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210B1 -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210B1
KR100375210B1 KR10-1999-0056664A KR19990056664A KR100375210B1 KR 100375210 B1 KR100375210 B1 KR 100375210B1 KR 19990056664 A KR19990056664 A KR 19990056664A KR 100375210 B1 KR100375210 B1 KR 10037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struction
building
dus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450A (ko
Inventor
박윤업
Original Assignee
박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업 filed Critical 박윤업
Priority to KR10-1999-005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21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47Storey high safety barrier hung from the facade and sliding up from level to level as work prog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산하여 낙하되는 분진, 건자재 파편 등과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막아 줌과 동시에 설치 및 해체를 간편히 할 수 있고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 전천후 작업 공간을 조성하여 주는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 본 발명은 건축 골조의 외측을 방진 프레임으로 실드하고 이를 상기 건축 골조의 공기에 맞추어 상승 이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건축공사용 방진 장치에 있어서, 중심의 서포트로부터 양측방으로 보강로드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방진 프레임과, 상기 보강로드의 자유단으로 연결 조립되는 슬라이드 채널과, 상기 방진 프레임의 사방 모서리에서 상기 슬라이드 채널에 일체로 부착되고 통상의 족장이 가설되는 연결부재와, 건축 골조의 각 층 슬라브 상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현수하여 방진 프레임이 일정 위치로 지지되게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족장을 인양하는 윈치를 탑재하고 건축 골조의 각 층으로 이동 배치될 수 있는 윈치 캐리어로 구성된다.
효과 :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은 건축 공사장 주변으로 분진, 건자재 파편 등이 비산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안전한 작업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산재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또 방진 프레임과 인양수단을 별개로 구분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됨에 따라 방진 프레임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공사 규모에 맞춰 소규격화로도 시설이 가능하고, 윈치 등의 인양수단이 소용량으로 되기 때문에 시설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또 일정 범위로 규격화 된 방진 프레임을 개별적으로 위치 이동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사 진척도에 완전하게 일치시켜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Anti dust apparatus for construction works}
본 발명은 건축 공사 중에 골조 축조 후 내부에서 분진이나 건자재 파편 등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막아 주고 절기에 따른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사를 속행할 수 있게 하는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 오피스 빌딩은 ‘H’형강을 세우고 일정 높이마다 슬래브를 타설하여 층을 형성시킨 골조를 완성해 나가면서 건물 내부 구조에 관한 설비 공사를 행하고, 최종적으로 골조의 외부를 미리 만들어진 미장벽체 등으로 조립 시공하는 방법으로 축조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골조의 내부에서 설비 공사 중에 발생하는 분진, 건자재 파편, 콘크리트 등이 외부 주변으로 낙하 비산되어 주변을 더럽히거나 안전 사고를 불러 오게 되는 일이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 축조 시에는 골조의 외부에 족장 설치용 프레임 등을 조립 시공하고 이 프레임의 외측으로 방풍막을 쳐서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함과 동시에 추락 등의 안전사고도 예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건물의 층수가 높아질 수록 프레임을 시공하기가 어렵게 되고 또 높은 곳에서는 주변에서 몰아치는 바람도 드세어 방풍막이 쉽게 파열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동절기에는 거의 공사를 진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건축 골조의 몇 개 층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지고 네트와 방풍용 천막이 외부에 쳐진 프레임을 준비하고, 이 프레임에 건축 골조와 어울려 추진되게 하는 인양수단을 탑재한 다음에, 건축 골조의 외부로 시설하여 놓고 공사 진척도에 맞춰 단계적으로 상승 이동되게 한 구조의 분진 비산 방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 장치는 공사가 진행되는 층만 외풍을 차단시켜 주게 한 것이므로 일단 설비하여 놓으면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또 동절기에도 공사를 속행할 수 있어서 공기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분진 비산 방지장치의 중량이 무려 7톤 이상으로 무겁기 때문에 인양수단의 동력 용량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인양 시에는 프레임의 좌우 밸런스를 유지시키기가 곤란하여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가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비산하여 낙하되는 분진, 건자재 파편 등을 완벽하게 막아 줌과 동시에 설치 및 해체를 간편히 할 수 있고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로 된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골조의 외측을 방진 프레임으로 실드하고 이를 상기 건축 골조의 공기에 맞추어 상승 이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건축공사용 방진 장치에 있어서, 중심의 서포트로부터 양측방으로 보강로드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방진 프레임과, 상기 보강로드의 자유단으로 연결 조립되는 슬라이드 채널과, 상기 방진 프레임의 사방 모서리에서 상기 슬라이드 채널에 일체로 부착되고 통상의 족장이 가설되는 연결부재와, 건축 골조의 각 층 슬라브 상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현수하여 방진 프레임이 일정 위치로 지지되게 하는 고정부재에 의해 구현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연결부재는 고정부재와 연계되기 위하여 통로 형태의 현수부를 보유한다.
또 상기 현수부에는 핀 혹은 요동 가능한 훅크 형태의 스톱퍼가 배치된다.
상기 현수부를 통해 연결부재와 연계되는 고정부재는 대응하는 스톱퍼의 형태에 따라 요동 가능한 훅크나 돌기 형태의 지지부를 가진다.
고정부재는 지지부의 형태에 관계 없이 상기 슬라이드 채널을 타고 전동(轉動)하는 롤러가 선단에 장착된 아암을 보유한다.
상기 슬라이드 채널과 연결부재 사이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다.
다른 예로서, 슬라이드 채널의 양측변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조인트 채널을 그 개구 방향이 상기 슬라이드 채널과 반대가 되도록 배열하여 일체로 용접 연결 시켜 놓고, 상기 연결부재에서 조인트 채널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볼트로 나삽된 브레이크 슈우를 설치하여 상기 조인트 채널의 내측으로 브레이크 슈우를 삽입 위치 시킨 다음에 볼트를 죄어 주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가 슬라이드 채널에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구조로도 실시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브레이크 슈우는 볼트에 의해 죄어져 연결부재로 압착되는 면은 요철 가공되어서 논 슬립 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방진 프레임은 인력에 의존하여 각 층으로 운반 배치될 수 있는 인양수단에 견인되어서 건축물 골조의 외측을 승강 이동하게 된다.
인양수단은 윈치가 탑재된 구성으로 되거나 또는 유압 실린더나 상기 위치에 의해 승강 작동되는 붐을 갖춘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방진 프레임과 인양수단을 별개로 구분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됨에 따라 방진 프레임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공사 규모에 맞춰 소규격화로도 시설이 가능하고, 윈치 등의 인양수단이 소용량으로 되기 때문에 시설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또 일정 범위로 규격화 된 방진 프레임을 개별적으로 위치 이동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사 진척도에 완전하게 일치시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주요부로 되는 방진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진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는 연결부재와 족장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방진 프레임의 절첩을 위한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주요부로서 도 2에 도시한 연결부재를 지지시켜 주는 현수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현수구의 설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방진 프레임을 지지하기 전의 상태도.
도 6은 현수구와 방진 프레임의 연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건축 골조의 코너부분에 있어서 현수구와 방진 프레임의 연계 상태 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방진 프레임이 위치 상승 중인 때의 현수구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현수구에 의한 방진 프레임의 지지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 장치의 승강 이동에 적합한 인양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장치의 시공 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인양수단의 변형된 사용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장치의 승강 이동에 적합한 인양수단의 다른 구성을 도 11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연결부재와 현수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실시 예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방진 프레임을 지지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방진 프레임이 위치 상승 중인 때의 현수구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현수구에 의한 방진 프레임의 지지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연결부재와 현수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브레이크 슈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방진 프레임 4 : 슬라이드 채널
6 : 고정부재 8 : 인양수단
20 : 서포트 22 : 보강로드
40 : 블래킷 42 : 연결부재
44 : 족장 46 : 수평판
48 : 현수부 50 : 현수부재
62 : 아암 64 : 축
66, 500 : 훅크 68 : 안착홈
70 : 네트/방풍포 80 : 캐스터
82 : 몸체 84 : 포스트 바
86 : 가이드 롤러 88 : 유압 실린더
90 : 붐 92 : 걸고리
94 : 포크 660 : 돌기
C : 케이블 S : 슬라브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에서 주요부로 되는 방진 프레임의 전개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방진 프레임(2)은 중심의 서포트(20)에서 양측으로 연결된 보강로드(22)를 펼쳐 놓음에 따라 일정 면적에 걸쳐 전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각 보강로드(22)의 종단은 각각 슬라이드 채널(4)의 후방면에 부착된 블래킷(40)으로 해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채널(4)은 방진 프레임(2)의 사방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연결부재(42)를 장착하고 있고, 이 연결부재(42) 사이로 족장(44)이 수평 장착되고, 그 주변에는 일정 높이로 난간(45)아 배치되어서 상기 양 슬라이드 채널(4)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각 방진 프레임(2)의 내부는 턴 버클에 의한 조작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텐션 바가 교차상으로 연결되어서 격자상의 강도를 보강하여 주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진 프레임(2)은 건축 골조의 외부에 상하 좌우로 연속되게 배열 설치되고, 그 전체면에는 후술하는 네트/방풍포가 장설된다.
상기 연결부재(42)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족장(44)이 연결 지지되는 수평판(46)을 내측에 보유하고 있고, 또 외측면의 일부에는 슬라이드 채널(4)이 위치함과 아울러 홈 형태의 현수부(48)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족장(44)은 수평판(46)에 볼트 이음되는 것이므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족장(44)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난간(45)도 볼트등으로 슬라이드 채널(4)에 연결 부착된다.
그리고 홈 형태로 된 현수부(48)의 내측에는 축과 유사한 현수부재(50)가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방진 프레임(2)에서 슬라이드 채널(4)이 분리되었을 때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서포트(20)를 중심으로 보강로드(22)를 절첩하여 놓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보강로드(22)의 도중에는 서브 서포트를 추가하여 축 연결시켜 놓을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연결부재(42)는 도 4에 묘사된 고정부재(6)와 연계된다.
고정부재(6)는 건축 골조의 슬라브 상면에서 소정 개소로 매설되는 앵커 볼트 등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마운팅 플레이트(60)를 갖추고 있고, 또 일측부가 길게 연장되어 아암(62)을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그 종단에는 상기 슬라이드 채널(4)로 끼워져 전동되는 롤러(64)가 축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현수부(48)로 진입하여 그 내측의 현수부재(50)를 걸어 줄 수 있도록 일단이 축(64)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60)의 상방으로만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훅크(66)를 보유하고 있다. 이 훅크(66)에는 안착홈(68)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현수부재(50)의 외주면을 안정되게 받쳐 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6)가 건축 골조의 슬라브(S) 상면에 부착 고정되었을 때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아암(62)의 종단과 훅크(66)의 안착홈(68)이 슬라브(S)의 외측으로 연장 위치하게 되고, 이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채널(4)과 연결부재(42)의 현수부재(50)는 각각 상기 아암(62)의 롤러(64)와 훅크(66)의 안착홈(68)과 조우하여 안내되고 현수 된다.
도 6은 연결부재(42)가 훅크(66)에 의해 현수된 상태를 묘사하고 있다.
도면에서 아암(62)의 종단측 롤러(64)는 슬라이드 채널(4)의 내측면을 타고 전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채널(4)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해 준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42)와 고정부재(6)의 연계는 건축골조의 모서리 부분의 경우에 도 7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고정부재(6)를 직교상으로 배열하여 놓는 것으로 간단하게 행해질 수 있고, 이 때 양 고정부재(6)의 사이는 별도로 보강판(7)이 부착되어서 지지상태가 견고해지도록 보강될 수도 있다.
상기 방진 프레임(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42)가 슬라브(S)의 고정부재(6) 하측방에서 상승되는 것에 의해 건축 골조의 외측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시한 상태에서 방진 프레임(2)이 상승하게 되면 슬라이드 채널(64)은 롤러(64)를 따라 이동하면서 방진 프레임(2)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유지시킨 채로 상승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채널(64)의 이동에 의해 연결부재(42)도 상승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로 상기 훅크(66)가 현수부(48)와 일치되면서 그 내측으로 진입하여 현수부재(50)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훅크(66)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현수부재(50)에 의해 압상되면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러한 훅크(66)의 회동은 현수부재(50)의 상승이 지속되어서 상기 훅크(66)를 간섭할 수 없는 위치로 이동될 때 까지 계속된다.
상기 훅크(66)는 현수부재(50)의 간섭에서 벗어나게 되면, 자중의 작용으로복귀하여 상기 안착홈(68)을 현수부재(50)의 하측방에 위치시켜 놓게 된다. 다음에 상기 방진 프레임(2)을 상승 위치에서 약간 하강 이동시켜 주면 도 9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훅크(66)의 안착홈(68)에 상기 연결부재(42)의 현수부재(50)가 안정되게 지지되어 방진 프레임(2)이 건축 골조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방진 프레임(2)의 설치를 완료하고 난 후에 그 외측 또는 내측으로 네트/방풍포(70)를 장설한다. 이렇게 설치된 방진 프레임(2)의 승강 이동은 인양수단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고, 인양수단은 인력에 의존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는 캐리어 타입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합한 인양수단의 예로서 윈치가 탑재된 구성의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한 예에서 인양수단(8)은 운반을 가능케 하는 캐스터(80)와, 통상의 윈치가 내장되고 일측에 손잡이(81)가 달린 몸체(82), 그리고 이 몸체(82)의 일측에 구비된 포스트 바(84)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 바(84)의 종단에는 가이드 롤러(86)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인양수단(8)은 도 11의 도시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건축 골조의 각 층으로 순차 이동된 다음 지주(B) 등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탑재되어 있는 윈치의 케이블(C)은 가이드 롤러(86)를 경유하여 인출되어서 상기 최하단측 방진 프레임(2)과 연결된다. 궁극적으로 상기 인양수단(8)은 방진 프레임(2)을 상승 이동 시키는 기능만 할 뿐이고, 상기 방진 프레임(2)의 연결부재(42)가 고정부재(6)에 의해 건축 골조의 외부에서 일정 위치로 지지되어 있을 때는 필요치 않은 것이므로 이 때에는 임의 장소로 이동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인양수단(8)의 손잡이(81)를 이용하여 지주에 고정시킨 예를 묘사하고 있으나, 도 12와 같이 상기 포스트 바(84)를 접어서 지주(B)에 결속될 수 있는 형태로 변형시켜 놓고 고정하여 둘 수도 있다.
도 13은 인양수단(8)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인양수단(8)은 이동 가능한 운반체(86) 상에 유압 실린더(88)로 승강되는 붐(90; boom)이 탑재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붐(90)은 2단으로 신장되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선단에는 상기 슬라이드 채널(4)의 내측으로 사전에 적당한 위치로 부착 고정시켜 둔 걸고리(92)에 끼워져 연결되는 포크(9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인양수단(8)은 상술한 예에 비해 훅크 등을 걸어 주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다. 또, 예시한 인양수단(8)에서 붐(90)은 유압 실린더(88)로 인양하는 구성을 묘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고가 사다리에서 응용되고 있듯이 윈치로 권양되는 케이블에 견인되어서 상기 붐(90)이 승강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는 도 2와 도 4를 통해 설명한 연결부재와 고정부재의 변형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 연결부재(42)는 현수부(48)에 축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훅크(500)를 보유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부재(6)는 상기 훅크(500)가 걸려지는 돌기상의 스톱퍼(660)를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방진 프레임(2)의 지지는 동일한 방식으로 행해진다.
즉, 도 15의 도시와 같이 연결부재(42)가 슬라브(S)에 설치된 고정부재(6)의 하측방에서 상승되기 시작할 때는 훅크(550)가 자중의 작용으로 약간 숙인 자세를 취하고 있지만, 상기 방진 프레임(2)이 상승하게 되면 훅크(500)는 도 1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스톱퍼(660)에 간섭되면서 후방으로 선회 요동하고, 상기 방진 프레임(2)의 상승이 계속되는 결과로 훅크(500)는 스톱퍼(660)의 간섭에서 해방되어 다시 자중의 작용으로 약간 숙인 자세를 취하게 됨에 따라 도 17의 도시와 같이 스톱퍼(660)에 걸려져 지지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연결부재(42)가 슬라이드 채널(4)에 일체로 용접 연결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18의 도시와 같이 분리되는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실시 예는 슬라이드 채널(4)의 양측변으로 동일 단면 형상을 가진 일정 길이의 조인트 채널(400)을 그 개구 방향이 상기 슬라이드 채널(4)과 반대가 되도록 배열하여 일체로 용접 연결 시켜 놓고, 상기 연결부재(42)에는 조인트 채널(4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브레이크 슈우(420)를 볼트(422)로 설치하여, 상기 조인트 채널(400)의 내측에 브레이크 슈우(420)를 삽입시켜 소정의 위치에 놓여지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422)를 죄어 주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42)가 슬라이드 채널(4)에 일체로 접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한 구성은 상기 브레이크 슈우(420)가 볼트(422)에 의해 죄어지면서 조인트 채널(400)의 내측을 압착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42)와 슬라이드 채널(4) 사이로 접합되게 하는 것이므로 상기 브레이크 슈우(420)에서 조인트 채널(400)과접하게 되는 면에는 도 19의 도시와 같이 요철면(424)으로 가공되어 논 슬립 작용이 나타나게 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건축 골조를 축조하는 과정에서 각 층의 슬라브 상면의 소정 개소마다 고정부재(6)를 앵커 볼트로 부착 고정시켜 놓으면 되고, 방진 프레임(2)이 필요한 사기에 이르면 상기 방진 프레임(2)을 접은 상태로 공사 현장까지 운송한 다음에 전개 조립하면서 건축 골조의 외측을 둘러싸게 하면 되는 것이며, 한 층의 시공이 종료되면 윈치 캐리어(8)를 이동시켜 2층 이상으로 옮겨 놓은 다음, 상기 설치된 방진 프레임(2)을 인양하여 윗 층의 외부를 피복하게 해 놓고 새로운 방진 프레임(2)을 전개 조립하여 나가는 순서로 시설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초기에 대략 2 내지 5개층의 외측을 피복하게 되는 넓이로 전개하여 놓은 후 부터는 그 상태 그대로 인양시켜 나가면 되기 때문에 축조되는 건축 골조의 외측 전체를 방진 프레임(2)으로 피복할 필요는 없다.
또, 건축물의 시공이 종료되면 상술한 바와는 반대로 윈치 캐리어(8)로 방진 프레임(2)을 하강 이송시키면 되고, 이 과정에서 방진 프레임(2)은 윈치 캐리어(8)로 약간 인양되게 하여 훅크(66 또는 500)가 현수부재(50 또는 660)로부터 해방되도록 회동시켜 놓으면 아무런 간섭이 없이 상기 방진 프레임(2)을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하강된 방진 프레임(2)은 한개 층 단위로 순차 해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H’형강을 골조로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축조되는 건축 골조의 외부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줌에 따라 건축 골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분진, 건자재 파편 등이 비산되어 주변으로 낙하되는 일이 없게 되고, 또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동절기나 우천 시에도 건축 골조의 내장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서 공기 단축의 효과가 있고, 방진 프레임과 인양수단을 별개로 구분한 것이므로 방진 프레임의 경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개 단위 별로 승강 이동시킬 수도 있어서 공사 규모에 대응한 소규모 시설도 가능하고 공사 진척도에 완전하게 일치시켜 설치할 수 있으며, 인양수단이 취급하기 쉽고 운반도 간편한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설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건축 골조의 외측을 방진 프레임으로 실드하고 이를 상기 건축 골조의 공기에 맞추어 상승 이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건축공사용 방진 장치에 있어서,
    중심의 서포트로부터 양측방으로 보강로드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방진 프레임과,
    상기 보강로드의 자유단으로 연결 조립되는 슬라이드 채널과,
    상기 방진 프레임의 사방 모서리에서 상기 슬라이드 채널에 일체로 부착되고 통상의 족장이 가설되는 연결부재와,
    건축 골조의 각 층 슬라브 상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현수하여 방진 프레임이 일정 위치로 지지되게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족장을 인양하는 윈치를 탑재하고 건축 골조의 각 층으로 이동 배치될 수 있는 윈치 캐리어를 갖춘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고정부재와 연계되기 위한 현수부재를 현수부에 갖추고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현수부재에 대응하는 훅크를 갖춘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고정부재와 연계되기 위한 훅크를 현수부에 갖추고 있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훅크와 대응하는 스톱퍼가 설치되는 구성인 것이 특징인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채널을 타고 전동하는 롤러를 선단에 갖춘 아암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채널의 양측변에는 동일한 단면과 일정 길이를 가진 조인트 채널이 상기 슬라이드 채널과 개구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배열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볼트에 의해 조인트 채널과 대응하는 위치로 설치되는 브레이크 슈우를 갖추어서 상기 조인트 채널의 내측으로 삽입된 브레이크 슈우가 볼트에 의해 긴체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채널과 연결부재를 일체로 접합시켜 주는 것이 특징인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KR10-1999-0056664A 1999-12-10 1999-12-10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KR10037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664A KR100375210B1 (ko) 1999-12-10 1999-12-10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664A KR100375210B1 (ko) 1999-12-10 1999-12-10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450A KR20010055450A (ko) 2001-07-04
KR100375210B1 true KR100375210B1 (ko) 2003-03-08

Family

ID=1962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664A KR100375210B1 (ko) 1999-12-10 1999-12-10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64A (ko) * 2000-04-04 2001-10-31 춘 수 오 건축 공사용 진개 비산 방지 장치
KR20010111537A (ko) * 2000-06-12 2001-12-19 주식회사 대종건영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100415509B1 (ko) * 2001-02-06 2004-01-16 박 윤 기 낙하물 방지 프레임 승강장치
CN106609591A (zh) * 2015-10-27 2017-05-03 中国华冶科工集团有限公司 一种施工防尘技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450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5489A (en) Construction apparatus for building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with
KR100260648B1 (ko)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US5327690A (en) Erection workbench for constructing a frame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JPH08296210A (ja) 橋脚の構築工法ならびに橋脚の解体工法およびリフトアップ・回転装置
KR100904186B1 (ko) 작업발판을 갖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CN111119043A (zh) 防撞墙施工外悬操作平台
KR100375210B1 (ko) 건축 공사용 방진 장치
JP2010064867A (ja) タワークレーンの解体方法
JP2957328B2 (ja) 周辺保持自昇式建築工法
JP5356091B2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JPH11147690A (ja) 低空頭鉄筋建込装置
KR20000009699A (ko) 건축 공사용 안전펜스
JP3413760B2 (ja) 乗客コンベアの据付装置
JP651021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解体方法、組立方法、及び解体組立装置
JP2890341B2 (ja) 構造物構築用最上階フレームのリフトアップ方法及び装置
CN217054270U (zh) 一种自动爬升的电梯井施工平台
KR950005069Y1 (ko) 트럭의 리프터 장치
CN219490682U (zh) 一种用于轻型t墩悬臂帽梁预应力施工挂篮装置
JP3128178B2 (ja) テントの躯体構築方法
JPH10140845A (ja) 水平開口部の落下防止装置
JPH0714007U (ja) 建築工事用養生ネット
CN114908674A (zh) 一种公路桥梁用可变形施工平台
JP2532333B2 (ja) 養生テント
JPH02809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