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193B1 - 휴대용 공조 리프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공조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193B1
KR102401193B1 KR1020210162160A KR20210162160A KR102401193B1 KR 102401193 B1 KR102401193 B1 KR 102401193B1 KR 1020210162160 A KR1020210162160 A KR 1020210162160A KR 20210162160 A KR20210162160 A KR 20210162160A KR 102401193 B1 KR102401193 B1 KR 102401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coupled
motor
wir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재
Original Assignee
오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재 filed Critical 오승재
Priority to KR1020210162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휴대용 공조 리프트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제1관체와, 상기 제1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관체, 상기 제2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3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관체 내지 제3관체가 순차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 작동되어 길이가 변경되는 지주부; 상기 제1관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연결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권취되며 단부가 상기 제3관체에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제1관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제1풀리와, 제1관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제2풀리; 제2관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와이어가 권취된 제3풀리와, 제3관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와이어가 권취된 제4풀리와, 상기 모터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여 상승 또는 하강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동력부; 상기 제1관체의 상부 외주면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외향 절첩되는 복수의 다리와, 제1관체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복수의 다리를 각기 연결하는 로드를 구비한 받침다리부; 상기 지주부의 제3관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을 구비한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공조 리프트{Portable air conditioning lift}
본 발명은 휴대용 공조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작업자가 각종 중량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휴대용 공조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는 건축자재, 실외기 또는 태양광 전지 등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리프트가 사용되고 있지만, 중량이 있는 물건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견고해야하고, 안정적으로 물건을 옮겨야한다.
하지만, 안정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지니는 물건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리프트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6-0137880호「휴대용 리프트」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는 복수의 리프트유닛들 및 상기 리프트유닛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유닛들은 외부 리프트유닛 및 내부 리프트유닛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휴대가 불편하여 가정이나 공장 등의 작은 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6-013788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정이나 공조기 설치 등의 작은 규모의 현장에서 고중량의 물건을 들어 옮길 수 있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전개 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과도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는 휴대용 공조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제1관체와, 상기 제1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관체, 상기 제2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3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관체 내지 제3관체가 순차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 작동되어 길이가 변경되는 지주부; 상기 제1관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연결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권취되며 단부가 상기 제3관체에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제1관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제1풀리와, 제1관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제2풀리; 제2관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와이어가 권취된 제3풀리와, 제3관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와이어가 권취된 제4풀리와, 상기 모터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여 상승 또는 하강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동력부; 상기 제1관체의 상부 외주면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외향 절첩되는 복수의 다리와, 제1관체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복수의 다리를 각기 연결하는 로드를 구비한 받침다리부; 상기 지주부의 제3관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을 구비한 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조 리프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의 상판은 다수의 판넬이 경첩으로 힌지 결합되어 절첩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제3관체에 결합되는 끼움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관의 측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관체는 와이어의 단부가 관통결합되는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와 드럼이 내장되는 모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케이스에는 비상시 눌러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버튼이 형성되고, 모터케이스의 일측에 상기 드럼의 축과 연결되는 수동샤프트가 형성되며, 상기 수동샤프트에 결합되는 수동조작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다리부의 다리의 하단에 바퀴가 형성되고, 모터케이스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끌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는 외관체와, 상기 외관체의 내부에 끼움결합된 내관체로 구성되어 내관체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 길이를 조절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상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 프레임,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탑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저 프레임을 포함하는 승강 프레임 조립체; 상기 탑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는 적재 테이블;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압축 스프링;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탑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의 무게에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탑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압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이나 공조기 설치 등의 작은 규모의 현장에서 고중량의 물건을 들어 옮길 수 있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전개 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과도한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조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조 리프트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조 리프트에서 와이어의 후크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조 리프트의 거치부의 상판과 지주부의 제3관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조 리프트에서 비상정지버튼 및 수동조작핸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는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테이블 결합부'와 '회전 축부'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는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적재 테이블'을 나타낸 평면도,
도 9은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제1 가이드 유닛', '제2 가이드 유닛' 및 '진동 감쇠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완충 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측벽부와 탑 프레임 사이에 제2 가이드 볼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탄성 회전 지지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조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조 리프트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와이어의 후크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조 리프트의 거치부의 상판과 지주부의 제3관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비상정지버튼 및 수동조작핸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는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테이블 결합부'와 '회전 축부'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는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적재 테이블'을 나타낸 평면도, 도 9은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제1 가이드 유닛', '제2 가이드 유닛' 및 '진동 감쇠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완충 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측벽부와 탑 프레임 사이에 제2 가이드 볼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상기 도 6의 이동수단에서 탄성 회전 지지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공조 리프트는, 크게 지주부(2), 동력부(4), 받침다리부(5), 거치부(6)를 포함한다.
지주부(2)는 다수개의 관체를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결합되어 인출 또는 인입작동을 함으로써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는 작동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지주부(2)는 3개의 관체로 구성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일뿐이면 관체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음을 밝혀두며 관체의 갯수 증감의 실시예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2)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제1관체(21)와, 상기 제1관체(21)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관체(22), 상기 제2관체(22)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3관체(23)로 구성되며, 상기 제1관체(21) 내지 제3관체(23)가 순차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 작동되어 길이가 변경된다.
동력부(4)는, 제1관체(21)의 일측에 부착되는 모터(42)와, 모터(42)의 축에 연결된 드럼(44)과, 상기 드럼(44)에 권취되며 단부가 상기 제3관체(23)에 고정된 와이어(46)와, 상기 제1관체(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46)가 권취된 제1풀리(P1)와, 제1관체(21)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46)가 권취된 제2풀리(P2)와, 제2관체(22)의 상부에 결합되며 와이어(46)가 권취된 제3풀리(P3)와, 제3관체(23)의 하부에 결합되며 와이어(46)가 권취된 제4풀리(P4)와, 상기 모터(42)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여 상승 또는 하강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관체(21) 및 제2관체(22)는 제1풀리(P1), 제2풀리(P2), 제3풀리(P3)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직의 절개홈(P0)이 외주면에 각기 형성된다.
받침다리부(5)는 상기 제1관체(21)의 상부 외주면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외향 절첩되는 복수의 다리(52)와, 제1관체(21)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부재(54)와, 상기 링부재(54)의 외주면과 상기 복수의 다리(52)를 각기 연결하는 로드(56)를 구비한다.
거치부(6)는 지주부(2)의 제3관체(23)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62)을 구비한다.
거치부(6)의 상판(62)은 다수의 판넬(621)이 경첩으로 힌지 결합되어 절첩되며, 상기 상판(62)의 하부에는 제3관체(23)에 결합되는 끼움관(64)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관(64)의 측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구(642)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임구(642)를 풀어 거치부(6)를 지주부(2)와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고, 상판의 각 판넬(621)이 중첩되게 접힘으로써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관체(23)는 와이어(46)의 단부가 관통결합되는 걸이공(230)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46)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465)를 포함한다.
따라서 걸이공(230)을 관통하여 와이어(46)를 삽입한 후 타단에 후크(465)를 걸어 와이어(46)를 걸이줌으로써 체결이 완료될 수 있고, 와이어(46)를 해체하기도 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42)와 드럼(44)이 내장되는 모터케이스(42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케이스(420)에는 비상시 눌러 모터(42)를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버튼(422)이 형성된다.
또한 모터케이스(420)의 일측에 상기 드럼(44)의 축과 연결되는 수동샤프트가 형성되며, 상기 수동샤프트에 결합되는 수동조작핸들(424)을 포함한다.
비상 상황 발생으로 인해 모터(4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일정 구간 지주부(2)의 높이를 올리거나 내릴 필요가 있을 경우 수동조작핸들(424)을 수동샤프트에 결합시킨 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드럼(44)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와이어(46)를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주부(2)의 높이를 올리거나 내리는 수동 조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부(5)의 다리(52)의 하단에 바퀴(5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모터케이스(420)에 손잡이(426)가 형성되어 끌고 이동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다리(52)를 접은 후 손잡이(426)를 잡고 일측으로 기울여서 바퀴(53)를 이용하여 끌고다닐 수 있다.
또한 다리(52)는 외관체(522)와, 상기 외관체(522)의 내부에 끼움결합된 내관체(524)로 구성되어 내관체(524)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 길이를 조절토록 한 것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내관체(524)를 인출시킴으로써 다리(52)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으므로 높이를 다 높게 설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3관체(23)는 상단부에 수평계(236)가 장착될 수 있다. 지주부(2)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받침다리부(5)를 전개시켜 지면에 고정시킨 후 수평계(236)를 이용하여 수평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거치부(6)는, 거치부(6)의 상판(62)의 상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01); 베이스 프레임(101)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 프레임(BF), 바텀 프레임(BF)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프레임(TF) 및 바텀 프레임(BF)과 탑 프레임(TF)을 연결하고, 바텀 프레임(BF)과 탑 프레임(TF)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탑 프레임(TF)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저 프레임(SF)을 포함하는 승강 프레임 조립체(102); 탑 프레임(TF)의 상면에 결합되는 적재 테이블(103); 탑 프레임(TF)과 베이스 프레임(101)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적재 테이블(10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압축 스프링(104); 탑 프레임(TF)과 베이스 프레임(101)을 연결하고, 탑 프레임(TF)에 가해지는 하중의 무게에 따라 신축되면서 탑 프레임(TF)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압 댐퍼(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재 테이블(103)은, 원판 형태의 본체부(BM); 상기 본체부(BM)의 저면 중앙에 배치되고, 탑 프레임(TF)의 상측 중앙에 배치된 테이블 결합부(TF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부(RS)와, 본체부(BM)의 저면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탑 프레임(TF)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향 배치되는 측벽부(SW)를 포함한다.
승강 프레임 조립체(102)는, 테이블 결합부(TF1)와 회전 축부(RS)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 축부(RS)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 지지 베어링(TSB); 회전 축부(RS)의 하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1 볼 홈(RS1)에 일부분이 수용되고, 회전 축부(RS)의 하면과 마주하는 탑 프레임(TF)의 상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2 볼 홈(TF2)에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어, 회전 축부(RS)의 회전 시 구름운동을 수행하면서 회전 축부(RS)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볼(GB1)을 포함한다.
본체부(BM)는, 물품이 안착되는 상판(BM1); 상기 상판(BM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BM2); 상판(BM1)과 하판(BM2)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판(BM1)에 안착되는 제1 가이드 유닛(BM3); 본체부(BM)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 유닛(BM3)으로부터 이격되어 상판(BM1)과 하판(BM2)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판(BM1)에 안착되어 상판(BM1)의 상면 상에서 이동 중인 물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 유닛(BM4); 제1 가이드 유닛(BM3)과 제2 가이드 유닛(BM4)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판(BM1) 및 하판(BM2)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탄성체 재질의 진동 감쇠 부재(BM5); 원주방향을 따라 진동 감쇠 부재들(BM5)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판(BM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 실린더(BM6)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유닛(BM3) 및 제2 가이드 유닛(BM4)은, 상판(BM1)과 하판(BM2) 사이에 배치되는 볼 케이지(BC); 볼 케이지(BC)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상판(BM1)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 중인 물품에 접촉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물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물품 가이드 볼(PGB)을 포함한다.
완충 실린더(BM6)는, 하판(BM2)에 배치되는 완충 본체(SAB); 완충 본체(SAB)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판(BM1)을 지지하는 완충 로드(SAL); 완충 본체(SAB)에 수용되어 완충 로드(SAL)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SAS)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지주부 4 : 동력부
5 : 받침다리부 21 : 제1관체
22 : 제2관체 23 : 제3관체
42 : 모터 44 : 드럼
46 : 와이어 52 : 다리
54 : 링부재 56 : 로드

Claims (3)

  1.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중공을 갖는 제1관체와, 상기 제1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관체, 상기 제2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3관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관체, 제2관체, 제3관체가 순차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 작동되어 길이가 변경되는 지주부;
    상기 제1관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모터와, 모터의 축에 연결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권취되며 단부가 상기 제3관체에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제1관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제1풀리와, 제1관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제2풀리와, 제2관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와이어가 권취된 제3풀리와, 제3관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와이어가 권취된 제4풀리와, 상기 모터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여 상승 또는 하강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동력부;
    상기 제1관체의 상부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어 절첩되는 복수의 다리와, 제1관체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복수의 다리를 각기 연결하는 로드를 구비한 받침다리부;
    상기 지주부의 제3관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을 구비한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모터와 드럼이 내장되는 모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케이스에는 비상시 눌러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버튼이 형성되고,
    모터케이스의 일측에 상기 드럼의 축과 연결되는 수동샤프트가 형성되며,
    상기 수동샤프트에 결합되는 수동조작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다리부의 다리의 하단에 바퀴가 형성되고, 모터케이스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끌고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다리는 외관체와, 상기 외관체의 내부에 끼움결합된 내관체로 구성되어 내관체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 길이를 조절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조 리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상판은 다수의 판넬이 경첩으로 힌지 결합되어 절첩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제3관체에 결합되는 끼움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관의 측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조 리프트.
  3. 삭제
KR1020210162160A 2021-11-23 2021-11-23 휴대용 공조 리프트 KR102401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60A KR102401193B1 (ko) 2021-11-23 2021-11-23 휴대용 공조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60A KR102401193B1 (ko) 2021-11-23 2021-11-23 휴대용 공조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193B1 true KR102401193B1 (ko) 2022-05-23

Family

ID=8180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160A KR102401193B1 (ko) 2021-11-23 2021-11-23 휴대용 공조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1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80U (ja) * 1992-09-14 1994-04-12 松本金属株式会社 物品昇降機
JPH07293002A (ja) * 1994-04-22 1995-11-07 Mitsuo Sasaki 昇降式移動組立型枠機
KR0118359Y1 (ko) * 1994-10-20 1998-06-01 췬-퍄오 황 앤디 이동 승강기구
KR20100078235A (ko) * 2008-12-30 2010-07-08 김민하 고소용 작업대
KR20160137880A (ko) 2015-05-23 2016-12-01 정영훈 탈부착이 용이한 슬리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80U (ja) * 1992-09-14 1994-04-12 松本金属株式会社 物品昇降機
JPH07293002A (ja) * 1994-04-22 1995-11-07 Mitsuo Sasaki 昇降式移動組立型枠機
KR0118359Y1 (ko) * 1994-10-20 1998-06-01 췬-퍄오 황 앤디 이동 승강기구
KR20100078235A (ko) * 2008-12-30 2010-07-08 김민하 고소용 작업대
KR20160137880A (ko) 2015-05-23 2016-12-01 정영훈 탈부착이 용이한 슬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1276B2 (ja) 真空チューブ昇降装置及び該真空チューブ昇降装置による荷物の移動のための方法
WO2021249389A1 (zh) 升降装置及抹灰设备
WO2018223448A1 (zh) 一种升降机构
KR101266851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 작업용 보조 기중기
KR102401193B1 (ko) 휴대용 공조 리프트
JP4791790B2 (ja) 自動復帰、又は自動折畳できる昇降式の防霜ファン装置
US11698162B2 (en) Rotation bracket
JP2010084367A (ja) 高所作業台
KR200497469Y1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JP2005082352A (ja) タワークレーン
JP2020016375A (ja) エアコンシステム
CN109707147B (zh) 外墙承载平台
KR200481530Y1 (ko) 실외기 승강기
KR20220095550A (ko) 물건 승하강 장치
CN210598249U (zh) 一种具有装载装置的移动房
WO2013016951A1 (zh) 一种高度可调的能整体运输的房屋及其高度调节方法
CN220811786U (zh) 建筑施工升降机
JP2002310473A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の設置工法及び該工法に使用する揚重機
CN213059818U (zh) 吸盘装置
JPH03267470A (ja) 板状体の施工装置及び施工方法
CN213742645U (zh) 一种展示蓬铝制支撑杆件
CN214064006U (zh) 一种方便安装的抗震支架
CN202609857U (zh) 手摇式吊物机
JP2017095259A (ja) 伸縮機構
CN219863971U (zh) 房建施工悬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