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617B1 -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617B1
KR102416617B1 KR1020220016058A KR20220016058A KR102416617B1 KR 102416617 B1 KR102416617 B1 KR 102416617B1 KR 1020220016058 A KR1020220016058 A KR 1020220016058A KR 20220016058 A KR20220016058 A KR 20220016058A KR 102416617 B1 KR102416617 B1 KR 10241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nderground
motor
tire
pressu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수점
박인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엠파워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박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주)엠파워,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박인섭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은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을 공급하는 케이블 공급장치와; 상기 케이블 공급장치의 전방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맨홀과 지중 전력구 내부로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장치와; 상기 지중 전력구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위에서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가압장치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고정장치와, 하단이 상기 고정장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이 가압장치에서 탈거되어 하측으로 회동될 때 케이블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멀티 풀링 머신과; 상기 멀티 풀링 머신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 케이블이 상면에 포설되는 케이블 행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업자는 케이블을 좌측 또는 우측 어느 곳이든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언제든지 좌측 또는 우측의 양방향으로 케이블을 지중 포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Cable two-way underground lay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케이블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상으로부터 지중 전력구 내부로 진입하는 케이블이나 원형 형상의 파이프를 지중 전력구 내부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된 좌우측 케이블 행거에 자유롭게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은 지중 전력구 내부에 설치된 풀링 머신에 의해 지중 전력구의 안쪽으로 공급되며, 지중 전력구 내부에서 작업자들은 풀링 머신에 의해 공급된 케이블을 들어 올려 지중 전력구의 내측 벽면에 설치된 다수의 케이블 행거 상면에 안착시켜 포설한다.
이때 사용되는 풀링 머신은 지중 전력구 내부 바닥 중앙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양쪽에서 서로 바라보도록 설치된 무한궤도가 회전하면서 케이블의 양쪽 표면을 마찰하여 지중 전력구 안쪽으로 밀어 공급한다.
이렇게 지중 전력구 내부에 케이블이 공급되면 지중 전력구 내부에서 작업자들은 풀링 머신의 무한궤도 사이에 있는 케이블을 들어 올려 지중 전력구 좌우 양측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행거에 안착시켜야 한다.
이렇게 작업자들이 케이블을 들어 올려 좌우측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에 안착시키고자 할 때 지중 전력구 바닥에 산재되어 있는 각종 장비나 자재 등으로 인해 작업자들이 좌우측으로 이동하기가 쉽지 않아서 좌우측의 케이블 행거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불어, 케이블 행거가 상하방향으로 다단 설치되어 위쪽에 위치한 케이블 행거에 케이블을 포설시키고자 할 때는 지중 전력구 바닥에 일정 높이의 가설작업대를 설치하고 그 위로 풀링 머신이 위치하도록 해야 하는데, 지중 전력구 내에서 바닥면에 가설작업대를 설치하는 것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 환경상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092391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 전력구의 양측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케이블 행거가 상하로 다단 설치되었을 때 다단 설치된 케이블 행거에도 케이블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은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을 공급하는 케이블 공급장치와; 상기 케이블 공급장치의 전방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맨홀과 지중 전력구 내부로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장치와; 상기 지중 전력구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위에서 가압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가압장치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고정장치와, 하단이 상기 고정장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이 가압장치에서 탈거되어 하측으로 회동될 때 케이블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멀티 풀링 머신과; 상기 멀티 풀링 머신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 케이블이 상면에 포설되는 케이블 행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블 공급장치는 지면에 설치되는 드럼 스탠드와; 상기 드럼 스탠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이 권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스탠드의 전후방 지면에 각각 설치되는 드럼 롤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안내장치는 다수의 파이프가 조립되어 이루어진 파이프 구조체와;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파이프롤러와;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롤러에 의해 지지 공급되는 케이블을 상기 맨홀 쪽을 향해 일정 속도로 안내하는 캐터필러와; 상기 파이프 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터필러에 의해 안내되는 케이블을 상기 맨홀 입구에 구비된 주름관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롤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멀티 풀링 머신은 가압기와, 상기 가압기로부터 제공된 동력에 의해 승강하는 가압모터와, 상기 가압모터와 함께 승강하고 가압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가압 타이어를 포함하는 가압장치와; 상기 가압기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케이블 행거의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고정모터와, 상기 고정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여 상기 가압 타이어와 함께 케이블을 끌어당기는 지지 타이어를 포함하는 고정장치와; 하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기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
한편, 본 발명은 상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지중 전력구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지지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샤프트와 고정브라켓 사이에는 일정길이의 보조 샤프트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벽면앵글에 연결되되 상기 케이블 행거의 상측에 이격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기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보조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행거가 지중 전력구 내에서 벽면앵글의 상부와 하부에 다단으로 설치될 때, 상기 가압기는 일측면이 상부의 케이블 행거 끝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일측면이 하부의 케이블 행거 끝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압기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일단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웜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웜과 치합되어 회전하는 웜휠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압모터에 고정되고, 상기 웜휠과 가이드에 관통되면서 웜휠과 나선결합되어 웜휠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방법은 케이블 공급장치의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을 케이블 안내장치의 캐터필러에 연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캐터필러를 작동시켜 맨홀 입구에 구비된 주름관 내부로 케이블을 일정속도로 밀어 넣는 제2단계와; 지중 전력구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모터에 연결된 지지 타이어에 케이블을 안착시킨 후 가압기의 웜을 전동공구로 회전시켜 웜휠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모터가 설치된 승강브라켓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압모터에 연결된 가압 타이어로 케이블을 가압하는 제3단계와; 상기 가압모터와 고정모터를 작동시켜 케이블을 가압하고 있는 가압 타이어와 지지 타이어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수의 멀티 풀링 머신이 이격되게 설치된 지중 전력구 안쪽으로 케이블을 가압 이송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지지 타이어와 가압 타이어에 의해 가압되고 있던 케이블을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중 전력구의 좌우측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 행거 상면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지중 전력구의 좌우측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 중 나머지 케이블 행거에도 케이블을 포설하고자 할 경우 가압장치의 가압기에 설치되어 있던 연결브라켓의 상단을 탈거한 후 고정장치의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던 하단을 중심으로 연결브라켓을 하측으로 회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은 연결브라켓을 하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발생되는 가압장치와 고정장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케이블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지중 전력구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 어느 것에도 케이블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행거가 좌우 양측에 1단으로만 설치된 경우에도 케이블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케이블 행거가 다단으로 설치된 경우에도 케이블의 다단 지중 포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 샤프트에 의해 가압 타이어와 지지 타이어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의 위치가 옆쪽에 있는 케이블 행거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케이블을 위쪽으로 들어 올릴 필요 없이 케이블을 옆쪽으로 밀면 케이블이 케이블 행거에 포설되므로 작업자의 노동 강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케이블 행거를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케이블의 포설작업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을 보인 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의 멀티 풀링 머신을 보인 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에서 케이블을 좌우 양쪽의 케이블 행거에 포설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이 가능한 멀티 풀링 머신에 이송되는 케이블에 가이드바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을 보인 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의 멀티 풀링 머신을 보인 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에서 케이블을 좌우 양쪽의 케이블 행거에 포설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이 가능한 멀티 풀링 머신에 이송되는 케이블에 가이드바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은 케이블 공급장치(100)와, 상기 케이블 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된 케이블(C)을 맨홀(M)과 지중 전력구(E) 내부로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장치(200)와, 상기 지중 전력구(E) 내부로 공급된 케이블(C)을 이송시키는 멀티 풀링 머신(300)과, 상기 멀티 풀링 머신(300)에 의해 이송된 케이블(C)이 상면에 포설되는 케이블 행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 공급장치(100)는 드럼(120)에 권취된 케이블 또는 원형 형상의 파이프(이하에서는 '케이블'로 통칭하도록 함)를 케이블 안내장치(200) 쪽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드럼 스탠드(110)와, 상기 드럼 스탠드(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20)과, 상기 드럼 스탠드(110)의 전후방 지면에 각각 설치되는 드럼 롤러(130)로 구성된다.
상기 드럼 스탠드(110)는 지면에 설치되어 드럼(120)을 지지한다.
상기 드럼(120)은 드럼 스탠드(110)에서 회전되고, 외측면에 케이블(C)이 권취되어 있다. 이러한 드럼(1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권취되어 있던 케이블(C)이 풀려 나온다.
상기 드럼 롤러(130)는 드럼(120)을 중심으로 전후방 양쪽 지면에 설치되어 케이블(C)이 지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케이블 안내장치(200)는 케이블 공급장치(100)의 전방측에 설치된 캐터필러(230) 및 상기 캐터필러(230)의 전후방에 설치된 파이프롤러(220)와 안내롤러(240)를 통해 케이블(C)을 맨홀(M)과 지중 전력구(E) 내부로 안내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케이블 안내장치(200)는 지면에 설치되는 파이프 구조체(210)와, 상기 파이프 구조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이프롤러(220)와, 상기 파이프 구조체(210)에 설치되어 케이블(C)을 이송하는 캐터필러(230)와, 상기 파이프 구조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롤러(240)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 구조체(210)는 다수의 파이프를 조립하여 만든 구조물이다.
상기 파이프롤러(220)는 케이블 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케이블(C)을 지지한다.
상기 캐터필러(230)는 파이프롤러(220)에 의해 지지 공급되는 케이블(C)을 맨홀(M) 쪽을 향해 일정 속도로 안내 공급한다.
상기 안내롤러(240)는 캐터필러(230)에 의해 안내 공급되는 케이블(C)을 맨홀(M) 입구에 구비된 주름관(M1)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멀티 풀링 머신(300)은 내부 좌우 양측면에 케이블 행거(400)가 설치된 지중 전력구(E)의 중앙부분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지중 전력구(E)의 좌우 양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벽면앵글(A)이 설치되고, 이 벽면앵글(A)에 케이블(C)이 포설되는 케이블 행거(400)가 설치되는데, 멀팅 풀링 머신(300)은 케이블 행거(400)의 측단에 설치된다.
지중 전력구(E)는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맨홀(M) 사이를 연결하는 것인데, 맨홀(M) 내부의 코너 시작점과 끝점에는 다수의 코너롤러(M2)가 구비되어 지중 전력구(E) 내부로 케이블(C)을 지지 안내하고, 이렇게 공급된 케이블(C)은 지중 전력구(E)의 내부 중앙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멀티 풀링 머신(300)을 향해 공급된다.
이와 같은 멀티 풀링 머신(300)은 지중 전력구(E)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 전력구(E) 내부로 공급된 케이블(C)을 위에서 가압하는 가압장치(310)와, 상기 가압장치(310)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케이블(C)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고정장치(320)와, 하단이 상기 고정장치(3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장치(3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이 가압장치(310)에서 탈거되어 하측으로 회동될 때 케이블(C)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연결브라켓(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장치(310)는 가압기(311)와, 상기 가압기(311)로부터 제공된 동력에 의해 승강하는 가압모터(312)와, 상기 가압모터(312)와 함께 승강하고 가압모터(312)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가압 타이어(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기(311)는 하우징(311a)과, 상기 하우징(311a)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웜(311b)과, 상기 웜(311b)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웜휠(311c)과, 상기 하우징(311a)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311d)와, 상기 가이드(311d)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브라켓(311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11a)은 양측면 하부에 연결브라켓(330)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311a)은 보조바(311f)의 끝단에 연결 고정될 수도 있고, 케이블 행거(400)의 끝단에 연결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케이블 행거(400)가 지중 전력구(E) 내에서 좌우에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부와 하부에 다단으로 설치될 때, 가압기(311)의 하우징(311a)은 상부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400)의 끝단에 일측면이 고정된다. 그리고 후술할 고정브라켓(321)은 하부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400)의 끝단에 일측면이 고정된다.
만약, 케이블 행거(400)가 지중 전력구(E) 내에서 좌우에 각 하나씩만 설치되고 다단으로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가압기(311)의 하우징(311a)은 보조바(311f)의 끝단에 일측면이 고정된다. 이때 고정브라켓(321)은 케이블 행거(400)의 끝단에 일측면이 고정된다.
상기 보조바(311f)는 일단이 벽면앵글(A)에 연결 고정되되 케이블 행거(400)의 상측에 이격되게 연결되는데, 그 반대편 타단은 가압기(311)의 하우징(311a)에 설치된 가압브라켓(311g)과 볼팅되어 연결됨으로써 하우징(311a)과 보조바(311f)가 연결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케이블 행거(400)가 상부와 하부에 다단으로 설치될 때 가압기(311)의 하우징(311a)에 구비된 가압브라켓(311g)은 상부에 위치한 케이블 행거(400)의 끝단과 볼팅되어 연결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장치(310)와 고정장치(320)를 보조바(311f)와 적절히 조합하여 보조바(311f)와 케이블 행거(400)의 끝단에 설치하면, 케이블 행거(400)가 좌우 양측에 1단으로만 설치된 경우에도 케이블(C)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케이블 행거(400)가 다단으로 설치된 경우에도 본 발명을 통해서 케이블(C)의 다단 지중 포설이 가능하다.
상기 웜(311b)은 하우징(311a)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하우징(311a) 외부로 돌출된다. 이렇게 하우징(311a) 외부로 돌출된 웜(311b)의 일단을 전동공구로 회전시키면 가압모터(31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웜휠(311c)은 하우징(311a)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웜(311b)과 치합되어 웜(311b)이 회전할 때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311d)는 웜휠(311c)과 일정거리 이격된 하우징(311a)의 내부 특정지점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브라켓(311e)은 가압모터(312)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웜휠(311c)과 가이드(311d)에 관통되면서 웜휠(311c)과 나선결합된다. 따라서 웜휠(311c)이 회전할 때 승강브라켓(311e)은 가이드(311d)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상기 가압모터(312)는 승강브라켓(311e)에 고정되어 웜휠(311c) 회전시 승강브라켓(311e)과 함께 승강된다.
상기 가압 타이어(313)는 가압모터(312)에 연결되어 가압모터(312)가 승강할 때 함께 승강하고, 가압모터(312)의 모터축과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가압모터(312)가 작동을 할 때 회전한다.
한편, 가압 타이어(313)의 중앙을 관통하여 가압 타이어(313)를 회전시키는 모터축은 스플라인축(312a)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 가압 타이어(313)의 스플라인축(312a)에는 풀러(312b)가 설치되어, 가압 타이어(313)가 회전할 때 풀러(312b)도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와이어나 로프 또는 그 위에 지중 전력구(E) 내부에서 필요한 자재가 있을 때 이 풀러(312b)를 윈치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여 지중 전력구(E) 내부로 끌어당길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320)는 가압장치(31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케이블 행거(400)의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21)과, 상기 고정브라켓(321)에 설치되는 고정모터(322)와, 상기 고정모터(322)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여 상기 가압 타이어(313)와 함께 케이블(C)을 끌어당기는 지지 타이어(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21)은 가압기(311)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일측면이 케이블 행거(400)의 끝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321)에는 가압장치(310)와 고정장치(320) 및 연결브라켓(330)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케이블(C)이 포설되는 케이블 행거(400)보다 케이블(C)이 위쪽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 샤프트(324)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 샤프트(324)는 상단이 고정브라켓(321)에 연결되고 하단이 지중 전력구(E)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가압 타이어(313)와 지지 타이어(323)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C)이 옆쪽에 있는 케이블 행거(40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블(C)을 위쪽으로 들어 올릴 필요가 없이 케이블(C)을 잡아서 옆쪽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케이블 행거(400)에 케이블(C)이 포설되므로 작업자의 노동 강도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부연하면, 고정브라켓(321)이 케이블 행거(400)에 설치될 때 클램프(321a)의 일측 끝단이 케이블 행거(400) 내에 삽입된 후 볼트에 의해 케이블 행거(400)와 클램프(321a)가 서로 결합되고, 클램프(321a)의 타측 끝단은 지지 샤프트(324)의 상단부분에 나선결합되는 상부너트(N1)와 하부너트(N2) 사이에서 지지 샤프트(324)와 함께 고정브라켓(321)에 체결된다.
이러한 지지 샤프트(324)는 하단에 고무패드(324a)가 구비되어 완충작용을 한다.
그리고, 지지 샤프트(324)와 고정브라켓(321) 사이에는 일정길이의 보조 샤프트(324b)가 설치될 수 있다. 즉 2단 이상 포설시 지지 샤프트(324)의 길이만으로 충분하지 않을 때에는 보조 샤프트(324b)를 설치하여 지지 샤프트(324)의 짧은 길이를 보충한다.
상기 고정모터(322)는 고정브라켓(321)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지지 타이어(323)에 제공한다.
상기 지지 타이어(323)는 고정모터(322)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여 가압 타이어(313)와 함께 케이블(C)을 끌어당긴다. 이러한 지지 타이어(323)는 고정모터(322)의 모터축과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모터(322)가 작동을 할 때 회전한다.
한편, 지지 타이어(323)의 중앙을 관통하여 지지 타이어(323)를 회전시키는 고정모터(322)의 모터축은 스플라인축(322a)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 지지 타이어(323)의 스플라인축(322a)에는 풀러(322b)가 설치되어, 지지 타이어(323)가 회전할 때 풀러(322b)도 함께 회전한다. 이로써 지지 타이어(323)의 스플라인축(322a)에 설치된 풀러(322b)는 가압 타이어(313)의 스플라인축(312a)에 설치된 풀러(312b)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330)은 하단이 고정브라켓(3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가압기(311)의 하우징(311a)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가압장치(310)의 하우징(311a)과 고정장치(320)의 고정브라켓(321)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개폐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브라켓(321)의 양측면에는 연결브라켓(33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회동중심볼트(B2)가 설치되어 연결브라켓(330)이 고정브라켓(321)에 견고하게 연결되면서 동시에 회동중심볼트(B2)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되며, 하우징(311a)에는 걸림볼트(B1)가 설치되어 후크(331) 형태로 형성된 연결브라켓(330)의 상단부분이 걸림볼트(B1)에 끼워진다.
이러한 연결브라켓(330)의 후크(331)를 걸림볼트(B1)에서 탈거한 후 회동중심볼트(B2)를 중심으로 연결브라켓(330)을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하우징(311a)과 고정브라켓(321)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발생되고, 이 공간이 가압 타이어(313)와 지지 타이어(323) 사이의 케이블(C)을 좌측 또는 우측의 케이블 행거(400)로 이동시킬 수 있는 케이블 통행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결브라켓(330)을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작업자는 케이블(C)을 좌측 또는 우측 어느 곳이든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언제든지 좌측 또는 우측의 양방향으로 케이블(C)의 지중 포설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C)의 끝단에는 케이블(C)보다 직경이 작은 파지부(C2)가 형성된 가이드바(C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지부(C2)를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케이블(C)을 좌우 상하 양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방법은 다수 단계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먼저, 제1단계는 케이블 공급장치(100)의 드럼(120)에 권취된 케이블(C)을 풀어 케이블 안내장치(200)의 캐터필러(230)에 연결하는 과정이다.
제2단계는 캐터필러(230)를 작동시켜 맨홀(M) 입구에 구비된 주름관(M1) 내부로 케이블(C)을 일정속도로 밀어 넣음으로써 맨홀(M)을 통해 지중 전력구(E) 내부로 케이블(C)을 공급하는 과정이다.
제3단계는 지중 전력구(E)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모터(322)에 연결된 지지 타이어(323)에 케이블(C)을 안착시킨 후 가압기(311)의 웜(311b)을 전동공구로 회전시켜 웜휠(311c)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모터(312)가 설치된 승강브라켓(311e)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가압모터(312)에 연결된 가압 타이어(313)로 케이블(C)을 가압하는 과정이다.
지중 전력구(E) 내부의 양쪽 수직 벽면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벽면앵글(A)이 설치되는데, 이 벽면앵글(A)은 지중 전력구(E)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벽면앵글(A)에 케이블 행거(400)가 설치되고 이 케이블 행거(400)에 멀티 풀링 머신(300)을 설치한 후 멀팅 풀링 머신(300)의 가압기(311)에 구비된 웜(311b)을 회전시켜 가압 타이어(313)와 지지 타이어(323)가 위아래에서 각각 케이블(C)을 가압 지지하는 것이 제3단계이다.
제4단계는 가압모터(312)와 고정모터(322)를 작동시켜 케이블(C)을 가압하고 있는 가압 타이어(313)와 지지 타이어(323)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수의 멀티 풀링 머신(300)이 이격되게 설치된 지중 전력구(E) 안쪽으로 케이블(C)을 가압 이송하는 과정이다.
즉, 지중 전력구(E)에 설치된 다수의 멀티 풀링 머신(300) 중에서 지중 전력구(E)의 입구쪽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 풀링 머신(300)의 가압 타이어(313)와 지지 타이어(323)로 케이블(C)을 가압한 이후에는 지중 전력구(E)의 안쪽으로 계속 케이블(C)을 공급하여 안쪽에 설치된 나머지 멀티 풀링 머신(300)의 가압 타이어(313)와 지지 타이어(323)도 케이블(C)을 가압 이송하도록 한다.
제5단계는 지지 타이어(323)와 가압 타이어(313)에 의해 가압되고 있던 케이블(C)을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중 전력구(E)의 좌우측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400)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 행거 상면에 케이블(C)을 포설하는 과정이다.
이때, 지중 전력구(E)의 좌우측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400) 중 나머지 케이블 행거에도 케이블(C)을 포설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압장치(310)의 가압기(311)에 설치되어 있던 연결브라켓(330)의 상단을 탈거한 후 고정장치(320)의 고정브라켓(3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던 하단을 중심으로 연결브라켓(330)을 하측으로 회동시킨다.
즉, 지지 타이어(323)와 가압 타이어(313)에 의해 가압되고 있던 케이블(C)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지중 전력구(E)의 우측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400)에 케이블(C)을 포설하다가, 지중 전력구(E)의 좌측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400)에도 케이블(C)을 포설해야 하는 경우에는 연결브라켓(330)을 하측으로 회동시켜 케이블(C)을 좌측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부연하면, 하우징(311a)의 걸림볼트(B1)에 걸려 있던 연결브라켓(330)의 후크(331)를 탈거한 후 회동중심볼트(B2)를 중심으로 연결브라켓(330)을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가압장치(310)와 고정장치(320) 사이에 빈 공간(또는 틈)이 발생되고 이를 통하여 케이블(C)을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지중 전력구(E)의 내측면에 이격 설치된 다수의 멀티 풀링 머신(300) 사이에는 케이블(C)을 지지 안내하기 위하여 직선롤러와 코너롤러로 구성된 가이드롤러(R)가 설치되는데, 케이블(C)을 멀티 풀링 머신(300)에서 케이블 행거(400)의 상면으로 낙하 배출시킬 때 가이드롤러(R)에서도 하강 배출시킨다.
이렇게 케이블 행거(400)의 상면에 케이블(C)이 안착된 이후에는 케이블(C)을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휘어지게 하는 과정이 이어진다. 즉 스네이크 작업으로 불리는 케이블(C)의 휨 작업을 통하여 설정된 방향과 각도로 케이블(C)이 휘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포설방법이 완료된다.
100: 케이블 공급장치 110: 드럼 스탠드
120: 드럼 130: 드럼 롤러
200: 케이블 안내장치 210: 파이프 구조체
220: 파이프롤러 230: 캐터필러
240: 안내롤러 300: 멀티 풀링 머신
310: 가압장치 311: 가압기
311a: 하우징 311b: 웜
311c: 웜휠 311d: 가이드
311e: 승강브라켓 311f: 보조바
311g: 가압브라켓 312: 가압모터
312a: 스플라인축 312b: 풀러
313: 가압 타이어 320: 고정장치
321: 고정브라켓 321a: 클램프
322: 고정모터 322a: 스플라인축
322b: 풀리 323: 지지 타이어
324: 지지 샤프트 324a: 고무패드
324b: 보조 샤프트 330: 연결브라켓
331: 후크 400: 케이블 행거
A: 벽면앵글 B1: 걸림볼트
B2: 회동중심볼트 C: 케이블
C1: 가이드바 C2: 파지부
E: 지중 전력구 M: 맨홀
M1: 주름관 M2: 코너롤러
N1: 상부너트 N2: 하부너트
R: 가이드롤러

Claims (10)

  1. 지면에 설치되는 드럼 스탠드(110)와, 상기 드럼 스탠드(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블(C)이 권취되는 드럼(120)과, 상기 드럼 스탠드(110)의 전후방 지면에 각각 설치되는 드럼 롤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케이블(C)을 공급하는 케이블 공급장치(100)와;
    상기 케이블 공급장치(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케이블(C)을 맨홀(M)과 지중 전력구(E) 내부로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장치(200)와;
    상기 지중 전력구(E)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C)을 위에서 가압하는 가압장치(310)와, 상기 가압장치(310)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C)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고정장치(320)와, 하단이 상기 고정장치(3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장치(3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단이 가압장치(310)에서 탈거되어 하측으로 회동될 때 케이블(C)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연결브라켓(330)을 포함하는 멀티 풀링 머신(300)과;
    상기 멀티 풀링 머신(30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 케이블(C)이 상면에 포설되는 케이블 행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내장치(200)는 다수의 파이프가 조립되어 이루어진 파이프 구조체(210)와;
    상기 파이프 구조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케이블(C)을 지지하는 파이프롤러(220)와;
    상기 파이프 구조체(210)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롤러(220)에 의해 지지 공급되는 케이블(C)을 상기 맨홀(M) 쪽을 향해 일정 속도로 안내하는 캐터필러(230)와;
    상기 파이프 구조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캐터필러(230)에 의해 안내되는 케이블(C)을 상기 맨홀(M) 입구에 구비된 주름관(M1)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롤러(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 풀링 머신(300)은 가압기(311)와, 상기 가압기(311)로부터 제공된 동력에 의해 승강하는 가압모터(312)와, 상기 가압모터(312)와 함께 승강하고 가압모터(312)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가압 타이어(313)를 포함하는 가압장치(310)와;
    상기 가압기(311)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케이블 행거(400)의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21)과, 상기 고정브라켓(321)에 설치되는 고정모터(322)와, 상기 고정모터(322)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여 상기 가압 타이어(313)와 함께 케이블(C)을 끌어당기는 지지 타이어(323)를 포함하는 고정장치(320)와;
    하단이 상기 고정브라켓(3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기(31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3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단이 상기 고정브라켓(321)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지중 전력구(E)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지지 샤프트(3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324)와 고정브라켓(321) 사이에는 일정길이의 보조 샤프트(324b)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일단이 지중 전력구(E)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된 벽면앵글(A)에 연결되되 상기 케이블 행거(400)의 상측에 이격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기(311)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보조바(311f)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행거(400)가 지중 전력구(E) 내에서 벽면앵글(A)의 상부와 하부에 다단으로 설치될 때, 상기 가압기(311)는 일측면이 상부의 케이블 행거(400) 끝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321)은 일측면이 하부의 케이블 행거(400) 끝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311)는 상기 연결브라켓(330)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311a)과;
    상기 하우징(311a)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일단이 하우징(311a) 외부로 돌출되는 웜(311b)과;
    상기 하우징(311a)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웜(311b)과 치합되어 회전하는 웜휠(311c)과;
    상기 하우징(311a)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311d)와;
    상기 가압모터(312)에 고정되고, 상기 웜휠(311c)과 가이드(311d)에 관통되면서 웜휠(311c)과 나선결합되어 웜휠(311c)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브라켓(311e);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10. 케이블 공급장치(100)의 드럼(120)에 권취된 케이블(C)을 케이블 안내장치(200)의 캐터필러(230)에 연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캐터필러(230)를 작동시켜 맨홀(M) 입구에 구비된 주름관(M1) 내부로 케이블(C)을 일정속도로 밀어 넣는 제2단계와;
    지중 전력구(E)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모터(322)에 연결된 지지 타이어(323)에 케이블(C)을 안착시킨 후 가압기(311)의 웜(311b)을 전동공구로 회전시켜 웜휠(311c)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모터(312)가 설치된 승강브라켓(311e)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압모터(312)에 연결된 가압 타이어(313)로 케이블(C)을 가압하는 제3단계와;
    상기 가압모터(312)와 고정모터(322)를 작동시켜 케이블(C)을 가압하고 있는 가압 타이어(313)와 지지 타이어(323)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수의 멀티 풀링 머신(300)이 이격되게 설치된 지중 전력구(E) 안쪽으로 케이블(C)을 가압 이송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지지 타이어(323)와 가압 타이어(313)에 의해 가압되고 있던 케이블(C)을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중 전력구(E)의 좌우측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400) 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 행거 상면에 케이블(C)을 포설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지중 전력구(E)의 좌우측면에 설치된 케이블 행거(400) 중 나머지 케이블 행거에도 케이블(C)을 포설하고자 할 경우 가압장치(310)의 가압기(311)에 설치되어 있던 연결브라켓(330)의 상단을 탈거한 후 고정장치(320)의 고정브라켓(3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던 하단을 중심으로 연결브라켓(330)을 하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방법.
KR1020220016058A 2022-02-08 2022-02-08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058A KR102416617B1 (ko) 2022-02-08 2022-02-08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058A KR102416617B1 (ko) 2022-02-08 2022-02-08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617B1 true KR102416617B1 (ko) 2022-07-04

Family

ID=8239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058A KR102416617B1 (ko) 2022-02-08 2022-02-08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542B1 (ko) * 2022-07-20 2023-12-20 주식회사 동명전력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CN117913704A (zh) * 2024-03-19 2024-04-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一种电力多排线缆传输铺设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432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지앤에이치 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KR100923919B1 (ko) 2009-07-23 2009-10-28 (주)엠파워 천정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6581A (ko) * 2011-10-04 2013-04-12 한국전력공사 지중배선용 보조 지지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432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지앤에이치 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KR100923919B1 (ko) 2009-07-23 2009-10-28 (주)엠파워 천정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6581A (ko) * 2011-10-04 2013-04-12 한국전력공사 지중배선용 보조 지지행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542B1 (ko) * 2022-07-20 2023-12-20 주식회사 동명전력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CN117913704A (zh) * 2024-03-19 2024-04-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一种电力多排线缆传输铺设设备
CN117913704B (zh) * 2024-03-19 2024-05-24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一种电力多排线缆传输铺设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6617B1 (ko)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3919B1 (ko) 천정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CA2648727C (en) Rop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416616B1 (ko)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이 가능한 멀티 풀링 머신
EP15914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rope of a traction sheave elevator
US4285454A (en) Cable conveyor
JP5951104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KR101261457B1 (ko) 다수의 케이블 선출장치
KR102011392B1 (ko) 고소 구조물에서의 외벽작업모듈 횡이동을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 이동방법
KR101496226B1 (ko)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작업용 곤도라
KR100923921B1 (ko) 천정 포설용 지중 캐터필라
KR102081258B1 (ko) 배전선로의 작업시 안전 장치
KR200163244Y1 (ko) 전선의가선장치(架線裝置)
JP2008222382A (ja) 据付用昇降装置移動方法
CN202834387U (zh) 穿管装置
KR101733124B1 (ko) 전선의 탈부착 기능을 갖춘 송배전 연결구조
KR20230120205A (ko) 멀티 풀링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JP2008007221A (ja) エレベータ用品の揚重装置
CN219136250U (zh) 一种管道安装用升降平台
CN218754206U (zh) 大截面电缆回收装置
CN109576472B (zh) 一种热处理炉炉辊快速更换装置
KR100320278B1 (ko) 전선의 가선장치(架線裝置)
JPH05246654A (ja) エレベータ制御ケーブルの架設装置
JP2670947B2 (ja) トンネル内における配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226988B1 (ko) 로봇 상하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