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013A - 석판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석판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013A
KR20200067013A KR1020180153852A KR20180153852A KR20200067013A KR 20200067013 A KR20200067013 A KR 20200067013A KR 1020180153852 A KR1020180153852 A KR 1020180153852A KR 20180153852 A KR20180153852 A KR 20180153852A KR 20200067013 A KR20200067013 A KR 20200067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ving
lead screw
intermitt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065B1 (ko
Inventor
박원준
Original Assignee
박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준 filed Critical 박원준
Priority to KR102018015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0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판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고 이동성이 우수하며 고장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선 또는 사선방향으로 석판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고, 나아가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편의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석판 절단장치{Slab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이동성이 우수하며 고장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선 또는 사선방향으로 석판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고, 나아가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편의성이 매우 우수한 석판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재나 외장 마감재, 기타 여러 용도로 사용되는 판상의 석재는 일정한 두께와 크기로 사전에 공급되기 때문에 이러한 석재를 직접 사용하게되는 작업 현장에서는 석재를 필요에 따라 소정의 크기로 임의 절단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핸드 그라인더 방식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석재를 수동 방식으로 직접 절단하였기 때문에 석재의 절단에 따른 신체의 손상 등 작업 안전 위험성의 초래와 더불어 석재의 정확한 절단이 어렵고, 또한 절단작업 속도 역시 느릴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작업자가 절단기의 핸들을 직접 잡고 톱날을 석재에 대하여 이동시키면서 절단하는 작업 방식이기 때문에 절단 작업에 상당한 숙련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 핸드 그라인더 방식을 탈피하여 보다 안정된 절단을 위한 절단기들이 KR10-2005-0029062A(석재 자동 절단기, 이하, '특허문헌 0001' 이라 한다.)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판상으로 절단 공급되는 석재를 작업 현장에서 필요한 크기로 간편하게 절단 사용하기 위한 석재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커터의 안정된 자동 이송을 통한 석재의 신속 정확한 절단 및 작업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 이점이 있으나, 조작이 불편하는 단점이 있다.
KR10-2005-0029062A (2005.03.2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고 이동성이 우수하며 고장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선 또는 사선방향으로 석판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고, 나아가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편의성이 매우 우수한 석판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석판이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석판 절단부와; 상기 석판 절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평행하게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석재 절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에 고정설치되어 단속레버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와의 나사결합이 단속되는 이동단속부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속부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동몸체에 고정설치되는 수평바닥판과; 상기 리드스크류를 수용하도록 상기 수평바닥판의 상부에 하단부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결합되는 제 1수직판 및 제 2수직판과; 상기 제 1수직판과 상기 제 2수직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측으로 탄성지지되고, 저면에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부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단속몸체와; 상기 제 1수직판의 상부와 상기 제 2수직판의 상부에 양측이 각각 축결합되고,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단속몸체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단속몸체의 나사홈과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부 나사선을 나사결합시키는 회전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캠부에 상기 회전캠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단속레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속몸체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단속몸체의 나사홈과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부 나사선이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단속레버에 의해 상기 회전캠부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몸체와 함께 상기 단속레버가 상기 리드스크류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단속레버의 일측이 상기 단속레버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되며,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단속레버의 일측과 접하여 상기 단속레버의 일측을 상기 단속레버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상승시켜 상기 단속레버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된 상기 단속몸체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석판 절단부가 상기 석판을 경사방향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석판 절단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가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측지지판과 타측지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의 리드스크류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일측지지판과 타측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의 가이드바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리드스크류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상기 일측지지판과 타측지지판에 고정되며, 상기 일측지지판 또는 상기 타측지지판에 상기 이동부의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에 이동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후측 상부에 상기 회전부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보조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이동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전후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석판 절단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석판 절단부의 상부 일측이 상기 이동부의 이동몸체의 일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승강부는 전측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전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석판 절단부의 상부 타측에 하부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호형상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가이드슬릿과 상기 가이드몸체의 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을 상기 이동몸체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과 상기 고정몸체 사이의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상기 석판 절단부의 상부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석판 절단부의 하부를 승강운동시키는 보조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되고, 상기 고정몸체와 나사결합 및 상기 보조가이드몸체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보조가이드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측으로 인입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보조가이드몸체를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가이드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를 상기 보조가이드몸체와 연결 및 상기 석판 절단부의 하부를 승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가이드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보조가이드몸체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판을 상기 가이드몸체에 밀착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상측에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가 단순하고 이동성이 우수하며 고장우려가 없는 석판 절단부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안착된 석판을 직선 또는 사선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부의 단속레버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상기 석판 절단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판 절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베이스부로부터 석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석판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이동단속부와 단속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이동단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5의 A -A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단속레버에 의해 단속몸체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절개정면도이고,
도 9는 석판 절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석판을 절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단속몸체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고,
도 11은 회전부 및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3은 회전부에 의해 석판 절단부가 회전된 상태에서 석판을 경사방향으로 절단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이동부에 의해 회전부와 함께 석판 절단부가 전후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의 승강부를 확대한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6은 승강부의 리드스크류가 가이드몸체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사시도이고,
도 17은 석판 절단부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판 절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석판 절단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베이스부(20), 석판 절단부(30) 및 이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상기 베이스부(20)가 수평으로 안착설치된다.
도 3은 베이스부로부터 석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석판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부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단하고자 하는 석판(3)이 수평으로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석판(3)의 일측과 접하는 이탈방지판(210)이 상기 베이스부(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부 후측에도 상기 석판(3)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접하는 상기 이탈방지판(210)이 상기 베이스부(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판(210)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부에 안착된 석판(3)을 절단하는 과정 중에 상기 석판(3)이 상기 베이스부(20)의 일측 외부방향 및 상기 베이스부(2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밀리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석판 절단부(30)는 상기 베이스부(20)의 상측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석판 절단부(30)를 길이방향 즉, 상기 베이스부(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이동단속부와 단속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이동단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5의 A -A선에 따른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이동부(4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리드스크류(410), 가이드바(420), 이동몸체(430), 이동단속부(440) 및 구동모터(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드스크류(410)는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바(420)가 상기 리드스크류(4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리드스크류(410)와 평행하도록 상기 가이드바(420)의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이동몸체(430)의 전측에 상기 석재 절단부(30)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동몸체(430)는 상기 가이드바(420)에 상기 가이드바(4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딩결합된다.
상기 이동단속부(440)는 상기 이동몸체(430)에 고정설치되어 단속레버(5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410)와의 나사결합이 단속된다.
상기 구동모터(450)는 상기 리드스크류(41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단속부(44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평바닥판(441), 제 1수직판(442), 제 2수직판(443), 단속몸체(444) 및 회전캠부(4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바닥판(441)은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동몸체(430)의 후측 하부에 전측이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직판(442)과 상기 제 2수직판(443) 사이에 상기 리드스크류(41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닥판(441)의 후측 상부에 상기 제 1수직판(442)의 하단부와 상기 제 2수직판(443)의 하단부가 각각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직판(442)은 상기 가이드바(420)와 상기 리드스크류(4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바닥판(441)의 후측 상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속몸체(444)는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수직판(442)과 상기 제 2수직판(4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속몸체(444)는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속몸체(444)의 저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상부 나사선(411)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홈(도 8의 44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속몸체(444)의 상부에 승강판(444b)이 수평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속부(440)는 상기 승강판(444b)과 함께 상기 단속몸체(444)를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상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지지부(4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445)는 가이드봉(445a)과 탄성부재(44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445a)이 상기 승강판(444b)의 각 모서리부위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봉(445a)의 하부는 상기 승강판(444b)의 각 모서리부위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바닥판(441)의 상부부위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5b)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봉(445a)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445b)는 상기 승강판(444b)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와 상기 승강판(444b)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바닥판(441)의 상부 사이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승강판(444b)과 함께 상기 단속몸체(444)를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상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캠부(446)는 캠축(446a)과; 상기 캠축(446a)에 편심고정되는 캠(446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캠부(446)가 상기 승강판(444b)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캠부(446)의 캠축(446a)의 양측, 즉, 전측과 후측은 상기 제 1수직판(442)의 상부와 상기 제 2수직판(443)의 상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캠축(446a)의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캠(446b)이 상기 승강판(444b)과 함께 상기 단속몸체(444)를 상기 단속몸체(444)의 하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단속레버에 의해 단속몸체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절개정면도이다.
상기 캠축(446a)과 함께 상기 캠(446b)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 역방향으로 회전(도 7의 적색화살표 참조.)될 경우, 상기 캠(446b)의 하부가 상기 승강판(444b)의 상부와 접하면서 상기 승강판(444b)과 함께 상기 단속몸체(444)를 상기 단속몸체(444)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단속몸체(444)의 나사홈(444a)과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상부 나사선(411)을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탄성부재(445b)가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캠축(446a)과 함께 상기 캠(446b)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차 정방향으로 회전(도 8의 청색화살표 참조.)될 경우, 상기 캠(446b)의 하부가 상기 승강판(444b)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되면서 상기 단속몸체(444)의 가압상태가 해제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445b)가 팽창되어 상기 승강판(444b)과 함께 상기 단속몸체(444)가 상승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단속몸체(444)의 나사홈(444a)과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상부 나사선(411)의 나사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캠부(446)의 캠축(446a)에는 상기 회전캠부(446)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단속레버(50)가 연결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속레버(5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은 상기 회전캠부(446)의 캠축(446a)의 전측 또는 후측에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단속레버(50)의 일측이 점차 하강할 경우, 상기 회전캠부(446)는 점차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단속레버(50)의 일측이 점차 상승할 경우, 상기 회전캠부(446)는 점차 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9는 석판 절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석판을 절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단속몸체(444)가 상기 단속몸체(444)의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단속몸체(444)의 나사홈(444a)과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상부 나사선(411)이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단속레버(50)의 하강에 의해 상기 회전캠부(446)가 역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4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몸체(430) 및 상기 석판 절단부(30)와 함께 상기 단속레버(50)가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석판 절단부(30)가 상기 석판(3)을 직선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4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이동몸체(430) 및 상기 석판 절단부(30)와 함께 상기 단속레버(50)가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절단날(도 1의 301) 상기 석판(3)을 절단하는 과정 중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절단날(301)에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절단날(301)로 물을 분사하는 공지된 물분사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단속몸체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속레버(50)의 일측은 상기 단속레버(5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판 절단부(30)가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필요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리드스크류(410) 일측 주변에는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단속레버(50)의 일측과 접하여 상기 단속레버(50)의 일측을 상기 단속레버(5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상승시켜 상기 단속레버(5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된 상기 단속몸체(444)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도르래, 롤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이드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회전부 및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10)은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부(20)가 수평으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내측에는 보조하부프레임(111)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일측지지판(121)과 타측지지판(122)이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의 리드스크류(41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일측지지판(121)의 상부와 상기 타측지지판(122)의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의 가이드바(420)가 상기 리드스크류(4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바(42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상기 일측지지판(121)의 상부와 상기 타측지지판(122)의 상부에 각각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40)의 구동모터(450)는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지지판(121)의 내측면 하부 또는 상기 타측지지판(122)의 내측면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0)는 상기 일측지지판(121)의 외측면 또는 상기 타측지지판(12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450)의 회전력을 상기 리드스크류(410)로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46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일측 및 상기 구동모터(450)의 구동축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지지판(121)의 외측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타측 및 상기 구동모터(450)의 구동축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타측지지판(12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서로 치합되는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420)와 상기 리드스크류(410) 사이에 도르래, 롤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가이드부(6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도르래, 롤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가이드부(60)는 상기 일측지지판(121)의 내측면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부(60) 주변의 상기 일측지지판(121)의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단속레버(50)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경보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가 상기 단속레버(50)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보부를 이룰 수 있는 스피커는 사이렌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상기 경보부를 이룰 수 있는 LED가 빛을 발광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석판(3)의 절단이 완료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3은 회전부에 의해 석판 절단부가 회전된 상태에서 석판을 경사방향으로 절단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석판 절단부(30)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석판(3)을 경사방향(\)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석판 절단부(3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70)는 관상의 회전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70)의 상부는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70)의 하부는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70)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70)의 상부는 작업자에 의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0)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석판 절단부(30)와 상기 이동부(40) 또한 상기 회전부(70)의 상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부(20)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석판 절단부(30)는 상기 이동부(4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석판(3)을 경사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70)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70)의 상부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20)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석판 절단부(30)와 상기 이동부(40) 또한 상기 회전부(70)의 상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부(20)의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석판 절단부(30)는 상기 이동부(4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41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석판(3)을 경사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내측에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80)이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80)은 이동바(810), 이동판(820) 및 이동몸체(8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8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상기 회전부(70)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820)의 상부 중심부에 상기 이동바(810)의 전측 하부가 안착된 상태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830)의 상부는 상기 이동판(820)의 하부 중심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80)을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보조이동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이동부(90)는 크게, 리드스크류(910)와 가이드부재(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910)가 상기 이동프레임(80)의 이동몸체(830)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리드스크류(91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보조하부프레임(111)의 전측 상부 중간부와 후측 상부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910)의 전단부에는 상기 리드스크류(9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9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920)는 가이드몸체(921)와 가이드바(922)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80)의 전후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921)는 상기 이동프레임(80)의 이동판(820)의 하부 각 모서리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922)가 상기 가이드몸체(921)를 각각 관통한 상태로 상기 리드스크류(910)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바(922)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보조하부프레임(111)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각각 볼트고정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이동부에 의해 회전부와 함께 석판 절단부가 전후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리드스크류(910)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80)과 함께 상기 석판 절단부(30) 및 상기 이동부(40)가 상기 베이스부(20)의 후측방향으로 후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부에 상기 석판(3)을 안착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석판 절단부(30)와 상기 이동부(40)가 방해요소로 작용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리드스크류(910)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이동프레임(80)과 함께 상기 석판 절단부(30) 및 상기 이동부(40)가 상기 베이스부(20)의 전측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승강부를 확대한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6은 승강부의 리드스크류가 가이드몸체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석판 절단부(3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상부 일측은 상기 이동부(40)의 이동몸체(430)의 상부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00)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몸체(101), 고정몸체(102), 가이드판(103), 가이드축(104), 보조가이드몸체(105), 리드스크류(106) 및 연결부재(1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전측에는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10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102)는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내부 일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03)이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전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판(103)의 하부는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상부 타측에 하부가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03)은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03)의 중심부에는 상기 가이드판(103)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103a)이 상기 가이드판(103)을 따라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104)은 상기 가이드판(103)의 가이드슬릿(103a)과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가이드슬릿(101a)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타측을 상기 이동몸체(830)의 상부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의 전측이 상기 가이드판(103)의 상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는 상기 가이드축(104)과 상기 고정몸체(102) 사이의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는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상부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하부를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타측은 상기 고정몸체(102)와 나사결합 및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의 후측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의 후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의 후측 주변의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타측부위에 이탈방지돌기(106a)가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106a)는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이탈방지돌기(106a) 사이에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의 후측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7은 석판 절단부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정면도이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리드스크류(106)의 일측에는 상기 리드스크류(106)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구비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리드스크류(106)를 핸들을 이용하여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06)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리드스크류(106)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를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가이드판(103)의 상부가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상부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하부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06)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리드스크류(106)는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를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가이드판(103)의 상부가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상부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하부가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07)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연결축(107a)과 너트(107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107a)은 상기 가이드판(103)의 상부와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가이드슬릿(101a)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여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의 전측에 나사결합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판(103)의 상부를 상기 보조가이드몸체(105)의 전측에 연결시키는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너트(107b)는 상기 연결축(107a)을 이룰 수 있는 볼트 등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판(103)을 상기 가이드몸체(101)의 전측에 밀착고정시켜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하부를 승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20)의 상측에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가 단순하고 이동성이 우수하며 고장우려가 없는 상기 석판 절단부(3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부에 안착된 석판(3)을 직선 또는 사선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부(40)의 단속레버(50)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상기 석판 절단부(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20; 베이스부,
30; 석판 절단부, 40; 이동부.

Claims (11)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석판이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석판 절단부와;
    상기 석판 절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평행하게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석재 절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에 고정설치되어 단속레버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와의 나사결합이 단속되는 이동단속부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속부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동몸체에 고정설치되는 수평바닥판과;
    상기 리드스크류를 수용하도록 상기 수평바닥판의 상부에 하단부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결합되는 제 1수직판 및 제 2수직판과;
    상기 제 1수직판과 상기 제 2수직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측으로 탄성지지되고, 저면에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부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단속몸체와;
    상기 제 1수직판의 상부와 상기 제 2수직판의 상부에 양측이 각각 축결합되고, 회전정도에 따라 상기 단속몸체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단속몸체의 나사홈과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부 나사선을 나사결합시키는 회전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부에 상기 회전캠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단속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몸체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단속몸체의 나사홈과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부 나사선이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단속레버에 의해 상기 회전캠부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몸체와 함께 상기 단속레버가 상기 리드스크류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단속레버의 일측이 상기 단속레버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되며,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단속레버의 일측과 접하여 상기 단속레버의 일측을 상기 단속레버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상승시켜 상기 단속레버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된 상기 단속몸체의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 절단부가 상기 석판을 경사방향으로 절단하도록 상기 석판 절단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가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측지지판과 타측지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의 리드스크류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일측지지판과 타측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의 가이드바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리드스크류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상기 일측지지판과 타측지지판에 고정되며, 상기 일측지지판 또는 상기 타측지지판에 상기 이동부의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에 이동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후측 상부에 상기 회전부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보조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동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전후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 절단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 절단부의 상부 일측이 상기 이동부의 이동몸체의 일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승강부는 전측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전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석판 절단부의 상부 타측에 하부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호형상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가이드슬릿과 상기 가이드몸체의 가이드슬릿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을 상기 이동몸체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축과 상기 고정몸체 사이의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상기 석판 절단부의 상부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석판 절단부의 하부를 승강운동시키는 보조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되고, 상기 고정몸체와 나사결합 및 상기 보조가이드몸체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보조가이드몸체와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측으로 인입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보조가이드몸체를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가이드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를 상기 보조가이드몸체와 연결 및 상기 석판 절단부의 하부를 승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판의 상부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가이드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보조가이드몸체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판을 상기 가이드몸체에 밀착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판 절단장치.
KR1020180153852A 2018-12-03 2018-12-03 석판 절단장치 KR102172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52A KR102172065B1 (ko) 2018-12-03 2018-12-03 석판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52A KR102172065B1 (ko) 2018-12-03 2018-12-03 석판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013A true KR20200067013A (ko) 2020-06-11
KR102172065B1 KR102172065B1 (ko) 2020-10-30

Family

ID=7107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852A KR102172065B1 (ko) 2018-12-03 2018-12-03 석판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1799A (zh) * 2021-12-10 2022-03-01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一种轻质隔墙板的运输切割装置
KR102614758B1 (ko) * 2023-04-13 2023-12-14 오춘단 석재 절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062A (ko) 2003-09-20 2005-03-24 이양범 석재 자동 절단기
KR100676753B1 (ko) * 2005-10-07 2007-02-01 백정현 석재 절단장치
KR20180017683A (ko) * 2016-08-10 2018-02-21 김기복 절단각도 가변형 석재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062A (ko) 2003-09-20 2005-03-24 이양범 석재 자동 절단기
KR100676753B1 (ko) * 2005-10-07 2007-02-01 백정현 석재 절단장치
KR20180017683A (ko) * 2016-08-10 2018-02-21 김기복 절단각도 가변형 석재 절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1799A (zh) * 2021-12-10 2022-03-01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一种轻质隔墙板的运输切割装置
KR102614758B1 (ko) * 2023-04-13 2023-12-14 오춘단 석재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065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072B1 (ko) 환봉 절단장치
KR100966612B1 (ko) 파이프 절단장치
US6739066B2 (en) Level adjusting apparatus for a power tool
KR20200067013A (ko) 석판 절단장치
KR102486242B1 (ko) 파이프 절단장치
KR200484496Y1 (ko) 파이프 절단장치
KR101979440B1 (ko) 이동식 제재 장치
US3148001A (en) Mobile power-actuated concrete saw with reaction supporting means therefor
JP4989718B2 (ja) パイプの切断装置
US5333385A (en) Movable automatic sawing and clamping framework
JP2588847B2 (ja) 石材曲面切断機
KR101572506B1 (ko) 각재의 양단부를 상이한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KR20150064493A (ko) 파이프 절단 면취장치
KR20050029062A (ko) 석재 자동 절단기
JPH06126490A (ja) パイプ切断機のセンタ合わせ装置
KR101604955B1 (ko) 생산성을 향상시킨 서까래 가공장치
KR20180128626A (ko) 다기능 배관 커팅장치
CN109795040B (zh) 一种用于建筑的高效的瓷砖切割设备
KR101629351B1 (ko) 통나무 가공장치
KR20160119982A (ko) 프레스 커팅장치
KR101793624B1 (ko) 이동식 제재 장치
CN220112436U (zh) 一种圆棒切断机防震荡机构
US784409A (en) Wood-sawing machine.
KR102229863B1 (ko) 판재 절단기
CN213382584U (zh) 一种割边滚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