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851A -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851A
KR20180007851A KR1020160089277A KR20160089277A KR20180007851A KR 20180007851 A KR20180007851 A KR 20180007851A KR 1020160089277 A KR1020160089277 A KR 1020160089277A KR 20160089277 A KR20160089277 A KR 20160089277A KR 20180007851 A KR20180007851 A KR 20180007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ressing
conveying
transf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4134B1 (ko
Inventor
이상욱
김재우
김종필
백승철
이무림
이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1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는, 케이블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회전하여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구동드럼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과하는 케이블에 상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상기 구동드럼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이송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놓여지는 이송공간을 구현해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공간에는 태선 케이블 혹은 세선 케이블 다발이 놓여질 수 있다.

Description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Wire installation device regardless of wire thickness}
본 발명은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선박 건조장이나 공사 현장과 같은 작업장에는 각종 장비들에 전원을 공급하고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포설된다.
케이블 포설 작업의 경우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작업자의 노동 강도가 높은 상황이다. 케이블 포설을 위해서는 윈치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당기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인양 속도가 느리고 케이블에 걸리는 강한 장력으로 인해 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10-2011-0019068호에는 케이블 포설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포설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케이블 포설장치에서 발생 가능한 케이블 이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포설장치(10)는 태선 전용 장비로서, 에어스프링을 이용해 케이블을 가압한 후 하부의 구동롤러를 모터로 구동해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전면의 가이드롤러(20a, 20b) 사이의 간격은 D1이고, 후면의 가이드롤러(30a, 30b) 사이의 간격은 D2일 수 있다.
하지만, 외측부에 설치된 케이블 가이드롤러 간의 간격이 커서 태선 케이블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세선 케이블 다발(1a~1c)을 포설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블들 중 일부(1c)가 가이드롤러 사이로 이탈하여 장치와 간섭이 발생함으로써 케이블 외피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19068호 (2011.02.25 공개) - 케이블 포설장치
본 발명은 케이블 다발 포설 시 케이블이 이동하는 사각 튜브 형상의 공간을 구현하여 케이블 다발의 형상 붕괴 및 케이블 이탈이 방지되어 태선뿐만 아니라 세선에도 적용 가능한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회전하여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구동드럼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과하는 케이블에 상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상기 구동드럼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이송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놓여지는 이송공간을 구현해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공간에는 태선 케이블 혹은 세선 케이블 다발이 놓여지는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하 운동 가능한 전면 가이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소정 간격만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후면 가이드롤러를 포함한 후면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가이드부는, 하부 받침대와; 상부 받침대와; 상기 하부 받침대와 상기 상부 받침대 사이에 소정 간격만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롤러 샤프트와; 상기 한 쌍의 롤러 샤프트 각각에 적층되고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한 다수의 전면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케이블 가압에 필요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체가압기와; 상기 유체가압기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에 연결되어 함께 상하 운동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케이블 이송 시에는 상기 상부 받침대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공간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이송공간은 사각튜브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다발 포설 시 케이블이 이동하는 사각 튜브 형상의 공간을 구현하여 케이블 다발의 형상 붕괴 및 케이블 이탈이 방지되어 태선뿐만 아니라 세선에도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포설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케이블 포설장치에서 발생 가능한 케이블 이탈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의 정면도(view 1), 평면도(view 2) 및 측면도(view 3),
도 7은 기존 케이블 포설장치와 비교할 때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전면 가이드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각 단면별 형상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의 정면도(view 1), 평면도(view 2) 및 측면도(view 3)이며, 도 7은 기존 케이블 포설장치와 비교할 때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전면 가이드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각 단면별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작업장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비이다. 전면 및 후면 가이드롤러의 간격을 축소하고, 케이블 탈거를 위해 전면 가이드롤러의 체결 방법을 상부 가압롤러와 함께 상하 운동하도록 변경하고, 전면 가이드롤러는 다수의 소형 가이드롤러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케이블 다발 포설 시 케이블이 이동하는 사각 튜브 형상의 공간을 구현하여 케이블 다발의 형상 붕괴 및 케이블 이탈이 방지되어 태선뿐만 아니라 세선에도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블의 이송방향은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지나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되는 A 방향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몸체부(110), 이송부(130), 가압부(120), 가이드부(140, 15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후술할 이송부(130)와 가압부(120)가 케이블의 이송경로 상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이송부(130)와 가압부(120)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케이블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된다.
몸체부(110)는 후술할 각 구성요소들을 각기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하측에 이송부(130)가 설치되며, 몸체부(110)의 상측에는 가압부(120)가 설치된다. 몸체부(110)의 가운데 부분을 통과하는 케이블은 가압부(120)에 의해 이송부(130)에 가압되고, 이송부(130)는 케이블을 이송방향(A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이송부(130)와 가압부(120) 사이에는 가이드부(140, 150)가 설치되어, 몸체부(110)의 가운데 부분을 통과하는 케이블 다발이 그 형상이 붕괴되지 않고, 타 방향으로의 이탈 없이 이송방향으로 원활히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이송부(130)는 케이블을 지지하고, 지지된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부분이다. 이송부(130)는 회전을 통해 지지된 케이블을 이송하는 구동드럼(132)을 포함한다. 구동드럼(132)은 몸체부(110) 내에 설치된 모터(138)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원활한 케이블의 이송을 위해, 이송부(130)는 인입 또는 토출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서포트 롤러(134, 136)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롤러(134, 146)의 측면에는 렁 설치용 브라켓(16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렁 설치용 브라켓(160)에는 몸체부(110)로 인입되거나 몸체부(110)에서 토출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지지대인 렁(rung)이 설치될 수 있다.
가압부(120)에 의해 케이블이 구동드럼(132) 상에 눌려지면, 가압력에 의해 케이블과 구동드럼(132)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된다. 이때, 모터(138) 등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구동드럼(132)을 케이블의 이송방향 측으로 회전시키면,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케이블을 당기는 방식과는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30)는 케이블의 이송경로 중 어느 곳에서든 설치되어 케이블 이송에 필요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의 설치경로 상에 다수의 케이블 포설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케이블 이송에 필요한 힘을 충분히 공급하여 케이블 이송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장애물이 있어 굴곡된 설치경로에는, 굴곡된 설치경로를 따라 다수의 케이블 포설장치를 설치하여 굴곡된 경로를 따라 케이블을 이송할 수도 있다.
가압부(120)는 케이블을 구동드럼(132)으로 가압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120)는 이송부(130)를 통과하는 케이블에 상응하여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이송부(130)를 통해 이송되는 케이블의 종류, 직경, 재질 등 케이블의 상태에 맞추어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이송 시에 과도한 힘에 의해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블에의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가압부(120)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케이블에 가할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체가압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가압기(122)는 케이블에 가해지는 압력을 유체압을 통하여 직접 조절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에 상응하여 정밀하게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유체가압기(122)의 유체는 케이블 가압 시에 댐퍼 역할을 수행하므로, 유체가압기(122)는 케이블 파손 방지에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압력실이 형성된 탄성체 실린더를 구비한 에어스프링이 유체가압기(122)로 사용될 수 있다. 에어스프링의 압력실에 공기가 충전되면 에어스프링은 팽창하여 케이블을 가압할 수 있다. 특히, 탄성체 실린더를 구비한 에어스프링은 균일한 가압력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에어스프링의 압착력은 압력실의 공기압에 의해서 정해지므로, 직경이 큰 케이블(태선 케이블)이 이송되어 에어스프링이 초기설정 상태보다 뒤로 밀려 있더라도 공기업만 일정하게 조절하면 가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압력실에 공기를 충전하기 위해, 에어스프링에는 작업장에 공압을 공급하는 에어라인이나 공기압축 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압력실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전공 레귤레이터와 같은 공기압 조절밸브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가압부(120)는 이송부(130)를 통과하는 케이블의 상태를 측정하는 케이블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케이블 가압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가압부(120)를 통한 케이블 가압은 작업자가 케이블에 맞는 가압력을 케이블 포설장치에 입력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력 조절작업도 자동화되도록, 케이블 상태를 측정하는 케이블감지센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감지센서로는 이송부(130)를 통과하는 케이블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상측에 설치된 거리센서는 케이블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케이블의 직경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120)가 케이블 직경에 상응하여 이동하고 가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부(120)는 가압된 케이블이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케이블을 가압하는 가압롤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케이블 이송에 필요한 힘을 전달하도록 케이블의 이송경로 어느 곳에든 설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상응하여 필요한 가압력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송하여 케이블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100)에는, 이송부(130)를 통과하는 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도록 케이블을 이송경로의 측면에서 지지하는 가이드부(140, 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부(140, 150)에 대해서는 세선 케이블에 대한 이송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140, 150)는 전면 가이드부(140)와 후면 가이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가이드부(140)과 후면 가이드부(150) 사이의 간격에 의해 이송되는 케이블 혹은 케이블 다발의 폭이 결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140, 150)는 케이블이 전면 방향 혹은 후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후면 가이드부(150)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1 후면 가이드롤러(152)가 이송방향에 평행하게 소정 간격(D4)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후면 가이드롤러(152)의 간격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케이블 포설장치(10)의 후면 가이드롤러(30a, 30b)와 비교할 때 상당히 축소되어(D4<D2), 가압부(120)에서 세선 케이블 다발을 가압할 때 세선 케이블 다발의 형상이 붕괴되거나 세선 케이블이 이송경로에서 후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후면 가이드롤러(152)의 외측에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2 후면 가이드롤러(154)가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케이블 다발의 인입 또는 토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전면 가이드부(140)는 하부 받침대(144)와 상부 받침대(146) 사이에 상호 이격되도록 수직 설치된 한 쌍의 롤러 샤프트에 각각 다층으로 적층된 다수의 전면 가이드롤러(142)를 포함한다. 전면 가이드롤러(142)는 낮은 높이의 타이어 형상을 가지며, 롤러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롤러 샤프트에 적층된 전면 가이드롤러(142) 사이의 간격(D3) 역시 전술한 한 쌍의 제1 후면 가이드롤러(152) 사이의 간격과 유사하다. 즉, 종래 전면 가이드롤러(20a, 20b) 사이의 간격과 비교할 때 상당히 축소되어(D3<D1), 이송대상이 되는 케이블 다발이 가압 중에 그 형상이 붕괴되거나 이송경로에서 전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 샤프트가 설치된 전면 가이드부(140)는 승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면 가이드부(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케이블을 이송시키고자 몸체부(110) 내의 이송경로 상에 배치시키는 과정 혹은 케이블의 이송이 완료되어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거하고자 케이블을 몸체부(110)에서 탈거하는 과정에서는 전면 가이드부(140)가 최저점에 놓여져 있어 전면의 개방부를 통해 케이블을 이송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 케이블 포설장치의 경우와 본 실시예에 따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의 경우를 비교하고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종래 케이블 포설장치의 경우에는 전면 가이드롤러(20a, 20b)가 상단은 몸체부에서 분리되고 하단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전면을 개방시키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이에 비해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의 경우에는 전면 가이드부(14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전면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케이블을 몸체부(110) 내에 진입시킨 이후에는 전면 가이드부(140)가 상승하여 상부 받침대(146)가 가압부(120)의 체결부(126)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26)는 가압롤러(124)에 연결되어 있어, 가압롤러(124)의 상하 운동에 연동하여 상하 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받침대(146)가 체결부(126)에 체결됨에 따라, 가압부(120)에서 가압롤러(124)가 가압을 위해 하강할 때 전면 가이드부(140) 역시 가압롤러(124)와 함께 하강한다.
따라서, 세선 케이블의 포설을 위해 전면 가이드부(140)의 롤러 샤프트 간의 간격이 축소됨으로 인해 가압롤러(124)의 하강 시 간섭이 발생할 수 있었는데, 전면 가이드부(140)가 가압롤러(124)와 함께 상하 운동함으로써 간섭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면 가이드부(140)가 가압롤러(124)와 함께 상하 운동하는 경우 하부 브라켓(112)의 하부에 놓여지는 전면 가이드롤러(142)는 정지 상태에 있지만, 하부 브라켓(112)의 상부에 놓여지는 전면 가이드롤러(142)는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여 케이블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전면 가이드롤러(142)가 롤러 샤프트를 중심으로 적층 구조를 가지면서 상호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다양한 케이블 직경, 케이블 다발 직경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140, 150)는 후면 가이드부(150)의 제1 후면 가이드롤러(152) 사이의 간격과 전면 가이드부(140)의 롤러 샤프트 사이의 간격이 축소되고, 전면 가이드부(140)의 상부 받침대(146)가 가압부(120)와 체결되어 함께 승강하며, 전면 가이드부(140)에 다수의 전면 가이드롤러(142)가 적층 구조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110) 내에 케이블을 위한 일종의 사각튜브 형상의 이송공간(200)이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100)를 이송방향(A)에 수평한 정면 단면(P1)으로 보았을 때, 이송방향(A)에 수직한 단면(P2)으로 보았을 때, 평면 단면(P3)으로 보았을 때를 보면 해칭된 부분으로 표시된 이송공간(200)이 구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각튜브 형상의 이송공간(200)은 세선 케이블을 다발 형태로 포설하는 경우 다발 형상의 이상 변형을 방지하여 다발 타입으로의 케이블 포설 수행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110: 몸체부 120: 가압부
122: 유체가압기 124: 가압롤러
126: 체결부 130: 이송부
132: 구동드럼 134, 136: 서포트 롤러
140: 전면 가이드부 142: 전면 가이드롤러
144: 하부 받침대 146: 상부 받침대
150: 후면 가이드부 152: 제1 후면 가이드롤러
154: 제2 후면 가이드롤러

Claims (5)

  1. 케이블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며, 회전하여 케이블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구동드럼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과하는 케이블에 상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상기 구동드럼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이송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놓여지는 이송공간을 구현해주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공간에는 태선 케이블 혹은 세선 케이블 다발이 놓여지는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하 운동 가능한 전면 가이드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소정 간격만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후면 가이드롤러를 포함한 후면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가이드부는,
    하부 받침대와;
    상부 받침대와;
    상기 하부 받침대와 상기 상부 받침대 사이에 소정 간격만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롤러 샤프트와;
    상기 한 쌍의 롤러 샤프트 각각에 적층되고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한 다수의 전면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케이블 가압에 필요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체가압기와;
    상기 유체가압기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에 연결되어 함께 상하 운동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케이블 이송 시에는 상기 상부 받침대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공간을 만드는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간은 사각튜브 형상인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KR1020160089277A 2016-07-14 2016-07-14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KR10182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77A KR101824134B1 (ko) 2016-07-14 2016-07-14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277A KR101824134B1 (ko) 2016-07-14 2016-07-14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851A true KR20180007851A (ko) 2018-01-24
KR101824134B1 KR101824134B1 (ko) 2018-02-01

Family

ID=6102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277A KR101824134B1 (ko) 2016-07-14 2016-07-14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7100A (zh) * 2020-07-27 2020-10-30 南京蔚特尔智能科技有限公司 通信电缆铺设用的连续供给设备与连续供给方法
CN114597823A (zh) * 2022-03-14 2022-06-07 深圳市百洲半导体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对导线粗细可控的穿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841Y2 (ja) * 1993-08-11 1997-01-08 健一 工藤 ケーブル案内用ローラー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7100A (zh) * 2020-07-27 2020-10-30 南京蔚特尔智能科技有限公司 通信电缆铺设用的连续供给设备与连续供给方法
CN111847100B (zh) * 2020-07-27 2021-12-24 南京蔚特尔智能科技有限公司 通信电缆铺设用的连续供给设备与连续供给方法
CN114597823A (zh) * 2022-03-14 2022-06-07 深圳市百洲半导体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对导线粗细可控的穿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134B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388B1 (ko) 케이블 포설장치
IT201900001841A1 (it) Macchina di recupero di un cavo
KR20130053770A (ko)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JP7366561B2 (ja) 移動可能な案内要素を備えるケーブル処理機およびケーブル処理機内にケーブルを敷設するための方法
CN104291109A (zh) 杠杆交替进料机构
KR101824134B1 (ko)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KR101516562B1 (ko) 케이블 포설장치
KR20160109883A (ko) 케이블 드럼 유압 풀링 장치
KR20140079568A (ko) 케이블 포설 캐터필러의 견인 궤도 장력 조절장치
CN205290083U (zh) 一种镭雕装置
KR102416617B1 (ko)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7039B1 (ko) 케이블 드럼 포설장치
KR20150101772A (ko) 케이블 공급용 피딩장치
KR101086385B1 (ko) 케이블 포설시스템
KR101837134B1 (ko) 오토테이핑 머신
CN105182477B (zh) 可控压力精密柔性板布纤装置及布纤方法
CN111061024A (zh) 一种通讯工程网络传输光缆牵引设备
KR101812975B1 (ko) 유리간격조절을 위한 실 공급장치
JP2019064118A (ja) 基板加工装置
KR102333365B1 (ko) 배터리 극판 공급기
KR20180023799A (ko) 전기 배선용 대형 케이블을 이송하는 장치
JPH0613311U (ja) 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KR101770163B1 (ko)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
CN105329701B (zh) 自动送线器的送线控制装置
CN220055810U (zh) 一种高效模块化电缆无损施放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