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239A -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239A
KR20230151239A KR1020220050662A KR20220050662A KR20230151239A KR 20230151239 A KR20230151239 A KR 20230151239A KR 1020220050662 A KR1020220050662 A KR 1020220050662A KR 20220050662 A KR20220050662 A KR 20220050662A KR 20230151239 A KR20230151239 A KR 20230151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amel
coated wire
control signal
las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962B1 (ko
Inventor
조동윤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상신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신전자(주) filed Critical 상신전자(주)
Priority to KR102022005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962B1/ko
Publication of KR2023015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sulation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나멜로 피복된 전선을 다른 도체와 접촉시키기 위하여 에나멜 피복을 탈피하는데 있어서 탈피되는 에나멜 피복의 위치와 영역을 레이저로 정밀하게 지정하고 정확하며 빠르게 탈피(제거)하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과 테이블 상단에 상부하우징을 구비하고 에나멜 피복 전선의 피복을 레이저로 탈피하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에 있어서, 테이블의 상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 또는 어쎄이 상태의 에나멜 피복 전선을 고정시키고 탈피할 부분을 상부에 노출시키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에나멜 피복 전선을 수평방향에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테이블의 내부 일측에 고성 설치되고 회전구동부에 접속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에 구성되는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감시하는 탈피중앙제어부; 테이블의 상측면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구동부를 이동상태로 설치하고 탈피중앙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Y 축 방향으로 지정된 거리를 반복하여 상부하우징의 외부와 내부에서 전진과 후진의 직선이동하는 제 1 직선이동부; 상부하우징의 내부 일부분에 이동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탈피중앙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레이저빔을 발생하여 지정된 영역에 조사되도록 출력하는 레이저발생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하나 이상 다수 에나멜 피복 전선의 지정된 위치를 정밀하며 정확하고 빠르게 탈피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System of stripping for enamel covering electric wire using laser}
본 발명은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나멜로 피복된 전선을 다른 도체와 접촉시키기 위하여 에나멜 피복을 탈피하는데 있어서 제거(탈피)되는 에나멜 피복의 위치와 크기(영역)를 레이저로 정밀하게 지정하고 정확하며 빠르게 탈피(제거)하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선은 전기 또는 전기신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전성이 좋은 금속 또는 도체를 사용하며, 이러한 도체 금속으로 금, 은, 동, 알루미늄 및 합금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동 또는 알루미늄을 많이 사용한다.
도체로 이루어진 전선은 인접한 전선과 표면이 접촉하는 경우 이동 또는 이송 또는 전송 또는 전달되는 전기 또는 전기신호가 외부로 누설되거나 잡음이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목표지점으로 보내지 못하거나 또는 엉뚱한 신호가 전달되므로, 전기적으로 외부와 차단 또는 차폐시키기 위하여 피복을 사용한다.
도체로 이루어진 전선을 외부와 차단시키거나 외부의 물리적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피복 재료이며, 이러한 피복재료에는 절연성능이 우수한 절연재료가 많이 사용되고 절연재료에는 일 례로 섬유류, 가죽류, 합성수지류, 에나멜 도료 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기와 전기신호와 신호는 같은 의미이고 신호를 위주로 사용하되 필요에 의하여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피복된 전선에 신호를 인가 또는 인출하거나 신호를 입출시키는 단자(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 설치하기 위하여는 필요한 부분 또는 선택된 부분의 피목을 탈피 또는 제거하여야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탈피와 제거는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피복된 전선으로부터 피복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전선의 도체 또는 코어에 손상이 가지 않아야 된다.
이러한 필요성을 일부 헤소하는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10306호(2016. 04. 01.)에 의한 것으로 ‘레이저를 이용하는 케이블 탈피장치’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전선 레이저 탈피 장치의 기능설명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레이저 발생기(110)와 제1 및 제2 렌즈(120a, 120b)와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130)와 제1 내지 제3 미러(140a, 140b, 140c)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레이저 발생기(110)는 탄산가스(CO2) 분자의 진동 준위 사이에서 9.4 ~ 10.6 마이크로미터(㎛) 파장 대역의 레이저빔을 고효율로 발생 출력하는 CO2 레이저 발생기이고, 출력을 검출하는 파워 미터(power meter)와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collimator)와 출력을 안정시키는 파워 스테빌라이저(power stabilizer)와 레이저빔 의 크기를 조정하는 빔 익스팬더(beam expander) 등의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
도면에서의 점선은 레이저 빔이 이동하는 경로(광로)이다.
제1 및 제2 렌즈(120a, 120b)는 레이저빔을 집광하고, 빔 스플리터(130)는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2 개의 방향으로 분리하며, 제1 내지 제3 미러(140a, 140b, 140c)는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반사하여 레이저빔이 이동하는 경로 또는 광로를 변경한다.
레이저 발생기(110)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빔은 제1 렌즈(120a)에 의하여 집광되어 빔 스플리터(130)에 인가되고 스플리터(130)는 일부 레이저빔의 경로(광로)를 변경시켜 전선(케이블, C)의 제1 절개지점(P1)에 조사되어 피복을 절개한다.
한편, 스플리터(130)에서 경로(광로)가 변경되지 않은 나머지 레이저빔은 제1 내지 제3 미러(140a, 140b, 140c)에 의하여 제2 렌즈(120b)에 도달하고, 제2 렌즈(120b)에 의하여 집광되어 전선(케이블, C)의 제2 절개지점(P2)에 조사되어 피복을 절개하고 별도의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절재된 피복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종래기술은 피복을 단순히 절개하는 구성이고, 절개된 피복을 별도의 분리수단을 더 구비하여야 되며, 에나멜 피복 전선과 같이 에나멜 피복이 밀착상태로 부착된 전선의 피복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에나멜 피복 전선의 선택된 부분에 대한 에나멜 피복을 정밀하며 정확하고 빠르게 탈피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10306호(2016. 04. 01.) ‘레이저를 이용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0-0006576호(2000. 02. 11.) ‘전기 저항 열을 이용한 폐 전선 탈피 장치 및 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 다수 에나멜 피복 전선의 지정된 위치를 정밀하며 정확하고 빠르게 탈피하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적 중에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은 테이블(800)과 상기 테이블(800) 상단에 상부하우징(850)을 구비하고 에나멜 피복 전선의 피복을 레이저로 탈피하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800)의 상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 또는 어쎄이 상태의 에나멜 피복 전선을 고정시키고 탈피할 부분을 상부에 노출시키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에나멜 피복 전선을 수평방향에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000); 상기 테이블(800)의 내부 일측에 고성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동부(1000)에 접속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에 구성되는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감시하는 탈피중앙제어부(2000); 상기 테이블(800)의 상측면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부(1000)을 이동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Y 축 방향으로 지정된 거리를 반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850)의 외부와 내부에서 전진과 후진의 직선이동하는 제 1 직선이동부(3000); 상기 상부하우징(850)의 내부 일부분에 이동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레이저빔을 발생하여 지정된 영역에 조사되도록 출력하는 레이저발생부(4000); 를 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85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레이저발생부(4000)를 X 축 방향으로 지정된 거리를 반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850)의 내부에서 전진과 후진의 직선이동하는 제 2 직선이동부(5000); 상기 테이블(800)의 내부 타측 일부분에 고성 설치되고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레이저발생부(4000)가 출력하는 레이저빔의 출력과 시간과 조사방향을 조정하는 레이저구동부(60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는 상기 테이블(800)의 일측에 설치된 시작버튼(810)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이 제어되어 동작되는 상태의 정보를 모니터(820)에 표시되도록 출력하며 제어 상태 정보를 외부저장장치(830)에 기록 관리하고 상기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이 정상 운영되는 상태와 장애발생된 상태와 준비상태를 각각 구분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운전신호등(840)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000)는 상기 제 1 직선이동부(3000)의 상측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회전축(1110)을 0.5도 각도 단위로 회전하거나 역회전하며 하부 일측에 다수의 고정공(1120)을 형성하는 스텝모터(1100); 상기 스텝모터(1100)의 상기 회전축(1110) 끝단에 하부 중앙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텝모터(1100)의 상기 회전축(1110)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처크테이블(1200); 상기 처크테이블(120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다수가 상기 처크테이블(1200)의 중심축 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과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중심부에 고정공동(1310)을 형성하여 상기 에나멜 피복 전선을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처크장치(1300); 상기 처크테이블(1200)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1110)의 회전동력을 상기 처크테이블(1200)에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처크장치(1300)가 상기 처크테이블(1200)의 중심축 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된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동력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클러치부(1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직선이동부(3000)는 상기 테이블(800)의 상측면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회전축(3110)을 0.5도 각도 단위로 회전하거나 역회전하는 제 1 회전모터(3100); 상기 제 1 회전모터(3100)의 회전축(3110)에 일측이 막대 형상으로 연결 설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이 형성되는 스크류축(3200); 상기 제 1 회전모터(3100)의 하단 일부분에 일측이 막대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축(3200)과 평행하게 같은 길이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300); 상기 스크류축(3200)과 가이드레일(3300)을 관통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축(3200)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3300)을 따라 전진과 후진하며 상부 일측에 하나 이상 다수의 고정공(3410)을 형성하는 직선이동테이블(3400); 상기 스크류축(3200)과 가이드레일(3300)이 평행을 형성하도록 상기 스크류축(3200)의 타측과 가이드레일(3300)의 타측을 각각 고정 설치하는 고정브라켓(3500); 상기 제 1 회전모터(3100)의 하단과 고정브라켓(3500)의 하단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직선이동테이블(3400)의 하단면과 간격을 형성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600);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직선이동부(3000)는 고정프레임(3600)의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직선이동테이블(3400)의 현재 위치를 레이저 광신호의 송신시간과 수신시간의 차이를 연산하여 검출하며 탈피중앙제어부(2000)에 통보하는 위치검출센서(37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하나 이상 다수 에나멜 피복 전선의 지정된 위치를 정밀하며 정확하고 빠르게 탈피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전선 레이저 탈피 장치의 기능설명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이 정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이 측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이 평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이 회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회전구동부의 세부 구성도,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 1 직선이동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이 정면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이 측면 구성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이 평면 구성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이 회로 구성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회전구동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 1 직선이동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을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구동부(1000)와 탈피중앙제어부(2000)와 제 1 직선이동부(3000)와 레이저발생부(4000)와 제 2 직선이동부(5000)와 레이저구동부(6000)를 포함하며 테이블(800)과 테이블(800) 상단에 상부하우징(850)을 구비하고 에나멜 피복 전선의 피복을 레이저로 탈피하는 구성이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동일한 구성이 대칭되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좌측 구성과 우측 구성은 기능과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고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된 어느 한쪽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하되, 왼쪽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한편, 필요에 의하여 2개 이상 다수의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을 하나의 테이블(800)과 하우징에 내장 운용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회전구동부(1000)는 테이블(800)의 상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 또는 다양한 제품 형상을 하는 소위 어쎄이(Assy)로 호칭되는 상태의 에나멜 피복 전선을 탈부착 상태로 고정시키되, 에나멜 피복 전선에 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탈피할 해당 부분을 상부에 노출시키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에나멜 피복 전선을 수평방향 또는 수평면 상에서 회전시킨다.
즉, 탈피할 부분에 레이저빔이 골고루 조사되도록 수평면 상에서 일정한 속도와 각도로 회전시킨다. 레이저빔은 종래기술 설명에서와 같이 출력이 충분하고 에나멜 피복을 태워 제거하는 출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미 설명된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회전구동부(1000)는 스텝모터(1100)와 처크테이블(1200)과 처크장치(1300)와 클러치부(1400)를 포함한다.
처크(chuck, 척)의 구성 및 기능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스텝모터(1100)는 제 1 직선이동부(3000)의 상측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회전축(1110)을 0.5도 각도 단위로 회전하거나 역회전하며 하부 일측에 다수의 고정공(1120)을 형성한다. 스텝모터(1100)는 0.5도 각도 단위 보다 더 작은 각도 단위로 회전 또는 역회전 할 수 있으나 에나멜 피복 전선의 굵기가 비교적 가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0.5 도 각도 단위로 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구성이 비교적 바람직하며, 필요에 의하여 가감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고, 탈피중앙제어부(2000)에 해당 운용 데이터 및 명령어를 수정 입력하는 것으로 가감 처리되며, 탈피중앙제어부(2000)에는 필요한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기록 저장 관리되고 갱신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처크테이블(1200)은 스텝모터(1100)의 회전축(1110) 끝단에 하부 중앙이 연결 설치되고 스텝모터(1100)의 회전축(1110)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처크장치(1300)는 처크테이블(120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다수가 처크테이블(1200)의 중심축 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과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중심부에 고정공동(1310)을 형성하여 에나멜 피복 전선을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킨다.
클러치부(1400)는 처크테이블(1200)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외력에 의하여 회전축(1110)의 회전동력을 처크테이블(1200)에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처크장치(1300)가 처크테이블(1200)의 중심축 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된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동력으로 변환시켜 전달한다. 이러한 클러치부(1400)와 같은 기능의 구성은 거의 모든 전동드라이버 등에서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사용되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탈피중앙제어부(2000)는 테이블(800)의 내부 일측에 고성 설치되고 회전구동부(1000)에 접속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에 구성되는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감시한다. 탈피중앙제어부(2000)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의 운용에 필요한 운용 프로그램, 데이터, 파라미터 등이 기록 저장 및 관리되고 갱신되며 운용 결과에 의한 해당 데이터 정보도 별도 활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관리한다.
탈피중앙제어부(2000)는 테이블(800)의 일측에 설치된 시작버튼(810)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이 제어되어 동작되는 결과 상태의 정보를 모니터(820)에 표시되도록 출력하며, 제어 상태 정보를 외부저장장치(830)에 기록 관리하고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이 정상 운영되는 상태와 장애(trouble) 발생된 상태와 준비상태를 각각 구분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운전신호등(840)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시작버튼(810)을 한번 누르면 해당 프로그램에 의하여 탈피가 종료될 때 까지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이 자동으로 동작(운용)되며, 운전신호등(840)은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의 안전운전을 위하여 비교적 필요한 구성이다.
제 1 직선이동부(3000)는 테이블(800)의 상측면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구동부(1000)를 이동상태로 설치하고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Y 축 방향(작업자의 정상 위치에서 전방과 후방 이동방향)으로 지정된 거리를 반복하여 상부하우징(850)의 외부와 내부에서 전진과 후진의 직선 이동한다.
제 1 직선이동부(3000)는 제 1 회전모터(3100)와 스크류축(3200)과 직선이동테이블(3400)과 고정브라켓(3500)과 고정프레임(3600)과 위치검출센서(37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1 회전모터(3100)는 테이블(800)의 상측면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회전축(3110)을 0.5도 각도 단위로 회전하거나 역회전한다. 제 1 회전모터(3100)는 필요에 의하여 회전되는 각도를 가감되도록 제어하거나 해당 각도로 구동되는 스텝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스크류축(3200)은 제 1 회전모터(3100)의 하단 일부분에 일측이 막대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고 스크류축(3200)과 평행하게 같은 길이로 설치된다.
직선이동테이블(3400)은 스크류축(3200)과 가이드레일(3300)을 관통 상태로 설치하고 스크류축(3200)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가이드레일(3300)을 따라 전진과 후진하며 상부 일측에 하나 이상 다수의 고정공(3410)을 형성한다.
고정공(3410)은 고정공(1120)과 대응되는 상태로 형성되고 볼트와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스텝모터(1100)의 하단면을 직선이동테이블(3400)의 상단면에 고정 설치한다.
고정브라켓(3500)은 스크류축(3200)과 가이드레일(3300)이 평행을 형성하도록 스크류축(3200)의 타측과 가이드레일(3300)의 타측을 각각 고정 설치한다.
고정프레임(3600)은 제 1 회전모터(3100)의 하단과 고정브라켓(3500)의 하단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직선이동테이블(3400)의 하단면과 간격을 형성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위치검출센서(3700)는 제 1 직선이동부(3000)는 고정프레임(3600)의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직선이동테이블(3400)의 현재 위치를 레이저 광신호의 송신시간과 수신시간의 차이를 연산하여 검출하며 탈피중앙제어부(2000)에 통보한다,
레이저발생부(4000)는 상부하우징(850)의 내부 일부분에 이동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레이저빔을 발생하여 지정된 영역에 조사되도록 출력한다. 레이저발생부(4000)는 CO2 레이저 빔 발생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의하여 알려진 다른 레이저 빔 발생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 2 직선이동부(5000)는 상부하우징(850)의 내부 일부분에 이동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레이저빔을 발생하여 지정된 영역에 조사되도록 출력한다.
레이저구동부(6000)는 테이블(800)의 내부 타측 일부분에 고성 설치되고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레이저발생부(4000)가 출력하는 레이저빔의 출력과 시간과 조사방향을 조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하나 이상 다수 에나멜 피복 전선의 지정된 위치를 정밀하며 정확하고 빠르게 탈피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800 : 테이블 810 : 시작버튼
820 : 모니터 830 : 외부저장장치
840 : 운전신호등 850 : 상부하우징
900 :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1000 : 회전구동부 1100 : 스텝모터
1200 : 처크테이블 1300 : 처크장치
1400 : 클러치부 2000 : 탈피중앙제어부
3000 ; 제 1 직선이동부` 3100 : 제 1 회전모터
3200 : 스크류축 3300 : 가이드레일
3400 : 직선이동테이블 3500 : 고정브라켓
3600 : 고정프레임 3700 : 위치검출센서
4000 : 레이저발생부 5000 : 제 2 직선이동부

Claims (4)

  1. 테이블(800)과 상기 테이블(800) 상단에 상부하우징(850)을 구비하고 에나멜 피복 전선의 피복을 레이저로 탈피하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800)의 상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 또는 어쎄이 상태의 에나멜 피복 전선을 고정시키고 탈피할 부분을 상부에 노출시키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에나멜 피복 전선을 수평방향에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000);
    상기 테이블(800)의 내부 일측에 고성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동부(1000)에 접속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에 구성되는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며 감시하는 탈피중앙제어부(2000);
    상기 테이블(800)의 상측면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부(1000)을 이동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Y 축 방향으로 지정된 거리를 반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850)의 외부와 내부에서 전진과 후진의 직선이동하는 제 1 직선이동부(3000);
    상기 상부하우징(850)의 내부 일부분에 이동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레이저빔을 발생하여 지정된 영역에 조사되도록 출력하는 레이저발생부(4000); 를 포함하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는 상기 테이블(800)의 일측에 설치된 시작버튼(810)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각 기능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이 제어되어 동작되는 상태의 정보를 모니터(820)에 표시되도록 출력하며 제어 상태 정보를 외부저장장치(830)에 기록 관리하고 상기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900)이 정상 운영되는 상태와 장애발생된 상태와 준비상태를 각각 구분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운전신호등(840)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1000)는
    상기 제 1 직선이동부(3000)의 상측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회전축(1110)을 0.5도 각도 단위로 회전하거나 역회전하며 하부 일측에 다수의 고정공(1120)을 형성하는 스텝모터(1100);
    상기 스텝모터(1100)의 상기 회전축(1110) 끝단에 하부 중앙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스텝모터(1100)의 상기 회전축(1110)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처크테이블(1200);
    상기 처크테이블(120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 다수가 상기 처크테이블(1200)의 중심축 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과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중심부에 고정공동(1310)을 형성하여 상기 에나멜 피복 전선을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처크장치(1300);
    상기 처크테이블(1200)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1110)의 회전동력을 상기 처크테이블(1200)에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처크장치(1300)가 상기 처크테이블(1200)의 중심축 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된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동력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클러치부(1400); 를 포함하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이동부(3000)는
    상기 테이블(800)의 상측면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탈피중앙제어부(2000)의 해당 제어신호와 감시에 의하여 회전축(3110)을 0.5도 각도 단위로 회전하거나 역회전하는 제 1 회전모터(3100);
    상기 제 1 회전모터(3100)의 회전축(3110)에 일측이 막대 형상으로 연결 설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이 형성되는 스크류축(3200);
    상기 제 1 회전모터(3100)의 하단 일부분에 일측이 막대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축(3200)과 평행하게 같은 길이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300);
    상기 스크류축(3200)과 가이드레일(3300)을 관통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축(3200)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3300)을 따라 전진과 후진하며 상부 일측에 하나 이상 다수의 고정공(3410)을 형성하는 직선이동테이블(3400);
    상기 스크류축(3200)과 가이드레일(3300)이 평행을 형성하도록 상기 스크류축(3200)의 타측과 가이드레일(3300)의 타측을 각각 고정 설치하는 고정브라켓(3500);
    상기 제 1 회전모터(3100)의 하단과 고정브라켓(3500)의 하단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직선이동테이블(3400)의 하단면과 간격을 형성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600); 을 포함하는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KR1020220050662A 2022-04-25 2022-04-25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KR10263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662A KR102636962B1 (ko) 2022-04-25 2022-04-25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662A KR102636962B1 (ko) 2022-04-25 2022-04-25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239A true KR20230151239A (ko) 2023-11-01
KR102636962B1 KR102636962B1 (ko) 2024-02-15

Family

ID=8874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662A KR102636962B1 (ko) 2022-04-25 2022-04-25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9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576A (ko) 1998-06-30 2000-01-25 케네쓰 올센 디지탈데이터처리시스템내의다수의호스트컴퓨터사이에서자원의공유를용이하게하기위한시스템
KR101610306B1 (ko) 2015-09-03 2016-04-07 (주)엘케이하이테크 레이저를 이용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KR101690238B1 (ko) * 2016-09-02 2016-12-27 정병권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KR102137095B1 (ko) * 2020-02-03 2020-07-23 (주)레아테크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KR102288084B1 (ko) * 2021-05-12 2021-08-09 조선웅 미세 동축 케이블의 탈피가 용이한 자동 탈피기 및 이를 통한 자동 탈피방법
KR20210131579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휴비스 에나멜 동선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576A (ko) 1998-06-30 2000-01-25 케네쓰 올센 디지탈데이터처리시스템내의다수의호스트컴퓨터사이에서자원의공유를용이하게하기위한시스템
KR101610306B1 (ko) 2015-09-03 2016-04-07 (주)엘케이하이테크 레이저를 이용하는 케이블 탈피장치
KR101690238B1 (ko) * 2016-09-02 2016-12-27 정병권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KR102137095B1 (ko) * 2020-02-03 2020-07-23 (주)레아테크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KR20210131579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휴비스 에나멜 동선 탈피장치
KR102288084B1 (ko) * 2021-05-12 2021-08-09 조선웅 미세 동축 케이블의 탈피가 용이한 자동 탈피기 및 이를 통한 자동 탈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962B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24642A (ja) 紫色又は青色レーザーダイオードを用いた電気ケーブル剥皮装置
US7699541B2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and method for estimating a shape of beam discharged by the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US10784663B2 (en) Apparatus for removing an inner sheathing of electrical conductors
US5142121A (en) Method for terminating cables and apparatus therefor
KR102636962B1 (ko) 에나멜 피복 전선 레이저 탈피 시스템
US11251591B2 (en) Insulation film peeling method
JP2008537458A (ja) 剥離装置用の回転式剥離ヘッド
US7816624B2 (en) Device for stripping outer covering of cable
CN103368106B (zh) 线材绝缘层激光旋转剥线机
JP2017037800A (ja) ケーブル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19621A (ja) 導電性材料から成る構成要素の剥ぎ取り装置
KR102288084B1 (ko) 미세 동축 케이블의 탈피가 용이한 자동 탈피기 및 이를 통한 자동 탈피방법
US7026572B2 (en) Stripping insulation from flat cables
JP3759529B2 (ja) エンコーダ付モータ
JP2004090092A (ja) Ffcのストリッピング
KR102240350B1 (ko)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JP5662085B2 (ja) 電線端部処理装置
CN101997261B (zh) 一种激光剥线方法
EP171922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nd stripping covering layers from a filamentary core including both rotary and reciprocating cutting blades
WO2021229228A1 (en) A shape memory alloy actuator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4094188B2 (ja) 被覆電線の皮剥き方法および装置
JP4413026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4036211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KR20230113021A (ko) 전력용 케이블의 피복 제거장치
US9958754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