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375B1 - 건물 상승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상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375B1
KR102481375B1 KR1020220042600A KR20220042600A KR102481375B1 KR 102481375 B1 KR102481375 B1 KR 102481375B1 KR 1020220042600 A KR1020220042600 A KR 1020220042600A KR 20220042600 A KR20220042600 A KR 20220042600A KR 102481375 B1 KR102481375 B1 KR 102481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ed
support
elevat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김시욱
김성욱
Original Assignee
김재호
김시욱
김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김시욱, 김성욱 filed Critical 김재호
Priority to KR102022004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375B1/ko
Priority to KR1020220161524A priority patent/KR20230143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3Jack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는 속이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개구부 인접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승강 튜브, 승강 튜브의 내부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 승강 튜브와 결합되어 기둥의 밑단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 승강 튜브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이 승강 튜브에 결합된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하단이 수직 프레임의 슬롯에 삽입 고정되는 승강 블록 및 안착부 상에 배치되고, 그 단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신축 운동하는 로드와 로드 일단에 결합되어 슬롯에 삽입 지지되는 삽입 블록을 포함하는 공압 펌프를 포함하고, 지지 유닛은 승강 튜브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둥의 밑단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과, 일면이 승강 튜브와 결합되고 타면이 지지 블록의 하면과 결합하여 지지 블록을 지탱하는 보강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상승장치{Apparatus for lifting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승강 장치로, 상세하게는 기둥의 손상 발생을 최대한 억제한 채 건물을 상승시킬 수 있는 건물 상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부 용적을 확대하거나 건물 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용이나 시간을 절감하기 위해 기존 건물을 개축하는 기술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개축의 방법 중 건물을 상승시켜 측고를 높이는 방법이 대표적이고, 건물의 측고를 높이기 위하여 기둥을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둥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린 다음 지면까지의 공간에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하고, 들어올려진 기둥을 추가된 프레임에 이어 붙여 일체로 된 기둥을 구성하여 건물을 상승시키고 건물 내부의 용적을 확대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온실의 측고를 높일 경우, 기둥을 높여 온실 내부의 수용되는 공기의 양을 늘려 완충 효과를 증대시킴으로써 외부 환경이 변화되더라도 온실 내부의 온도나 습도는 그 변동폭이 줄어드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축산업에 사용되는 건물의 경우 기둥을 높여 내부 용적을 확대하여 보다 쾌적한 내부 환경을 제공하고 수용할 수 있는 동물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일반 건물의 경우 기둥을 높여 내부에 적재할 수 있는 물품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기둥의 높이를 높여 건물을 개축할 때, 기둥을 들어올릴 때 수십 개의 기둥을 들어올리는 과정이 수반되는데 현재로서는 기둥을 파지하는 장치를 활용하여 올리게 된다. 이 때, 기둥의 하중이 상당하므로 기둥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기둥을 측면에서 강한 힘으로 파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 기존의 기둥에 손상이 가게 된다. 손상된 기둥은 건물 천장을 지지하는 힘이 부족하게 되어 건물이 무너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한국특허등록번호 KR100708284호(2007.04.1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안전사고의 우려를 잠식시킬 수 있도록 기둥의 손상 발생을 억제한 상태에서 기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건물 상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는 속이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개구부 인접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승강 튜브, 승강 튜브의 내부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 승강 튜브와 결합되어 기둥의 밑단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 승강 튜브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이 승강 튜브에 결합된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하단이 수직 프레임의 슬롯에 삽입 고정되는 승강 블록 및 안착부 상에 배치되고, 그 단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신축 운동하는 로드와 로드 일단에 결합되어 슬롯에 삽입 지지되는 삽입 블록을 포함하는 공압 펌프를 포함하고, 지지 유닛은 승강 튜브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둥의 밑단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과, 일면이 승강 튜브와 결합되고 타면이 지지 블록의 하면과 결합하여 지지 블록을 지탱하는 보강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에 의하면, 기둥 승강시 발생할 수 있는 기둥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1에 도시된 건물 상승장치의 동작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 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 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1에 도시된 건물 상승장치(100)의 동작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둥(1)에 전혀 손상을 가하지 않은 채 기둥(1)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치로,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100)는 승강 튜브(110), 수직 프레임(120), 승강 블록(130), 지지 유닛(140) 및 공압 펌프(150)를 포함한다.
승강 튜브(110)는 통 형상의 부재로 수직 프레임(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속이 비어 있는 부재이다. 도1 과 같이, 승강 튜브(110)는 사각 기둥으로 형성되어 승강 튜브(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사각형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기둥 또는 다각 기둥 등 그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등 필요에 따라 적합한 단면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승강 튜브(110)는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110a)가 형성된다. 개구부(110a)는 슬롯(120a)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120)을 노출시켜, 공압 펌프(150)의 일단에 결합된 삽입 블록(152)이 슬롯(120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강 튜브(110)는 개구부 인접면으로부터 돌출된 안착부(111)를 포함한다. 안착부(111)는 개구부(110a)보다 위쪽에 형성되어 기둥(1)을 상승시키기 위한 공압 펌프(150)를 안착시킨다.
수직 프레임(120)은 승강 튜브(110)의 안쪽에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고, 승강 블록(130)과 삽입 블록(152)이 삽입되는 슬롯(120a)이 형성된 기둥 부재이다. 슬롯(120a)은 수직 프레임(120)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슬롯(120a)은 일 예로, 그 하단이 지면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단은 지면과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승강 블록(130)과 삽입 블록(152)이 원활하게 삽입 지지 삽입될 수 있다.
승강 블록(130)은 승강 튜브(1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수직 프레임(120)의 슬롯(120a)에 삽입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블록(130)은 그 중심부가 승강 튜브(110)에 형성된 고리(132)에 축(130a) 결합되고 그 상단은 승강 튜브(110)와 탄성 부재(131)에 의해 결합되어, 결합된 축(130a)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탄성 부재(131)는 압축된 상태로 승강 튜브(110)와 승강 블록(130)에 결합되어, 승강 블록(130)의 상단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승강 블록(130)은 그 상단이 탄성 부재(131)에 의해 가압 지지되고, 하단이 수직 프레임(120)의 슬롯(120a)에 삽입되어 있다.
지지 유닛(140)은 승강 튜브(110)에 결합되어 상승시키기 위한 기둥(1)의 밑단을 지지한다. 지지 유닛(140)은 기둥(1)의 밑단을 지지함으로써 기둥(1)의 승강 과정에서 기둥(1)의 외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유닛(140)은 승강 튜브(110)의 일면으로부터 승강 튜브(1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둥의 밑단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141)과, 일면이 승강 튜브(110)와 결합되고 타면이 지지 블록(141)의 하면과 결합하여 지지 블록(141)을 지탱하는 보강 블록(142)을 포함한다. 기둥(1)의 밑단을 지지함으로써 기둥(1)의 외형에 생길 수 있는 흠집을 방지한다. 지지 블록(141)은 기둥(1)의 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판 형상을 가진다.
지지 유닛(140)은 다른 실시예로, 도 3과 같이 지지 블록(141)과 절첩 되도록 지지 블록(141)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연장 블록(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블록(143)은 힌지를 축으로 회전되어, 지지 블록(141)으로부터 연장하여 고정된다.
또한, 지지 블록(141)은 그 상면에 융기부가 형성되어 지지하고 있는 기둥(1)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융기부는 지지 블록(141)의 중심부에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 블록(141)의 상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블록(141)은 승강 튜브(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융기부가 형성된 지지 블록(141)을 기둥(1)의 형상에 맞추어 교체시킬 수 있다.
공압 펌프(150)는 기둥(1)을 상승시키는 동력원으로, 안착부 상에 배치되고 그 단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신축 운동하는 로드(151)와 로드(151) 일단에 결합된 삽입 블록(15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100)가 기둥(1)을 상승시키는 과정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건물 상승장치(100)는 작동 대기 상태로, 승강 튜브(110)의 승강 블록(130) 및 공압 펌프(150)의 삽입 블록(152)이 수직 프레임(120)의 슬롯(120a)에 삽입 지지되어 있으며, 하중은 승강 블록(130)과 삽입 블록(152)에 분배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공압 펌프(150)의 로드(151)가 단축되면, 로드(151)에 결합된 삽입 블록(152)이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삽입 블록(152)이 바로 위의 슬롯(120a)에 삽입 지지된다. 로드(151) 단축 중에는 하중이 수직 프레임(120)의 슬롯(120a)에 삽입 지지된 승강 블록(130)에 가해진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 펌프(150)의 로드(151)가 신장되면, 공압 펌프(150)에 연결된 승강 튜브(110)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승강 블록(130)이 바로 위의 슬롯(120a)에 삽입 지지된다. 로드(151) 신장 중에는 하중이 수직 프레임(120)의 슬롯(120a)에 삽입 지지된 삽입 블록(152)에 가해진다.
도 2a 내지 2c와 같이 공압 펌프(150)의 로드(151)의 1회 신축 운동에 의해 승강 튜브(110)는 하나의 슬롯(120a)만큼 상승하게 되고, 이로써 승강 튜브(110)가 지지하고 있는 기둥(1) 또한 하나의 슬롯(120a)만큼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100)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상승장치(100)는 기둥(1)을 고정시킬 수 있는 진공 펌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펌프(160)는 승강 튜브(110)에 형성된 흡입공(110b)에 관으로 연결되어, 기둥(1)이 승강 튜브(110)에 흡착되게 한다. 또한, 진공 펌프(160)는 지지 블록(141)에 형성된 흡입공(141b)에 관으로 연결되어, 기둥(1)이 지지 블록(141)에 흡착되게 한다. 여기서, 승강 튜브(110)에 형성된 흡입공(110b)과 지지 블록(141)에 형성된 흡입공(141b)은 기둥(1)을 안정적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건물 상승장치(100)는 승강 튜브(110)에 형성된 흡입공(110b)과 지지 블록(141)에 형성된 흡입공(141b) 상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기둥(1) 흡착시 충격을 완화하여 기둥(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기둥, 100: 건물 상승장치,
110: 승강 튜브, 120: 수직 프레임,
130: 승강 블록, 140: 지지 유닛,
150: 공압 펌프, 160: 진공 펌프

Claims (3)

  1. 속이 비어 있는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개구부 인접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승강 튜브;
    승강 튜브의 내부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
    승강 튜브와 결합되어 기둥의 밑단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
    승강 튜브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이 승강 튜브에 결합된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하단이 수직 프레임의 슬롯에 삽입 고정되는 승강 블록; 및
    안착부 상에 배치되고, 그 단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신축 운동하는 로드와 로드 일단에 결합되어 슬롯에 삽입 지지되는 삽입 블록을 포함하는 공압 펌프를 포함하고,
    지지 유닛은 승강 튜브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둥의 밑단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과, 일면이 승강 튜브와 결합되고 타면이 지지 블록의 하면과 결합하여 지지 블록을 지탱하는 보강 블록과, 지지 블록과 절첩 되도록 지지 블록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연장 블록을 포함하고,
    연장 블록은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여 지지 블록으로부터 연장하여 고정되는 건물 상승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승강 튜브에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고,
    흡입공에 연결된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하는 건물 상승장치.
KR1020220042600A 2022-04-06 2022-04-06 건물 상승장치 KR102481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00A KR102481375B1 (ko) 2022-04-06 2022-04-06 건물 상승장치
KR1020220161524A KR20230143914A (ko) 2022-04-06 2022-11-28 온실, 축사 및 건물 기둥 상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00A KR102481375B1 (ko) 2022-04-06 2022-04-06 건물 상승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524A Division KR20230143914A (ko) 2022-04-06 2022-11-28 온실, 축사 및 건물 기둥 상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375B1 true KR102481375B1 (ko) 2022-12-27

Family

ID=845682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600A KR102481375B1 (ko) 2022-04-06 2022-04-06 건물 상승장치
KR1020220161524A KR20230143914A (ko) 2022-04-06 2022-11-28 온실, 축사 및 건물 기둥 상승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524A KR20230143914A (ko) 2022-04-06 2022-11-28 온실, 축사 및 건물 기둥 상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13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84B1 (ko) 2006-09-08 2007-04-16 최성주 온실 지주대 상승방법
KR20130015757A (ko) * 2011-08-04 2013-02-14 김정남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KR20140042357A (ko) * 2012-09-28 2014-04-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실 기둥 상승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284B1 (ko) 2006-09-08 2007-04-16 최성주 온실 지주대 상승방법
KR20130015757A (ko) * 2011-08-04 2013-02-14 김정남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KR20140042357A (ko) * 2012-09-28 2014-04-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실 기둥 상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914A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03041B2 (en) Canopy Frame
KR102481375B1 (ko) 건물 상승장치
JP2593349B2 (ja) クレーン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303407B1 (ko) 크랭크 핀 베어링 조립용 지그
CN213686076U (zh) 一种可折叠式支腿结构
CN211846432U (zh) 一种库内可折叠的支撑平台装置
JP2618171B2 (ja) 伸縮支柱
KR102401193B1 (ko) 휴대용 공조 리프트
JP3002079B2 (ja) 伸縮式タワー
JPH05329068A (ja) 壁面昇降装置
KR101142756B1 (ko)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지지 및 승하강장치
CN217173073U (zh) 一种随车起重机支腿油缸保护装置
CN220950861U (zh) 一种建筑施工预制件吊装辅助装置
CN213927625U (zh) 一种支撑梁体防倾斜加固建筑结构
JP2002357006A (ja) プール等の可動床装置
CN215670914U (zh) 一种建筑机电工程装配式安装装置
JP4352219B2 (ja) クレーン装置
KR200495135Y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CN107724648B (zh) 建筑机器人折叠主架
KR200484246Y1 (ko) 접고 펴기가 자유로운 천막틀
JP2553682Y2 (ja) プール床の昇降装置
JP2758299B2 (ja) 伸縮装置
JPH0617544A (ja) 仮設機械の荷重を受ける梁の自動補強装置
JPH11117281A (ja) 基礎工事用機械におけるケーシングの振れ止め装置
JP3185016B2 (ja) 構造物の昇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