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559B1 -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559B1
KR101025559B1 KR1020090084525A KR20090084525A KR101025559B1 KR 101025559 B1 KR101025559 B1 KR 101025559B1 KR 1020090084525 A KR1020090084525 A KR 1020090084525A KR 20090084525 A KR20090084525 A KR 20090084525A KR 101025559 B1 KR101025559 B1 KR 10102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bed
seaweed
substrate
algae
substr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747A (ko
Inventor
오성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코
Priority to KR102009008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5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 배양조에서 해조류의 포자들을 이식기질에 착생시켜 채묘되어 배양된 이식기질들을 해저 바닥이나 자연 암반에 정착시킬 수 있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황토, 백토, 고령토 및 옹기토(甕器土)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재 65~75중량%와, 물 25~35중량%를 혼합시켜 반죽하여 일정 크기 및 형상으로 성형되는 태토와, 상기 태토가 굳기 전에 그 상면에 뿌려지고 눌려져서 일정 깊이로 박혀서 부착되는 다수의 다공성 암석조각들로 구성된다. 상기 태토와 다공성 암석조각들은 700~1,250℃의 고온가열하의 가마 또는 전기로에서 일체의 몸체로 소성 성형되어 제작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자재는 친환경의 자재이고, 그 성형된 제품은 내구성 소형 경량의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이다. 이 이식기질에 백화현상 발생지역의 특성에 맞는 해조류 종묘들을 채묘하여 해중에 이식하여 정착시켜 성숙한 엽상체로 배양시킴으로써 해중림을 조성하는 방법이다. 이는 콘크리트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해저, 생태, 친환경, 복원, 암반, 백화, 기질, 태토, 다공성, 암석조각, 해조류, 종묘, 포자, 채묘, 이식, 배양, 해중림

Description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Adhesive substrate of marine algae seedling for restoration of marine ecological system and planting method of marine forest}
본 발명은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移植基質)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백화(白化)현상이 발생한 수역에서 해중림(海中林, marine forest)의 조성을 위해 황토, 백토, 고령토 및 옹기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태토(胎土)와, 상기 태토의 상면에 다수의 다공성 암석조각들의 친환경 재질로 일체로 결합되어 소성 성형 제작된 내구성 소형 경량제품의 이식기질들에 해조류의 포자(胞子)들을 착생시켜 채묘한 다음, 해저 암반이나 바닥에 고정하여 정착시킴으로써 친환경의 해중림을 조성하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연안에는 대기온난화, 환경오염과, 방파제 공사 등 연안개발에 따른 대량의 시멘트계 호안블록 사용 및 콘크리트제 어초 대량 투하 등 어떤 요인에 인해서건 기존 연안 해역에 서식하던 엽상형(葉狀形) 해조류인 미역, 다시마, 감태, 모자반 등 토착 해조류(海藻類)들이 사라지고, 시멘트와 같은 석회질로 된 딱딱한 홍조류인 무절석회조류가 대량으로 번식하여 우점하여 암반을 뒤덮는 백화현상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의 황폐화된 해저 수중 생태계의 백화현상을 나타내는 사진 참고)
이 백화현상을 일으키는 무절석회조류는 홍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로서, 발생 초기에는 붉은색 또는 핑크색을 띠나 시간이 경과되어 사멸된 후에는 백색을 띠게 되며, 이는 무절석회조류가 탄산칼슘(CaCO3)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 사멸된 후에는 석회석만 남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무절석회조류가 수명을 다하여 죽으면, 다른 식물처럼 소멸되지 않고, 무절석회조류의 성분인 탄산칼슘이 남아 바위표면을 시멘트처럼 하얗게 덮게 된다. 또한, 상기 무절석회조류는 옆으로 퍼지면서 번식하는 강한 특성과 함께 짧은 시간에 넓은 지역으로 번지는 특성을 갖고 있어 더욱 넓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시멘트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서, 시멘트를 주원료로 하여 제작된 인공어초나 해안 방파제 호안블록 등에서 무절석회조류의 영양분인 탄산칼슘이 지속적으로 녹아나오므로 인해서 무절석회조류의 대량번식으로 백화현상을 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더욱이 해중림 조성초 조차도 대부분 시멘트를 주원료로 제작하므로 무절석 회조류의 영양분을 제공하여 주는 효과를 가지며, 시멘트의 강알칼리성으로 인해 해조 종묘(種苗)가 성장하기에 부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대부분 시멘트를 주원료로 하는 해중림 조성초 표면에는 시간이 흐를수록 엽상형 해조류는 자취를 감추고 무절석회조류만 남게 된다.
이에 따라, 해저의 암반에 고착하는 각상의 홍조류인 무절석회조류가 우점하는 지역에서는 그 지역에서 서식하던 모조로부터 방출된 해조류의 포자들이 상기 무절석회조류에 의해 착생이 저해되어 해조류가 존재할 수 없게 되고, 결국 바다는 사막처럼 황폐해지는 백화현상을 일으킨다.
이러한 백화현상은 우리나라 동해 및 남해안 전 연근해에 걸쳐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해조숲에 의존하여 생활하는 새우, 전복, 소라 등은 자취를 감추고, 포란을 위해 모여들던 어류들도 서식처를 옮기게 되어 어업에도 막대한 피해를 끼치고 있고, 해양 먹이사슬 구조 변화 등 해양 생태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으로 친환경의 인공적 해중림 복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백화현상이 발생된 수역에서 해중림을 복원시키는 방법으로는 콘크리트제 해중림초에 종묘를 이식한 로프를 고정시켜 해저에 투하하여 해조류를 성장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0115438호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72070호로 콘크리트제 해중림초들이 개시된 바, 이 종래의 방법들은 콘크리트제 해중림초(1,1a)에 어린 해조가 붙어있는 로프 조성 부재(2,2a)들을 고 정시켜 배양시킴으로써 해중림을 각각 조성하는 형태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 공개실용신안개공보 공개번호 20-2008-0001792호로 공개된 인공어초 양식용 블록구조체가 알려져 있다.
이 기술도 상기의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육면체 형상의 블록구조체(3)로서, 상기 인공어초 양식용 블록구조체의 외표면으로부터 해조류 포자를 내장한 포자 증식용 밧줄(4)을 일정길이 이격되게 고정시키고, 아울러 일정간격으로 용존 산소가 유통되는 통공(5)이 다수 개 형성되어져 있고, 어류의 구조체 내부 출입을 위한 다수개의 출입공(6)이 형성되어진 인공어초 양식용 블록구조체로서, 상기의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어린 해조가 붙어있는 증식용 밧줄(4)들을 고정시켜 배양시킴으로써 해중림을 조성하는 형태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9439호의 콘크리트제 반톱니형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틀 형태를 이루고 해저 바닥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7)과 일정한 길이부를 갖는 반원통형을 이루고 그 볼록한 부분이 위쪽을 향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7) 상에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8)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터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상부 프레임(8)의 외면에는 길이부를 따라 연장된 톱니형 요철(9)이 상부 프레임(8)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다공성 콘크리트로 제작됨으로써, 황폐화된 연안 바다에 투하되어 어류의 위집 및 번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해중림의 조성 형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첫째, 콘크리트제 해중림초가 시멘트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시멘트에서 녹아나오는 탄산칼슘이 오히려 무절석회조류의 번식을 유발하여 주변 수역에 백화현상을 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탄산칼슘의 강한 알칼리(pH 12.5) 성분으로 인해, 주변에 이제 겨우 착생한 어린 해조류(미역, 다시마 pH 10)들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둘째, 종묘이식 로프는 대부분 해양에서 부식이 되지 않는 화학섬유 로프를 사용하므로 누군가 훗날 제거해 주지 않는 한 환경오염원으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콘크리트제 해중림초에 부착된 로프에만 해조류가 성장하고 시멘트로 성형된 콘크리트의 몸체에는 거의 해조류가 부착되지 않으므로 단위면적당 해조류의 수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또한, 콘크리트제 해중림초 제작, 운반, 투하에는 들어가는 비용 대비 단위면적당 해조류 수를 감안하면 그 비용은 과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콘크리트제 해중림초에 의한 해중림 조성은 육상에서 거푸집 제작, 콘크리트 타설, 양생, 크레인 상차, 육상운반, 크레인 선적, 해상운반, 로프부착, 투하, 위치조정 작업 등 다양한 작업과정을 거쳐야만 완성되는 작업으로 공정이 너무 복잡하고, 대형의 크기로 제작되어 바다 속에 투하되는 형태로써, 해양 날씨 조건이나 공정간 연결 작업 부조화 등으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해조류는 원래 암반에 서식하는 생물로서, 해중림 복원은 원래의 암반에 다시 원래의 해조류가 자랄 수 있도록 환경을 복원하여 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콘크리트제 해중림초는 원래 해조류가 부착하여 살던 부착기질이 아니며, 콘크리트가 해양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철저한 연구 없이 콘크리트제 해중림초를 다량 해중에 투하되는 것은 재고해 볼 가치가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바다 수중 속에 해조류 및 어족자원이 풍부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중림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하여 생태계를 복원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을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조류가 착생되는 태토 및 다공성 암석조각들이 친환경 자재의 재질로 소성 성형되어 일체의 몸체로 제작됨으로써, 해조류 서식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토 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다공성 암석조각들이 부정형으로 태토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해조류 포자들의 착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식기질을 구성하는 재료의 확보가 용이하여 대량생산과, 소형 크기의 내구성 경량제품으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반, 고정설치 등 취급이 용이하고, 해저 암반에의 설치작업 과정도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잠수부들에 의한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의 휴대가 용이하고, 또한 해조류 간의 경쟁 고려와, 해저 바닥의 지형조건에 따라 적합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이식기질들을 설치할 수 있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석회조류의 번식을 유발하고 해조류의 성장을 저해하는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시멘트계 콘크리트제 해중림 조성 인공어초보다 저비용으로 경제성 있는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전에 그 지역의 지역특성에 적합한 해조류의 포자들을 이식기질들에 채묘시켜 배양한 다음, 해저의 바닥 또는 암반에 정착시켜 해조류가 자랄 수 있도록 해 줄 뿐만 아니라, 날씨 등 기상조건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토, 백토, 고령토 및 옹기토(甕器土)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재 65~75중량%와, 물 25~35중량%를 혼합시켜 반죽하여 일정 크기 및 형상으로 성형되는 태토와, 상기 태토가 굳기 전에 그 상면에 뿌려지고 눌려져서 일정 깊이로 박혀서 부착되는 다수의 다공성 암석조각들로 구성되어, 상기 태토와 다공성 암석조각들이 700~1,250℃의 고온가열하의 가마 또는 전기로에서 일체의 몸체로 소성 성형되어 제작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태토의 형상은 판 형상으로서, 일정 두께의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형 또는 별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판 형상의 태토의 평면 중심에 일정크기의 나사결합구멍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판 형상 태토의 평면 중심에 형성된 나사결합구멍과 일치되는 관통구멍이 중앙에 형성된 철재 보강판이 상기 태토의 몸체 내부에 매설되도록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판 형상의 태토의 두께는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태토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서, 그 단면지름이 20~6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태토의 형상이 원추형의 입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원추형 태토의 높이는 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다공성 암석조각들은 입도 크기가 8~12㎜이고, 공극이 5~30㎛ 부정형의 마사, 화산석,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및 질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을 이용한 해중림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먼저 해조류의 성숙된 엽상체들을 채집한 후, 상온 서늘한 곳에서 건조시키는 엽상체들의 채취 및 건조 단계; 상기 채취 건조된 엽상체들을 육상 배양조 내에 채워진 해수 속에서 흔들어서 포자들을 방출 유도하는 단계; 상기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의 태토의 상측에 돌출 부착된 다공성 암석조각들에 해조류의 포자들을 부착하여 착생시키는 이식기질들에의 채묘 단계; 상기 이식기질들에 착생된 해조류의 포자들을 배양조 내에서 일정 크기로 배양시키는 단계; 상기 배양된 이식기질들을 수거한 후, 설치예정 지역으로 작업선이 운반한 다음, 배양된 이식기질들과 설치장비를 잠수부들이 휴대 입수하여 해저 바닥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이식기질들을 고정 설치하는 해저 바닥에의 정착단계; 상기 이식기질들을 해저 바닥에 정착시킨 후, 설치지역의 주변부근에서 활동하는 성게, 소라, 전복 및 밤고동 들의 섭식동물들을 제거한 다음, 이식기질들에 착생된 포자들이 성숙한 엽상체들로 배양됨으로써 해중림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친환경적으로 해저 생태계를 복원시키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의 해저 바닥에의 정착단계에서, 잠수부들이 작업선 갑판에 설치된 유압 또는 공압 펌프로부터 유압 또는 공압 라인을 거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드릴로 해저 암반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천공하여 천공홈들을 형성한 후, 이 천공홈들 내부로 암나사부가 내면에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이식기질들에 형성된 나사결합구멍에 나사를 끼워 드라이버로 원통형 슬리브에 고정시켜 해저 바닥의 암반에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의 해저 바닥에의 정착단계에서, 해저 바닥의 암반에 이웃하여 정착되는 이식기질들 간의 설치간격은 10~6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은 상기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의 해저 바닥에의 정착단계 에서, 해저 바닥의 암반 표면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패인홈들에 구멍이 없는 판 형상 태토의 이식기질들을 패인홈들 내로 끼우거나, 사질토로 형성된 해저 바닥에 원추형 태토의 이식기질들을 꽂아 각각 고정시켜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에 의하면, 황토, 백토, 고령토 및 옹기토(甕器土)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재로 구성되는 태토와, 상기 태토에 박혀서 돌출되는 부정형의 마사(磨砂), 화산석,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및 질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공성 암석조각들이 일체의 몸체로 소성 제작됨으로써, 친환경성 재질 자체의 특성에 따라 해양오염을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조류 서식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어 친환경적으로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으므로 해저 생태계의 복원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태토 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다공성 암석조각들이 부정형(不定形)으로 태토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돌출된 다공성 암석조각들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다공성(多孔性) 재질의 표면에 의해 해조류 포자들의 착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아울러 이식기질의 다양한 형상으로 해저 바닥의 지형조건에 적합한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이식기질은 재료확보가 용이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형 크기의 내구성 경량제품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운반, 고정설치 등 취급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설치 운반 등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 해저 바 닥에의 설치작업 과정도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저비용으로 경제성 있게 친환경적으로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전에 그 지역의 지역특성에 적합한 해조류의 포자들을 이식기질들에 채묘시켜 배양한 다음, 해저 암반에 정착시켜 해조류가 자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조류의 종을 그 지역 특성에 맞게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 해중림 조성작업이 잠수부들에 의한 작업형태로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의 휴대가 용이하고, 또한 해조류 간의 경쟁 고려와, 해저 바닥의 지형조건에 따라 적합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이식기질들을 설치할 수 있으며, 날씨 등 기상조건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잠수부들이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을 설치하면서 섭식동물의 구제를 동시에 할 수 있어서 해조류의 성장을 높이고 잔존성을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7a 내지 도 9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은, 황토, 백토, 고령토 및 옹기토(甕器土)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재 65~75중량%와, 물 25~35중량%를 혼합시켜 반죽하여 일정 크기 및 형상으로 성형되는 태토(10) 와, 상기 태토가 굳기 전에 그 상면에 뿌려지고 눌려져서 일정 깊이로 박혀서 부착되는 다수의 다공성 암석조각(20)들로 구성되어, 상기 태토와 다공성 암석조각(20)들이 700~1,250℃의 고온가열하의 가마 또는 전기로에서 일체의 몸체로 소성 성형되어 제작되어진다.
상기 태토(10)는 황토, 백토, 고령토 및 옹기토(甕器土)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재 65~75중량%와, 물 25~35중량%를 혼합시켜 반죽하여 일정 두께 및 크기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태토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다수개의 홈 형태로 유니트화 된 거푸집 틀에 반죽된 혼합물을 펼친 상태에서 한 번에 대량으로 성형시켜 2~7일 정도 건조시킨다.
상기 태토의 혼합시 물 중량이 25중량%미만이면 판 형상으로의 고형화하기가 어렵고, 3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혼합 반죽되어진 혼합물이 판 형상으로 성형하기가 어려우며 건조기간이 증가되는 생산성의 문제가 있으며, 건조기간이 2일미만이면 내부에 수분이 과도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소성시 수축되어 균열이 일어나고, 7일이상이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다공성(多孔性) 암석조각(20)들은 공극이 5~30㎛인 다공질 구조로 된 암석조각들로서, 입도 크기가 8~12㎜인 부정형의 마사, 화산석,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및 질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공성 암석조각(20)들의 원재료를 잘게 부수어, 8㎜ 메쉬의 망으로 걸 러서 8~12㎜크기의 조각들을 수집하고, 상기 태토(10)가 굳기 전에 다공성 암석조각(20)들을 태토 위에 뿌린 후, 일정압력으로 눌러서 일정 깊이, 바람직하기는 1/2정도의 깊이로 박힘으로써, 외면으로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태토의 상면으로부터 4~6㎜정도로 돌출된다.
이렇게 다수의 다공성 암석조각(20)들이 태토 위에 박힌 상태에서 가마 또는 전기로 등에서 초벌 6시간 700~750℃(20중량% 감소), 재벌 10시간 1,200~1,250℃(10%중량 감소) 고온 가열시켜 소성 성형됨으로써 태토(10)와 다공성 암석조각(20)들이 일체로 결합되어 소형 크기의 경량제품인 이식기질(100)로 제작되어진다.
이때, 이식기질(100)의 1개의 중량은 20~80g정도의 내구성 경량 제품으로서 운반, 설치함에 있어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소성시 온도가 700℃이하이면 이식기질의 강도가 약해지며, 1,250℃이상이면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소성 성형의 실효성과 경제성이 없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의 판 형상들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원형판 태토로 형성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의 사시도들로서, 구멍이 없는 원형판 태토(10A)와 구멍이 있는 원형판 태토(10B)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상기 판 형상의 태토(10A)는 평면 중심에 나사결합구멍(11)이 없는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이는 해저 바닥의 암반(R)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패인홈(40)이 있는 경우나 사질토로 이루어진 해저 바닥에 이식기질들을 꽂아 정착되는 형태의 매립형 설치구조이고, 한편 도 7b에 도시된 상기 판 형상의 태토(10B)는 평면 중심에 나사결합구멍(11)이 형성되어 나사(B)를 끼워 암반의 천공홈(30)에 삽입 고정된 원통형 슬리브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이식기질들을 암반 표면에 정착시키는 형태의 암반고정 표면 거치형 설치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천공홈(30)의 깊이는 2~5㎝정도로서, 천공홈(30)이 5㎝이상으로 깊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드릴링의 시간이 더 소요되고, 설치비 등이 증가되어 설치생산성의 문제가 있으며, 2㎝미만으로 얕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해류의 유속에 의하여 이식기질(100)이 뽑혀질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설치 구조는 해저 바닥의 지형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필요로 하는 지점에 다양한 형태의 이식기질(100)들을 설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해저에 조성되는 해중림의 영역을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하여 균형 있게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게 됨을 밝혀 둔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판 형상의 태토로 형성된 여러 실시예, 사각형판 태토(10C), 오각형판 태토(10D) 및 육각형판 태토(10E)들을 나타내는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이식기질의 태토의 판 형상은 그 평면 형태가 삼각형(미도시), 사각형, 마름모형, 오각형, 육각형, 다각형, 원형의 형상 또는 별모양 등의 기타 규칙적인 판 형상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하기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서, 해조류 의 성장 길이 및 뿌리가 활착되는 넓이를 수용하면서, 대량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도록 그 크기는 지름이 20~60㎜ 범위이고, 두께는 5~30㎜, 돌출높이는 1~12㎜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 판 형상의 지름이 20㎜미만이면 암반 정착시 파손되기 쉽고, 60㎜이상이면 휴대하여 취급하기가 불편한 점이 있으며, 상기 판 형상의 태토의 두께가 5㎜미만이면 파손되기 쉽고, 30㎜이상이면 재료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중량이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판 형상의 태토의 평면 중심에 일정크기의 나사결합구멍(11)이 더 구비된다. 이는 나사(B)를 끼워 암반 표면에 이식기질(100)들을 견고하게 정착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태토의 몸체 내부로 매설되도록 판 형상의 평면 중심에 형성된 나사결합구멍(11)과 일치되는 관통구멍(12)이 중앙에 형성된 철재 보강판(13)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는 판 형상 태토의 구조적 강도를 보완해주는 기능을 한다.
즉, 도 1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태토(10B')의 몸체 내부에 관통구멍(12)이 중앙부에 뚫린 철재 보강판(13)을 매설되게 하여 판 형상 태토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다. 이때, 철재 보강판(13)은 그 용융점이 1,535℃로서 이식기질의 소성 성형시 용융되지 않으며, 한편, 태토의 나사결합구멍(11)내 노출되는 부분에서 외부로 철 성분이 배출됨으로써 무기질 영양염류로서 해조류의 영양분이 된다.
이러한 철재 보강판(13)은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 다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태토에도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입방체 형상의 원추형 태토(10F)로 구성되는 이식기질로서, 상단 표면적은 앞서 설명한 판 형상의 크기와 동일하며, 높이는 10~50㎜로서 하단이 첨단부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서, 해저 바닥의 조건이 사질토로 이루어진 경우 상측에서 압력을 가하여 하측 첨단부가 바닥 속으로 박히도록 매설되어 정착됨으로써 해류에 휩쓸려나가기 않게 한다.
이때, 높이가 10㎜미만인 경우에는 해류의 유속에 의해 휩쓸려 뽑힐 염려가 있으며, 50㎜이상이면 중량이 무거워지고 소요되는 자재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해저 바닥의 지반 속으로 매설되어지는 깊이는 원추형 태토(10F)의 이식기질 높이의 1/2정도인 25㎜이상이 적합하며, 그러나 해저 지형조건 및 해류의 유속에 따라 더 깊게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식기질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들을 이용한 해중림을 조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이 암반에 정착되어 해중림을 조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잠수부가 유압 드릴로 암반을 천공하고 유압 드라이버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을 암반에 정착시키는 개념도이다.
1. 해조류의 성숙된 엽상체들의 채취 및 건조 단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작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들에 해조류의 포자들의 채묘를 위해 자연 서식지에서 해조류의 성숙된 엽상체(葉狀體)들을 채집한 다음,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그늘진 곳에서 채집된 엽상체들을 일정시간 건조시킨다. 이때, 엽상체의 포자 주머니가 형성된 부분만을 절취하여 그늘 말리기를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2. 육상 배양조 내에서 포자의 방출 유도단계;
해수를 채운 육상 배양조 내 바닥에 사전 임시 거치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에 포자들을 착생시키기 위해, 상기 건조된 엽상체(葉狀體)들을 해수를 채운 육상 배양조에 넣고 막대로 가볍게 저어 포자들의 방출을 유도한다. 이때 종묘의 종에 따라 수온과 조도는 다양하게 이루어져서 포자의 방출을 유도한다.
3. 이식기질 채묘 단계;
이렇게 포자들이 방출되면 육상 배양조 내에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들 위에 부착된 다공성 암석조각(20)들의 표면에 포자들이 부착되어 착생됨으로써 채묘를 하게 된다.
4. 이식기질에 채묘된 포자 배양단계;
이렇게 채묘된 이식기질들은 육상 배양조 내에서 그 착생된 포자들이 일정 크기에 이를 때까지 영양염을 공급받아 배양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배양과정에서 종묘의 종에 따라 수온과 조도는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5. 이식기질의 해저 바닥에의 정착단계;
상기 배양된 이식기질(100)들을 수거한 후, 작업선(S)을 투입하여 사전 조사된 설치 해상 영역의 가장자리 해수면 상에 부구를 설치하고, 배양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휴대 카트리지(C)와 섭식동물 제거용 휴대 망체(M)들을 잠수부들이 휴대하고 설치 해저 바닥으로 입수한 다음, 선상의 갑판에 설치된 유압(공압)펌프(P)에서 유압(공압)라인(L)을 거쳐 공급되는 유압(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드릴(D)을 사용하여 해저 바닥의 암반(R)의 표면에 다수개의 천공홈(30)들을 형성하고, 이 천공홈(30)들 내부로 암나사부가 내면에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이식기질(100)들을 드라이버(H)로 암반의 천공홈(30)에 삽입 고정된 원통형 슬리브에 나사고정시킴으로써 정착되게 한다.
이때, 해저 바닥의 지형조건 및 특성에 따라 암반, 사질대 등으로 구별하여 배양된 이식기질들을 표면 거치형, 매립형으로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해저 바닥에 표면 거치형(구멍이 있는 것)으로 설치되는 형태로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에 형성된 나사결합구멍(11)에 나사(B)를 끼워 드라이버(H)로 천공홈(30)내로 삽입 고정된 원통형 슬리브에 조여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들을 수중의 해저 바닥 표면에 나사고정하여 정착시킨다.
또,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해저 바닥에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형태로서, 해저 바닥의 지형조건이 자연적으로 암반 사이에 형성된 패인홈(40)들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멍이 없는 판 형상의 태토(10B)로 구성된 이식기질(100)들을 끼우거나, 사질토로 이루어진 해저 바닥에 원추형 태토(10F)로 구성된 이식기질들을 상측에서 압력을 가해 해저 바닥의 지반 내로 매립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태토(10A)의 형상과 동일하게 암반을 파내어 패인홈(40)을 형성하고 그 파여진 패인홈(40)들에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들을 끼워서 매립하여 암반에 정착시킬 수도 있다. 이때 태토(10A)는 나사결합구멍(11)을 갖지 않아도 매립에 의해 정착 고정되므로 결합구멍을 갖지 않는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원추형 태토(10F)로 구성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은 그 일부를 매립하여 고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형태로서, 원추형 태토(10F)의 이식기질(100)은 해저 바닥에 깊이 꽂아서 흙에 매설되는 부분이 깊어지므로 해류의 흐름에 영향 을 덜 받을 수 있다. 기존 암반과 암반 사이의 사질대 지역에 설치함으로써 양측 암반지역을 연결해 주는 해중림의 조성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이식기질(100)들 간의 설치간격은 10~60㎝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밝혀둔다. 이는 성숙한 해조류의 엽상체의 좌우측의 폭과 관련된 것으로서, 10㎝미만이면 간격이 촘촘하게 형성되므로 이식기질들이 더 소요되어 설치비용이 증가되고, 인접 해조류 간에 경쟁이 발생하거나 광합성에 필요한 햇빛 양이 적어지므로 성장속도가 느려 경제성이 낮고, 60㎝이상이면 간격이 넓게 이격되므로 설치면적은 넓어지는 장점은 있으나 해조류의 밀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유압 펌프(P)와 유압 드릴(D) 및 유압 드라이버(H)는 공압 펌프와 공압 드릴 및 공압 드라이버로 대체할 수 있음을 밝혀두며, 이식기질(100)들은 카트리지 형태의 자동 공급장치 내에 다수개의 이식기질(100)들을 수용하여, 기계적인 공급 및 설치 장비를 이용시 설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6. 섭식동물 제거 및 이식기질 배양 해중림의 조성단계;
해저 바닥에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을 부착하여 정착시킨 후, 잠수부들에 의해 설치지역의 주변부근에서 활동하는 해조류의 섭식동물인 성게, 소라, 전복 및 밤고동 들을 구제하여 섭식동물 제거용 휴대 망체(M)내로 제거한 다음, 이식기질(100)들에 착생된 포자들이 성숙한 엽상체들로 배양됨으로써 해중림을 조성하 게 된다.
이때, 섭식동물을 구제함으로써 해양 수중생태 환경의 섭식압을 줄여주어 해조류의 잔존성을 높여주는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의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들을 해저 바닥에 설치하기 위해 잠수부들이 수중에 투입되어 유압 드릴(D)로 해저 바닥의 암반(R)에 천공홈(30)들을 형성하고, 또 다른 잠수부가 유압 드라이버(H)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들을 암반의 천공홈(30)들에 맞추어 나사로 고정해주는 역할을 분담하면 작업성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들을 암반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표면 거치형을 기준으로, 잠수부 1인이 1개소 드릴링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40초가 소요되었으며, 또 다른 잠수부가 나사들로 암반의 표면에 이식기질을 부착하는데는 약 36초가 소요된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기준으로 잠수부 2인이 1일 5시간을 작업하는 조건으로 지름 5㎝, 두께 2㎝인 원판 형상의 태토로 형성된 이식기질들을 암반에 부착하는 작업량은 여유시간을 감안하더라도 1일 약 300개소를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간의 설치 간격, 즉 이식기질의 중심부에서 이웃에 위치하는 이식기질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를 20㎝로 하고, 이를 바둑판 형태로 300개를 설치하였을 경우, 그 넓이는 가로×세로=3.46m×3.46m=11.97㎡ 에 해당되며, 이는 현재 주로 사용되는 해중림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의 상부 단면적보다도 넓을 뿐 아니라, 투자되는 총비용도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은 잠수부 2인이 수작업에 의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을 암반에 부착하는 작업 형태로 설명된 것이나,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이 카트리지 형태의 기계식 공급 장치 내에 다수 개 수용됨과 함께, 동시에 이를 고정시키는 장치가 하나로 이루어진 자동설치 장비를 이용하게 되면 그 설치작업의 생산성은 더욱 크게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중작업을 위한 잠수부가 잠수하는 수심은 대부분의 엽상 해조류의 서식 수심이 10m이하인 점을 감안할 때, 수심 10m까지는 잠수부의 무감압 잠수한계시간이 무한대이므로 잠수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친환경 자재로서 제작되어 내구성의 소형 경량제품으로 취급이 용이함과 아울러, 또한 해중림을 조성하려고 하는 지역의 해저 바닥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또한 지역 특성에 맞는 해조류를 선택하여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경제적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해조류를 이용함에 있어, 식용 뿐만 아니라 어족자원의 서식처 확보를 통한 수산업 및 양식업의 발전과, 또한 새로운 산업 소재로서의 이용을 도모하고, 또한 해조류의 광합성에 의한 이산화탄소 저감효과와,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자원으 로서도 해조류의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해양 생태계를 친환경적으로 복원하여 보존함으로써 자연을 조화와 균형 있게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는 황폐화된 해저 수중 생태계의 백화현상을 나타내는 사진,
도 3a는 종래 콘크리트제 인공어초를 해저로 투하하여 해조류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3b는 종래기술의 콘크리트제 해중림초의 사시도
도 4는 다른 종래기술의 콘크리트제 해중림초의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종래기술의 대형 인공어초의 사시도,
도 6은 또 다른 종래기술의 콘크리트제 톱니형 인공어초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판(구멍이 없는 것) 태토로 형성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판(구멍이 있는 것) 태토로 형성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의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판 형상의 태토로 형성된 여러 실시예(사각형판, 오각형판, 육각형판)들을 나타내는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방체 형상의 원추형 태토로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이 암반에 정착되어 해중림을 조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잠수부가 유압드릴로 암반을 천공하고 유압드라이버 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을 암반에 정착시키는 개념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판의 이식기질을 천공홈에 정착시킨 단면도,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보강판이 매설된 원형판의 이식기질을 천공홈에 정착시킨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암반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패인홈에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을 삽입하여 정착시킨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사질토 바닥에 원추형 태토로 제작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을 꽂아 놓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원형판 태토(구멍 없음) 10B: 원형판 태토(구멍 있음)
10C: 사각형판 태토 10D: 오각형판 태토
10E: 육각형판 태토 10F: 원추형 태토
11: 나사결합구멍 12: 관통구멍
13: 철재 보강판 20: 다공성 암석조각
30: 천공홈(암반 드릴링) 40: 패인홈(자연 형성)
100: 이식기질 S: 작업선
P: 유압(공압)펌프 L: 유압(공압)라인
D: 드릴 H: 드라이버
C: 이식기질 휴대 카트리지 B: 나사
M: 섭식동물 제거용 휴대 망체 R: 해저 바닥의 암반

Claims (13)

  1. 황토, 백토, 고령토 및 옹기토(甕器土)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재 65~75중량%와, 물 25~35중량%를 혼합시켜 반죽하여 일정 크기 및 형상으로 성형되는 태토와,
    상기 태토가 굳기 전에 그 상면에 뿌려지고 눌려져서 일정 깊이로 박혀서 부착되는 다수의 다공성 암석조각들로 구성되어,
    상기 태토와 다공성 암석조각들이 700~1,250℃의 고온가열하의 가마 또는 전기로에서 일체의 몸체로 소성 성형되어 제작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토의 형상은 판 형상으로서, 일정 두께의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형 또는 별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의 태토의 평면 중심에 일정크기의 나사결합구멍(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태토의 평면 중심에 형성된 나사결합구멍(11) 과 일치되는 관통구멍(12)이 중앙에 형성된 철재 보강판(13)이 상기 태토의 몸체 내부에 매설되도록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의 태토의 두께는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토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서, 그 단면지름이 20~6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토의 형상이 원추형의 입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태토(10F)의 높이는 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암석조각들은 입도 크기가 8~12㎜이고, 공극이 5~30㎛인 부정형의 마사, 화산석,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및 질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
  10. 해조류의 성숙된 엽상체들을 채집한 후, 상온 서늘한 곳에서 건조시키는 엽상체들의 채취 및 건조 단계;
    상기 채취 건조된 엽상체들을 육상 배양조 내에 채워진 해수 속에서 흔들어서 포자들을 방출 유도하는 단계;
    상기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100)의 태토의 상측에 돌출 부착된 다공성 암석조각들에 해조류의 포자들을 부착하여 착생시키는 이식기질들에의 채묘 단계;
    상기 이식기질(100)들에 착생된 해조류의 포자들을 배양조 내에서 일정 크기로 배양시키는 단계;
    상기 배양된 이식기질(100)들을 수거한 후, 설치예정 지역으로 작업선이 운반한 다음, 배양된 이식기질들과 설치장비를 잠수부들이 휴대 입수하여 해저 바닥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이식기질들을 고정 설치하는 해저 바닥에의 정착단계;
    상기 이식기질들을 해저 바닥에 정착시킨 후, 설치지역의 주변부근에서 활동하는 성게, 소라, 전복 및 밤고동 들의 섭식동물들을 제거한 다음, 이식기질(100)들에 착생된 포자들이 성숙한 엽상체들로 배양됨으로써 해중림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친환경적으로 해저 생태계를 복원시키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의 해저 바닥에의 정착 단계에서, 잠수부들이 작업선 갑판에 설치된 유압 또는 공압 펌프로부터 유압 또는 공압 라인을 거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드릴로 해저 암반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천공하여 천공홈(30)들을 형성한 후, 이 천공홈(30)들 내부로 암나사부가 내면에 형성된 원통형 슬리브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이식기질(100)들에 형성된 나사결합구멍(11)에 나사(B)를 끼워 드라이버로 원통형 슬리브에 고정시켜 해저 바닥의 암반에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의 해저 바닥에의 정착단계에서, 해저 바닥의 암반에 이웃하여 정착되는 이식기질(100)들 간의 설치간격은 10~6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의 해저 바닥에의 정착단계에서, 해저 바닥의 암반 표면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패인홈(40)들에 구멍이 없는 판 형상 태토(10A)의 이식기질(100)들을 패인홈(40)들 내로 끼우거나, 사질토로 형성된 해저 바닥에 원추형 태토(10F)의 이식기질(100)들을 꽂아 각각 고정시켜 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생태계 복원용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20090084525A 2009-09-08 2009-09-08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102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525A KR101025559B1 (ko) 2009-09-08 2009-09-08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525A KR101025559B1 (ko) 2009-09-08 2009-09-08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747A KR20110026747A (ko) 2011-03-16
KR101025559B1 true KR101025559B1 (ko) 2011-03-30

Family

ID=4393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525A KR101025559B1 (ko) 2009-09-08 2009-09-08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294B1 (ko) * 2020-05-06 2020-11-30 손민호 친환경 해조류 이식 구조물 세트 및 이식 방법
KR20230014283A (ko) * 2021-07-21 2023-01-30 한국수산자원공단 해조류 이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25B1 (ko) * 2016-05-09 2018-08-09 민병억 해조류 이식용 세라믹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57022B1 (ko) * 2017-06-09 2019-03-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모자반류 접합자를 자연석인 현무암에 부착 및 생장시켜 바다숲을 조성하는 신규 바다숲 조성방법
JP6948192B2 (ja) * 2017-09-07 2021-10-13 岡部株式会社 海洋生物用着生基質ユニット及び人工海洋構造物
KR102147723B1 (ko) * 2020-04-07 2020-08-25 주식회사 오셔너트코리아 바다숲 조성을 위한 종사줄 고정용 임팩트 렌치 연결구
KR102321180B1 (ko) * 2021-04-23 2021-11-03 에스비비 주식회사 해조류 재배용 친환경 다공성 모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판을 이용한 바다숲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715Y1 (ko) 2005-07-26 2005-10-27 김준식 인공어초용 블럭 및 인공어초
KR200428239Y1 (ko) 2006-05-30 2006-10-11 영진종합건설 주식회사 자연석을 사용한 친환경 수중구조물
KR100647843B1 (ko) 2005-11-14 2006-11-23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해조류의 인공종묘의 인공어초 이식을 통한 해중림조성방법
KR200442751Y1 (ko) 2008-05-07 2008-12-05 주식회사 해중 결합식 바다숲 조성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715Y1 (ko) 2005-07-26 2005-10-27 김준식 인공어초용 블럭 및 인공어초
KR100647843B1 (ko) 2005-11-14 2006-11-23 부민종합건설 주식회사 해조류의 인공종묘의 인공어초 이식을 통한 해중림조성방법
KR200428239Y1 (ko) 2006-05-30 2006-10-11 영진종합건설 주식회사 자연석을 사용한 친환경 수중구조물
KR200442751Y1 (ko) 2008-05-07 2008-12-05 주식회사 해중 결합식 바다숲 조성용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294B1 (ko) * 2020-05-06 2020-11-30 손민호 친환경 해조류 이식 구조물 세트 및 이식 방법
KR20230014283A (ko) * 2021-07-21 2023-01-30 한국수산자원공단 해조류 이식방법
KR102650908B1 (ko) 2021-07-21 2024-03-26 한국수산자원공단 해조류 이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747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559B1 (ko) 해저 생태계 복원을 위한 해조류 종묘 부착 이식기질과 그것들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KR100994533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바다 숲 조성방법
KR100994531B1 (ko) 어초 블록용 세라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태 복원용 어초 블록
CN102783404A (zh) 一种马尾藻增殖与移植方法
KR20130085267A (ko) 해중림 조성을 위한 해조류 이식방법
CN101982069A (zh) 集成化海底森林的营造方法
JP5527653B2 (ja) サンゴ移植方法、サンゴ移植基盤、サンゴ移植ブロック、並びにサンゴ礁造成方法
KR200195063Y1 (ko) 종묘부착형 인공해조초
JP3654487B2 (ja) 海藻群落造成法
KR101543202B1 (ko) 내파성 잘피 이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잘피 이식방법
KR102241454B1 (ko) 친환경 해조류 이식 장치 및 방법
KR102273480B1 (ko) 해중림 복원 또는 조성용 해조류 이식용 구조물
KR101080239B1 (ko) 해조류이식체 및 상기 해조류이식체를 이용한 바다숲조성방법
KR102487938B1 (ko)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KR102487941B1 (ko) 해조류 이식용 고정장치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CN215836569U (zh) 一种带种植基床的树型鱼礁装置
JP2004236560A (ja) 藻場造成に使用する藻草育成エンチョーネット
JP2001198593A (ja) 植生箱及び該植生箱を使用した水辺地の浄化方法
KR100797938B1 (ko) 사다리꼴 주형 해중림초 구조물
CN201571405U (zh) 网包式海珍品增殖礁
JP2000197426A (ja) 海藻群落形成体および海藻礁
KR200448974Y1 (ko) 인공어초용 영양블럭 고정장치
KR100841394B1 (ko) 육각 주형 해중림초 구조물
KR200387110Y1 (ko) 인공해조초
JP2004121195A (ja) 海藻類の人工増殖具及び人工増殖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