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653B1 - 해조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 어장 시설방법 - Google Patents

해조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 어장 시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653B1
KR102480653B1 KR1020220092165A KR20220092165A KR102480653B1 KR 102480653 B1 KR102480653 B1 KR 102480653B1 KR 1020220092165 A KR1020220092165 A KR 1020220092165A KR 20220092165 A KR20220092165 A KR 20220092165A KR 102480653 B1 KR102480653 B1 KR 10248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growth device
nutrient
nutrients
e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아
Original Assignee
동성해양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해양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해양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중의 암반 위치 등을 확인하여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의 설치 위치로 적합한 해저 지역을 선정하는 설치 해역 선정단계(가); 해조 생육장치 내측 공간부에 영양염을 저장하고 폐쇄판 고정 및 고정프레임과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완성하는 해조 생육장치 준비단계(나); 상기 (가)단계로 선정된 해역으로 (나)단계로 준비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부선에 적재 및 이동하는 해조 생육장치 적재 및 이동단계(다); 상기 (다)단계로 이동시킨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낙하시켜 (가)단계로 선정된 해역 해저에 잠수부가 설치하는 해조 생육장치 낙하 및 설치단계(라)로 이루어진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조류 생장을 위한 영양염의 용출과 동시에 해조류의 착생공간을 제공하여 보다 규모있는 해조장 조성과 조성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조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 어장 시설방법{Sea nutrient-dissolving seaweed growth device for the restoration of seaweed grounds}
본 발명은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어장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육장치 내부에 해조의 생장 효율에 도움이 되는 영양염이 충진되어 영양염 용출 효율과 해조류의 생장 증진이 가능하도록 한 갯녹음 어장 복원을 위한 갯녹음 어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이의 시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 암초역에는 감태류와 모자반류가 있고 대형 해조가 번무하는 해중림이라 부르는 해조장이 존재하며 다양한 생물군집에 의해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해조장(海藻場)은 해양생물에 있어 먹이의 공급원과 산란장 및 자치어의 생육장을 제공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안역은 감태, 모자반류 등의 해조류가 사멸되고 산호말과 식물이 암반에 착생하여 홍색 또는 백색으로 변하는 갯녹음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원인으로는 감태, 모자반 등 다년생 해조류 군락이 고수온, 저염분, 해양환경 여건의 악화, 그리고 조식성 동물의 과다 섭식 등이 있고 1990년대 초반부터 훼손되기 시작하여 그 피해면적이 계속 확산되고 있다.
갯녹음 현상은 통상 조간대에서부터 수심 10m까지의 낮은 수역의 마을어장에서 발생하여 수질정화 기능의 상실, 연안 어업자원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유용해조류 및 패류 자원이 소실되는 등 연안어업 생산력을 감소시킨다. 황폐화된 연안어장의 생태계를 회복하고 어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해 갯녹음 발생해역에 해중림을 조성하여 안정적인 해양 생태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해조장은 해수중의 순수 산소를 공급하고 해양환경을 정화하며 각종 어,패류의 산란장과 성육장을 제공하여 해양생태계 일차 생산자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자연상태에서는 먹이사슬에 따른 생태계가 유지되나 갯녹음 어장에는 일차생산자인 해조류 생물량보다 소비자인 조식동물이 과다하게 서식하고 있어서 어린상태의 인공종묘를 이식하여 해중림이 조성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해조류 인공종묘를 일정기간 노출됨이 없이 조식동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하다. 해조장 조성을 위한 구조물은 해조류에 따라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 폐타이어, 폐선박 등 다양한 구조와 소재로 설치된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368195호에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해조류 포자를 양생시킨 후, 다공질의 구조물 상부에 해조류 로프를 고정하고, 다공성 표면에는 해조류 포자를 부착시켜서, 해중림 조성이 필요한 지역에 설치 고정할 수 있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에 관한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물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고려해 갯녹음이 주로 발생하는 수심대가 아니라 기존에 감태 등의 해조류 군락이 잘 형성되어 있는 10~15m에 설치된다. 갯녹음 현상이 대부분인 조간대부터 7m 이내의 천해역에는 사석을 활용한 투석 또는 바다 영양염이 살포되고 있다.
투석은 석산 개발 제한으로 사석 확보가 곤란하고 마을어장 사니질 지역에 투입되고 있어 갯녹음 어장 복원 효과가 미비할 뿐만 아니라 크기 0.5~0.8㎥ 범위의 대석 투입으로 잠수사가 뒤집기 곤란하여 채취효율이 떨어지고 고착화로 시간 경과에 따라 사석 표면 산호말류 등의 조류가 번식하 는 문제점이 있다.
해조류의 서식을 위해서는 수온, 염분, 투명도, pH, COD 및 각종 영양염류 등의 수질환경적 요소와 부착기질 및 퇴적물 양상 등의 지형적 환경요소가 하나의 환경으로 동시에 작용하여 해조류의 생태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바다 영양염 살포사업은 육상에서 비료를 시비하는 원리로 철성분의 바다 영양염은 해조류의 성장과 영양염 흡수 효과가 높아, 일반 어장에 비해 해조류의 착생효과와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조류 증식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 해조생육장치와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368195호에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해조류 포자를 양생시킨 후, 다공질의 구조물 상부에 해조류 로프를 고정하고, 다공성 표면에는 해조류 포자를 부착시켜서, 해중림 조성이 필요한 지역에 설치 고정할 수 있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06383호에는 무절산호조로 덮혀져 있는 갯 녹음 암반 위에 직접 시설하여 무용 해조인 무절산호조를 퇴치하고 그 위치에 유용 해조가 조성될 수 있도록 하는 갯녹음 암반 복원을 위한 해중림 조성 기술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831743호에는 해조류들이 잘 착생할 수 있는 부착기질을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 해중림 조성부재가 다수 결합되어 형성된 해중림 조성부재 복합체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427485호에는 각종 치어나 치패(稚貝 어린조개)가 천적을 피하여 은신할 수 있으며, 해중림 조성 구조물 내에 급수부와 분사구를 가진 파이프를 통해 저온성 해양심층수의 공급 및 외부의 영양성분(비료)등을 확산시킬 수 있어 양식장에 용이하며, 여러 개의 해중림 조성 구조물을 직, 병렬로 연결하여 어류, 패류 및 해조류가 동시에 생장이 가능하고, 먹이활동 뿐만 아니라 산란장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심층수 및 영양염류 공급형 해중림 조성 구조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해조 생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영양염을 해수에 살포하는 경우, 파랑이 심한 해역은 영양염의 용해속도가 빨라 생육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내에 충전 후, 장기간에 걸쳐 용해 및 용출될 수 있도록 하여 해조류 생장을 위한 영양염으로 제공은 물론, 해조류 착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는 상부면이 막혀있고 일정 공간을 갖는 측면을 형성하고 하부면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부를 형성하며, 개구부를 통해 내측 공간부로 영양염을 충진할 수 있도록 한 다면체 돔 형상의 본체가 상기 고정프레임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폐쇄판이 상기 개구부에 결합된다.
상기 본체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영양염 용출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상부면 외측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격벽 구조를 갖는 와류형성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부면을 복수개의 면체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상부면 각각의 면체에는 하나 이상의 영양염 용출공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부에 충진된 영양염이 본체 측면 및 상부면의 용출공으로 용출되어 해조생육 공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설치방법은 해중의 암반 위치 등을 확인하여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의 설치 위치로 적합한 해저 지역을 선정하는 설치 해역 선정단계(가); 해조 생육장치 내측 공간부에 영양염을 저장하고 폐쇄판 고정 및 고정프레임과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완성하는 해조 생육장치 준비단계(나); 상기 (가)단계로 선정된 해역으로 (나)단계로 준비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부선에 적재 및 이동하는 해조 생육장치 적재 및 이동단계(다); 상기 (다)단계로 이동시킨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낙하시켜 (가)단계로 선정된 해역 해저에 잠수부가 설치하는 해조 생육장치 낙하 및 설치단계(라) 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조류 생장을 위한 영양염의 용출과 동시에 해조류의 착생공간을 제공하여 보다 규모 있는 해조장 조성과 조성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 설치방법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영양염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해조 생육장치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해조 생육장치 본체 저면 사진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해조 생육장치 폐쇄판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조 생육장치로 이루어진 해조장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실험군 2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실험군 1의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어장 설치방법과 관련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 설치방법 모식도를 나타낸다.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 설치방법은 해중의 암반 위치 등을 확인하여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의 설치 위치로 적합한 해저 지역을 선정하는 설치 해역 선정단계(가); 본 발명의 생육장치 내측 공간부에 영양염을 저장하고 폐쇄판 고정 및 고정프레임과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완성하는 해조 생육장치 준비단계(나); 상기 (가)단계로 선정된 해역으로 (나)단계로 준비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부선에 적재 및 이동하는 해조 생육장치 적재 및 이동단계(다); 상기 (다)단계로 이동시킨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낙하시켜 (가)단계로 선정된 해역 해저에 잠수부가 설치하는 해조 생육장치 낙하 및 설치단계(라) 로 이루어진다.
(가) 설치 해역 선정단계
본 발명의 설치 해역 선정단계(가)는 해중의 암반 위치 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의 설치 위치로 적합한 해저 지역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해저지역에 바람직한 지형 및 저질은 평탄한 전석대나 암반대가 적절하고 수심은 천해역 해조장 조성을 목적으로 만조 기준 5~6m이 바람직하다.
(나) 영양염 및 해조 생육장치 준비단계
본 발명의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 준비단계(나)는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내부에 영양염을 저장하고 폐쇄판 고정 및 고정프레임과 결합하여 개구부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영양염은 상기 영양염 조성물 중 콘크리트 기질을 모래크기로 분쇄하고 황산철 및 규조토 조성물을 분체로 제조하여 혼합 및 배합한 후, 성형장치에 투입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형상과 무게로 압축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영양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영양염은 가로 2cm, 세로 1cm의 펠렛형상으로 구현되었다. 펠렛형상의 영양염은 천연섬유 소재로 형성된 포대에 영양염을 넣어 해조장 조성을 위한 해조 생육장치에 투입한다.
상기와 같은 포대는 내부에 충진된 영양염이 해조 생육장치 내부에서 용해가 진행되어 해조류 증식 효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영양염 제조시 온도는 황산철의 물에 대한 용해도에 있어서 적절한 온도인 55 내지 80℃ 범위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표 1은 영양염의 성분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성분 분석결과 SiO2, CaO, Al2O3, Fe2O3, MgO, K2O, Na2O, TiO 등의 유기물로 구성되었으며, 수은, 납 등 유해성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해중 설치가 적절한 것임을 판단하였다.
영양염 성분 분석결과
시험항목 시험결과(%)
강열감량 9.52
SiO2 48.20
Al2O3 10.70
TiO 0.43
Fe2O3 8.06
MnO 0.10
CaO 7.77
MgO 1.61
Na2O 3.36
K2O 3.12
P2O5 0.18
SO3 5.43
본 발명에 따른 영양염은 철 이온 용출효과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해수 투입 전 일정 형상으로 성형되고 이때 황산철과 콘크리트 기질과의 결합이 양호하여 보관에 많은 주의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통상적으로 수생 식물은 광합성에 필요한 탄산가스 이외의 영양을 해수 또는 담수로부터 흡수하고 있으며, 이때 규소 흡수량이 가장 많고 철이 많이 흡수된다. 특히, 철 이온은 수생 녹색식물의 생육과정에서 해수에 포함된 영양이온을 흡수할 때 필요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양염은 세균류, 해조류 또는 미생물의 생육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미량 원소인 황산철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영양염은 황산철(FeSO4) 결정체와 규조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양염 조성물은 황산철 8 내지 22중량%,에 대하여 규조토 3 내지 4 중량% 및 나머지 콘크리트 기질을 적절하게는 74 내지 89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규조토에는 규조토 100중량%에 대하여 이산화규소 (SiO2) 80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다.
해수 중에는 약 45종의 원소가 녹아있고 철은 해수에 0.01ppm 용해되어 있지만 농축 계수가 1000~130000으로 해조가 미량원소 중 높은 흡수율을 보이는 중요한 원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산철은 해조의 광합성을 촉진시키고 영양염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 해수에 투입함으로써 주변에 자생하게 되는 해조의 성장과 영양염 흡수 효과를 높임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수질정화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기질은 철강 슬러그, 콘크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철강 슬러그는 일반적으로 석회(CaO) 및 실리카(SiO2)의 2성분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고온로(高溫爐) 슬러그는 알루미나(AL2O3), 마그네시아(MgO)를 들 수 있고, 전로(轉爐) 슬러그로는 산화제1철(FeO), 마그네시아(MgO), 산화망강(MnO)등을 함유하고 있어, 어느 것이나 지각(地殼) 또는 보통의 암석, 횡광석의 1종을 구성하는 것이다.
철강 슬러그로는 고로(高爐)슬러그, 제강(製鋼)슬러그 (전로슬러그, 전기로슬러그)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녹색식물이 가장 많이 흡수하고 있는 실리카(Si)와 동위인 이산화규소(SiO2)의 함유량이 많은 고로(高爐)슬러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의 용이성을 감안할 때 수쇄(水碎) 슬러그가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는 통상 시멘트 9∼15중량%, 모래 20∼33 중량 %, 사리 35∼48중량%, 물 16∼22중량% 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규조토는 녹색식물이 아주 많이 흡수하고 있는 영양 실리카(Si)와 동위인 이산화규소(SiO2) 80%를 함유하고 있으며, 점성을 갖고 있으므로 바인더와 같은 역할을 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질과의 결합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기질의 변환을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 블록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는 해조장 조성을 위한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0); 상기 고정프레임 상측면에 형성되고 다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영양염이 충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영양염 용출과 해조 생육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200)로 이루어진다. 본체 상측 중앙부에는 해조 저연승 생육로프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환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00)은 일정두께의 판상구조로 일측면은 해조장 조성을 위한 해저 지면에 안착 설치되고 반대면 측면에는 본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프레임 상측 가장자리에는 해조 저연승 생육로프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환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에는 내부공간에서 충진된 영양염의 용출 및 해수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용출공(210)이 형성된다. 용출공은 본체 상부 및 측면부에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용출공은 내부에 충진된 영양염 용출이 일정한 속도로 이루어지도록 조절한다. 이에 기존의 영양염 살포시 천연섬유 소재의 자루에 담겨 살포되고 해수에 의해 영양염 용해가 과도하게 이루어져 단기간에 충전된 영양염이 소진됨으로써 해조장 조성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 프레임은 다양한 상의 돌출구조로 본체 일측면을 여러 구획으로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격벽 역할과 해중의 해수가 부딪혀 와류를 형성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와류형성 프레임으로 구획된 본체 측면에는 용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와류형성 프레임은 돌출구조로 원형, 막대형, 다면체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격벽과 같이 외부의 해수가 부딪혀 와류를 형성할 수 있으면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 프레임은 벽체 구조로 일단이 본체 중심부로 수렴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이 3개로 설치되고 와류형성 프레임으로 본체 상부 측면은 3개로 구획되어지며, 상기 구획된 측면별 용출공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외부에서 본체 구획된 측면으로 해수가 유입되고 1차적으로 와류 형성프레임에 부딪혀 와류가 형성되면서 측면부를 여러번 부딪히게 되어 용출공에서 용출된 영양염도 함께 본체에 다수 부딪히게 된다.
용출공을 통해 내부에 충진된 영양염이 해중으로 용출되고, 와류형성 프레임에 해수가 부딪히면서 형성된 와류가 용출된 영양염과 함께 본체 측면에 부딪히는 횟수를 증가시킨다. 이에 본체 측면에 부착된 해조류에도 영양염이 포함된 사육수가 와류와 함께 부딪히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해조류에 흡수되는 영양염도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소 표면구조가 복잡하도록 본체 측면이 형성되어 치어나 치패의 은신 및 해조류의 착생을 위한 표면 제공을 할 수있다.본 발명의 고정프레임 및 본체는 일체형으로 그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자중을 가질 수 있는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본체 저면 사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본체(200)는 다면체 구조로 내부에는 영양염이 충진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체의 일측에는 여러 형태로 돌출되는 구조의 와류형성 프레임(22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 공간부로 영양염이 투입되어 충진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도 5에 도시된 폐쇄판(230)이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영양염 투입된 후 내부 공간부는 밀폐된다.
영양염은 천연섬유 소재로 형성된 포대에 영양염을 넣어 해조장 조성을 위한 해조 생육장치에 투입한다. 상기와 같은 포대는 내부에 충진된 영양염이 해조 생육장치 내부에서 용해가 진행되어 해조류 증식 효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폐쇄판은 상기 본체 개구부와 대응하여 본체 내부 공간부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구조로 상기 본체와 폐쇄판의 고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 및 너트 고정으로 구현되었으나, 본체와 폐쇄판이 고정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밀봉단계는 상기 본체 내부에 영양염을 저장하고 폐쇄판을 통해 개구부를 밀폐한 후 고정프레임과 폐쇄판 측면이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 해조 생육장치 적재 및 이동 단계
본 발명의 해조 생육장치 적재 및 이동 단계(다)는 상기 (가)단계로 선정된 해역으로 (나)단계로 준비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부선에 적재 및 이동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영양염(시비재)가 충전된 해조생육장치(무게 100kg) 시설은 시설 대상지 항, 포구에서 카고크레인(9톤급) 이용하여 블록 4개씩 PE관으로 제작한 부상형 부선(크기 3x4m)에 적재하였다. 이때 1회 부선에 안착시킬 수 있는 해조 생육장치는 12개였다.
해조 생육장치를 적재한 부선은 소형 어선 또는 동력 보트를 이용하여 부선을 예인하여 (가)단계의 선정된 해역 구역까지 이동시킨다.
(라) 해조 생육장치 낙하 및 설치단계
본 발명의 해조 생육장치 낙하 및 설치단계(라)는 상기 (다)단계로 이동시킨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낙하시켜 (가)단계로 선정된 해역 해저에 잠수부가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단계로 설치된 해조 생육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선 가장자리에 위치한 해조 생육장치부터 바다쪽으로 밀어 자연적으로 해조 생육장치를 수중으로 낙하시킨다. 해저로 낙하된 해조 생육장치는 잠수 기능사 이상의 자격을 갖춘 잠수부 4인이 1조가 되어 블록이 강한 파랑에도 견딜 수 있는 평면 형태로 짜 맞추면서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설치 해역에는 벌집형상의 다수개의 해조 생육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설치방법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 효능 조사
본 발명의 실험예 1은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강원도 및 경북도와 제주도 대포동과 하천리에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 효능을 조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염이 충진된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설치한 지역을 실험군 1로 설정하고 본 발명에 따른 영양염을 천연소재 재질의 마대자루에 충진한 실험군 2로 설정하여 설치를 실시하였다.
강원도 및 경북도는 2016년 10월경 설치 후 2017년 4~6월 동안 2차례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고, 제주도는 2016년 6월경 설치한 후 2018년 7월까지 6차례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실험군 2의 설치과정 모식도와 그 효과를 나타낸 사진을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실험군 1의 설치과정 모식도와 그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양염만 살포한 실험군 1 및 실험군 2는 영양염을 살포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해조장 조성 효과가 대조구 해역에 비해 약 1.6~2.1배 증가하였고 생물량은 약 3.6~3.0배가 증가하였다.
실험군 1과 실험군 2를 비교하였을 때, 제주해역과 같이 파랑 영향이 심한 경우에는 영양염의 용해시간이 빠르고 영양염을 포장한 천연소재 재질의 마대의 훼손이 심해 실험군 2가 실험군 2에 비해 효과가 저조하였다. 이는 실험군 1은 실험군 2에 비해 영양염의 살포가 안정된 상태에서 영양염이 용출됨으로써 해조류 조성효율이 높아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의 설치가 영양염 살포작업에 비해 바다숲 복원 효능이 더 큰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은 갯녹음현상을 해결함으로써 연안어장의 생태계 회복을 통해 연안어업 생산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안정적인 해양 생태계의 유지로 관련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보탬이 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고정프레임 200: 본체
210: 용출공 220: 와류형성프레임
230: 폐쇄판

Claims (3)

  1. 해조장 조성을 위한 해저 지면에 설치되고 일정 두께의 판상 구조로 해저면에 안착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부면이 막혀있고 일정 공간을 갖는 측면을 형성하고 하부면이 개구되어 내측 공간부를 형성하며, 개구부를 통해 내측 공간부로 영양염을 충진할 수 있도록 한 다면체 돔 형상의 본체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영양염 용출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상부면 외측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격벽 구조를 갖는 와류형성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부면을 복수개의 면체로 구획하고,
    상기 구획된 상부면 각각의 면체에는 하나 이상의 영양염 용출공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부에 충진된 영양염이 본체 측면 및 상부면의 용출공으로 용출되어 해조 생육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2. 해중의 암반 위치 등을 확인하여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의 설치 위치로 적합한 해저 지역을 선정하는 설치 해역 선정단계(가);
    청구항 1의 해조 생육장치 내측 공간부에 영양염을 저장하고 폐쇄판을 고정프레임과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완성하는 해조 생육장치 준비단계(나);
    상기 (가)단계로 선정된 해역으로 (나)단계로 준비된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부선에 적재 및 이동하는 해조 생육장치 적재 및 이동단계(다);
    상기 (다)단계로 이동시킨 영양염 용출용 해조 생육장치를 낙하시켜 (가)단계로 선정된 해역 해저에 잠수부가 설치하는 해조 생육장치 낙하 및 설치단계(라)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장 조성을 위한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시설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진되는 영양염 조성물은 황산철 8 내지 22중량%, 규조토 3 내지 4 중량% 및 나머지 콘크리트 기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시설방법
KR1020220092165A 2022-07-26 2022-07-26 해조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 어장 시설방법 KR102480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165A KR102480653B1 (ko) 2022-07-26 2022-07-26 해조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 어장 시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165A KR102480653B1 (ko) 2022-07-26 2022-07-26 해조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 어장 시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653B1 true KR102480653B1 (ko) 2022-12-23

Family

ID=8453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165A KR102480653B1 (ko) 2022-07-26 2022-07-26 해조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 어장 시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65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22Y1 (ko) * 2001-04-17 2001-10-11 이생기 인공어초
JP3098204U (ja) * 2003-05-29 2004-02-26 サカイオーベックス株式会社 横臥筒体配列式人工魚礁ブロック
KR200406383Y1 (ko) 2005-10-24 2006-01-20 김윤묵 해중림 조성 시스템
KR100831743B1 (ko) 2007-01-25 2008-05-22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해중림 조성부재 복합체
KR100939568B1 (ko) * 2009-07-09 2010-01-29 (주)해양연구개발 해조류 포자 이식이 가능한 영양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248177B1 (ko) * 2011-08-29 2013-03-27 주식회사 해양수산연구개발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KR101368195B1 (ko) 2012-03-14 2014-03-03 에스엠텍 주식회사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KR20140078048A (ko) * 2012-12-14 2014-06-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층수 및 영양염류 공급형 해중림 조성 구조물
KR20170054021A (ko) * 2015-11-09 2017-05-17 이용준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22Y1 (ko) * 2001-04-17 2001-10-11 이생기 인공어초
JP3098204U (ja) * 2003-05-29 2004-02-26 サカイオーベックス株式会社 横臥筒体配列式人工魚礁ブロック
KR200406383Y1 (ko) 2005-10-24 2006-01-20 김윤묵 해중림 조성 시스템
KR100831743B1 (ko) 2007-01-25 2008-05-22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해중림 조성부재 복합체
KR100939568B1 (ko) * 2009-07-09 2010-01-29 (주)해양연구개발 해조류 포자 이식이 가능한 영양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248177B1 (ko) * 2011-08-29 2013-03-27 주식회사 해양수산연구개발 해중림 조성용 인공어초
KR101368195B1 (ko) 2012-03-14 2014-03-03 에스엠텍 주식회사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KR20140078048A (ko) * 2012-12-14 2014-06-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층수 및 영양염류 공급형 해중림 조성 구조물
KR101427485B1 (ko) 2012-12-14 2014-08-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층수 및 영양염류 공급형 해중림 조성 구조물
KR20170054021A (ko) * 2015-11-09 2017-05-17 이용준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9043B2 (ja) 水域環境保全材料及び水域環境保全方法
JP3829140B2 (ja) 磯焼け修復方法
KR102428747B1 (ko) 갯녹음 어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JP2007330254A (ja) 水域環境保全材料、水域環境保全システム及び水域環境保全方法
JP2017074041A (ja) 水中微生物担体資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水中微生物誘導増殖方法及び水域施肥方法
JP3142286U (ja) 海藻養殖用浮子
KR101025559B1 (ko)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2480653B1 (ko) 해조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 어장 시설방법
JP6776080B2 (ja) 底質改善材および底質の改善方法
KR102487941B1 (ko) 해조류 이식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2487938B1 (ko)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JP2007267697A (ja) 海洋漁礁
JP5114840B2 (ja) 水中動植物増殖体及びそれを利用した海洋牧場
CN107197796A (zh) 一种潮间带海水浮游生物的培育方法
CN109179857B (zh) 一种基于生态隔离-鱼类修复-底质锁磷-植物攫取的富营养化水体修复方法
KR200207913Y1 (ko) 인공어초
KR101427485B1 (ko) 심층수 및 영양염류 공급형 해중림 조성 구조물
KR101933958B1 (ko) 연안 복합생물 서식지, 및 이에 의한 생물 복원 방법
JP7349613B2 (ja) 養殖用貝の成長促進剤及び斃死防止剤
JP6583732B2 (ja) 保存可能な海草類播種体の製造方法
JP7349612B2 (ja) 養殖用貝の成長促進剤及び斃死防止剤
JP6390349B2 (ja) 貝類の養殖方法
JP2019149963A (ja) 二価鉄イオン徐放出素焼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素焼物を用いた二枚貝養殖具および水域環境保全方法
JP3486874B1 (ja) 藻場造成礁及び海藻養殖方法
JP3245865U (ja) 磯焼対策用肥料投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