉치부가 승, 하강하도록 하고, 바디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롤러의 상면에 원통형의 파이프를 로딩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커터 날을 하강시켜 절단하는 파이프절단기에 있어서, 바디의 상부에 손잡이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나사 축의 하단은 바디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는, 한 쌍의 간격이 최소가 되게 하부에 설치되는 대경 롤러와, 한 쌍의 간격이 최대가 되게 상부에 설치되어 대경 롤러의 상부에 소형 파이프를 얹어 절단 시 커터 날이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소경 롤러로 구성함과 함께 각 대경 롤러 및 소경 롤러의 둘레 면에 커터 날의 수직방향과 일치되도록 절단선을 표시하며, 보조받침대는 현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2개의 지지판이 고정된 베이스와, 상부에 4개의 베어링이 설치되며 하부 양측에는 수직으로 긴 장공이 형성된 설치판과, 설치판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와, 설치판의 저면 양측 및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탄력 설치되어 설치판을 상방으로 편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파이프절단기이고,
특허문헌 3은 절단 전의 파이프를 설정 길이만큼 일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공급 유닛; 공급 유닛에 의해 파이프가 이동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어, 파이프의 외측 둘레를 예비 절단 하는 예비 절단 유닛; 파이프의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예비 절단 유닛의 전방에 위치되어, 파이프를 파지 하는 보조절단 유닛; 및 푸시 유닛을 포함되, 예비 절단 유닛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파이프가 이동 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 통로가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일 측에 연결되고, 이송 통로와 정렬되도록 중앙 영역에 이송 홀이 형성된 바디; 이송 홀에서 위치된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갖는 절단 부재; 및 절단날을 파이프를 절단하는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조절 부재는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푸시 유닛은 조절 부재를 전후방으로 이동 시키는 파이프 절단 장치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파이프 절단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들은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절단작업을 할 경우 절단기의 오동작 등에 의해 파이프가 이동하거나 뒤틀려 정확한 위치를 절단할 수 없거나 파이프나 절단기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61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36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06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롤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절단이 이루어짐에 따라 파이프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대차를 설치하여 고하중의 파이프를 쉽게 절단수단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정확한 길이로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눌러주는 심압수단을 설치하여 파이프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절단작업을 할 수 있게 한 파이프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는 파이프를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치를 지지하는 받침대; 파이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가 고정된 롤러지지대와, 상기 롤러지지대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받침대에 설치된 두 개의 스프로킷과, 일측 단부는 상기 롤러지지대의 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지지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로킷을 경유하여 설치된 체인와, 상기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에 설치되어 스프로킷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롤러지지대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파이프이송수단; 상기 받침대의 파이프이송수단이 설치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단부를 지지하여 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파이프이송제한수단; 파이프지지수단의 상부에 올려진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기가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파이프지지수단과 절단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파이프가 절단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좌우이송수단; 및 상기 절단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기의 일측에는 공급된 파이프의 상부를 눌러 절단 과정에서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심압수단가 더 설치되고, 상기 심압수단은 파이프의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라는 심압롤러와, 상기 심압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지지대의 후단에는 파이프의 후단을 지지하여 롤러지지대가 이송되는 도중 파이프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파이프견인대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와 이송수단 사이에는 완충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이송수단은 상기 파이프지지수단을 구성하는 롤러지지대들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부에 절단장치와 심압수단이 설치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된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는 롤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절단이 이루어짐에 따라 파이프의 공급을 용아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파이프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피브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설치하여 고하중의 파이프를 쉽게 절단기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정확한 길이로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를 눌러주는 심압수단을 설치하여 파이프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절단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의 일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롤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절단이 이루어짐에 따라 파이프의 공급을 용아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파이프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는 파이프를 절단하는 장치로,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를 지지하는 받침대(10); 파이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롤러(21)와, 상기 롤러가 고정된 롤러지지대(22)와, 상기 롤러지지대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과, 받침대에 설치된 두 개의 스프로킷(24)과, 일측 단부는 상기 롤러지지대의 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지지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로킷을 경유하여 설치된 체인(25)와, 상기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에 설치되어 스프로킷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롤러지지대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회전손잡이(26)를 포함하는 파이프이송수단(20); 상기 받침대의 파이프이송수단이 설치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단부를 지지하여 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파이프이송제한수단(30); 파이프지지수단(41)의 상부에 올려진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기(40); 상기 절단기가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파이프지지수단과 절단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파이프가 절단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좌우이송수단(50); 및 상기 절단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이송수단(20)은 파이프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두 개의 롤러(21)가 파이프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고 있으며, 롤러들 위해 파이프를 올린 후, 상기 회전손잡이(26)를 회전시킴에 의해 체인이 회동되어 롤러지지대가 절단기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파이프의 전단(도면상 좌측단부)이 상기 파이프이동제한수단(30)에 접촉되면 파이프의 이동이 중단된다.
상기 파이프이동제한수단(30)은 파이프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파이프이동제한수단(30)이 파이프가 절단되는 길이의 기준점이 된다.
상기 파이프이동제한수단(30)은 회전ㅇ가능한 롤러로 구성함에 의해 상기 절단기에 의해 파이프가 절단될 때 파이프를 회전시키면 파이프가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절단기(40)은 파이프를 절단하는 수단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전달날로 이루어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절단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항 바와 같이 파이프를 향한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는 절단기를 설치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손잡이를 누름에 의해 절단날이 파이프 측으로 이동하는 전달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단기(40)의 구동시 파이프가 회전함에 따라 절단기의 절단날이 파이프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 만큼만 이동하여도 파이프가 절단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이프를 회전시켜 절단되지 않은 부분이 전달기를 향하게 하는 겄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절단기의 하부에는 파이프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즉, 상기 절단기의 하부에는 롤러지지대(41s)에 의해 지지되는 두 개의 롤러(41r)를 설치하고, 이 롤러들을 롤러회전모터(41m)으로 회전시켜 파이프가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는 용도에 따라 절단되는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좌우이송수단(51)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좌우이송수단(51)은 상기 파이프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롤러지지대(41s)들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바(51g)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고 상부에 절단장치와 심압수단이 설치되는 이동블록(51b)과, 상기 이동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된 이송스크류(51s)와,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51h)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손잡이(51h)를 회전시키면 이송스크류(51s)가 회전하고, 이송스크류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 이동블록(51b)이 이동하여 절단기와 심압수단을 포함하는 상부 구성쇼소들이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이송제한수단과 전달기 시이의 거리가 조절되고, 파이프는 이 거리만큼의 길이로 절단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고, 이때에는 전후이송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후이송수단(52)은 절단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52g)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전후이동판(52b)과, 상기 전후이동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회전손잡이(52h)의 회전에 의해 회전함에 의해 전후이동판을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52s)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후이송수단은 절단기가 파이프와 멀리 있을 때 파이프와 인접한 부분으로 절단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절단기를 파이프의 내벽까지 밀어주는 수단으로는 신축실린더(52c)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신축실린더를 구비함에 따라 작업자가 이송스크류를 작동시켜 개략적으로 거리를 맞춘 후 절단 순간에는 신축실린더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절단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본 발명의 파이프 절단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단기(40)의 일측에는 공급된 파이프의 상부를 눌러 절단 과정에서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심압수단(6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이프가 파이프이송제한수단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절단기를 작동시키면 절단기를 구성하는 회전형 절단날의 구동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파이프가 두 개의 롤러들 사이로부터 이탈 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심압수단(60)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심압수단(60)은 파이프의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라는 심압롤러(61)와, 상기 심압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6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62)은 수직 지지바에 설치된 승강레일(62g)과,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블록(62b)과, 상기 승강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회전손잡이(62h)의 회전에 의해 회전함에 의해 승강블록을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62s)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수단은 심압롤로가 파이프와 멀리 있을 때 파이프와 인접한 부분으로 심압롤로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절단이 이루어질 때 보다 파이프에 심압롤러가 밀착되게 밀어주는 수단으로는 승강실린더(62c)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신축실린더를 구비함에 따라 작업자가 이송스크류를 작동시켜 개략적으로 거리를 맞춘 후 절단 순간에는 승강실린더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절단이 이루어지는 동안 심압롤러가 파이프의 상부를 견고하게 눌러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지지대의 후단에는 파이프의 후단을 지지하여 롤러지지대가 이송되는 도중 파이프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파이프견인대(70)이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이송수단이 수평으로 이동할 때 파이프와 롤러들 사이에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면 파이프가 빨리 이동될 수 없음에 따라 상기 파이프견인대(70)를 설치하여 파이프가 밀리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상기 파이프견인대(7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파이프견인대(70)가 파이프를 파이프이송제한수단으로 밀어주는 상태에서 파이프가 회전할 때 원활하게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와 이송수단 사이에는 완충수단(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완충수단(80)은 공기압에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절단기가 작동할 때에는 절단기를 포함하는 그 상부 구조물들 지지하여 절단기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지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수축하는 신축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 절단장치의 상기 절단기의 일측에는 고압송풍노즐을 더 설치하여 절단기가 작동하는 동안 발생된 열을 냉각시킴은 물론 절단 과정에서 발생된 파이프 조각을 절단 부분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이송수단의 일측에 측면지지롤러(27)를 더 설치하여 절단 과정에서 회전하는 파이프가 롤러들 사이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파이프 절단장치는 파이프를 파이프이송수단의 상부에 올린 후, 회전손잡이(26)를 회전시키면 파이프이송장치가 절단기를 통과하여 전단부가 파이프이송제한수단까지 이동하고,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좌우이동수단의 회전손잡이를 작동시켜 절단기의 절단날이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심압수단의 회전손잡이를 호전시켜 심압롤러가 파이??의 상부에 가까이 접근한 상태가 되게 한다.
물론 전후이송수단의 회전손잡이도 작동시켜 절단기의 절단날이 최대한 파이프의 외주면에 가깝게 근접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제어기의 작동 버튼을 누르면, 상기 완충수단(80)이 신장되어 받침대와 절단기 사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공압 장치가 작동하여 심압수단의 승강실린더가 작동하여 심암롤러가 파이프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파이프를 지지하고, 이후 절단기가 작동된 후, 전후이송수단의 신축실린더가 작동하여 절단기가 파이프 측으로 이동하여 파이프를 절단한다.
물론, 이때 절단기 하부의 롤러회전모터가 작동하여 롤러들이 회전함에 따라 파이프가 회전하여 절단기와 접하는 부분이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10: 받침대
20: 파이프이송수단
21: 롤러 22: 롤러지지대
23: 가이드레일 24: 스프로킷
25: 체인 26: 회전손잡이
27: 측면지지롤러
30: 파이프이송제한수단
40: 절단기
41: 파이프지지수단
41r: 롤러 41s: 롤러지지대
41m: 롤러회전모터
51: 좌우이송수단
51g: 가이드바 51b: 이동블록
51s: 이송스크류 51h: 회전손잡이
52: 전후이송수단
52g: 가이드레일 52b: 이동판
52s: 이송스크류 52h: 회전손잡이
52c: 신축신린더
60: 심압수단
61: 심압롤러
62: 승강수단
62s: 승강스크류 62r: 승강레일
62b: 승강블록 62c: 승강실린더
70: 파이프견인대
80: 완충수단
100: 제어기

Claims (5)

  1. 파이프를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치를 지지하는 받침대(10);
    파이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두 개의 롤러(21)와, 상기 롤러가 고정된 롤러지지대(22)와, 상기 롤러지지대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과, 받침대에 설치된 두 개의 스프로킷(24)과, 일측 단부는 상기 롤러지지대의 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롤러지지대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프로킷을 경유하여 설치된 체인(25)와, 상기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에 설치되어 스프로킷을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롤러지지대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회전손잡이(26)를 포함하는 파이프이송수단(20);
    상기 받침대의 파이프이송수단이 설치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단부를 지지하여 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파이프이송제한수단(30);
    파이프지지수단(41)의 상부에 올려진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기(40);
    상기 절단기가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파이프지지수단과 절단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에 의해 파이프가 절단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좌우이송수단(51); 및
    상기 절단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40)의 일측에는 공급된 파이프의 상부를 눌러 절단 과정에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심압수단(6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심압수단(60)은 파이프의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심압롤러(61)와, 상기 심압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6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지지대의 후단에는 파이프의 후단을 지지하여 롤러지지대가 이송되는 도중 파이프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파이프견인대(7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좌우이송수단(51) 사이에는 완충수단(8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수단(51)은 상기 파이프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롤러지지대(41s)들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바(51g)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하고 상부에 절단장치와 심압수단이 설치되는 이동블록(51b)과, 상기 이동블록을 관통하여 설치된 이송스크류(51s)와,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51h)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KR1020210107026A 2021-08-13 2021-08-13 파이프 절단장치 KR10248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026A KR102486242B1 (ko) 2021-08-13 2021-08-13 파이프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026A KR102486242B1 (ko) 2021-08-13 2021-08-13 파이프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242B1 true KR102486242B1 (ko) 2023-01-06

Family

ID=8492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026A KR102486242B1 (ko) 2021-08-13 2021-08-13 파이프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2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210B1 (ko) 2023-07-20 2023-11-20 성태영 대구경 파이프 자동 절단장치
CN117103359A (zh) * 2023-08-02 2023-11-24 江苏亿豪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聚四氟乙烯管材裁切用定位装置
KR102661153B1 (ko) 2023-12-27 2024-04-26 (주)고운스틸 절단가공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925U (ko) * 1997-09-19 1999-04-15 오상수 파이프 절단장치
KR100436124B1 (ko) 2002-03-13 2004-06-23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파이프 절단장치
KR20090109613A (ko) * 2008-04-16 2009-10-21 (주)파브텍 파이프 자동 절단장치
KR101873653B1 (ko) 2016-11-01 2018-07-31 임정환 파이프절단기
KR101890669B1 (ko) 2017-12-22 2018-08-22 김유영 파이프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925U (ko) * 1997-09-19 1999-04-15 오상수 파이프 절단장치
KR100436124B1 (ko) 2002-03-13 2004-06-23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파이프 절단장치
KR20090109613A (ko) * 2008-04-16 2009-10-21 (주)파브텍 파이프 자동 절단장치
KR101873653B1 (ko) 2016-11-01 2018-07-31 임정환 파이프절단기
KR101890669B1 (ko) 2017-12-22 2018-08-22 김유영 파이프 절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210B1 (ko) 2023-07-20 2023-11-20 성태영 대구경 파이프 자동 절단장치
CN117103359A (zh) * 2023-08-02 2023-11-24 江苏亿豪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聚四氟乙烯管材裁切用定位装置
KR102661153B1 (ko) 2023-12-27 2024-04-26 (주)고운스틸 절단가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242B1 (ko) 파이프 절단장치
KR100661756B1 (ko) 관 모따기 장치
KR102335671B1 (ko) 반도체 배관용 커팅장치
CN210115948U (zh) 一种板材裁切台锯
KR102026937B1 (ko) 자동 목재 재단 시스템
KR101979440B1 (ko) 이동식 제재 장치
KR100708014B1 (ko) 타이어 성형용 금형의 공기 배출라인 가공 장치
JP2017052091A (ja) 長尺状の被切断物のスライス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長尺パイプ材のv溝スライス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可搬式スライス切断機
KR101365179B1 (ko) 파이프 절단장치
CN210059962U (zh) 一种剪板机
CN109773517B (zh) 一种铝材切割运输装置
KR20200067013A (ko) 석판 절단장치
CN214352711U (zh) 一种管材切割装置
CN111546432B (zh) 一种板材自动打孔设备
TWI728747B (zh) 傾斜進料切管機
KR101966771B1 (ko) 밀링커터를 이용한 양방향 개선가공기
CN208713010U (zh) 板材加工立锯
KR100506619B1 (ko) 판재절단장치 및 그 방법
KR101793624B1 (ko) 이동식 제재 장치
CN219788566U (zh) 一种用于建筑保温材料生产的剪切装置
CN214684519U (zh) 一种钢材切割机
CN117206910B (zh) 一种助力车管体的端部切削设备及其加工工艺
CN219599054U (zh) 一种金属裁切装置
CN210678875U (zh) 一种行程限位结构
CN216263851U (zh) 一种锯床送料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