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193B1 - 부품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조립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9193B1 KR102479193B1 KR1020180048421A KR20180048421A KR102479193B1 KR 102479193 B1 KR102479193 B1 KR 102479193B1 KR 1020180048421 A KR1020180048421 A KR 1020180048421A KR 20180048421 A KR20180048421 A KR 20180048421A KR 102479193 B1 KR102479193 B1 KR 1024791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component
- pitch
- receiving member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2—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orientating th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제1 부품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와, 복수의 제2 부품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를 사용하고,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한 제2 부품을 제1 부품에 조립하는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 조립 후에 제2 부품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 수단)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제1 부품(12)을 유지한 제1 캐리어(13)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2 캐리어(16)에 유지된 제2 부품(14)을 압하 부재와 함께 협지하고, 협지한 상태에서 압하 부재에 눌려 하강하는 받이 부재(20)를 설치한다. 그리고 하강한 받이 부재(20)를 제1 캐리어(13)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유지하고, 부품 조립 종료 후 제1 캐리어(13) 및 제2 캐리어(16)가 이송되면 받이 부재(20)의 유지를 해제하고, 받이 부재(20)를 상승시키는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을 설치한다.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은 받이 부재(20)의 상승을 저지하는 상승 저지 바(22) 등으로 구성한다.
복수의 제1 부품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와, 복수의 제2 부품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를 사용하고,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한 제2 부품을 제1 부품에 조립하는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 조립 후에 제2 부품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 수단)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제1 부품(12)을 유지한 제1 캐리어(13)의 하방에 배치되어, 제2 캐리어(16)에 유지된 제2 부품(14)을 압하 부재와 함께 협지하고, 협지한 상태에서 압하 부재에 눌려 하강하는 받이 부재(20)를 설치한다. 그리고 하강한 받이 부재(20)를 제1 캐리어(13)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유지하고, 부품 조립 종료 후 제1 캐리어(13) 및 제2 캐리어(16)가 이송되면 받이 부재(20)의 유지를 해제하고, 받이 부재(20)를 상승시키는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을 설치한다.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은 받이 부재(20)의 상승을 저지하는 상승 저지 바(22) 등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품 조립 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부품에 대하여 다른 부품을 조립하여 일체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부품이나 기계 부품 등의 부품을 제조할 때, 하나의 부품에 대하여 다른 부품을 스웨이징 등에 의해 조립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그러한 부품 조립을 행하는 장치로서, 종래, 하나의 부품(이하, 제1 부품이라고 한다)을 반송 장치에 의해 소정의 부품 조립 위치에 순차적으로 반송하는 한편, 다른 부품(이하, 제2 부품이라고 한다)을 1개씩 로봇 핸드 등의 핸들링 수단에 의해 파지하여, 부품 조립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제1 부품에 누르고, 양 부품을 조립하도록 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한 종류의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파츠 피더에 의해 순차적으로 부품 공급 위치에 이송되어온 제2 부품을 핸들링 수단에 의해 파지하고나서 그것을 제1 부품에 눌러 조립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이 1회의 부품 조립의 소요 시간이 된다. 그러나 상기 핸들링 수단은 부품 공급 위치와 부품 조립 위치 사이를 고정밀도로 이동하는 것이 요구되며, 또 제2 부품을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하거나 하는 정밀한 동작이 요구되므로, 그 동작 속도에는 자연스럽게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핸들링 수단을 사용하는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조립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어, 조립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게 되고 있다.
한편,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부품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하는 캐리어를 사용하는 부품 조립 장치도 공지로 되어 있다. 이 부품 조립 장치는 복수의 제1 부품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제1 캐리어에 유지시킴과 아울러, 복수의 제2 부품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제2 캐리어에 유지시키고, 그들 양 캐리어를 소정의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서로 상하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다음, 제2 부품을 제1 부품을 향하여 밀어넣고, 그 밀어넣는 도중에 제2 부품을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제2 부품을 제1 부품에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캐리어를 사용하는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 제2 부품을 제1 부품을 향하여 밀어넣는 수단으로서는 일반적인 프레스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고속 동작 가능한 상형 구동 기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종류의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핸들링 수단을 사용하는 부품 조립 장치와 비교하면, 조립 처리 능력을 현저하게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캐리어를 사용하는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인정된다. 이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캐리어로부터 분리되는 쪽의 부품(상기 설명에서는 제2 부품)을 다른 부품(상기 설명에서는 제1 부품)을 향하여 밀어넣을 때, 통상 제2 부품을 상하로부터 협지한 상태에서 밀어넣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협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협지를 탄력적으로 행하는 것이 요망된다. 즉, 제2 부품을 위로부터 하방의 제1 부품을 향하여 밀어넣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2 부품을 위로부터 눌러내리는 부재에 대하여, 제2 부품을 아래로부터 받아들이는 받이 부재는 축장(縮裝) 스프링 등에 의해 상향으로 부세(付勢)해 두는 것이 요망된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제2 부품을 위로부터 눌러내리는 압하 부재는 양 부품을 조립한 후, 제2 부품으로부터 위로 떨어져, 눌러내리기를 개시하는 위치까지 되돌아간다.
이 경우, 받이 부재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세되어 있으면, 압하 부재가 제2 부품으로부터 위로 떨어졌을 때 부세되어 있는 받이 부재가 받아들이고 있는 제2 부품을 위로 밀어올려버린다. 그러면 애써 제1 부품에 조립된 제2 부품이 제1 부품으로부터 빠지거나, 빠지지 않는다고 해도 정규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거나 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서술한 캐리어를 사용하는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 조립 후의 제2 부품이 제1 부품으로부터 빠지거나, 또는 정규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부품 조립 장치는
복수의 제1 부품을 소정의 제1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의 상방에, 복수의 제2 부품을 소정의 제2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를 배치하고,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를 각각의 부품 배열 방향으로 피치 이송하면서, 제2 캐리어로부터 제2 부품을 분리하여 제1 캐리어의 제1 부품에 조립하는 부품 조립 장치로서,
제1 캐리어를 제1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제1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제2 캐리어를 제2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제2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2 반송 수단과,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제2 캐리어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강하여 부품 조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부품을 눌러내려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제1 캐리어의 제1 부품에 위로부터 눌러 이 제1 부품에 조립하고, 조립 종료 후 제1 캐리어의 상방 위치까지 상승하는 압하 부재와,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제1 캐리어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승 하강 가능하며 또한 상방으로 부세된, 이 부세에 의해 상승하여 압하 부재와 함께 제2 부품을 협지하고, 협지한 상태에서 압하 부재의 하강에 의해 이 압하 부재에 눌려 하강하는 받이 부재와,
하강한 받이 부재를 제1 캐리어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유지하고, 조립 종료 후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가 1피치 이송된 후에 유지를 해제하고, 받이 부재를 부세에 의해 상승시키는 받이 부재 유지 수단
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부품 조립 장치는 보다 구체적인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1 부품을 소정의 제1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와,
복수의 제2 부품을 소정의 제2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와,
제1 캐리어를 제1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제1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제2 캐리어를 제2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제2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2 반송 수단과,
소정의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제1 부품의 상방에 제2 부품이 존재하고, 또한 상기 피치 이송이 정지했을 때 이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이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면 내에서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가 되도록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를 안내하는 캐리어 안내 수단과,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제2 부품과 제1 부품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하강하는 제2 부품을 제2 캐리어로부터 절단하는 다이와,
상승 하강 가능하며 또한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부세력(付勢力)이 부여되고, 이 부세력에 의해,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제2 부품을 아래로부터 받아들이는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는 받이 부재와,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제2 부품보다 위의 초기 위치로부터 하강을 개시하여, 받이 부재와의 사이에 끼운 제2 부품을 상기 부세력에 저항하면서 하방으로 눌러내리고, 눌러내린 이 제2 부품을 상기 다이에 의해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이 제2 부품을 더욱 눌러내려 제1 부품에 조립하고, 그 후에 제2 부품으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 초기 위치까지 되돌아가는 압하 부재와,
제1 부품에 맞붙는 위치까지 하강한 제2 부품에 아래로부터 접하고 있는 받이 부재에 작용하여, 이 받이 부재의 상기 부세력에 의한 상승을 저지하는 상승 저지 수단과,
상승 저지 수단에 의해 받이 부재의 상승이 저지되어 있는 동안에 제1 캐리어를 피치 이송하도록 제1 반송 수단을 제어하고, 압하 부재가 제2 캐리어보다 상방까지 상승한 후에 제2 캐리어를 피치 이송하도록 제2 반송 수단을 제어하는 반송 수단 제어부와,
상승 저지 수단과 함께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을 구성하고, 제1 캐리어의 피치 이송이 종료한 후, 상승 저지 수단에 의한 받이 부재의 상승 저지를 해제시키는 상승 저지 해제 수단
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상」 및 「하」는 연직 방향에 대한 상과 하를 의미할 뿐만아니라, 연직 방향에 대하여 90° 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에 대한 상과 하여도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서로 근접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 양 부품이 그대로 맞붙게 되는 상대 위치 관계를 의미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승 저지 수단에 관한 「제2 부품에 아래로부터 접하고 있는 받이 부재에 작용」이라는 기재에 있어서의 작용은 그것에 의해 상승 저지 수단이 받이 부재의 상승 저지를 실현할 수 있는 모든 작용을 가리키는 것이며, 대표적인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기계적인 작용이나 전자적인 작용 등을 들 수 있다. 이 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의 하강 저지 수단의 「작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 「반송 수단 제어부」는 특별히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송 수단의 동작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나,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것 등을 적당히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송 수단으로서 상기 서술한 프레스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상형 구동 기구와 연동하는 수단이 사용되는 것 같은 경우는 그 연동의 타이밍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반송 수단으로서 모터 등의 전기적 수단을 구동원으로 하는 수단이 사용되는 경우는 그 전기적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제1 캐리어가 일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된 것이며,
받이 부재가 상기 관통 구멍을 아래로부터 위로 통과하여 제2 부품을 아래로부터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일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었다」는 것은 제1 캐리어 그 자체의 일부에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물론, 이 제1 캐리어에 유지된 제1 부품의 일부에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상승 저지 수단이 받이 부재의 일부에 형성된 상향의 면에 상방으로부터 맞닿는 하향의 면을 가지고, 상기 맞닿음에 의해 받이 부재의 상승을 저지하는 맞닿음 위치와, 이 맞닿음이 벗어나는 맞닿음 외 위치 사이에서 횡이동하는 부재로 구성되고,
상승 저지 해제 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승 저지 수단과 간섭하고, 이 간섭에 의해 이 상승 저지 수단을 맞닿음 위치로부터 맞닿음 외 위치로 횡이동시키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는 상기 서술한 하나의 부품 조립 장치와 대비하면, 제2 부품의 누름 방향을 상하 반대로 하는 구성이 적용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는
복수의 제1 부품을 소정의 제1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의 하방에, 복수의 제2 부품을 소정의 제2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를 배치하고,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를 각각의 부품 배열 방향으로 피치 이송하면서, 제2 캐리어로부터 제2 부품을 분리하여 제1 캐리어의 제1 부품에 조립하는 부품 조립 장치로서,
제1 캐리어를 제1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제1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제2 캐리어를 제2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제2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2 반송 수단과,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제2 캐리어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승하여 부품 조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부품을 밀어올려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제1 캐리어의 제1 부품에 아래로부터 밀어 이 제1 부품에 조립하고, 조립 종료 후 제1 캐리어의 하방 위치까지 하강하는 압상 부재와,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제1 캐리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승 하강 가능하며 또한 하방으로 부세된, 이 부세에 의해 하강하여 압상 부재와 함께 제2 부품을 협지하고, 협지한 상태에서 압상 부재의 상승에 의해 이 압상 부재에 밀려 상승하는 받이 부재와,
상승한 받이 부재를 제1 캐리어보다 위의 위치에서 유지하고, 조립 종료 후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가 1피치 이송된 후에 유지를 해제하고, 받이 부재를 부세에 의해 하강시키는 받이 부재 유지 수단
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는 보다 구체적인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1 부품을 소정의 제1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와,
복수의 제2 부품을 소정의 제2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와,
제1 캐리어를 제1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제1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제2 캐리어를 제2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제2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2 반송 수단과,
소정의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제1 부품의 하방에 제2 부품이 존재하고, 또한 피치 이송이 정지했을 때 이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이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면 내에서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가 되도록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를 안내하는 캐리어 안내 수단과,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제2 부품과 제1 부품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상승하는 제2 부품을 제2 캐리어로부터 절단하는 다이와,
상승 하강 가능하며 또한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는 부세력이 부여되고, 이 부세력에 의해,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제2 부품을 위로부터 받아들이는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는 받이 부재와,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제2 부품보다 아래의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을 개시하여, 받이 부재와의 사이에 끼운 제2 부품을 부세력에 저항하면서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밀어올린 이 제2 부품을 다이에 의해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이 제2 부품을 더욱 밀어올려 제1 부품에 조립하고, 그 후에 제2 부품으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져 초기 위치까지 되돌아가는 압상 부재와,
제1 부품에 맞붙는 위치까지 상승한 제2 부품에 위로부터 접하고 있는 받이 부재에 작용하여, 이 받이 부재의 부세력에 의한 하강을 저지하는 하강 저지 수단과,
하강 저지 수단에 의해 받이 부재의 하강이 저지되어 있는 동안에 제1 캐리어를 피치 이송하도록 제1 반송 수단을 제어하고, 압상 부재가 제2 캐리어보다 하방까지 하강한 후에 제2 캐리어를 피치 이송하도록 제2 반송 수단을 제어하는 반송 수단 제어부와,
하강 저지 수단과 함께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을 구성하고, 제1 캐리어의 피치 이송이 종료한 후, 하강 저지 수단에 의한 받이 부재의 하강 저지를 해제시키는 하강 저지 해제 수단
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제1 캐리어가 일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된 것이며,
받이 부재가 상기 관통 구멍을 위로부터 아래로 통과하여 제2 부품을 위로부터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하강 저지 수단이 받이 부재의 일부에 형성된 하향의 면에 하방으로부터 맞닿는 상향의 면을 가지고, 맞닿음에 의해 받이 부재의 하강을 저지하는 맞닿음 위치와, 이 맞닿음이 벗어나는 맞닿음 외 위치 사이에서 횡이동하는 부재로 구성되고,
하강 저지 해제 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강 저지 수단과 간섭하고, 이 간섭에 의해 이 하강 저지 수단을 맞닿음 위치로부터 맞닿음 외 위치로 횡이동시키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압상 부재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뻗는 축의 둘레를 회동하는 회동 부재로서, 받이 부재를 하강시키는 하향의 힘을 일단부에서 받아 회동하고, 이 회동에 의해 타단부를 상승시키는 회동 부재와,
상기 일단부 상에 배치되어, 받이 부재를 하강시키는 수단으로부터 하향의 힘을 일단부에 전하는 상하동 부재와,
상기 타단부 상에 배치되어, 이 타단부의 상승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압상 작동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하강한 받이 부재를 제1 캐리어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유지하고, 조립 종료 후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가 1피치 이송된 후에 유지를 해제하고, 받이 부재를 부세에 의해 상승시키는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 종료 후에 압하 부재가 제2 부품으로부터 위로 떨어져도 받이 부재가 부세에 의해 상승해버리지 않는다. 그래서 제2 부품을 아래로부터 받고 있던 받이 부재가 조립 후의 제2 부품을 밀어올려버리는 일이 없어지므로, 이 제2 부품이 제1 부품으로부터 빠지거나, 또는 정규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는 상승한 받이 부재를 제1 캐리어보다 위의 위치에서 유지하고, 조립 종료 후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가 1피치 이송된 후에 유지를 해제하고, 받이 부재를 부세에 의해 하강시키는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 종료 후에 압상 부재가 제2 부품으로부터 아래로 떨어져도 받이 부재가 부세에 의해 하강해버리지 않는다. 그래서 제2 부품을 위로부터 받고 있던 받이 부재가 조립 후의 제2 부품을 눌러내려버리는 일이 없어지므로, 이 제2 부품이 제1 부품으로부터 빠지거나, 또는 정규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하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하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상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부품 조립 장치가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부품 조립 장치가 더욱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4의 부품 조립 장치가 더욱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상기 부품 조립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상기 부품 조립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상기 부품 조립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하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상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의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부품 조립 장치가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도 14의 부품 조립 장치가 더욱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도 14의 부품 조립 장치가 더욱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하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상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부품 조립 장치가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부품 조립 장치가 더욱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4의 부품 조립 장치가 더욱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상기 부품 조립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상기 부품 조립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상기 부품 조립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하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상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에 있어서의 제1 캐리어와 제2 캐리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부품 조립 장치가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도 14의 부품 조립 장치가 더욱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도 14의 부품 조립 장치가 더욱 상이한 동작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실시형태의 부품 조립 장치(1)를 구성하는 하형(10)의 사시 형상 및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부품 조립 장치(1)를 구성하는 상형(50)을 하측으로부터 본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도 7은 이 부품 조립 장치(1)가 각각 상이한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이 부품 조립 장치(1)의 일부가 각각 상이한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하형(10) 및 상형(50)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프레스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것이 적용 가능하다.
우선 도 1, 2 및 4를 참조하여 하형(10)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형(10)은 예를 들면 공장의 바닥 등의 재치면(30) 상에 재치된다. 하형(10)은 도 1 중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제1 캐리어 통로(11)를 가지고 있다. 이 제1 캐리어 통로(11)에는 복수의 제1 부품(12)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13)가 삽입통과된다. 제1 캐리어(13)는 제1 부품(12)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관통 구멍(K)이 있는 상태로 하여, 각 제1 부품(12)을 예를 들면 가는 2개소에서 유지하고 있다. 부품(12)은 예를 들면 전기 부품 등이며, 이 제1 부품(1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제2 부품(14)이 조립된다. 제1 부품(12)에 제2 부품(14)이 조립된 후, 제1 캐리어(13)의 상기 가는 2개소가 절단됨으로써, 제1 부품(12)은 제1 캐리어(13)로부터 분리되어 개별의 부품이 된다.
하형(10)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위를 향하여 개방된 오목홈 형상의 제2 캐리어 통로(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캐리어 통로(15)에는 복수의 제2 부품(14)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16)가 배치된다. 제2 부품(14)은 일례로서 상기 제1 부품(12)을 덮는 커버 형상의 부품이다. 이 제2 부품(14)은 제2 캐리어(1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여 이 제2 캐리어(16)에 유지되어 있다. 하형(10)의 상면에서 상기 제2 캐리어 통로(15)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개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17)는 제1 캐리어(13)에 유지되어 있는 제1 부품(12) 상까지 제2 부품(14)을 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캐리어 통로(15) 및 제1 캐리어 통로(11)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캐리어 안내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하형(1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상형(5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오목부와 짝이 되는 볼록부가 설치되어도 되는데, 도 1에서는 그러한 종류의 볼록부는 생략하고 있다. 또 제2 캐리어 통로(15)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오목홈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캐리어 통로(11)와 마찬가지로 터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단 그 경우는 터널의 상벽에 후술하는 압하 부재(54)가 제2 부품(14)의 상면까지 이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도 1에 명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캐리어(13)는 제2 캐리어(16)보다 연직 방향(화살표 V방향)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캐리어(13)는 도시하지 않는 제1 반송 수단에 의해 그 길이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제1 부품(12)의 유지 피치(제1 피치)(P1)와 동일한 길이씩 피치 이송된다. 그것에 의해 각 제1 부품(12)은 제1 피치(P1)씩 화살표 a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는 정지하게 된다. 또 제2 캐리어(16)도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는 제2 반송 수단에 의해 그 길이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제2 부품(14)의 유지 피치(제2 피치)(P2)와 동일한 길이씩 피치 이송된다. 그것에 의해 각 제2 부품(14)은 제2 피치(P2)씩 화살표 b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는 정지하게 된다. 또한 제1 캐리어(13) 및 제2 캐리어(16)를 피치 이송시키는 반송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프레스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상형의 구동 장치와 연동하는 수단 등이 적용 가능하다.
제1 캐리어(13)와 제2 캐리어(16)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정지했을 때, 각각이 유지하고 있는 제1 부품(12)과 제2 부품(14)은 상기 개구(17)를 끼우고 수평면 내에서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를 유지하여 정합한다. 이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는 그 위치 그대로 제2 부품(14)이 바로 아래를 향하여 눌려내려지면 제1 부품(12)에 조립되게 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하형(10)의 내부에는 개구(17)의 하방에 있어서 1쌍의 받이 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받이 부재(20)는 일례로서 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제1 캐리어(13)의 피치 이송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상태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각 받이 부재(20)는 예를 들면 하형(10)의 내부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뻗는 홈 내에 수용되어,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받이 부재(20)에는 예를 들면 축장 스프링(21)에 의해 상향의 부세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하형(10)의 내부에는 상기 받이 부재(20)의 각각의 외측에 있어서 화살표 b방향으로 뻗는 1쌍의 상승 저지 바(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승 저지 바(2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승 저지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들 1쌍의 상승 저지 바(22)는 서로 접근, 이간하는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는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형(10)의 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각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에는 예를 들면 스프링 유지부(23) 내에 유지된 축장 스프링(24)이 접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1쌍의 상승 저지 바(22)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 및 스프링 유지부(23)를 일방의 상승 저지 바(22)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형(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형(50)은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프레스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의 상형 본체(51)와, 이 상형 본체(51) 아래에 연결된 피착부(52)로 구성되어 있다. 상형 본체(51)는 도시하지 않는 상형 구동 수단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착부(52)는 상형 본체(51)에 고정된 안내 로드(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피착부(52)는 축장 스프링(53)에 의해 상형 본체(51)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부세되어 있다. 상형 본체(51)는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상형 구동 수단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상사점의 위치로부터 하사점까지 하강하고, 하사점에 이르면 상승으로 전환하여, 상사점까지 상승한다는 동작을 반복한다.
상형 본체(51)에는 제2 부품(14)을 눌러내리기 위한 1쌍의 압하 부재(54)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 압하 부재(54)는 피착부(52)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된 부재 통과 구멍(52a) 내를 통과하여, 피착부(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형 본체(51)에는 상승 저지 해제 수단으로서의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가 4개 고정되어 있다. 이들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는 상형 본체(51)의 2개의 측외면에 있어서 각각 2개씩 고정되어 있다. 각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는 그 선단부(55a)가 상기 서술한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와 접촉 가능하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뻗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다.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는 상승 저지 바(22)와 함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을 구성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을 가지는 부품 조립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 4~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도 7은 이 부품 조립 장치(1)에 의해 제2 부품(14)이 제1 부품(12)에 조립되는 모습을 시간에 따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도 4~도 7에서는 상형 본체(51)의 1개의 측면에 2개씩 배열설치되는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 중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의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만을 도시하고, 우측의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는 생략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받이 부재(20) 및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도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의 것만을 도시하고 있다.
부품 조립이 개시될 때, 부품 조립 장치(1)는 도 4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상형(50)의 상형 본체(51)는 최상 위치 즉 상사점에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제1 캐리어(13)는 면 A 상을, 그리고 제2 캐리어(16)는 면 B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도 4에 있어서는 받이 부재(20)의 상하 방향 위치를 명확화하기 위해서, 이 받이 부재(20)에 해칭을 붙이고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받이 부재(20) 및 그 주변의 구조를 도 10에 확대하여 나타낸다. 여기서 제1 캐리어(13), 제2 캐리어(16)를 반송할 때는 각각 면 A, B 상으로부터 약간 띄운 상태로 하고나서 반송하고, 반송이 종료한 후에 각각 면 A, B 상으로 되돌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면 A와 면 B의 높이의 차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례로서 5mm~8mm정도로 되어 있다.
도 10에 명시되는 바와 같이 받이 부재(20)에는 상승 저지 바(22)의 길이 방향 중앙부 쪽을 향하는 상면(20a)을 가지는 볼록부(20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승 저지 바(22)의 길이 방향(도 2 중의 화살표 b방향) 중앙부에는 하면(22c)을 가지는 걸어맞춤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만약 상승 저지 바(22)가 도 10 중에서 더욱 우측 즉 더욱 받이 부재(20)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는 걸어맞춤부(22b)의 하면(22c)이 상기 볼록부(20b)의 상면(20a)에 맞닿으므로, 받이 부재(20)는 도 4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상승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도 5~도 7에 있어서는 모두 그렇게 하여 받이 부재(20)의 상승이 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맞닿음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상승 저지 바(22)의 횡방향 즉 수평 방향의 위치를 「맞닿음 위치」라고 한다. 또 상기 맞닿음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의 상승 저지 바(22)의 횡방향 즉 수평 방향의 위치를 「맞닿음 외 위치」라고 한다.
그러나 도 4의 상태일 때는 상형(50)이 최상 위치에 있고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도 최상 위치에 있으며,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의 선단부(55a)가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를 가장 외측 즉 도 10에서 가장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것에 의해 상승 저지 바(22) 전체도 가장 외측의 위치 즉 맞닿음 외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맞닿음이 불가능하게 되고 있다. 그래서 받이 부재(20)의 상승 저지는 해제되고, 받이 부재(20)는 도 4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위치까지 상승하는 받이 부재(20)는 제1 캐리어(13)에 설치된 관통 구멍(K)을 아래로부터 위로 통과한다. 이와 같은 관통 구멍(K)은 제1 캐리어(13)에 유지되는 제1 부품(12) 중에 형성되어도 된다. 그러한 경우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캐리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고 정의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상태하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이미 제1 캐리어(13) 및 제2 캐리어(16)의 1피치 이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이 상태하에서는 이미 제1 부품(12)과 제2 부품(14)이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에 있다. 그래서 이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형(50)의 상형 본체(51)가 최하 위치 즉 하사점까지 하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형 본체(51)가 최하 위치까지 이동할 때, 1개의 제2 부품(14)이 제2 캐리어(16)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제2 부품(14)이 제1 캐리어(13)에 유지되어 있는 제1 부품(12)에 조립된다. 이하, 이 조립까지의 각 공정을 도 8 및 도 9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의 상태로부터 상형 본체(51)가 하강하면, 이 상형 본체(51)에 유지되어 있는 압하 부재(54)의 하면이 제2 부품(14)의 상면에 접하여, 제2 부품(14)의 눌러내리기를 개시한다. 이 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이 부재(20)의 상면은 B면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있으므로, 제2 부품(14)의 눌러내리기가 개시되면, 제2 부품(14)은 즉시 압하 부재(54)의 하면과 받이 부재(20)의 상면에 협지된다. 그리고 받이 부재(20)는 축장 스프링(21)에 의해 상향의 부세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제2 부품(14)의 협지는 탄력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압하 부재(54) 및 받이 부재(20)가 제2 부품(14)을 협지한 후에 약간 하강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캐리어(16)에 다이(60)가 아래로부터 접한다. 그래서 그대로 제2 부품(14)이 압하 부재(54)에 의해 눌려내려지면, 다이(60)에 의해 제2 부품(14)이 제2 캐리어(16)로부터 분리된다. 이 다이(60)는 상기 서술한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제2 부품(14)과 제1 부품(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서는 이 분리가 이루어지는 부분을 제2 캐리어(16) 중에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분리가 이루어지는 제2 캐리어(16)의 부분은 이 제2 캐리어(16)의 전체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거나 또는 가늘게 형성해두어,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또 다이(60)는 절단부가 되는 그 상면이 제2 캐리어(16)가 실리는 하형(10)의 상면과 정합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도 되고, 또는 그 높이 위치보다 약간 아래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2 부품(14)이 분리되고나서 더욱 압하 부재(54) 및 받이 부재(20)가 하강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되어 있는 제2 부품(14)이 제1 부품(12)에 눌려, 이 제1 부품(12)에 조립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조립은 제2 부품(14)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14a)가 탄성 변형하면서 제1 부품(12)을 위로부터 아래로 타넘고, 그 후, 제1 부품(12)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걸어맞춰짐으로써 이루어진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걸어맞춤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조립 구조 예를 들면 스웨이징이나 탄력적인 협지 등에 의해 이루어져도 상관없다. 또한 압하 부재(54)의 하강은 정확히 도 9에 나타내는 상하 방향 위치까지 이른 곳에서 종료해도 되고, 또는 그 보다 더욱 매우 짧은 거리만큼 아래의 위치까지 이른 곳에서 종료해도 된다. 그 하강이 종료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하 부재(54)는 상승으로 전환되는데, 상기한 어느 경우에도 압하 부재(54)와 상방으로 부세되어 있는 받이 부재(20)에 의해 제2 부품(14)이 탄력적으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도 9의 상태 즉 제2 부품(14)이 제1 부품(12)에 조립된 상태가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받이 부재(20)의 상승이 저지된다.
또한 도 4의 상태로부터 상형 본체(51)가 하강하면, 이 상형 본체(51)에 유지되어 있는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도 함께 하강한다.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가 약간의 길이 하강하면, 그 선단부(55a)가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진다. 그러면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는 축장 스프링(24)의 부세력에 의해 내측으로(도 4, 도 10에 나타내는 선단부(22a)이면 도면 중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상승 저지 바(22) 전체도 마찬가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승 저지 바(22)가 이동하면,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승 저지 바(22)의 걸어맞춤부(22b)가 받이 부재(20)의 볼록부(20b)와 서로 간섭하는 위치에 온다. 즉 상승 저지 바(22)는 받이 부재(20)의 상승을 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온다. 그 후 더욱 상형 본체(51)가 하강하면, 그것과 함께 하강하는 받이 부재(20)의 볼록부(20b)는 상승 저지 바(22)의 걸어맞춤부(22b)에 상방으로부터 간섭한다. 그러나 볼록부(20b)의 하면(20c)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볼록부(20b)는 동 도면 중 오른쪽으로 부세되어 있는 걸어맞춤부(22b)를 왼쪽으로 밀면서 이 걸어맞춤부(22b)를 원활하게 타넘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2 부품(14)이 제1 부품(12)에 조립되었을 때, 상형 본체(51)는 최하 위치 즉 하사점에 있다. 도 5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일 때, 피착부(52)는 축장 스프링(53)의 부세력에 저항하면서 상형 본체(5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형 본체(51)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하에서는 일례로서 피착부(52) 및 하형(10)의 서로 마주 보는 면에 설치된 오목부와 볼록부가 짝이 되어, 피착부(52)와 하형(10)의 수평면 내의 상대 위치가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상태하에서는 상방으로 부세되어 있는 받이 부재(20)의 볼록부(20b)의 상면(20a)(도 10 참조)이 상승 저지 바(22)의 걸어맞춤부(22b)의 하면(22c)에 맞닿는다. 그것에 의해 받이 부재(20)의 상승이 저지된다.
도 5의 상태가 되면, 이어서 상형 본체(51)는 최상 위치 즉 상사점을 향하여 상승한다. 도 6은 이 상형 본체(51)의 상승이 조금 이루어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형 본체(51)가 상승하면, 그것에 따라 압하 부재(54)도 상승하고, 그 때까지 누르고 있던 제2 부품(14)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압하 부재(54)가 제2 부품(14)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져도, 상승 저지 바(22)에 의해 받이 부재(20)의 상승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제2 부품(14)이 아래로부터 받이 부재(20)에 밀어올려지는 일은 없다. 그래서 제1 부품(12)에 조립되어 있는 제2 부품(14)이 제1 부품(12)으로부터 빠지거나, 또는 빠지지 않는다고 해도 부정한 위치로 움직여버리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이 도 5의 상태하에서는 상승이 저지되어 있는 받이 부재(20)는 제1 캐리어(13)의 관통 구멍(K)(도 1 참조)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이 관통 구멍(K) 내에 들어가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캐리어(13)의 피치 이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압하 부재(54)도 제2 부품(14)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제2 캐리어(16)의 피치 이송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적당한 타이밍에 제1 캐리어(13) 및 제2 캐리어(16)가 1회 피치 이송된다. 이들 피치 이송은 동시에 이루어져도 되고, 또는 서로 조금씩 시간 간격을 두고 이루어져도 된다.
단, 제1 캐리어(13)의 피치 이송은 받이 부재(20)의 상승이 저지되어 있는 동안의 타이밍에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제2 캐리어(16)의 피치 이송은 압하 부재(54)가 제2 캐리어(16)보다 상방으로 상승한 후의 타이밍에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타이밍에 제1 캐리어(13), 제2 캐리어(16)의 각 피치 이송을 하기 위해서는 양 캐리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의 구동을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면 된다. 그러한 제어부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프레스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상형의 구동 장치와 연동하는 수단이 반송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는 상기 연동의 타이밍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압하 부재(54)의 상하동과 기계적으로 연동하지 않는, 예를 들면 모터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수단에 의해 반송 수단이 구성되는 경우는 압하 부재(54)나 받이 부재(20)의 상하 방향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적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상태로부터 더욱 상형 본체(51)의 상승이 속행되면, 상형 본체(51)가 상사점에 도달하기 조금 전에 도 7의 상태가 된다. 이 도 7의 상태에서는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의 선단부(55a)가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에 아래로부터 접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조금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의 선단부(55a)와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의 관계가 도 4에 있어서의 관계와 동일하게 된다. 즉 그 시점에서 상승 저지 바(22)에 의한 받이 부재(20)의 상승 저지가 해제된다. 따라서 제1 캐리어(13)의 피치 이송의 타이밍은 그 시점보다 앞인 것이 필요하다.
단, 압하 부재(54)와 받이 부재(20)에 의한 제2 부품(14)의 협지 높이 위치에 따라서는 받이 부재(20)가 최상 위치에 이른 상태에서 제1 캐리어(13)와 간섭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는 제1 캐리어(13)의 피치 이송의 타이밍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한정할 필요는 없다.
도 7의 상태로부터 상형 본체(51)가 더욱 상승하여 최상 위치 즉 상사점에 이르면, 도 4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래서 도 4의 상태로부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1 부품(12)에 대한 제2 부품(14)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상의 조작이 반복됨으로써 이 부품 조립이 차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의 상태로부터 도 4의 상태로 이행할 때는 도 10에 나타내는 상승 저지 해제 로드(55)의 선단부(55a)의 상면(55d)이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의 하면(22d)을 아래로부터 위로 타넘는다. 도 10 중에서 선단부(22a)를 오른쪽으로 미는 축장 스프링(24)(도 2 및 4 참조)의 부세력은 상기 타넘는 것에 대하여 저항이 된다. 그러나 상기 선단부(55a)의 상면(55d) 및 선단부(22a)의 하면(22d)은 도시와 같이 모따기되어 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타넘는 것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5의 상태로 이행할 때도 상기 사면의 작용에 의해 상승 저지 바(22)의 선단부(22a)의 안쪽(도 10 중에서 오른쪽)으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캐리어(13)의 반송 방향과 제2 캐리어(16)의 반송 방향이 평면시 상태로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 반송 방향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캐리어(13)와 제2 캐리어(16)를 서로 평행하며 상하로 떨어지도록 배치하여, 그들의 반송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하거나, 서로 역방향으로 설정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1개의 캐리어에 유지한 부품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캐리어에 각각 유지한 부품을 조립하도록 해도 된다. 그렇게 하는 경우에도 어느 2개의 부품의 조립용의 구성에 착안했을 때, 본 발명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그 구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캐리어의 반송 방향 및 수에 관한 것은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도 11~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부품 조립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 11~도 18에 있어서, 도 1~도 10에 나타낸 것과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있고, 그들에 대해서는 특별히 필요가 없는 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부품 조립 장치(100)를 구성하는 하형(10)을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부품 조립 장치(100)를 구성하는 상형(50)을 하측으로부터 본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이 부품 조립 장치(100)가 사용하는 제1 캐리어(13)와 제2 캐리어(16)의 평면시에서의 상대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4~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부품 조립 장치(100)가 각각 상이한 상태에 있는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우선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여 하형(10)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형(10)은 도 11 및 도 14 중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는 제1 캐리어 통로(11)를 가지고 있다. 제1 캐리어 통로(11)는 도 1에 나타낸 제2 캐리어 통로(15)와 같이 위를 향하여 개방된 오목홈 형상의 통로여도 되고, 또는 도 1에 나타낸 제1 캐리어 통로(11)와 같이 터널 형상의 통로여도 된다. 터널 형상의 통로로 되어 있는 경우는 터널의 상벽에 후술하는 받이 부재(20)가 제1 부품(12)의 상면까지 이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이 제1 캐리어 통로(11)에는 복수의 제1 부품(12)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13)가 배치된다. 제1 부품(12)은 일례로서 개략 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부품이다. 제1 캐리어(13)는 각 제1 부품(12)을 예를 들면 가는 2개소(도 11 중에서 제1 부품(12)의 상하에 있는 부분)에서 유지하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 제1 캐리어(13) 및 제1 부품(12)은 하형(10)에 대한 상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다른 부재와의 상하 관계에 대해서는 무시하고 있다. 이것은 이하에 서술하는 제2 캐리어(16) 및 제2 부품(1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부품(12)은 중앙부에 둥근 관통 구멍(K)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제1 부품(12)에 관통 구멍(K)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제1 부품(12)을 유지하고 있는 「제1 캐리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고 정의한다. 이 제1 부품(1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제2 부품(14)이 조립된다. 제1 부품(12)에 제2 부품(14)이 조립된 후, 제1 캐리어(13)의 상기 가는 2개소가 절단됨으로써, 제1 부품(12)은 제1 캐리어(13)로부터 분리되어 개별의 부품이 된다.
하형(10)의 제1 캐리어 통로(11)보다 아래의 위치에는 터널 형상의 제2 캐리어 통로(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캐리어 통로(15)에는 복수의 제2 부품(14)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16)가 배치된다. 제2 부품(14)은 일례로서 상기 제1 부품(12)을 덮는 커버 형상의 부품이며, 개략 원형의 외형을 가진다. 이 제2 부품(14)은 예를 들면 가는 2개소(도 11 중에서 제2 부품(14)의 좌우에 있는 부분)에서 제2 캐리어(16)에 유지되고, 이 가는 개소에서 제2 캐리어(1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캐리어(13)는 도시하지 않는 제1 반송 수단에 의해 그 길이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제1 부품(12)의 유지 피치(제1 피치)(P1)와 동일한 길이씩 피치 이송된다. 그것에 의해 각 제1 부품(12)은 제1 피치(P1)씩 화살표 a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는 정지하게 된다. 또 제2 캐리어(16)도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는 제2 반송 수단에 의해 그 길이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제2 부품(14)의 유지 피치(제2 피치)(P2)와 동일한 길이씩 피치 이송된다. 그것에 의해 각 제2 부품(14)은 제2 피치(P2)씩 화살표 b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고는 정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캐리어(13) 및 제2 캐리어(16)를 피치 이송시키는 반송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프레스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상형의 구동 장치와 연동하는 수단 등이 적용 가능하다.
제1 캐리어(13)와 제2 캐리어(16)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정지했을 때, 각각이 유지하고 있는 제1 부품(12)과 제2 부품(14)은 수평면 내에서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를 유지하여 정합한다. 이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는 그 위치 그대로 제2 부품(14)이 바로 위를 향하여 밀어올려지면 제1 부품(12)에 조립되게 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하형(10)에는 예를 들면 원기둥 핀 형상으로 되어 있는 하측 상하동 부재(102)와, 시소형의 회동 부재(103)와, 대략 수평 방향으로 뻗는 축(104)과, 압상 작동부(154)가 수용되어 있다. 하측 상하동 부재(102)는 후술하는 상형(50)에 설치된 상측 상하동 부재(101)와, 연직 방향으로 동일 축으로 가지런히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동 부재(103)는 상기 축(104)의 둘레를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측 상하동 부재(102)는 회동 부재(103)의 일단부 상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압상 작동부(154)는 회동 부재(103)의 타단부 상에 배열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하측 상하동 부재(102)가 하향으로 이동하면, 회동 부재(103)의 일단부에 그 하향의 힘이 전달된다. 그러면 회동 부재(103)는 도 14 중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타단부가 상승하므로, 압상 작동부(154)가 상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상측 상하동 부재(101), 하측 상하동 부재(102), 회동 부재(103), 축(104) 및 압상 작동부(15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압상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하형(10)에는 하강 저지 해제 수단으로서의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가 2개 고정되어 있다. 각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는 상방을 향하는 선단부(155a)가 후술하는 하강 저지 바(122)의 선단부(122a)와 접촉 가능하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뻗도록 배열설치되어 있다.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는 하강 저지 바(122)와 함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의 선단부(155a)는 도 14에 있어서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의 상하 방향 중앙 부근의 폭이 좁은 부분보다 위의 폭이 넓게 되어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형(5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형(50)은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프레스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의 상형 본체(51)와, 이 상형 본체(51)의 아래에 연결된 피착부(52)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형 본체(51) 및 피착부(52)는 각각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상형 본체(51)의 내부에는 일례로서 선단부(하단부)가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는 받이 부재(20)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받이 부재(20)는 예를 들면 상형 본체(51) 및 피착부(52)의 내부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뻗는 홈 내에 수용되어,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받이 부재(20)에는 예를 들면 축장 스프링(21)에 의해 하향의 부세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 상형 본체(51)에는 상기 서술한 상측 상하동 부재(101)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 상측 상하동 부재(101)는 피착부(52)의 내부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뻗는 홈 내에 수용되어, 피착부(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형(50)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 피착부(52)의 내부에는 하강 저지 바(1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하강 저지 바(12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강 저지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하강 저지 바(122)의 2개의 선단부(122a)는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형(50)의 측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선단부(122a)에는 예를 들면 스프링 유지부(23) 내에 유지된 축장 스프링(24)이 접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하강 저지 바(122)는 받이 부재(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구성을 가지는 부품 조립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4~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도 17은 이 부품 조립 장치(100)에 의해 제2 부품(14)이 제1 부품(12)에 조립되는 모습을 시간에 따라 나타내고 있다. 부품 조립이 개시될 때, 부품 조립 장치(100)는 도 14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상형(50)의 상형 본체(51)는 최상 위치 즉 상사점에 있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제1 캐리어(13)는 면 A 상을, 그리고 제2 캐리어(16)는 면 B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도 14에 있어서는 받이 부재(20)의 상하 방향 위치를 명확화하기 위해서, 받이 부재(20)에 해칭을 붙이고 있다.
여기서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받이 부재(20) 및 그 주변의 구조를 도 18에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18에 명시되는 바와 같이 받이 부재(20)에는 하강 저지 바(122)의 길이 방향(도 18의 지면에 직각인 방향) 중앙부 쪽을 향하는 부분에 하면(20m)을 가지는 단차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강 저지 바(122)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상면(122p)을 가지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만약 상기 하면(20m)이 상기 상면(122p)보다 위에 위치할 때까지 받이 부재(20)가 상승한 후, 하강 저지 바(122)가 도 18 중에서 더욱 우측 즉 더욱 받이 부재(20)에 가까운 위치에 온 경우는 받이 부재(20)의 하강이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저지된다. 즉, 상기 하면(20m)이 상면(122p)에 위로부터 맞닿으면 받이 부재(20)는 그 이상 하강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는 그렇게 하여 받이 부재(20)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맞닿음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하강 저지 바(122)의 횡방향 즉 수평 방향의 위치를 「맞닿음 위치」라고 한다. 또 상기 맞닿음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의 하강 저지 바(122)의 횡방향 위치를 「맞닿음 외 위치」라고 한다.
도 14의 상태일 때는 상형(50)이 최상 위치에 있고,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는 상형(50)에 대한 상대 위치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다. 이 상태하에서는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의 선단부(155a)가 하강 저지 바(122)의 선단부(122a)를 가장 외측 즉 도 14 및 도 18에서 가장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것에 의해 하강 저지 바(122) 전체도 가장 외측의 위치 즉 맞닿음 외 위치까지 이동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하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이미 제1 캐리어(13) 및 제2 캐리어(16)의 1피치 이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이 상태하에서는 이미 제1 부품(12)과 제2 부품(14)이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에 있다.
도 14의 상태로부터 이어서 상형 본체(51) 및 피착부(52)가 일체적으로 하여 하강된다. 그것에 의해 상측 상하동 부재(101)도 하강하여, 하형(10)의 하측 상하동 부재(102)에 근접해간다. 그리고 상측 상하동 부재(101)가 하측 상하동 부재(102)에 접하기 조금 전에 하강 저지 바(122)의 선단부(122a)가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의 선단부(155a)를 하방으로 타넘는다. 그것에 의해 하강 저지 바(122)는 축장 스프링(24)으로부터 도 14 중에서 우방향의 부세력을 받고, 받이 부재(20)에 압접하는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상형 본체(51) 및 피착부(52)가 하강되면, 받이 부재(20)가 제2 부품(14)(도 11 참조)의 상면에 접하고, 그것과 대략 동시에 상측 상하동 부재(101)가 하측 상하동 부재(102)에 접한다. 또한 받이 부재(20)는 제1 부품(12)에 설치된 관통 구멍(K)을 위로부터 아래로 통과하여, 제2 부품(14)에 접하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로부터 더욱 상형 본체(51) 및 피착부(52)가 하강되면, 우선 피착부(52)가 하형(10)에 접하여 정지하고, 이어서 상형 본체(51)가 피착부(52)에 접할 때까지 이 피착부(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한다. 이 때 상형 본체(51)가 하강하는 힘은 상측 상하동 부재(101) 및 하측 상하동 부재(102)를 통하여 회동 부재(103)의 일단부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하여 회동 부재(103)의 일단부에 하향의 힘이 작용하면, 회동 부재는 축(104)의 둘레를 회동하여, 그 타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는 압상 작동부(154)에 상향의 힘을 가한다. 그래서 제2 캐리어(16)에 유지되어 있는 제2 부품(14)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위로부터 접하고 있는 받이 부재(20)와 이 압상 작동부(154)에 의해 협지되면서 상방으로 밀어올려진다. 또한 받이 부재(20)에는 축장 스프링(21)에 의해 하향의 부세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제2 부품(14)의 협지는 탄력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협지된 제2 부품(14)이 압상 작동부(154)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면, 제2 부품(14)을 유지하고 있던 제2 캐리어(16)의 가는 2개소(도 11 및 도 13 참조)가 절단되어, 제2 부품(14)은 제2 캐리어(16)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상기 가는 2개소의 절단은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다이(60)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강한 상형 본체(51)가 최하 위치에 도달하여 피착부(52)를 하형(10)에 접촉시키고, 그리고 상형 본체(51) 자신도 피착부(52)에 접한 시점의 부품 조립 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시점에서는 B면 상에 존재하고 있던 제2 부품(14)이 받이 부재(20)와 압상 작동부(154)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A면 근방의 높이 위치까지 밀어올려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밀어올려진 제2 부품(14)은 A면 상의 제1 캐리어(13)에 유지되어 있는 제1 부품(12)에 조립된다. 이 조립도 상기 서술한 스웨이징 등의 적당한 수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이 제2 부품(14)의 밀어올리기에 따라, 받이 부재(20)가 축장 스프링(21)의 부세력에 저항하면서 상승한다. 받이 부재(20)가 그 하면(20m)이 하강 저지 바(122)의 상면(122p)보다 위에 위치하는 곳까지 상승하면(도 18 참조), 축장 스프링(24)에 의해 받이 부재(20)측으로 부세되어 있던 하강 저지 바(122)는 그 상면(122p)이 받이 부재(20)의 하면(20m)과 접하도록 횡이동한다. 하강 저지 바(122)가 이와 같이 횡이동하면, 받이 부재(20)의 하강이 하강 저지 바(122)에 의해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받이 부재(20)의 하강이 저지되어 있으면, 제2 부품(14)을 위로부터 받이 부재(20)가 치는 일은 없다. 그래서 제1 부품(12)에 조립되어 있는 제2 부품(14)이 제1 부품(12)으로부터 빠지거나, 빠지지 않는다고 해도 부정한 위치로 움직여버리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형 본체(51)는 도 15에 나타내는 최하 위치에 도달하면, 그곳으로부터 상승으로 전환한다. 도 16은 상형 본체(51)가 상승하여, 하강 저지 바(122)의 선단부(122a)가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의 선단부(155a)와 서로 간섭하기 직전의 상태가 된 바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6의 상태하에서는 피착부(52)의 하면이 A면보다 예를 들면 9mm정도 위로 떨어진다. 또 도 16의 상태하에서는 압상 작동부(154)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B면 상에 있는 제2 캐리어(16)에 유지되어 있는 제2 부품(14)으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도 16의 상태가 되면, A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캐리어(13) 및 B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캐리어(16)를 피치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 캐리어가 1회 피치 이송된다.
또한 제1 캐리어(13) 및 제2 캐리어(16)의 피치 이송은 도 16의 상태가 되는 것 보다 전에 이루어져도 된다. 즉, 받이 부재(20)가 A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캐리어(13)로부터 위로 떨어졌다면, 제1 캐리어(13)의 피치 이송을 행할 수 있다. 또 압상 작동부(154)가 B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캐리어(16)로부터 아래로 떨어졌다면, 제2 캐리어(16)의 피치 이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상 작동부(154)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자중으로 하강하도록 하는 것 외에 스프링 등의 부세 수단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형 본체(51)는 도 16의 상태로부터 더욱 도 14에 나타낸 최상 위치에 이를 때까지 상승된다. 도 17은 상형 본체(51)가 그 최상 위치에 이르는 도중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7의 상태에 있어서는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의 선단부(155a)가 하강 저지 바(122)의 선단부(122a)를 도면 중에서 왼쪽으로 이동시켜, 도 14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하고 있다. 즉 이 상태하에서는 하강 저지 바(122)에 의한 받이 부재(20)의 하강 저지는 해제된다. 이 도 17의 상태로부터 상형 본체(51)가 더욱 상승하여 최상 위치에 이르면, 앞서 설명한 도 14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 16의 상태로부터 도 17의 상태로 이행할 때, 하강 저지 바(122)의 선단부(122a)는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의 선단부(155a)의 하측으로부터 상승하여 이 선단부(155a)에 올라타고, 그것에 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면 중에서 왼쪽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의 선단부(155a)에는 사면(155q)이 형성되고, 하강 저지 바(122)의 선단부(122a)에는 사면(122q)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올라타는 것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도 14의 상태로부터 도 15의 상태로 이행할 때는 하강 저지 해제 로드(155)의 선단부(155a)에 올라타고 있는 하강 저지 바(122)의 선단부(122a)가 이 선단부(155a)의 하측으로 와서 올라탄 상태로부터 벗어나는데, 그 때의 선단부(122a)의 동작도 상기 양 사면(155q 및 122q)의 작용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이상 설명한 동작이 반복되어, 제1 캐리어(13)에 유지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부품(12)의 각각에 대하여 제2 부품(14)이 1개씩 순차적으로 조립된다.
1…부품 조립 장치
10…하형
11…제1 캐리어 통로
12…제1 부품
13…제1 캐리어
14…제2 부품
15…제2 캐리어 통로
16…제2 캐리어
17…개구
20…받이 부재
22…상승 저지 바
22a…상승 저지 바의 선단부
50…상형
51…상형 본체
52…피착부
54…압하 부재
55…상승 저지 해제 로드
55a…상승 저지 해제 로드의 선단부
60…다이
100…부품 조립 장치
101…상측 상하동 부재
102…하측 상하동 부재
103…회동 부재
122…하강 저지 바
122a…하강 저지 바의 선단부
154…압상 작동부
155…하강 저지 해제 로드
155a…하강 저지 해제 로드의 선단부
10…하형
11…제1 캐리어 통로
12…제1 부품
13…제1 캐리어
14…제2 부품
15…제2 캐리어 통로
16…제2 캐리어
17…개구
20…받이 부재
22…상승 저지 바
22a…상승 저지 바의 선단부
50…상형
51…상형 본체
52…피착부
54…압하 부재
55…상승 저지 해제 로드
55a…상승 저지 해제 로드의 선단부
60…다이
100…부품 조립 장치
101…상측 상하동 부재
102…하측 상하동 부재
103…회동 부재
122…하강 저지 바
122a…하강 저지 바의 선단부
154…압상 작동부
155…하강 저지 해제 로드
155a…하강 저지 해제 로드의 선단부
Claims (10)
- 복수의 제1 부품을 소정의 제1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의 상방에, 복수의 제2 부품을 소정의 제2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를 배치하고, 상기 제1 캐리어와 상기 제2 캐리어를 각각의 부품 배열 방향으로 피치 이송하면서, 상기 제2 캐리어로부터 상기 제2 부품을 분리하여 상기 제1 캐리어의 제1 부품에 조립하는 부품 조립 장치로서,
상기 제1 캐리어를 상기 제1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상기 제2 캐리어를 상기 제2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제2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2 반송 수단과,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강하여 상기 부품 조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부품을 눌러내려 상기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캐리어의 제1 부품에 위로부터 눌러 이 제1 부품에 조립하고, 조립 종료 후 상기 제1 캐리어의 상방 위치까지 상승하는 압하 부재와,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승 하강 가능하며 또한 상방으로 부세된, 이 부세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압하 부재와 함께 상기 제2 부품을 협지하고, 협지한 상태에서 상기 압하 부재의 하강에 의해 이 압하 부재에 눌려 하강하는 받이 부재와,
상기 하강한 받이 부재를 상기 제1 캐리어보다 아래의 위치에서 유지하고, 상기 조립 종료 후 상기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가 1피치 이송된 후에 상기 유지를 해제하고, 상기 받이 부재를 상기 부세에 의해 상승시키는 받이 부재 유지 수단
을 가지는 부품 조립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부품에 제2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 장치로서,
복수의 제1 부품을 소정의 제1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와,
복수의 제2 부품을 소정의 제2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와,
상기 제1 캐리어를 상기 제1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상기 제2 캐리어를 상기 제2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제2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2 반송 수단과,
소정의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의 상방에 상기 제2 부품이 존재하고, 또한 상기 피치 이송이 정지했을 때 이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이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면 내에서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가 되도록 상기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를 안내하는 캐리어 안내 수단과,
상기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부품과 상기 제1 부품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하강하는 제2 부품을 상기 제2 캐리어로부터 절단하는 다이와,
상승 하강 가능하며 또한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는 부세력이 부여되고, 이 부세력에 의해, 상기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부품을 아래로부터 받아들이는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는 받이 부재와,
상기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부품보다 위의 초기 위치로부터 하강을 개시하여, 상기 받이 부재와의 사이에 끼운 상기 제2 부품을 상기 부세력에 저항하면서 하방으로 눌러내리고, 눌러내린 이 제2 부품을 상기 다이에 의해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이 제2 부품을 더욱 눌러내려 상기 제1 부품에 조립하고, 그 후에 제2 부품으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 상기 초기 위치까지 되돌아가는 압하 부재와,
상기 제1 부품에 맞붙는 위치까지 하강한 상기 제2 부품에 아래로부터 접하고 있는 상기 받이 부재에 작용하여, 이 받이 부재의 상기 부세력에 의한 상승을 저지하는 상승 저지 수단과,
상기 상승 저지 수단에 의해 상기 받이 부재의 상승이 저지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제1 캐리어를 피치 이송하도록 제1 반송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압하 부재가 상기 제2 캐리어보다 상방까지 상승한 후에 상기 제2 캐리어를 피치 이송하도록 제2 반송 수단을 제어하는 반송 수단 제어부와,
상기 상승 저지 수단과 함께 상기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캐리어의 피치 이송이 종료한 후, 상기 상승 저지 수단에 의한 상기 받이 부재의 상승 저지를 해제시키는 상승 저지 해제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가 일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된 것이며,
상기 받이 부재가 상기 관통 구멍을 아래로부터 위로 통과하여 상기 제2 부품을 아래로부터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 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저지 수단이 상기 받이 부재의 일부에 형성된 상향의 면에 상방으로부터 맞닿는 하향의 면을 가지고, 상기 맞닿음에 의해 받이 부재의 상승을 저지하는 맞닿음 위치와, 이 맞닿음이 벗어나는 맞닿음 외 위치 사이에서 횡이동하는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승 저지 해제 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승 저지 수단과 간섭하고, 이 간섭에 의해 이 상승 저지 수단을 상기 맞닿음 위치로부터 상기 맞닿음 외 위치로 횡이동시키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 장치. - 복수의 제1 부품을 소정의 제1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의 하방에, 복수의 제2 부품을 소정의 제2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를 배치하고, 상기 제1 캐리어와 상기 제2 캐리어를 각각의 부품 배열 방향으로 피치 이송하면서, 상기 제2 캐리어로부터 상기 제2 부품을 분리하여 상기 제1 캐리어의 제1 부품에 조립하는 부품 조립 장치로서,
상기 제1 캐리어를 상기 제1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상기 제2 캐리어를 상기 제2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제2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2 반송 수단과,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승하여 상기 부품 조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부품을 밀어올려 상기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캐리어의 제1 부품에 아래로부터 밀어 이 제1 부품에 조립하고, 조립 종료 후 상기 제1 캐리어의 하방 위치까지 하강하는 압상 부재와,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승 하강 가능하며 또한 하방으로 부세된, 이 부세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압상 부재와 함께 상기 제2 부품을 협지하고, 협지한 상태에서 상기 압상 부재의 상승에 의해 이 압상 부재에 밀려 상승하는 받이 부재와,
상기 상승한 받이 부재를 상기 제1 캐리어보다 위의 위치에서 유지하고, 상기 조립 종료 후 상기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가 1피치 이송된 후에 상기 유지를 해제하고, 상기 받이 부재를 상기 부세에 의해 하강시키는 받이 부재 유지 수단
을 가지는 부품 조립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제1 부품에 제2 부품을 조립하는 부품 조립 장치로서,
복수의 제1 부품을 소정의 제1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1 캐리어와,
복수의 제2 부품을 소정의 제2 피치로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유지한 제2 캐리어와,
상기 제1 캐리어를 상기 제1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1 반송 수단과,
상기 제2 캐리어를 상기 제2 부품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제2 피치로 피치 이송하는 제2 반송 수단과,
소정의 부품 조립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의 하방에 상기 제2 부품이 존재하고, 또한 상기 피치 이송이 정지했을 때 이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이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면 내에서 소정의 상대 위치 관계가 되도록 상기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를 안내하는 캐리어 안내 수단과,
상기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부품과 상기 제1 부품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상승하는 제2 부품을 상기 제2 캐리어로부터 절단하는 다이와,
상승 하강 가능하며 또한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는 부세력이 부여되고, 이 부세력에 의해, 상기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부품을 위로부터 받아들이는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는 받이 부재와,
상기 부품 조립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부품보다 아래의 초기 위치로부터 상승을 개시하여, 상기 받이 부재와의 사이에 끼운 상기 제2 부품을 상기 부세력에 저항하면서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밀어올린 이 제2 부품을 상기 다이에 의해 제2 캐리어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이 제2 부품을 더욱 밀어올려 상기 제1 부품에 조립하고, 그 후에 제2 부품으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져 상기 초기 위치까지 되돌아가는 압상 부재와,
상기 제1 부품에 맞붙는 위치까지 상승한 상기 제2 부품에 위로부터 접하고 있는 상기 받이 부재에 작용하여, 이 받이 부재의 상기 부세력에 의한 하강을 저지하는 하강 저지 수단과,
상기 하강 저지 수단에 의해 상기 받이 부재의 하강이 저지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제1 캐리어를 피치 이송하도록 제1 반송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압상 부재가 상기 제2 캐리어보다 하방까지 하강한 후에 상기 제2 캐리어를 피치 이송하도록 제2 반송 수단을 제어하는 반송 수단 제어부와,
상기 하강 저지 수단과 함께 상기 받이 부재 유지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캐리어의 피치 이송이 종료한 후, 상기 하강 저지 수단에 의한 상기 받이 부재의 하강 저지를 해제시키는 하강 저지 해제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가 일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된 것이며,
상기 받이 부재가 상기 관통 구멍을 위로부터 아래로 통과하여 상기 제2 부품을 위로부터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 장치.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저지 수단이 상기 받이 부재의 일부에 형성된 하향의 면에 하방으로부터 맞닿는 상향의 면을 가지고, 상기 맞닿음에 의해 받이 부재의 하강을 저지하는 맞닿음 위치와, 이 맞닿음이 벗어나는 맞닿음 외 위치 사이에서 횡이동하는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강 저지 해제 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강 저지 수단과 간섭하고, 이 간섭에 의해 이 하강 저지 수단을 상기 맞닿음 위치로부터 상기 맞닿음 외 위치로 횡이동시키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 장치.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상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뻗는 축의 둘레를 회동하는 회동 부재로서, 상기 받이 부재를 하강시키는 하향의 힘을 일단부에서 받아 회동하고, 이 회동에 의해 타단부를 상승시키는 회동 부재와,
상기 일단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받이 부재를 하강시키는 수단으로부터 하향의 힘을 상기 일단부에 전하는 상하동 부재와,
상기 타단부 상에 배치되어, 이 타단부의 상기 상승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압상 작동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상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뻗는 축의 둘레를 회동하는 회동 부재로서, 상기 받이 부재를 하강시키는 하향의 힘을 일단부에서 받아 회동하고, 이 회동에 의해 타단부를 상승시키는 회동 부재와,
상기 일단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받이 부재를 하강시키는 수단으로부터 하향의 힘을 상기 일단부에 전하는 상하동 부재와,
상기 타단부 상에 배치되어, 이 타단부의 상기 상승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압상 작동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091435 | 2017-05-01 | ||
JP2017091435A JP6190557B1 (ja) | 2017-05-01 | 2017-05-01 | 部品組付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1832A KR20180121832A (ko) | 2018-11-09 |
KR102479193B1 true KR102479193B1 (ko) | 2022-12-20 |
Family
ID=5972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8421A KR102479193B1 (ko) | 2017-05-01 | 2018-04-26 | 부품 조립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190557B1 (ko) |
KR (1) | KR102479193B1 (ko) |
CN (1) | CN10878866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27922B (zh) * | 2018-12-14 | 2024-04-19 | 湖北森鑫汽车零部件有限公司 | 用于汽车发动机的密封垫片加工设备 |
CN112238297B (zh) * | 2020-12-18 | 2021-05-25 | 昆山市力格自动化设备有限公司 | 一种用于层状料件的同心度组装方法及机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13804A (ja) | 2005-05-09 | 2006-11-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おける基板下受装置 |
JP2006326813A (ja) | 2005-05-30 | 2006-12-07 | Alps Electric Co Ltd | 薄肉部品積層体の自動組立装置および薄肉部品を備えた荷姿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6754B2 (ja) | 1988-12-07 | 1995-03-0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フープ材供給部品の複合▲かし▼め装置 |
JPH05218682A (ja) * | 1992-02-06 | 1993-08-27 | Toshiba Corp | 部品実装装置 |
WO2006132139A1 (ja) * | 2005-06-06 | 2006-12-14 |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 レジスト用化合物およびレジスト組成物 |
JP2008142858A (ja) * | 2006-12-12 | 2008-06-26 | Aisin Aw Co Ltd | 組付装置 |
CN103600220B (zh) * | 2013-11-13 | 2016-01-06 | 厦门加新精密金属有限公司 | 快速组装模具 |
CN104924604A (zh) * | 2014-03-17 | 2015-09-23 | 苏州春秋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笔记本壳体生产用自动铆铆钉装置 |
CN204868013U (zh) * | 2015-07-07 | 2015-12-16 |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 一种组合冲压装置 |
CN205551372U (zh) * | 2016-05-09 | 2016-09-07 | 惠州智科实业有限公司 | 一种铆合工作台 |
CN106002879A (zh) * | 2016-06-16 | 2016-10-12 |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 一种产品活动贴附组装机构 |
-
2017
- 2017-05-01 JP JP2017091435A patent/JP6190557B1/ja active Active
-
2018
- 2018-04-26 KR KR1020180048421A patent/KR10247919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4-27 CN CN201810390733.9A patent/CN108788665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13804A (ja) | 2005-05-09 | 2006-11-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おける基板下受装置 |
JP2006326813A (ja) | 2005-05-30 | 2006-12-07 | Alps Electric Co Ltd | 薄肉部品積層体の自動組立装置および薄肉部品を備えた荷姿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788665B (zh) | 2021-07-30 |
CN108788665A (zh) | 2018-11-13 |
JP6190557B1 (ja) | 2017-08-30 |
JP2018187708A (ja) | 2018-11-29 |
KR20180121832A (ko) | 2018-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07810B2 (en) | Part feeding apparatus and part feeding method | |
EP3015219B1 (en) | Automatic component loading system | |
KR102479193B1 (ko) | 부품 조립 장치 | |
KR102043984B1 (ko) | 워크를 분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06465578B (zh) | 元件安装装置 | |
EP3309094B1 (en) | Raising/lowering conveyance device for container for conveying article | |
US20100262276A1 (en) |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and substrate transport method | |
JPH0564124U (ja) | ワーク搬送系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 |
CN109956319B (zh) | 工件保持夹具 | |
JP5334875B2 (ja) | ワーク分離装置 | |
KR101580104B1 (ko) | 반도체용 플라즈마 세정장치 | |
KR101665868B1 (ko) |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 |
KR102250590B1 (ko) | 전지셀 인덱스 장치 | |
CN111168375A (zh) | 一种马达底壳部件的装配机构 | |
JP6271236B2 (ja) | 容器供給装置 | |
JP7172643B2 (ja) | 搬送装置 | |
KR20220150968A (ko) | 그리퍼 장치, 반송차, 및 반송 방법 | |
CN211939806U (zh) | 一种马达底壳部件的装配机构 | |
CN214867011U (zh) | 一种连板定位移载装置 | |
KR100828699B1 (ko) | 기판 반출입 장치 및 기판 반출입 방법 | |
CN220997908U (zh) | 托盘进给器 | |
KR102058959B1 (ko) | 수직이송장치 | |
KR102669758B1 (ko) | 유리판재 투입기 | |
KR102504688B1 (ko) | 전자부품 케이싱 장비 | |
JP4396642B2 (ja) | 位置決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