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278B1 - 전선의 가선장치(架線裝置) - Google Patents

전선의 가선장치(架線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278B1
KR100320278B1 KR1019990018716A KR19990018716A KR100320278B1 KR 100320278 B1 KR100320278 B1 KR 100320278B1 KR 1019990018716 A KR1019990018716 A KR 1019990018716A KR 19990018716 A KR19990018716 A KR 19990018716A KR 100320278 B1 KR100320278 B1 KR 100320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drum
electric wire
wire
wire wind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462A (ko
Inventor
고영규
Original Assignee
고영규
주식회사 동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규, 주식회사 동해 filed Critical 고영규
Priority to KR101999001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278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1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 B65H54/18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forming spools to be loaded into sewing, lace, embroidery, or like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1/00Lubricating or coo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가선장치(架線裝置)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가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고압 배전선을 신설하거나 선로의 교체 등을 용이하게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3상 3선을 모델로 하여 3개의 전선권취드럼(30)이 제공되는 구조를 제안한다. 전선권취드럼은 그 축(31)이 지지틀(40)양쪽의 수직기대(41)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0)에 거치되면서 체결편(52)으로 지지되어 크레인(10)이 탑제된 차량에 상차된다. 전선(300)은 크레인 붐대(11)의 상단에 횡설된 완금의 로울러(R)를 통하여 주상작업자에게 제공되는 한편 상기 전선권취드럼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므로 그 크기에 관계없이 모두 수용 가능하다. 전선권취드럼의 휠(32)은 감속기를 갖는 일단의 유압정역모터(60)로 구동되는 풀리치차(70)와 치합되어 전선권취드럼의 원활한 구동이 이루어지며 전선을 당기면서 권취할때에는 보조기둥(42)의 횡봉(43)에 유동되게 축설된 안내로울러(44)를 이용한다. 또한 휠 (32)의 회전을 제어하는 브레이크(80)장치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전선을 땅에 닿지않게 하는 가공(架空)작업을 통하여 극히 효과적인 배전선로 작업수단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또 경제적이고 신속하며 특히, 안전한 배전선로 작업과 함께 공사의 신뢰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선의 가선장치(架線裝置){A Wiring Apparatus of an Electric Wire}
본 발명은 특고압 배전선을 신설하거나 선로의 교체 등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전선의 가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설비 시공분야는 지지물공사, 장주공사, 전선 및 가선(架線)공사, 그리고 기기설치공사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배전설비 시공분야에서 전선 및 가선공사의 가선공사에 따른 장치 및 작업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는 재래식 작업수단을 탈피하여 극히 효과적인 작업수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작업을 위한 가선장치의 개발과 또 이를 이용한 개선된 가선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많은 인력의 동원을 지양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체력소모를 줄이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속한 선로작업으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함으로써 가설비용을 경감하고 공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선로작업에 따른 교통 및 보행의 불편을 최소화 시킬수 있다.
현재 전력분야는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유독 배전선로의 가선이나 교체작업 등은 인력에 의한 재래식 방법이 유지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배전선로 가선작업은 다수의 작업자가 전선을 신설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선로작업구간 내의 각 전주가 위치한 지상에서 지상작업자가 로우프 등으로 전선의 끝단을 매단 다음 이를 주상작업자에게 전달하고 이어 주상작업자는 상기 로우프 이용하여 전선을 끌어올려 이를 완금에 설치된 애자에 고정하게 된다. 또 이와같이 1본의전주작업이 끝나면 지상작업자와 주상작업자는 다음 작업전주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배전선로 가선작업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선로 작업구간내의 전주에 전선을 가설하기 위해서는 전선권취드럼을 공사구간의 전주 하방에 설치되는 선조대에 현가하고 전선권취드럼에서 전선을 인출하여 전선말단에 로우프를 연결한 다음 이를 주상작업자에게 전달하면 주상작업자는 전선을 끌어올려 전주의 장주에 설치된 로울러에 통과시킨 후 이를 다시 지상작업자에게 보내는 한편, 지상작업자는 다시 인력으로 전선을 인출하면서 다음 전주의 주상작업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진행한다. 즉 이러한 작업이 통상 5∼6본의 각 전주마다 진행되면 마지막 작업전주 사이에는 전선의 처짐이 심하여 전선이 지상에 접촉되어 전선피복이 손상되기도 하며 또 전선의 꼬임으로 인하여 킹크(kink)가 발생하여 단선됨에 따라 공사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둘째, 지상작업자에 의해 전달되는 전선을 주상작업자가 로우프를 이용하여 주상으로 일일이 끌어올림에 따라 주상작업자의 체력소모가 심하고 특히 하중이 지상 쪽으로 미치면서 자세가 불안정하여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셋째, 주상작업자로 하여금 전선의 주상가설이 완료되면 전주와 전주 사이에 쳐진 전선을 팽팽히 당겨 주어야 하는데 이때 연선된 전선의 일단에서 많은 작업자(통상 15명 이상)가 힘을 합하여 전선을 당겨 주어야 하므로 과다한 인력의 동원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종래 배전선로 가선 작업 방법은 많은 인력이 동원되고 또한 작업자의 심한 체력의 소모를 가져올 뿐 아니라 특히 지상작업자에 의해 주상작업자에게 전선을 전달하고 또 이를 로우프로 끌어올리는 등 작업의 이중성 내지는 작업자의 안전성이 우려되고 있으며 대부분 인력에 의존함에 따라 작업효율이 크게 저하되고 있다.
특히 3상3선 또는 3상4선 등의 선로 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한 가닥씩 끌어 올려 작업함에 따라 작업 시간은 더욱 길어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과다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초래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전선(통상 3선 또는 4선)을 효과적으로 가선하기 위한 제반 구조적 장치와 또 이 장치를 이용하여 가공(架空)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전선의 보호는 물론 현저히 개선된 전선의 가선작업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선이 땅에 닿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종래와 같이 주상작업자가 전선을 일일이 끌어올리지 아니하고 주상작업 위치에서 전선을 바로 인수할 수 있는 가공(架空)작업수단을 제공한다.
또 전선권취드럼을 동력으로 구동케 함으로써 전선의 연선(전선을 풀어줌) 및 긴선(전선을 당겨줌)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한편 전선권취드럼의 폭이나 직경에 관계없이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3상 3선을 모델로 하여 제안되는바, 즉 크레인이 탑재된 차량에 3개의 전선권취드럼(2선 작업시는 2개의 전선권취드럼, 그리고 1선 작업시에는 1개의 권취드럼)이 상차되며 전선권취드럼에 권취된 전선은 상기 크레인의 붐대 상부말단에 횡설된 완금의 로울러를 통하여 주상작업자가 주상작업 위치에서 전선을 바로 인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시된 3선 작업의 경우 3가닥의 전선을 함께 차례로 인수하게 된다. 전선권취드럼은 유압실린더와 연동하여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전선권취드럼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두 수용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전선권취드럼의 휠을 감속기를 갖는 일단의 유압정역모터로 구동되는 풀리치차와 치합하여 전선권취드럼에 대한 구동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연선 및 긴선의 작용이 원할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전선을 땅에 닿지 않게 그리고 다수의 전선을 가공(架空)작업을 통하여 그 효과적인 배전선로 작업 수단을 제공하며 체력의 소모없이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을 위한 그 구조적 장치가 마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틀에 전선권취드럼이 결합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 부분의 측면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풀리치차와 전선권취드럼의 결합상태 정면구성도
도 4b는 소형 전선권취드럼의 결합시 풀리차차의 이동 및 결합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선 가설후 전선을 인장하면서 권취하는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 휠 브레이크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 발췌 한 차량의 타측면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크레인 11 : 붐대
20 : 차량 30 : 전선권취드럼
31 : 축 32 : 휠
40 : 지지틀 41 : 수직기대
42 : 보조기둥 43 : 횡봉
44 : 안내로울러 50 : 유압실린더
60 : 정역구동유압모터 61 : 구동축
70 : 풀리치차 71 : 고정볼트
80 : 브레이크 81 : 조작레버
82 : 인장스프링 83 : 사각축
H : 전선작업구간
본 발명은 양쪽에 수직기대(41)가 입설되고 이에 유압실린더(50)를 설치한 단일체의 지지틀(40)을 구비하여 크레인(10)이 탑재된 차량(20)에 상차하고 전선권취드럼(30)은 그 축(31)의 양단을 유압실린더(50)에 거치하여 연동되게하는 한편, 유압실린더(50)의 상단에는 일단의 핀(51)으로 유동되게 축설된 체결편(52)을 구성하여 전선권취드럼(30)의 축(31)외주연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한다. 그러나 전선권취드럼(30)의 축(31)은 체결편(52)에 밀접된 상태는 아니고 단순히 그 축(31)의 상면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축(31)의 구동은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 상기 체결편(52)은 일측 보조핀(53)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각 전선권취드럼(30)의 일측 휠 (32)저부에는 감속기를 갖는 정역구동유압모터(60) 및 풀리치차(70)를 구성하여 이 풀리치차(70)를 상기 휠(32)과 치합되게 구성하는 한편, 풀리치차(70)는 정역구동유압모터(60)의 감속기에 축설된 구동축(61)상에 일단의 고정볼트(71)로 고정한다. 그러나 고정볼트(71)를 나사풀림 하면 풀리치차(70)는 좌우 이동되어 양쪽 풀리치차(70)의 폭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축(61)과 풀리치차 (70)의 결합수단으로 구동축(61)을 그 양단을 제외한 중앙부를 단면 6각으로 구성하여 풀리치차(70)의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구동축(61)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유압실린더(50)가 설치된 수직기대(41)에는 보조기둥(42)을 차량(20) 후미쪽으로 경사지게 용착 결합하는 한편, 보조기둥(42)사이의 상단에는 횡봉(43)을 설치하여 이에 안내로울러(44)를 좌우 이동자재하게 축설한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휠(31)의 구동을 제어 할 수 있는 브레이크(80)가 구성되는바, 이 브레이크(80)는 일단의 조작레버(81)로 구동되는 사각축(83)의 상면에 용착되면서 전선권취드럼(30)의 휠(32)에 비스듬히 근접 설치되며 그 배면은 인장스프링(82)으로 지지틀(10)의 상면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전선권취드럼(30)의 구동을 멈추고자 할 경우 수동으로 상기 조작레버(81)를 휠(31)쪽으로 회동시켜주면 이에 축설된 사각축(83)이 회동되면서 그 상면에 용착된 브레이크(80)가 인장스프링(82)을 신장시키면서 휠(31)에 밀착되어 휠(31)의 구동을 멈추게 한다. 또 상기 조작레버(81)의 작동을 중지하면 스프링(82)의 인장력으로 사각축(83) 및 브레이크(80)등은 원상복귀되며 이와같은 조작으로 전선권취드럼(3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정지 시켜줄 수 있다. 또 사각축(83)은 지지틀(10)에 횡설되어 있으며 이에 용착된 브레이크(80)는 어느 한쪽 휠(31)에만 설치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양쪽 휠(32)모두에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선의 신규가설이나 전선의 교체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작업구간(H)내의 각 전주(100)에 주상작업자(200)가 대기하고 있음은 공지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크레인(10)이 탑제된 차량(20)에 다수의 전선권취드럼(30)을 상차하고 상기 전선권취드럼(30)에서 인출되는 다수의 전선(300)을 크레인(10)의 붐대(11)상단에 구성된 로울러(R)를 통하여 연결한 다음 이를 공중 이동시키게 되며 이와같이 제공되는 다수의 전선을 주상작업자(200)가 주상위치에서 바로 인수하여 가공(架空)작업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레인(10)이 탑제된 차량(20)에 지지틀(40)을 상차하고 이에 전선(300)이 권취된 전선권취드럼(30)을 차량(20)에 탑제된 크레인(10)을 이용하여 지지틀(40)에 결합하는바, 이때 그 축(31)이 유압실린더(50)의 상단에 거치 되도록 안착한다. 축(31)의 안착은 먼저 유압실린더(50)의 상단에 구성된 체결편(52)을 일측 핀(51)을 편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시켜 유압실린더(50)의 상단을 개방한 상태에서 안착하게 되며 축(31)이 유압실린더(50)의 상단에 안착되면 상기 체결편(52)을 다시 원상복귀시켜 보조핀(53)으로 고정한다. 이와같은 상태의 본 발명은 전선권취드럼(30)의 축(31)이 유압실린더(50)상단에 단순히 거치된 것이 아니며 그 상부 외주연을 감싸주는 체결편(52)에 의하여 축(31)의 상면을 지지하고 있다. 이는 전선권취드럼(30)의 축(31)이 상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풀리치차(70)와 전선권취드럼(30)의 휠(32)이 지속적으로 그리고 양호하게 치합되도록 하여 전선권취드럼 (30)의 구동이 원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전선권취드럼(30)의 휠(32)은 풀리치차(70)에 의한 양호한 구동을 위하여 그 외주연에 치차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전선권취드럼(30)의 휠(32)에 인위적으로 치차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유압실린더(50)의 높이조절 수단과 함께 전선권취드럼(30)의 축(31)을 하방으로 당겨 휠(32)을 풀리치차(70)와 적정압력으로 밀착시켜준 다음 풀리치차(70)를 구동시켜 주면 목재로된 휠(32)의 외주연은 금속재의 풀리치차 (70)에 의해 자연스럽게 치차가 성형된다. 즉 이와같은 휠(32)의 성형수단 역시 상기 체결편(52)의 구조로 인해 전선권취드럼(30)의 축(31)을 하방으로 당겨 휠(31)과 풀리치차(70)를 적정압력으로 밀착시켜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유압실린더(50)는 여유있는 높이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전선권취드럼(30)이 상차되면 유압실린더(50)를 수축시켜 전선권취드럼(3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휠(32)과 풀리치차(70)가 치합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선권취드럼(30)은 작업목적에 따라 다양한 대소 규격으로 제공되며 만약 직경이 작은 전선권취드럼(30)을 사용할 경우 그 휠(32)사이의 폭도 좁아지므로 이와 치합되는 풀리치차(70)도 상기 휠(32)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지지틀(40)은 가장 큰 전선권취드럼에 준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선권취드럼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두 수용 가능한바, 도 4b에서와 같이 직경이 작은 전선권취드럼(30)을 사용 할 경우 풀리치차(70)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볼트(71)를 풀어 준 다음 풀리치차(70)를 각각 내향으로 이동시겨 휠(32)과 일치되는 지점에 위치시키고 다시 상기 고정볼트(71)로 고정시킨다. 풀리치차(70)가 고정되면 유압실린더(50)를 수축시켜 전선권취드럼(30)을 하강시켜 줌으로써 풀리치차(70)와 휠(32)을 치합 시킨다.
즉,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50)에 의한 전선권취드럼(30)의 승강수단 그리고 풀리치차(70)의 좌우 이동(조절)수단에 의해 다양한 규격의 전선권취드럼을 모두 사용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전선권취드럼(30)이 그 축(31)을 이용하여 유압실린더(50)의 상단에 안착 거치되고 휠(32)이 풀리치차(70)와 양호하게 치합될 수 있는 상태로 조정된 상태에서 전선권취드럼(30)을 약간 회동시켜 권취된 전선(300)의 노출된 끝단을 약간만 인출한다. 이어서 인출된 전선의 끝단을 크레인(10)의 붐대(11)상단에 구성된 로울러(R)에 연결하는데 여기서 전선(300)은 붐대(11)와 고정 연결된 것이 아니며 도 1에서 확대 도시한 바와같이 단순히 상하 맞물린 2개의 로울러(R)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전선(300)의 용이한 상부 이동은 물론 상기 로울러 (R)의 구동에 의해 전선은 무리없이 통과된다. 또한 이때 전선을 상부의 안내로울러(44)에 안내되도록 조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현재는 전선(300)을 가설하기 위해 전선이 풀어지는 상태로써 전선(300)에 인장력 등 어떠한 영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안내로울러(44)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며 단지 상기 안내로울러(44)는 전선의 긴선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인출된 전선(300)의 끝단이 붐대(11)에 연결되면 차량(20)을 작업구간(H)으로 이동시켜 작업구간(H)내의 최초의 전주(100)위치에 정지한다. 본 발명의 차량(20)은 크레인을 탑재한 차량에서 차량의 수평을 맞추어 주고 또 차량을 지면에 견고히 받쳐주는 통상의 잭이 구비되어 있어 차량(20)의 수평을 유지시켜주게 되며 본 발명은 나아가 차량(20)적재함 후면에 도시하지 않은 수평기를 구비하여 차량(20)의 수평유지를 더욱 정확히 하고 있다. 즉, 차량(20)이 수평유지된 상태에서 크레인(10)을 작동시켜 붐대(11)를 주상작업자(200)가 위치하고 있는 높이만큼 신장시키는데 이때 전선(300)이 원할히 풀어질 수 있도록 전선권취드럼(30)의 원할한 회전도 동시에 요구된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50)를 신장시켜 전선권취드럼(30)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휠(31)과 풀리치차(70)를 분리하여 치합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전선(300)이 인출되는 길이에 비례하여 전선권취드럼(30)의 회전속도도 적절히 조절한다. 이와같이 전선이 연결된 붐대 (11)가 신장되어 붐대(11)의 상단이 주상작업자(200)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붐대 (11)의 신장을 멈춤과 동시에 전선권취드럼(30)의 회전도 일시 정지시킨다. 주상작업자(200)는 붐대(11)의 상단을 통하여 제공되는 전선(300)을 주상위치에서 한가닥씩 인수하여 전주(100)에 배전선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은 작업수단은 배전선로의 가공(架空)작업 으로써 종래 주상작업자(200)가 지상작업자로부터 일일이 한가닥씩 인수받아 로우프로 끌어올리는 작업방법에 비하여 탁월한 작업성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1본의 전주작업이 완료되면 차량(20)을 다음 전주(100)로 이동 시킨다. 이때 본 발명은 붐대(11)상단에 전선(300)이 연결된 상태에서 그대로 이동하는데 이동도중 계속하여 전선(300)을 풀어주어야 하므로 차량(20)의 이동시 전선권취드럼(30)은 지속적으로 상방에 위치하여 그 휠(31)이 풀리치차(70)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선권취드럼(30)의 자연스러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20)의 이동시 전선권취드럼(30)의 전선(300)은 차량(20)의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풀어지도록 작업자는 전선권취드럼(30)의 회전속도를 브레이크(80)등을 이용하거나 기타 수동적인 방법으로 조절한다. 또 이때 차량(20) 이동속도가 빠르면 전선권취드럼(30)은 회전력의 가속에 의해 전선(300)이 풀어지는 길이가 길어지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해 작업자는 전술한 바와같이 저부의 브레이크(80)를 조작하여 전선권취드럼(30)의 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차량의 이동거리와 전선이 풀어지는 길이가 비례하므로 차량의 이동속도가 빠르면 전선권취드럼 (30)의 회전도 빨리 하여야 하고 차량의 이동속도가 늦으면 전선권취드럼도 천천히 회전시켜 주어야 한다. 즉 작업환경에 따른 차량의 이동속도에 따라 전선권취드럼 (30)의 회전속도를 브레이크(80)를 이용하여 적절히 조절하여 줌으로써 전선(300)의 인출길이를 차량의 이동거리와 일치하도록 하는바, 이는 몇번의 반복작업에 의해 어려움 없이 충분히 숙달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전선(300)을 지상에 닿지 않게 한 상태에서 공중 이동하며 다음 작업전주에 이르러 붐대(11)의 상단이 주상작업자(200)에게 근접하면 차량 (20)을 정지시키는 한편, 브레이크(80)를 조작하여 전선권취드럼(30)의 회전도 멈추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상작업자(200)는 전술한 바와같은 같은 가공작업방법으로 전선을 한가닥씩 인수하여 선로작업을 수행하며 해당 전주(100)의 선로작업이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차량(20)을 다음 작업전주로 이동하고 여기서도 주상작업자는 상기한바와 동일한 가공작업 방법으로 선로작업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작업구간내의 각 전주(100)에 대한 가선작업이 1차 완료되면 전주와 전주사이에 쳐진 전선을 팽팽히 유지시켜 주기위해 전선의 일단을 잡아당겨 주어야 한다. 이때 본 발명은 붐대(11)에 연결된 전선을 분리하고 이어 상기 전선(300)을 보조기둥(42)의 상부 횡봉(43)에 축설된 안내로울러(44)에 의해 유도케 한 다음 휠(31)의 역회전에 의하여 전선권취드럼(30)을 역회전시켜 전선을 당겨줌과 동시에 이를 권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전선의 긴선 작업시 유압실린더 (50)를 수축시켜 전선권취드럼(30)을 하강시키며 하강되는 전선권취드럼(30)의 휠 (32)이 풀리치차(70)와 치합되면 유압실린더(50)의 작동을 중시시킨다. 이어서감속기를 갖는 정역구동유압모터(60)를 가동하여 풀리치차(70)를 구동시키면 그 풀리치차(70)의 구동력으로 이와 치합된 전선권취드럼(30)의 휠(31)이 구동되고 동시에 상기 휠(31)의 회전에 따른 전선권취드럼(30)의 강력한 회전력으로 전선(300)의 기계적 권취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많은 작업자의 동원이나 작업자의 체력소모 등이 시정되면서 전선(300)의 효과적인 권취수단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300)의 일단을 안내로울러(44)를 통하여 안내케 하는바, 이는 안내로울러(44)의 위치가 보조기둥(42)의 상부 횡봉(43)에 구성되어 높게 위치하고 있어 전선(300)의 굴절각도를 완만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전선(300)이 당겨질 때 마찰계수를 감소시켜주며 이에 따라 전선(30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완화하여 전선(300)을 온전히 회수한다. 즉 전선(300)을 상기 안내로울러(44)를 통하지 않고 낮은 위치의 전선권취드럼(30)에서 바로 권취하게 되면 완금과 전선권취드럼(30)간의 전선(300)경사각이 심하여 전주(100)의 완금부위에서 전선(300)이 심하게 굴절되게 된다. 물론 상기 전선(300)이 연결되는 완금에는 통상의 구조인 로울러가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300)의 굴절상태가 심한 상태에서는 전선(300)이 손상 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내로울러(44)는 전선(300)의 일단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줌으로써 전선(300)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유지시켜 주는 한편, 전선(300)을 전주(100)의 완금에 구비된 로울러와 본 발명의 안내로울러(44) 등 2개의 로울러로 유도케 함으로써 전선 (300)의 양호한 상태를 보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300)은 권취될 때 드럼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이동하면서 꼬임 없이 질서 있게 권취되어야 하는바, 본 발명의 안내로울러(44)는 횡봉(43)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있으므로 전선(300)이 전선권취드럼(300)상에서 감겨지면서 좌우로 이동하는 그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안내로울러(44)도 함께 좌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전선(300)의 질서정연한 권취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선의 권취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압모터를 정역구동유압모터로 구성한 것은 전선의 권취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전선을 풀어줄 때 구동력이 필요할 경우가 있으며 기타 작업여건상 역구동이 요구될 경우에 대비한 것이다.
전선(300)의 권취작업이 완료되어 각 전주(100)사이에 가설된 전선(300)이 팽팽히 유지되면 각 전주(100)의 주상작업자(200)는 전선(300)을 전주(100)의 완금에 부착된 현수애자의 크렘프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작업전주(100)의 주상작업자 (200)가 전선권취드럼(30)에 연결된 전선(300)을 절단하면 본 발명의 배전선로 작업은 완료된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 작업에 있어서 전선의 이동시 전선이 땅에 닿지않게 함으로써 전선피복을 보호하여 공사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특히 전선을 가공(架空)작업 함으로써 주상작업자가 전선을 극히 용이하게 인수한다. 이는 종래의 작업방법에 비하여 체력의 소모가 없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며 특히 다선(多線)작업의 경우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전선로 작업을 신속히 수행 할 수 있는 한편,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선로작업 비용을 크게 줄여주는 경제적 이점이 있으며 작업에 따른 교통불편 등을 최소화 한다.

Claims (4)

  1. 양쪽의 수직기대(41)에 전선권취드럼(30)이 장착된 단일체의 지지틀(40)과 크레인(10)이 탑제된 차량(20)에 있어서, 전선권취드럼(30)의 축(31)을 수직기대(4)상의 유압실린더(50)에 거치하여 연동되게한 구조와, 전선권취드럼(30)의 외부쪽 휠(32)저부일측에는 정역구동유압모터(60)로 구동되는 풀리치차(70)를 장착하여 상기 휠(32)과 치합하고 휠(32)저부의 근접위치에는 브레이크(80)를 설치한 구조 와, 상기 수직기대(41)의 일단에는 보조기둥(42)을 설치하되 상단 내측에는 횡봉 (43)을 설치하여 이에 안내로울러(44)를 좌우 이동자재하게 축설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가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유압실린더(50)의 상단에는 일단의 핀(51)으로 유동되게 축설된 체결편(52)을 결합하여 전선권취드럼(30)의 축(31)상방이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가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80)는 조작레버(81)로 작동되는 사각축 (83)에 용착되고 그 배면은 지지틀(10)에 연결된 인장스프링(82)으로 탄력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가선장치
  4. 삭제
KR1019990018716A 1999-05-24 1999-05-24 전선의 가선장치(架線裝置) KR100320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716A KR100320278B1 (ko) 1999-05-24 1999-05-24 전선의 가선장치(架線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716A KR100320278B1 (ko) 1999-05-24 1999-05-24 전선의 가선장치(架線裝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462A KR19990068462A (ko) 1999-09-06
KR100320278B1 true KR100320278B1 (ko) 2002-01-10

Family

ID=5477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716A KR100320278B1 (ko) 1999-05-24 1999-05-24 전선의 가선장치(架線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522B1 (ko) * 2000-06-14 2002-07-24 주식회사 동해 공중배선 가선장치
WO2011129604A2 (ko) * 2010-04-16 2011-10-20 (주)클립이엔지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462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90717B (zh) 一种从电缆盘上释放并敷设电缆的方法
KR200163244Y1 (ko) 전선의가선장치(架線裝置)
CN111478230A (zh) 一种城市轨道交通用电缆敷设装备
CN110803589A (zh) 电缆收放及起重一体组合车
CN113756201B (zh) 一种t构连续梁预应力钢绞线穿束方法及其穿束装置
CN106626052B (zh) 一种预应力钢筋拉线台车及预应力预制件生产线
KR100320278B1 (ko) 전선의 가선장치(架線裝置)
CN210339899U (zh) 一种电缆敷设拉线设备
CN211295989U (zh) 一种超高层建筑竖井电缆倒装敷设装置
CN209779465U (zh) 一种主塔竖转斜拉桥的挂索施工系统
KR101104807B1 (ko) 루프방식 가선공법
CN106890869B (zh) 一种预应力钢筋整体放线装置及方法
CN1065834C (zh) 架设接触导线用的机械
CN206417806U (zh) 用于预制梁板预应力张拉的可行走式千斤顶悬吊门架
CN112531570A (zh) 一种电缆上杆装置
CN211340457U (zh) 一种可升降履带式衬管穿束机
CN219638365U (zh) 一种用于双曲面网架屋面防水施工操作作业平台
CN214456414U (zh) T梁安装固定用运输辅助设备
CN215419347U (zh) 电缆敷设车
CN212982143U (zh) 一种升降机的电缆防断线装置
US3185444A (en) Method of installing cable on existing messenger
CN114744550B (zh) 一种弱电智能化机房线路分配装置及其使用方法
CN214995832U (zh) 一种建筑高空悬空施工用可水平、垂直行走的轨道吊船
CN212011936U (zh) 一种城市轨道交通用电缆敷设装备
CN220766084U (zh) 一种建筑施工放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