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081B1 - 전선볼트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전선볼트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081B1
KR102484081B1 KR1020220166881A KR20220166881A KR102484081B1 KR 102484081 B1 KR102484081 B1 KR 102484081B1 KR 1020220166881 A KR1020220166881 A KR 1020220166881A KR 20220166881 A KR20220166881 A KR 20220166881A KR 102484081 B1 KR102484081 B1 KR 102484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wire
fixing
coupled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252A (ko
Inventor
김은송
김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016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0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과 결합된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볼트 고정구조로서, 상기 전선이 안착되도록 일면이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일면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볼트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와 결합된 상기 전선의 일단이 안착되는 바디부; 및 상기 볼트의 상면에 인접하여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를 감싸도록 볼트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및 상기 전선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커버부가 바디부에 결합되면서 볼트의 볼트머리를 가압함으로써, 볼트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전선의 헐거워짐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선볼트 고정구조 {Fixing Structure for Wire Bolt}
본 발명은 전선볼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과 결합된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볼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기차 충전기인 ICCB(In-Cable Control Box)에 체결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는 PCB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는데,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방법으로, 도 1과 같이 전선의 단부에 링단자를 연결한 후 볼트가 링단자를 관통한 후 PCB에 체결되도록 하여 전선을 PCB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 과정에서 바닥에 추락하는 등에 의한 충격이 다수 발생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된 충격이 전선을 고정시킨 볼트에 전달되면서 PCB에 고정된 볼트가 풀리게 되고, 전선이 안정적으로 고정을 유지되지 못하면서 쇼트가 발생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전선의 헐거워짐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를 이용한 고정 방식이 아닌, 도 2와 같이 레버 방식으로 전선을 PCB에 고정시키는 방안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레버 방식은 볼트 방식 대비 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는 있으나, 중량 및 원가가 과하게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외부 충격 발생에도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선과 결합된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볼트 고정구조로서, 상기 전선이 안착되도록 일면이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일면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볼트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와 결합된 상기 전선의 일단이 안착되는 바디부; 상기 볼트의 상면에 인접하여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를 감싸도록 볼트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및 상기 전선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결합홀에 항상 동일한 체결량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결합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복수의 상기 전선이 구분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볼트고정홈이 상기 볼트머리와 접하는 일면에 상기 볼트머리를 가압하도록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링단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결합홀에 인접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단이져 링단자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링단자안착홈과 연통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단이져 전선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전선의 타단이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측벽을 절개하여 전선인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커버부가 바디부에 결합되면서 볼트의 볼트머리를 가압함으로써, 볼트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전선의 헐거워짐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구조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는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볼트 고정구조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볼트 고정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바디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커버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바디부 및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3의 바디부에 전선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도.
도 8은 도 3의 전선볼트가 고정된 바디부에 커버부가 결합되는 결합도.
도 9는 도 3의 전선볼트가 고정된 바디부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Ⅹ-Ⅹ'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트 및 전선의 개략도.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볼트결합홀의 단면도.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 및 커버부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볼트 고정구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볼트 고정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바디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커버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의 바디부 및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바디부에 전선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도이고, 도 8은 도 3의 전선볼트가 고정된 바디부에 커버부가 결합되는 결합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3의 전선볼트가 고정된 바디부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Ⅹ-Ⅹ'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내지 도 14는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전선볼트 고정구조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전선볼트 고정구조에 의해 고정되는 전선(310)은 단부에 링단자(330)가 연결되어 통전되며, 링단자(330)에 볼트(320)가 삽입되어 후술할 볼트결합홀(120)에 체결된다. 이처럼, 링단자(330)를 이용하여 전선(310)을 고정하는 것은, 전선(3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래에서 언급하는 전선(310)은, 단부에 링단자(33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전선(310)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볼트 고정구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310)이 안착되는 바디부(100)와 바디부(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부(200)로 구성된다.
바디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310)이 안착되는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함몰된 일면에는 볼트결합홀(120), 단자안착홈(110), 전선안착홈(130), 격벽(150)이 형성되며, 그 외에 전선인출홀(140), 고정돌기(160) 및 제1 전선고정부(170)가 형성된다.
볼트결합홀(120)은, 링단자(330)에 삽입된 볼트(320)가 삽입되어 바디부(1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디부(100)의 함몰된 일면에 형성된다. 볼트결합홀(120)은 볼트(320)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볼트(320)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볼트결합홀(120)은 바디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관통되지 않을 경우 볼트(320)의 길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볼트(320)가 완전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단자안착홈(110)은, 바디부(100)의 함몰된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선(310)의 일단에 결합된 링단자(330)가 안착되는 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단자안착홈(110)은 볼트결합홀(120)에 인접하여 바디부(100)의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단이져 형성된다. 이때, 링단자안착홈(110)은 안착된 링단자(33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링단자(330) 형상에 맞춰 형성되며, 링단자(330)가 안착된 후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안착홈(130)은 링단자(330)와 연결되어 바디부(100)에 안착되는 전선(310)의 일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바디부(100)의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단이져 형성되는 것으로서, 링단자안착홈(110)과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선안착홈(130)은, 전선(310)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전선인출홀(140)은, 전선안착홈(130)에 안착된 전선(310)이 바디부(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전원 또는 타 부품과 연결될 수 있도록 바디부(100)의 측벽을 절개하여 형성된다. 이때, 전선인출홀(140)은 바디부(100)의 측벽을 관통하는 홀 형상이 아닌, 측벽을 절개하여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전선(310)이 바디부(100)의 상측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전선고정부(170)는, 전선인출홀(140)을 통해 바디부(100) 외부로 배출된 전선(310)의 외주면에 접하여 전선(3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바디부(100)의 측벽에 돌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전선고정부(170)는 바디부(100)의 외부로 배출된 전선(310)의 하측 외주면에 접하여 전선(3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선안착홈(130)과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선고정부(170)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전선(310)을 전선(310)의 길이 방향으로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전선(310)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 전선고정부(170)를 형성할 경우, 전선(310)에 유동이 발생되는 경우, 전선인출홀(140)의 둘레에 전선(310)이 찍히면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선(310)을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단자안착홈(110), 볼트결합홀(120), 전선안착홈(130), 전선인출홈(140) 등이 형성된 바디부(100)의 일면에는 격벽(150)이 형성된다. 격벽(150)은 바디부(100)에 안착되는 복수의 전선(310)이 구분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서, 바디부(100)에 결합되는 전선(310)의 크기, 바디부(100)의 크기 등에 따라 복수의 개수로 형성된다. 이때, 바디부(100)는 격벽(150)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링단자안착홈(110), 볼트결합홀(120), 전선안착홈(130), 전선인출홀(140) 및 제1 전선고정부(170)가 모두 형성되어야 한다.
고정돌기(160)는, 바디부(100)의 측면에 돌출된 돌기로서 후술할 커버부(200)의 고정고리(230)가 체결되는 것이다. 고정돌기(160)는, 바디부(100)의 측면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는데, 전선인출홀(140)이 형성된 면과 이를 마주보는 면이 아닌 다른 두 면에는 반드시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고정돌기(160)는 바디부(100)의 함몰된 일면을 향하는 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고정고리(23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00)는, 바디부(100)의 함몰된 일면을 덮어 바디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볼트고정홈(210), 제2 전선고정부(220), 고정고리(230), 가압돌기(240)가 형성된다.
볼트고정홈(210)은, 바디부(100)에 체결된 볼트(320)의 볼트머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커버부(200)가 바디부(100)를 바라보는 일면에 형성된다. 볼트고정홈(210)은 커버부(200)의 일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커버부(200)가 바디부(100)에 결합됐을 때, 볼트머리를 감싸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볼트고정홈(210)은 횡단면이 볼트머리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볼트머리의 횡단면이 원형일 경우 볼트고정홈(210)도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볼트머리의 횡단면이 다각형일 경우 볼트고정홈(210)도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처럼, 볼트고정홈(210)이 볼트머리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볼트머리를 안정적으로 감싸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볼트(320)가 볼트결합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볼트고정홈(210)에는 가압돌기(240)가 돌출 형성된다. 가압돌기(240)는 볼트머리가 볼트고정홈(210)에 삽입되면, 볼트머리의 상측에 접해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가압돌기(240)는 볼트머리에 접하는 단부가 고무재질과 같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선고정부(220)는, 커버부(200)가 바디부(100)에 결합되면 제1 전선고정부(170)와 맞물려 전선(310)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하는 것으로서, 커버부(200)의 측벽에 돌출 형성된다. 제2 전선고정부(220)는, 제1 전선고정부(170)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전선(310)의 외주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전선고정부(170)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선(310)이 특정 위치에서 찍힘이 발생하는 등의 외관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고리(230)는, 커버부(200)가 바디부(100)에 결합되면 고정돌기(160)에 결합되어 커버부(200)를 바디부(10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커버부(200)에 돌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고리(230)는 커버부(200)의 측벽에서 바디부(10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고정돌기(160)가 돌출된 위치에 맞춰 형성된다.
전술한 바디부(100) 및 커버부(2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310)이 결합된 후 외부에 전선(310)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바디부(100)에 링단자(330)가 결합된 전선(310)이 링단자안착홈(110) 및 전선안착홈(130)에 맞춰 안착되도록 한 후, 볼트(320)를 볼트결합홀(120)에 체결한다. 이때, 전선(310)은 전선인출홀(140)을 통해 바디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제1 전선고정부(17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바디부(100)에 복수의 전선(310)을 모두 고정시킨 후에 커버부(200)를 바디부(100)의 상측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1 전선고정부(170)에 안착된 전선(31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제2 전선고정부(220)에 의해 전선(310)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커버부(200)를 가압하여 고정돌기(160)가 고정고리(230)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처럼, 바디부(100)에 전선(310)을 고정하고, 커버부(200)를 결합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310)은 가압돌기(240)에 의해 볼트(320)의 상측이 눌려 고정되게 된다. 즉, 바디부(100) 및 커버부(200)에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볼트(320)가 흔들리면서 풀리려는 불상사가 발생하는 경우, 볼트(320)는 가압돌기(240)에 의해 볼트머리가 눌려지기 때문에, 회전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볼트고정홈(210)에 볼트머리가 삽입되어 감싸져 있으며, 링단자(330)가 링단자안착홈(110)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전선(310) 및 볼트(320)가 흔들리면서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바디부(100)에 안착되어 결합된 전선(310) 및 볼트(320)가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되며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11의 (a)와 같이 볼트(320)에 스냅링(340)을 형성함으로써, 볼트(32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볼트(320)에 결합되어 고정되되, 링단자(330)가 볼트머리와 스냅링(34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냅링(340)이 고정되어 볼트(3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처럼, 스냅링(340)을 사용할 경우, 도 11의 (b)와 같이 볼트(320)가 풀려 이탈되려고 할 때, 스냅링(340)이 링단자(330)에 걸려 볼트(320)가 링단자(33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링단자안착홈(110)에 안착되어 고정된 링단자(330)와 볼트(320)의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볼트(320)가 볼트결합홀(1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에 따른 볼트(320)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볼트를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다각형인 볼트(320')가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다각형으로 형성된 볼트(320')를 사용할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버부(200')의 볼트고정홈(210')도 횡단면이 다각형인 것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각형의 볼트(320')를 적용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결합홀(120')에는 가이드돌기(121')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볼트결합홀(120')의 내주면에 가이드돌기(121')가 돌출 형성되며, 볼트(320')는 가이드돌기(121')가 형성된 위치까지 체결된 후에 볼트(320')의 끝단이 가이드돌기(121')에 접하게 되면 가이드돌기(121')에 의해 회전을 멈추게 된다. 즉, 볼트(320')가 가이드돌기(121')가 형성된 깊이까지만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체결량으로만 볼트(320')가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볼트머리가 항상 동일 위치에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볼트(320')가 항상 동일한 체결량으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볼트머리를 일정한 위치에서 멈취도록 함으로써, 횡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볼트고정홈(210')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커버부(200')와 바디부(1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볼트 고정구조는, 바디부(100)와 커버부(200)가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고정돌기(160) 및 고정고리(230)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바디부(100")와 커버부(200")의 일측이 연결되어 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바디부(100")와 커버부(200")의 내외부 형상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되, 전선인출홀이 형성된 일측의 타측에 힌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커버부(200")가 바디부(100")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처럼, 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 부품 관리가 용이하고 커버부(200")를 바디부(100")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힌지부를 구성하여 형성된 경우에도, 바디부(100") 및 커버부(200")의 측벽에는 고정돌기와 고정고리가 형성되어 커버부(200")가 바디부(100") 상측에 덮인 후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구현 가능한 본 발명의 전선볼트 고정구조는, 바디부(100,100',100")에 링단자안착홈(110), 전선안착홈(130)을 형성함으로써, 전선(310)이 바디부(1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위치를 지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부(200,200',200")에는 볼트고정홈(210)을 형성함으로써 볼트머리를 감싸 고정시키고, 가압돌기(240)를 형성함으로써 볼트머리를 가압함으로써, 볼트(320)가 볼트결합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볼트(320)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전선(310)이 헐거워져 쇼트가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 전선(3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풀림 및 헐거워짐을 방지하여 품질이 향상되면서도, 원가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바디부 110 : 링단자안착홈
120 : 볼트결합홀 121' : 가이드돌기
130 : 전선안착홈 140 : 전선인출홀
150 : 격벽 160 : 고정돌기
170 : 제1 전선고정부 200 : 커버부
210 : 볼트고정홈 220 : 제2 전선고정부
230 : 고정고리 240 : 가압돌기
310 : 전선 320 : 볼트
330 : 링단자 340 : 스냅링

Claims (2)

  1. 전선과 결합된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볼트 고정구조로서,
    상기 전선이 안착되도록 일면이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일면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볼트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와 결합된 상기 전선의 일단이 안착되는 바디부;
    상기 볼트의 상면에 인접하여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를 감싸도록 볼트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및 상기 전선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볼트가 상기 볼트결합홀에 항상 동일한 체결량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결합홀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복수의 상기 전선이 구분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볼트고정홈이 상기 볼트머리와 접하는 일면에 상기 볼트머리를 가압하도록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링단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결합홀에 인접하여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단이져 링단자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링단자안착홈과 연통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단이져 전선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전선의 타단이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측벽을 절개하여 전선인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볼트 고정구조.
KR1020220166881A 2020-11-17 2022-12-02 전선볼트 고정구조 KR102484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881A KR102484081B1 (ko) 2020-11-17 2022-12-02 전선볼트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132A KR102484076B1 (ko) 2020-11-17 2020-11-17 전선볼트 고정구조
KR1020220166881A KR102484081B1 (ko) 2020-11-17 2022-12-02 전선볼트 고정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132A Division KR102484076B1 (ko) 2020-11-17 2020-11-17 전선볼트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252A KR20220166252A (ko) 2022-12-16
KR102484081B1 true KR102484081B1 (ko) 2023-01-04

Family

ID=8180754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132A KR102484076B1 (ko) 2020-11-17 2020-11-17 전선볼트 고정구조
KR1020220166880A KR102484080B1 (ko) 2020-11-17 2022-12-02 전선볼트 고정구조
KR1020220166881A KR102484081B1 (ko) 2020-11-17 2022-12-02 전선볼트 고정구조
KR1020220166879A KR102484079B1 (ko) 2020-11-17 2022-12-02 전선볼트 고정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132A KR102484076B1 (ko) 2020-11-17 2020-11-17 전선볼트 고정구조
KR1020220166880A KR102484080B1 (ko) 2020-11-17 2022-12-02 전선볼트 고정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879A KR102484079B1 (ko) 2020-11-17 2022-12-02 전선볼트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840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320A (ja) 2006-08-11 2008-04-17 Asm America Inc 半導体加工リアクタ用のランプ締結具
KR200443444Y1 (ko) 2008-10-20 2009-02-13 정경식 부스바 연결장치
JP2019096471A (ja) 2017-11-22 2019-06-2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ホルダ、ワイヤハーネス、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95U (ko) * 2015-09-24 2017-04-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블럭 및 이에 사용되는 단자볼트
JP7290453B2 (ja) 2019-04-16 2023-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締結補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320A (ja) 2006-08-11 2008-04-17 Asm America Inc 半導体加工リアクタ用のランプ締結具
KR200443444Y1 (ko) 2008-10-20 2009-02-13 정경식 부스바 연결장치
JP2019096471A (ja) 2017-11-22 2019-06-2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ホルダ、ワイヤハーネス、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080B1 (ko) 2023-01-04
KR20220166768A (ko) 2022-12-19
KR102484079B1 (ko) 2023-01-04
KR20220067438A (ko) 2022-05-24
KR20220166252A (ko) 2022-12-16
KR102484076B1 (ko) 2023-01-04
KR20220166769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1852B2 (en) Conductive plate and joint connector
US7597595B2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US8267357B2 (en) Waterproof cable guide device for railway vehicle
JP2010021017A (ja) コネクタ
JP6407254B2 (ja) ナット圧入部を備えるベース体
US6380488B1 (en) Cable protector with main and auxiliary holding portions
KR102484081B1 (ko) 전선볼트 고정구조
JP5831827B1 (ja) 電線収容プロテクタ
JP5110384B2 (ja) コネクタ
JP6569128B2 (ja) 端子台
JP5030225B2 (ja) 電気接続箱
US20060035532A1 (en) Screw radial connector for electric wires
JPH1051931A (ja) 電気接続箱のカバーロック構造
JP3774062B2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JPH08213096A (ja) 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JP4600293B2 (ja) 電気接続箱
JP7407640B2 (ja) 固定体の取付構造
JP5885134B1 (ja) 電線収容プロテクタ
KR200309041Y1 (ko) 용접용 와이어용 페일팩의 헤드캡
CN219351874U (zh) 一种耳机仓
JP6019158B1 (ja) 遊技機の筐体
CN213073331U (zh) 转换器及氢燃料电池系统
JP7488406B2 (ja) 電気接続箱
KR950003905Y1 (ko) 음극선관 고정용 보스
JP4007926B2 (ja) 光ファイバ心線余長収納ト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