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556B1 -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556B1
KR102483556B1 KR1020220088208A KR20220088208A KR102483556B1 KR 102483556 B1 KR102483556 B1 KR 102483556B1 KR 1020220088208 A KR1020220088208 A KR 1020220088208A KR 20220088208 A KR20220088208 A KR 20220088208A KR 102483556 B1 KR102483556 B1 KR 102483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ender
fixing device
base frame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봉
Original Assignee
김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봉 filed Critical 김희봉
Priority to KR102022008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조립식 펜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펜더를 고정하기 위해 모듈형으로 구성되되, 부분적 분리가 가능하고, 펜더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조가 형성되어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의 편리성과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경량화가 적용되고, 충격과 응력에 대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으로 구성된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 있어서, 부두의 안벽에 접촉되어 설치되되, 모듈방식으로 구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안벽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형성하는 공간에 슬라이딩 고정되되, 상광하협의 등변사다리꼴형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 일측면에 결합 구성되는 펜더;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Slot type assembly fender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는 조립식 펜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펜더를 고정하기 위해 모듈형으로 구성되되, 부분적 분리가 가능하고, 펜더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조가 형성되어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의 편리성과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경량화가 적용되고, 충격과 응력에 대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으로 구성된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 접안되는 시설에서 선박과 접안시설이 파손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펜더가 사용되고 있다.
펜더는 선박과 접안시설간의 접촉 손상을 막기 위해 설치되는 완충장비로, 선박이 접안되어 접촉되는 벽면에 주로 설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상들로 제작되고 있다.
이에,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펜더의 설치는 필수이며, 많은 선박들이 안전한 접안 및 계류가 가능하게 되었으나, 지속적인 접안충격에 의한 펜더의 파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수분에 의한 부식으로 펜더의 파손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에 대한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은 펜더가 변형 및 파손되면 전체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일부만 교체하는 것이 불가하여 펜더의 교체비용이 상승되고,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 교체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일체형 펜더의 경우, 중량이 커서 크레인과 같은 장비가 필수적이고 작업의 위험성이 높아 작업자들은 안전사고에 노출되고 있다.
이에,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되, 접안충격 대한 내구성이 높고, 저렴한 교체비용으로 교체가 가능한 펜더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17-0009442 A
(특허문헌 2) KR 10-1321300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되, 분리가 가능한 모듈형으로 형성되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교체시 부분 교환이 가능하여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하며, 경량화를 통해 중량이 감소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 있어서, 부두의 안벽에 접촉되어 설치되되, 모듈방식으로 구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안벽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형성하는 공간에 슬라이딩 고정되되, 상광하협의 등변사다리꼴형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 일측면에 결합 구성되는 펜더;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일측에 구성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과 대칭형상이되, 상기 제1모듈과 대향되도록 타측에 구성되는 제2모듈; 및 상기 제1모듈과 상기 제2모듈의 일단에 연결 구성되는 제3모듈;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슬라이딩 고정될 수 있도록 슬롯레일이 적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복수개의 천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플라이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모듈과 상기 제2모듈의 내측 및 외측은 충격을 흡수하고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다중 곡선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모듈형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종래의 일체형보다 상대적으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부분 교환이 가능하여 교체비용이 감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경량화를 위한 곡선형 및 천공부 적용으로 중량이 감소하여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작업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부두 안벽과 볼트결합되는 부위는 타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되어 볼트조립시 발생되는 파손 및 변형에 대한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펜더의 조립에 있어서, 볼트결합 외에 홈결합 및 추가브라켓 적용으로 본 발명의 결합강도가 종래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향상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슬롯레일을 구비하여 펜더는 슬라이딩 형태로 조립 및 분리되어 용이한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체적인 형상이 상광하협의 등변사다리꼴형태로 형성되어, 조립 및 분리시 간섭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종래의 변형 및 부식에 의한 분리 및 교체불가 현상을 상술한 내용을 적용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용이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중 곡선형 또는 직선형 구조 적용으로 충격하중을 흡수하고, 응력을 분산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조립된 베이스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분리된 베이스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베이스프레임의 제1모듈 일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가이드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베이스프레임의 제1모듈 내외측구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펜더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서플라이브라켓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가이드프레임 천공부의 개략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의 설치예상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의 설치예상도이다.
도 1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베이스프레임의 제3모듈 적용여부에 따른 응력분포예상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조립된 베이스프레임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분리된 베이스프레임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베이스프레임의 제1모듈 일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가이드프레임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베이스프레임의 제1모듈 내외측구간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펜더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서플라이브라켓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가이드프레임 천공부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의 설치예상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의 설치예상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에서 베이스프레임의 제3모듈 적용여부에 따른 응력분포예상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 가이드프레임(200) 및 펜더(3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완충설비에 대해 살펴본다.
안벽, 잔교 및 돌핀 등의 계류시설의 전면에 설치되어 선박이 접안할 때 또는 계류장 파랑이나 바람으로 동요할 때 선체와 접안시설 사이에 충격력이나 마찰력이 발생하는데, 이때 선체 및 구조물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막기 위하여 선박 또는 계류시설 면에 설치하는 완충설비를 방충재 또는 펜더(Fender)(300)라고 한다.
재료는 목재 또는 고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외에 용수철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무를 이용한 펜더(300)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고무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Pneumatic Fenser, Foam Filled Fender 및 Spool Fender 등이 개발되었으며, 선박의 크기에 따라 펜더(300)의 크기도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살펴본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부두의 안벽에 설치되어 고정되되, 후술할 가이드프레임(200)가 슬라이딩 결합시 가이드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베이스프레임(100)은 모듈방식으로 구성되어 분리 및 결합되어 부두의 안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충격 및 힘에 의한 변형 및 파손에 강하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0)은 부두의 안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생성되는 공간인 슬롯레일이 형성되어 후술할 가이드프레임(20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0)은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상광하협의 등변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가이드프레임(200)의 슬라이딩 결합 및 분리시 간섭 등의 문제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0)은 상술한 내용과 같이 모듈방식으로 구성되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제1모듈(110), 제2모듈(120) 및 제3모듈(130)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1모듈(110)은 베이스프레임(100) 일측에 구성되되, 전체적인 형상은 직선형태이나 내측 및 외측이 굴곡진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충격 및 응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에 강한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모듈(110)은 후술할 제2모듈(120) 및 후술할 제3모듈(130)과 결합 또는 분리되어 부두의 안벽에 볼트연결 방법으로 고정되되, 볼트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볼트홀 테두리는 타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을 넓게 구성되어 볼트조립에 의한 변형 및 파손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부두의 안벽과 접촉되는 제1모듈(110)의 일면은 이중높이구조로 형성되어 제1면(111)은 부두의 안벽과 접촉되나 제2면(112)은 부두의 안벽과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모듈(100)에서 제1면(111)의 일측에는 돌출홈(113)이 구성되어, 후술할 제3모듈(130)과 홈결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돌출홈(113)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후술할 제3모듈(130)과 조립성이 향상되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형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높이구조로 인해 상기 볼트홀 테두리 부위의 두께가 두꺼워져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후술할 가이드프레임(20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공간인 슬롯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내구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1모듈(110)의 일단은 'ㄱ'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할 제3모듈(130)과 연결되되, 돌출 홈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후술할 제3모듈(130)과의 연결시 보강역할이 가능하고, 후술할 제3모듈(130)과의 볼트결합을 위한 결합볼트홀(150)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위에 대한 강도가 향상되어 안정적이고 용이한 결합 및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제1모듈(110)의 타단은 계단식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할 가이드프레임(200)의 일측면과 계단식 형태로 접촉되어 고정력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볼트결합을 위한 베이스볼트홀(140)이 구성되어 있어, 후술할 가이드프레임(200)와 고정되어 후술할 가이드프레임(20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 제1모듈(110)과 타부위와의 접촉 및 결합부분은 용이한 조립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처리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1모듈(110)의 내측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제1직선구간(510), 제2직선구간(520), 제1곡선구간(610), 제3직선구간(530) 및 제4직선구간(54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형태로, 단순 직선형태보다 상대적으로 강도는 높고 중량은 감소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원재료에 대한 비용이 감소되고, 이동 및 설치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1모듈(110)의 외측은 다중 곡선구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상기 제1모듈(110)의 내측과 같이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1모듈(110)의 외측은 다중 곡선구간으로 형성되되, 제2곡선구간(620), 제3곡선구간(630) 및 제4곡선구간(640)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2곡선구간(620)은 제1모듈(110)의 일단에서 중간부까지 곡선형으로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3곡선구간(630)은 제1모듈(110)의 중간부에 곡선형으로 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제1모듈(110)의 중간부 면적이 넓어져 강도가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4곡선구간(640)은 상기 제2곡선구간(620)과 같이 내측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곡선구간(620)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완만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제1모듈(110)의 내측 및 외측의 형상을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하여 내구성향상, 원재료비용절감 및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1모듈(110)의 두께는 내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설치, 조립 및 이동에 효율성이 감소되지 않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모듈(120)은 제1모듈(110)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모듈(110)과 대향되도록 타측에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2모듈(120)의 구성 및 형상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상기 제1모듈(110)과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제3모듈(130)은 'ㄷ'형태의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모듈(110)과 상기 제2모듈(120)이 연결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모듈(130)은 상기 제1모듈(110)과 상기 제2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결합볼트홀(150) 및 복수개의 개방홈(131)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모듈(110) 및 상기 제2모듈(120)과 볼트 및 홈결합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3모듈(130)은 상기 제1모듈(110)과 상기 제2모듈(120)의 일면, 즉 부두의 안벽과 접촉되는 부분의 면과 결합되는 구조로, 제3모듈(130)이 상기 제1모듈(110) 및 상기 제2모듈(120)과 결합하면 제3모듈(130)의 일면은 부두의 안벽과 접촉되고, 타면은 상기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과 접촉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이탈방지 및 견고한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제3모듈(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은 직선형으로 구성되고, 외측은 곡선형으로 구성되어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며, 상기 제1모듈(110)의 볼트홀과 같이 제3모듈(130)의 볼트홀 테두리 역시 면적이 타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3모듈(130)의 두께는 상기 제1모듈(110) 및 상기 제2모듈(120)보다 얇게 형성되나, 상기 제1모듈(110) 및 상기 제2모듈(120)과 결합시 부두의 안벽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제1모듈(110) 및 상기 제2모듈(120)의 제1면(111)과 평탄하게 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3모듈(130)은 상기 제1모듈(110) 및 상기 제2모듈(120)에 결합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1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모듈(110), 상기 제2모듈(120) 및 제3모듈(130)로 베이스프레임(100)이 구성될 경우, 상기 제1모듈(110)과 상기 제2모듈(120)로만 구성될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응력이 분산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3모듈(130)이 없는 경우, 발생하는 최대 응력은 354.4MPa 이며, 제3모듈(130)이 있는 경우, 최대 응력은 212.5MPa 로 동일 하중조건에서 작용하는 최대 응력이 35 내지 45% 감소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3모듈(130)이 없는 경우 변위값은 0.238mm 이며, 3모듈(130)이 있는 경우 변위값은 0.155mm로, 제3모듈(130)의 적용으로 후술할 가이드프레임(200)의 위치변화가 30 내지 40% 감소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베이스프레임(100)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치의 변형 및 파손이 종래의 기술보다 상대적으로 방지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기 결합볼트홀(150)은 부두의 안벽에 고정되는 앙카볼트가 사용되어 모듈간의 결합 및 부두의 안벽 설치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살펴본다.
가이드프레임(200)은 상광하협 형태의 등변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된 두께를 가지는 판으로 후술할 펜더(300)의 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200)은 후술할 펜더(300)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슬라이딩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볼트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200)은 후술할 펜더(300)와의 결합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볼트홀(23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할 펜더(3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가이드프레임(200) 상하좌우 4방향으로 펜더(300)볼트홀(250)이 향성되고, 가이드프레임(200) 일단의 일측 및 타측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가이드볼트홀(23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200)의 일단에는 추가 후크걸이홀(220)이 형성되도록 돌출된 보조결합부(21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추가로 볼트결합되어 고정이 보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서플라이브라켓(400)이 더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가이드프레임(200)의 추가적인 고정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서플라이브라켓(4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가이드프레임(200)에 볼트연결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연결볼트홀(410)이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결합부(210)의 후크걸이홀(220)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베이스볼트홀(140)까지의 거리에 맞게 길이가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서플라이브라켓(4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일반적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나, 양측면을 굴곡지게 구성하여 간섭 방지 및 용이한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서플라이브라켓(400)의 중앙에는 개방된 홀이 더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구성된 홈에 결합 및 고정되어 서플라이브라켓(40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200)은 관통된 홈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천공부(24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이드프레임(200)은 구조적으로 강도가 감소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복수개의 천공부(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가이드프레임(200) 자체의 중량이 감소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프레임(200)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자체 하중에 의한 부하가 감소되어 전체적인 내구성이 증가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200)의 천공부(240)는 다양한 형상 및 위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이드프레임(200) 일면을 기준으로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제1라인(710) 및 제2라인(720), 중간부에 형성되는 제3라인(730)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1라인(710)은 가이드프레임(200)의 일면에서 일측에 위치되되, 다양한 형상이 적용된 복수개의 천공으로 구성되며, 구조적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면적, 형상 및 개수가 다양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2라인(720)은 가이드프레임(200)의 일면에서 타측에 위치되되, 안정적인 시각적 및 구조적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제1라인(710)과 대칭형상이면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2라인(720)은 상기 제1라인(710)과 같이 다양한 형상이 적용된 복수개의 천공으로 구성되며, 구조적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면적, 형상 및 개수가 다양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3라인(730)은 가이드프레임(200)의 일면에서 중심측에 위치되되, 다양한 형상이 적용된 복수개의 천공으로 구성되며, 구조적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제1라인(710) 및 상기 제2라인(720)과 같이 면적, 형상 및 개수가 다양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제3라인(730)이 상기 제1라인(710) 및 상기 제2라인(720)보다 천공부(240)가 크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또는 가이드프레임(200)에는 거리측정센서 및 LED, MCU(Micro Controller Unit) 및 무선 통신장치와 같은 기타 전자 부품이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거리측정 센서 및 무선통신 장치는 접안에 관련된 거리 등의 데이터가 확보 및 전송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거리측정 센서는 무선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MCU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지만, 별도의 추가 장치에도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MCU는 전송된 상기 데이터가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LED의 등화가 제어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상기 LED의 등화로 야간에도 용이하게 계류시설에 대한 위치가 확인되어 안전한 접안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펜더(300)를 살펴본다.
펜더(30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볼트로 결합되되, 선박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선박의 접안압력을 상쇄하여 계류시설과 선박이 보호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펜더(300)는 일반적으로 표면과 내부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면은 고무 및 폴리우레탄 등 방수기능이 있고, 변형 및 파손 등의 문제에 대한 내성이 높은 재질이 사용되며, 내부는 에바 폼 및 고무 등과 같은 충격 흡수성이 탁월하고, 물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타이어 등을 활용한 기술들보다 상대적으로 환경오염이 감소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펜더(300)의 중심에는 충격이 흡수되도록 좌우로 장공(310)이 관통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조립될 수 있도록 외측 및 바닥면으로 볼트가 조립되는 홀이 복수개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펜더(300) 하단부에는 금속판이 내장되어 있어, 펜더(300)가 선박의 접안압력에 의해서 심하게 변형되어 파손 및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펜더(300)는 일반적으로 반력과 에너지 흡수력이 모든 방향에서 안정적이며, 용이한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가능한 CV-펜더(300)가 사용되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진 여러 종류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장소의 상황에 따라 조립전 설치 및 조립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100), 가이드프레임(200) 및 펜더(300)로 분리되어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00)은 제1모듈(110), 제2모듈(120) 및 제3모듈(130)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설치 장소로 이동된 본 발명은 현장상황에 따라 분리되어 있는 구성품의 조립 유무가 결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조립전 설치는 부두의 안벽에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모듈(110), 제2모듈(120) 및 제3모듈(130)이 개별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모듈(130)을 먼저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먼저 고정하되 수평계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모듈(130)이 고정된 후, 제1모듈(110)과 제2모듈(120)을 앙카볼트와 구성된 홈을 이용하여 고정하면 베이스프레임(10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후, 가이드프레임(200)와 펜더(300)를 볼트결합하여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할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의 개방된 부분으로 가이드프레임(200)와 펜더(300)가 결합된 구성품을 삽입하되, 베이스프레임(100)의 설치 형상과 같은 가이드프레임(200)의 형상으로 슬라이딩하여 간섭없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프레임(200)와 펜더(300)의 결합된 구성품이 완전히 결합된 후, 베이스볼트홀(140)과 가이드볼트홀(230)을 이용하여 가이드프레임(200)와 베이스프레임(100)이 볼트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플라이브라켓(400)과 후크걸이홀(220)을 이용하여 가이드프레임(200)와 베이스프레임(100)이 보강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으로 부두의 안벽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며, 조립전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조립후 설치는 부두의 안벽에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모듈(110), 제2모듈(120) 및 제3모듈(130)을 먼저 조립한 후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모듈(130)을 기준으로 제1모듈(110)과 제2모듈(120)을 볼트와 구성된 홈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베이스프레임(100)이 완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의 조립이 완료된 후, 부두의 안벽에 앙카볼트와 수평계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후, 가이드프레임(200)와 펜더(300)를 볼트결합하여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할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베이스프레임(100)의 개방된 부분으로 가이드프레임(200)와 펜더(300)가 결합된 구성품을 삽입하되, 베이스프레임(100)의 설치 형상과 같은 가이드프레임(200)의 형상으로 슬라이딩하여 간섭없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프레임(200)와 펜더(300)의 결합된 구성품이 완전히 결합된 후, 베이스볼트홀(140)과 가이드볼트홀(230)을 이용하여 가이드프레임(200)와 베이스프레임(100)이 볼트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플라이브라켓(400)과 후크걸이홀(220)을 이용하여 가이드프레임(200)와 베이스프레임(100)이 보강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으로 부두의 안벽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며, 조립전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부두의 안벽에 복수개가 설치되되, 현장상황에 따라 수량은 변경될 수 있으며,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제1모듈
111 : 제1면
112 : 제2면
113 : 돌출홈
120 : 제2모듈
130 : 제3모듈
131 : 개방홈
140 : 베이스볼트홀
150 : 결합볼트홀
200 : 가이드프레임
210 : 보조결합부
220 : 후크걸이홀
230 : 가이드볼트홀
240 : 천공부
250 : 펜더볼트홀
300 : 펜더
310 : 장공
400 : 서플라이브라켓
410 : 연결볼트홀
510 : 제1직선구간
520 : 제2직선구간
530 : 제3직선구간
540 : 제4직선구간
610 : 제1곡선구간
620 : 제2곡선구간
630 : 제3곡선구간
640 : 제4곡선구간
710 : 제1라인
720 : 제2라인
730 : 제3라인

Claims (6)

  1. 부두의 안벽에 접촉되어 설치되되, 일측에 구성되는 제1모듈, 상기 제1모듈과 대향되도록 타측에 구성되는 제2모듈 및 상기 제1모듈과 상기 제2모듈의 일단에 연결구성되는 제3모듈이 결합되는 모듈방식으로 구성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안벽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형성하는 공간에 슬라이딩 고정되되, 복수개의 천공부가 구비된 상광하협의 등변사다리꼴형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 일측면에 결합 구성되는 펜더;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모듈과 상기 제2모듈의 내측 및 외측은 충격을 흡수하고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다중 곡선형 또는 직선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슬라이딩 고정될 수 있도록 슬롯레일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복수개의 천공부가 형성되되, 일면을 기준으로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라인 및 제2라인과 중간부에 형성되는 제3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플라이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6. 삭제
KR1020220088208A 2022-07-18 2022-07-18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KR102483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208A KR102483556B1 (ko) 2022-07-18 2022-07-18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208A KR102483556B1 (ko) 2022-07-18 2022-07-18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556B1 true KR102483556B1 (ko) 2022-12-30

Family

ID=8453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208A KR102483556B1 (ko) 2022-07-18 2022-07-18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5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48B1 (ko) * 2010-07-02 2010-12-22 인천항만공사 착탈식 방충재 고정장치
KR101321300B1 (ko) 2013-05-06 2013-10-28 주식회사 삼안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KR20170009442A (ko) 2015-07-17 2017-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보호용 펜더
KR20180015818A (ko) * 2016-08-04 2018-02-14 구상회 착탈식 방충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248B1 (ko) * 2010-07-02 2010-12-22 인천항만공사 착탈식 방충재 고정장치
KR101321300B1 (ko) 2013-05-06 2013-10-28 주식회사 삼안 선박 접안용 펜더장치
KR20170009442A (ko) 2015-07-17 2017-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보호용 펜더
KR20180015818A (ko) * 2016-08-04 2018-02-14 구상회 착탈식 방충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7569A (en) Floating dock
JPH0764309B2 (ja) 浮ドックシステム
US5107784A (en) Docking system for boats
US7575396B2 (en) Wave attenuation system
KR102048296B1 (ko) 외력흡수형 부잔교
CN104619919A (zh) 船用碰垫及相关维护方法
US7461611B2 (en) Floating pontoon berthing facility for ferries and ships
KR101384115B1 (ko) 수상 계류 및 다목적 보호 장치
KR102483556B1 (ko) 슬롯형 조립식 펜더 고정장치
US20120057938A1 (en) Tide self tuning modular wharf resilient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CN209760150U (zh) 一种耐撞泊位靠船构件
KR20150054240A (ko) 함선 설치구조
CA2561449C (en) Floating pontoon berthing facility for ferries and ships
JPH0118670Y2 (ko)
RU156729U1 (ru) Противокатерное боновое заграждение
KR102476912B1 (ko) 친환경 모듈조립식 방충재
KR102622450B1 (ko) 측면 완충 및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부잔교
CN213442966U (zh) 一种新型浮标
NO142537B (no) Anordning ved nedloepsroer for takrenner for avledning av regnvann fra nedloepsroeret
CN216948071U (zh) 一种浮式防波堤单元及其系统
CN218346097U (zh) 一种带爬梯功能的拱形护舷
KR102608885B1 (ko)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CN215098167U (zh) 一种船舶进坞落墩定位装置
CN210216130U (zh) 一种公路桥梁用防共振桥墩
CN211080126U (zh) 一种趸船系留和连岸组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