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195B1 -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195B1
KR101368195B1 KR1020120026237A KR20120026237A KR101368195B1 KR 101368195 B1 KR101368195 B1 KR 101368195B1 KR 1020120026237 A KR1020120026237 A KR 1020120026237A KR 20120026237 A KR20120026237 A KR 20120026237A KR 101368195 B1 KR101368195 B1 KR 10136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ae
seaweed
porous structure
rope
s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609A (ko
Inventor
정상목
조성환
Original Assignee
에스엠텍 주식회사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주식회사 연안생태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텍 주식회사,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주식회사 연안생태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에스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19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해조류 포자를 양생시킨 후, 다공질의 구조물 상부에 해조류 로프를 고정하고, 다공성 표면에는 해조류 포자를 부착시켜서, 해중림 조성이 필요한 지역에 설치 고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중림 조성방법은 해양 착생 생물들의 착생을 저해하는 유해물질의 방출이 없고, 해양 생물의 포자들이 손쉽게 착생되는 친환경적인 다공성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이용하여 고정한 해조체가 해조류 성체로 효과적으로 발육되고, 다공성 표면에 해조류 포자를 방출 및 부착시켜 다양한 종의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른 해조류의 활발한 성장으로 대형 해조류가 번식한 해중림이 형성되고, 수산생물의 산란 및 성장에 좋은 조건을 제공하는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Algae attachment block and method for making seaweed forest for recovery of whitening event}
본 발명은 친환경 다공질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한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과 이것을 이용하여 인공어초 표면과 갯녹음 지역에 해중림을 조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갯녹음 현상은 연안에서 엽상형 해조류가 소멸되고, 시멘트와 같은 석회질로 된 홍조류인 무절석회조류가 암반을 뒤덮는 현상으로서, 해조류의 서식지 환경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빚어지는 생태계의 변화로 천해 암반은 산호말류로 피복되며 이들이 죽어서 하얗게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갯녹음 현상은 석회조류의 서식대 확장으로 엽상해조류가 사라짐으로 인하여 종 다양성 감소로 사막화 현상이 발생하고, 엽상해조류에 의한 해조숲은 어류, 새우, 게, 고등 종류의 먹이원이며, 중요한 서식처로서 해조숲이 사라지면 수산동물의 감소로 직결됨으로 수산업에 큰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바다의 사막화" 라고 불리는 갯녹음 현상이 심하면 연안 암반지역에 서식하던 해조류가 사라지고, 해조류를 먹는 어패류가 사라지는 등 수산생물이 살기 어려운 환경으로 변해 바다연안이 황폐화되는 등 어민들에게 큰 피해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갯녹음 복원을 위해 주로 인공어초를 투입하여 해결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보통 인공어초는 해양에 인공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연근해 바다 속에 설치되어 어류, 갑각류, 패류 등의 산란 및 부하와 치어의 보호, 육성 및 증식에 필요한 해조류를 육성함으로써, 어패류의 육성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인공어초 및 해양 구조물은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 폐타이어, 폐선박 등 다양한 소재의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멘트 재질의 해양 구조물은 초기에 해양 착생 생물들의 착생을 방해하는 유해물질과 강 알칼리를 방출하기 때문에 해양 식물의 초기 착생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해양 구조물의 경우, 표면장력이 낮아서 해양생물들이 착생할 때 해수 유동에 의해 쉽게 미끄러져 착생 생물의 포자들이 착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국내 등록특허 10-0997022호에서는『해조부착 기질판』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해조부착 기질판은 표면에 버섯 모양의 볼트를 제작하고, 해조류 부착 로프를 감아서 기질판의 로프홈을 제작하여 해조류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지역에 설치하는 기술로서, 목적 지역에 물리적인 볼트홈을 제작하거나, 인공 구조물에 특수하게 볼트홈을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갯녹음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인공어초, 인공구조물 및 자연석에 해조류를 조성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해수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해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다공성 구조물, 해조류 포자를 손쉽게 고정 및 안정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인공 구조물을 구현함으로써, 갯녹음 지역에 간편하게 적용하여 해중 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은 해조류 착생 및 성장의 토대가 되는 것으로서, 반구 형상의 셸구조 형태로 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바깥쪽 표면에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가 감겨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의 경우, 다공성 구조물의 바깥쪽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 홈 내에 안착되는 구조로 감겨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구조물은 콘크리트, 세라믹,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공성 구조물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홀의 직경은 1mm∼10㎝, 바람직하게는 5㎝ 이하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해중림 조성방법은 해조류 착생 및 성장의 토대가 되는 것으로 반구 형상의 셸구조 형태로 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구조물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 홈에 해조체가 성장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다공성 구조물의 상부에 해조류 포자를 부착 및 착생시키는 단계와, 해조체가 성장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가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에 해조류 포자가 부착 및 착생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물을 수중작업을 통해 갯녹음 복원지역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는 거대조류의 포자가 부착되어 1개월 이상 양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조류 포자를 부착 및 착생시키는 단계에서는 국내 등록특허 10-102087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 예를 들면 (a)해조류를 여과해수에 넣고 빛을 비추어 해조류포자가 103∼107개/㎖의 농도로 하도록 포자를 유도하는 과정, (b)상기 (a)과정의 해조류 포자 배양액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염 1.0∼8.0 중량부를 녹여 혼합하는 과정, (c) 다공성 구조물에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과정, (d) 상기 해조류 포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가금속염 1.0∼10.0 중량부로 녹인 다음 (c)단계에서 도포된 다공성 구조물의 표면에 살포하여 경화시키는 과정을 이용하여 해조류 포자를 도포한 후 부착 착생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갯녹음 복원용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해양 착생 생물들의 착생을 저해하는 유해물질의 방출이 없고, 표면적을 극대화한 다공성으로 해양 생물이 손쉽게 착생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이는 해조류 성장 및 해양 생물 착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효과적인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다.
둘째, 해중림의 효율적인 조성에 따른 해조류의 활발한 성장으로 대형 해조류가 번식한 해중림을 조성하여, 수산생물의 산란 및 성장에 좋은 조건을 제공하는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해조체가 1개월 이상 양생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구조물에 고정하고, 해조류 포자를 부착 착생시킴으로써, 해중림 조성시간의 단축과 다양한 해조류를 조성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며, 특히 대형 구조물 투입에 비해 시간 절약 및 가격적인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해조체가 부착된 양식로프 고정과 해조류 포자 부착 착생으로 해중림 조성을 원하는 지역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선택적인 해중림 조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을 이용하여 해중림을 조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조류 포자가 양생화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인공 구조물의 홈에 고정시키고, 다공질에 해조류 포자를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해조류의 착생과 성장을 증진시켜 해중림을 효과적으로 조성 및 증대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갯녹음의 복원을 위한 해조류 착생 블럭은 해조류 착생 및 성장의 토대가 되는 것으로서, 표면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의 엠보(15)와 홀(13)을 가지는 중공체나 중밀체 등으로 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물(10)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서, 상기 다공성 구조물(10)은 전체 표면에 다수의 엠보(15)와 홀(13)을 가지는 반구 형상의 셸구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엠보(15)는 도 1의 확대도와 도 2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듯이 반구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다공성 구조물(10)의 바깥쪽 표면에서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다공성 구조물(10)의 안쪽 내면에서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이루는 엠보 형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다공성 구조물(10)의 표면에 다수의 엠보(15)가 형성되어 표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또 표면에 다수의 홀(13)이 형성되어 물이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는 등 포자의 착생 및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록 반구 형상의 셸 구조로 이루어진 다공성 구조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속이 차 있는 반구 형상, 속이 차 있거나 또는 비어 있는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다공성 구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구조물(10)의 바깥쪽 표면에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11)를 감아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다수의 로프 홈(12)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로프 홈(12) 내에 해조류 양식용 로프(11)가 안착되는 구조로 감겨지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다공성 구조물(10)의 하단부 둘레, 즉 구조물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직선부(14)의 바깥 둘레를 따라 가면서 형성되는 대략 "V"홈 형상의 메인 로프 홈(12a)이 구비되고, 또 구조물 상부 표면을 가로질러 양측이 메인 로프 홈(12a)과 이어지는 다수의 서브 로프 홈(12b)이 구비된다.
즉, 상기 서브 로프 홈(12b)은 메인 로프 홈(12a)의 일측에서부터 시작하여 구조물 상부를 가로질러 건너편의 메인 로프 홈(12b)의 다른 일측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다공성 구조물(10)의 하단 둘레에는 메인 로프 홈(12a)을 이용하여 적어도 1개의 로프(11)가 감겨지게 되고, 구조물 상부 표면에는 서브 로프 홈(12b)을 이용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로프(11)가 감겨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메인 로프 홈(12a)에 감겨져 고정되는 1개의 로프(11)와 서브 로프 홈(12b)에 감겨져 고정되는 3개의 로프(11)를 갖는 인공 구조물을 제시한다.
이러한 다공성 구조물(10)은 콘크리트, 세라믹,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공성 구조물(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홀(13)의 직경은 1mm∼10㎝, 바람직하게는 5㎝ 이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와 같은 다공성 구조물(10), 즉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을 이용하여 해중림을 조성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을 이용하여 해중림을 조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중림 조성 방법은 해조류 양식용 로프(11)를 다공성 구조물(10)의 로프 홈(12)에 고정시키고, 다공성 구조물 표면에 국내 등록특허 10-102087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 예를 들면 (a)해조류를 여과해수에 넣고 빛을 비추어 해조류포자가 103∼107개/㎖의 농도로 하도록 포자를 유도하는 과정, (b)상기 (a)과정의 해조류 포자 배양액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염 1.0∼8.0 중량부를 녹여 혼합하는 과정, (c) 다공성 구조물에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과정, (d) 상기 해조류 포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가금속염 1.0∼10.0 중량부로 녹인 다음 (c)단계에서 도포된 다공성 구조물의 표면에 살포하여 경화시키는 과정 등을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해조류 포자를 착생시키고, 이러한 다공성 구조물을 해중림 조성을 원하는 지역에 선택적으로 직접 설치하는 방법이다.
본 발병에 적용하는 상기 등록특허 방법은 해조류 착생 촉진 물질과 해조류 포자를 캡슐화 시킨 후, 표면에 도포하면 해조류가 성체로 자라는 물질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해조류 포자를 방출시켜 다공질에 부착 및 착생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등록특허 방법으로 해조류 포자를 방출하여, 캡슐로 제작한 후에 이를 표면에 포자를 부착시켜 착생시키는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다공성 구조물, 즉 친환경적인 다공성 표면의 인공구조물 홈에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고정시키고, 다양한 해조류 포자를 다공질 표면에 착생시킨 후, 해중림 조성 지역에 설치하는 환경 친화적인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시공 방법으로 수중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해중림 조성을 인위적으로 가속화 할 수 있다.
여기서, 해조류 양식용 로프는 해조류가 양생된 로프를 가리키는 것으로, 성숙한 해조류로부터 포자 방출을 유도하고, 방출된 포자를 로프나 구조물에 부착시킨 후 1개월 이상 양생시킨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해조류 양식용 로프는 1 내지 10cm 직경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직경 5cm 미만인 경우 로프에 부착되어 있던 해조류가 성장하면 다공질 표면에 안정적으로 가근이 발달하는데, 직경 5cm 이상인 경우는 이 현상이 느려져 성체가 되기 전에 탈락할 수 있으므로, 직경 5cm 미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조류 양식용 로프는 부착된 해조류의 크기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해야 하므로, 해조류 포자를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부착한 다음 1개월 이상 양생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부착된 해조류의 크기가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상기 인공구조물에 고정하는 경우 해조류 개체의 성장률 감소 및 고사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해조류 양식용 로프 등의 구조물은 해조류가 양생된 구조물로서 직경이 5cm 이하인 로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프와 같이 친환경적인 소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해조류 양식용 로프에 부착되는 해조류는 구멍갈파래, 가시파래, 모자반, 미역, 감태, 대황, 곰피 등의 양생이 가능한 거대조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며, 로프에 부착된 해조류의 개체수는 제한이 없다.
또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인공구조물의 "V" 형상 홈에 감으며, 감은 후 양식용 로프가 6~12개월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을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고정물로는 무독성 실리콘, 레진, 에폭시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공구조물의 다공성 표면에 부착 착생시키는 해조류 포자는 구멍갈파래, 가시파래, 모자반, 미역, 감태, 대황, 곰피 등 거대조류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며, 해조류 포자를 상기 등록특허 방법으로 표면에 부착 착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해조류 양식용 로프와 해조류 포자 부착된 구조물은 스쿠바 작업을 통해 수중에서 시공이 이루어지며, 구조물 하단에 수중에폭시를 이용하여 해조류 조성 지역에 직접 부착시킨다.
또한, 부착 전 부착 표면은 수중 고압 분사기, 끌, 스크레퍼, 헴머 등을 이용하여 수중에폭시를 이용한 구조물이 잘 부착할 수 있도록 표면 전 처리를 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갯녹음 발생 지역에 손쉽게 해조류를 조성 및 증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공구조물의 소재는 다양한 것으로서,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 폐타이어 및 폐기물 등으로 구성된 1종 또는 2종이상을 모든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공구조물에 제작되는 모양은 도면과 같은 반구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단지 개략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원형, 사각형, 삼각형, 십자형 등의 다각형으로 제작하여 상기 설명과 같이 양식용 로프를 위한 V 홈과 다공질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구조물의 다공질의 경우, 다공성 구조물(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홀(13)의 직경은 5㎝ 이하로 목적에 따라 다양한 표면을 구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조류를 양생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다공질 인공구조물에 고정시키고, 해조류 포자를 방출하여 부착 착생시킨 후 해중림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근해 바다 속에 해중림을 조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다공 재질의 인공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상부에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설치하기 위해 V 홈을 만든다.
다음, 상기 로프를 다공 재질 상부의 홈에 맞게 절단 한 후 홈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한다.
그 다음 해조류 포자를 방출시킨 후 상기 등록특허 방법으로 다공성 재질에 부착 착생시키고 하루 동안 해수에 순치시킨다.
이렇게 준비된 인공구조물은 수중 작업을 통해 해양 수중에 설치되는데, 이때 수중 작업자가 스쿠버(scuba)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해중림 조성지역에서 시공한다.
이러한 인공구조물, 즉 다공성 구조물은 해조류 지역, 암반 지역, 신규 및 기존 인공어초, 기타 해중 구조물 표면 등 다양한 곳에 자유롭게 부착 설치하여 자연스럽게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해중림 조성 성공률을 살펴보도록 한다.
실시예 1
직경이 50㎜인 감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원형의 다공성 인공구조물의 홈에 고정하고, 다공질 표면에 상기 등록특허 방법을 이용하여 감태 포자를 부착 착생 시켰다.
상기 발명과 비교 하기 위하여 동일 조건으로 동일 재질의 평평한 재질에도 동일 처리를 하였다.
수중 작업을 통해 감태 해조류가 성장하기에 좋은 장소에 두종류의 처리군을 6개월후 관찰 하였다 (표 1).
다공성 재질의 대한 해조류 생존률 검증
구분 평평한 재질 다공성 재질
해조류 로프 생존률 10% 80%
포자 부착률 10% 60%
결과 다공성 재질이 평평한 재질에 비해 해조류의 높은 생존률을 나타냈으며, 특히 해조류 로프에 양생되어 부착된 것에서는 다공성 재질이 8배가 좋은 결과 나타났으며, 포자 부착률에서는 다공성 재질이 6배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따라서, 다공성 재질에 해조류 양식용 로프와 상기 등록특허 방법을 적용한 해중림 조성이 일반 구조물에 비해 해중림 조성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해조류가 부착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친환경적인 다공성 재질의 상부 홈에 고정하고, 다공질 부분에 해조류 포자를 상기 등록특허 방법을 이용하여 부착 착생시켜, 이 구조물을 갯녹음 지역에 설치함으로써, 어류, 갑각류, 패류 등의 산란, 부화와 치어의 보호, 육성 및 증식에 필요한 해중림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갯녹음 지역 및 해조류 조성지에 다공성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해조류를 해양 수중 구조물에 성공적으로 착생시키고, 해양 수중 구조물에서의 해조류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켜 효율적인 해중림 조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기존에는 특수 재질의 인공어초나 고가의 해중림 조성 방법들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해중림 조성방법은 다공질의 다양한 구조물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어 작업환경이 어려운 장소에도 해중림 군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 다공성 구조물 11 : 해조류 양식용 로프
12 : 로프 홈 12a : 메인 로프 홈
12b : 서브 로프 홈 13 : 홀
14 : 직선부 15 : 엠보

Claims (7)

  1. 해조류 착생 및 성장의 토대가 되는 것으로서, 전체 표면에 걸쳐 다수의 엠보(15)와 홀(13)을 가지는 반구 형상의 셸구조 형태의 다공성 구조물(10)로 이루어지며, 바깥쪽 표면에는 해조류 양식용 로프(11)가 감겨져 있고,
    상기 엠보(15)는 반구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다공성 구조물(10)의 바깥쪽 표면에서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다공성 구조물(10)의 안쪽 내면에서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이루는 엠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11)는 다공성 구조물(10)의 바깥쪽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 홈(12) 내에 안착되는 구조로 감겨진 후, 무독성 실리콘, 레진, 에폭시 접착제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11)와 해조류 포자가 부착된 다공성 구조물(10)은 해조류 조성 지역에 직접 부착하되, 부착 전 부착 표면 전 처리하고 다공성 구조물(10)의 하단에 수중에폭시를 이용하여 해조류 조성 지역에 직접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물(10)의 형성되는 로프 홈(12)은 구조물 하단부 둘레를 따라 가면서 형성되는 메인 로프 홈(12a)과, 구조물 상부 표면을 가로질러 양측이 메인 로프 홈(12a)과 이어지는 다수의 서브 로프 홈(12b)으로 구성되어, 구조물 하단 둘레에는 적어도 1개의 로프(11)가 감겨지게 되고, 구조물 상부 표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로프(11)가 감겨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물(10)은 콘크리트, 세라믹, 플라스틱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다공성 구조물(10)에 형성되어 있는 홀(13)의 직경은 1mm∼10㎝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5. 해조류 착생 및 성장의 토대가 되는 것으로 전체 표면에 다수의 엠보와 홀을 가지는 다공성 구조물을 제작하되, 반구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다공성 구조물(10)의 바깥쪽 표면에서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다공성 구조물(10)의 안쪽 내면에서는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이루는 엠보를 가지는 다공성 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구조물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 홈에 해조체가 성장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고정하되,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는 다공성 구조물의 바깥쪽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 홈 내에 안착되는 구조로 감겨진 후, 무독성 실리콘, 레진, 에폭시 접착제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구조물의 상부에 해조류 포자를 부착 및 착생시키되, (a)해조류를 여과해수에 넣고 빛을 비추어 해조류포자가 103∼107개/㎖의 농도로 하도록 포자를 유도하는 과정, (b)상기 (a)과정의 해조류 포자 배양액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염 1.0∼8.0 중량부를 녹여 혼합하는 과정, (c) 다공성 구조물에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도포하는 과정, (d) 상기 해조류 포자 배양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가금속염 1.0∼10.0 중량부로 녹인 다음 (c)단계에서 도포된 다공성 구조물의 표면에 살포하여 경화시키는 과정을 이용하여 해조류 포자를 도포한 후 부착 착생시키는 단계;
    해조체가 성장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가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에 해조류 포자가 부착 및 착생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물을 수중작업을 통해 갯녹음 복원지역에 설치하되,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와 해조류 포자가 부착된 다공성 구조물은 부착 전 부착 표면 전 처리하고 다공성 구조물의 하단에 수중에폭시를 이용하여 해조류 조성 지역에 직접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양식용 로프를 고정하는 단계에서, 해조류 양식용 로프는 거대조류의 포자가 부착되어 1개월 이상 양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다공성 구조물은 해조류 지역, 암반 지역, 신규 및 기존 인공어초, 기타 해중 구조물 표면 중 어느 한 곳에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20120026237A 2012-03-14 2012-03-14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KR10136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237A KR101368195B1 (ko) 2012-03-14 2012-03-14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237A KR101368195B1 (ko) 2012-03-14 2012-03-14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609A KR20130104609A (ko) 2013-09-25
KR101368195B1 true KR101368195B1 (ko) 2014-03-03

Family

ID=4945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237A KR101368195B1 (ko) 2012-03-14 2012-03-14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1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348A (ko) 2014-11-06 2016-05-16 국립공원관리공단 뜸부기의 복원방법
KR102061691B1 (ko) * 2019-07-02 2020-01-02 동양종합건설주식회사 해조류 부착기질용 콘크리트 구조물
WO2020045752A1 (ko) * 2018-08-31 2020-03-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친환경 생태블록 형성방법
KR102273480B1 (ko) * 2020-12-01 2021-07-06 강정찬 해중림 복원 또는 조성용 해조류 이식용 구조물
KR102428747B1 (ko) 2022-01-11 2022-08-04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갯녹음 어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KR102480653B1 (ko) 2022-07-26 2022-12-23 동성해양개발 주식회사 해조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 어장 시설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4841A1 (en) 2021-04-06 2022-10-13 Totalenergies Onetech Artificial ree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7065U (ko) * 1979-10-09 1981-05-16
JPH0272814A (ja) * 1988-09-07 1990-03-13 Masao Shiotani イセエビ用魚礁
KR100988360B1 (ko) * 2009-09-24 2010-10-18 주식회사 빌탑 패류의 서식 및 해중림 조성을 위한 계단형 인공어초
KR101020874B1 (ko) * 2008-11-13 2011-03-09 에스엠텍 주식회사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7065U (ko) * 1979-10-09 1981-05-16
JPH0272814A (ja) * 1988-09-07 1990-03-13 Masao Shiotani イセエビ用魚礁
KR101020874B1 (ko) * 2008-11-13 2011-03-09 에스엠텍 주식회사 해조류 포자 착생 촉진을 위한 캡슐화 조성물
KR100988360B1 (ko) * 2009-09-24 2010-10-18 주식회사 빌탑 패류의 서식 및 해중림 조성을 위한 계단형 인공어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348A (ko) 2014-11-06 2016-05-16 국립공원관리공단 뜸부기의 복원방법
WO2020045752A1 (ko) * 2018-08-31 2020-03-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친환경 생태블록 형성방법
KR102061691B1 (ko) * 2019-07-02 2020-01-02 동양종합건설주식회사 해조류 부착기질용 콘크리트 구조물
KR102273480B1 (ko) * 2020-12-01 2021-07-06 강정찬 해중림 복원 또는 조성용 해조류 이식용 구조물
KR102428747B1 (ko) 2022-01-11 2022-08-04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갯녹음 어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KR102480653B1 (ko) 2022-07-26 2022-12-23 동성해양개발 주식회사 해조장 복원을 위한 바다 영양염 용출 해조 생육장치 및 해조 어장 시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609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195B1 (ko)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KR100994533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바다 숲 조성방법
CN106614203B (zh) 组合式人工鱼礁
KR100872496B1 (ko)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KR100988360B1 (ko) 패류의 서식 및 해중림 조성을 위한 계단형 인공어초
KR100994531B1 (ko) 어초 블록용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태 복원용 어초 블록
JP2008061509A (ja) 藻場造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藻場造成方法
CN102972318A (zh) 一种适合于软质海底的海参底播养殖设施
CN103609424A (zh) 一种复合型人工藻礁
KR100572069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KR101001828B1 (ko) 해중림 조성용 기둥형 해중림초
KR102273480B1 (ko) 해중림 복원 또는 조성용 해조류 이식용 구조물
CN106577432A (zh) 一种海洋森林牧场
KR101080239B1 (ko) 해조류이식체 및 상기 해조류이식체를 이용한 바다숲조성방법
CN102792904A (zh) 三曲面海藻林鱼礁
KR101722386B1 (ko) 에이치형 해조류 이식 플레이트
KR20110026747A (ko)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2039903B1 (ko) 인공 수중암초
KR10057206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KR102487938B1 (ko)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KR200477518Y1 (ko) 바다숲 조성용 십자형 해중림초
CN215836569U (zh) 一种带种植基床的树型鱼礁装置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CN201571405U (zh) 网包式海珍品增殖礁
KR20080096923A (ko)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