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228B1 -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228B1
KR102481228B1 KR1020220008230A KR20220008230A KR102481228B1 KR 102481228 B1 KR102481228 B1 KR 102481228B1 KR 1020220008230 A KR1020220008230 A KR 1020220008230A KR 20220008230 A KR20220008230 A KR 20220008230A KR 102481228 B1 KR102481228 B1 KR 10248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isposed
rear side
automatic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명
Original Assignee
주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명 filed Critical 주현명
Priority to KR102022000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복이 탈피되는 대상물인 케이블이 권취되어 준비되는 케이블권취드럼; 상기 케이블의 이송경로에 위치되는 정렬롤러가 2 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접촉되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정렬되는 케이블정렬기; 상기 케이블의 이송경로상 상기 케이블정렬기의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원형롤러가 상하 교번배치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방향으로 열풍이 토출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연화롤러는 상기 케이블의 외측이 가압되도록 회전동작되는 피복연화기; 상기 피복연화기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배치유/무 여부가 확인되는 케이블감지부; 상기 케이블감지부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송되는 경로에 형성되는 처짐방지클램프; 상기 처짐방지클램프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기어로 회전되는 벨트가 상하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케이블고정관; 및 상기 케이블고정관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피복이 절단되는 피복절단날과 상기 케이블의 일측을 완전 절단하는 케이블절단날이 구비되는 케이블절단; 를 포함하고 상기 연화롤러는 외주면에 부분 구체형태로 돌출된 형태로 복수개의 연화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연화돌기를 모두 경유하도록 배치되고 내측에 발열되어 케이블로 열이 전달되는 열선; 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연화기는 상기 연화롤러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3개의 부분이 접촉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Stripping device for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의 피복을 자동으로 탈피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전기 또는 빛을 전달하기 위한 내부의 금속선 또는 광섬유와 이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피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은 전기 및 통신분야 기술이 빠르게 발달함에 따라 교체 및 폐기되는 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은 사용이나 폐기시 피복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 작업에 있어서 걸리는 시간이 상당하게 된다.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칼을 이용하였는데, 이 경우 케이블의 피복에 칼이 삽입되는 깊이가 일정하지 않아 피복을 제거하는 도중 피복 내부의 전선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그리고, 케이블의 굵기가 굵어질수록 작업자가 직접 칼을 이용하여 피복을 제거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겨울철에는 수지 재질의 피복이 추위에 딱딱하게 굳어 피복제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할 수 있는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2281305호(2021.07.19.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작업으로 피복을 분리하는 작업을 대체하여 자동으로 피복을 제거할 수 있는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복이 탈피되는 대상물인 케이블이 권취되어 준비되는 케이블권취드럼; 상기 케이블의 이송경로에 위치되는 정렬롤러가 2 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접촉되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정렬되는 케이블정렬기; 상기 케이블의 이송경로상 상기 케이블정렬기의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원형롤러가 상하 교번배치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방향으로 열풍이 토출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연화롤러는 상기 케이블의 외측이 가압되도록 회전동작되는 피복연화기; 상기 피복연화기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배치유/무 여부가 확인되는 케이블감지부; 상기 케이블감지부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송되는 경로에 형성되는 처짐방지클램프; 상기 처짐방지클램프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기어로 회전되는 벨트가 상하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케이블고정관; 및 상기 케이블고정관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피복이 절단되는 피복절단날과 상기 케이블의 일측을 완전 절단하는 케이블절단날이 구비되는 케이블절단부; 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는 피복연화기가 구비되어 손상된 케이블이나 낮은 온도에서 고무의 경화로 인해 피복탈피 과정에서 불량품 발생률이 저감된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정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연화기가 배치를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피복연화기의 연화롤러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복이 탈피되는 케이블이 권취되어 준비되는 케이블권취드럼(100)과, 케이블의 이송경로에 위치되어 두 개의 정렬롤러(213, 214)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두 쌍의 정렬롤러(213, 214)로 형성되는 케이블정렬기(200)와, 케이블정렬기(2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원형롤러가 상하 교번 배치되는 가이드롤러(300)와, 가이드롤러(3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케이블(C)의 방향으로 열풍이 토출되는 가열기(400)와, 가열기(4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연화롤러(510)가 구비되어 회전동작되어 케이블(C)의 외측이 가압되는 피복연화기(500)와, 이송경로상 피복연화기(500)의 후측에 배치되어 케이블(C)의 배치유/무 여부가 확인되는 케이블감지부(600)와, 케이블감지부(6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케이블(C)의 직경에 대응되는 홀이 복수개 형성되는 처짐방지클램프(700)와, 처짐방지클램프(7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기어로 회전되는 벨트가 형성되는 이송벨트(800)와, 이송벨트(8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케이블(C)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케이블이송관(900) 및 케이블이송관(9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케이블(C)의 피복이 절단되는 피복절단날(1010)과 케이블(C)의 일측을 완전 절단하는 케이블절단날(120)이 구비되는 케이블절단부(1000); 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가열기(400) 및 피복연화기(500)를 통해 케이블의 형상을 균일하게 하여 균일하게 탈피될 수 있도록 하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케이블권취드럼(1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권취드럼(100)은 피복탈피대상 케이블(C)이 권취된 드럼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권취드럼(100)에 권취된 케이블(C)은 10SQ ~ 150SQ의 케이블이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권취드럼(100)은 하부에 회전모터가 구비되어 케이블(C)의 권취 및 권출동작이 자동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C)이 절단위치와 피복탈피위치에 대응위치에 케이블절단부(1000)가 접촉되도록 전/후방 움직임이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정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케이블 정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정렬기(200)는 케이블권취드럼(100)에서 권출되는 케이블(C)을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롤러를 이용하여 정렬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정렬기(200)는 정렬기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기케이스(210)는 케이블절렬기(2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케이블의 이송방향이 결정되도록 접촉되는 롤러가 결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정렬기케이스(210)는 한 쌍의 'C’형 단부(211)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끝단이 수평단부(212)에 의해 연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정렬기케이스(210)는 ‘C’형 단부(211)의 중심부분에 수평간격조절홈(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간격조절홈(211a)은 상하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홀이 될 수 있다. 또한, 수평간격조절홈(211a)은 ‘C’형 단부(211)의 중심부분에 상하로 소정 이격되어 2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렬기케이스(210)는 수평단부(212)에 수직간격조절홈(212a)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간격조절홈(212a)은 수평간격조절홈(211a)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홀이 될 수 있다. 또한, 수직간격조절홈(212a)은 수평단부(212)의 중심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이격되어 2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렬기케이스(210)는 수평롤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롤러(213)는 수평간격조절홈(211a)에 양끝이 고정되어 위치되는 롤러가 될 수 있다. 또한, 수평롤러(213)는 수평간격조절홈(211a)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2 개의 수평간격조절홈(211a)에 결합되도록 2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2 개의 수평롤러(213)는 케이블(C)의 직경보다 소정 큰 길이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롤러(213)를 지나는 케이블(C)은 일정한 수직위치가 결정되어 권출될 수 있다.
또한, 정렬기케이스(210)는 수직롤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롤러(214)는 수직간격조절홈(212a)에 양끝이 고정되어 위치되는 롤러가 될 수 있다. 또한, 수직롤러(214)는 수직간격조절홈(212a)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2 개의 수직간격조절홈(212a)에 결합되도록 2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2 개의 수직롤러(214)는 케이블(C)의 직경보다 소정 큰 길이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롤러(214)를 지나는 케이블(C)은 일정한 수평위치가 결정된 방향으로 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300)는 케이블정렬기(200)를 통과하며 개략적인 권출위치가 결정된 케이블(C)의 권출방향의 일정한 방향이 정해질 수 있도록 유도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롤러(300)는 복수개의 롤러가 상하 교번배치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300)에 배치된 롤러는 길이방향 중심부분으로 향할 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롤러(300)는 중심부분 위치로 케이블(C)이 권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가열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기(400)는 케이블(C) 방향으로 열풍이 토출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가열기(4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케이블(C)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케이블(C)의 피복이 연화될 수 있는 온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되는 케이블(C)의 피복은 연화되어 형태변화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피복연화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복연화기(500)는 복수개의 연화롤러(510)가 케이블(C)의 이송경로의 상하로 배치된 형태가 될 수 있다. 피복연화기(500)는 케이블(C)의 외주면을 접촉 및 가압하도록 동작되어 생산과정이나 이송과정에서 변형된 케이블(C)의 형태가 원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복연화기(500)에 형성된 연화롤러(510)의 배치는 케이블(C)의 상하로 배치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는 피복연화기(500)가 배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피복연화기(500)는 연화롤러(510)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복연화기(500)를 거치는 케이블(C)은 3 개의 부분이 접촉되는 형태로 권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피복연화기의 연화롤러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복연화기(500)에 형성되는 연화롤러(510)는 연화돌기(511)가 원통의 회전축(512)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화돌기(511)는 부분구체형태로 형성되어 연화롤러(510)의 회전축(512)에서 돌출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연화돌기(511)는 내측에 열선(513)이 배치될 수 있다. 열선(513)은 연화돌기(511)에 열이 전달되도록 발열되는 선이 될 수 있다. 또한, 열선(513)은 복수개의 연화돌기(511)가 모두 경유되는 경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화돌기(511)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가압시 케이블(C)의 피복의 연화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케이블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감지부(600)는 탈피대상 케이블(C)의 공급이 지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감지부(600)는 포토센서가 구비되어 감지여부에 따라 케이블자동피복탈피장치의 작동을 중단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감지부(600)는 케이블감지부하우징(6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감지부하우징(610)은 2 개의 하우징단부(611)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감지부하우징(610)은 2 개의 하우징단부(611)를 관통한 형태의 케이블이송홀(611a)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이송홀(611a)은 피복 탈피 대상 케이블(C)이 이송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감지부(600)는 감지센서(62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620)는 케이블감지부하우징(6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센서(620)는 두 개의 하우징단부(611)의 하측 각각 구비되어 서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센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센서(620)는 사이에 물체가 감지될 경우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감지부(600)는 케이블감지폴(63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감지폴(630)은 두 개의 하우징단부(611)의 상측에 힌지구조로 연결된 기둥형태의 단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감지폴(630)은 탈피작업을 위해 케이블(C)이 케이블이송홀(611a)을 통해 이송되는 경우 회전되어 케이블(C)의 일측과 접촉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 케이블이송홀(611a)을 통해 이송되는 케이블(C)이 없을 경우, 케이블감지폴(630)은 감지센서(620)의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센서(620)는 케이블감지폴(630)을 감지하여 케이블자동피복탈피장치를 정지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처짐방지클램프(700)를 포함할 수 있다. 처짐방지클램프(700)는 케이블감지폴(630)에서 케이블(C)의 이송경로 상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처짐방지클램프(700)는 연화과정이 진행된 케이블(C)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경로의 중간에 배치되는 클램프가 될 수 있다. 처짐방지클램프(700)는 원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처짐방지클램프(700)는 중심에 회전축이 형성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태의 처짐방지클램프(700)는 밑면부분에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케이블홀(700a)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홀(700a)은 케이블(C)이 이송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홀(700a)은 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홀이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홀(700a)은 복수개가 균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케이블홀(700a)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어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태의 처짐방지클램프(700)는 외주면에 고정홀(700b)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700b)은 일측에 구비된 인덱스플런저(Index plungers)의 끝단의 잠금핀이 삽입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짐방지클램프(700)의 회전은 인덱스플런저와 같은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짐방지클램프(700)는 케이블(C)의 직경에 맞는 맞는 케이블홀(700a)이 이송경로에 대응되어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이송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벨트(800)는 복수개의 기어의 회전으로 동작되는 벨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벨트(800)는 상부벨트(810) 및 하부벨트(820)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벨트(810) 및 하부벨트(820)는 동작 시 케이블(C)과 접촉되도록 케이블(C)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상부벨트(810)는 케이블(C)방향으로 하강이동되고 하부벨트(820)는 케이블(C)방향으로 상승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된 이송벨트(800)는 회전되어 케이블(C)의 전 후방 움직임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케이블고정관(9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고정관(900)은 케이블(C)이 진입되는 부분의 크기는 크게 형성되고 배출되는 부분의 크기는 작게형성된 관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고정관(900)은 배출되는 부분이 소정길이로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고정관(900)은 일측이 이송가능하게 형성된 블럭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고정관(900)은 블럭의 움직임을 통해 케이블(C)이 절단 및 피복 탈피부분의 주변부분을 고정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는 케이블절단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절단부(1000)는 케이블(C)을 절단 또는 피복의 탈피를 위한 절단날이 구비된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절단부(1000)는 피복분리날(1010) 및 절단커터날(10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피복분리날(1010)은 상하 반전 형성된 'U'형태의 날이 될 수 있으며, 절단커터날(1020)은 상하 반전 형성된'V'형태의 날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절단부(1000)는 피복분리날(1010)과 절단커터날(1020)이 서로 접촉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절단부(1000)는 케이블자동피복탈피장치의 내부와 외부로 이동되며, 피복분리날(1010)과 절단커터날(1020)이 필요에 따라 케이블(C)에 접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는 피복연화기가 구비되어 손상된 케이블이나 낮은 온도에서 고무의 경화로 인해 피복탈피 과정에서 불량품이 발생되는 확률이 저감된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케이블권취드럼 200 : 케이블정렬기
300 : 가이드롤러 400 : 가열기
500 : 피복연화기 600 : 케이블감지부
700 : 처짐방지클램프 800 : 이송벨트
900 : 케이블고정관 1000 : 케이블절단부
1010 : 피복절단날 10320 : 케이블절단날
C : 케이블

Claims (5)

  1. 피복이 탈피되는 대상물인 케이블(C)이 권취되어 준비되는 케이블권취드럼(100);
    상기 케이블(C)의 이송경로에 위치되는 정렬롤러(213, 214)가 2 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C)이 접촉되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정렬되는 케이블정렬기(200);
    상기 케이블(C)의 이송경로상 상기 케이블정렬기(200)의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원형롤러가 상하 교번배치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롤러(300);
    상기 가이드롤러(300)의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C)의 방향으로 열풍이 토출되는 가열기(400);
    상기 가열기(4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연화롤러(510)는 상기 케이블(C)의 외측이 가압되도록 회전동작되는 피복연화기(500);
    상기 피복연화기(5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C)의 배치유/무 여부가 확인되는 케이블감지부(600);
    상기 케이블감지부(6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C)의 이송되는 경로에 형성되는 처짐방지클램프(700);
    상기 처짐방지클램프(7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기어로 회전되는 벨트가 상하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이송벨트(800);
    상기 이송벨트(8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상기 케이블(C)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케이블고정관(900); 및
    상기 케이블고정관(900)의 이송경로상 후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C)의 피복이 절단되는 피복절단날(1010)과 상기 케이블(C)의 일측을 완전 절단하는 케이블절단날(1020)이 구비되는 케이블절단부(1000); 를 포함하고
    상기 연화롤러(510)는
    외주면에 부분 구체형태로 돌출된 형태로 복수개의 연화돌기(511)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연화돌기(511)를 모두 경유하도록 배치되고 내측에 발열되어 케이블(C)로 열이 전달되는 열선(513); 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연화기는
    상기 연화롤러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C)의 3개의 부분이 접촉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감지부(600)는
    2 개로 형성되어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우징단부(611)가 형성되는 케이블감지부하우징(610);
    상기 하우징단부(611)의 하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배치되어 사이에 물체가 감지될 경우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의 작동을 정지 하게 되는 감지센서(620); 및
    상기 하우징단부(611)의 상측에 힌지구조로 연결된 기둥형태의 단부로 형성되어 케이블(C)의 일측에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케이블감지폴(630); 을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정렬기(200)는
    외관이 형성되고 롤러가 결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정렬기케이스(210); 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기케이스(210)는
    상하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소정 간격이격되어 2 개가 형성되는 수평간격조절홈(211a)이 형성되고 2 개가 대칭으로 배치되는 'C'형 단부(211); 및
    상기 수평간격조절홈(211a)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홈이 2개 형성되고 상기 2 개의 'C'형 단부(211)의 끝단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수평단부(212)를 포함하는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클램프(700)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밑면부분에 상기 케이블(C)의 직경에 대응되어 서로 크기가 상이한 복수개의 케이블홀(700a)이 균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장치.
KR1020220008230A 2022-01-20 2022-01-20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KR102481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230A KR102481228B1 (ko) 2022-01-20 2022-01-20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230A KR102481228B1 (ko) 2022-01-20 2022-01-20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228B1 true KR102481228B1 (ko) 2022-12-26

Family

ID=8454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230A KR102481228B1 (ko) 2022-01-20 2022-01-20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2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7913A (zh) * 2023-11-29 2023-12-29 山东无棣海丰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生产用电缆剥皮机
CN117856113A (zh) * 2024-03-06 2024-04-09 合肥市直机关电力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室电缆敷设装置及其敷设方法
CN117856113B (zh) * 2024-03-06 2024-05-14 合肥市直机关电力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室电缆敷设装置及其敷设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5135A (ja) * 1995-08-11 1997-02-25 Shuji Yoshihara 電線の芯線と被覆材を分離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40087232A (ko) * 2003-04-04 2004-10-13 김형철 전선 절단 탈피 인쇄장치
KR101656023B1 (ko) * 2016-03-31 2016-09-22 주식회사 비아이티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KR101943645B1 (ko) * 2018-08-22 2019-01-29 유재기 전선 피복 제거 장치
KR102000289B1 (ko) * 2018-12-22 2019-07-15 진영글로벌 주식회사 전선 피복 탈피 장치
JP2020188677A (ja) * 2019-05-16 2020-11-19 コマツクス・ホールデイング・アー・ゲー ケーブルの内部導体から絶縁体を除去する方法およびストリッピング装置
KR20210051010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영신전기 전선피복 분리 및 압착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피복 분리 및 압착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5135A (ja) * 1995-08-11 1997-02-25 Shuji Yoshihara 電線の芯線と被覆材を分離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40087232A (ko) * 2003-04-04 2004-10-13 김형철 전선 절단 탈피 인쇄장치
KR101656023B1 (ko) * 2016-03-31 2016-09-22 주식회사 비아이티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KR101943645B1 (ko) * 2018-08-22 2019-01-29 유재기 전선 피복 제거 장치
KR102000289B1 (ko) * 2018-12-22 2019-07-15 진영글로벌 주식회사 전선 피복 탈피 장치
JP2020188677A (ja) * 2019-05-16 2020-11-19 コマツクス・ホールデイング・アー・ゲー ケーブルの内部導体から絶縁体を除去する方法およびストリッピング装置
KR20210051010A (ko)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영신전기 전선피복 분리 및 압착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피복 분리 및 압착방법
KR102281305B1 (ko) 2019-10-29 2021-07-23 주식회사 영신전기 전선피복 분리 및 압착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피복 분리 및 압착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7913A (zh) * 2023-11-29 2023-12-29 山东无棣海丰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生产用电缆剥皮机
CN117317913B (zh) * 2023-11-29 2024-03-08 山东无棣海丰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生产用电缆剥皮机
CN117856113A (zh) * 2024-03-06 2024-04-09 合肥市直机关电力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室电缆敷设装置及其敷设方法
CN117856113B (zh) * 2024-03-06 2024-05-14 合肥市直机关电力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室电缆敷设装置及其敷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228B1 (ko)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US4127370A (en) Apparatus for forming dielectric optical waveguides
US9116321B2 (en) Optical fiber cord
EP04675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rubber sheet having cords therein
AU2015347944A1 (en) Optical fiber tape manufacturing method,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US9958604B2 (en) Optical fiber, and optical-fiber production method
KR101934814B1 (ko)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US3945580A (en) Wire-winding machine
CN109659629B (zh) 卷绕装置
US20170194611A1 (en) Microporous membrane roll for battery separator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4535955A (en) Means for sensing an undesirable approach angle in a level wind coiler
US4325212A (en) Laying optical waveguides and electrical conductors onto a support filament
CZ261793A3 (en) Device for detection of fiber strand breaks in front of drafting mechanism
US68797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n-line binder laylength measurement and adjustment
JP2015130772A (ja) 線材供給装置
JPH02281583A (ja) ターミナルストリップ巻き戻し装置
KR102265646B1 (ko)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CN112660928B (zh) 一种电动线缆放线装置
KR102373561B1 (ko) 튜브가 장착되는 통신용 점퍼케이블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80007851A (ko)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US7590314B1 (en) Fiber optic sensor for tow wrap
CN117735326A (zh) 一种圆形软光缆自动排线抑制扭转方法及系统
JP6323199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15535720B (zh) 一种半导体用导线的放线装置以及放线方法
JP7279589B2 (ja) スロットロッドの検査装置、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