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099B1 -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7099B1 KR102137099B1 KR1020200020289A KR20200020289A KR102137099B1 KR 102137099 B1 KR102137099 B1 KR 102137099B1 KR 1020200020289 A KR1020200020289 A KR 1020200020289A KR 20200020289 A KR20200020289 A KR 20200020289A KR 102137099 B1 KR102137099 B1 KR 1021370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xial cable
- moving
- fixing
- virtual reality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97—Removing armouring from cable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된 동축케이블의 양측단을 노출시켜 지지 및 이동하며, 양측단에서 절단된 피복층을 벗겨내어 심선을 노출시킬 수 있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MD 가상현실의 정보를 전달하는 5G 이상의 통신설비에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양측단의 피복층을 벗겨 심선을 노출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케이블은 내부도체와 외부도체 사이에 절연물질이 형성된 후 피복에 의해 감싸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외부도체와 내부도체가 동심원을 이루고 있어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에 사용되는 전송선로의 일종이다. 직류를 포함한 저주파에서 수십 MHz의 고주파까지의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의 구리선에 흐르는 전기신호가 그것을 싸고 있는 외부 구리 망 때문에 외부의 전기적 간섭을 적게 받아 전력 손실도 적어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용이하다.
이에 따라 동축케이블은 HMD 가상현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5G 이상의 통신설비에 사용하여 전파를 전송한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시킨 뒤 양 끝단의 피복층 및 절연체를 벗겨내어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동축케이블 및 케이블 등의 피복층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 및 기구 등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케이블 피복층 제거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전선 다발과 그 전선 다발을 감싸는 피복층으로 구성된 케이블에서 피복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전선지지부재, 로킹부재를 통해 전선수용부재에 삽입된 전선을 고정하며, 커팅부재를 통해 케이블의 피복층을 제거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파이프 형상의 전선, 케이블을 절단할 수 있으나, 다수개의 도체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사용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의 끝단을 수작업으로 고정 및 커팅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다수개의 피복층으로 감싸진 케이블은 외부에 위치한 1개의 피복층만 제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랫 형태를 가지는 동축케이블을 길이에 맞춰 절단한 후 동축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피복층을 제거하여 심선을 노출시킬 수 있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축케이블의 길이 및 심선의 길이를 조절하여 절단시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부분을 정확히 절단할 수 있어 동축케이블의 절단부분이외에 손상시키지 않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을 통한 정보를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피복층을 탈피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축 모션 플랫폼을 기반으로 HMD 가상현실의 기술을 접목할 수 있도록 연결된 동축케이블을 사용길이에 맞춰 절단한 후 심선을 노출시켜 설치하는 동축케이블을 고정하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에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절단된 동축케이블을 지지 및 이동하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에 있어서, 이동레일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기 동축케이블의 양측단을 벗겨내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동축케이블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된 제1안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측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면을 밀착되는 제1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이 반대방향의 스크류가 형성된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제1이동부와, 상기 가이드축의 타측단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축케이블의 타측단을 고정하는 제2이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가이드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측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된 제2안착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의 상측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면을 밀착하는 제2밀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안착홈의 측면에는 유입되는 상기 동축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모깍기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가이드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타측단이 안착되는 제3안착홈이 형성된 제3안착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의 상측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3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면을 밀착하는 제3밀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안착홈의 측면에는 유입되는 상기 동축케이블을 가이드하는 모깍기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에 따르면, 플랫 형태를 가지는 동축케이블을 길이에 맞춰 절단한 후 동축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피복층을 제거하여 심선을 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케이블의 길이 및 심선의 길이를 조절하여 절단시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축케이블을 고정시킨 후 필요부분을 정확히 절단할 수 있어 동축케이블의 절단 부분이외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을 통한 정보를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동축케이블의 피복층을 편리하게 탈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축 모션 플랫폼을 기반으로 HMD 가상현실의 기술을 접목할 수 있도록 연결된 동축케이블을 사용길이에 맞춰 절단한 후 심선을 노출시켜 설치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 및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복층이 절단되 동축케이블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 및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복층이 절단되 동축케이블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 및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복층이 절단되 동축케이블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된 동축케이블의 양측단을 노출시켜 지지 및 이동하며, 양측단에서 절단된 피복층을 벗겨내어 심선을 노출시킬 수 있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에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절단된 동축케이블을 지지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브라켓, 고정브라켓, 고정수단 및 이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앞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심선(내부도체)(11)을 중심으로 절연체(12), 실드선(외부도체)(13), 동피복(14)의 구조를 가지며, 다수개의 심선이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외피(14)의 피복층으로 마감 처리되어 릴 형태의 플랫케이블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5G 이상의 통신설비에 사용하는 복잡한 구조의 고속케이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속케이블은, 모션을 제시하는 다축 모션 플랫폼을 기반으로 HMD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일상생활 지원과 인지기능 개선을 사실적인 체험을 통해 훈련하여 재활 등을 사실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실버케어에 사용한다.
이때, 고속케이블은 실버케어에 맞춰 다축 모션 플랫폼에서 측정된 정보와, HMD 가상현실에서 출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고속케이블로 이루어진 동축케이블(10)은 실버케어에 사용할 수 있는 길이에 맞춰 절단 한 후 피복층을 제거하여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권취된 상태에서 공급하면서 필요한 길이에 맞춰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고정한 후 양측단의 피복 커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브라켓(100)은 이동레일(110)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상기 이동브라켓(1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한다.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수단(300)에 의해 고정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단을 벗겨낸다.
따라서 절단된 동축케이블(10)은 상기 고정수단(300) 및 이동수단(4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레이저 커팅을 위해 상기 이동레일(110)을 따라 상기 이동브라켓(100)이 이동한 후 별도의 레이저커팅장치(600)를 통해 외층부터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피복층을 외부에서부터 절단하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절단된 피복층을 벗겨내어 상기 심선(11)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귄취된 상태에서 별도의 구성을 통해 인출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 상기 고정수단(300) 및 상기 이동수단(400)으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이동브라켓(100)은 상기 이동레일(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레일(11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110)의 내부에는 스크류, 볼스크류, 리니어모터, 벨트 등과 같은 구동장치가 상기 이동브라켓(100)이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브라켓(100)은 상기 이동레일(110)의 상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이동레일(110)은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절단되어 공급되는 위치와 상기 동축케이블(10)을 레이저 커팅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상기 이동레일(110)의 상단으로 노출된 상기 이동브라켓(100)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상기 동축케이블(10)의 공급되는 위치에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상기 이동브라켓(10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일(110)의 경로를 따라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측면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중앙부분에서 유입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수단(300)은 고정부재(310), 제1안착부재(320) 및 제1밀착부재(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310)는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된다.
상기 제1안착부재(320)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밀착부재(330)는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상측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안착부재(320)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면을 밀착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310)는 타측이 상기 고정브라켓(200)이 상기 동축케이블(10)를 향해 돌출된 중앙부분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부재(320)는 상기 고정부재(310)의 일측면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1안착홈(321)에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유입 및 안착된다.
이렇게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상기 제1안착홈(321)에 안착되면, 상기 제1밀착부재(330)는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상측면에서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면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밀착부재(330)는 실린더, 기어, 리니어모터 등의 구성을 통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안착홈(321)의 측면에는 모깍기(CH)를 형성하여 유입되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가이드하여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300)은 절단된 동축케이블(10)이 상기 제1안착부재(320)에 유입된 후 상기 제1밀착부재(330)를 통해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중앙부분을 고정한 후 이동 및 절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축케이블(10)의 고정 및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수단(400)은 가이드축(410), 제1이동부(420) 및 제2이동부(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축(410)은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이 반대방향의 스크류(4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부(420)은 상기 가이드축(41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일측단을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부(420)은 동축케이블(10)의 일측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1이동부재(421), 제2안착부재(422), 제2밀착부재(4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동부재(421)는 상기 가이드축(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안착부재(422)는 상기 제1이동부재(421)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일측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423)이 형성된다.
상기 제2밀착부재(424)는 상기 제1이동부재(421)의 상측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안착부재(422)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면을 밀착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부재(421)는 상기 고정수단(3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축(410)의 회전시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2안착부재(422)는 상기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상기 고정수단(300) 보다 먼저 유입되어 상기 제2안착홈(423)을 지나 상기 고정수단(300)으로 유입되며, 일측단은 상기 제2안착홈(423)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밀착부재(424)가 하강하여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면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2밀착부재(424)는 상기 제1밀착부재(330)와 동일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1이동부재(421)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이동부(430)은 상기 가이드축(410)의 타측단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타측단을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2이동부(430)은 동축케이블(10)의 타측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2이동부재(431), 제3안착부재(432), 제3밀착부재(4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이동부재(431)는 상기 가이드축(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안착부재(432)는 상기 제2이동부재(431)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타측단이 안착되는 제3안착홈(433)이 형성된다.
상기 제3밀착부재(434)는 상기 제2이동부재(431)의 상측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3안착부재(432)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면을 밀착한다.
따라서 상기 제2이동부(430)은 상기 고정수단(3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축(410)의 회전시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1이동부(420)은 상기 고정수단(3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이동부(430)은 상기 고정수단(30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축(410)의 회전시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멀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안착부재(432) 및 상기 제3밀착부재(434)는 상기 제1이동부(4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안착홈(423) 및 상기 제3안착홈(433)의 측면에는 유입되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가이드하는 모깍기(CH)가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모깍기(CH)는 상기 제1안착홈(321)의 상기 모깍기(CH)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절단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이동시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홈(321, 423, 433)으로 유도하여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밀착부재(330, 424, 434)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홈(321, 423, 433)에 삽입되는 밀착돌기(BU)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밀착돌기(BU)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밀착부재(330, 424, 434)의 하강시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홈(321, 423, 433)에 삽입되어 상기 동축케이블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10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2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12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이동브라켓(100)의 일면에 결합되며, 동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상기 회전부(12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120)의 회전시 360°회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고정브라켓(200)을 회전시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부 및 하부를 반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된 레이저를 이용한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피복층의 양면을 커팅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120)를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200)을 회전시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를 통해 양면을 쉽게 커팅할 수 있어 하나의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를 통해 커팅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단일 또는 복수의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안착시켜 커팅할 수 있도록 "ㄱ"형상 또는 "ㄷ"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하나의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커팅할 수 있도록 고정할 때 "ㄱ"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두개의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양측에서 각각 고정하여 커팅할 수 있도록 "ㄷ"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5의 (a)와 같이 "ㄱ"자 형상의 상기 고정브라켓(200)에는 하나의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이동수이 결합되고, 도 5의 (b)와 같이 "ㄷ"자 형상의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양측에 상기 고정수단(300)과 상기 이동수단(400)이 각각 결합되어 총 두개가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하나 또는 두개의 상기 동축케이블(10)을 동시에 커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100), 고정수단(300) 및 상기 이동수단(400)에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700)와, 상기 작동상태에 의해 작동되는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71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센서부(710)에서 측정된 상기 이동브라켓(100), 상기 고정수단(300) 및 상기 이동수단(400)의 작동상태와,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유입상태를 통해 상기 이동브라켓(100), 상기 고정수단(300) 및 상기 이동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동축케이블(10)은 통신설비에 사용하는 고속케이블로써, 플랫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이동브라켓(100)이 상기 이동레일(110)에 의해 상기 절단장치(500)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한 후 권취된 상태에서 풀리면서 상기 절단장치(500)를 지나 상기 고정수단(300) 및 상기 이동수단(40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제1이동부(420)의 상기 모깍기(CH)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제2안착홈(423)을 통과하여 상기 제1안착홈(321) 및 상기 제3안착홈(433)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부재(320, 422, 432)에 양끝단 및 중앙 부분이 안착된다.
그리고 별도의 상기 절단장치(500)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절단한다.
여기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절단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밀착부재(330, 424, 434)가 하강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안착부재(320, 422, 432)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단을 밀착시켜 고정한다.
이후, 상기 고정수단(300) 및 상기 이동수단(400)에 고정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이동브라켓(100)이 상기 이동레일(110)을 따라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를 향해 뒤로 이동하여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커팅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이렇게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위치하면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를 통해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피복층을 순차적으로 커팅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는 상기 회전부(120)가 설치되지 않으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동시에 레이저커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20)가 설치되면,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는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일면을 커팅한 후, 상기 회전부(120)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회전시켜 타면을 커팅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양측에 상기 동축케이블(10)이 두개가 배치된 경우,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를 통해 동시에 커팅한다.
이렇게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커팅된 피복층은 상기 이동수단(400)을 통해 커팅된 피복층을 상기 동축케이블(10)에서 벗겨낸다.
즉,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고정수단(300)에 의해 중간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이동수단(400)을 통해 양측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 끝단부분에서 가장 외부에 위치한 상기 외피(15)를 커팅한다.
이렇게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끝단의 상기 외피(15)가 커팅되면, 상기 이동수단(400)을 통해 상기 외피(15)가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을 향해 일부분 벗겨낸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가이드축(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300)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피(15)를 일정부분 벗겨내어 상기 동피복(14)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는 상기 외피가 벗겨진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기 동피복(14)을 커팅한다.
이후,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외피(15)를 벗겨내는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상기 동피복(14)을 일정부분 벗겨내어 상기 실드선(13)을 노출시킨다.
또한, 상기 실드선(13)이 노출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절연체(12)를 커팅한다.
이렇게 커팅된 상기 절연체(12)는 상기 외피(15)를 벗겨내는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하는 상기 이동수단(400)을 통해 일정부분 벗겨내어 상기 심선(11)을 노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심선(11)이 일정길이 이상 노출되도록 벗겨낸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는 상기 심선(11)은 0.5~1.5mm 길이에 맞춰 절단하여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기 심선(11)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앙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커팅장치(600)를 통해 절단된 피복층을 상기 이동수단(400)을 통해 순차적으로 벗겨낸다.
이때,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 끝단에서 절단된 부분은 상기 이동수단(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밀착부재(330, 424, 434)는 상부로 승강하여 상기 동축케이블(10)은 상기 제1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힌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안착홈(321, 423, 433)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절단부분은 상기 제2 및 제3밀착부재(434)가 상승하면서, 하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홈(321)에 안착된 동축케이블(10)은 별도의 이동장치를 통해 외부로 운반한다.
이렇게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이탈된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상기 이동레일(11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절단장치(500)로 유입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안착되는 반복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가이드축(410)이 회전하여 초기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이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며, 커팅된 피복층을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또한, 플랫형태를 가지며,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동축케이블(10)을 용이하게 이동한 후 다수번의 작업을 통해 신속하게 피복층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정확한 위치에서 피복층의 커팅이 이루어져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심선(11)이 노출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양측면에서 신속하게 커팅하거나, 일측면을 커팅후 회전시켜 재 커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장치의 비용 및 속도에 맞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작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설치 시 상시 심선(11)이 일정길이 노출되어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며, 다수의 피복층을 가지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동축케이블 11: 심선 12: 절연선
13: 실드선 14: 동축선
15: 외피
100: 이동브라켓 110: 이동레일 120: 회전부
200: 고정브라켓
300: 고정수단 310: 고정부재 320: 제1안착부재
321: 제1안착홈 330: 제1밀착부재
400: 이동수단 410: 가이드축 411: 스크류
420: 제1이동부 421: 제1이동부재
422: 제2안착부재 423: 제2안착홈
424: 제2밀착부재
430: 제2이동부 431: 제2이동부재
432: 제3안착부재 433: 제3안착홈
434: 제3밀착부재
500: 절단장치
600: 레이저커팅장치
700: 제어부 710: 센서부
CH : 모깍기 BU: 밀착돌기
13: 실드선 14: 동축선
15: 외피
100: 이동브라켓 110: 이동레일 120: 회전부
200: 고정브라켓
300: 고정수단 310: 고정부재 320: 제1안착부재
321: 제1안착홈 330: 제1밀착부재
400: 이동수단 410: 가이드축 411: 스크류
420: 제1이동부 421: 제1이동부재
422: 제2안착부재 423: 제2안착홈
424: 제2밀착부재
430: 제2이동부 431: 제2이동부재
432: 제3안착부재 433: 제3안착홈
434: 제3밀착부재
500: 절단장치
600: 레이저커팅장치
700: 제어부 710: 센서부
CH : 모깍기 BU: 밀착돌기
Claims (6)
- 베이스에 설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절단된 동축케이블(10)을 지지 및 이동하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에 있어서,
이동레일(110)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브라켓(100);
상기 이동브라켓(100)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200);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고정수단(300);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수단(300)에 의해 고정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양측단을 벗겨내는 이동수단(4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수단(400)은,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이 반대방향의 스크류(411)가 형성된 가이드축(410)과,
상기 가이드축(41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제1이동부(420)와,
상기 가이드축(410)의 타측단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타측단을 고정하는 제2이동부(4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321)이 형성된 제1안착부재(320)와,
상기 고정부재(310)의 상측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안착부재(320)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면을 밀착되는 제1밀착부재(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420)는,
상기 가이드축(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이동부재(421)와,
상기 제1이동부재(421)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일측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홈(423)이 형성된 제2안착부재(422)와,
상기 제1이동부재(421)의 상측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안착부재(422)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면을 밀착하는 제2밀착부재(424)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안착홈(423)의 측면에는 유입되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가이드하는 모깍기(CH)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430)는,
상기 가이드축(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이동부재(431)와,
상기 제2이동부재(431)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의 타측단이 안착되는 제3안착홈(433)이 형성된 제3안착부재(432)와,
상기 제2이동부재(431)의 상측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3안착부재(432)에 안착된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상면을 밀착하는 제3밀착부재(434)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안착홈(433)의 측면에는 유입되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을 가이드하는 모깍기(CH)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10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2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1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0289A KR102137099B1 (ko) | 2020-02-19 | 2020-02-19 |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0289A KR102137099B1 (ko) | 2020-02-19 | 2020-02-19 |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7099B1 true KR102137099B1 (ko) | 2020-07-23 |
Family
ID=7189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0289A KR102137099B1 (ko) | 2020-02-19 | 2020-02-19 |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7099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0122U (ja) * | 1992-01-17 | 1993-08-06 | 日立電線株式会社 | Cvケーブル接続部の切断機 |
JP2007151345A (ja) * | 2005-11-29 | 2007-06-14 | Japan Automat Mach Co Ltd | 電線の絶縁被覆切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処理方法 |
KR20140063112A (ko) * | 2012-11-16 | 2014-05-27 | 오성전장주식회사 | 코어보호용 케이블탈피장치 |
KR20140067416A (ko) * | 2012-11-26 | 2014-06-05 | 홍람호 |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
KR20150062582A (ko) * | 2013-11-29 | 2015-06-08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
KR20150075916A (ko) * | 2013-12-26 | 2015-07-06 | 유영석 | 히팅 케이블용 스트리퍼 |
KR20160088150A (ko) * | 2015-01-15 | 2016-07-25 | 한국원자력연구원 | 소 직경용 mi 케이블 종단의 피복 제거 장치 |
KR101804271B1 (ko) | 2016-07-13 | 2017-12-04 |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 케이블 피복층 제거 장치 |
KR101989403B1 (ko) * | 2019-02-01 | 2019-06-14 | 박상현 |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용이한 전선 피복 제거 장치 |
KR20190118764A (ko) * | 2018-04-11 | 2019-10-21 | (주)휴먼오토메이션 | 케이블용 탈피 및 절단장치 |
-
2020
- 2020-02-19 KR KR1020200020289A patent/KR1021370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0122U (ja) * | 1992-01-17 | 1993-08-06 | 日立電線株式会社 | Cvケーブル接続部の切断機 |
JP2007151345A (ja) * | 2005-11-29 | 2007-06-14 | Japan Automat Mach Co Ltd | 電線の絶縁被覆切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処理方法 |
KR20140063112A (ko) * | 2012-11-16 | 2014-05-27 | 오성전장주식회사 | 코어보호용 케이블탈피장치 |
KR20140067416A (ko) * | 2012-11-26 | 2014-06-05 | 홍람호 | 마이크로동축케이블용 탈피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마이크로동축케이블 탈피방법 |
KR20150062582A (ko) * | 2013-11-29 | 2015-06-08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
KR20150075916A (ko) * | 2013-12-26 | 2015-07-06 | 유영석 | 히팅 케이블용 스트리퍼 |
KR20160088150A (ko) * | 2015-01-15 | 2016-07-25 | 한국원자력연구원 | 소 직경용 mi 케이블 종단의 피복 제거 장치 |
KR101804271B1 (ko) | 2016-07-13 | 2017-12-04 |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 케이블 피복층 제거 장치 |
KR20190118764A (ko) * | 2018-04-11 | 2019-10-21 | (주)휴먼오토메이션 | 케이블용 탈피 및 절단장치 |
KR101989403B1 (ko) * | 2019-02-01 | 2019-06-14 | 박상현 |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용이한 전선 피복 제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7095B1 (ko) | 삼차원 레이져커팅을 이용한 ict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절단 및 탈피장치 | |
CN103339690B (zh) | 多芯线缆及其制造方法 | |
CN110661207B (zh) | 一种通信电线电缆屏蔽层的切割装置 | |
WO2018223499A1 (zh) | 具有光纤传感和通信功能的光纤光缆及其制造方法 | |
KR102137099B1 (ko) | Ict 융합형 hmd 가상현실 실버케어 장비용 통신케이블의 피복층 탈피장치 | |
US4738734A (en) |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lexible electric line | |
JPH09178956A (ja) | 接続ケーブルの検出方法 | |
JP4352935B2 (ja) | シールドケーブル及びその端末形成方法 | |
CN109361130B (zh) | 数据线加工工艺 | |
KR100288813B1 (ko) | 전선가공품및그제조방법 | |
GB2081323A (en) | Multi-core electrical power cable or lin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 |
SE8100586L (sv) | Anordning for framstellning av elektriska kablar | |
CN214476480U (zh) | 一种光纤复合软电缆 | |
CN206480407U (zh) | 铁路信号电缆 | |
JP2006185741A (ja) | 端末加工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CN219286077U (zh) | 一种机器人用柔性光电复合缆 | |
KR100669310B1 (ko) | 전선 | |
JP2003207701A (ja) | 複合通信ケーブル | |
CN104658682A (zh) | 电力电缆 | |
CN217506936U (zh) | 智能电气装备开关柜用超屏蔽控制电缆 | |
CN117937333B (zh) | 一种多主线超细线束多主线金属屏蔽层的剥线装置及方法 | |
CN204066873U (zh) | 一种多芯同轴射频电缆 | |
JP3885644B2 (ja) | 極細ケーブルの接続基板及び接続方法 | |
CN220341666U (zh) | 一种网络通讯电缆接线设备 | |
CN218412988U (zh) | 一种光缆终端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