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095B1 -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095B1
KR102137095B1 KR1020200012375A KR20200012375A KR102137095B1 KR 102137095 B1 KR102137095 B1 KR 102137095B1 KR 1020200012375 A KR1020200012375 A KR 1020200012375A KR 20200012375 A KR20200012375 A KR 20200012375A KR 102137095 B1 KR102137095 B1 KR 10213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oaxial cable
moving
coating layer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철
Original Assignee
(주)레아테크
조홍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아테크, 조홍철 filed Critical (주)레아테크
Priority to KR1020200012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97Removing armouring from cable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케이블에 구성된 내부도체와 외부도체를 감싸는 다수개의 피복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Tunnel Layer Separation and Stripping Device for ICT Convergence-type HMD Virtual Reality Cost-effective Communication Networking}
본 발명은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케이블에 구성된 내부도체와 외부도체를 감싸는 다수개의 피복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내부도체와 외부도체 사이에 절연물질이 형성된 후 피복에 의해 감싸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외부도체와 내부도체가 동심원을 이루고 있어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에 사용되는 전송선로의 일종이다. 직류를 포함한 저주파에서 수십 MHz의 고주파까지의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의 구리선에 흐르는 전기신호가 그것을 싸고 있는 외부 구리 망 때문에 외부의 전기적 간섭을 적게 받아 전력 손실도 적어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용이하다.
이에 따라 동축케이블은 HMD 가상현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5G 이상의 통신설비에 사용하여 전파를 전송한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시킨 뒤 양 끝단의 피복층 및 절연체를 벗겨내어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동축케이블 및 케이블 등의 피복층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 및 기구 등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케이블 피복층 제거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전선 다발과 그 전선 다발을 감싸는 피복층으로 구성된 케이블에서 피복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전선지지부재, 로킹부재를 통해 전선수용부재에 삽입된 전선을 고정하며, 커팅부재를 통해 케이블의 피복층을 제거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파이프 형상의 전선, 케이블을 절단할 수 있으나, 다수개의 도체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사용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의 끝단을 수작업으로 고정 및 커팅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다수개의 피복층으로 감싸진 케이블은 외부에 위치한 1개의 피복층만 제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4271호(2017.11.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개의 심선을 가지는 플랫 형태의 동축케이블을 길이에 맞춰 절단한 후 동축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피복층을 제거하여 심선을 노출시킬 수 있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축케이블의 길이 및 심선의 길이를 조절하여 절단시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부분을 정확히 절단할 수 있어 동축케이블의 절단부분이외에 손상시키지 않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을 통한 정보를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피복층을 절단 및 탈피할 수 있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축 모션 플랫폼을 기반으로 HMD 가상현실의 기술을 접목할 수 있도록 연결된 동축케이블을 사용길이에 맞춰 절단한 후 심선을 노출시켜 설치하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권취된 동축케이블이 유입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부; 상기 동축케이블의 이동경로에 형성된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을 고정 및 이동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동축케이블의 피복층을 절단하는 절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부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인입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안내롤러와,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설치되어 인입된 동축케이블을 절단하는 커팅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브라켓에 결합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앙부분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재가 형성된 센터홀더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부에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측 끝단을 지지하는 제2안착부재와, 상기 가이드축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타측 끝단을 지지하는 제3안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안착부재와 상기 제3안착부재는 상기 가이드축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상부 또는 상하부 및 하부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피복 및 외부도체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에 따르면, 플랫 형태를 가지는 동축케이블을 길이에 맞춰 절단한 후 동축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피복층을 제거하여 심선을 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케이블의 길이 및 심선의 길이를 조절하여 절단시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케이블을 고정시킨 후 필요부분을 정확히 절단할 수 있어 동축케이블의 절단 부분 이외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을 통한 정보를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피복층을 편리하게 절단 및 탈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축 모션 플랫폼을 기반으로 HMD 가상현실의 기술을 접목할 수 있도록 연결된 동축케이블을 사용길이에 맞춰 절단한 후 심선을 노출시켜 설치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의 절단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의 절단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이 구비된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7은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의 절단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의 절단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케이블에 구성된 내부도체와 외부도체를 감싸는 다수개의 피복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을 설정된 길이에 맞춰 절단하며, 양측 끝단의 내부도체와 외부도체를 노출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커팅부(100), 이동레일(200), 이동브라켓(300), 지지부(400), 절단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커팅부(100)는 권취된 동축케이블(10)이 유입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다.
상기 이동레일(200)은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이동경로에 형성된다.
상기 이동브라켓(300)은 상기 이동레일(200)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결합되며, 상기 커팅부(100)에 의해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고정 및 이동한다.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지지부(400)에 지지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피복층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커팅부(100)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커팅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이동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고정된 상기 지지부(400)를 통해 고정한 뒤 상기 절단부(500)에서 피복층을 순차적으로 절단한다.
이후 상기 지지부(400)에 의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끝단을 고정시켜 순차적으로 절단된 피복층을 벗겨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팅부(100) 및 상기 이동레일(200)은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유입되는 방향에 맞춰 배치되며,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지지부(400)에 지지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 끝단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부 또는/및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심선(내부도체)(11)을 중심으로 절연체(12), 실드선(외부도체)(13), 동피복(14)의 구조를 가지며, 다수개의 심선이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외피(14)의 피복층으로 마감 처리되어 릴 형태의 플랫케이블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5G 이상의 통신설비에 사용하는 복잡한 구조의 고속케이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속케이블은, 모션을 제시하는 다축 모션 플랫폼을 기반으로 HMD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일상생활 지원과 인지기능 개선을 사실적인 체험을 통해 훈련하여 재활 등을 사실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실버케어에 사용한다.
이때, 고속케이블은 실버케어에 맞춰 다축 모션 플랫폼에서 측정된 정보와, HMD 가상현실에서 출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고속케이블로 이루어진 동축케이블(10)은 실버케어에 사용할 수 있는 길이에 맞춰 절단 한 후 피복층을 제거하여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부에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인입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은 별도의 권취롤러에 결합 또는 권취되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100) 및 상기 이동레일(200)은 프레임(600)에 설치된 베이스(610)에 안착되며, 상기 커팅부(100)는 상기 프레임(60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400)에 지지된 동축케이블(10)을 절단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600)은 사각형상의 틀로 결합된 후, 권취된 상기 동축케이블(10), 상기 커팅부(100) 및 상기 이동레일(200)이 설치되며, 상단과 하단에 상기 절단부(5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다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층으로 이루어진 상기 프레임(600)에 상기 베이스(610)가 설치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 상기 커팅부(100), 상기 이동레일(200) 및 상기 커팅부(100)가 특정 위치에 유기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커팅부는 권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인출하여 설정된 길이에 맞춰 절단할 수 있도록 지지판(110), 안내롤러(120) 및 커팅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110)은 상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110)은 권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인출되는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610)에 결합된다.
상기 안내롤러(120)는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인입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롤러(12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 밀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인입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안내롤러(12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된 하나의 세트와, 좌/우측에 각각 위치된 하나의 세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시켜 다수개 배치된다.
상기 커팅부재(130)는 상기 지지판(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인입된 동축케이블(10)을 절단한다.
이러한 상기 커팅부재(130)는 인입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절단하기 위해 가이드레일(131), 제1이동부재(132) 및 제2이동부재(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131)은 상기 지지판(110)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이동부재(132)는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상부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동축케이블(10)에 상부에 접촉되는 일면에 커팅날(134)이 형성된다.
상기 제2이동부재(133)는 상기 가이드레일(131)의 하부에 배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하부에 접촉되는 타면에 커팅날(134)이 형성된다.
따라서 권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안내롤러(120)에 의해 인출되어 상기 지지부(400) 인입된다.
이때, 상기 안내롤러(120)는 상,하,좌,우 4방향에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가이드하여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롤러(120)에 의해 이동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커팅부재(130)에 의해 커팅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커팅부재(13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1이동부재(132)와,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2이동부재(133)가 상기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상기 커팅날(134)을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커팅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레일(200)은 상기 커팅부(10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6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레일(200)에 상기 이동브라켓(3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러한 상기 이동레일(200)은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및 볼스크류, 리니어모터 등과 같이 상기 이동브라켓(300)을 길이방향을 따라 정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300)은 하단부가 상기 이동레일(2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커팅부(100)를 향하도록 상기 지지부(40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4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411)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411)는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설치된 후 360°회전하여 상기 지지부의 전,후 방향을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이동레일(200) 및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커팅부(100)에 의해 커팅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고정하여 이동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커팅부(100)에 의해 절단된 양측 끝단을 상기 심선에서 벗겨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400)는 고정브라켓(410), 센터홀더(420), 가이드축(430), 제2안착부재(440) 및 제3안착부재(4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410)은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브라켓(410)은 상기 커팅부(100)를 향하도록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410)은 일측이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결합되며, 일측 또는 양측에서 상기 커팅부(100)를 향해 돌출되어 "ㄱ" 또는 "ㄷ"자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410)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ㄱ"자 형상일 경우 하나의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지지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돌출되어 "ㄷ"자 형상일 경우 양측에서 각각 두개의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410)을 통해 한쪽 또는 양쪽에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에 따라 권취된 상기 동축케이블(10) 및 상기 커팅부(100)가 한쪽 또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터홀더(420), 상기 가이드축(430), 상기 제2안착부재(440) 및 상기 제3안착부재(450)는 상기 고정브라켓(410)의 형상에 맞춰 한쪽 또는 양쪽에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센터홀더(420)는 상기 고정브라켓(410)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중앙부분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재(42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축(430)은 상기 고정브라켓(410)의 내부에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제2안착부재(440)는 상기 가이드축(4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일측 끝단을 지지한다.
상기 제3안착부재(450)는 상기 가이드축(43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타측 끝단을 지지한다.
즉, 상기 센터홀더(420)는 상기 제1안착부재(421)가 결힙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4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부(100)에서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중앙부분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착부재(440) 및 상기 제3안착부재(450)는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 끝단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안착부재(440) 및 상기 제3안착부재(450)는 상기 가이드축(43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안착부재(440)와 상기 제3안착부재(450)는 상기 가이드축(430)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축은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제2안착부재(440)와 상기 제3안착부재(450)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좁아진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안착부재(421)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제2안착부재(440) 및 상기 제3안착부재(450)의 이동시 양측 끝단의 피복층을 벗겨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부재(421), 상기 제2안착부재(440) 및 상기 제3안착부재(45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이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안착부재(421)는 전/후면이 노출되도록 상부에서 함돌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안착되는 안착홈(460)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460)의 하단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형성된 미끄럼방지부(46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안착부재(421)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안착부재(440) 및 상기 제3안착부재(450)는 상기 제1안착부재(421)와 동일한 상기 안착홈(460) 및 상기 미끄럼방지부(461)가 형성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의 양측 끝단의 길이에 맞춰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460)의 전/후면의 측면에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서 전/후면을 향해 서서히 넓어지는 모깍기(46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안착홈(460)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미끄럼방지부(461)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모깍기(462)를 통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재(421), 상기 제2안착부재(440) 및 상기 제3안착부재(450)에는 동일한 상기 안착홈(460)을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부재, 상기 제2안착부재 및 상기 제3안착부재에와 동일한 규격에 맞춰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홈(460)에 삽입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고정하는 고정돌기(471)가 형성된 고정부재(470)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70)는 높낮이 조절을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유입될 때 승강한 후,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상기 안착홈(460)에 삽입되면 하강하여 상기 고정돌기(471)가 상기 안착홈(460)에 삽입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지지부(400)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 끝단을 절단하여 심선을 노출시킨다.
이러한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상하부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피복층을 절단한다.
아울러, 상기 절단부(500)는 레이저 커팅을 통해 원형태의 피복층의 원호를 까라 가공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절단부(500)는 레이저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 등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절단부(500)는 동축케이블(10)의 상부 또는/및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후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피복층을 다수번 절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회전부(411)의 설치 여하에 따라 상부 또는 상하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부(411)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레이저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411)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절단부(500)는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레이저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일면을 절단한 후 상기 회전부(411)를 이용하여 상기 동축케이블(10)을 회전시켜 타면을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300)의 이동하는 간격을 제어하는 간격조절부(7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간격조절부(700)는 상기 이동브라켓(30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감지센서(710)와, 상기 이동레일(200)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레일(200)의 측면에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간격조절판(7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판(720)은 상기 이동레일(20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이동브라켓(300)이 상기 커팅부(100)에서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상기 절단부(500)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에 맞춰 상기 베이스(6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판(720)은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레일(200)의 측면에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부(700)는 상기 이동브라켓(300)과 같이 이동하여 상기 간격조절판(720)에 접촉하여 이동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브라켓(300)의 정확한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상기 커팅부(100)에서 상기 절단부(500)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브라켓(300)이 일정간격 내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100), 상기 지지부(400) 및 상기 절단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800)가 더 포함되나.
이러한 상기 제어부(800)는 설정된 길이에 맞춰 권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인출한 후 절단하며, 상기 지지부(400)를 통해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상기 절단부(500)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이동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절단부(500)를 통해 외부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다수번 절단하여 피복층을 제거하여 심선을 노출시키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600)을 사각틀 형상으로 조립하고 상기 베이스(610)를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610)에 설치된 권취롤러에 상기 동축케이블(10)이 권취되며 인출되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길이방향에 맞춰 커팅부(100), 상기 이동레일(200)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200)에는 상기 이동브라켓(300), 상기 지지부(400)가 상기 이동레일(20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하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600)에 고정설치되어 레이저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절단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이동레일(200) 및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의해 상기 커팅부(100)로 이동한다.
이렇게 상기 지지부(400)가 상기 커팅부(100)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부(100)는 권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인입하여 상기 커팅부(100)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부재(421, 440, 450)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커팅부(100)는 상기 안내롤러(120)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인입하며, 상기 커팅부재(130)의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부재(421, 440, 45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안내롤러(12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일정 길이에 맞춰 상기 지지부(400)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커팅부재(130)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절단한다.
이렇게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이동레일(200) 및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의해 상기 지지부(400)가 상기 절단부(500)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200)은 상기 간격조절부(700)에 의해 상기 이동브라켓(300)의 이동간격 및 위치를 판단하여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부재(132)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중앙부분을 고정하며, 상기 제2안착부재(440) 및 상기 제3안착부재(45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 끝단을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커팅부(100)에서 커팅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상기 절단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0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단은 상기 절단부(500)에 의해 외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절단하여 상기 지지부(400)를 통해 벗겨낸다.
즉,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이루는 다수개의 피복층을 순차적으로 절단하여 벗겨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부(500)에 의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외피(15)를 절단한 후 상기 지지부(400)의 상기 제2안착부재(440) 및 상기 제3안착부재(450)의 간격을 넓혀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외피(15)를 일정부분 벗겨내어 내부의 상기 동피복(14)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동피복(14)을 절단한 후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부(400)에 의해 상기 동피복(14)을 일정부분 벗겨내어 상기 실드선(13)을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실드선(13)을 절단한 후 상기 지지부(400)에 의해 상기 실드선(13)을 일정부분 벗겨내어 상기 절연선(12)을 노출시킨다.
이 후,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절연선(12)을 절단한 후 상기 지지부(400)에 의해 상기 절연선(12)을 일정부분 벗겨내어 상기 심선(11)을 노출시킨다.
이렇게 노출된 심선(11)은 상기 절단부(500)에 의해 0.5~1.2mm로 노출되도록 절단한다.
이와 같이 다수번의 절단을 통해 피복층이 다양하게 형성된 동축케이블을 절단할 수 있으며, 플래형태, 원형형태에 상관 없이 피복층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제1안착부재(421)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별도의 라인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안착부재(440) 및 상기 제3안착부재(450)에 고정된 피복층은 별도로 분리배출 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회전부(411)의 설치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회전부(411)가 설치되지 않으면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프레임(600)의 상/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부와 하부에서 레이저를 통해 절단한다.
따라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절단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이 빠르며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411)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프레임(6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일면를 절단한 후 상기 회전부(411)를 통해 회전시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타면을 절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동축케이블(10)을 회전시여 절단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절단부(500)의 상/하에 설치된 상태보다 절단하는 작업시간은 다소 느리나, 하나의 상기 절단부(500)를 사용함에 따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커팅부(100), 상기 이동레일(200), 상기 지지부(400) 및 상기 절단부(500)를 이와 같이 작동하여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플랫방식으로 이루어진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길이에 맞춰 절단할 수 있으며, 양측 끝단의 신속하고 정확하게 벗겨내어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레이저 방식을 이용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손상시키지 않고 필요한 부분의 정확한 규격에 맞춰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며, 다수의 피복층을 가지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절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동축케이블 10: 심선 12: 절연선
13: 실드선 14: 동피복
15: 외피
100: 커팅부 110: 지지판 120: 안내롤러
130: 커팅부재 131: 가이드레일
132: 제1이동부재 133: 제2이동부재
134: 커팅날
200: 이동레일
300: 이동브라켓
400: 지지부 410: 고정브라켓 411: 회전부
420: 센터홀더 421: 제1안착부재
430: 가이드축 440: 제2안착부재
450: 제3안착부재 460: 안착홈
461: 미끄럼방지부 462: 모깍기
470: 고정부재 471: 고정돌기
500: 절단부
600: 프레임 610: 베이스
700: 간격조절부 710: 감지센서 720: 간격조절판
800: 제어부

Claims (5)

  1. 권취된 동축케이블(10)이 유입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부(100);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이동경로에 형성된 이동레일(200);
    상기 이동레일(200)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브라켓(300);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결합되며, 상기 커팅부(100)에 의해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고정 및 이동하는 지지부(400);
    상기 지지부(400)에 지지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피복층을 절단하는 절단부(5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이동브라켓(300)에 결합된 고정브라켓(410)과,
    상기 고정브라켓(410)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중앙부분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재(421)가 형성된 센터홀더(420)와,
    상기 고정브라켓(410)의 내부에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가이드축(430)과,
    상기 가이드축(4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일측 끝단을 지지하는 제2안착부재(440)와,
    상기 가이드축(43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타측 끝단을 지지하는 제3안착부재(4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100)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판(110)과,
    상기 지지판(11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인입을 가이드하는 다수개의 안내롤러(120)와,
    상기 지지판(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인입된 동축케이블(10)을 절단하는 커팅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부재(440)와 상기 제3안착부재(450)는 상기 가이드축(430)의 회전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500)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상부 또는 상하부 및 하부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피복층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KR1020200012375A 2020-02-03 2020-02-03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KR10213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75A KR102137095B1 (ko) 2020-02-03 2020-02-03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75A KR102137095B1 (ko) 2020-02-03 2020-02-03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095B1 true KR102137095B1 (ko) 2020-07-23

Family

ID=7189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75A KR102137095B1 (ko) 2020-02-03 2020-02-03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0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084B1 (ko) * 2021-05-12 2021-08-09 조선웅 미세 동축 케이블의 탈피가 용이한 자동 탈피기 및 이를 통한 자동 탈피방법
KR102434996B1 (ko) * 2021-02-17 2022-08-22 이중재 폐기 케이블의 피복 커팅장치
KR20230151239A (ko) * 2022-04-25 2023-11-01 상신전자(주)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4004A (ja) * 1991-04-12 1992-11-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の端末処理装置
JPH0560122U (ja) * 1992-01-17 1993-08-06 日立電線株式会社 Cvケーブル接続部の切断機
KR100840552B1 (ko) * 2006-08-14 2008-06-23 (주) 유원컴텍 레이저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제거장치
JP5203506B2 (ja) * 2009-11-05 2013-06-05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電線の絶縁被覆をレーザー光で切断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63112A (ko) * 2012-11-16 2014-05-27 오성전장주식회사 코어보호용 케이블탈피장치
KR20150075916A (ko) * 2013-12-26 2015-07-06 유영석 히팅 케이블용 스트리퍼
KR101804271B1 (ko) 2016-07-13 2017-12-04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케이블 피복층 제거 장치
KR101989403B1 (ko) * 2019-02-01 2019-06-14 박상현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용이한 전선 피복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4004A (ja) * 1991-04-12 1992-11-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の端末処理装置
JPH0560122U (ja) * 1992-01-17 1993-08-06 日立電線株式会社 Cvケーブル接続部の切断機
KR100840552B1 (ko) * 2006-08-14 2008-06-23 (주) 유원컴텍 레이저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제거장치
JP5203506B2 (ja) * 2009-11-05 2013-06-05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電線の絶縁被覆をレーザー光で切断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63112A (ko) * 2012-11-16 2014-05-27 오성전장주식회사 코어보호용 케이블탈피장치
KR20150075916A (ko) * 2013-12-26 2015-07-06 유영석 히팅 케이블용 스트리퍼
KR101804271B1 (ko) 2016-07-13 2017-12-04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케이블 피복층 제거 장치
KR101989403B1 (ko) * 2019-02-01 2019-06-14 박상현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용이한 전선 피복 제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996B1 (ko) * 2021-02-17 2022-08-22 이중재 폐기 케이블의 피복 커팅장치
KR102288084B1 (ko) * 2021-05-12 2021-08-09 조선웅 미세 동축 케이블의 탈피가 용이한 자동 탈피기 및 이를 통한 자동 탈피방법
KR20230151239A (ko) * 2022-04-25 2023-11-01 상신전자(주)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KR102636962B1 (ko) * 2022-04-25 2024-02-15 상신전자(주)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095B1 (ko)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US8492648B2 (en) Communication cable comprising electrically discontinuous shield having nonmetallic appearance
US75327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subterranean optical fiber
CN108154965B (zh) 改进的高性能数据通信电缆
CN103339690B (zh) 多芯线缆及其制造方法
EP0144728A1 (en) Shielded ribbon cable and method
CN211125161U (zh) 线缆
MY104058A (en) Apparatus for making an electric harness.
DE69725181D1 (de) Leiter für hochspannungswicklungen und rotierende elektrische maschine mit einem solchen leiter
US4738734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lexible electric line
US107276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ripping a cable having a multi-layered sheath
KR100718609B1 (ko) 선재의 테이프 권취 장치 및 테이프 권취 절연 선심의 제작시스템
US201600428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cable
KR102137099B1 (ko)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EP4020047A1 (en) Photoelectric fast-connection optical cable for 5g outdoor micro base st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5161954A (zh) 一种电缆剥皮装置
GB2081323A (en) Multi-core electrical power cable or lin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JP2006180681A (ja) 微細同軸ケーブルの端末加工方法及び微細同軸ケーブルの端末加工装置
US4667381A (en) Flat multiple pair cable stripping and connector attaching apparatus
CN217788096U (zh) 一种电缆用外导体缠绕设备
CN214044788U (zh) 一种可剥离软线的装置
CN214899871U (zh) 网络通讯工程用通讯电缆接线设备
CN112735660B (zh) 一种机场助航灯光用综合防护电缆
KR102444410B1 (ko) 여러 분야에 적용하는 전선의 가공장치 및 가공전선
CN212570430U (zh) 一种双屏蔽低损耗高速率数据传输线及屏蔽层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