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179B1 - 파이프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179B1
KR101365179B1 KR1020120081605A KR20120081605A KR101365179B1 KR 101365179 B1 KR101365179 B1 KR 101365179B1 KR 1020120081605 A KR1020120081605 A KR 1020120081605A KR 20120081605 A KR20120081605 A KR 20120081605A KR 101365179 B1 KR101365179 B1 KR 101365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ipe
wheel
jaw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754A (ko
Inventor
이찬우
Original Assignee
(주)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 filed Critical (주)경동
Priority to KR102012008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17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파이프 절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는, 파이프가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오픈 척과, 오픈 척에 지지된 파이프에 커팅 휠을 접근시켜 파이프가 회전됨에 따라 파이프가 절단되도록 하는 커터를 포함하고, 오픈 척은, 중심부를 포함하여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절개부가 형성된 지지 휠과, 지지 휠의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지지 휠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지지 휠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절개부보다 넓게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어 지지 휠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휠구동부와, 지지 휠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지지 휠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이프의 중심축이 상기 휠의 중심축에 일치되도록 상기 절개부 내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지지 휠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조가 구비된 파이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절단장치{DEVICE FOR CUTTING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파이프에 절삭날을 접근시켜 파이프를 절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관로, 건설현장용 비계(scaffolding)의 구성요소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여러 가지 용도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파이프는 사용 목적에 적합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되므로, 산업현장에서는 파이프의 절단이 매우 빈번히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오래 전부터 파이프의 절단에 관하여 다양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시행되어 왔다.
파이프의 절단에는 바이트와 같은 절삭공구, 원형 톱날 또는 디스크형 연삭숫돌과 같은 커팅 휠, 용접기나 플라즈마 절단기 등 다양한 절단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파이프를 길이방향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는 작업에는 일반적으로 상술한 커팅 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절삭수단에 의한 파이프의 절단은, 파이프 및 회전하는 커팅 휠을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절단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커팅 휠이 파이프의 외주면 일측에 접하기 시작하여 파이프가 완전히 절단될 때까지 파이프 및 커팅 휠을 상대적으로 이송시키고, 파이프의 직경이 클 경우에는 커팅 휠이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파이프를 절단한다.
커팅 휠이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송되도록 할 경우, 커팅 휠에 의해 파이프의 일측이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까지 절단되도록 커팅 휠 및 파이프를 접근시킨 후 커팅 휠에 의해 파이프가 절삭된 깊이를 유지하면서 커팅 휠이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면 커팅 휠에 가해지는 절삭저항을 최소화하면서 파이프가 절단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내용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18060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고 함)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파이프가 척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파이프의 일단부가 척 내로 삽입되어야 하므로 파이프는 척을 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그런데, 파이프가 직선형이 아닌 곡선형이거나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충분한 공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내용과 같이 파이프가 척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곤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8-180609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이프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절삭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파이프가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되지 않더라도 척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이프가 직선형이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가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오픈 척과, 상기 오픈 척에 지지된 상기 파이프에 커팅 휠을 접근시켜 상기 파이프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가 절단되도록 하는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 척은, 중심부를 포함하여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상기 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절개부가 형성된 지지 휠과, 상기 지지 휠의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지지 휠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지지 휠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보다 넓게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휠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휠구동부와, 상기 지지 휠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휠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의 중심축이 상기 휠의 중심축에 일치되도록 상기 절개부 내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지지 휠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조가 구비된 파이프 고정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휠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반원형 절개부 및 상기 반원형 절개부의 원호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휠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한 쌍의 나란한 직선형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는 U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휠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휠구동수단과, 상기 휠구동수단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지지 휠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휠의 외주면에는 치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휠구동수단에 연결된 휠구동축과, 상기 휠구동축에 설치된 웜기어와, 상기 윔기어 및 상기 치차부에 치합된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파이프 절단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지지 휠의 외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치차부의 폭에 상응하는 함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고정부는, 상기 지지 휠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조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조를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상기 한 쌍의 조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각각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조에 각각 나사 결합된 한 쌍의 나사봉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나사봉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가하는 조 구동수단과,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은 상기 조 구동수단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한 쌍의 나사봉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또는 상기 한 쌍의 조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직선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선형 액추에이터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또는 상기 한 쌍의 조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대한 상기 한 쌍의 조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상기 커팅 휠을 회전시키는 커팅 휠 구동수단과, 상기 오픈 척에 고정된 상기 파이프의 횡단면과 나란한 평면 상에서 상기 커팅 휠이 이송되도록 하는 커팅 휠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파이프 절단장치는, 상기 한 쌍의 조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조가 상기 한 쌍의 조에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파이프가 상기 한 쌍의 보조 조에 의해 상기 지지 휠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조 또는 상기 한 쌍의 보조 조에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에 노치 형상 또는 반원호 형상의 그립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팅 휠이 파이프의 이미 절삭된 부분과 접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절삭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파이프의 절단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는 파이프를 절단할 때 발생되는 절삭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파이프가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를 고정 및 회전시키는 오픈 척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파이프가 이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오픈 척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되지 않더라도 오픈 척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가 직선형이 아니더라도 오픈 척의 개방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오픈 척 내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의 오픈 척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픈 척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픈 척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의 작동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1)에는 오픈 척(10) 및 커터(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오픈 척(10)은 파이프(P)가 길이방향의 중심축(C)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고, 커터(20)는 오픈 척(10)에 의해 지지된 파이프(P)가 절단되도록 한다. 오픈 척(1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의 오픈 척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오픈 척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오픈 척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도 4의 1)에 구비된 오픈 척(10)에는 하우징(11), 오픈 척 베이스(13), 파이프 고정부(15), 지지 휠(17) 및 휠 구동부(19)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 휠(17)에는 휠 본체(171)가 포함될 수 있다. 휠 본체(171)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가장자리에 외주면(173)이 형성된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휠 본체(171)에는 절개부(1721, 1722) 및 치차부(174)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721, 1722)는 휠 본체(171)의 중심부를 포함하여 가장자리까지 절개된 형상을 가져서 파이프(P)가 절개부(1721, 1722) 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절개부(1721, 1722)에는 직선형 절개부(1721) 및 반원형 절개부(1722)가 포함된다. 이 중 반원형 절개부(1722)는 도면에 표시된 좌표축의 Z축과 나란한 휠 본체(171)의 중심점(도 3의 O)을 기준으로 휠 본체(171)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반원의 형상을 가지며, 직선형 절개부(1721)는 반원형 절개부(1722)의 원호의 양단으로부터 휠 본체(171)의 가장자리까지 나란하게 연장된 한 쌍의 직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절개부(1721,172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본체(171)의 중심점(O)이 위치하는 중심부를 포함하여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개부(1721, 1722)는 U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치차부(1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173)을 따라 형성될 수 있는데, 휠 본체(171)는 휠 구동부(19)로부터 치차부(174)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휠 구동부(19)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하우징(11)은 휠 본체(171)가 중심점(O)을 지나는 Z축과 나란한 지지 휠(170)의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휠 본체(171)를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내에 복수의 지지 롤러(175)가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롤러(175)는 하우징(11)에 양단부가 결합된 롤러 축(17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 롤러(175)의 외주면은 휠 본체(171)의 외주면(173)에 접하며 휠 본체(171)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치차부(174)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173)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치차부(174)가 지지 롤러(175)의 외주면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롤러(175)의 외주면에는 치차부(174)에 상응하는 폭을 갖고 치차부(174)에 형성된 치형의 높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 함입부(17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롤러(175)의 외주면은 휠 본체(171)의 외주면(173)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치차부가 외주면(173)으로부터 함입된 형성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지지 롤러(175)의 외주면에 함입부(176)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지지 롤러(175)의 외주면에 함입된 치차부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롤러(175)의 수는 휠 본체(171)의 하중 및 휠 본체(171)에 가해지는 외력 등을 고려하여 가감될 수 있으며, 지지 롤러(175)의 배치 또한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개방부(111, 112)가 형성되는데, 개방부(111, 112)는 직선형 개방부(111) 및 곡선형 개방부(112)가 포함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개부(1721, 1722) 내에는 파이프(P)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개방부(111, 112)의 가장자리 부분이 파이프(P)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방부(111, 112)는 휠 본체(171)의 중심점(O)을 지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절개부(1721, 1722)와 같은 형상을 갖거나 절개부(1721, 1722)보다 넓게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 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구동부(19)가 배치될 수 있다. 휠 구동부(19)에는 휠 구동수단(191) 및 휠 구동수단(19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휠 본체(171)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포함될 수 있는데, 동력전달수단에는 휠 구동축(192), 웜기어(195, 196) 및 피니언(197, 198)이 포함될 수 있다.
휠 구동축(1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휠 구동수단(191)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휠 구동수단(191)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휠 구동수단(191)으로는 전기모터나 유압모터 등과 같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휠 구동축(192) 및 하우징(11) 사이에는 베어링(193, 194)이 설치되어 휠 구동축(192)이 하우징(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휠 구동수단(191) 및 휠 구동축(192)은 커플링(coupling) 등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휠 구동수단(191)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휠 구동축(192)이 파손되었을 때 용이하게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윔기어(195, 196)는 휠 구동축(192)에 설치된다. 하우징(11)에는 피니언(197, 19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피니언(197, 198)은 윔기어(195, 196)에 각각 치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피니언(197, 198)은 치차부(174)에 각각 치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휠 구동수단(191)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휠 구동축(192)이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력은 웜기어(195, 196) 및 피니언(197, 198)에 의해 휠 본체(171)로 전달되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휠 본체(171)가 회전된다. 이때 휠 구동수단(191)의 회전방향에 따라 휠 본체(171)는 중심점(O)을 지나는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오픈 척 베이스(13)는 하우징(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지지면(G)에 대하여 하우징(11)을 지지하는 일종의 받침대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오픈 척 베이스(13)에는 높이 조절 수단 또는 경사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오픈 척(10)이 파이프(P) 절단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높이 및 수평상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프 고정부(15)에는 한 쌍의 베이스(151, 152), 한 쌍의 조(153, 154) 및 조 구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 한 쌍의 조(153, 154)는 한 쌍의 베이스(151, 1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 구동부는 한 쌍의 조(153, 154)를 한 쌍의 베이스(151, 152)에 대하여 각각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조 구동부에는 조 구동수단(1581), 구동기어(1582), 전동기어(1583), 전동축(1584), 종동기어(1585) 및 한 쌍의 나사봉(1513, 1523)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파이프 고정부(15)에는 한 쌍의 보조 조(155, 15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151, 152)는 각각에 결합 또는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휠 결합부(1516, 1526)에 의해 휠 본체(171)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하우징(11)에 형성된 곡선형 개방부(112)는 한 쌍의 휠 결합부(1516, 1526)가 휠 본체(171)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곡선형 개방부(112)는 휠 본체(171)에 형성된 반원형 절개부(172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조(153, 154)에는 조 본체(1531, 1541)가 각각 구비되고, 조 본체(1531, 1541)에는 슬라이딩 블록(1533, 1543)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151, 152)에는 가이드 리브(1511, 1521)가 각각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는데, 가이드 리브(1511, 1521)에는 슬라이딩 블록(1533, 1543)이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 본체(1531, 1541) 및 슬라이딩 블록(1533, 1543)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 블록(1533, 1543) 없이 조 본체(1531, 1541)가 베이스(151, 15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도 있으며, 조 본체(1531, 1541)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리브(1511, 1521)가 베이스(151, 152)가 아닌 조 본체(1531, 1541)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베이스(151, 152) 및 조 본체(1531, 1541)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베이스(151, 15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부 베이스(1515, 1525)가 각각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베이스(151, 152)에는 한 쌍의 나사봉(1513, 1523)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나사봉(1513, 1523)은 한 쌍의 조(153, 154)가 한 쌍의 베이스(151, 15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나사봉(1513, 1523)의 일측은 전동부 베이스(1515, 1525)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봉(1513, 1523)의 타측에는 슬라이딩 블록(1533, 1543)이 각각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딩 블록(1533, 1543)에는 나사봉(1513, 1523)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 될 수 있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너트부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봉(1513, 1523)이 회전되는 경우, 슬라이딩 블록(1533, 1543)은 가이드 리브(1511, 1521)에 의해 각각 가이드 되며 베이스(151, 152)에 대하여 나사봉(1513, 1523)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전동부 베이스(1515, 1525) 중 어느 한 쪽에는 조 구동수단(1581)이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 구동수단(1581)이 일측의 전동부 베이스(1515)에 설치된다.
조 구동수단(1581)은 전기모터나 유압모터 등과 같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조 구동수단(1581)에는 구동기어(1582)가 결합된다. 구동기어(1582)에는 치차로 구성되어 구동기어(1582)로 가해지는 조 구동수단(1581)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전동기어(1583)가 치합된다. 여기서, 전동기어(1583)를 구성하는 치차는 전동부 베이스(15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동기어(1583)에는 종동기어(1585)가 치합될 수 있는데, 종동기어(1585)는 나사봉(1513)의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조 구동수단(1581)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은 구동기어(1582), 전동기어(1583) 및 종동기어(1585)에 의해 나사봉(15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전동축(1584)은 한 쌍의 베이스(151, 152)에 구비된 전동부 베이스(1515, 15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전동축(1584)의 일단부는 전동기어(1583)에 결합된다. 따라서, 조 구동수단(1581)의 회전력은 전동축(1584)의 일단부에 결합된 전동기어(1583) 및 전동축(1584)의 일단부를 통하여 전동축(1584)의 타단부로 전달되며, 전동축(1584)의 타단부로 전달된 회전력은 나사봉(152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조 구동수단(1581)이 회전되면 한 쌍의 조 본체(1531, 1541)가 한 쌍의 베이스(151, 152)에 대하여 각각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한 쌍의 조 본체(1531, 1541)가 각각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은 도 1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휠 본체(171)의 중심점(O)을 향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동시에 중심점(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러므로, 파이프(P)가 절개부(1721, 1722) 내에 삽입되어 있을 때 한 쌍의 조 본체(1531, 1541)가 파이프(P)의 중심점(O)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조 구동수단(1581)이 구동되면, 파이프(P)의 외주면 양측이 한 쌍의 조 본체(1531, 1541)에 의해 가압되며 휠 본체(17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조 구동수단(1581)이 상술한 바와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면 한 쌍의 조 본체(1531, 1541)가 파이프(P)의 중심점(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파이프(P)가 휠 본체(171)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조 본체(1531, 1541)가 파이프(P)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는 부분에는 그립부(1532, 154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532, 15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notch)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반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그립부(1532, 1542)가 파이프(P)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휠 본체(171)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할 때 파이프(P)가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파이프(P)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립부(1532, 1542)는 고무, 합성수지, 파이프(P)보다 강도 또는 표면경도 등이 낮은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파이프(P)와 접촉되는 면에 다수의 홈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 구동부에는 한 쌍의 베이스(151, 152) 또는 한 쌍의 조(153, 154)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직선형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직선형 액추에이터는 한 쌍의 베이스(151, 152)에 대하여 한 쌍의 조(153, 154)를 직선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파이프(P)의 반경이 노치부의 깊이와 같거나 작은 경우, 즉, 슬라이딩 블록(1533, 1543)이 휠 본체(171)이 중심점(O)을 향하여 이동되어 그립부(1532, 1542)의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되었을 때, 그립부(1532, 154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최대 굵기의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의 반경보다 작은 경우에는, 한 쌍의 조 본체(1531, 1541)보다 작은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을 휠 본체(171)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한 쌍의 보조 조(155, 156)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보조 조(155, 156)에는 보조 조 본체(1551, 1561)가 포함될 수 있고, 보조 조 본체(1551, 1561)에는 그립부(1552, 1562) 및 통공(1554, 156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립부(1552, 1562)는 상술한 조 본체(1531, 1541)의 그립부(1532, 1542)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통공(1554, 1564)에는 체결부재(1571, 1572)가 관통되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통공(1554, 1564)을 관통한 체결부재(1571, 1572)의 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 본체(1531, 1541)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도시되지 않음, 1544)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보조 조 본체(1551, 1561)는 조 본체(1531, 1541)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 본체(1531, 1541)에 의해 고정시킬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직경을 갖는 파이프(도시되지 않음)도 휠 본체(171)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조 본체(1531, 1541)에는 보조 조 본체(1551, 1561)를 이용하여 직경이 작은 파이프(도시되지 않음)를 고정할 때 보조 조 본체(1551, 1561)의 단부 중 그립부(1552, 1562)가 각각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을 지지하는 지지턱(1535, 1545)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은 직경을 갖는 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보조 조 본체(1551, 1561)의 그립부(1552, 1562)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조 본체(1551, 1561)가 조 본체(1531, 1541)에 결합되었을 때 그립부(1552, 1562)가 그립부(1532, 1542)보다 직경이 작은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의 외주면을 향하여 더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파이프 고정부(15)에는 한 쌍의 조 본체(1531, 1541) 또는 한 쌍의 보조 조 본체(1551, 1561)에 의하여 파이프(P)가 정상적으로 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 쌍의 조(153, 154)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로는, 슬라이딩 블록(1533, 1543)이 한 쌍의 베이스(151, 15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된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나사봉(1513, 1523)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센서, 한 쌍의 베이스(151, 152)의 임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그립부(1532, 1542, 1552, 1562)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위치감지센서는 한 쌍의 베이스(151, 152), 한 쌍의 조(153, 154) 등 파이프 고정부(15)의 적절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의 작동을 예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1)의 커터(20)에는 커팅 휠 구동수단(21), 커팅 휠 회전축(22), 커터 베이스(23), 커팅 휠 이송수단(24), 이송축(25) 및 커팅 휠(26)이 포함된다.
그리고 커팅 휠(26)에는 섕크(261, shank) 및 블레이드(262)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커팅 휠(26)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장자리 부분으로 절삭을 행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크 형상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커팅 휠 구동수단(21)은 커팅 휠(26)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전기모터, 공압모터, 유압모터 등 커팅 휠 회전축(22)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팅 휠 구동수단(21)에는 커팅 휠(26)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각속도센서 또는 타코미터(tachometer)와 같은 회전속도 감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회전속도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커팅 휠 구동수단(21)에 의해 커팅 휠(26)이 회전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파이프(P)의 두께 또는 재질, 커팅 휠(26)의 종류 또는 직경 등에 따라 최적의 절단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커팅 휠(26)의 회전속도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커터 베이스(23)는 지지면(G)에 대하여 커팅 휠 구동수단(21) 및 커팅 휠 이송수단(24)을 지지하는 일종의 받침대이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터 베이스(23)는 상술한 오픈 척 베이스(13)와 마찬가지로 높이 조절 수단 또는 경사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커팅 휠(26)이 오픈 척(10)에 고정된 파이프(P)를 절단하기 용이한 위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커팅 휠 구동수단(21)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의 이송축(25)에 나사 결합되고, 커팅 휠 이송수단(24)은 이송축(25)에 회전력을 가한다. 따라서, 커팅 휠 이송수단(24)이 이송축(25)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커팅 휠 구동수단(21)이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커팅 휠(26) 또한 커팅 휠 구동수단(21)이 이송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팅 휠 구동수단(21)이 커터 베이스(2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결합은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와 같이 직선 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수단을 커팅 휠 구동수단(21) 및 커터 베이스(23)에 개재시키는 방법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축(25)은 파이프(P)의 길이방향 중심축(C)에 수직한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좌표축 중 Z축은 파이프(P)의 중심축(C)과 나란하도록 설정된 것으로, 중심축(C)은 X축 및 Y축이 형성하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하다. 따라서 파이프(P)가 커팅 휠(26)에 의해 절단될 경우 파이프(P)에 형성될 절단면은 X축 및 Y축이 형성하는 평면에 나란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팅 휠 이송수단(24)으로는 도시된 바와 달리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와 같은 직선형 액추에이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팅 휠 이송수단(24)에는 커팅 휠(26)이 이송된 거리를 감지하는 수단 및 이송되는 속도를 감지하는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로는 이송축(25)의 회전각도 및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커팅 휠 구동수단(21) 또는 커팅 휠(26)의 이송거리 및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1)에 의해 파이프(P)가 절단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파이프 이송수단에 의해 파이프(P)가 오픈 척(10)의 절개부(1721, 1722) 내로 이동되면 휠 구동수단(191)이 작동되어 한 쌍의 조(153, 154)에 의해 파이프(P)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파이프(P)는 컨베이어 벨트나 롤러와 같은 파이프 이송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파이프(P)의 중심축(C)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의 파이프 이송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도 1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1)는 오픈 척(10) 내로 파이프(P)를 이송할 때 다양한 파이프 이송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곡관과 같이 직선형이 아닌 파이프(도시되지 않음)도 오픈 척(10) 내로 용이하게 이송하여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파이프(P)가 오픈 척(10)의 절개부(1721, 1722) 내로 삽입된 후, 조 구동수단(1581)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조(153, 154) 또는 한 쌍의 보조 조(155, 156)가 이동되어 파이프(P)가 지지 휠(17)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커팅 휠 구동수단(21)은 커팅 휠(26)을 적절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고, 커팅 휠 이송수단(24)이 작동되어 커팅 휠(26)이 파이프(P)의 중심축(C)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송되는 커팅 휠(26)의 블레이드(262)에 의해 파이프(P)의 일부가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까지 절단되면, 커팅 휠 이송수단(24)의 작동이 정지되어 커팅 휠(26)이 더 이상 파이프(P)의 중심축(C) 방향으로 이송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휠 구동수단(191)이 작동되어 지지 휠(17)이 회전되도록 한다. 지지 휠(17)이 회전되면 지지 휠 본체(171)에 결합된 파이프 고정부(15)가 함께 회전되므로, 파이프(P)가 지지 휠 본체(171)의 중심점(C) 또는 파이프(P)의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P)가 회전됨에 따라 파이프(P)는 커팅 휠(26)에 의해 점차 절단되며, 휠 구동수단(191)은 파이프(P)가 완전히 절단될 때까지 휠 본체(171)를 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파이프(P)의 절단이 진행되는 부분은, 파이프(P)의 중심축(C)에 수직한 평면과 나란하게 된다. 따라서, 커팅 휠(26)의 블레이드(262)는 파이프(P)의 이미 절삭된 부분과 최소한만 접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절삭저항이 최소화됨으로써 파이프(P)의 절단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최소화 될 수 있으며, 파이프(P)의 절단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파이프(P)의 절단이 완료되면, 커팅 휠 이송수단(24)은 커팅 휠(26)이 파이프(P)의 중심축(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휠 구동수단(191)은 파이프(P)를 절단하기 위하여 회전되었던 방향과 반대로 구동되어 휠 본체(171)가 파이프(P)를 절단하기 전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휠 본체(171)가 원위치로 복귀된 후에는 한 쌍의 조(153, 154) 또는 한 쌍의 보조 조(155, 156)이 파이프(P)의 중심축(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파이프(P)가 파이프 이송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오픈 척(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참고로, 휠 본체(171)에 의해 파이프(P)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파이프(P)의 중심축(C)이 휠 본체(171)의 중심점(O)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파이프(P)의 절단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최소화 될 수 있고, 절삭조건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한 쌍의 조(153, 154) 또는 한 쌍의 보조 조(155, 156)에 의해 파이프(P)가 고정된 후 휠 본체(171)가 회전되는 동안 파이프(P)의 중심축(C)이 중심점(O)을 지나거나 중심점(O)에 최대한 가까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조(153, 154) 또는 한 쌍의 보조 조(155, 156)를 정밀 가공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P)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파이프(P)의 절단면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파이프(P)의 직경(Dp), 파이프(P)의 외주부 두께(t), 파이프(P)의 재질, 커팅 휠의 직경(Dc), 블레이드(262)의 재질 등의 조건에 따라 커팅 휠(26)의 회전속도 및 절삭 깊이(T)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조건들에 따라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커팅 휠(26)의 회전속도 및 절삭 깊이(T) 등을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고, 오픈 척(10) 및 커터(20)에 포함된 각종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베이스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P)가 최적의 조건으로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들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파이프 절단장치 10: 오픈 척
11: 하우징 13: 오픈 척 베이스
17: 지지 휠 19: 휠 구동부
20: 커터 26: 커팅 휠

Claims (15)

  1. 파이프가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오픈 척; 및
    상기 오픈 척에 지지된 상기 파이프에 커팅 휠을 접근시켜 상기 파이프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가 절단되도록 하는 커터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 척은,
    중심부를 포함하여 가장자리까지 절개되어 상기 파이프가 삽입 가능한 절개부가 형성된 지지 휠;
    상기 지지 휠의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지지 휠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지지 휠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보다 넓게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휠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휠구동부; 및
    상기 지지 휠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휠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의 중심축이 상기 휠의 중심축에 일치되도록 상기 절개부 내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지지 휠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조가 구비된 파이프 고정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휠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반원형 절개부 및 상기 반원형 절개부의 원호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휠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한 쌍의 나란한 직선형 절개부를 갖는 파이프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U형상을 갖는 파이프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휠구동수단; 및
    상기 휠구동수단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지지 휠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휠의 외주면에는 치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휠구동수단에 연결된 휠구동축;
    상기 휠구동축에 설치된 웜기어; 및
    상기 윔기어 및 상기 치차부에 치합된 피니언을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분산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지지 휠의 외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 롤러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치차부의 폭에 상응하는 함입부가 형성된 파이프 절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는,
    상기 지지 휠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조가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베이스; 및
    상기 한 쌍의 조를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조 구동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상기 한 쌍의 조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각각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조에 각각 나사 결합된 한 쌍의 나사봉;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나사봉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가하는 조 구동수단; 및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은 상기 조 구동수단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한 쌍의 나사봉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축을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또는 상기 한 쌍의 조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직선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액추에이터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인 파이프 절단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또는 상기 한 쌍의 조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베이스에 대한 상기 한 쌍의 조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커팅 휠을 회전시키는 커팅 휠 구동수단; 및
    상기 오픈 척에 고정된 상기 파이프의 횡단면과 나란한 평면 상에서 상기 커팅 휠이 이송되도록 하는 커팅 휠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조가 상기 한 쌍의 조에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파이프가 상기 한 쌍의 보조 조에 의해 상기 지지 휠에 고정되는 파이프 절단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 또는 상기 한 쌍의 보조 조에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에 노치 형상 또는 반원호 형상의 그립부가 각각 형성된 파이프 절단장치.
KR1020120081605A 2012-07-26 2012-07-26 파이프 절단장치 KR101365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605A KR101365179B1 (ko) 2012-07-26 2012-07-26 파이프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605A KR101365179B1 (ko) 2012-07-26 2012-07-26 파이프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54A KR20140014754A (ko) 2014-02-06
KR101365179B1 true KR101365179B1 (ko) 2014-02-21

Family

ID=5026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605A KR101365179B1 (ko) 2012-07-26 2012-07-26 파이프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894B1 (ko) * 2017-12-29 2019-11-11 주식회사 에이앤텍 호스 절단장치
CN110508861A (zh) * 2019-08-29 2019-11-29 徐州飞龙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三轮车生产用钢管切割装置
CN112428006A (zh) * 2020-11-12 2021-03-02 常德市鼎城区正荣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锯床送料架及锯床
CN114769712B (zh) * 2022-03-24 2024-05-10 铜陵市精方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可实现卡盘自动变位的切割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633B2 (ko) * 1986-02-19 1991-10-18 Doryokuro Kakunenryo Kaihatsu Jigyodan
JP2000127085A (ja) 1998-10-22 2000-05-09 Omi Kogyo Co Ltd 切断装置
JP2003136326A (ja) 2001-11-06 2003-05-14 Omiko:Kk パイプカッター
KR20110007373U (ko) * 2010-01-18 2011-07-26 박종근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633B2 (ko) * 1986-02-19 1991-10-18 Doryokuro Kakunenryo Kaihatsu Jigyodan
JP2000127085A (ja) 1998-10-22 2000-05-09 Omi Kogyo Co Ltd 切断装置
JP2003136326A (ja) 2001-11-06 2003-05-14 Omiko:Kk パイプカッター
KR20110007373U (ko) * 2010-01-18 2011-07-26 박종근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54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3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iction stir welding tubular members
FI125718B (en) A device for treating a tubular or rotary bar
KR101365179B1 (ko) 파이프 절단장치
EP3313601B1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tubular and round section objects
US8357872B2 (en) Pipe-processing, in particular a pipe-cutting apparatus
JP5894270B2 (ja) 管状の被加工物の機械加工装置
CN103201056B (zh) 用于机械加工,特别是用于切割管形或圆形截面体的设备
US9694424B2 (en) Apparatus for cutting material and method
KR102034928B1 (ko) 볼스크류의 피치 측정장치
WO2005082564A1 (ja) 帯鋸盤における切粉除去装置
KR102486242B1 (ko) 파이프 절단장치
US4422543A (en) Universal conveyor
KR20170079810A (ko) 곡면 블록 지지용 파이프 절단장치
KR100850592B1 (ko) 대구경 파이프 절단 장치
GB2559865A (en) Machining tool
KR200484496Y1 (ko) 파이프 절단장치
KR101454344B1 (ko) 캐리지장치
KR101422729B1 (ko) 파이프 가공 캐리지
US20140000762A1 (en)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Parts, Notably Elongated Revolving Parts, by Machining a Bar Held Fixed in Rotation
KR102167984B1 (ko) 주행 대차
KR101834542B1 (ko) 컨베이어용 롤러 가공장치
KR101616370B1 (ko) 파이프 개선 장치 및 파이프 개선 방법
KR20210138466A (ko) 파이프 이송장치
WO2017168057A1 (en)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tool unit for manipulating a workpiece
US20120199247A1 (en) Veneer pee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