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348A - 뜸부기의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뜸부기의 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348A
KR20160054348A KR1020140153874A KR20140153874A KR20160054348A KR 20160054348 A KR20160054348 A KR 20160054348A KR 1020140153874 A KR1020140153874 A KR 1020140153874A KR 20140153874 A KR20140153874 A KR 20140153874A KR 20160054348 A KR20160054348 A KR 20160054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μmol
average
content
days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153B1 (ko
Inventor
최종관
Original Assignee
국립공원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공원관리공단 filed Critical 국립공원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14015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1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뜸부기의 복원방법, 구체적으로, 뜸부기를 5 내지 10 cm 간격으로 그물망에 이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그물망에 이식시킨 뜸부기를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인 대비 질소 비(N/P 비)가 25 내지 29이고, 평균 수온이 13.4℃ 내지 13.6℃이며, 클로로필 a(chlorophyll a, chl a)의 함량이 0.25 μmol/L 내지 0.35 μmol/L 인 조건에서 뜸부기를 양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뜸부기의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뜸부기는 영양성분인 클로로필의 함량이 더 높은 경우에도 상기 양식조건이 아닌 경우에는 오히려 성숙률 및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뜸부기를 이식시키고 양식한 초기 조건에 따라 복원 여부에 영향을 받으며, 상기 조건이 뜸부기 복원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Description

뜸부기의 복원방법{A METHOD OF RESTORING PELVETIA SILIQUOSA}
본 발명은 뜸부기의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뜸부기는 갈조식물 뜸부기속(Pelvetia sp.)에 속하는 해조류로, 구체적으로 갈조식물문 원포자강 모자반목 뜸부기과 뜸부기속에 속하는 해조류이고, 전 세계적으로 약 10종 정도가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해안에 서식하는 뜸부기는 한국산 뜸부기(Pelvetia siliquosa)로 알려져 있다.
한국산 뜸부기는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해안에서 분포하였고, 주로 남해안과 서해안의 조간대 상부의 암반이나 중부에 광범위하게 군락을 형성하며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뜸부기의 몸은 약 5 내지 15 cm로, 작은 반상근에서 단독 또는 두세개가 직립하고, 수회차상 분지한다. 상기 뜸부기의 뿌리는 반상이며, 줄기는 원주상이고 복차상으로 분기하고, 모양은 장타원형 또는 원통형으로 기낭은 따로 분화되지 않으며, 가지는 상부로 갈수록 약간 납작해지다 말단가지 상부가 부풀어 기낭역할을 한다.
상기 뜸부기는 서남해안에서는 전통적으로 제사상의 나물재료로 활용될 정도로 오랫동안 식용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최근 항산화 효과 등 다양한 약리활성이 확인되었고, 당뇨, 고혈압 등 성인병의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알긴산이 풍부하여, 알긴산 제조의 원료로 사용되는 등 건강식품이나 의약용 재료로의 용도도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수요의 발굴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남해안 전역과 서해안에서 손쉽게 채취할 수 있었던 뜸부기는 몇 년전부터 점차 소실되기 시작하여 육지와 인접한 연안에서는 거의 볼 수 없게 되었고, 최근에는 서해안 중 외양에 위치한 흑산도, 추자도, 진도 등 일부 도서에서만 소량이 생육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여러 기능성이 확인됨에 따라, 현재 김 보다 3 내지 4배 정도 높은 건중량당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는 뜸부기는 그 분포가 제한됨에 따라 채취도 어려운 면이 있어, 이러한 뜸부기의 복원은 종 다양성 향상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해조류 구성의 복원에 따른 생태계 복원이란 측면에서도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해조류와 관련된 연구 및 양식 연구는 산업적으로 수요가 높은 김이나 미역 등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해조류 양식품종의 다양화에 의한 어민 수익 향상과 생태계 복원이란 측면에서도 뜸부기에 대한 복원에 대한 연구개발의 필요성과 시급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2013-0044295 A KR 10-1368195 B KR 10-1309832 B KR 10-1223232 B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조류, 특히 뜸부기의 복원을 위한 뜸부기 인공 재배 즉, 양식방법을 개발하여, 이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뜸부기의 복원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뜸부기를 5 내지 10 cm 간격으로 그물망에 이식시키는 뜸부기 이식 단계; 및 상기 그물망에 이식시킨 뜸부기를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인 대비 질소 비(N/P 비)가 25 내지 29이고, 평균 수온이 13.4℃ 내지 13.6℃인 조건에서 뜸부기를 양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뜸부기의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양식하는 단계는 상기 뜸부기를 엽록소, 구체적으로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클로로필 a(chlorophyll a, chl a)의 함량이 0.25 μmol/L 내지 0.35 μmol/L, 바람직하게는 0.28 μmol/L 내지 0.30 μmol/L인 조건에서 뜸부기를 양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양식하는 단계는 상기 뜸부기를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H4 +의 함량이 0.52 μmol/L 내지 0.54 μmol/L이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O3 -의 함량이 1.2 μmol/L 내지 1.3 μmol/L이고,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PO4 3 -의 함량이 0.13 μmol/L 내지 0.15 μmol/L인 조건에서 뜸부기를 양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은 가로줄의 지름(씨줄)이 13 mm 내지 15 mm이고, 세로줄(날줄)의 지름이 2.5 mm 내지 3.5 mm일 수 있다.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인 대비 질소 비(N/P 비)는 바람직하게는 26.9 내지 27.1일 수 있고,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H4 +의 함량이 0.525 μmol/L 내지 0.535 μmol/L일 수 있으며,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O3 -의 함량이 1.23 μmol/L 내지 1.25 μmol/L일 수 있고,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PO4 3 -의 함량이 0.135 μmol/L 내지 0.141 μmol/L이며, 평균 수온이 13.4℃ 내지 13.6℃인 조건에서 뜸부기를 양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뜸부기의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과거 서해안과 남해안에 비교적 많이 분포하였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갑자기 급감하여, 현재는 남해안 일부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뜸부기를 다시 복원시키기 위하여 여러 해 동안 연구를 수행하던 중, 뜸부기 복원을 위하여, 여러 조건에서 이식 실험을 수행하여, 개체 수와 성숙율의 관점에서 뜸부기가 잘 번식할 수 있는 특정 수온과 질소와 인 등의 영양염과 관련된 조건을 확인하였고, 뜸부기의 재배 방법과 관련하여, 줄(로프)를 이용한 이식방법이 복원에 더 적합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뜸부기의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뜸부기의 양식방법은 뜸부기를 5 내지 10 cm 간격으로 그물망에 이식시키는 뜸부기 이식 단계; 및 상기 그물망에 이식시킨 뜸부기를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인 대비 질소 비(N/P 비)가 25 내지 29이고, 평균 수온이 13.4℃ 내지 13.6℃이며, 클로로필 a(chlorophyll a, chl a)의 함량이 0.25 μmol/L 내지 0.35 μmol/L 인 조건에서 뜸부기를 양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뜸부기의 복원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양식하는 단계는 상기 뜸부기를 뜸부기 양식 환경 구체적으로, 뜸부기가 양식되는 수중 즉, 뜸부기가 양식되는 해수가 특정 조건인 환경에서 양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양식 환경은 특정 염류 및/또는 특정 영양분이 특정 함량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식 환경은 양식 개시일 즉, 뜸부기를 이식한 날로부터 40일 동안의 평균 특정 염류 및/또는 평균 특정 영양분인 환경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식 환경은 양식 개시일 즉, 뜸부기를 이식한 날로부터 40일 동안의 평균 NH4 +의 함량이 0.52 μmol/L 내지 0.54 μmol/L이고,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O3 -의 함량이 1.2 μmol/L 내지 1.3 μmol/L이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PO4 3 -의 함량이 0.13 μmol/L 내지 0.15 μmol/L인 해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양식 환경은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의 평균 인 대비 질소 비(N/P 비)가 26.9 내지 27.1이고,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클로로필 a의 함량이 0.28 μmol/L 내지 0.30 μmol/L이며,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의 평균 NH4 +의 함량이 0.525 μmol/L 내지 0.535 μmol/L이고,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O3 -의 함량이 1.23 μmol/L 내지 1.25 μmol/L이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PO4 3 -의 함량이 0.135 μmol/L 내지 0.141 μmol/L이고, 평균 수온이 13.4℃ 내지 13.6℃인 해수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양식하는 단계는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H4 +의 함량이 0.52 μmol/L 내지 0.54 μmol/L이며,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O3 -의 함량이 1.2 μmol/L 내지 1.3 μmol/L이고,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PO4 3 -의 함량이 0.13 μmol/L 내지 0.15 μmol/L인 조건에서 양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식하는 단계는 상기 뜸부기를 상기 뜸부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인 대비 질소 비(N/P 비)가 26.9 내지 27.1이고,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클로로필 a의 함량이 0.28 μmol/L 내지 0.30 μmol/L이며,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H4 +의 함량이 0.525 μmol/L 내지 0.535 μmol/L이고,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O3 -의 함량이 1.23 μmol/L 내지 1.25 μmol/L이며,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PO4 3-의 함량이 0.135 μmol/L 내지 0.141 μmol/L이고, 평균 수온이 13.4℃ 내지 13.6℃인 조건에서 양식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뜸부기 이식 단계의 그물망은 가로줄의 지름이 13 mm 내지 15 mm이고, 세로줄의 지름이 2.5 mm 내지 3.5 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뜸부기는 그 원인이 구체적이지는 않으나, 연안의 서식환경 변화에 따라 급격하게 그 서식장소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여러 영양성분인 클로로필 a의 함량, 염류의 조건, 구체적으로 인 대비 질소 비(N/P 비) 및 각 주요 염류의 함량을 달리하는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뜸부기의 성장 및 번식에는 질소와 인의 비가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너무 많은 영양염류의 경우 오히려 뜸부기의 성장 및 번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과도한 영양염류에 의한 성장 및 번식의 억제는 그 명확한 메커니즘은 규명되지 않았으나, 현상학적으로 최근 육지의 호수나 강의 오염과 해수의 오염 및 해류의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 서해안 및 남해안의 근해 및 연안에 과도한 염류가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 뜸부기의 감소 원인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영양성분과 염류의 조절을 통해 뜸부기의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이러한 영양성분과 염류의 조건은 뜸부기 양식을 개시한 초기 즉,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정도의 기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뜸부기의 양식 조건 중, 인 대비 질소 비(N/P 비)의 경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인 대비 질소 비(N/P 비)가 25 내지 29이고, 바람직하게는 26.9 내지 27.1의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로로필 a(chlorophyll a, chl a)의 함량의 경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0.25 μmol/L 내지 0.35 μmol/L, 바람직하게는 0.28 μmol/L 내지 0.30 μmol/L의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H4 +의 함량의 경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0.52 μmol/L 내지 0.54 μmol/L, 바람직하게는 0.525 μmol/L 내지 0.535 μmol/L의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O3 -의 함량의 경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1.2 μmol/L 내지 1.3 μmol/L, 바람직하게는 1.23 μmol/L 내지 1.25 μmol/L의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O4 3 -의 함량의 경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0.13 μmol/L 내지 0.15 μmol/L, 바람직하게는 0.135 μmol/L 내지 0.141 μmol/L의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양식의 평균 수온의 조건은 13.4℃ 내지 13.8℃, 바람직하게는 13.4℃ 내지 13.6℃인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뜸부기의 양식방법의 뜸부기 이식 단계는 뜸부기를 그물망에 이식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식단계는 상기 뜸부기가 안전적으로 이식될 장소에 부착되어 성장 및 생식할 수 있도록, 뜸부기가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체는 기존 양식방법에 주로 사용되는 수중콘크리트 등을 이용한 석제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줄이나 로프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뜸부기 이식 단계는 뜸부기를 그물망에 이식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뜸부기 이식 단계의 그물망은 가로줄의 지름이 13 mm 내지 15 mm이고, 세로줄의 지름이 2.5 mm 내지 3.5 mm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원방법에 의하면, 상기 뜸부기를 염류와 영양분에 대한 특정 농도를 포함한 특정 조건에서 양식하며, 양식 초기 뜸부기의 지지체를 그물망을 이용하여 양식하는 경우, 다른 조건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성숙율과 낮은 유실율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복원방법을 통하여 뜸부기를 복원하는 경우, 뜸부기의 채취를 통해 많은 어민들의 수익 향상과 양식 해조류의 다양화라는 측면에서 산업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우리나라 해양 생태계를 복원하여 생물 다양성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환경적으로도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뜸부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로프를 이용한 뜸부기 양식방법(도 2a) 및 수중시멘트로 제조된 돌을 이용한 뜸부기 양식방법(도 2b)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기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뜸부기 복원 실험 결과에 따른 최적 조건 확인
본 발명의 복원실험은 대한민국 서해안인 전라남도 신안지역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복원실험에 사용한 뜸부기는 전남 서남해안 지역의 조도 인근의 도서에 번식하고 있는 뜸부기 성체를 약 5 cm 내지 7 cm 정도 잘라내어 채취한 후, 본원 실험지에서 양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뜸부기를 이식한 2014년 5월 2일부터 2014년 6월 10일 동안 40일간의 평균 염류, 평균 영양소 즉, 평균 클로로필 함량 및 평균 수온과 관련된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양식을 수행하였으며, 양식 방식은 2가지 방식 즉, 줄이식 방식과 돌이식 방식으로 양식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군 지역은 각흘도에서 수행하였고, 상기 대조군은 전남 신안지역 관호마을에서 수행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염류 및 클로로필 함량의 단위는 μmol/L이다.
상기 줄이식 방식은 가로줄의 지름이 14 mm이고, 세로줄의 지름이 3 mm인 그물망에 상기 약 5 cm 내지 7 cm 크기로 채취한 뜸부기를 5 cm 내지 10 cm 간격으로 묶은 후, 상기 줄을 실험지에서 양식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상기 돌이식 방식은 상기 약 5 cm 내지 7 cm 크기로 자라고 있는 뜸부기를 상기 뜸부기가 번식하고 있는 돌을 깬 후, 상기 실험지 해변의 돌 위에 시멘트를 바르고, 상기 뜸부기가 번식하는 돌을 붙인 후, 양식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수온(℃) N/P 비 NH4 + NO2 - NO3 - PO4 3 - Chl.a
실험군 13.6 16.33 0.528 0.161 1.241 0.138 0.29
대조군 13.6 26.91 0.660 0.157 1.953 0.165 0.48
상기 표 1의 조건으로 번식한 결과, 양식 조건 및 양식 방법에 따른 뜸부기의 엽장 성장 정도 등의 결과와 유실율 등을 통하여 최적 양식 조건 즉, 최적 복원 조건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는 최초 이식된 뜸부기를 기준으로 성장된 정도 즉, 최초 이식된 뜸부기와 측정된 시점에 뜸부기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표 3은 최초 이식된 뜸주기 대비 유실된 정도 또는 번식된 정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엽장(cm) 엽폭(cm) 분지갯수
6월 7월 6월 7월 6월 7월
실험군 0.69±0.41 2.33±0.32 0.87±0.30 2.95±0.63 0.75±0.12 1.03±0.20
대조군 0.65±0.37 1.50±0.58 - 0.85±0.31 0.06±0.61 0.28±0.16 0.24±1.14
실험군(개체수, %) 대조군(개체수, %)
5월 7월 유실률 5월 7월 유실률
돌이식 91개 69개 24.18% 72개 49개 31.94%
줄이식 95개 88개 7.37% 149개 98개 34.23%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엽장 및 엽폭의 성장 정도와 분지갯수가 높아, 구체적으로 엽장의 크기는 약 0.8 cm 이상, 엽폭은 약 2.9 cm 이상 더 성장하고, 분지 개수도 약 0.8개 이상 더 많아 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실률의 측면에서도 7% 또는 27% 정도 더 낮아 유실이 덜 되서 복원지역에서 잘 생착되고 잘 번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삭방법에서 줄이식의 경우, 돌이식에 비하여 약 유실률이 17% 정도 감소되어, 유실률이 현저하게 낮으므로, 복원에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험군의 배양 조건, 더 구체적으로 대조군과 대비되는 양식 조건인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인 대비 질소 비(N/P 비)가 26.91이고, 평균 NH4 +의 함량이 0.528 μmol/L이며, 평균 NO3 -의 함량이 1.241 이고, 평균 PO4 3-의 함량이 0.138 μmol/L이며, 영양성분인 클로로필 a(chlorophyll a, chl a)의 함량이 0.29 μmol/L 인 조건에서 뜸부기를 양식하는 경우, 개별 뜸부기의 성장 정도 및 뜸부기의 부착율 즉, 복원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존 뜸부기의 성체 또는 뜸부기를 배양한 배양체를 줄이식 방법으로 이식하여, 상기 실험군 지역의 조건으로 뜸부기를 배양하는 경우, 뜸부기의 복원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예상되었다.

Claims (4)

  1. 뜸부기를 5 내지 10 cm 간격으로 그물망에 이식시키는 뜸부기 이식 단계; 및 상기 그물망에 이식시킨 뜸부기를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인 대비 질소 비(N/P 비)가 25 내지 29이고, 평균 수온이 13.4℃ 내지 13.6℃이며, 클로로필 a(chlorophyll a, chl a)의 함량이 0.25 μmol/L 내지 0.35 μmol/L 인 조건에서 뜸부기를 양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뜸부기의 복원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하는 단계는 상기 뜸부기를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H4 +의 함량이 0.52 μmol/L 내지 0.54 μmol/L이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O3 -의 함량이 1.2 μmol/L 내지 1.3 μmol/L이고,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PO4 3 -의 함량이 0.13 μmol/L 내지 0.15 μmol/L인 조건에서 양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부기 복원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하는 단계는 상기 뜸부기를 상기 뜸부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인 대비 질소 비(N/P 비)가 26.9 내지 27.1이고,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클로로필 a의 함량이 0.28 μmol/L 내지 0.30 μmol/L이며,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H4 +의 함량이 0.525 μmol/L 내지 0.535 μmol/L이고,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NO3 -의 함량이 1.23 μmol/L 내지 1.25 μmol/L이며, 상기 양식 개시일로부터 40일 동안 평균 PO4 3 -의 함량이 0.135 μmol/L 내지 0.141 μmol/L이고, 평균 수온이 13.4℃ 내지 13.6℃인 조건에서 뜸부기를 양식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부기의 복원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뜸부기 이식 단계의 그물망은 가로줄의 지름이 13 mm 내지 15 mm이고, 세로줄의 지름이 2.5 mm 내지 3.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부기의 복원방법.
KR1020140153874A 2014-11-06 2014-11-06 뜸부기의 복원방법 KR101725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74A KR101725153B1 (ko) 2014-11-06 2014-11-06 뜸부기의 복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74A KR101725153B1 (ko) 2014-11-06 2014-11-06 뜸부기의 복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348A true KR20160054348A (ko) 2016-05-16
KR101725153B1 KR101725153B1 (ko) 2017-04-10

Family

ID=5610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874A KR101725153B1 (ko) 2014-11-06 2014-11-06 뜸부기의 복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745B1 (ko) 2020-09-09 2021-10-27 국립공원공단 친환경 바이오폴리머를 이용한 뜸부기 서식지 복원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79594B (zh) * 2010-03-15 2011-08-17 山东省海水养殖研究所 一种鹿角菜人工增殖的方法
KR101127694B1 (ko) * 2011-10-06 2012-03-22 전라남도 해조류 거꾸로 양식방법 및 장치
KR101223232B1 (ko) 2012-04-18 2013-01-17 임봉규 민물 김의 양식방법
KR20130044295A (ko) 2010-07-15 2013-05-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의류 지의체의 대량 생산 방법, 이에 의하여 생산된 지의체를 이용한 생태복원 방법 및 그 생태복원용 조성물
KR101309832B1 (ko) 2011-10-27 2013-09-23 한국원자력연구원 저선량 이온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해조류의 양식방법
KR101348070B1 (ko) * 2013-09-08 2014-01-10 전라남도 그물발 수평면 양식장치를 이용한 해조류 코토니 양식방법
KR101368195B1 (ko) 2012-03-14 2014-03-03 에스엠텍 주식회사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79594B (zh) * 2010-03-15 2011-08-17 山东省海水养殖研究所 一种鹿角菜人工增殖的方法
KR20130044295A (ko) 2010-07-15 2013-05-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의류 지의체의 대량 생산 방법, 이에 의하여 생산된 지의체를 이용한 생태복원 방법 및 그 생태복원용 조성물
KR101127694B1 (ko) * 2011-10-06 2012-03-22 전라남도 해조류 거꾸로 양식방법 및 장치
KR101309832B1 (ko) 2011-10-27 2013-09-23 한국원자력연구원 저선량 이온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해조류의 양식방법
KR101368195B1 (ko) 2012-03-14 2014-03-03 에스엠텍 주식회사 갯녹음 복원용 해조류 착생 블럭 및 해중림 조성방법
KR101223232B1 (ko) 2012-04-18 2013-01-17 임봉규 민물 김의 양식방법
KR101348070B1 (ko) * 2013-09-08 2014-01-10 전라남도 그물발 수평면 양식장치를 이용한 해조류 코토니 양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153B1 (ko)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zerra et al. Cultivation of the red seaweed Gracilaria birdiae (Gracilariales, Rhodophyta) in tropical waters of northeast Brazil
Bos et al. Planting density, hydrodynamic exposure and mussel beds affect survival of transplanted intertidal eelgrass
CN203999152U (zh) 一种由水生动植物立体配置的水体净化系统
JP2007512025A (ja) 海苔及びその他の海藻類を陸上設置型海水槽で養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232345B (zh) 一种大叶藻种子萌发、幼苗培育及海草场恢复方法
CN104351034B (zh) 一种用于海洋生态修复的喜盐草苗种人工培养方法
CN104620969B (zh) 一种羊栖菜快速育种方法
CN102625653A (zh) 用于营养繁育草本植物的方法
Thirumaran et al. Daily growth rate of field farming seaweed Kappaphycus alvarezii (Doty) Doty ex P. Silva in Vellar Estuary
Bast An illustrated review on cultivation and life history of agronomically important seaplants
CN102687695A (zh) 一种大海马种苗人工培育及养殖方法
Aaron-Amper et al. Culture of the tropical brown seaweed Sargassum aquifolium: From hatchery to field out-planting
Hoq et al. Feasibility of seaweed culture in Inani and Bakkhali coast of Cox’s Bazar, Bangladesh
Bokhtiar et al. Yield improvement of Gracilaria tenuistipitata by optimizing different aspects in coast of cox’s bazar, Bangladesh
CN103583360B (zh) 一种定向诱导提高六道木苗木耐盐性的方法
CN108990675B (zh) 一种桐花树扦插繁育的方法
Largo et al. Culture of the brown seaweed Sargassum siliquosum J. Agardh (Phaeophyceae, Ochrophyta): from hatchery to out-planting
CN110810291B (zh) 一种锦绣龙虾与海葡萄混养的养殖方法
KR101725153B1 (ko) 뜸부기의 복원방법
CN105075937A (zh) 一种菲律宾蛤仔白苗海区规模化培育方法
CN111543304B (zh) 一种海草床的修复方法
CN108668869B (zh) 慈姑水培育苗的方法
CN106614182A (zh) 一种青虾和甲鱼混养的养殖方法
JP2012016343A (ja) 褐藻アカモク藻体の養殖方法
Gunalan et al. Comparison of Kappaphycus alvarezii growth at two different places of Saurashtra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