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646B1 -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646B1
KR102265646B1 KR1020200157329A KR20200157329A KR102265646B1 KR 102265646 B1 KR102265646 B1 KR 102265646B1 KR 1020200157329 A KR1020200157329 A KR 1020200157329A KR 20200157329 A KR20200157329 A KR 20200157329A KR 102265646 B1 KR102265646 B1 KR 10226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ller
core
peeling knif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구현
이세환
Original Assignee
대신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7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97Removing armouring from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전선을 권취하여 송출하는 제1 권취롤러(10); 폐전선을 상기 제1 권취롤러로부터 인입롤러에 안내하여 가이드(15);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여 인입된 폐전선을 눌러주는 인입롤러(20); 상기 인입롤러를 통과한 폐전선의 절연 외피를 절개하는 탈피칼(30); 상기 탈피칼에 의해 상부 절연 외피가 탈피된 폐전선을 눌러주는 송출롤러(40); 상기 상부 절연 외피가 탈피된 폐전선의 하부 절연 외피와 코어를 분리하는 분리롤러(50); 탈피된 상부 절연 외피를 회수하는 제2 권취롤러(60); 절연 외피가 탈피된 코어 전선을 회수하는 제3 권취롤러(70) 및 탈피된 하부 절연 외피를 회수하는 제4 권취롤러(80)를 포함하되, 상기 탈피칼은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Apparatus of stripping core wire}
본 발명은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어(심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복 분리용 칼날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피복만을 분리하여 코어를 재활용하는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폐전선의 재활용 방법은 절연 외피와 내부 코어를 분리하고, 분리된 외피와 내부 코어를 파쇄하거나 절단하여 스크랩으로 만들어 재활용하는 방법이다.
현재 사용되는 노후된 전선 또는 케이블(이하 '전선'으로 통칭함)의 재생기술은, 굵기가 서로 다른 전선의 종류에 따라 다수의 절개장치가 필요하고, 절개장치의 칼날이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수직 설치되어 절개 시 코어가 손상되어 그대로 재활용하기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정마다 수작업으로 진행하여 많은 인력이 필요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8513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피복전선 코어(심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복 분리용 칼날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는 피복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는, 폐전선을 권취하여 송출하는 제1 권취롤러(10); 폐전선을 상기 제1 권취롤러로부터 인입롤러에 안내하여 가이드(15);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여 인입된 폐전선을 눌러주는 인입롤러(20); 상기 인입롤러를 통과한 폐전선의 절연 외피를 절개하는 탈피칼(30); 상기 탈피칼에 의해 상부 절연 외피가 탈피된 폐전선을 눌러주는 송출롤러(40); 상기 상부 절연 외피가 탈피된 폐전선의 하부 절연 외피와 코어를 분리하는 분리롤러(50); 탈피된 상부 절연 외피를 회수하는 제2 권취롤러(60); 절연 외피가 탈피된 코어 전선을 회수하는 제3 권취롤러(70) 및 탈피된 하부 절연 외피를 회수하는 제4 권취롤러(80)를 포함하되, 상기 탈피칼은 코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피칼의 높이 조절은, 폐전선의 직경과 코어의 직경을 측정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피칼은 폐전선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피칼의 칼날의 하부는 소정의 각도로 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는 절연 외피가 노후되거나 불량한 전선을 코어의 손상 없이 절연 외피를 분리하여 코어를 바로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입롤러 또는 송출롤러의 높이 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의 피복칼 설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에서 폐전선의 코어와 피복 직경을 측정하는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의 탈피칼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피칼의 각도 조절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은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안 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는 도 1과 같이 구성되며, 폐전선을 권취하여 송출하는 제1 권취롤러(10); 폐전선을 상기 제1 권취롤러로부터 인입롤러에 안내하여 가이드(15);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여 인입된 폐전선을 눌러주는 인입롤러(20); 상기 인입롤러를 통과한 폐전선의 절연 외피를 절개하는 탈피칼(30); 상기 탈피칼에 의해 상부 절연 외피가 탈피된 폐전선을 눌러주는 송출롤러(40); 상기 상부 절연 외피가 탈피된 폐전선의 하부 절연 외피와 코어를 분리하는 분리롤러(50); 탈피된 상부 절연 외피를 회수하는 제2 권취롤러(60); 절연 외피가 탈피된 코어 전선을 회수하는 제3 권취롤러(70) 및 탈피된 하부 절연 외피를 회수하는 제4 권취롤러(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폐전선은 광케이블이나 복합케이블이 아니고 단일 코어(11, 심선)에 절연 외피(12)로 피복된 전선으로 노후되거나 불량 절연 제품의 절연 외피만 벗겨내고 다시 심선을 재활용할 수 있는 전선이다.
상기 제1 권취롤러(10)는 폐전선을 권취하여 송출하는 것으로 동력원없이 제3 권취롤러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폐전선을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5)는 폐전선을 상기 제1 권취롤러로부터 인입롤러에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분리장치의 테이블 또는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된다.
도 2는 가이드의 수직 단면도로서 한 쌍의 지지편 또는 지지롤러(16) 사이에 폐전선이 삽입되어 인입롤러로 안내된다. 폐전선(12)의 굵기에 따라 한 쌍의 지지편(16) 또는 지지롤러 사이의 간격은 좌우 나사(17)로 조절된다. 좌우 나사는 나사산의 방향이 양측이 반대여서 돌리면 지지편이 벌어지거나 오므라져 폐전선의 굵기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인입롤러(20)는 인입 폐전선을 눌러주는 롤러로서, 가로로 설치된 탈피칼에 일정한 높이로 폐전선을 공급하기 위하여 인입되는 전선을 눌러준다. 상기 인입롤러는 높이가 조절되고 수평방향으로도 좌우 이동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부가된다.
도 3은 높이 조절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프레임(101) 내에 회전하는 롤러(103)가 높이 조절나사(102)에 의하여 폐전선의 굵기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상기 탈피칼은 절연 외피를 전선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는 커터로서, 도 4와 같이 전선 길이 방향에 가로로 설치되며 높이와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탈피칼은 도 5와 같이 코어(심선)의 직경(D1)과 폐전선의 직경(D2)를 측정하여 코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탈피칼의 높이를 조절한다.
직경의 측정은 다이얼 게이지나 레이저로 측정할 수 있다. 레이저 직경측정은 그림자 투영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평탄한 측정 스테이지는 레이저의 레퍼런스 지점으로 저장된다. 레이저 직경측정 장치에 인입된 폐전선이 측정 스테이지에 들어오면 폐전선에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하는 단색광으로 두 축(XY) 또는 세 축(XYZ)에 강조되어 점으로 표시되고 각 축을 연결하는 지점을 스캔하여 레퍼런스와 단차를 계산하여 폐전선의 투영 그림자가 컴퓨터에 등록된다. 빛의 회절이론에 따라 국소적인 최대/최소값의 위치를 평균하여 폐전선의 직경을 결정한다. 두 축 측정은 XY가 90° 엇갈려 놓인 측정 축에 대한 스캔으로 직경값을 결정하고 세 축 측정은 XYZ가 60°씩 옮겨진 축에 대한 스캔으로 직경값을 결정한다.
도 6은 탈피칼의 수직 단면도로서 칼날(31)은 코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밑면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각도(θ1)로 형성한다.
도 7은 탈피칼의 각도 조절장치의 일실시예로서, 프레임에 상부 조절나사(32)와 하부 조절나사(33) 사이에 탈피칼을 설치하여 탈피칼을 고정하면서 상/하부 나사를 돌려 칼날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송출롤러(40)는 상부 절연 외피가 탈피된 폐전선을 눌러주는 롤러로서, 상기 송출롤러는 도 3과 같이 높이가 조절되고 수평방향으로도 좌우 이동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가 부가된다.
상기 분리롤러(50)는 하부 절연 외피(13)와 코어(11)를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 권취롤러(60)는 상부 절연 외피(12)를 회수하여 권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3 권취롤러(70)는 코어(11) 전선을 회수하여 권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4 권취롤러(80)는 하부 절연 외피(13)를 회수하여 권취하는 기능을 한다.
10: 제1 권취롤러 20: 인입롤러
30: 탈피칼 40: 송출롤러
50: 분리롤러 60: 제2 권취롤러
70: 제3 권취롤러 80: 제4 권취롤러

Claims (4)

  1. 폐전선을 권취하여 송출하는 제1 권취롤러(10);
    폐전선을 상기 제1 권취롤러로부터 인입롤러에 안내하여 가이드(15);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여 인입된 폐전선을 눌러주는 인입롤러(20);
    상기 인입롤러를 통과한 폐전선의 절연 외피를 절개하는 탈피칼(30);
    상기 탈피칼에 의해 상부 절연 외피가 탈피된 폐전선을 눌러주는 송출롤러(40);
    상기 상부 절연 외피가 탈피된 폐전선의 하부 절연 외피와 코어를 분리하는 분리롤러(50);
    탈피된 상부 절연 외피를 회수하는 제2 권취롤러(60)
    절연 외피가 탈피된 코어 전선을 회수하는 제3 권취롤러(70) 및
    탈피된 하부 절연 외피를 회수하는 제4 권취롤러(80)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는 폐전선의 굵기에 따라 한 쌍의 지지편 또는 지지롤러 사이의 간격을 좌우 나사(17)로 조절하고,
    상기 인입롤러는 프레임(101)내에 회전하는 롤러(103)가 높이 조절나사(102)에 의하여 폐전선의 굵기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송출롤러는 높이가 조절되고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하고,
    상기 탈피칼은 프레임에 상부 조절나사(32)와 하부 조절나사(33) 사이에 설치 고정되어 상부 조절나사와 하부 조절나사를 돌려 칼날의 각도를 변경하고,
    상기 탈피칼은 폐전선 코어의 손상을 방지하여 코어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칼의 높이 조절은,
    폐전선의 직경과 코어의 직경을 측정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칼은 폐전선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칼의 칼날의 하부는 소정의 각도로 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KR1020200157329A 2020-11-23 2020-11-23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KR10226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29A KR102265646B1 (ko) 2020-11-23 2020-11-23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29A KR102265646B1 (ko) 2020-11-23 2020-11-23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646B1 true KR102265646B1 (ko) 2021-06-16

Family

ID=7660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329A KR102265646B1 (ko) 2020-11-23 2020-11-23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48986A (zh) * 2022-10-17 2022-12-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营市河口区供电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电缆旋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572B1 (ko) * 2009-08-21 2010-09-10 강호근 전선 절단 탈피장치
JP2012032755A (ja) * 2010-06-28 2012-02-16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解体方法及び解体装置
KR101285133B1 (ko) 2012-05-30 2013-07-12 그리만산업(주)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KR20160038232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엘엠테크놀로지 폐광케이블 재생처리 시스템 및 재생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572B1 (ko) * 2009-08-21 2010-09-10 강호근 전선 절단 탈피장치
JP2012032755A (ja) * 2010-06-28 2012-02-16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解体方法及び解体装置
KR101285133B1 (ko) 2012-05-30 2013-07-12 그리만산업(주) 폐전선 피복의 탈피장치
KR20160038232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엘엠테크놀로지 폐광케이블 재생처리 시스템 및 재생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48986A (zh) * 2022-10-17 2022-12-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营市河口区供电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电缆旋剥装置
CN115548986B (zh) * 2022-10-17 2023-08-25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营市河口区供电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电缆旋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646B1 (ko)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US10056743B2 (en) Cable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for removing a screening film from a screened multi-core round cable
KR101934814B1 (ko)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US4019409A (en) Stripping and defillering method and apparatus
CN105896403A (zh) 一种电缆定长剥线器
KR20160038232A (ko) 폐광케이블 재생처리 시스템 및 재생처리 방법
CN111181090B (zh) 快捷可适用不同粗细规格的电力电缆的剥皮装置
KR20170009565A (ko) 광케이블 박피 및 재활용 장치어셈블리
US5074043A (en) Safety-cable jacket remover
US3881249A (en) Cable stripper
KR20210039853A (ko) 가공절연케이블 외피 재단용 피박기
KR102137095B1 (ko)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KR102481228B1 (ko)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CN112787202A (zh) 一种电气工程用剥线收线一体化设备
CN105633863A (zh) 一种电缆剥皮钳及其剥皮方法
KR101608617B1 (ko) 지중선 전동 피박기
CN205544004U (zh) 一种电缆绝缘层切刀、夹紧装置及取样组件
CN115693524A (zh) 一种剥线机
KR102361024B1 (ko)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전선의 가공장치 및 가공전선
CN213636900U (zh) 一种电缆护套的剥皮自动收卷处理系统
KR200452089Y1 (ko) 충실형 케이블 피복 탈피기
CN211826639U (zh) 一种可分离式蝶形引入光缆和基于其的光缆开剥装置
CN209591677U (zh) 一种电缆剥皮装置
CN203760951U (zh) 一种新型电缆剥皮装置
CA2282248C (en) Machine for use in recycling armoured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