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392B1 - 고소 구조물에서의 외벽작업모듈 횡이동을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 이동방법 - Google Patents

고소 구조물에서의 외벽작업모듈 횡이동을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 이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392B1
KR102011392B1 KR1020190058963A KR20190058963A KR102011392B1 KR 102011392 B1 KR102011392 B1 KR 102011392B1 KR 1020190058963 A KR1020190058963 A KR 1020190058963A KR 20190058963 A KR20190058963 A KR 20190058963A KR 102011392 B1 KR102011392 B1 KR 102011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all
ropeway
holding box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19005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6Wipes
    • B08B1/1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61H9/02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for aerial, e.g. rope, rail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층 빌딩을 비롯한 고층 건물이나, 고가교량, 저장탱크 등의 고소 구조물의 외벽에서, 유리창 청소, 외벽 청소, 페인팅(외벽 또는 외면 도장), 부대시설물의 탈부착, 외벽 보수 등과 같은 "외벽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수평하게 설치된 로프웨이 케이블과, 외벽작업모듈이 연직와이어에 의해 매달려 있으며 로프웨이 케이블을 따라 수평이동하도록 결합된 홀딩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또는 외벽작업을 위한 자동장치가 탑재된 외벽작업모듈을 연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필요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높이와 형태를 가지는 고소 구조물에 대해 각종 외벽작업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외벽작업모듈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 구조물에서의 외벽작업모듈 횡이동을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 이동방법{Ropeway System for Horizontal Moving of Surface Working Module for Tall Structures, and Methods of Moving with Such System}
본 발명은 고소(高所) 구조물의 외벽에서 청소 등의 외벽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외벽작업모듈을 효율적으로 횡이동시키기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의 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초고층 빌딩을 비롯한 고층 건물이나, 고가교량, 저장탱크 등의 고소 구조물의 외벽에서, 유리창 청소, 외벽 청소, 페인팅(외벽 또는 외면 도장), 부대시설물의 탈부착, 외벽보수 등과 같은 "외벽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수평하게 설치된 로프웨이 케이블과, 로프웨이 케이블을 따라 수평하게 횡이동하도록 결합된 홀딩박스와, 연직와이어에 의해 홀딩박스에 매달려 있는 외벽작업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또는 외벽작업을 위한 자동장치가 탑재된 외벽작업모듈을 연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필요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높이와 형태를 가지는 고소 구조물에 대해 각종 외벽작업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외벽작업모듈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층 빌딩이나, 고층 건물, 굴뚝, 고가교량, 저장탱크, 플랜트 등의 고소 구조물에 대해 유리창 청소, 외벽청소, 외벽도장, 부속물의 설치/철거, 외벽 보수작업 등과 같이 고소 구조물의 외벽에서 수행하게 되는 "외벽작업"은, 일반적으로 고소 구조물의 옥상 또는 상층에 설치한 연직와이어에 작업자(作業者)가 직접 매달리거나, 또는 연직와이어에 작업대를 매달아 설치하고 작업자가 작업대에 탑승하여 수행하고 있다. "외벽작업"이 유리창이나 외벽에 대한 청소일 경우에는 작업자를 대신하여 기계적인 자동청소장치를 연직와이어에 매달아서 자동청소장치가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방안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8975호 등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편의상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외벽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연직와이어에 매달리는 작업자 또는 작업자가 탑승하게 되는 작업대, 더 나아가 자동적으로 외벽작업을 수행하도록 연직와이어에 매달리는 자동장치를 통칭하여 "외벽작업모듈"이라고 기재한다.
종래의 외벽작업에서는 외벽작업모듈이 하단에 매달려 있는 연직와이어를 연직방향으로 점차 늘어뜨려서 외벽작업모듈을 하향 이동시키면서 소정의 단위 작업폭에 대해 외벽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연직와이어를 당겨서 외벽작업모듈을 인상시키고, 연직와이어를 수평방향으로 횡이동시켜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직와이어를 다시 늘어뜨려서 외벽작업모듈을 하향 이동시키면서 새로운 단위 작업폭에 대해 외벽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직와이어를 풀어줘서 외벽작업모듈을 하향 이동시키거나 또는 연직와이어를 당겨서 외벽작업모듈을 다시 인상시키려면 연직와이어를 풀거나 감아주는 권양장치가 있어야 하며, 연직와이어를 풀거나 또는 당길 때에는 권양장치의 위치가 고정되어야 한다. 연직와이어가 인상된 후, 새로운 단위 작업폭에 대해 외벽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권양장치를 수평방향으로 횡이동시키고 다시 그 위치를 고정시켜야 한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권양장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직와이어를 하향으로 늘어뜨려서 외벽작업모듈을 연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과정에서 작업자 또는 자동장치가 소정 단위 작업폭에 대해 외벽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후속하여 권양장치로 연직와이어를 감아서 외벽작업모듈을 인상시키고 권양장치의 고정 상태를 해제한 후 권양장치와 연직와이어를 수평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이동시킨 후, 다시 권양장치를 고정하는 작업과 연직와이어를 풀어서 외벽작업모듈을 하향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여야 된다.
종래 기술에서 권양장치는 크레인 형태로 이루어진 설비에 구비되고, 이러한 크레인 형태의 고정설비는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소 구조물 자체에 물리적으로 고정되는데, 이러한 고정설비의 고정 상태 해제 및 수평이동 후 재고정시키는 데에는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바, 상기한 것처럼 외벽작업모듈의 하강 및 외벽작업, 그리고 외벽작업모듈의 인상 및 수평방향 이동 후, 외벽작업모듈의 재하강을 반복하여 외벽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권양장치용 고정 설비의 고정과 이동 및 해제 등에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크레인 형태로 이루어진 종래의 권양장치용 고정설비는 큰 규모로 인하여, 그 설치장소가 고소 구조물의 옥상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설치장소의 한계로 인하여, 만일 외벽작업을 수행해야 할 위치가 고소 구조물의 높이 중간으로 국한되는 경우일지라도, 권양장치용 고정설비는 고소 구조물의 옥상에 설치될 수 밖에 없고, 외벽작업모듈은 상당한 길이의 연직와이어에 매달린 상태가 될 수밖에 없으므로 작업 위험성도 커지고 작업 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그 뿐만 아니라, 초고층 건물과 같이 아주 높은 고소 구조물인 경우에는 옥상으로부터 내려진 연직 와이어가 너무 길어져서 작업 중 진동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이 커지게 되어 외벽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8975호(2013.09.17.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 또는 외벽작업을 위한 자동장치에 해당하는 외벽작업모듈을 고소 구조물의 외벽에서 연직방향으로 하향 이동시키면서 소정의 단위 폭에 대해 외벽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편리하고 신속한 방식으로 외벽작업모듈의 승하강을 위한 권양장치를 수평방향으로 횡이동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단위 폭에 대해 외벽작업모듈을 다시 하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초고층을 비롯한 어떠한 높이의 고층건물이나 고가교량, 저장탱크 등의 고소 구조물에 대해서도 각종 외벽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소 구조물에 대한 외벽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외벽작업모듈을 연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고,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으로서, 고소 구조물의 외벽에 형성된 개방창에 고정 설치되며, 케이블 행거가 구비된 벽체걸이 후크장치와, 벽체걸이 후크장치의 케이블 행거에 관통하여 매달린 형태로 외벽작업 영역의 횡방향 작업구간에 걸쳐서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로프웨이 케이블과, 권양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로프웨이 케이블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로프웨이 케이블에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홀딩박스와, 홀딩박스에 구비된 권양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는 외벽작업모듈이 매달려 설치되는 연직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홀딩박스가 로프웨이 케이블 상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연직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모듈이 승하강하면서 외벽작업을 수행한 후, 홀딩박스가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시 홀딩박스가 정지된 상태에서 연직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모듈이 승하강하면서 외벽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소 구조물에 대한 외벽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외벽작업모듈을 연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고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로프웨이 시스템을 고소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하고, 외벽작업을 위하여 홀딩박스가 로프웨이 케이블 상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연직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모듈을 승하강시키고, 외벽작업 완료 후 홀딩박스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홀딩박스가 정지된 상태에서 외벽작업을 위하여 연직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모듈을 승하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을 이용한 외벽작업모듈의 이동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웨이 시스템에서는, 수평하게 배치된 로프웨이 케이블을 따라 홀딩박스가 수평방향으로 횡이동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로프웨이 케이블은 벽체걸이 후크장치와 단부긴장모듈을 사용하고, 고소 구조물의 개방창을 이용하여 매우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수평배치될 수 있는 바, 종래 기술과 달리 벽체걸이 후크장치와 단부긴장모듈이 설치될 수 있는 개방창이 형성된 위치라면 고소 구조물의 어떤 높이에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벽작업 영역이 고소 구조물의 높이 중간이나 저층에 위치하더라도, 연직와이어를 옥상에서부터 길게 늘어뜨리는 것이 아니라 외벽작업 영역 인근에서부터 늘어뜨릴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외벽작업모듈이 매달려야 할 길이가 상대적으로 줄게 되어 그만큼 외벽작업모듈이 승하강하게 되는 거리가 감소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외벽작업모듈이 매달리는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그만큼 바람 등에 의해 외벽작업모듈이 흔들리는 등의 위험이 감소하게 되어, 작업안전성도 증대되고 작업효율성도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종래의 옥상고정 방식으로는 외벽작업이 거의 불가능한 초고층 건물과 같은 매우 높은 고소 구조물인 경우에도, 외벽작업의 수평이동수단으로서 "개방창을 이용한 본 발명의 로프웨이 시스템"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높이의 고소 구조물에 대해서도 각종 외벽작업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로프웨이 시스템에서는 홀딩박스가 수평하게 배치된 로프웨이 케이블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횡이동하게 되므로, 외벽작업모듈을 수평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쉽게 횡이동시켜서 외벽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외벽작업의 진행 속도 및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 영역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외벽작업 영역의 외벽작업을 위하여 본 발명의 로프웨이 시스템을 고소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행거 유닛만을 별도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케이블 행거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케이블 행거에 구비된 스윙게이트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케이블 행거에서 스윙게이트가 닫혀서 케이블 행거의 슬릿이 폐쇄되고 로프웨이 케이블이 관통하여 매달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케이블 행거에서 스윙게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이다.
도 13은 홀딩박스가 로프웨이 케이블에 이동가능하게 매달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원 G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사시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각각 도 13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와 개략적인 횡방향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b)에서 화살표 Y-Y에 따른 연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홀딩박스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가 케이블 행거를 통과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의 (a) 내지 (d)는 각각 케이블 결합부가 슬로프를 가지는 케이블 행거에 접근하여 진입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 17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9는 홀딩박스에 구비된 브레이크 장치가 잠김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 13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장치가 해제상태로 바뀐 것을 보여주는 도 19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확대사시도이다.
도 21은 작업선 행거가 로프웨이 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작업선 행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3은 홀딩박스가 로프웨이 케이블에 결합되고 홀딩박스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진 연직와이어의 하단에 면진모듈을 설치하고 면진모듈에 외벽작업모듈을 결합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상태에서 면진모듈이 진동을 흡수하여 변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고소 구조물(900)에서의 외벽작업 영역(S)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 구조물(900)의 외벽에서 외벽작업이 이루어질 영역(외벽작업 영역)(S)에서 연직방향의 길이는 H로 표시하고, 횡방향의 길이 즉, 외벽작업 영역의 폭은 L로 표시하였다. 즉, H는 "연직방향 작업구간"을 나타내며 L은 "횡방향(수평방향) 작업구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연직방향 작업구간(H)의 상부 시점과 하부 종점은 각각 H1과 H2로 표시하였고, 횡방향 작업구간(L)의 일측 시점과 타측 종점은 각각 L1과 L2로 표시하였다.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외벽작업모듈이 한 번 하향이동하면서 외벽작업이 진행되는 횡방향의 폭을 도 1에서 단위 작업폭(W)으로 표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외벽작업모듈이 상부 시점(H1)에서부터 하부 종점(H2)까지 종방향으로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단위 작업폭(W)에 대해 외벽작업이 수행되고, 다시 연직방향 작업구간의 상부 시점(H1)까지 외벽작업모듈이 인상된 후, 단위 작업폭(W)만큼 횡이동된 상태에서 다시 연직방향 작업구간의 상부 시점(H1)에서부터 하부 종점(H2)까지 연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벽작업이 반복되며, 이러한 반복작업이 연직방향 작업구간(L)에 대해 진행되는 형태로 해당 외벽작업 영역(S) 전체에 대한 외벽작업이 수행된다. 만일 수행될 외벽작업이 외벽의 청소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작업영역을 설정하여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외벽작업 영역에 대해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소 구조물의 외벽 전체에 대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외벽작업 영역(S)의 외벽작업을 위하여 본 발명의 로프웨이 시스템(100)을 고소 구조물(900)의 외벽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편의상 고소 구조물(900)의 외벽에서 로프웨이 시스템(100)이 설치된 개방창(窓) 부분만을 발췌하여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웨이 시스템(100)은 외벽작업 영역(S)의 횡방향 작업구간(L)에 걸쳐 설치될 수 있는데, 로프웨이 시스템(100)은 수평하게 연장 배치된 로프웨이 케이블(Ropeway Cable)(1)과, 권양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로프웨이 케이블(1)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홀딩박스(Holding Box)(2)와, 외벽작업모듈(4)을 매달아 설치하기 위해 홀딩박스(2)에 구비된 권양장치에 연결된 연직와이어(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작업구간(L) 내에는 복수개의 벽체걸이 후크(Hook)장치(10)가 개방창(910)을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로프웨이 케이블(1)은 처짐이 방지되도록 벽체걸이 후크장치(10)에 체결되어 매달리고 팽팽하게 긴장(緊張)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서 고소 구조물(900)의 외벽에 형성된 개방창(910)에 벽체걸이 후크장치(10)가 설치되고, 로프웨이 케이블(1)이 벽체걸이 후크장치(10)에 체결되어 매달려 있는 구조의 예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 3의 원 A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벽체걸이 후크장치(10)는, 개방창(910)의 가장자리 상면을 감싸는 후크 본체(11)를 포함하는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후크 본체(11)의 일단은 개방창(910)에서 가장자리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개방창(910)의 가장자리 외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개방창(910)의 가장자리 상면을 위에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후크 본체(11)는 횡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벽체걸이 후크장치(100)에서는 두 개의 후크 본체(11)가 한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2개의 후크 본체(11)는 후크연결재(11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개방창(910)"이라는 용어는 창문 설치를 위한 개방된 구멍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설명하는 것처럼 후크 본체(11) 등의 구성을 설치할 수 있는 개방되어 있는 부분 및 고소 구조물의 옥상 벽체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후크연결재(110)는 길이가 신축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도면에서 후크연결재(110)는 체결공이 형성된 두 개의 축부재가 포개져 있고, 서로 연통되는 체결공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끼워지는 형태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바, 체결수단이 끼워지는 체결공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후크연결재(110)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한 쌍의 후크 본체(11) 사이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변화시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후크연결재(11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크연결재(110)를 이루는 두 개의 축부재는 그 단부가 각각 후크 본체(11)에 결합되어 있다.
후크 본체(11)에는 슬링(Sling)(111)이 끼워져 있다. 후크 본체(11)의 고리 형상으로 인하여 후크 본체(11)에는 외벽을 항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부분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경사부분에는 슬링(111)이 후크 본체(11)에 끼워져서 구비되며, 이러한 슬링(111)은 후크 본체(11)에 끼워진 채로 경사부분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후크 본체(11)의 하향 경사진 경사부분에는 슬링(111)이 원하는 위치에서 하향 이동되지 않고 멈춰있게 만들기 위한 슬링 스토퍼(Stopper)(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후크 본체(11)에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구비된 슬링(111)에는, 행거 유닛(Hanger Unit)(12)이 결합 구비된다. 도 5에는 행거 유닛(12)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행거 유닛(12)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빔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행거연결부재(121)와, 상기 행거연결부재(121)에 구비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되어 걸쳐지게 되는 케이블 행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블 행거(400)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여 지나가는 링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행거연결부재(121)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 구비된다.
행거연결부재(121)는 후크 본체(11)에 구비된 슬링(111)과 결합되는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행거연결부재(121)는 슬링(111)에 대해 회전이 가능한 형태의 힌지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슬링(111)은 후크 본체(11)에 끼워진 채로 후크 본체(11)의 경사부분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데, 행거연결부재(121)가 힌지구조에 의해 슬링(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 슬링(111)의 이동에 따른 위치변화와 무관하게 행거연결부재(121) 및 이에 결합된 케이블 행거(400)는 그 수평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 행거(400)의 하부 슬릿(Slit)(490)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후술하는 것처럼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을 타고 수평하게 횡이동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행거연결부재(121)에는 고소 구조물의 외벽을 향하여 연장된 봉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간격스페이서(Spacer)(1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간격스페이서(129)가 더 구비되면, 행거연결부재(121)는 간격스페이서(129)의 길이만큼 외벽과 간격을 두고 안정적으로 외벽에 기대어진 상태를 유지한 채로 설치된다. 따라서 행거연결부재(121)에 구비된 케이블 행거(400) 및 이를 관통하는 로프웨이 케이블(1)은 고소 구조물의 외벽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로프웨이 케이블(1)에 결합된 홀딩박스(2) 및 그에 연결된 연직와이어(3) 및 외벽작업모듈(4)도 외벽작업에 필요한 정도의 간격을 두고 고소 구조물의 외벽과 이격되어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간격스페이서(129)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외벽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막대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외벽을 향하여 연장된 길이가 증감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행거연결부재(121)에 간격스페이서(129)의 단부가 관통하는 끼움부재를 설치하고, 간격스페이서(129)의 위치를 조정한 후, 끼움부재에 구비된 볼트 등의 체결고정재를 조여서 간격스페이서(129)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간격스페이서(129)의 연장 길이를 증감시키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벽작업모듈과 고소 구조물의 외벽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슬링(111)이 후크 본체(11)에 끼워진 채로 후크 본체(11)의 경사부분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데, 이 때 슬링(111)이 승하강하여 행거연결부재(121)의 위치가 바뀔 때에는 간격스페이서(129)의 길이를 쉽게 조절함으로써, 행거연결부재(121)가 안정적으로 외벽에 기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로프웨이 케이블(1)은 처짐이 방지되도록 팽팽하게 긴장(緊張)된 상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로프웨이 케이블(1)을 긴장시켜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특별한 단부정착모듈(13)을 이용할 수 있는데, 도 6에는 단부긴장모듈(13)에 의해 로프웨이 케이블(1)의 일측 단부가 긴장 정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긴장모듈(13)은, 수평하게 진출해온 로프웨이 케이블(1)의 방향을 상향 경사지게 절곡하는 방향전환 부재들과, 방향 전환된 로프웨이 케이블(1)의 단부를 당겨서 고정시키는 긴장정착 부재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전환 부재들에는, 하단에 제1도르래(331)가 구비된 방향전환 지지부재(321)와, 상기 방향전환 지지부재(321)를 외벽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후크(310)가 포함된다. 방향전환 지지부재(321)는 고정후크(31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후크(310)에 결합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개방창의 가장자리 상면과 외벽에 밀착하도록 절곡판(320)이 설치되고, 고정후크(310)는 절곡판(320)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방향전환 지지부재(321)는 판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게 되는 보조 케이블 행거(33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방향전환 지지부재(321)를 이루는 판부재의 하단에는 제1도르래(331)가 구비되어 있다.
로프웨이 케이블(1)의 단부정착 및 고정을 위한 긴장정착 부재들은 개방창(910)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벽체부(911)를 이용하여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중간벽체부(911)의 가장자리면에 각각 제1 및 제2밀착판(353, 354)이 설치되고, 제1 및 제2밀착판(353, 354) 각각에는 개방창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빔(351, 352)이 설치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봉(355, 356)이 지지빔(351, 352)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밀착판(353, 354)과 지지빔(351, 352)과 고정봉(355, 356)이 중간벽체부(911)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설치된다. 제2밀착판(354)에는 추가적인 제2도르래(332)가 장착되는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로프웨이 케이블(1)의 단부는 방향전환 지지부재(321)에 구비된 제1도르래(331)에 의해 경사지게 꺾인 후, 밀착판(354)에 구비된 제2도르래(332)를 통과하면서 진행해오던 방향과 반대가 되도록 수평하게 진행하게 되고, 수평하게 진행된 로프웨이 케이블(1)의 단부에는 케이블 정착구(360)가 결합되며,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나사부가 형성된 강봉(361)이 케이블 정착구(360)에 나사결합된다. 타측의 지지빔(351)에도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나사부가 형성된 강봉(363)이 결합되고, 2개의 강봉(361, 363)은 턴버클(362)에 의해 연결된다. 도면에서 보이는 외측면과 반대되는 면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정착구와 강봉, 그리고 턴버클이 설치된다. 따라서 턴버클(362)을 회전시키게 되면 2개 강봉(361, 363)이 서로를 향하여 당겨지면서 로프웨이 케이블(1)의 단부가 타측 지지빔(351)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그에 따라 로프웨이 케이블(1)은 팽팽하게 긴장(緊張)되며, 이렇게 긴장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홀딩박스(2)는 로프웨이 케이블(1)에 결합된 상태로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횡이동하게 되는데,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홀딩박스 견인줄(28)을 이용하여 홀딩박스(2)를 횡방향 이동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홀딩박스(2)에 연결된 홀딩박스 견인줄(28)은 방향전환 지지부재(321)에 구비된 도르래를 지나가면서 절곡된 후 제2밀착판(354)에 구비된 윈치(341)에 결합되는데, 윈치(341)를 작동시키면 홀딩박스 견인줄(28)이 감기면서 홀딩박스(2)는 윈치(341) 방향으로 당겨져서 수평하게 횡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단부긴장모듈(13)은 로프웨이 케이블(1)의 타측 단부 즉, 도 3의 원 C부분에도 동일하게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일측에서 홀딩박스 견인줄(28)을 감아서 당길 때에는 타측의 홀딩박스 견인줄은 느슨하게 되거나 또는 타측에 구비된 윈치는 타측 홀딩박스 견인줄을 풀어주는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단부긴장모듈(13)은 로프웨이 케이블(13)의 양쪽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단부긴장모듈(13)을 이용하여 로프웨이 케이블(1)을 팽팽하게 긴장(緊張)시켜서 설치하게 되는 바, 외벽작업모듈(4)을 매단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에 결합된 채로 수평방향으로 횡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벽작업 영역(S)의 외벽작업을 마친 후에는 고소 구조물의 높이를 따라 내려오면서 반복적으로 상기한 방식으로 로프웨이 케이블(1)을 설치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초고층 건물을 비롯한 어떠한 높이의 고층건물이나 고가교량, 저장탱크 등의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단부긴장모듈(13)과 벽체걸이 후크장치(10)가 개방창(910)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바, 종래 기술의 크레인 형태의 권양장치용 고정 설비와 달리, 그 설치위치가 옥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벽체걸이 후크장치(10)의 후크 본체(11)가 설치될 수 있는 개방창(910) 또는 이에 대응되는 개방된 부분이나 고정부가 존재하는 곳이라면 고소 구조물의 어느 곳에든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외벽작업 영역이 고소 구조물의 높이 중간이나 저층에 위치할 경우에, 연직와이어를 옥상에서부터 길게 늘어뜨리지 않고, 외벽작업 영역 인근에서부터 연직와이어를 늘어뜨릴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외벽작업모듈이 매달려야 할 길이가 상대적으로 줄게 되어, 그만큼 승하강하게 되는 거리의 감소 및 그에 따른 작업안전성 증대와 작업효율 향상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종래의 옥상고정 방식으로는 외벽작업이 거의 불가능한 초고층 건물과 같은 매우 높은 고소구조물인 경우에도, 외벽작업의 수평이동수단으로서 개방창을 이용한 본 발명의 로프웨이 시스템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높이의 고소구조물에 대해서도 각종 외벽작업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로프웨이 케이블(1)은 행거 유닛(12)의 케이블 행거(400)를 관통하게 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 행거(400)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된다. 도 7에는 행거연결부재(121)에서 케이블 행거(400)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케이블 행거(400)에 구비된 스윙게이트(410)만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8의 케이블 행거(400)에서 스윙게이트(410)가 닫혀서 케이블 행거(400)의 하부 슬릿(Slit)(490)이 폐쇄되고 로프웨이 케이블(1)이 케이블 행거(400)를 관통하여 매달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도 7의 케이블 행거(400)에서 스윙게이트(410)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횡방향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 행거(400)는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는 중공이 존재하는 링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하부에는 절취되어 개방된 슬릿(490)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슬릿(490)을 개폐하는 스윙게이트(Swing Gate)(410)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 행거(400)의 일측 외면에는 스윙게이트(410)가 끼워져서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 홈(41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412)에는 스윙게이트(410)가 삽입되는데, 가이드 홈(412)에는 압축 스프링(411)이 내장되어 있어서, 홀딩박스가 통과하지 않을 때에는 가압력에 의해 스윙게이트(410)를 가이드 홈(412) 밖으로 밀어줘서 스윙게이트(410)가 슬릿(490)을 막게 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 행거(4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된 링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이 케이블 행거(400)를 관통하여 안전하게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통과하여야 할 때에는,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스윙게이트(410)에 닿으면서 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스윙게이트(410)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되어 가이드 홈(412) 속으로 더 들어가게 되어 슬릿(490)이 개방되고, 그에 따라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슬릿(490)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홀딩박스(2)는 케이블 행거(400)에 의해 지장을 받지 않고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원활하게 수평방향으로 횡이동할 수 있게 된다.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스윙게이트(410)가 가이드 홈(412)으로 밀려들어오면서 눌려있었던 압축 스프링(411)이 복원력을 발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윙게이트(410)가 다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릿(490)을 폐쇄하게 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은 다시 케이블 행거(400)에 안전하게 걸려있게 된다.
위와 같이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스윙게이트(410)에 닿았을 때 스윙게이트(410)가 더욱 원활하게 가이드 홈(412)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목 부분(511)이 처음 닿게 되는 스윙게이트(410)의 시점부 단부에는 경사진(약 45도로 경사진) 모따기부(420)를 형성한다(도 8 참조). 후술하는 것처럼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에서도 목 부분(511)의 횡방향 가장자리에 약 45도 형태의 등변삼각 경사면(520)을 형성하게 되면, 모따기부(420)와 목 부분(511)의 경사면(520)이 맞닿게 되어 스윙게이트(410)의 개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스윙게이트(410)가 구비된 케이블 행거(400)는 행거연결부재(121)에 설치되며, 특히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복수개의 케이블 행거(400)에서 스윙게이트(41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모두 동일한 방향에 존재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스윙게이트(410)의 위치가 서로 반대쪽에 있도록 케이블 행거(400)가 엇갈리게 구비될 수도 있다. 목 부분(511)을 평면형태로 절단하여 그 단면 형태를 보면, 목 부분(511)의 전후방 진출입 부분은 등변 삼각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홀딩박스가 전진할 때 또는 필요에 따라 후진할 때, 목 부분(511)이 용이하게 케이블 행거(400)에 형성된 스윙게이트 모따기부(420)의 경사면을 밀어 올려 슬릿(490)이 개방되게 만드므로, 홀딩박스의 전후진에 상관없이 언제나 홀딩박스(2)가 케이블행거(400)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외벽작업모듈(4)을 매달고 있는 홀딩박스(2)는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수평하게 횡이동하게 되는데, 로프웨이 케이블(1)은 케이블 행거(400)에 매달려 있으므로, 케이블 행거(400)는 홀딩박스(2)가 이동할 때 장애물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케이블 행거(400)는 하부에 개방된 슬릿(490)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개폐하는 스윙게이트(410)가 구비되어 있는 바, 홀딩박스(2)의 수평이동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스윙게이트(410)가 슬릿(490)을 폐쇄하여 로프웨이 케이블(1)이 케이블 행거(400)를 관통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케이블 행거(400)에 매달려 있게 하면서도, 홀딩박스(2)가 횡이동할 때에는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스윙게이트(410)를 밀어서 슬릿(490)이 개방되고, 그에 따라 홀딩박스(2)는 매우 원활하게 케이블 행거(400)를 지나서 수평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통해서 케이블 행거(400)가 홀딩박스(2)의 이동에 지장을 주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되는 것이다.
도 13에는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에 이동가능하게 매달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원 G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의 (a) 및 (b)에는 각각 홀딩박스(2)에 구비된 케이블 결합부(510)가 로프웨이 케이블(1)에 매달려 있는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 13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도 14의 (a))와 개략적인 횡방향 정면도(도 14의 (b))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의 (b)에서 화살표 Y-Y에 따른 연직방향으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도 14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는 홀딩박스(2)가 화살표 방향으로 케이블 행거(400)를 통과하기 위하여 케이블 결합부(510)가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의 (a) 내지 (d)에는 각각 케이블 결합부(510)가 슬로프(430)를 가지는 케이블 행거(400)에 접근하여 진입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14 내지 도 17에서는 후술하는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고, 도 18에서는 관통케이스(512)와 케이블 행거(400)의 링부분만을 도시하였는데, 특히 케이블 행거(400)는 단면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홀딩박스(2)의 상부에는 케이블 결합부(510)가 구비되어 있는데, 케이블 결합부(510)는, 케이블 행거(400)의 슬릿(490)을 통과하기 위한 얇은 두께의 부재로 이루어진 목 부분(511)과, 상기 목 부분(511)의 위에 일체로 구비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게 되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관통케이스(5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목 부분(511)은 판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통케이스(512)의 내부에는 로프웨이 케이블(1)의 위를 타고 구름운동하는 롤러 풀리(Roller Pulley)(513)가 구비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홀딩박스(2)의 케이블 결합부(510)가 처음 닿게 되는 스윙게이트(410)의 시점부 단부에는 모따기부(4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스윙게이트(410)의 모따기부(420)에 닿게 되는 목 부분(511)의 양측 종방향 가장자리에서 횡방향 양면에 각각 등변 삼각형 형태의 경사면(5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목 부분(511)의 양측 종방향 가장자리에는 경사면(52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 경사면(520)의 경사각도는 약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따기부(420)와 경사면(520)이 형성된 경우, 케이블 결합부(510)가 케이블행거(400)의 슬릿(490)을 통과할 때 목 부분(511)의 경사면(520)이 모따기부(420)와 만나서 매우 원활하게 스윙게이트(410)를 밀어줘서 슬릿(490)이 개방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홀딩박스(2)의 케이블 결합부(510)가 케이블 행거(400)의 스윙게이트(410)에 닿아서 횡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스윙게이트(410)는 수직으로 슬라이딩되어 가이드 홈(412)으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그에 따라 슬릿(490)이 개방되는데, 스윙게이트(410)에 모따기부(420)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케이블 결합부(510)에서 목 부분(511)의 횡방향 가장자리에도 경사진 부분(520)을 형성하게 되면, 스윙게이트(410)의 개방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 결합부(510)에서 관통케이스(512)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관통케이스(512)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완만한 슬로프로 경사지게 절단한 절취부(5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통케이스(512)의 횡방향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소정 거리만큼 하향 경사로 절단한 형태의 절취부(531)가 형성되는 것이다. 절취부(531)의 위쪽으로 관통케이스(512)의 양단부에는 종방향 단부로 갈수록 통형상의 단면 크기가 줄어드는 테이퍼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결합부(510)에서 목 부분(511)이 관통케이스(512)에 일체 결합되어 구비됨에 있어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목 부분(511) 상단의 종방향 길이는, 관통케이스(512) 양단의 절취부(531) 사이의 종방향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목 부분(511)이 관통케이스(512)의 결합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절취부(531)의 뒤쪽에서 관통케이스9512)에는 목 부분(511)이 존재하지 않은 짧은 원통구간(532)이 존재하게 된다. 즉, 관통케이스(512)의 횡방향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소정 거리만큼 하향 경사로 절단한 형태의 절취부(531)가 형성되며, 절취부(531)가 끝난 부분에 바로 후속하여 목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짧은 원통구간(532)이 관통케이스(512)에 존재하며, 원통구간(532)에 이어서 등변삼각 경사면(520)으로 시작하는 목 부분(511)이 관통케이스(512)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절취부(531)에 대응하여 도 18의 (a) 내지 (d)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 행거(400)의 내측면 중앙에는 위로 솟은 부분이 존재하여 케이블 행거(400)의 횡방향 양단부 방향으로는 하향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 슬로프(slope)부(430)가 형성된다. 케이블 행거(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슬로프부(430)의 경사진 각도는 절취부(531)의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관통케이스(512)가 케이블 행거(400)의 내부로 진입하였을 때, 관통케이스(512)의 절취부(531)가 케이블 행거(400)의 슬로프부(430)와 만나면서, 관통케이스(512)와 케이블 행거(400) 사이에 존재하는 단차(연직방향의 높이차)를 원활하게 넘어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8의 (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로프웨이 케이블(1)은 케이블 행거(400)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해오는 관통케이스(512) 내부에서는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케이스(512) 내부에 장착된 롤러 풀리(513)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홀딩박스(2) 등의 무게로 인하여 관통케이스(512)는 케이블 행거(400)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관통케이스(512)와 케이블 행거(400)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는 관통케이스(512)가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하는데 불편함을 야기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관통케이스(512)의 횡방향 양단부에 완만한 슬로프로 경사지게 절단한 절취부(531)를 형성하고, 케이블 행거(400)의 내측면 중앙에는 절취부(531)의 경사진 것에 대응하는 각도를 가지도록 횡방향 양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 슬로프부(430)를 형성함으로써, 위와 같은 단차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관통케이스(512)가 원활하게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하여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순조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발휘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블 행거(400)의 스윙게이트(410)에 의해 슬릿(490)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홀딩박스(2)의 관통케이스(512)가 케이블 행거(400)로 접근하면서, 우선적으로 관통케이스(512)의 절취부(531)가 케이블행거(400)로 진입한다. 절취부(531)는 케이블 행거(400) 내부의 슬로프부(430)와 동일하게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므로, 관통케이스(512)와 케이블 행거(400) 사이의 높이 차이에 의한 단차에도 불구하고 절취부(531)가 도 18의 (b) 내지 (d)에 도시된 것처럼 슬로프부(430)에 밀착한 상태로 관통케이스(512)가 슬로프부(430)를 따라 올라가면서 케이블 행거(400)로 원활하게 진입하게 된다. 즉, 관통케이스(512)의 절취부(531)는 단차를 극복하면서 용이하게 우선적으로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절취부(531)의 아래쪽 및 종방향으로 절취부(531)에 후속하는 짧은 원통구간(532)에는 목 부분(511)이 아직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절취부(531)가 케이블 행거(400)로 진입하는 것이 매우 자연스럽게 진행된다.
케이블 결합부(510)가 도 18의 (c)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조금 더 케이블 행거(400) 내부로 진입하여, 절취부(531) 및 그에 후속하는 원통구간(532)이 케이블 행거(400) 속으로 완전히 진입한 후에는, 목 부분(511)의 종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면(520)이 스윙게이트(410)에 닿게 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것처럼 목 부분(511)에 형성된 경사면(520)이 스윙게이트(410)의 모따기부(420)와 만나면서 스윙게이트(410)를 밀어주는 힘을 가해지고, 그에 따라 스윙게이트(410)가 가이드 홈(412) 속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슬릿(490)이 개방된다. 후속하여 도 18의 (d)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된 슬릿(490)을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통과하게 되어, 홀딩박스(2)는 케이블 행거(400)로 인한 아무런 지장도 받지 않은 채 횡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통과하는 과정이 매우 수월하고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것이다.
외벽작업모듈(4)이 연직방향으로 수직이동하는 동안에, 그리고 외벽작업모듈(4)에 의해 외벽에 대한 외벽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홀딩박스(2)는 로프웨이 케이블(1) 상에 정지하고 있어야 한다. 홀딩박스(2)에 모터와 같은 자동주행 수단을 설치하여, 홀딩박스(2)가 자체적으로 주행하고 멈출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홀딩박스(2)에 홀딩박스 견인줄을 연결하여 견인줄을 횡방향으로 당기는 방식으로 홀딩박스(2)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홀딩박스(2)를 로프웨이 케이블(1) 상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가 홀딩박스(2)에 구비되어야 한다. 도 19 및 도 20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상태의 도 13의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9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잠김상태에 있어 홀딩박스(2)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해제되어 홀딩박스(2)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브레이크 장치에는, 상단에 브레이크 패드(570)가 장착되어 있고 하단은 케이블 결합부(510) 또는 홀딩박스(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 바(Bar)(571)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바(571)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브레이크 패드(570)가 로프웨이 케이블(1)에 접하게 되면 마찰에 의해 홀딩박스(2)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브레이크 작동 상태"가 되고, 반대로 회전 바(571)가 하향 회전하여 브레이크 패드(570)가 로프웨이 케이블(1)과 더 이상 접하지 않게 되면 홀딩박스(2)가 움직일 수 있는 "브레이크 해제 상태"가 된다.
회전 바(571)는 케이블 결합부(510)의 횡방향 양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횡방향 양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회전 바(571)는 수평 연결바(57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수평 연결바(573)의 양단은 각각 횡방향 양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회전 바(57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 연결바(573)의 양단은 회전 바(571)를 따라 회전 바(571)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 연결바(573)가 하향으로 내려가면, 이와 결합되어 있는 양쪽의 회전 바(571)가 하향 회전하여 브레이크가 풀려서 홀딩박스(2)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수평 연결바(573)가 상향으로 올라가면, 이와 결합되어 있는 양단 쪽의 회전 바(571)가 상향 회전하여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홀딩박스(2)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수평 연결바(573)의 연직방향 승하강을 위하여 승하강 지지봉(5730)이 수평 연결바(573)의 중앙 위치에 존재하며, 승하강 지지봉(5730)에는 2개의 도르래 즉, 상,하부 도르래(576, 577)가 구비되어 있으며, 수평 연결바(573)는 상,하부 도르래(576, 57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은 일측에서부터 수평으로 진행하여 상부 도르래(576)를 거쳐 하향으로 방향 전환하고 하부 도르래(577)을 거쳐서 다시 상향으로 방향 전환한 상태로 수평 연결바(573)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제1방향(도면에서 오른쪽으로)으로 당기게 되면 수평 연결바(573)는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승하강 지지봉(5730)이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양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연결바(573)의 아래쪽에는 압축스프링부재(580)이 연직하게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브레이크의 해제를 위하여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제1방향(도면에서 오른쪽으로)으로 당기면 수평 연결바(573)가 하강되면서 브레이크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부재(580)는 압축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더 이상 당기지 않게 되면 압축스프링부재(580)이 자동적으로 팽창 복원하면서 수평 연결바(573)를 위로 상승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상태로 자동 복원된다.
홀딩박스(2)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방향 홀딩박스 견인줄과,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각각 별개로 구비할 수도 있지만, 위와 같이 압축스프링부재(580)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자동 복원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홀딩박스(2)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딩박스 견인줄(28)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1개의 줄을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과 홀딩박스 견인줄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홀딩박스(2)의 이동을 위하여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제1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 연결바(573)가 하강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수평 연결바(573)의 양단부는 회전 바(571)를 따라서만 움직이므로, 홀딩박스(2)의 이동을 위하여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계속 당겨도 수평 연결바(573)는 더 이상 내려가지 않은 채 브레이크 해제 상태는 계속 유지되며, 홀딩박스(2)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당기는 방향 즉, 제1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홀딩박스(2)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더 이상 당기지 않게 되는데, 압축스프링부재(580)가 구비된 구성에서는 압축스프링부재(580)가 자동적으로 팽창 복원되어 수평 연결바(573)가 자동적으로 위로 상승되면서 브레이크가 작동하게 되고 홀딩박스(2)는 로프웨이 상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이 연장되는 제1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더 설치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홀딩박스(2)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또다른 홀딩박스 견인줄과,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각각 별개로 구비할 수도 있다.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은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과는 반대쪽에서부터 수평하게 진행해 와서 상부 도르래(576)를 거쳐 하향으로 방향 전환한 후 하부 도르래(577)을 거쳐서 다시 상향으로 방향 전환한 상태로 수평 연결바(573)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제2방향(도면에서 왼쪽으로)으로 당기게 되면 수평 연결바(573)는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압축스프링부재(580)가 구비된 경우,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압축스프링부재(580)의 팽창 복원에 의해 수평 연결바(573)가 자동적으로 위로 상승되면서 브레이크가 다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압축스프링부재(580)가 구비된 경우에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과 마찬가지로,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 역시 홀딩박스(2)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홀딩박스 견인줄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제2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 연결바(573)가 하강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수평 연결바(573)의 양단부는 회전 바(571)를 따라서만 움직이므로,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계속 당기게 되면 수평 연결바(573)는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되어 브레이크 해제 상태는 계속 유지되며, 홀딩박스(2)는 제2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홀딩박스(2)의 이동이 완료되고,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을 더 이상 당기지 않게 되면 압축스프링부재(580)가 자동적으로 팽창 복원되어 수평 연결바(573)가 자동적으로 위로 상승되면서 브레이크가 작동하게 되고 홀딩박스(2)는 로프웨이 상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줄을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과 제2방향 홀딩박스 견인줄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양쪽으로 연장된 2개의 브레이크 견인줄(578, 579)이 구비되고 2개의 브레이크 견인줄이 각각 홀딩박스를 횡이동시키기 위한 홀딩박스 견인줄로서의 기능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당겨서 홀딩박스(2)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때는,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이 자연스럽게 풀려져야 하고, 이와 반대로 제2브레이크 견인줄(579)이 당겨질 때는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이 풀려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홀딩박스(2)에 매달린 외벽작업모듈(4)이 하향 이동되는 동안에, 외벽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그리고 외벽작업모듈(4)이 다시 인상되는 동안에는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 상에서 정지하게 되며, 해당 작업 폭(W)의 외벽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홀딩박스의 브레이크 상태를 해제하여 홀딩박스를 수평하게 횡이동시킨 후, 다시 브레이크 견인줄의 인장력을 풀어주면 압축스프링부재(580)의 복원력에 의해 브레이크가 다시 자동으로 작동하여 홀딩박스(2)가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하향으로의 외벽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바, 홀딩박스를 로프웨이 케이블을 따라 횡이동시키면서 외벽작업을 연속적으로 그리고 매우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외벽작업의 종류에 따라 각종 공급관, 전원 케이블 등과 같은 작업선(線)들이 요구되며, 이러한 작업선들이 외벽작업모듈(4)에 연결되어야 하는 바, 본 발명의 로프웨이 시스템(100)에는 이러한 작업선들이 가지런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해주는 갈고리형상의 작업선 행거(480)가 로프웨이 케이블(1)에 이동 가능한 형태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1에는 작업선 행거(480)가 로프웨이 케이블(1)을 타고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도 21에 도시된 작업선 행거(480)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작업선 행거(480)는, 케이블 결합부(510)와 유사하게, 케이블 행거(400)의 슬릿(490)을 통과하기 위한 얇은 두께로 된 목 부분(481)과, 상기 목 부분(481)의 위에 구비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게 되는 통형상의 관통케이스(4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작업선 행거(480)의 관통케이스(483)에도 케이블 결합부(510)의 절취부(531)와 동일한 형태의 절취부(484)가 형성되며, 절취부(531)의 종방향 뒤쪽으로 목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짧은 직선구간(485)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케이블 결합부(510)와 동일하다.
관통케이스(483)의 내부에는 로프웨이 케이블(1)의 위를 타고 구름운동하는 롤러 풀리(Roller Pulley)가 구비되어 있다. 목 부분(481)의 하단에는, 작업선이 놓이게 되는 갈고리 형태의 받침부(482)와, 홀딩박스 견인줄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고리부(454)가 구비되어 있다. 받침부(482)에는 작업선이 구분되어 놓이도록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작업선을 구분 짓기 위한 돌기(4820)가 돌출 구비될 수도 있다. 작업선 행거(480)의 목 부분(481)과 관통케이스(483), 그리고 롤러 풀리(484)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업선 행거(480)가 케이블 행거(400)를 통과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케이블 결합부(510)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은 작업선 행거(480)는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수평 이동하는 홀딩박스(2)의 후방에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역할을 하도록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며, 외벽작업에 요구되는 전선, 세척수 호스, 고압공기 호스 등의 각종 작업선들이 작업선 행거(480)에 걸쳐진다. 홀딩박스(2)의 이동을 위한 홀딩박스 견인줄은 고리부(454)에 걸쳐지며, 그에 따라 홀딩박스 견인줄은 과도한 처짐 없이 로프웨이 케이블(1)과 나란하게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23에는 본 발명에 따라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에 결합되어 있으며, 홀딩박스(2)로부터 아래로 늘여 뜨려진 연직와이어(3)의 하단에 면진모듈을 설치하고, 면진모듈(6)에 외벽작업모듈(4)을 결합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에는 도 21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도 24에 도시된 상태에서 면진모듈(6)이 진동을 흡수하여 변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되는 홀딩박스(2)에는 그 아래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면서 외벽작업을 하는 외벽작업모듈(4)이 연직와이어(3)에 의해 매달리게 된다. 본 발명의 로프웨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외벽작업은 다양하므로, 홀딩박스(2)에 매달리는 외벽작업모듈(4) 역시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작업대가 외벽작업모듈(4)에 해당할 수도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인력에 의한 외벽작업의 경우, 인건비의 부담, 구인난 등으로 인하여 자동화하려는 추세가 있는 바, 자동청소장치 등과 같이 외벽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장치가 외벽작업모듈(4)에 해당할 수도 있다. 따라서 편의상 도 23 내지 도 24에서는 외벽작업모듈(4)을 사각형의 상자형태로 단순화시켜 도시하였다.
홀딩박스(2)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부재로서, 그 내부 공간에는 연직와이어(3)를 감아주고 풀어주는 권양장치(551)가 구비되어 있다. 홀딩박스(2)의 바닥판에는 연직와이어(3)가 아래로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572)이 형성되어 있다. 연직와이어(3)가 관통공(572)을 지나서 승하강할 때 연직와이어(3)가 과도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연직와이어가 통과하게 되는 작은 구멍을 가지고 있는 와이어 지지대(552)가 홀딩박스(2)의 내부 공간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외벽작업에 필요한 전선, 세척수 호스, 고압공기선 등의 각종 작업선들이 홀딩박스(2)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와서 관통공(572)을 통과하여 아래로 내려갈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홀딩박스(2)에는 작업선의 인입을 위한 인입구(570)가 형성되어 있다.
홀딩박스(2)로부터 아래로 내려진 연직와이어(3)에는 외벽작업모듈(4)이 설치된다. 그런데 연직와이어(3)가 늘어뜨려진 길이가 길어지면 외벽작업모듈(4)이 측면에서 받는 풍압 등으로 인하여 벽면 좌우로 흔들리면서 진자운동의 진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진동 발생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연직와이어(3)의 하단에 면진모듈(6)을 설치하고, 이러한 면진모듈(6)에 외벽작업모듈(4)을 설치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면진모듈(6)은 홀딩박스(2)로부터 아래로 늘여 뜨려진 연직와이어(3)의 하단에 매달려 설치되는 면진판(560)과, 그 하면에 구비되어 변형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는 면진패드(5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벽작업모듈(4)은 면진패드(561)에 결합된다. 연직와이어(3)를 통해서 홀딩박스(2)에 매달린 외벽작업모듈(4)은 면진모듈(6)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면에서 풍압 등을 받을 경우, 큰 진폭의 진자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연직와이어(3)의 하단과 외벽작업모듈(4) 사이에 면진모듈(6)을 장착하게 되면, 풍압 등과 같은 외력이 작용에 의해 큰 진폭의 진자운동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면진모듈(6)의 면진패드(561)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면서, 외벽작업모듈(4)을 진동으로부터 분리(Base Isolation)시키게 되므로 외벽작업모듈(4)의 전체적인 진동이 현저히 저감되며, 안정적인 외벽작업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1: 로프웨이 케이블
2: 홀딩박스
3: 연직와이어
4: 외벽작업모듈
400: 케이블행거
410: 스윙게이트

Claims (10)

  1. 고소 구조물에 대한 외벽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외벽작업모듈(4)을 연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고, 수평하게 횡이동시키기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100)으로서,
    고소 구조물(900)의 외벽에 형성된 개방창(910)에 고정 설치되며 케이블 행거(400)가 구비된 벽체걸이 후크장치(10)와,
    벽체걸이 후크장치(10)의 케이블 행거(400)에 관통하여 매달린 형태로 외벽작업 영역(S)의 횡방향 작업구간(L)에 걸쳐서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로프웨이 케이블(1)과,
    권양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로프웨이 케이블(1)에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510)를 구비하고 있는 홀딩박스(2)와,
    홀딩박스(2)에 구비된 권양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는 외벽작업모듈(4)이 매달려 설치되는 연직와이어(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 상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연직와이어(3)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모듈(4)이 승하강하면서 외벽작업을 수행한 후, 홀딩박스(2)가 수평방향으로 횡이동하고 다시 홀딩박스(2)가 정지된 상태에서 연직와이어(3)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모듈(4)이 승하강하면서 외벽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게 하며;
    벽체걸이 후크장치(10)에 구비된 케이블 행거(400)는, 링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절취되어 개방된 슬릿(49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490)을 개폐하는 스윙게이트(410)가 구비되어 있고;
    홀딩박스(2)의 케이블 결합부(510)는, 케이블 행거(400)의 슬릿(490)을 통과하는 목 부분(511) 및 상기 목 부분(511)의 위에 일체로 구비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게 되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관통케이스(512)를 포함하고 있어서;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횡이동할 때, 목 부분(511)이 슬릿(490)에 도달하여 스윙게이트(410)에 닿아서 밀어주면, 스윙게이트(410)가 개방되어 목 부분(511)이 슬릿(490)을 지나가면서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통과하게 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행거(400)의 일측 외면에는 스윙게이트(410)가 끼워져서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 홈(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412)에는 스윙게이트(410)가 삽입되는데, 가이드 홈(412)에는 압축 스프링(411)이 내장되어 있어서;
    목 부분(511)이 슬릿(490)에 도달하여 스윙게이트(410)에 닿게 되면, 스윙게이트(410)가 슬라이딩되어 가이드 홈(412) 속으로 더 들어가게 되어 슬릿(490)이 개방되며;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완전히 통과한 후에는 스윙게이트(410)가 가이드 홈(412)으로 밀려들어오면서 눌려있었던 압축 스프링(411)이 복원력을 발휘하게 되어, 스윙게이트(410)가 다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슬릿(490)을 폐쇄하게 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은 다시 케이블 행거(400)에 걸려있는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처음 닿게 되는 스윙게이트(410)의 시점부 단부에는 경사진 모따기부(4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따기부(420)에 닿게 되는 관통케이스(512)의 목 부분(511)의 양측 횡방향 가장자리 양면에 각각 경사면(520)이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블 결합부(510)가 케이블행거(400)의 슬릿(490)을 통과할 때 목 부분(511)의 경사면(520)이 모따기부(420)와 만나서 스윙게이트(410)에 횡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스윙게이트(410)가 가이드 홈(412) 속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슬릿(490)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행거(400)의 내측면 중앙에는 횡방향 양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진 면을 가지는 슬로프부(430)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 결합부(510)에 구비된 관통케이스(512)의 횡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로 절단한 형태의 절취부(5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취부(531)의 뒤쪽으로는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부착되지 않은 원통구간(532)이 존재하며;
    홀딩박스(2)의 관통케이스(512)가 횡이동하여 케이블 행거(400)로 접근하면 절취부(531)가 슬로프부(430)에 밀착한 상태로 관통케이스(512)가 케이블 행거(400) 내로 진입한 후, 케이블 결합부(510)의 목 부분(511)이 스윙게이트(410)를 밀어서 슬릿(490)을 개방시켜서 슬릿(490)을 통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단에 브레이크 패드(570)가 장착되어 있고 하단은 케이블 결합부(510) 또는 홀딩박스(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 바(571)가 케이블 결합부(510)의 횡방향 양쪽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고;
    한 쌍의 회전 바(571)는 수평 연결바(57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수평 연결바(573)의 양단은 회전 바(571)에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회전 바(571)를 따라 회전 바(571)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승하강 지지봉(5730)이 수평 연결바(573)의 중앙 위치에 존재하며, 승하강 지지봉(5730)에는 상,하부 도르래(576, 577)가 구비되어 있고, 수평 연결바(573)는 상,하부 도르래(576, 577)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은 일측에서부터 수평으로 진행하여 상부 도르래(576)를 거쳐 하향으로 방향 전환하고 하부 도르래(577)를 거쳐서 다시 상향으로 방향 전환한 상태로 수평 연결바(573)와 결합되어 있고;
    승하강 지지봉(5730)이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양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연결바(573)의 아래쪽에는 압축스프링부재(580)가 연직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제1방향으로 수평 연결바(573)가 하강되면서 회전 바(571)가 하향 회전하여 브레이크 패드(570)가 로프웨이 케이블(1)로부터 이격되어 브레이크가 풀려서 홀딩박스(2)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부재(580)는 압축상태에 있게 되고, 제1브레이크 견인줄(578)을 더 이상 당기지 않게 되면 압축스프링부재(580)이 팽창 복원하면서 수평 연결바(573)가 위로 상승됨으로써 회전 바(571)가 상향 회전하여 브레이크 패드(570)가 로프웨이 케이블(1)에 접하게 되면 마찰에 의해 홀딩박스(2)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상태로 자동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체걸이 후크장치(10)는, 일단은 개방창(910)에서 가장자리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개방창(910)의 가장자리 외측면 쪽에 위치하도록 개방창(910)의 가장자리 상면을 위에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후크본체(11)를 포함하며;
    후크 본체(11)에는 슬링(111)이 후크 본체(11)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져 있고;
    슬링(111)에는 행거 유닛(12)이 결합되어 있는데;
    행거 유닛(12)은 횡방향으로 연장된 빔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행거연결부재(121)을 포함하며;
    케이블 행거(400)는 행거연결부재(121)에 결합되어 있으며;
    행거연결부재(121)에는 외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간격스페이서(129)가 구비되어, 행거연결부재(121)가 간격스페이서(129)의 길이만큼 외벽과 간격을 두고 외벽에 기대어진 상태를 유지한 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
  8.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벽작업을 위하여 외벽작업모듈(4)에 연결될 작업선들이 배치되는 작업선 행거(480)가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로프웨이 케이블(1)에 결합되어 있는데;
    작업선 행거(480)는,
    케이블 행거(400)의 슬릿(490)을 통과하기 위한 얇은 두께로 된 목 부분(481)과, 상기 목 부분(481)의 위에 구비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게 되는 관통케이스(483)와, 목 부분(481)의 하단에 구비되어 작업선이 놓이게 되는 갈고리 형태의 받침부(48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
  9.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딩박스(2)로부터 아래로 늘여 뜨려진 연직와이어(3)의 하단에는 면진모듈(6)이 구비되어 있는데,
    면진모듈(6)은 연직와이어(3)에 매달려 설치되는 면진판(560)과, 상기 면진판(560)의 하면에 구비되어 변형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는 면진패드(56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벽작업모듈(4)은 면진패드(561)에 결합되고;
    면진패드(561)가 변형되면서 외벽작업모듈(4)을 진동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외벽작업모듈(4)의 전체적인 진동을 저감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
  10. 고소 구조물에 대한 외벽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외벽작업모듈(4)을 연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고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서,
    고소 구조물의 외벽에 로프웨이 시스템(100)을 설치하고, 상기 로프웨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외벽작업모듈(4)을 설치하는데;
    로프웨이 시스템(100)은, 고소 구조물(900)의 외벽에 형성된 개방창(910)에 고정 설치되며 케이블 행거(400)가 구비된 벽체걸이 후크장치(10)와, 벽체걸이 후크장치(10)의 케이블 행거(400)에 관통하여 매달린 형태로 외벽작업 영역(S)의 횡방향 작업구간(L)에 걸쳐서 수평하게 횡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로프웨이 케이블(1)과, 권양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로프웨이 케이블(1)에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510)를 구비하고 있는 홀딩박스(2)와, 홀딩박스(2)에 구비된 권양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에는 외벽작업모듈(4)이 매달려 설치되는 연직와이어(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벽작업을 위하여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 상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연직와이어(3)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모듈(4)을 승하강시키고, 외벽작업 완료 후 홀딩박스(2)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홀딩박스(2)가 정지된 상태에서 외벽작업을 위하여 연직와이어(3)의 작동에 의해 외벽작업모듈(4)을 승하강시키게 되며;
    벽체걸이 후크장치(10)에 구비된 케이블 행거(400)는, 링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절취되어 개방된 슬릿(49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490)을 개폐하는 스윙게이트(410)가 구비되어 있고;
    홀딩박스(2)의 케이블 결합부(510)는, 케이블 행거(400)의 슬릿(490)을 통과하는 목 부분(511) 및 상기 목 부분(511)의 위에 일체로 구비되어 로프웨이 케이블(1)이 관통하게 되는 통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관통케이스(512)를 포함하고 있어서;
    홀딩박스(2)가 로프웨이 케이블(1)을 따라 횡이동할 때, 목 부분(511)이 슬릿(490)에 도달하여 스윙게이트(410)에 닿아서 밀어주면, 스윙게이트(410)가 개방되어 목 부분(511)이 슬릿(490)을 지나가면서 홀딩박스(2)가 케이블 행거(400)를 통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웨이 시스템을 이용한 외벽작업모듈의 이동방법.
KR1020190058963A 2019-05-20 2019-05-20 고소 구조물에서의 외벽작업모듈 횡이동을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 이동방법 KR102011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63A KR102011392B1 (ko) 2019-05-20 2019-05-20 고소 구조물에서의 외벽작업모듈 횡이동을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 이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63A KR102011392B1 (ko) 2019-05-20 2019-05-20 고소 구조물에서의 외벽작업모듈 횡이동을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 이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392B1 true KR102011392B1 (ko) 2019-08-16

Family

ID=6780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963A KR102011392B1 (ko) 2019-05-20 2019-05-20 고소 구조물에서의 외벽작업모듈 횡이동을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 이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3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9726A (zh) * 2020-11-12 2021-03-05 安徽得高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涂装设备
WO2022039332A1 (ko) * 2020-08-19 2022-02-24 최종대 구조물 균열점검 장치
CN114988034A (zh) * 2022-05-07 2022-09-02 重庆交通大学 一种物流运载缆车
CN114988034B (zh) * 2022-05-07 2024-05-03 重庆交通大学 一种物流运载缆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2974B2 (ja) * 1991-04-03 1997-05-21 株式会社フジタ 外壁pc部材の取付施工方法
KR101308975B1 (ko) 2012-03-21 2013-09-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물 외벽면의 구배에 대응하여 승하강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로봇 조립체
KR101486332B1 (ko) * 2013-09-05 2015-01-2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연속 빌레이용 셔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2974B2 (ja) * 1991-04-03 1997-05-21 株式会社フジタ 外壁pc部材の取付施工方法
KR101308975B1 (ko) 2012-03-21 2013-09-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물 외벽면의 구배에 대응하여 승하강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건물 외벽면 청소로봇 조립체
KR101486332B1 (ko) * 2013-09-05 2015-01-2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연속 빌레이용 셔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332A1 (ko) * 2020-08-19 2022-02-24 최종대 구조물 균열점검 장치
CN112439726A (zh) * 2020-11-12 2021-03-05 安徽得高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涂装设备
CN114988034A (zh) * 2022-05-07 2022-09-02 重庆交通大学 一种物流运载缆车
CN114988034B (zh) * 2022-05-07 2024-05-03 重庆交通大学 一种物流运载缆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006B1 (ko)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소 구조물의 외벽작업 시스템
KR100928870B1 (ko) 승강식 지주대
KR100923919B1 (ko) 천정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1392B1 (ko) 고소 구조물에서의 외벽작업모듈 횡이동을 위한 로프웨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벽작업모듈 이동방법
CA3034321A1 (en) Semi-automatic system for washing a building
JP2006233486A (ja) 横行式作業装置およびこれによる作業方法
JP2002138659A (ja) 簡易組立型のゴンドラ吊下式作業装置
JP2006299559A (ja) セルフクライミング足場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ルフクライミング方法
KR102416617B1 (ko)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97542A (ko) 커튼월 설치용 이동대차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JP2000335884A (ja) ウィン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出窓の設置方法
BRPI0407224B1 (pt) Guincho para re-localizar pelo menos material de construção e método para re-localizar material de construção por um guincho suspenso de um guindaste
CN210528240U (zh) 一种预制构件的吊具
CH677198A5 (en) Permanently mounted facade cleaning apparatus - has jib on roof for cabin cleaning suspension and guiding cables, also frames with suction cups
KR100375210B1 (ko)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JP3531820B1 (ja) 移動式簡易足場装置
CN116838110B (zh) 一种大跨度钢桁架屋顶下风管的安装方法
JP3029500B2 (ja) 全天候形ビル自動構築工法
CN210457264U (zh) 一种提高深井隧道敷设电缆效率的电缆提升装置
JP2670947B2 (ja) トンネル内における配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109831A (ja) ゴンドラの安定保持装置
JP2002129742A (ja) 壁面昇降のゴンドラ装置
KR200290596Y1 (ko)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커튼 월 설치장치
JPH01287363A (ja) 仮設工事用作業装置
JPH0718845A (ja) 昇降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