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814B1 -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814B1
KR101934814B1 KR1020180084503A KR20180084503A KR101934814B1 KR 101934814 B1 KR101934814 B1 KR 101934814B1 KR 1020180084503 A KR1020180084503 A KR 1020180084503A KR 20180084503 A KR20180084503 A KR 20180084503A KR 101934814 B1 KR101934814 B1 KR 101934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nit
fixing
moving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현호
Original Assignee
손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현호 filed Critical 손현호
Priority to KR102018008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의 단부측 일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된 단부측 피복을 일측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케이블로부터 탈피시키는 제1유닛;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일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타측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케이블을 직선화하는 제2유닛;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피복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피복을 분리시키는 제3유닛; 및 상기 제1유닛, 제2유닛 및 제3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을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할 수 있고, 이러한 케이블의 단부측 피복 일부분을 절단하여 단부측 피복을 케이블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분리된 단부측 피복을 케이블로부터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CABLE JACKET STRIPPER DEVICE AND CABLE JACKET STRIPPE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케이블 단부측의 피복을 케이블로부터 탈피시키기 위한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은 전력을 산업현장이나 가정으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전기가 통하는 전선(구리선)이 절연성 피복에 감싸진 구조를 갖는 것으로, 산업사회가 복잡해지고 전력사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그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생산지로부터 배전선로를 거쳐 각 수용가로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배전선로는 일정한 간격의 단위구간을 연속으로 형성하고, 이를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일정한 길이의 케이블은 별도의 접속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케이블을 별도의 접속구에 의해 연결하기 위해서는 단부에 대하여 일정길이만큼 피복을 벗겨 내야 하는 것인데, 피복을 벗겨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구 및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5869호(2000.04.04) "전선 탈피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전선 탈피기는 결합부재의 삽입구멍에 전선을 끼우고 구동모터를 작동시킴에 따라 지지판과 함께 커터가 회전되면서 케이블의 피복 둘레를 절단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전선 탈피기는 전선의 탈피를 위하여 커터가 삽입구멍을 가리도록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구멍을 따라 이동하는 전선의 진입이 어려움이 있고, 진입하는 전선의 굵기에 맞는 삽입구멍을 가지는 결합부재로 매번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선 탈피기는 삽입구멍을 지난 전선의 단부를 지지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어떠한 구성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삽입구멍을 지난 전선의 단부는 점차적으로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커터는 전선 단부의 구부러지거나 휘어진 부분에 접촉된 상태로 피복을 절개하기 때문에 전선의 대응부위에 매번 상이한 형태로 칼집을 형성하게 된다. 즉, 종래의 전선 탈피기는 전선의 피복을 심선으로부터 용이하게 탈피시키기 못하고, 오히려 전선 단부의 피복이 상이한 형태로 뜯겨져 지저분해지는 등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전선 탈피기는 전선 피복의 두께나, 심선의 두께를 정확히 측정하여 피복만을 심선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성이 개시되지 않다. 즉, 종래의 전선 탈피기는 전선에 원형의 칼집을 형성하여 피복을 잡아 당겨 심선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이 역시 절단되지 못한 부분이 뜯겨져 지저분해지는 등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커터(26)의 위치를 심선가까이에 무리하게 위치시킬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선의 단부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문제점과 맞물려 심각하게는 전선의 피복뿐만 아니라 심선까지 절단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한국실용신안공보 제20-0185869호(2000.04.04) "전선 탈피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탈피를 위한 전선의 굵기에 상관없이 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전선 단부의 피복을 탈피시키기 위하여, 커터를 통해 전선의 일부분에 칼집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칼집의 형태를 매번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칼집이 형성되는 전선의 일부분을 직선화시킬 수 있는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전선 피복의 내경이나, 심선의 외경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선 단부의 피복만을 절단 후, 절단된 피복만을 심선으로부터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있는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는 케이블의 단부측 일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된 단부측 피복을 일측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케이블로부터 탈피시키는 제1유닛;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일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타측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케이블을 직선화하는 제2유닛;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피복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피복을 분리시키는 제3유닛; 및 상기 제1유닛, 제2유닛 및 제3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제1유닛은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고, 한 쌍을 이루어 상기 테이블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제각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유닛은 일측면에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 둘레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집게 형태의 그립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일부분을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 고정하도록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제1고정부; 상기 그립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을 위치된 상태 그대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고정부들을 제각기 상기 케이블이 위치된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상기 제1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일부분 중, 상기 제3유닛에 의해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된 상기 단부측 피복을 상기 케이블로부터 탈피시키도록, 상기 제1고정부를 일측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제2이동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들 사이로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끝단을 감지하여 발생되는 제1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제1감지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감지수단은 상기 제1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감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끝단이 상기 제1감지센서들 중,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될 경우, 상기 제1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기 제2유닛은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고, 한 쌍을 이루어 상기 테이블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제각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유닛은 일측면에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 둘레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집게 형태의 그립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일부분을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 고정하도록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제2고정부; 상기 그립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을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고정부들을 제각기 상기 케이블이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제3이동부; 및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직선화시키도록, 상기 제2고정부를 타측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제4이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는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을 감지하는 제2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제2감지수단은 상기 절단부재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 상기 제2고정부재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제각기 감지하는 다수개의 제2감지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감지수단은 상기 제2감지센서들 모두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유닛의 상기 제4이동부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들 모두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2유닛의 상기 제4이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3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탈피장치는 상기 제3유닛을 통해 상기 케이블 일부분의 피복만을 심선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케이블의 단면적을 촬영하여 상기 케이블 피복의 내경이나 심선의 외경을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측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제3유닛은 상기 제1유닛 및 제2유닛 사이에 배치되되,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케이블의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되는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피복을 절단가능한 칼날 형태의 한 쌍의 절단부재;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절단부재를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LM가이드; 및 상기 LM가이드를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 상기 절단부재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설정된 이격거리값 및 상기 이격거리값의 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설정된 미세조절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측정값과 상기 이격거리값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에 해당하는 상기 이격거리값으로 상기 절단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4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로부터 발생되는 제4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절단부재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측정값에 대응하는 상기 이격거리값을 이루도록 상기 LM가이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은 케이블을 제1유닛의 제1고정부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케이블 배치단계; 상기 케이블 배치단계 후, 제1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들 사이로 위치하는 케이블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1감지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제1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감지단계; 상기 케이블 감지단계 후, 상기 제1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1이동부의 제1로드가 전진이동되고, 이와 함께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케이블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을 고정하는 제1고정단계; 상기 제1고정단계 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3이동부의 제3로드가 전진이동되고, 이와 함께 제2고정부가 상기 케이블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일부분을 고정하는 제2고정단계; 상기 제2고정단계 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2감지센서들이 작동되어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 사이에 위치된 케이블 일부분의 형태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상기 케이블 일부분의 형태가 굴곡지거나 휘어진 형태를 이룰 경우 상기 제2감지센서들 모두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이 감지되지 않아 제4이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감지되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의 형태가 직선의 형태를 이룰 경우 상기 제2감지센서들 모두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이 감지되어 상기 제4이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3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감지단계; 상기 제2감지단계 후, 상기 제2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4이동부의 제4로드가 전진이동되고, 이와 함께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블 일부분의 형태가 직선화됨에 따라 상기 제3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고, 이의 상기 제3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4이동부의 작동이 중지되는 케이블 직선화단계; 상기 케이블 직선화단계 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LM가이드가 작동되어 연결브라켓이 상기 케이블 방향으로 전진이동되고, 이와 함께 절단부재들이 상기 케이블 방향으로 전진이동되면서 상기 절단부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공간의 형태로 상기 케이블 피복의 일부분에 칼집을 형성하는 제1피복절단단계; 상기 제1피복절단단계 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LM가이드에 연결된 회전모터가 작동되어 상기 LM가이드가 일정반경 회전되고, 이와 함께 상기 절단부재가 일정반경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블 피복의 나머지 일부분에 칼집을 형성하여 상기 케이블의 피복 일부분을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피복절단단계; 상기 제2피복절단단계 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이동부의 제2로드가 전진이동되고, 이와 함께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된 피복을 상기 케이블로부터 탈피시키는 피복탈피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단계 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수단의 카메라가 작동되어 상기 케이블의 단면적을 촬영한 후, 상기 케이블 피복의 두께나 심선의 두께를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케이블 측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피복절단단계 전, 비교부를 통해 상기 측정값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이격거리값을 비교한 후, 상기 절단부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공간의 이격거리를 상기 측정값에 대응하는 상기 이격거리값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부로부터 발생되는 제4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절단공간 이격거리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에 의하면, 제1유닛 및 제2유닛을 통해 케이블을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유닛의 제1고정부 및 제2유닛의 제2고정부를 통해 케이블의 직경에 상관없이 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감지수단의 제1감지센서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제1감지센서만을 작동시켜 제1고정부들 사이로 위치하는 케이블의 단부가 감지되기 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케이블의 단부측 끝단으로부터 절단부재에 의해 절단되는 위치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로부터 탈피되는 피복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케이블로부터 탈피되는 피복의 길이를 조절된 길이로 균일화시켜 제품(케이블)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감지수단을 통해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 일부분의 형태를 감지하고, 이와 연동되는 제2유닛을 통해 케이블 일부분의 형태를 직선화할 수 있다. 이는, 케이블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피복부위의 형태를 직선화시키는 것으로, 이를 통해 제3유닛의 절개부재가 케이블의 일부분에 항상 동일한 형태의 칼집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케이블로부터 피복을 분리시키기 위한 절단부위의 형태가 항상 균일하기 때문에 제품(케이블)의 생산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측정수단을 통해 케이블 피복의 내경이나 심선의 외경에 대한 측정값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값을 통해 제3유닛의 절단부재들이 이루는 절단공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분리시키고자 하는 케이블 일부분의 피복만을 심선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고, 분리된 피복만을 케이블로부터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케이블)의 생산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의 전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상태를 나나탠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3유닛을 통해 케이블 피복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의 일측에 제각기 마련되는 제1유닛(110), 제2유닛(130), 제3유닛(150) 및 제어모듈(170)을 포함한다.
제1유닛(110)은 케이블(C)로부터 분리되는 단부측 일부분의 피복을 탈피시키는 구성으로, 테이블(T)의 일측에 마련되고, 한 쌍을 이루어 테이블(T)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제각기 배치될 수 있는데,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만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이러한, 제1유닛(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11), 제1이동부(113), 제2이동부(115) 및 제1감지수단(117)을 포함한다.
제1고정부(111)는 케이블(C)의 단부측 일부분을 고정하는 구성으로, 일측면에 케이블(C)의 외주면 둘레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집게 형태의 그립(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111a)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내측거리가 확장되는 형태로, 예컨대, "<" 와 같은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윗면과 아랫면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90°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그립(111a)은 케이블(C)의 단부측 일부분을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 고정하도록 케이블(C)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거나, 등간격으로 다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111)는 케이블(C)의 단부측 일부분을 양측에서 제각기 감싸는 형태로 케이블(C)을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고정부(111)는 후술할 제1이동부(113) 및 제2이동부(115)와 연결되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제1이동부(113) 및 제2이동부(115)와 함께 설명한다. 그리고, 제1고정부(1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승강로드(미도시)를 통해 제2이동부(115)의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승강로드(미도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부(111)는 요철(11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철(111b)은 제1고정부(111)에 의해 고정된 케이블(C)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11a)의 내측에 요부(凹部)와 철부(凸部)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111b)은 제1고정부(111)가 피복을 고정하게 될 경우, 피복에 접촉된 상태로 압박할 수 있고, 이때 피복을 가압하는 요부나 철부 사이로 걸리는 피복의 일부분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철(111b)은 제1고정부(111)를 통해 고정하려는 케이블(C)이 더욱더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이동부(113)는 전술한 제1고정부(111)를 좌우방향 즉, 케이블(C)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예컨대, 에어를 통해 신축가능한 로드가 구비되는 통상적인 에어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이동부(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의 양측에 제각기 배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의 중앙, 즉 케이블(C)을 향해 제각기 좌우방향으로 전진이동하는 제1로드(113a)가 마련되며, 제1로드(113a)의 끝단에 제1블럭(113b)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동부(113)의 제1블럭(113b)에는 후술할 제2이동부(115)가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데, 이는, 제2이동부(115)에 연결된 제1고정부(111)를 제각기 좌우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1이동부(113)는 신축가능한 제1로드(113a)를 통해 제2이동부(115) 및 이에 연결된 제1고정부(111)를 케이블(C)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킬 수 있다.
제2이동부(115)는 전술한 제1고정부(111)를 전후방향 즉, 케이블(C)의 단부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예컨대 제1이동부(113)와 동일한 에어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이동부(1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부(113)의 제1블럭(113b)에 연결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의 전후방향으로 전진이동하는 제2로드(115a)가 마련되며, 제2로드(115a)의 끝단에 제2블럭(115b)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이동부(115)의 제2블럭(115b)에는 전술한 제1고정부(111)가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데, 이는, 제1고정부(111)를 후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2이동부(115)는 신축가능한 제2로드(115a)를 통해 제1고정부(111)를 케이블(C)의 단부측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킬 수 있다.
제1감지수단(117)은 케이블(C)로부터 분리될 피복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케이블(C)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통상적인 센서로 후술할 제어모듈(17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1감지센서(117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감지센서(117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1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1고정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되, 대향되게 배치되는 다른 제1고정부(11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감지센서(117a)는 제1고정부(111)의 내측에 형성되는 홀에 제각기 배치된 상태로 전방 즉, 케이블(C) 이 위치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감지수단(117)은 설정을 통해 선택된 어느 하나만이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감지수단(117)은 제1고정부(111)들 사이로 위치하는 케이블(C)의 단부를 감지할 수 있고, 케이블(C)을 감지한 제1신호를 후술할 제어모듈(17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감지수단(117)은 설정된 어느 하나를 통해 케이블(C)의 단부측 끝단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C)이 감지되기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케이블(C)의 단부측 끝단으로부터 후술할 절단부재(151)에 의해 절단되는 위치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유닛(110)은 후술할 제3유닛(150)에 의해 절단되는 케이블(C)의 단부측 피복을 전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케이블(C)로부터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있는데, 후술할 작동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2유닛(130)은 케이블(C)을 직선화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유닛(110)로부터 이격된 테이블(T)의 일측에 마련되고, 한 쌍을 이루어 테이블(T)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제각기 배치될 수 있는데,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구성만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이러한, 제2유닛(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131), 제3이동부(133) 및 제4이동부(135)를 포함한다.
제2고정부(131)는 케이블(C)의 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일부분을 고정하는 구성으로, 일측면에 케이블(C)의 외주면 둘레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집게 형태의 그립(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111a)은 전술한 제1고정부(111)에서 설명한 그립(111a)과 동일하나,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고정부(111)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부(131)는 케이블(C)의 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일부분을 양측에서 제각기 감싸는 형태로 케이블(C)을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고정부(131)는 후술할 제3이동부(133) 및 제4이동부(135)와 연결되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제3이동부(133) 및 제4이동부(135)와 함께 설명한다. 그리고, 제2고정부(13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승강로드(미도시)를 통해 제3이동부(133)의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승강로드(미도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2고정부(131)는 요철(11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철(111b)은 제2고정부(131)에 의해 고정된 케이블(C)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고정부(111)에 형성되는 그립(111a)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이동부(133)는 전술한 제2고정부(131)를 좌우방향 즉, 케이블(C)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예컨대, 에어를 통해 신축가능한 로드가 구비되는 통상적인 에어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이동부(1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의 양측에 제각기 배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의 중앙, 즉 케이블(C)을 향해 제각기 좌우방향으로 전진이동하는 제3로드(133a)가 마련되며, 제3로드(133a)의 끝단에 제3블럭(135b)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이동부(133)의 제3블럭(135b)에는 전술한 제2고정부(131)가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데, 이는, 제2고정부(131)를 좌우방향 즉, 케이블(C)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3이동부(133)는 신축가능한 제3로드(133a)를 통해 제2고정부(131)를 케이블(C)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킬 수 있다.
제4이동부(135)는 전술한 제2고정부(131)를 전후방향 즉, 케이블(C)의 단부측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예컨대 제3이동부(133)와 동일한 에어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4이동부(1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의 양측에 제각기 배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의 전후방향으로 전진이동하는 제4로드(135a)가 마련되며, 제4로드(135a)의 끝단에 제4블럭(135b)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4이동부(135)의 제4블럭(135b)에는 전술한 제3이동부(133)가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데, 이는, 제3이동부(133) 및 이에 연결된 제2고정부(131)를 전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4이동부(135)는 신축가능한 제4로드(135a)를 통해 제2고정부(131)를 케이블(C)의 단부측 반대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유닛(130)은 전술한 구성들을 이용하여 케이블(C) 일부분의 형태를 직선화시킬 수 있는데, 후술할 작동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3유닛(150)은 케이블(C)의 단부측 피복을 케이블(C)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재(151), LM가이드(153) 및 회전모터(155)를 포함한다.
절단부재(151)는 케이블(C)의 피복을 절단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케이블(C)의 외주면 둘레의 일부분을 절단가능한 칼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칼날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내측거리가 확장되는 형태로, 예컨대, "<"와 같은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윗날과 아랫날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90°를 이룰 수 있다.
절단부재(151)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닛(110)과 제2유닛(130) 사이에 위치하고, 테이블(T)의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되, 칼날이 서로 마주보는 대향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절단부재(151)는 후술할 LM가이드(153)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브라켓(153a)에 고정된 후, 좌우방향 즉, 케이블(C)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칼날이 전진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부재(151)는 칼날이 케이블(C)의 피복을 파고들어 케이블(C)로부터 피복을 절단하여 피복이 케이블(C)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부재(15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대향되게 배치된 칼날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근접하게 되고, 이 경우, 칼날 사이로 마름모 또는 정사각형의 형태의 절단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공간(S)의 거리 즉, 하나의 절단부재(151) 윗날과 이에 엇갈리는 다른 하나의 절단부재(151) 아랫날이 이루는 이격거리(m2)는 케이블(C) 피복의 내경(m1)이나 심선의 외경(m1)에 대응하는 거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케이블(C)로부터 피복만을 절단하기 위함으로, 이의 이격거리(m2)를 조절하는 방법은 후술할 작동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절단부재(1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닛(110) 및 제2유닛(130) 사이에 위치하되, 자세하게는, 후술할 제2감지수단(190)의 제1지지대(191) 및 제2지지대(193)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단부재(151)의 칼날이 매번 직선화된 형태의 케이블(C) 일부분을 절단하기 위함으로, 후술할 작동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LM가이드(153)는 전술한 절단부재(151)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동모터(153c)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153b)가 마련된 통상적인 리니어(linear) 구조의 LM가이드(15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LM가이드(15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의 일측에 마련되고, 리드스크류(153b)를 제1고정부(111)나 제2고정부(131)가 케이블(C) 방향으로 전진이동하는 좌우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LM가이드(153)는 리드스크류(15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브라켓(153a)이 양측에 제각기 마련될 수 있고, 이의 연결브라켓(153a) 끝단에 제각기 고정되는 전술한 절단부재(151)를 좌우방향 즉, 케이블(C)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전진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모터(155)는 전술한 LM가이드(153)를 케이블(C)의 외주면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인가받은 전원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통상적인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모터(155)는 LM가이드(153) 즉, LM가이드(153)의 연결브라켓(153a)에 고정된 절단부재(151)를 케이블(C)의 외주면 둘레방향의 좌측 및 우측으로 대략 45°만큼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부재(151)가 케이블(C)의 피복을 감싸듯이 파고들어 절단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절단공간(S)을 통해 원형의 형태를 이루는 피복을 케이블(C)로부터 완벽히 절단할 수 없기 때문에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공간(S)을 회전시켜 원형의 형태로 피복의 나머지 일부분을 절단하기 위함이다.
제어모듈(170)은 전술한 제1유닛(110), 제2유닛(130) 및 제3유닛(150)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테이블(T)의 일측에 마련되는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전술한 구성들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PCB기판(17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70)은 전술한 PCB기판(171)에 실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171a), 비교부(171b) 및 제어부(171c)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171a)는 설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케이블(C)의 단면적을 촬영한 측정값, 절단공간(S)의 이격거리(m2)를 조절하는 이격거리값 및 이의 이격거리값의 범위를 조절하는 미세조절값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값은 후술할 측정수단(180)을 통해 케이블(C)의 단면적을 촬영하여 케이블(C) 피복의 내경(m1)이나 심선의 외경(m1)을 측정한 값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격거리값은 케이블(C) 피복의 내경(m1)이나 심선의 외경(m1)에 대응하는 입력값으로, 사전에 케이블(C) 규격에 대응하는 규격으로 다수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미세조절값은 설정된 이격거리값의 범위를 조절하는 입력값으로, 이격거리값을 가감할 수 있는 입력값이 저장될 수 있다.
비교부(171b)는 전술한 측정값과 이격거리값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측정수단(180)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과 저장된 이격거리값을 비교하여 측정값에 대응하는 이격거리값에 해당하는 제4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71c)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1c)는 전술한 제1유닛(110), 제2유닛(130) 및 제3유닛(150)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제1유닛(110)의 제1이동부(113) 및 제2이동부(115)를 작동시킬 수 있고, 제2유닛(130)의 제3이동부(133) 및 제4이동부(135)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제3유닛(150)의 LM가이드(153) 및 회전모터(155)를 작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1c)는 비교부(171b)로부터 발생되는 제4신호를 전달받아 절단부재(151)들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공간(S)의 이격거리(m2)를 측정값에 대응하는 이격거리(m2)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100)는 제어모듈(170)을 통해 제1유닛(110) 및 제2유닛(130)을 작동시켜 케이블(C)을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할 수 있고, 제2유닛(130)을 작동시켜 케이블(C)을 직선화시킬 수 있으며, 제3유닛(150)을 작동시켜 케이블(C)의 피복을 절단할 수 있고, 다시 제1유닛(110)을 작동시켜 피복을 케이블(C)로 부터 탈피시킬 수 있는데, 후술할 작동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100)는 제2감지수단(190) 및 측정수단(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감지수단(190)은 케이블(C) 일부분의 형태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191), 제2지지대(193) 및 제2감지센서(195)를 포함한다.
제1지지대(191)는 케이블(C)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2고정부(13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측 중앙에 케이블(C)이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홈(192)이 마련되는 돌출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대(193)는 케이블(C)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고정부(111)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앞서 설명한 제1지지대(191)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감지센서(195)는 전술한 제1지지대(191) 및 제2지지대(193)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C) 일부분의 형태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어모듈(17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통상적인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감지센서(195)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191) 및 제2지지대(193)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되, 케이블(C)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제1지지대(191) 및 제2지지대(193)에 지지된 케이블(C)을 감지하도록 상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감지센서(19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각기 상부를 센싱하여 상부에 위치한 케이블(C)의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감지센서(195)들 모두에 의해 케이블(C)의 일부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케이블(C)이 직선화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여 제2유닛(130)의 제4이동부(135)를 작동시키는 제2신호를 제어모듈(170)로 전달할 수 있고, 제2감지센서(195)들 모두에 의해 케이블(C)의 일부분이 감지될 경우, 케이블(C)이 직선화된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여 제2유닛(130)의 제4이동부(135)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3신호를 제어모듈(170)로 전달할 수 있다.
측정수단(180)은 케이블(C) 피복의 내경(m1)이나 심선의 외경(m1)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단면적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수단(1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T)의 일측에 배치되되, 전술한 제1고정부(111)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블(C)의 중앙을 촬영할 수 있도록 테이블(T)의 일측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수단(180)은 유무선을 통해 전술한 제어모듈(170)과 연결되어 케이블(C)의 단면적을 측정한 후, 케이블(C) 피복의 내경(m1)이나 심선의 외경(m1)을 측정한 측정값을 전술한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측정수단(1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유닛(150)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공간(S)의 이격거리(m2)를 조절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부(171a)의 설정된 이격거리값과 비교되는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100)를 이용하여 케이블(C)의 단부측 피복만을 케이블(C)로부터 탈피시키는 작동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11)들 사이로 케이블(C)이 위치된다. 이 경우, 제1고정부(111)에 설치된 제1감지센서(117a)들 중 설정된 제1감지센서(117a)가 케이블(C)의 단부를 감지하게 될 경우, 발생되는 제1신호가 제어부(171c)로 전달된다.
여기서, 전술한 제1감지센서(117a)들 중 어느 하나의 제1감지센서(117a)를 설정하여 제1고정부(111)들 사이로 진입하는 케이블(C)의 단부를 감지하기 때문에 케이블(C)이 감지되기 까지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다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71c)에 의해 제1이동부(113)의 제1로드(113a)가 케이블(C)이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이동되면서, 이에 연결된 제1고정부(111)들이 함께 이동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C)은 맞물리는 제1고정부(111)들 사이에 배치되어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되는데, 자세하게는 케이블(C)의 단부측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C)이 제1고정부(111)들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이룰 경우, 제어부(171c)에 의해 측정수단(180)의 카메라가 작동되어 케이블(C)의 단면적을 촬영한다. 이를 통해, 측정수단(180)은 케이블(C) 피복의 내경(m1)이나 심선의 외경(m1)을 측정한 측정값을 제어부(171c)의 데이터베이스부(171a)로 전달한다.
다음,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1c)에 의해 제3이동부(133)의 제3로드(133a)가 케이블(C)이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이동되면서, 이에 연결된 제2고정부(131)들이 함께 이동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C)은 맞물리는 제2고정부(131)들 사이에 배치되어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되는데, 자세하게는 케이블(C)의 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일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71c)에 의해 제2감지센서(195)들이 작동되어 제1지지대(191) 및 제2지지대(193)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C)의 일부분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2감지센서(195)들은 모두에 의해 케이블(C)의 일부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4이동부(135)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신호를 제어부(171c)로 지속적으로 전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케이블(C)의 형태가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화되어 제2감지센서(195)들 모두가 케이블(C)의 일부분을 감지하게 될 경우, 제4이동부(135)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3신호를 제어부(171c)로 전달하게 된다.
다음,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71c)에 의해 제4이동부(135)의 제4로드(135a)가 케이블(C)의 길이방향 즉, 전방향으로 전진이동되면서, 케이블(C)의 일부분을 고정하는 제2이동부(115)가 함께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2이동부(115)는 케이블(C)의 일부분을 잡아당겨 제1지지대(191) 및 제2지지대(193)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C)의 일부분을 점차적으로 직선화시킬 수 있다.
다음, 전술한 과정을 통해 케이블(C)이 직선화되고, 이를 통해 제2감지센서(195)들 모두에 의해 케이블(C)의 일부분이 감지될 경우, 제4이동부(135)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3신호가 제어부(171c)로 전달된다.
다음,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71c)에 의해 제3유닛(150)의 리드스크류(153b)에 연결된 연결브라켓(153a)이 케이블(C)이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이동되면서, 이에 연결된 절단부재(151)가 함께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절단부재(151)의 칼날들이 직선화된 케이블(C)의 일부분을 파고들어 케이블(C)의 피복에 절단공간(S)의 형상으로 칼집을 형성하게 된다.
예컨대, 절단부재(151)는 비교부(171b)를 통해 측정값과 설정된 이격거리값을 비교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에 대응하는 이격거리값으로 절단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부재(151)는 케이블(C) 피복의 두께만큼만 파고들기 때문에 케이블(C)로부터 피복만이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는 칼집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부재(151)들에 의해 케이블(C)의 피복에 절단공간(S)의 형태로 칼집이 형성된 이후, 제어부(171c)에 의해 회전모터(155)가 작동되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M가이드(153)가 케이블(C)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이에 연결된 절단부재(151)들이 함께 회전된다. 이때, 절단부재(151)의 칼날들이 케이블(C)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C)의 피복에 원형의 형태로 칼집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C)의 단부측 일부분의 피복만이 케이블(C)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다음,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1c)에 의해 제2이동부(115)의 제2로드(115a)가 케이블(C)의 길이방향 즉, 후방향으로 전진이동되면서, 이에 연결된 제1고정부(111)들이 함께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111)는 케이블(C)로부터 분리된 단부측 피복을 잡아당겨 케이블(C)로부터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있다.
전술한, 작동과정은 제어부(171c)에 의해 케이블(C) 피복 탈치장치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각각의 구성들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100)를 이용한 탈피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을 제1유닛(110)의 제1고정부(111)들 사이에 위치시키는 케이블 배치단계(S210); 케이블 배치단계(S210) 후, 제1감지센서(117a)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11)들 사이로 위치하는 케이블(C)이 감지될 경우, 제1감지센서(117a)에 의해 발생되는 제1신호를 제어부(171c)로 전달하는 제1감지단계(S220); 케이블(C) 감지단계 후, 제1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71c)에 의해 제1이동부(113)의 제1로드(113a)가 전진이동되고, 이와 함께 제1고정부(111)가 케이블(C)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케이블(C)의 단부측을 고정하는 제1고정단계(S230); 제1고정단계(S230) 후, 제어부(171c)에 의해 제3이동부(133)의 제3로드(133a)가 전진이동되고, 이와 함께 제2고정부(131)가 케이블(C)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케이블(C)의 단부측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일부분을 고정하는 제2고정단계(S240); 제2고정단계(S240) 후, 제어부(171c)에 의해 제2감지센서(195)들이 작동되어 제1지지대(191) 및 제2지지대(193) 사이에 위치된 케이블(C) 일부분의 형태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케이블(C) 일부분의 형태가 굴곡지거나 휘어진 형태를 이룰 경우 제2감지센서(195)들 모두에 의해 케이블(C)의 일부분이 감지되지 않아 제4이동부(135)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신호를 제어부(171c)로 전달하고, 감지되는 케이블(C)의 일부분의 형태가 직선의 형태를 이룰 경우 제2감지센서(195)들 모두에 의해 케이블(C)의 일부분이 감지되어 제4이동부(135)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3신호를 제어부(171c)로 전달하는 제2감지단계(S250); 제2감지단계(S250) 후, 제2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71c)에 의해 제4이동부(135)의 제4로드(135a)가 전진이동되고, 이와 함께 제2고정부(131)가 케이블(C)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케이블(C) 일부분의 형태가 직선화됨에 따라 제3신호가 제어부(171c)로 전달되고, 이의 제3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71c)에 의해 제4이동부(135)의 작동이 중지되는 케이블 직선화단계(S260); 케이블 직선화단계(S260) 후, 제어부(171c)에 의해 LM가이드(153)가 작동되어 연결브라켓(153a)이 케이블(C) 방향으로 전진이동되고, 이와 함께 절단부재(151)들이 케이블(C) 방향으로 전진이동되면서 절단부재(151)들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공간(S)의 형태로 케이블(C) 피복의 일부분에 칼집을 형성하는 제1피복절단단계(S270); 제1피복절단단계(S270) 후, 제어부(171c)에 의해 LM가이드(153)에 연결된 회전모터(155)가 작동되어 LM가이드(153)가 일정반경 회전되고, 이와 함께 절단부재(151)가 일정반경 회전되면서 케이블(C) 피복의 나머지 일부분에 칼집을 형성하여 케이블(C)의 피복 일부분을 케이블(C)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피복절단단계(S280); 제2피복절단단계(S280) 후, 제어부(171c)에 의해 제2이동부(115)의 제2로드(115a)가 전진이동되고, 이와 함께 제2고정부(131)가 케이블(C)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케이블(C)로부터 분리된 피복을 케이블(C)로부터 탈피시키는 피복탈피단계(S29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200)은 제1고정단계(S230) 후, 제어부(171c)에 의해 측정수단(180)의 카메라가 작동되어 케이블(C)의 단면적을 촬영한 후, 케이블(C) 피복의 내경(m1)이나 심선의 외경(m1)을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171c)로 전달하는 케이블 측정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200)은 제1피복절단단계(S270) 전, 비교부(171b)를 통해 측정값과 데이터베이스부(171a)에 저장된 이격거리값을 비교한 후, 절단부재(151)들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공간(S)의 이격거리(m2)를 측정값에 대응하는 이격거리값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비교부(171b)로부터 발생되는 제4신호를 제어부(171c)로 전달하는 절단공간 이격거리 조절단계(S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200)은 전술한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과정들을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200)은 케이블(C)을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할 수 있고, 이러한 케이블(C)의 단부측 피복 일부분을 절단하여 단부측 피복을 케이블(C)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분리된 단부측 피복을 케이블(C)로부터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있다.
100 :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110 : 제1유닛
111 : 제1고정부 113 : 제1이동부
115 : 제2이동부 117 : 제1감지수단
130 : 제2유닛 131 : 제2고정부
133 : 제3이동부 135 : 제4이동부
150 : 제3유닛 151 : 절단부재
153 : LM가이드 155 : 회전모터
170 : 제어모듈 171 : PCB기판
171a :데이터베이스부 171b : 비교부
171c : 제어부 180 : 측정수단
190 : 제2감지수단 191 : 제1지지대
193 : 제2지지대 195 : 제2감지센서
200 :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S210 : 케이블 배치단계 S220 : 제1감지단계
S230 : 제1고정단계 S240 : 제2고정단계
S250 : 제2감지단계 S260 : 케이블 직선화단계
S270 : 제1피복절단단계 S280 : 제2피복절단단계
S290 : 피복탈피단계 S300 : 케이블 측정단계
S310 : 절단공간 이격거리조절단계

Claims (5)

  1. 케이블의 단부측 일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된 단부측 피복을 일측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케이블로부터 탈피시키는 제1유닛;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일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타측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케이블을 직선화하는 제2유닛;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에 의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피복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피복을 분리시키는 제3유닛; 및
    상기 제1유닛, 제2유닛 및 제3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은,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고, 한 쌍을 이루어 상기 테이블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제각기 배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 둘레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집게 형태의 그립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일부분을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 고정하도록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제1고정부;
    상기 그립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을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고정부들을 제각기 상기 케이블이 위치된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상기 제1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일부분 중, 상기 제3유닛에 의해 상기 케이블로부터 분리된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피복을 상기 케이블로부터 탈피시키도록, 상기 제1고정부를 일측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제2이동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들 사이로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끝단을 감지하여 발생되는 제1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제1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수단은,
    상기 제1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감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 끝단이 상기 제1감지센서들 중,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될 경우, 상기 제1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은,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테이블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제각기 배치되고,
    일측면에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 둘레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집게 형태의 그립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이 상기 케이블의 단부측으로부터 이격된 일부분을 소정의 길이만큼 감싸 고정하도록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제2고정부;
    상기 그립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을 위치한 상태 그대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고정부들을 제각기 상기 케이블이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제3이동부; 및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직선화시키도록, 상기 제2고정부를 타측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제4이동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을 감지하는 제2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수단은,
    상기 제1유닛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
    상기 제2유닛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하는 제2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제각기 감지하는 다수개의 제2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감지수단은,
    상기 제2감지센서들 모두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유닛의 상기 제4이동부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들 모두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2유닛의 상기 제4이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3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닛을 통해 상기 케이블 일부분의 피복만을 심선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케이블의 단면적을 촬영하여 상기 케이블 피복의 내경이나 심선의 외경을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측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5. 삭제
KR1020180084503A 2018-07-20 2018-07-20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KR10193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03A KR101934814B1 (ko) 2018-07-20 2018-07-20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03A KR101934814B1 (ko) 2018-07-20 2018-07-20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814B1 true KR101934814B1 (ko) 2019-01-03

Family

ID=6502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503A KR101934814B1 (ko) 2018-07-20 2018-07-20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8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6865A (zh) * 2019-09-19 2019-12-31 铜陵博康机电有限公司 一种线束自动送线装置
KR102288084B1 (ko) * 2021-05-12 2021-08-09 조선웅 미세 동축 케이블의 탈피가 용이한 자동 탈피기 및 이를 통한 자동 탈피방법
KR102346530B1 (ko) * 2021-07-15 2021-12-31 태남기 전선탈피장치
WO2022096325A1 (de) * 2020-11-06 2022-05-12 Wafios Aktiengesellschaft 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n ihren enden abisolierten werkstücken aus isoliertem länglichem material
CN114731030A (zh) * 2019-10-18 2022-07-08 泰科电子连接解决方案有限责任公司 电缆末端感测仪器和方法
KR102447223B1 (ko) 2022-06-16 2022-09-27 (주)대광이엔피 광케이블 통신관용 외관 탈피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2846B2 (ja) 1985-10-14 1997-05-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除去及び切断方法
US6330839B1 (en) 1999-11-01 2001-12-18 Cawitec Ag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and removing the shielding from a cable
US6840147B2 (en) 2000-08-16 2005-01-11 Orbital Technology, Inc. Orbiting blade coaxial cable cutter/stripper
KR101533804B1 (ko) 2013-11-29 2015-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JP2016136808A (ja) 2015-01-23 2016-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体加工装置及び電線体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2846B2 (ja) 1985-10-14 1997-05-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除去及び切断方法
US6330839B1 (en) 1999-11-01 2001-12-18 Cawitec Ag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and removing the shielding from a cable
US6840147B2 (en) 2000-08-16 2005-01-11 Orbital Technology, Inc. Orbiting blade coaxial cable cutter/stripper
KR101533804B1 (ko) 2013-11-29 2015-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JP2016136808A (ja) 2015-01-23 2016-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体加工装置及び電線体加工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6865A (zh) * 2019-09-19 2019-12-31 铜陵博康机电有限公司 一种线束自动送线装置
CN110626865B (zh) * 2019-09-19 2023-12-22 铜陵博康机电有限公司 一种线束自动送线装置
CN114731030A (zh) * 2019-10-18 2022-07-08 泰科电子连接解决方案有限责任公司 电缆末端感测仪器和方法
CN114731030B (zh) * 2019-10-18 2024-05-07 泰科电子连接解决方案有限责任公司 电缆末端感测仪器和方法
WO2022096325A1 (de) * 2020-11-06 2022-05-12 Wafios Aktiengesellschaft 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n ihren enden abisolierten werkstücken aus isoliertem länglichem material
KR102288084B1 (ko) * 2021-05-12 2021-08-09 조선웅 미세 동축 케이블의 탈피가 용이한 자동 탈피기 및 이를 통한 자동 탈피방법
KR102346530B1 (ko) * 2021-07-15 2021-12-31 태남기 전선탈피장치
KR102447223B1 (ko) 2022-06-16 2022-09-27 (주)대광이엔피 광케이블 통신관용 외관 탈피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814B1 (ko)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KR101533804B1 (ko)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JP6471115B2 (ja) 剥離用工具
EP0627801B1 (en) Cover strip-off method in a covered wire cutting and stripping apparatus
MX2012010101A (es) Sistemas y metodos de control de motor de alimentacion de alambre.
JP2018082615A (ja) 電気導体のシース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6068206B2 (ja) 電線加工装置
JP2021007293A (ja) 剥離用工具
KR102288084B1 (ko) 미세 동축 케이블의 탈피가 용이한 자동 탈피기 및 이를 통한 자동 탈피방법
KR101982500B1 (ko) 케이블의 식별이 가능한 케이블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절단방법
CN104795715B (zh) 电缆剥皮钳
CN105633863A (zh) 一种电缆剥皮钳及其剥皮方法
KR102265646B1 (ko) 피복전선 코어 분리장치
JP2000354315A (ja) 被覆電線に対する切断刃の切り込み深さの検知方法と被覆電線の剥皮装置
CN216819215U (zh) 一种高压电缆外护套及金属护套无损环切装置
US5333521A (en) Wire stripper
CN115275879A (zh) 集成式线缆处理设备
US20170222410A1 (en) Wire Stripping Machine
KR200303369Y1 (ko) 다중 케이블의 피복관 탈피장치
JPH0919020A (ja) ケーブル導体むき出し装置
US33290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wire
CN105470873A (zh) 一种自动排线剥线机
EP4362251A1 (en) Sheath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
CN216085990U (zh) 一种智能剥线器的绝缘刀具
CN218050110U (zh) 一种切割机构及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