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542B1 -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542B1
KR102615542B1 KR1020220089843A KR20220089843A KR102615542B1 KR 102615542 B1 KR102615542 B1 KR 102615542B1 KR 1020220089843 A KR1020220089843 A KR 1020220089843A KR 20220089843 A KR20220089843 A KR 20220089843A KR 102615542 B1 KR102615542 B1 KR 102615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ection
transfer
small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제원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전력
Priority to KR102022008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은 전력구내 작업 인력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케이블 이양 작업에 따른 작업 인력의 근골격계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송 수단를 행거에 상응하는 높이로 설치하되, 굴곡 구간이나 이송 시작 구간 등 케이블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되는 장력 증가 구간에 집중 배치하어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고 반대로, 낮은 하중이 요구되는 구간에서는 대형 피더를 대체하여 소형 피더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단위 공정 구간에서의 총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Installation method for underground power cable using customized multi-coupled transfer equipment}
본 발명은 지중 전력구에서의 송, 배전용 전력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지중화(電線地中化, undergrounding)는 송,배전선을 배관이나 공동구 등을 이용하여 지중에 포설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주로 도시 미관과 시민들의 안전, 날씨에 의한 단전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케이블 지중화는 일반적으로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이 포설 비계, 풀링 장비를 통해 전력구 내로 공급되고, 공급된 케이블이 전력구 내에서 다수의 풀링 장비, 안내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포설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통상적 포설 구간의 길이는 약 500 m 내외이며, 이를 "단위 공정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단위 공정 구간에서 이송된 케이블과 이웃하는 단위 공정 구간에 이송된 케이블이 접속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장거리 포설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케이블 지중화에 사용되는 풀링 장비는 가압식 풀링 장비 또는 견인식 풀링 장비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가압식 풀링 장비로는 타이어 타입 또는 캐터필러 타입의 피더와 안내 롤러나 윈치 등도 있다. 각 장비는 지형 환경에 따라서 전력구 바닥면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피더는 원거리까지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것으로써, 통상적으로 약 800W 정도의 고출력 제품, 고중량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고중량의 피더 제품을 맨홀 등의 반입구를 통해 전력구 내부로 운반하는 것은 위험하고,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블 풀링 작업 시 무거운 중량과 긴 길이의 케이블을 포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즉, 고압 또는 저압용 송배전 전력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최대 500 ~ 600 m 길이에 중량이 20 ~ 30 톤에 달하므로 많은 견인 힘이 요구된다.
나아가, 고출력 피더 등의 케이블 이송 수단이 설치된 이후에도 부피가 크기 때문에 피더와 전력구 사이에 형성된 협소 공간으로 작업 인력이 이동하는 데 상당한 방해가 되어 작업 효율을 떨어뜨리고 있다.
한편, 견인식 풀링 장비의 경우에는 전력구 내에 레일을 깔고,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는 자주식 견인대차 및 지지대차로 케이블을 이송시킨다.
자주식 견인대차는 케이블의 선단을 견인하고, 지지대차는 견인대차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케이블을 지지하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대차는 레일 대신 전력구 바닥면을 주행하는 유형도 있다.
이러한 대차는 상당한 중량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대차가 레일 위를 주행하기 위해서는 레일이 대차의 무게 및 케이블 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력구 내 벽면 앵글을 보강하거나 바닥을 견인대차가 주행할 정도로 넓게 건설하여야 하는 등 추가적 설비 요소가 발생되고, 이에 따른 추가적 이송 요소도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레일은 하면에 치차가 가공된 직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굴곡 구간에서는 전력구에 맞춰 굽힘가공되어야 하는 가공상의 어려움도 존재한다.
다음으로, 케이블이 이송된 후에는 이송된 케이블을 전력구 벽면에 설치된 행거로 이양하는 작업 및 고정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케이블 이양 작업은 포설된 거리만큼 반복 수행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다수의 작업 인력 또는 작업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포설된 전체 케이블은 초고하중으로써 작업 인력의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행거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에 풀링 장비를 설치하여 하중의 연직 이동 거리를 줄여주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즉, 피더 등의 이송수단을 높이를 올려 설치해야하는데, 고중량의 이송수단을 올려 설치하려다 보니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설비 보강이 추가로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바닥면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이송수단 사이에 케이블이 쳐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송수단을 더 좁은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하고, 이에 따른 설비 보강이 추가로 요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레일도 행거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에 올려 설치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도 1의 직선 구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 공정 구간(d)으로 이루어지는 전력구(1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앵커(20)가 설치될 수 있다.
앵커(20)에는 이송된 케이블(40)을 안착시키기 위한 행거(30)가 설치될 수 있다.
전력구(10)의 바닥면에는 피더(50), 롤러(340), 윈치(310)로 이루어지는 이송 수단(3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송 수단(300)의 실시 예로써 대형 피더(50)가 3개의 앵커(20)를 사이에 두고 제1 간격(e)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형 피더(50)는 일반적으로 800W 이상의 스펙을 갖는 제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롤러(340)는 대형 피더(50)가 설치된 경로 상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윈치(310)는 단위 공정 구간(d)의 종료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윈치(310)에 연결된 윈치 로프(320)는 케이블의 선단부(41)에 연결되어 케이블(40)을 소정의 힘으로 견인함으로써 안정적인 이송을 보조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된 케이블(40)을 행거(30)로 이양할 때 상기 이송 수단(300)로부터 상기 행거(30)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는 수직 이격 거리(g)가 길기 때문에 이양 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경사 구간(b)에서는 장력이 증가하는 구간에서 케이블(40) 손상 위험이 있다. 이러한 경사 구간(b)은 하향 이송 구간(b-1)과 상향 이송 구간(b-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향 이송 구간(b-1)에서 상기 상향 이송 구간(b-2)으로 이어지는 구간에서 케이블(40)에 걸리는 장력이 급격히 증가되어 케이블(40) 손상이 위험이 더 높아질 수 있다.
KR 1447509 B1 KR 1447515 B1 KR 128170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력구 내 작업 인력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케이블 이양 작업에 따른 작업 인력의 근골격계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장력 증가 구간에서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은 복수 개의 단위 공정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전력구를 시설하고, 상기 단위 공정 구간 마다 이송된 케이블을 전력구 내의 앵커에 마련된 복수 개의 행거에 안착시키는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지지 구조물이 각각 상기 행거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앵커와는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 설치단계와, 상기 지지 구조물 설치단계에서 이웃하게 설치된 지지 구조물의 상호간 연결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설치단계에서 상기 행거와 이격 설치된 상기 지지 구조물을 연결하여 복수 개의 단위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되, 각 단위 플레이트는 상기 전력구의 지형 형상에 따라 다관절 또는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성되는 제1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플레이트가 경사 구간에서 중력의 영향으로 곡선 형태로 형성되고, 형성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플레이트 설치단계와, 상기 플레이트 설치 단계를 통해 설치된 플레이트에 케이블의 이송을 위한 이송 수단의 하부가 상기 플레이트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인 제2 조정 수단에 결합되되, 상기 홈에는 상기 이송 수단 결합 시 좌우 방향 회전 가능한 공차가 형성되어, 커브 구간에서 곡선 형태를 따라 설치 각도가 조정 된 뒤 고정수단에 의해 전력구의 지형 형상에 따른 설치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송 수단이 고정 설치되는 이송 수단 설치단계와, 상기 이송 수단 설치단계를 통해 전력구의 지형 형상에 따라 고정 설치된 이송 수단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이송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케이블이 이송되는 케이블 이송단계 및 상기 케이블 이송단계를 통해 이송이 완료된 케이블이 상기 행거에 안착되는 케이블 이양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수단에는 소형 피더, 소형 윈치 및 롤러가 포함되며, 상기 이송 수단 설치단계에서는 상기 단위 공정 구간 중 장력 증가 구간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소형 피더가 직렬 연결되고, 장력 감소 구간에서는 상기 소형 피더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단위 공정 구간 중 시작 구간에는 상기 소형 윈치가 배치되어 케이블을 견인하되, 케이블 처짐이 예상되는 케이블 처짐 구간에는 이웃하는 상기 소형 피더 사이에 상기 소형 윈치가 더 배치되며, 상기 장력 증가 구간에는 케이블 이송 방향이 상측을 향하는 상향 이송 구간과 수평 굴곡 구간 및 수직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곡선 구간이 포함되며, 상기 장력 증가 구간에는 소형 피더의 갯수 또는 소형 피더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이송 수단 분포가 조절되는 이송 수단 분포 조절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소형 윈치는 200 내지 300W의 출력 스펙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에는 이송 수단를 행거에 상응하는 높이로 설치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설치 단계, 플레이트 설치 단계가 포함되되, 복수 개의 플레이트에 이송 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이송 수단을 연동 제어함으로써 케이블이 목표 지점까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장력 증가 구간에 이송 수단이 집중 배치되어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고 이송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장력 감소 구간에서는 이송 수단의 갯수가 적게 설치되고, 하나의 피더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이 작아 총 전력 소비량을 감소되는 등 이송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에 마련된 제1 조정 수단 또는 제2 조정 수단을 통해 이송 수단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굴곡 구간에서 케이블이 정확한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하며,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고 이송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지중 전력구에서 단위 공정 구간에 설치된 케이블 포설 설비의 모습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지중 전력구에서의 케이블 포설 구간에 따른 인입장력 계산식 일람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물 및 플레이트가 설치된 모습을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물 및 플레이트가 단위 공정 구간에 설치된 모습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가 제1 조정 수단으로 연결되는 단위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에 윈치, 롤러 또는 피더의 설치 각도를 조절 및 고정 시키기 위한 제2 조정 수단이 전력구 내 커브 구간에서 설치된 모습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Installation method for underground power cable using customized multi-coupled transfer equipment, 이하 "C.M.T 공법"이라고 함.)은 지지 구조물 설치 단계(S100), 플레이트 설치 단계(S200), 이송 수단 설치 단계(S300), 로프 이송 단계(S400), 케이블-로프 결합 단계(S500), 케이블 이송 단계(S600), 케이블 이양 단계(S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지지 구조물 설치 단계(S10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3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X)에 지지 구조물(10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 구조물(100)은 상기 앵커(20)와 나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물(100)은 기둥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물(100)은 양측이 전력구(10) 천장 및 바닥면에 고정되어 직립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물(100)은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앵커(20) 및 행거(30)와 대응되는 갯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30)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지지 구조물(100)의 설치 위치 및 갯수를 제한하는 의미는 아니고, 하중이 집중되어 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될 수 있고, 반대 경우에는 더 적게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플레이트 설치 단계(S200)에서는 상기 전력구(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플레이트(200)가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200)는 상부면에 상기 이송 수단(300)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200)는 상기 행거(30)와 상기 지지 구조물(100)의 사이에 마련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00)는 상기 지지 구조물(100)과 이웃하는 상기 지지 구조물(100) 사이에 마련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00)가 설치되는 위치 또는 갯수는 상기 이송 수단(300)이 설치되는 위치 또는 갯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00)의 크기나 성질은 상기 이송 수단(300)의 종류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탱될 수 있는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 수단 설치 단계(S300)에서는 소형 윈치(310), 소형 피더(330) 또는 롤러(340)가 포함되는 이송 수단(300)이 복수 개의 상기 플레이트(20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소형 피더(330)는 200W ~ 300W 정도의 범위의 스펙을 갖는 제품으로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200)에 하나 이상 설치되기 용이하며, 특정한 스펙을 갖는 한 가지 기종으로 제한하는 의미는 아니다.
삭제
또한, 상기 소형 윈치(310)는 상기 단위 공정 구간(d)의 종료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프 이송 단계(S400)에서는 상기 소형 윈치(310)에 의해 로프(320)가 이송되고, 상기 케이블-로프 결합 단계(S500)에서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41)에 상기 로프(320)를 연결한다. 상기 케이블 이송 단계(S600)에서는 상기 소형 윈치(310) 및 상기 소형 피더(330)를 연동 제어하면서 케이블(40)이 이송된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블의 선단부(41)는 상기 로프(320)에 의해 일정한 장력이 형성되고, 상기 소형 피더(330)와 소형 피더(330) 사이 또는 상기 소형 피더(330)와 롤러(340) 사이에서도 일정한 장력이 형성되어 케이블(40) 하중에 의해 상기 케이블(40)이 쳐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 이양 단계(S700)에서는 상기 단위 공정 구간(d)에서 이송된 케이블(40)을 상기 소형 윈치(310), 소형 피더(330) 또는 롤러(340)로부터 상기 행거(30)로 이양하여 안착시킨다.
한편, 상기 이송 수단 설치 단계(S3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수단 분포 조절 단계(S3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형 피더(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공정 구간(d)에서 제1 간격(e)으로 정의되는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40)이 이송되면서 장력 증가되는 장력 증가 구간에서는 상기 제1 간격(e)보다 짧은 길이의 제2 간격(f)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수단 분포 조절 단계(S310)에서는 상기 소형 피더(330)의 설치 갯수도 조절될 수 있다.
특히, 도 4의 경사 구간(b)은 시작 구간(i)에서 2개의 소형 피더(330)를 배치하고, 장력 증가 구간에서 3개의 소형 피더(330)를 직렬로 연결 배치한 것으로서, 하중에 비례하여 소형 피더(330) 갯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곡선 구간(c)에서 곡률이 클수록 하중이 증가하므로, 곡률에 비례하여 소형 피더(330) 갯수를 증가시키거나, 소형 피더(330)간 간격을 더 좁게 배치하는 방법으로 이송 수단(300)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입장력 일람표를 통해 수평굴곡부와 수직굴곡부로 정의되는 곡선 구간(c)에서는 곡률에 비례하여 장력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설치 단계(S200)에는 상기 플레이트(2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제1 각도 조절 단계(S2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정 수단(220)으로 연결 되는 복수 개의 단위 플레이트(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각도 조절 단계(S210)에는 단위 플레이트 각도 조절 단계(S211), 단위 플레이트 각도 고정 단계(S2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정 수단(220)은 다관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조정 수단(220)은 유니버셜 조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 각도 조절 단계(S211)에서는 복수 개의 상기 단위 플레이트(210)가 경사 구간(b)에서 중력의 영향으로 자연스레 곡선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40)이 이송될 때는 장력이 발생되어, 상기 플레이트(200)가 흔들릴 것이므로 이송 전 상기 제1 조정 수단(220)을 고정하여 복수 개의 상기 단위 플레이트(210)를 하나의 강체(rigid)로 형성시켜야 한다.
상기 제1 조정 수단(220)에는 각도 고정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위 플레이트 각도 고정 단계(S212)에서는 상기 단위 플레이트(210)가 형성한 곡선 형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단위 플레이트(210)에 결합되는 상기 이송 수단(300)은 상기 단위 플레이트(210)에 고정된 각도대로 설치되어 상기 경사 구간(b)을 따라서 상기 케이블(40)을 정확하게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수단 설치 단계(S300)에는 상기 이송 수단(300)이 상기 플레이트(200)에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제2 각도 조절 단계(S3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치(310), 롤러(340) 또는 피더(330)의 설치 각도를 조절 및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정 수단(2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정 수단(230)은 도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00) 상부면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상기 홈에는 상기 이송 수단(300)이 결합될 때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는 공차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각도 조절 단계(S320)에서는 이송 수단 각도 조절 단계(S321), 이송 수단 각도 고정 단계(S3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수단(300)는 상기 제2 조정 수단(230)에 결합되되, 공차 내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여 커브 구간에서 곡선 형태를 따라 케이블(40)이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40)이 이송될 때는 장력이 발생되어, 상기 이송 수단(300)이 흔들릴 것이므로 이송 전 상기 제2 조정 수단(230)을 고정하여 상기 이송 수단(300)와 상기 플레이트(200)를 하나의 강체(rigid)로 형성시켜야 한다.
상기 제2 조정 수단(230)에는 각도 고정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 수단 각도 고정 단계(S322)에서는 상기 이송 수단(300)의 설치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 상기 이송 수단(300)은 상기 경사 구간(b) 또는 커브 구간을 따라서 케이블(40)이 정확하게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장력 증가 구간에서는 소형 피더(330)를 집중적으로 배치하거나, 설치 각도를 조절될 수 있다. 반대로 낮은 하중이 요구되는 장력 감소 구간에서는 대형 피더(50)를 대체하여 상기 소형 피더(330)가 배치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 피더(330) 또는 상기 단위 플레이트(210)는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40)의 이양 작업 효율을 높이고 작업 인력의 근골격계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단위 공정 구간(d)에서의 총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전력구
20: 앵커
30: 행거
40: 케이블
41: 케이블 선단부
50: 대형 피더
100: 지지 구조물
200: 플레이트
210: 단위 플레이트
220: 제1 조정 수단
230: 제2 조정 수단
300: 이송 수단
310: 소형 윈치
320: 로프
330: 소형 피더
340: 롤러
400: 제어부
a: 직선 구간
b: 경사 구간
b-1: 하향 이송 구간
b-2: 상향 이송 구간
c: 곡선 구간
d: 단위 공정 구간
e: 제1 간격
f: 제2 간격
g: 수직 이격 거리
h: 수평 이격 거리
i: 시작 구간
j: 수직 이양 거리
S10: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S100: 지지 구조물 설치 단계
S200: 플레이트 설치 단계
S210: 제1 각도 조절 단계
S211: 단위 플레이트 각도 조절 단계
S212: 단위 플레이트 각도 고정 단계
S300: 소형 윈치, 소형 피더 또는 롤러가 포함된 이송 수단 설치 단계
S310: 이송 수단 분포 조절 단계
S320: 제2 각도 조절 단계
S321: 이송 수단 각도 조절 단계
S322: 이송 수단 각도 고정 단계
S400: 로프 이송 단계
S500: 케이블-로프 결합 단계
S600: 케이블 이송 단계
S610: 피더-윈치 연동 제어 단계
S700: 케이블 이양 단계

Claims (4)

  1. 복수 개의 단위 공정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전력구를 시설하고, 상기 단위 공정 구간 마다 이송된 케이블을 전력구 내의 앵커에 마련된 복수 개의 행거에 안착시키는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지지 구조물이 각각 상기 행거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앵커와는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 구조물 설치단계;
    상기 지지 구조물 설치단계에서 이웃하게 설치된 지지 구조물의 상호간 연결 및 상기 지지 구조물 설치단계에서 상기 행거와 이격 설치된 상기 지지 구조물을 연결하여 복수 개의 단위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되, 각 단위 플레이트는 상기 전력구의 지형 형상에 따라 다관절 또는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성되는 제1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플레이트가 경사 구간에서 중력의 영향으로 곡선 형태로 형성되고, 형성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플레이트 설치단계;
    상기 플레이트 설치 단계를 통해 설치된 플레이트에 케이블의 이송을 위한 이송 수단의 하부가 상기 플레이트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인 제2 조정 수단에 결합되되, 상기 홈에는 상기 이송 수단 결합 시 좌우 방향 회전 가능한 공차가 형성되어, 커브 구간에서 곡선 형태를 따라 설치 각도가 조정 된 뒤 고정수단에 의해 전력구의 지형 형상에 따른 설치 각도를 유지하도록 이송 수단이 고정 설치되는 이송 수단 설치단계;
    상기 이송 수단 설치단계를 통해 전력구의 지형 형상에 따라 고정 설치된 이송 수단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이송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케이블이 이송되는 케이블 이송단계;
    상기 케이블 이송단계를 통해 이송이 완료된 케이블이 상기 행거에 안착되는 케이블 이양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수단에는 소형 피더, 소형 윈치 및 롤러가 포함되며,
    상기 이송 수단 설치단계에서는,
    상기 단위 공정 구간 중 장력 증가 구간에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소형 피더가 직렬 연결되고, 장력 감소 구간에서는 상기 소형 피더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단위 공정 구간 중 시작 구간에는 상기 소형 윈치가 배치되어 케이블을 견인하되, 케이블 처짐이 예상되는 케이블 처짐 구간에는 이웃하는 상기 소형 피더 사이에 상기 소형 윈치가 더 배치되며,
    상기 장력 증가 구간에는,
    케이블 이송 방향이 상측을 향하는 상향 이송 구간과 수평 굴곡 구간 및 수직 굴곡 구간을 포함하는 곡선 구간이 포함되며,
    상기 장력 증가 구간에는 소형 피더의 갯수 또는 소형 피더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이송 수단 분포가 조절되는 이송 수단 분포 조절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윈치는 200 내지 300W의 출력 스펙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220089843A 2022-07-20 2022-07-20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KR102615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843A KR102615542B1 (ko) 2022-07-20 2022-07-20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843A KR102615542B1 (ko) 2022-07-20 2022-07-20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542B1 true KR102615542B1 (ko) 2023-12-20

Family

ID=8937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843A KR102615542B1 (ko) 2022-07-20 2022-07-20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5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860B1 (ko) * 2009-02-19 2009-06-3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1281703B1 (ko) 2012-03-29 2013-07-03 일진파워텍(주) 레일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치 및 포설공법
KR101447515B1 (ko) 2014-03-24 2014-10-13 일진파워텍(주)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에 이용되는 레일
KR101447509B1 (ko) 2014-03-24 2014-10-13 일진파워텍(주)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에 이용되는 케이블 포설장비
KR101521829B1 (ko) * 2013-12-12 2015-05-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기의 장력조절 제어방법
KR102416617B1 (ko) * 2022-02-08 2022-07-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860B1 (ko) * 2009-02-19 2009-06-3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1281703B1 (ko) 2012-03-29 2013-07-03 일진파워텍(주) 레일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치 및 포설공법
KR101521829B1 (ko) * 2013-12-12 2015-05-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기의 장력조절 제어방법
KR101447515B1 (ko) 2014-03-24 2014-10-13 일진파워텍(주)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에 이용되는 레일
KR101447509B1 (ko) 2014-03-24 2014-10-13 일진파워텍(주)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에 이용되는 케이블 포설장비
KR102416617B1 (ko) * 2022-02-08 2022-07-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1376B (zh) 单层网壳结构高空斜轨累积滑移施工工法
KR101462842B1 (ko)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
US8162201B2 (en) Method for laying pipeline using motorized elements
AU2019275536B2 (en) Cable laying method using cable lay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direction of cable
CN106049707A (zh) 预制式墙体、预制式房屋建筑及建造方法
CN107842648A (zh) 一种长输管道陡坡地段布管机构
KR101964633B1 (ko) 레일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 장치
KR101447515B1 (ko)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에 이용되는 레일
KR102615542B1 (ko) 맞춤형 다중연결 이송장치를 이용한 지중케이블의 시공 방법
CN207554961U (zh) 一种长输管道陡坡地段布管机构
CN101660630A (zh) 一种在受限空间中安装大口径管道就位的方法
US8622656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location of subsurface conduit
KR102544916B1 (ko) 송배전용 지중케이블 시공에 이용되는 이송모듈을 위한 맞춤형 브라켓모듈
US6301736B1 (en) Elevated suspended guideway
KR102581112B1 (ko) 송배전용 지중케이블 시공에 이용되는 맞춤형 다중 연결 이송모듈
JP4041716B2 (ja) 桁の送り出し架設工法
WO2019019742A1 (zh) 一种铁路便梁快速运输架设用拖车
CN115075210B (zh) 一种导管架的抬梁结构
KR101415232B1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 설비
CN113513630A (zh) 用于狭窄深谷或宽阔河流的管道跨越顶推系统及其工艺
CN220351549U (zh) 一种大倾角隧道锚洞内运输缆吊系统
CN218025088U (zh) 一种重载横移索鞍体系
CN219933357U (zh) 管道内衬施工设备
CN216361015U (zh) 一种斜井斜直段扩挖施工用运输系统
JP6076661B2 (ja) 添架管路の敷設装置および敷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