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152B1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152B1
KR102479152B1 KR1020190048663A KR20190048663A KR102479152B1 KR 102479152 B1 KR102479152 B1 KR 102479152B1 KR 1020190048663 A KR1020190048663 A KR 1020190048663A KR 20190048663 A KR20190048663 A KR 20190048663A KR 102479152 B1 KR102479152 B1 KR 102479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terminal
hel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660A (ko
Inventor
다카오 호리이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7Coupling devices presenting arrays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bstract

(과제) 충분한 플로팅량을 확보함과 함께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단자 (40) 는, 고정 하우징 (20) 에 의해 유지되는 고정측 피유지부 (42) 와, 가동 하우징 (30) 에 의해 유지되는 가동측 피유지부 (44) 와, 그 고정측 피유지부 (42) 와 그 가동측 피유지부 (44)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 (45) 를 갖고, 상기 탄성부 (45) 는, 단자 (40) 의 길이 방향에서의 탄성부 (45) 의 일부에,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직각인 커넥터 높이 방향에서 중복되어 위치하는 부분을 갖도록 만곡된 만곡부 (45A, 45B) 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용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직각인 상하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춤 접속됨과 함께, 상기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와의 위치 어긋남을 단자의 탄성 변위에 의해 허용하는, 이른바 플로팅 커넥터이다. 그 커넥터의 하우징은, 단자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그 고정 하우징과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그 고정 하우징에 대해 가동인 가동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또, 단자는, 2 열로 배열되어 있고, 그 단자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상기 실장면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 그리고 타단측에 상대 접속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접속부와 그 접촉부 사이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한 직상 (直狀) 의 탄성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는,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고정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타단측에서 상기 가동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 맞춤 과정 혹은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을 때, 단자의 탄성부가 탄성 변위됨으로써, 그 단자의 접촉부를 유지하는 고정 하우징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즉 플로팅하여, 상기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 있어서, 플로팅량을 크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자의 탄성부의 전체 길이, 환언하면 스프링 길이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탄성부는 상하 방향에서 직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를 길게 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커넥터도 상하 방향에서 커져 버린다. 그래서, 탄성부의 전체 길이를 크게 하면서 그 탄성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탄성부를 상하 방향에서 되접어 꺾도록 만곡시킨 형상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때, 탄성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상 부분이 복수 형성되고, 서로 병행하는 그 직상 부분끼리가 상하 방향에서 중복되는 범위가 클수록, 그 만큼, 커넥터의 저배화 (低背化) 가 도모되게 된다.
일본 특허 제5946804호
그러나, 단자의 탄성부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만곡시켰을 경우,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플로팅시에, 2 열 중 일방의 열의 단자의 탄성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줄어들도록 탄성 변위되고, 이 결과, 인접하는 상기 직상 부분끼리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가까워지게 된다. 커넥터가 고속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직상 부분끼리가 가까워짐으로써, 그 직상 부분끼리 사이에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여, 고속 전송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서의 직상 부분끼리의 중복 범위가 클수록, 고속 전송 특성은 크게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충분한 플로팅량을 확보함과 함께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단자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측에 회로 기판의 실장면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 그리고 타단측에 상대 접속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가 형성된 그 단자와, 그 단자를 복수 배열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그 하우징이, 상기 단자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과, 그 고정 하우징과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그 고정 하우징에 대해 가동으로 상기 단자의 접촉부를 배치하고 있는 가동 하우징을 갖는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는, 고정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고정측 피유지부와, 가동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가동측 피유지부와, 그 고정측 피유지부와 그 가동측 피유지부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를 갖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그 탄성부의 일부에,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직각인 커넥터 높이 방향에서 중복되어 위치하는 부분을 갖도록 만곡된 만곡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단자의 탄성부는 만곡부를 가지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그 만곡부가 탄성 변위됨으로써 플로팅이 실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만곡부에서는 커넥터 높이 방향에서 중복되어 위치하는 부분 (설명의 편의상, 「중복 부분」 이라고 한다) 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만큼, 탄성부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플로팅량이 커진다. 또, 그 부분끼리가 커넥터 높이 방향에서 중복되어 있는 범위의 분만큼,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부의 치수 나아가서는 커넥터의 치수가 작아져, 커넥터의 저배화가 도모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만곡부는, 탄성부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단자의 길이 방향에서의 탄성부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탄성부 전체를 만곡부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만곡부에 있어서의 커넥터 높이 방향에서의 중복 부분의 범위가 작다. 이 결과, 크로스토크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되어,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만곡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커넥터 높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만곡부와 중복되는 범위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탄성부를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중복되는 범위의 분만큼, 커넥터 폭 방향에서 탄성부의 치수가 작아지므로, 커넥터 폭 방향에서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신호 단자 및 전원 단자를 가지고 있고, 그 전원 단자의 접속부는, 상기 신호 단자의 접속부보다,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신호 단자의 접촉부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전원 단자의 접속부를 이와 같이 위치시킴으로써, 커넥터 폭 방향에서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단자의 탄성부가 만곡부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그 만곡부의 분만큼 탄성부가 길어지므로 플로팅량이 커지고, 또, 만곡부가 커넥터 높이 방향에서 중복되어 위치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커넥터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부의 치수 나아가서는 커넥터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저배화가 도모된다. 또한 만곡부는, 단자의 길이 방향에서의 탄성부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부 전체를 만곡부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크로스토크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되어,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와 이것에 끼워 맞춤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이고, (A) 는 끼워 맞춤 접속 전, 그리고 (B) 는 끼워 맞춤 접속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양 커넥터의 신호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2(A) 는, 도 1(A) 에 대응하는 끼워 맞춤 접속 전, 도 2(B) 는 도 1(B) 에 대응하는 끼워 맞춤 접속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1 의 양 커넥터의 신호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1(A) 에 대응하는 끼워 맞춤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도 1 의 양 커넥터의 신호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1(B) 에 대응하는 끼워 맞춤 접속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도 1(A) 에 나타내는 커넥터 끼워 맞춤 접속 전의 양 커넥터의 각각으로부터 1 쌍의 신호 단자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A) 에 나타내는 커넥터 끼워 맞춤 접속 전의 양 커넥터의 각각으로부터 1 쌍의 전원 단자를 추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그 전원 단자의 피유지부의 근방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 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1 쌍의 신호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의 신호 단자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반대측에서 본 상태로 나타내고 있고, (B) 는, (A) 에 나타내는 1 쌍의 단자 중 일방의 신호 단자가 하우징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B)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러그 커넥터와 이것에 끼워 맞춤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A) 는 끼워 맞춤 접속 전, 그리고 도 1(B) 는 끼워 맞춤 접속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 (B) 는, 양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신호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2(A) 는 끼워 맞춤 접속 전, 도 2(B) 는 끼워 맞춤 접속 후의 상태를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 는, 양 커넥터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신호 단자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끼워 맞춤 접속 전, 도 4 는 끼워 맞춤 접속 후의 상태를,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1) 와 그 플러그 커넥터에 끼워 맞춤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 (상대 접속체) 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 (2) 로 커넥터 조립체가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 (1) 및 리셉터클 커넥터 (2) 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이다.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 는, 상하 방향 (Z 축 방향) 에 직각인 실장면을 갖는 회로 기판 (P1) 상의 그 실장면에 배치되고, 리셉터클 커넥터 (2) 는,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 직각인 실장면을 갖는 회로 기판 (P2) 상의 그 실장면에 배치된다. 양 커넥터는, 도 1(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P1) 과 다른 회로 기판 (P2) 의 실장면끼리가 서로 직각을 이루는 자세하에서, 상하 방향 (Z 축 방향) 을 접속 방향으로 하여 끼워 맞춤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 의 상방으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 (2) 가 끼워 맞춤 접속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 (2) 가 플러그 커넥터 (1) 의 상대 커넥터 (상대 접속체) 인 것으로 하고 있지만, 리셉터클 커넥터 (2) 에서 보면 플러그 커넥터 (1) 가 상대 커넥터 (상대 접속체) 가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플러그 커넥터 (1) 는, 상하 방향 (Z 축 방향) 을 커넥터 높이 방향으로 하고 있고, 회로 기판 (P1) 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일방향 (Y 축 방향) 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플러그 하우징 (10) 과, 그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플러그 하우징 (10) 에 배열 유지되는 플러그 신호 단자 (40) 및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이하,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간단히 「플러그 단자 (40, 50)」 라고 한다) 를 가지고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 (40) 는,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플러그 하우징 (10) 의 중간 범위에 복수 배열되어 있고, 플러그 전원 단자 (5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배열 범위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 (10) 은, 플러그 단자 (40, 50) 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 (20) 과, 그 고정 하우징 (20) 과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그 고정 하우징 (20) 에 대해 가동인 가동 하우징 (30) 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P1) 의 실장면에 평행한 방향을 이루고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 대칭으로 만들어져 있다.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고정 하우징 (20) 은, 플러그 커넥터 (1) 의 높이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가동 하우징 (30) 의 하반부와 중복되는 범위를 가지고 위치하고,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가동 하우징 (30) 의 후술하는 끼워 맞춤부 (31) 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고 있다.
고정 하우징 (20) 은, 도 1(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가동 하우징 (30) 을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2 개의 고정측 측벽 (21) 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측 측벽 (21)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 개의 고정측 단벽 (22) 을 가지고 있다.
고정측 측벽 (21) 은, 도 1(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부 (플러그 전원 단자 (50) 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는 부분) 가 중간부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배열 범위를 포함하여 위치하는 부분) 보다, 외측면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고정측 측벽 (21) 은,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고정측 피유지부 (42) 를 압입 (壓入) 유지하기 위한 고정측 신호 단자 유지부 (21A) (도 3 참조) 및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고정측 피유지부 (52) 를 압입 유지하기 위한 고정측 전원 단자 유지부 (21B) (도 7 참조) 가, 그 고정측 측벽 (21) 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신호 단자 유지부 (21A)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측 측벽 (21) 의 하반부의 내벽면에서 묻힘과 함께 하방으로 개방된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측 전원 단자 유지부 (21B) 는, 도 7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측 측벽 (21) 의 내벽면에서 묻힘과 함께 상하 방향에서 고정측 측벽 (21) 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측 측벽 (21) 은, 도 7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측 전원 단자 유지부 (21B) 의 하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돌출되는 2 개의 피걸림부 (21C)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피걸림부 (21C) 는, 커넥터 폭 방향 및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단상 (段狀) 을 이루고 있고, 그 상면이,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후술하는 걸림부 (52B) 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한 피걸림면 (21C-1) 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측 단벽 (22) 은,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중앙역에서 그 하반부가 절결되어 있고, 그 벽두께 방향 (Y 축 방향) 으로 관통함과 함께 하방으로 개구된 절결부 (22A) 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단벽 (22) 은, 절결부 (22A) 의 상방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고정측 측벽 (21)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규제부 (22B) 를 형성하고 있다. 그 규제부 (22B) 는, 가동 하우징 (30) 의 후술하는 피규제부 (36)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그 규제부 (22B) 의 하면이, 그 피규제부 (36) 의 상방으로의 소정량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면 (22B-1)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 (30) 은, 고정 하우징 (20) 과 동일하게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 (2) 와의 끼워 맞춤을 위한 끼워 맞춤부 (31) 와, 그 고정 하우징 (20) 으로부터 이동의 규제를 받는 피규제부 (36) 를 가지고 있다. 끼워 맞춤부 (31) 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가동측 측벽 (32) 과,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동측 측벽 (32)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 개의 가동측 단벽 (33) 을 가지고 있다. 또, 가동측 측벽 (32) 및 가동측 단벽 (33) 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방으로 개구되는 공간은,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후술하는 돌출벽 (65) 을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측 수용부 (34) 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플러그측 수용부 (34) 의 하단부는, 도 2(A), (B) 및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수용부 (34) 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저벽 (35) 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가동측 측벽 (32) 은,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배열 범위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1) 의 상반부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 2(A), (B) 참조),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부 (상기 배열 범위보다 외측의 부분) 에서는, 상하 방향에서의 플러그 커넥터 (1) 의 거의 전역에 걸친 범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 참조).
가동측 측벽 (32) 에는,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후술하는 신호용 접촉부 (43)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 (32A) 가 그 가동측 측벽 (32) 의 내벽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도 3 참조),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후술하는 전원용 접촉부 (53) 를 압입 유지하기 위한 수용 홈부 (32B) (도 1(A) 참조) 가 그 가동측 측벽 (32) 의 외벽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 수용 홈부 (32A) 는, 가동측 측벽 (32) 의 내벽면에서 묻힘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상의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용 홈부 (32B)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가동측 측벽 (32) 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가동측 측벽 (32) 의 외벽면에서 묻힘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상의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단벽 (33) 은, 가동측 측벽 (32) 의 단자 배열 방향 양단부와 상하 방향에서 거의 동일한 범위, 환언하면, 상하 방향에서의 플러그 커넥터 (1) 의 거의 전역에 걸친 범위로 연장되어 있다. 저벽 (35) 은,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가동측 피유지부 (44) 를 압입 유지하는 가동측 신호 단자 유지부 (35A) 가 가동측 측벽 (32) 의 수용 홈부 (32A) 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가동측 피유지부 (54) 를 압입 유지하는 가동측 전원 단자 유지부 (도시 생략) 가 가동측 측벽 (32) 의 수용 홈부 (32B) 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신호 단자 유지부 (35A) 및 가동측 전원 단자 유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벽 (35) 을 관통하는 구멍상을 이루고 있고, 그 가동측 신호 단자 유지부 (35A) 가 수용 홈부 (32A) 와 연통되고, 그 가동측 전원 단자 유지부가 수용 홈부 (32B) 와 연통되어 있다.
피규제부 (36) 는, 가동 하우징 (30) 의 하부의 단자 배열 방향 양단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 으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그 피규제부 (36) 는, 도 1(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주상을 이루고 있고, 고정 하우징 (20) 의 고정측 단벽 (22) 의 절결부 (22A) 내에 단자 배열 방향 내방에서 돌입 (突入) 되어 있다. 따라서, 그 피규제부 (36) 는, 고정측 단벽 (22) 의 규제부 (22B)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그 피규제부 (36) 의 상면 (상하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 은, 규제부 (22B) 의 하면인 규제면 (22B-1) 과 대면하고 있고, 그 규제면 (22B-1) 과 맞닿음 가능한 피규제면 (36A)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피규제면 (36A) 은, 상하 방향에서 규제면 (22B-1) 에 대해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 (30) 이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규제면 (22B-1) 에 하방에서 맞닿는다 (접면). 그 결과, 가동 하우징 (30) 의 상방을 향한 소정량 이상의 이동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도 1(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 에서는, 플러그 단자 (40, 50) 가 2 열을 이루고 배열되어 있고, 각 열에 있어서, 복수의 플러그 신호 단자 (40) 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배열 범위의 양측에 플러그 전원 단자 (50) 가 1 개씩 배치되어 있다 (도 2(A), (B) 도 참조).
플러그 신호 단자 (40) 는, 도 2(A), (B), 도 3 및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 띠상편 (帶狀片) 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그 단자 폭 방향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판두께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 이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 (40) 는, 플러그 커넥터 (1) 를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형성된 신호용 접속부 (41) 와, 그 신호용 접속부 (41) 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측 피유지부 (42) 와, 신호용 접속부 (41) 보다 상방 또한 커넥터 폭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형성된 신호용 접촉부 (43) 와, 그 신호용 접촉부 (43)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동측 피유지부 (44) 와, 고정측 피유지부 (42) 와 가동측 피유지부 (44) 를 연결하는 신호용 탄성부 (45) 를 가지고 있다. 그 플러그 신호 단자 (40) 는,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고, 이 쌍이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신호용 접속부 (41)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20) 의 저면보다 하방 위치에서, 회로 기판 (P1) (도 1(A), (B) 참조) 의 실장면 (상면) 에 위치하도록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실장면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고정측 피유지부 (42) 는, 신호용 접속부 (41)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측의 단부에서 굴곡되어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20) 의 고정측 신호 단자 유지부 (21A) 내에서 압입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고정측 피유지부 (42)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가장자리에 복수의 압입 돌기 (42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압입 돌기 (42A) 가 고정측 신호 단자 유지부 (21A) 의 내벽면에 파고들어감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한편, 신호용 접촉부 (43)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 (30) 의 가동측 측벽 (32) 의 수용 홈부 (32A) 내에서 그 가동측 측벽 (32) 의 내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신호용 접촉부 (43) 는, 일방의 판면 (판두께면에 대해 직각인 면) 이 플러그측 수용부 (34) 를 향하여 노출되어 있고, 그 판면이 후술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면 (43B) 을 형성하고 있다.
가동측 피유지부 (44)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신호용 접촉부 (43) 로부터 연속해서 가동측 신호 단자 유지부 (35A) 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가동측 신호 단자 유지부 (35A) 에 의해 압입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가동측 피유지부 (44)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가장자리에 복수의 압입 돌기 (44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압입 돌기 (44A) 가 가동측 신호 단자 유지부 (35A) 의 내벽면에 파고들어감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신호용 탄성부 (45) 는, 도 3 내지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신호용 탄성부 (45) 의 하단부에서 대략 U 자상을 이루고 만곡되는 하측 만곡부 (45A) 와, 그 신호용 탄성부 (45) 의 상단부에서 대략 역 U 자상을 이루고 만곡되는 상측 만곡부 (45B) 와, 직상을 이루고 그 하측 만곡부 (45A) 와 상측 만곡부 (45B) 를 연결하는 연결부 (45C) 를 가지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측 만곡부 (45A)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측 피유지부 (42) 의 상단에서 굴곡되어 하방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하측 외아암부 (45A-1) 와, 그 하측 외아암부 (45A-1) 의 하단에서 되접어 꺾인 하측 되꺾임부 (45A-2) 와, 그 하측 되꺾임부 (45A-2) 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하측 내아암부 (45A-3) 를 가지고 있다. 요컨대, 하측 만곡부 (45A)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 상방으로 개구되는 대략 U 자상을 이루고 있다. 그 하측 만곡부 (45A) 는, 하측 외아암부 (45A-1) 와 하측 내아암부 (45A-3) 가 서로의 간격을 증감시키도록 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측 만곡부 (45B)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측 피유지부 (44) 의 하단에서 굴곡되고 상방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상측 내아암부 (45B-1) 와, 그 상측 내아암부 (45B-1) 의 상단에서 되접어 꺾인 상측 되꺾임부 (45B-2) 와, 그 상측 되꺾임부 (45B-2) 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상측 외아암부 (45B-3) 를 가지고 있다. 요컨대, 상측 만곡부 (45B)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 하방으로 개구되는 대략 역 U 자상을 이루고 있다. 그 상측 만곡부 (45B) 는, 상측 내아암부 (45B-1) 와 상측 외아암부 (45B-3) 가 서로의 간격을 증감시키도록 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부 (45C)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측 내아암부 (45A-3) 의 상단과 상측 외아암부 (45B-3) 의 하단을 연결하고, 하방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연장되는 연결부 (45C)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하측 만곡부 (45A) 의 하측 외아암부 (45A-1) 및 상측 만곡부 (45B) 의 상측 내아암부 (45B-1) 와 중복되는 범위를 가지고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중복되는 범위의 분만큼, 커넥터 폭 방향에서 신호용 탄성부 (45) 의 치수가 작아지므로, 그 결과, 커넥터 폭 방향에서 플러그 커넥터 (1) 를 소형화할 수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 (40) 에서는, 신호용 탄성부 (45) 의 하측 만곡부 (45A) 및 상측 만곡부 (45B) 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탄성 변위됨으로써 플로팅이 실시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신호용 탄성부 (45) 에 하측 만곡부 (45A) 및 상측 만곡부 (45B) 가 형성되어 있는 만큼, 그 신호용 탄성부 (45) 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플로팅량이 커진다.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측 만곡부 (45A) 의 하측 되꺾임부 (45A-2) 는, 그 단자 폭 방향에서의 중앙역에서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그 하측 되꺾임부 (45A-2)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상의 하측 구멍부 (45A-2A)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되꺾임부 (45A-2) 는, 하측 외아암부 (45A-1) 및 하측 내아암부 (45A-3) 보다 폭협인 2 개의 띠조편 (帶條片) 을 이루고 있고, 이로써 충분히 큰 탄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 상측 만곡부 (45B) 의 상측 되꺾임부 (45B-2) 에 있어서도,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하측 되꺾임부 (45A-2) 와 동일한 슬릿상의 상측 구멍부 (45B-2A) 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 내아암부 (45B-1) 및 상측 외아암부 (45B-3) 보다 폭협인 2 개의 띠조편에 의해 충분히 큰 탄성이 확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하측 만곡부 (45A) 및 상측 만곡부 (45B) 의 각각은, 상하 방향에서 중복되어 위치하는 부분을 갖도록 만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측 만곡부 (45A) 에 있어서의 하측 외아암부 (45A-1) 와 하측 내아암부 (45A-3) 가, 그리고 상측 만곡부 (45B) 에 있어서의 상측 내아암부 (45B-1) 와 상측 외아암부 (45B-3) 가, 서로 상하 방향에서 중복되는 범위를 가지고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그 중복되어 있는 범위의 분만큼,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신호용 탄성부 (45) 의 치수 나아가서는 플러그 커넥터 (1) 의 치수가 작아지고, 플러그 커넥터 (1) 의 저배화가 도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용 탄성부 (45) 는, 2 개의 만곡부, 즉 하측 만곡부 (45A) 및 상측 만곡부 (45B) 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하측 만곡부 (45A) 및 상측 만곡부 (45B) 의 일방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만곡부는 신호용 탄성부 (45) 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만곡부는 신호용 탄성부 (45) 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신호용 탄성부의 일부에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만큼, 플러그 커넥터 (1) 의 저배화가 도모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용 탄성부 (45) 는 그 전체에서 만곡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길이 방향에서의 신호용 탄성부 (45) 의 일부, 즉 신호용 탄성부 (45) 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측 만곡부 (45A) 및 상단부에 형성된 상측 만곡부 (45B) 에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신호용 탄성부 (45) 전체를 만곡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만곡 부분 (하측 만곡부 (45A) 및 상측 만곡부 (45B))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복 부분의 범위가 작다. 이 결과, 신호용 탄성부 (45) 에서 크로스토크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되어,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용 탄성부 (45) 는, 2 개의 만곡부, 즉 하측 만곡부 (45A) 및 상측 만곡부 (45B) 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하측 만곡부 (45A) 및 상측 만곡부 (45B) 의 일방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만곡부는 신호용 탄성부 (45) 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만곡부는 신호용 탄성부 (45) 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신호용 탄성부의 일부에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만큼, 플러그 커넥터 (1) 의 저배화가 도모된다.
플러그 전원 단자 (50)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 띠상편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그 단자 폭 방향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판두께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 이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플러그 전원 단자 (50) 는, 플러그 신호 단자 (40) 보다 단자 폭 방향에서의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 (1) 를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플러그 전원 단자 (50)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형성된 전원용 접속부 (51) 와, 그 전원용 접속부 (51) 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정측 피유지부 (52) 와, 전원용 접속부 (51) 보다 상방 또한 커넥터 폭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형성된 전원용 접촉부 (53) 와, 그 전원용 접촉부 (53)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동측 피유지부 (54) 와, 고정측 피유지부 (52) 와 가동측 피유지부 (54) 를 연결하는 전원용 탄성부 (55) 를 가지고 있다. 그 플러그 전원 단자 (50) 는,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고, 이 쌍이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플러그 커넥터 (1) 의 양단부에서 유지되어 있다.
전원용 접속부 (51) 는, 고정 하우징 (20) 의 저면보다 하방 위치에서, 상하 방향에서 직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전원용 접속부 (51) 는, 플러그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P1) (도 1(A), (B) 참조) 의 실장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회로 기판 (P1) 에 형성된 스루홀 (H) (도 1(A), (B) 참조) 을 상방으로부터 관통하여 위치하고, 그 스루홀 (H) 에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그 전원용 접속부 (51)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신호용 접속부 (41) 보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측, 환언하면, 고정 하우징 (20) 의 고정측 측벽 (21) 의 벽두께 방향 (X 축 방향) 에서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신호용 접촉부 (43) 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용 접속부 (51) 가 이와 같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 (1) 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형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고정측 피유지부 (52) 는, 전원용 접속부 (51) 에 연속해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고정 하우징 (20) 의 고정측 전원 단자 유지부 (21B) 내에서 압입 유지되어 있다 (도 7 참조). 구체적으로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고정측 피유지부 (52) 는,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가장자리에 복수의 압입 돌기 (52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압입 돌기 (52A) 가 고정측 전원 단자 유지부 (21B) (도 7 참조) 의 내벽면에 파고들어감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측 피유지부 (52) 는, 그 판두께 방향이 고정 하우징 (20) 의 고정측 측벽 (21) 의 벽두께 방향 (X 축 방향) 과 일치하도록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고정측 측벽 (21) 의 벽두께 방향에서의 고정측 피유지부 (52) 의 치수는 그 고정측 피유지부 (52) 의 판두께 치수이고 작다. 따라서, 고정측 측벽 (21) 의 벽두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그 벽두께의 범위 내에 고정측 피유지부 (52) 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 (1) 가 상기 벽두께 방향에서 대형화되는 일이 없다.
또, 고정측 피유지부 (52) 는, 단자 폭 방향에서의 2 위치에서, 고정 하우징 (20) 의 피걸림부 (21C) (도 7 참조) 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걸림 가능한 걸림부 (52B)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부 (52B) 는, 고정측 피유지부 (52) 의 판면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잘라 세워진 탄성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그 걸림부 (52B) 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약간 경사져서 연장되고, 하단을 자유단으로 하는 외팔보 대들보상을 이루고 있다. 도 7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걸림부 (52B) 의 하단면은, 상기 피걸림부 (21C) 의 상면인 피걸림면 (21C-1) 에 대해 바로 위에 위치하고, 그 피걸림면 (21C-1) 에 걸림 가능한 걸림면 (52B-1) 을 이루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발출시에 고정 하우징 (20) 에 상방 (커넥터 발출 방향) 을 향한 외력이 작용했을 때,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고정 하우징 (20) 의 피걸림부 (21C) 의 피걸림면 (21C-1) 에 대해 걸림부 (52B) 의 걸림면 (52B-1) 이 상방에서 걸린다. 이 결과, 고정 하우징 (20) 의 상방을 향한 소정량 이상의 이동이 규제되어, 회로 기판 (P1) 에서 플러그 커넥터 (1) 가 빠지는 것이 양호하게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 (52B) 는 고정측 피유지부 (52) 의 판면으로부터 잘라 세워진 탄성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걸림부 (52B) 는,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 그 고정측 피유지부 (52) 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 단자 폭 방향에서 고정측 피유지부 (52) 를 크게 하는 일 없이, 걸림부 (52B) 에서 충분한 걸림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걸림부 (52B) 는 단자 폭 방향에서의 고정측 피유지부 (52) 의 범위 내에 2 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부 (52B) 를 하나만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걸림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전원용 접촉부 (53) 는, 가동 하우징 (30) 의 가동측 측벽 (32) 의 수용 홈부 (32B) 내에서 그 가동측 측벽 (32) 의 외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A) 참조). 그 전원용 접촉부 (53) 는, 일방의 판면 (판두께면에 대해 직각인 면) 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외방을 향하여 노출되어 있고, 그 판면이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면 (53A) 을 형성하고 있다 (도 1(A) 참조).
가동측 피유지부 (54) 는, 전원용 접촉부 (53) 로부터 연속해서 가동측 전원 단자 유지부 (도시 생략) 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가동측 전원 단자 유지부에 의해 압입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가동측 피유지부 (54) 는, 단자 폭 방향에서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가장자리에 복수의 압입 돌기 (54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압입 돌기 (54A) 가 가동측 신호 단자 유지부의 내벽면에 파고들어감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전원용 탄성부 (55)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전원용 탄성부 (55) 의 상단부에서 대략 역 U 자상을 이루고 만곡되는 상측 만곡부 (55A) 와, 그 전원용 탄성부 (55) 의 하단부에서 대략 U 자상을 이루고 만곡되는 하측 만곡부 (55B) 와, 직상을 이루고 그 상측 만곡부 (55A) 와 하측 만곡부 (55B) 를 연결하는 연결부 (55C) 를 가지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대략 역 U 자상을 이루는 상측 만곡부 (55A) 및 대략 U 자상을 이루는 하측 만곡부 (55B) 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 개의 아암부를 가지고 있다. 그 상측 만곡부 (55A) 및 그 하측 만곡부 (55B) 의 각각이 그 2 개의 아암부끼리의 간격을 증감시키도록 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결과, 전원용 탄성부 (55) 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탄성 변위되어 플로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부 (55C)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측 만곡부 (55A) 의 커넥터 폭 방향 내측의 아암부의 하단과 하측 만곡부 (55B) 의 커넥터 폭 방향 외측의 아암부의 상단을 연결하고, 하방을 향함에 따라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전원용 탄성부 (55)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측 만곡부 (55A) 의 커넥터 폭 방향 외측의 아암부 및 되접어 꺾은 부분 (상단부) 이 폭협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밖의 부분이 폭광으로 형성되어 있다. 폭협의 부분에는, 전원용 탄성부 (55)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부 (55D)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슬릿부 (55D) 는 전원용 탄성부 (55) 의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중앙역에서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요컨대, 상기 폭협의 부분은 2 개의 세조편 (細條片) 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폭광의 부분에는, 전원용 탄성부 (55)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슬릿부 (55E) 가 형성되어 있다. 그 2 개의 슬릿부 (55E) 는 전원용 탄성부 (55) 의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중간역에 있어서의 2 위치에서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요컨대, 상기 폭광의 부분은 3 개의 세조편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원용 탄성부 (55) 는 2 개의 세조편 및 3 개의 세조편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분히 큰 탄성이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플러그 커넥터 (1) 는, 다음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먼저, 가동 하우징 (30) 의 가동측 신호 단자 유지부 (35A) 및 가동측 전원 단자 유지부 (35B) 에,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가동측 피유지부 (44) 및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가동측 피유지부 (54) 를 상방을 향하여, 즉 가동 하우징 (30) 의 하측으로부터 압입하여, 플러그 단자 (40, 50) 를 가동 하우징 (30) 에 유지시킨다. 이 결과,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신호용 접촉부 (43) 및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전원용 접촉부 (53) 는, 가동 하우징 (30) 의 수용 홈부 (32A) 및 수용 홈부 (32B) 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전원용 탄성부 (55)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신호용 탄성부 (45) 와 상이하지만, 이것 대신에, 전원용 탄성부를 신호용 탄성부 (45) 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플러그 커넥터에 그라운드 단자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그라운드 단자에 형성하는 그라운드용 탄성부를 상기 신호용 탄성부 (45) 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고정 하우징 (20) 의 고정측 신호 단자 유지부 (21A) 및 고정측 전원 단자 유지부 (21B) 에,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고정측 피유지부 (42) 및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고정측 피유지부 (52) 를 상방을 향하여, 즉 고정 하우징 (20) 의 하측으로부터 압입하여, 플러그 단자 (40, 50) 를 고정 하우징 (20) 에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플러그 단자 (40, 50) 를 고정 하우징 (20) 및 가동 하우징 (30) 의 각각에 장착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1) 가 완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 (2) 는, 회로 기판 (P2) (도 1(A), (B) 참조) 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일방향 (Y 축 방향) 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60) 과, 그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리셉터클 하우징 (60) 에 배열 유지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이하,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간단히 「리셉터클 단자 (70, 80, 90, 100)」 라고 한다) 를 가지고 있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중간 범위에 복수 배열되어 있고,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의 배열 범위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 (60) 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그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양단 위치에서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판면을 갖는 단벽 (61) 과, 2 개의 그 단벽 (61) 사이에서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고 리셉터클 단자 (70, 80, 90, 100) 를 배열 유지하는 중간부 (62) 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 (62) 는, 도 1 내지 도 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상단이 단벽 (61) 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중간부 (62) 는, 도 3 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의 대략 우반부 (X1 측의 부분) 에,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가 단자 배열 방향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중간부 (62) 의 양측 위치에서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리셉터클 전원 단자 수용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 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의 대략 우반부 (X1 측의 부분) 는, 그 하반부에, 플러그 커넥터 (10) 의 끼워 맞춤부 (31) 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측 수용부 (64) 가 하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참조). 또, 리셉터클측 수용부 (64) 내에는, 하방 (Z2 방향) 을 향하여 돌출됨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도상 (島狀) 의 돌출벽 (65) 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 수용부 (도시 생략) 의 형상의 설명에 앞서, 먼저,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와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및 복수의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가,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중간부 (62) 에서 1 열씩 유지되어 있다.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유지부 (71) 와, 그 피유지부 (71) 의 일방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맞닿음부로서의 돌출부 (72) 와, 그 피유지부 (71) 의 측가장자리에서 타방의 판면측으로 되접어 꺾여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맞닿음부로서의 설편 (舌片) (73) 과, 그 피유지부 (71) 의 상부에 연속되는 이행부 (74) 와, 그 이행부 (74) 의 상단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에서 회로 기판 (P2) 측 (X2 측) 을 향하여 직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75) 와, 그 연장부 (75) 의 회로 기판 (P2) 측의 단부에서 굴곡되어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신호용 접속부 (76) 와, 피유지부 (71) 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 (77, 78) 를 가지고 있다.
피유지부 (71)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상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그 피유지부 (71) 의 판두께 방향이 단자 배열 방향 (도 3 의 지면에 직각인 Y 축 방향) 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복수의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는, 피유지부 (71) 끼리의 판면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는 자세로 배열되어 있다. 그 피유지부 (71)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가장자리 중 커넥터 폭 방향에서 X1 측에 위치하는 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압입 돌기 (71A) 를, 그 피유지부 (71) 의 상단 부근 위치 및 하단 부근 위치에 1 개씩 가지고 있다. 그 피유지부 (71)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의 내벽면에 압입 돌기 (71A) 가 파고들어감으로써 , 그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에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돌출부 (72) 는, 상하 방향에서의 2 위치, 구체적으로는 압입 돌기 (71A) 와 거의 동 위치에서 2 개씩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그 돌출부 (72) 는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 돌출부 (72)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유지부 (71) 의 2 개의 판면 중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Y2 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예를 들어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그 돌출부 (72) 는, 그 피유지부 (71) 의 일방의 판면보다 Y2 측에 위치하고 있고, Y 축 방향에서 그 일방의 판면에 대면하는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의 내벽면 (일방의 내벽면) 에 대해 근접하여 위치하고, 그 돌출부 (72) 의 돌출 정면 (頂面) 에서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B) 참조).
설편 (73) 은, 상하 방향에서의 압입 돌기 (71A) 끼리 사이의 위치, 환언하면 상하 방향에서의 돌출부 (72) 끼리 사이의 위치에 1 개 형성되어 있다. 그 설편 (73) 은, 피유지부 (71) 의 X1 측에 위치하는 측가장자리, 즉 압입 돌기 (71A) 가 형성되어 있는 측가장자리에서 그 피유지부 (71) 의 타방의 판면측 (Y1 측) 으로 되접어 꺾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X2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8(A) 참조). 요컨대, 그 설편 (73) 은, 상기 피유지부 (71) 의 타방의 판면보다 Y1 측에 위치하고 있고, Y 축 방향에서 그 타방의 판면에 근접하여 대면하는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의 내벽면 (타방의 내벽면) 에 대해 근접하여 위치하고, 그 설편 (73) 의 판면에서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B)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 (73) 은, 피유지부 (71) 의 압입 돌기 (71A) 가 형성되어 있는 측가장자리에서 되접어 꺾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반대측의 측가장자리에서 되접어 꺾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행부 (74) 및 연장부 (75) 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의 후술하는 상방 수용부 (63E)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 이행부 (74) 는, 도 5 및 도 8(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유지부 (71) 의 상부의 X2 측에 위치하는 측가장자리에서 Y1 측에 직각으로 굴곡되고 나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이행부 (74) 의 상단이 피유지부 (71) 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연장부 (75) 는, 이행부 (74) 의 상단에서 X2 측에 직각으로 굴곡되어 X2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신호용 접속부 (76)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외에 위치하고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 (2) 가 회로 기판 (P2) 의 실장면에 배치된 상태 (도 1 참조) 에서, 그 실장면 상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접면하고,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2 개의 접촉 아암부 (77, 78) 는, 도 5 및 도 8(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장 (長) 접촉 아암부 (77) 와, 그 장접촉 아암부 (77) 보다 아암 길이가 짧은 단 (短) 접촉 아암부 (78) 를 가지고 있고, 장접촉 아암부 (77) 의 판면과 단접촉 아암부 (78) 의 판면이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에서 판면이 대면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장접촉 아암부 (77) 는, 피유지부 (71) 의 하단에 연결된 기부 (基部) (77A) 와, 그 기부 (77A)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아암부 (77B) 를 가지고 있다. 그 탄성 아암부 (77B) 는,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 환언하면 XZ 평면 내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탄성 아암부 (77B) 의 하단부에서 X1 측으로 돌출되어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측 수용부 (64) 내에 위치하는 신호용 접촉부 (77B-1) 에서,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 신호 단자 (40) 에 접압을 가지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도 참조).
단접촉 아암부 (78) 는, 장접촉 아암부 (77) 의 기부 (77A) 의 X1 측의 측가장자리에서 되접어 꺾인 기부 (78A) (도 8(A) 참조) 와, 그 기부 (78A)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아암부 (78B) 를 가지고 있다. 그 탄성 아암부 (78B) 는, 장접촉 아암부 (77) 의 탄성 아암부 (77B) 로부터 독립적으로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 환언하면 XZ 평면 내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탄성 아암부 (78B) 의 하단부에서 X1 측으로 돌출되어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측 수용부 (64) 내에 위치하는 신호용 접촉부 (78B-1) 에서,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 신호 단자 (40) 에 접압을 가지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도 참조).
탄성 아암부 (78B)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장접촉 아암부 (77) 의 탄성 아암부 (77B) 보다 아암 길이가 짧고, 탄성 아암부 (78B) 의 신호용 접촉부 (78B-1) 가 탄성 아암부 (77B) 의 신호용 접촉부 (77B-1) 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8(A) 도 참조). 따라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는, 상하 방향에서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는 2 개의 신호용 접촉부 (77B-1, 78B-1) 에서, 플러그 신호 단자 (40) 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로써, 그 플러그 신호 단자 (40) 와의 접촉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피유지부 (71) 및 접촉 아암부 (77, 78) 보다 회로 기판 (P2) 측 (X2 측) 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상하 방향 (Z 축 방향) 에서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연장부 (75)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유지부 (81) 와, 그 피유지부 (81) 의 일방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맞닿음부로서의 돌출부 (82) 와, 그 피유지부 (81) 의 측가장자리에서 타방의 판면측으로 되접어 꺾여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맞닿음부로서의 설편 (83) 과, 그 피유지부 (81) 의 상부에 연속되는 이행부 (84) 와, 그 이행부 (84) 의 상단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에서 회로 기판 (P2) 측 (X2 측) 에서 크랭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85) 와, 그 연장부 (85) 의 회로 기판 (P2) 측의 단부에서 굴곡되어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신호용 접속부 (86) 와, 피유지부 (81) 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 (87, 88) 를 가지고 있다.
피유지부 (81)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피유지부 (71) 보다 상하 방향이 작게 형성되어 있고, 그 피유지부 (81) 의 하단이 그 피유지부 (71) 의 하단과 상하 방향에서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피유지부 (81) 는, 그 피유지부 (81) 의 판두께 방향이 단자 배열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복수의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도,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와 동일하게, 피유지부 (81) 끼리의 판면이 단자 배열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는 자세로 배열되어 있다. 그 피유지부 (81)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가장자리 중 커넥터 폭 방향에서 X2 측에 위치하는 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압입 돌기 (81A) 를, 그 피유지부 (81) 의 상단 부근 위치 및 하단 부근 위치에 1 개씩 가지고 있다. 그 피유지부 (81)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제 2 신호 단자 유지부 (63B) 의 내벽면에 압입 돌기 (81A) 가 파고들어감으로써, 그 제 2 신호 단자 유지부 (63B) 에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돌출부 (82) 는, 도 8(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의 2 위치, 구체적으로는 압입 돌기 (81A) 와 거의 동 위치에서 2 개씩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그 돌출부 (82) 는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 돌출부 (82) 는, 피유지부 (81) 의 2 개의 판면 중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Y1 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예를 들어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그 돌출부 (82) 는, 그 피유지부 (81) 의 일방의 판면보다 Y1 측, 즉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돌출부 (72) (도 5 참조) 와는 Y 축 방향으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고, Y 축 방향에서 그 일방의 판면에 대면하는 제 2 신호 단자 유지부 (63B) 의 내벽면 (일방의 내벽면) 에 대해 그 돌출부 (82) 의 돌출 정면에서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설편 (83) 은, 도 8(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의 압입 돌기 (81A) 끼리 사이의 위치, 환언하면 상하 방향에서의 돌출부 (82) (도 5 참조) 끼리 사이의 위치에 1 개 형성되어 있다. 그 설편 (83) 은, 피유지부 (81) 의 X2 측에 위치하는 측가장자리, 즉 압입 돌기 (81A) 가 형성되어 있는 측가장자리에서 그 피유지부 (81) 의 타방의 판면측 (Y2 측) 으로 되접어 꺾이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X1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요컨대, 그 설편 (83) 은, 상기 피유지부 (81) 의 타방의 판면보다 Y2 측, 즉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설편 (73) 과는 Y 축 방향으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고, Y 축 방향에서 그 타방의 판면에 대면하는 제 2 신호 단자 유지부 (63B) 의 내벽면 (타방의 내벽면) 에 대해 그 설편 (83) 의 판면에서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편 (83) 은, 피유지부 (81) 의 압입 돌기 (81A) 가 형성되어 있는 측가장자리에서 되접어 꺾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반대측의 측가장자리에서 되접어 꺾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행부 (84) 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의 제 2 신호 단자 유지부 (63B)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 이행부 (84)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유지부 (81) 의 상부의 X2 측에 위치하는 측가장자리에서 Y2 측에 직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이행부 (84) 의 상단이 상하 방향에서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피유지부 (71) 의 상단과 거의 동 위치에 있다.
연장부 (85)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행부 (84) 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굴곡되어 X2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측 가로부 (85A) 와, 그 상측 가로부 (85A) 의 X2 측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굴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부 (85B) 와, 그 세로부 (85B) 의 하단에서 직각으로 굴곡되어 X2 측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부 (85C) 를 가지고 있다. 상측 가로부 (85A) 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의 후술하는 상방 수용부 (63E) 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 길이 방향 (X 축 방향) 에서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연장부 (75) 보다 짧게 되어 있다 (도 3 도 참조). 세로부 (85B) 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의 후술하는 측방 수용부 (63F) 내에 위치하고 있다. 하측 가로부 (85C) 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X2 측의 단부가 리셉터클 하우징 (60) 외로 연장되어 있다.
신호용 접속부 (86) 는, 도 3(A), (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외에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신호용 접속부 (76) 와 X 축 방향에서 동 위치에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 (2) 가 회로 기판 (P2) 의 실장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 실장면 상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접면하고,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2 개의 접촉 아암부 (87, 88) 는, 도 5 및 도 8(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장접촉 아암부 (87) 와, 그 장접촉 아암부 (87) 보다 아암 길이가 짧은 단접촉 아암부 (88) 를 가지고 있다. 그 접촉 아암부 (87, 88) 는, 이미 서술한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접촉 아암부 (77, 78) 를, 상하 방향 (Z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로 180°회전시키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접촉 아암부 (87, 88) 자체의 형상은, 이미 서술한 접촉 아암부 (77, 78) 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접촉 아암부 (87, 88) 의 각 부에 대해서는, 접촉 아암부 (77, 78) 에서 대응하는 부분의 부호에 「1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탄성 아암부에는 부호 「87B」, 「88B」 를 부여한다).
장접촉 아암부 (87) 의 신호용 접촉부 (87B-1) 는 장접촉 아암부 (77) 의 신호용 접촉부 (77B-1) 와, 그리고 단접촉 아암부 (88) 의 신호용 접촉부 (88B-1) 는 단접촉 아암부 (78) 의 신호용 접촉부 (78B-1) 와,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X2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신호용 접촉부 (77B-1, 78B-1) 는,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수용부 (64) 내에 위치하고 있고,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 신호 단자 (40) 에 접압을 가지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참조).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와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및 하나의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로 이루어지는 쌍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중간부 (62) 의 단자 배열 방향 양측 위치에서 1 쌍씩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는, 상기 중간부 (62) 에 형성된 리셉터클 전원 단자 수용부 (도시 생략) 에서 수용 유지되어 있다.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보다 단자 폭 치수 (Y 축 방향에서의 치수) 가 크게 되어 있다. 그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유지부 (91) 와, 그 피유지부 (91) 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직각으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에서 회로 기판 (P2) 측 (X2 측) 을 향하여 직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92) 와, 그 연장부 (92) 의 회로 기판 (P2) 측의 단부에서 굴곡되어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원용 접속부 (93) 와, 피유지부 (91) 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2 개의 접촉 아암부 (94) 를 가지고 있다.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는, 그 단자 폭 방향이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피유지부 (91) 는,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상단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그 피유지부 (91) 의 판두께 방향이 커넥터 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피유지부 (91)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양측의 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압입 돌기 (91A) 를, 각 측가장자리에 대해 2 개씩 가지고 있다. 그 피유지부 (91)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 수용부 (도시 생략) 의 일부를 이루는 제 1 전원 단자 유지부 (도시 생략) 의 내벽면에 압입 돌기 (91A) 가 파고들어감으로써, 그 제 1 전원 단자 유지부에서 유지되게 되어 있다.
연장부 (92)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피유지부 (91) 보다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 폭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연장부 (92) 는, 그 길이 방향에서 피유지부 (91) 측에 위치하고 가로 L 자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폭협으로 되어 있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 전원용 접속부 (93) 측에 위치하고 직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폭광으로 되어 있다.
전원용 접속부 (93)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외에 위치하고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 (2) 가 회로 기판 (P2) 의 실장면에 배치된 상태 (도 1 참조) 에서, 그 실장면 상의 대응 전원 회로부에 접면하고,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2 개의 접촉 아암부 (94)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로 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 접촉 아암부 (94) 는, 하단 부근 위치에서 X2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있고, 그 돌출된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 전원 단자 (50) 에 접압을 가지고 접촉 가능한 전원용 접촉부 (94A)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2 개의 접촉 아암부 (94) 의 전원용 접촉부 (94A) 는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전원용 접촉부 (94A)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신호용 접촉부 (77B-1, 78B-1) 보다 상방에서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측 수용부 (64) 내에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다.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의 피유지부 (91) 및 접촉 아암부 (94) 보다 회로 기판 (P2) 측 (X2 측) 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상하 방향 (Z 축 방향) 에서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의 연장부 (92) 의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보다 단자 폭 치수 (Y 축 방향에서의 치수) 가 크게 되어 있다. 그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유지부 (101) 와, 그 피유지부 (101) 의 상단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에서 회로 기판 (P2) 측 (X2 측) 을 향하여 직각으로 굴곡되고 나서 하방을 향하여 굴곡되어 직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102) 와, 그 연장부 (102) 의 회로 기판 (P2) 측의 하단에서 굴곡되어 회로 기판 (P2) 측 (X2 측) 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원용 접속부 (103) 와, 피유지부 (101) 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2 개의 접촉 아암부 (104) 를 가지고 있다.
피유지부 (101) 및 접촉 아암부 (104) 는, 이미 서술한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의 피유지부 (91) 및 접촉 아암부 (94) 와 동일한 상하 방향 위치에서, 그 피유지부 (91) 및 그 접촉 아암부 (94) 를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 반전시킨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피유지부 (101) 및 접촉 아암부 (104) 의 각 부에 대해서는, 피유지부 (91) 및 접촉 아암부 (94) 의 각 부의 부호에 「10」 을 더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전원용 접촉부에는 부호 「104A」 를 부여한다). 접촉 아암부 (104) 의 전원용 접촉부 (104A)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의 신호용 접촉부 (87B-1, 88B-1) 보다 상방 위치, 또한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의 전원용 접촉부 (94A) 와 동 위치에서,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측 수용부 (64) 내에 돌출되어 있다.
연장부 (102)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역 L 자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피유지부 (101) 보다 단자 폭 방향 (Y 축 방향) 에서 폭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연장부 (102) 는,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가로부 (102A) 와, 상하 방향 (Z 축 방향) 으로 연장되는 세로부 (102B) 를 가지고 있고, 그 세로부 (102B) 가 상기 가로부 (102A) 보다 폭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원용 접속부 (103)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외에 위치하고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 (2) 가 회로 기판 (P2) 의 실장면에 배치된 상태 (도 1 참조) 에서, 그 회로 기판 (P2) 에 형성된 스루홀 (도시 생략) 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그 스루홀에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의 피유지부 (71, 81) 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및 제 2 신호 단자 유지부 (63B)) 와, 그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의 접촉 아암부 (77, 78) 의 일부를 수용하는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C, 63D) (제 1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C) 와 제 2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D)) 와,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연장부 (75) 및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의 연장부 (85) 의 상측 가로부 (85A) 를 수용하는 상방 수용부 (63E) 와,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의 연장부 (85) 의 세로부 (85B) 를 수용하는 측방 수용부 (63F) 를 가지고 있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중간부 (62) 에 있어서의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의 대략 우반부 (X1 측의 부분) 의 상반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 리셉터클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는, 도 3 의 지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넓어짐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하는 슬릿상의 구멍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중, 도 3 에서 X1 측에 위치하는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는, 도 8(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폭 치수 (S1), 환언하면,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의 내벽면끼리의 거리가,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피유지부 (71) 의 판두께 치수 (S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의 상기 폭 치수 (S1) 는,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돌출부 (72) 의 돌출 정면과 설편 (73) 의 외측의 판면 (Y1 측의 판면) 의 거리 (S3) 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중, 도 3 에서 X2 측에 위치하는 제 2 신호 단자 유지부 (63B) 도, 이미 서술한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와 동일하게, 그 폭 치수, 환언하면, 제 2 신호 단자 유지부 (63B) 의 내벽면끼리의 거리가,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의 피유지부 (81) 의 판두께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폭 치수는,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의 돌출부 (82) 의 돌출 정면과 설편 (83) 의 외측의 판면 (Y2 측의 판면) 의 거리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치수 관계하에서,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 (72, 82) 의 돌출 정면과 이것에 대면하는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의 내벽면 사이, 그리고 설편 (73, 83) 의 상기 판면과 이것에 대면하는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의 내벽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를 약간 크게 설정해 둠으로써, 리셉터클 하우징 (60) 에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의 장착시에, 피유지부 (71, 81), 돌출부 (72, 82) 및 설편 (73, 83) 을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내에 용이하게 가져올 수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의 돌출부 (72, 82) 및 설편 (73, 83) 이,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의 내벽면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돌출부 (72, 82) 의 돌출 정면 및 설편 (73, 83) 의 판면과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의 내벽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고 있어도, 그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내에서 피유지부 (71, 81) 가 그 판두께 방향 (X 축 방향) 에서 거의 경사지는 일이 없이 정규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결과,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전체도 경사지는 일이 없이 정규 위치에 유지되므로, 플러그 신호 단자 (40) 와의 양호한 접촉 상태가 확보되어, 신호 전송 특성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 (72, 82) 는 피유지부 (71, 81)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서의 2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 (72, 82) 를 상하 방향에서의 복수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내에서 피유지부 (71, 81) 를 보다 안정시켜 정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 설편 (73, 83) 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돌출부 (72, 82)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 (72, 82) 및 피유지부 (71, 81) 가 상하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고, 이로써, 신호 단자 유지부 (63A, 63B) 내에서 피유지부 (71, 81) 를 더욱 확실하게 안정시켜 정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C, 63D) 중, 도 3 에서 X1 측에 위치하는 제 1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C) 는,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의 하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와 연통되어 있다. 그 제 1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C) 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돌출벽 (65) 의 X1 측에 위치하는 측면에서 묻힘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하는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접촉 아암부 (77, 78) 의 X2 측의 부분을 수용하고 있다.
제 1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C) 의 홈 바닥은,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제 1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C) 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 중간 위치까지의 범위에서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X2 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고, 그 중간 위치에서 하단까지의 범위에서는, 경사지는 일 없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홈 바닥과 접촉 아암부 (77, 78) 사이에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C) 는, 상기 간극에 의해 접촉 아암부 (77, 78) 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고 있다.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C, 63D) 중, 도 3 에서 X2 측에 위치하는 제 2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D) 는, 이미 서술한 제 1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C) 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칭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제 2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D) 는,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의 접촉 아암부 (87, 88) 의 X1 측의 부분을 수용하고 있다. 또, 그 제 2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D)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제 2 탄성 변위 허용 홈부 (63D) 의 홈 바닥과 접촉 아암부 (87, 88)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의해 그 접촉 아암부 (87, 88) 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고 있다.
상방 수용부 (63E) 는, 단자 배열 방향 (Y 축 방향) 에서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의 위치에서,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중간부 (62) 의 상면에서 묻힘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에서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의 위치로부터 상기 중간부 (62) 의 좌단 (X2 측의 단부) 까지 연장되는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인접하는 상방 수용부 (63E) 사이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중간부 (62) 의 좌단측의 위치에서 중간부 (62) 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기립하는 상방 격벽 (66) 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 (62) 에 형성된 모든 상방 수용부 (63E)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방 격벽 (66) 을 제외한 범위에서 단자 배열 방향에 연통되어 있다. 그 상방 수용부 (63E) 내에 수용된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연장부 (75) 및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의 연장부 (85) 의 상측 가로부 (85A)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상방 격벽 (66) 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연장부 (75) 및 상측 가로부 (85A) 는, 상방 격벽 (66) 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측방 수용부 (63F)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단자 (70, 80) 의 위치에서,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중간부 (62) 의 X2 측의 측면에서 묻힘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상방 수용부 (63E) 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중간부 (62) 의 하단 부근 위치까지 연장되는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인접하는 측방 수용부 (63F) 사이에는, 중간부 (62) 의 하단측의 위치에서 중간부 (62) 의 측면으로부터 X2 측으로 기립하는 측방 격벽 (67) 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 (62) 에 형성된 모든 측방 수용부 (63F)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측방 격벽 (67) 을 제외한 범위에서 단자 배열 방향에 연통되어 있다. 그 측방 수용부 (63F) 내에 수용된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의 연장부 (85) 의 세로부 (85B)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으로 측방 격벽 (67) 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세로부 (85B) 는, 측방 격벽 (67) 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 수용부 (도시 생략) 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의 피유지부 (91, 101) 를 유지하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 유지부와, 그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의 접촉 아암부 (94, 104) 의 일부를 수용하는 탄성 변위 허용 홈부와,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의 연장부 (92) 및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의 연장부 (102) 의 가로부 (102A) 를 수용하는 상방 수용부와,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의 연장부 (102) 의 세로부 (102B) 를 수용하는 측방 수용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리셉터클 전원 단자 유지부 및 그 리셉터클 전원 단자 유지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탄성 변위 허용 홈부는,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측 수용부 (64) 를 형성하는 내벽면 중, 커넥터 폭 방향 (X 축 방향) 으로 돌출벽 (65) 의 양측면과 대면하는 2 개의 벽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돌출벽 (65) 의 양측에 위치하는 벽면) 에서 묻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그 2 개의 벽면의 각각에서, 상기 리셉터클 전원 단자 유지부와 상기 탄성 변위 허용 홈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는 하나의 홈부를 이루고 있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 X1 측에 위치하는 그 홈부에서는,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의 피유지부 (91) 가 압입 유지됨과 함께,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의 접촉 아암부 (94) 가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된다. 한편, 커넥터 폭 방향에서 X2 측에 위치하는 그 홈부에서는,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의 피유지부 (101) 가 압입 유지됨과 함께,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의 접촉 아암부 (104) 가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리셉터클 전원 단자 수용부의 상기 상방 수용부 및 상기 측방 수용부는, 이미 서술한 상기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의 상방 수용부 (63E) 및 측방 수용부 (63F) 를 단자 배열 방향에서 폭광으로 한 것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상기 상방 수용부 및 상기 측방 수용부에 수용된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의 연장부 (92, 102) 는, 이미 서술한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와 동일하게, 중간부 (62) 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 (2) 는, 다음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먼저,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에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를 상방에서 삽입한다. 이 결과,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의 피유지부 (81) 가 제 2 신호 단자 유지부 (63B) 에 압입되고, 그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0) 가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에서 수용 유지된다.
또,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 수용부 (도시 생략) 에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를 상방에서 삽입한다. 이 결과,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의 피유지부 (101) 가 리셉터클 전원 단자 유지부에 압입되고, 제 2 리셉터클 전원 단자 (100) 가 상기 리셉터클 전원 단자 수용부에 수용 유지된다.
다음으로,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에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를 상방에서 삽입한다. 이 결과,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의 피유지부 (71) 가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A) 에 압입되고, 그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가 리셉터클 신호 단자 수용부 (63) 에서 수용 유지된다.
또, 리셉터클 하우징 (60) 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 수용부 (도시 생략) 에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를 상방에서 삽입한다. 이 결과,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의 피유지부 (91) 가 리셉터클 전원 단자 유지부에 압입되고, 제 1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가 상기 리셉터클 전원 단자 수용부에 수용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리셉터클 단자 (70, 80, 90, 100) 를 리셉터클 하우징 (60) 에 장착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 (2) 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끼워 맞춤 접속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 (1) 를 회로 기판 (P1) 의 실장면에 땜납 접속하여 실장함과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 (2) 를 회로 기판 (P2) 의 실장면에 땜납 접속하여 실장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 의 끼워 맞춤부 (31) 가 상방을 향한 자세로 배치하고, 리셉터클 커넥터 (2) 를 리셉터클측 수용부 (64) 가 하방으로 개구된 자세로 하여, 플러그 커넥터 (1) 의 상방으로 가져온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 (2) 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1) 와의 끼워 맞춤 접속을 개시한다.
커넥터 끼워 맞춤 과정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1) 의 끼워 맞춤부 (31) 가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리셉터클측 수용부 (64) 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함과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돌출벽 (65) 이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측 수용부 (34) 내에 상방으로부터 진입한다.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신호용 접촉부 (43) 가,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의 신호용 접촉부 (77B-1, 78B-1) 에 맞닿아 접촉 아암부 (77, 78) 를 탄성 변위시킨다 (도 4 참조). 또,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신호용 접촉부 (53) 가,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의 전원용 접촉부 (94A, 104A) 에 맞닿아 접촉 아암부 (94, 104) 를 탄성 변위시킨다.
또한, 커넥터 끼워 맞춤 과정이 진행되어, 도 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1) 의 끼워 맞춤부 (31) 가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리셉터클측 수용부 (64) 의 안쪽부에 도달함과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돌출벽 (65) 이 플러그 커넥터 (1) 의 플러그측 수용부 (34) 의 안쪽부에 도달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2) 가 끼워 맞춤 접속 상태가 되어, 커넥터 끼워 맞춤 접속 동작이 완료한다. 커넥터 끼워 맞춤 접속 상태에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의 접촉 아암부 (77, 78) 의 탄성 변위 상태는 유지되어 있고, 플러그 신호 단자 (40) 의 신호용 접촉부 (43) 와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의 신호용 접촉부 (77B-1, 78B-1) 가 접압을 가지고 접촉한다. 또,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의 접촉 아암부 (94, 104) 의 탄성 변위 상태는 유지되어 있고,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신호용 접촉부 (53) 와 리셉터클 전원 단자 (90, 100) 의 전원용 접촉부 (94A, 104A) 가 접압을 가지고 접촉한다. 이 결과, 플러그 단자 (40, 50) 와 리셉터클 단자 (70, 80, 90, 100) 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커넥터 끼워 맞춤 직전이나 커넥터 끼워 맞춤 접속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 (1) 와 리셉터클 커넥터 (2) 의 끼워 맞춤 위치가 반드시 단자 배열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가 된다고는 할 수 없고, 이들 방향에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1, 2) 끼리의 어긋남은, 플러그 단자 (40, 50) 의 탄성부 (45, 55) 의 탄성 변위하에서, 가동 하우징 (30) 이 어긋남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이른바 플로팅에 의해 흡수된다.
또 커넥터 발출시에, 플러그 커넥터 (1) 에 대해 끼워 맞춤 접속 상태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2) 를 커넥터 발출 방향, 즉 상향 (Z1 방향) 으로 들어 올리면, 플러그 단자 (40, 50) 에는, 리셉터클 단자 (70, 80, 90, 100) 와의 마찰 등에서 기인하여 상방을 향한 외력이 작용한다.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 (1) 의 가동 하우징 (30) 은, 플러그 단자 (40, 50) 의 탄성부 (45, 55) 의 탄성 변위를 따르면서 상방으로 소정량 이동하지만, 그 가동 하우징 (30) 의 피규제부 (36) 의 피규제면 (36A) 이 고정 하우징 (20) 의 규제부 (22B) 의 규제면 (22B-1) 에 하방에서 맞닿음으로써, 그 소정량 이상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고정 하우징 (20) 나아가서는 플러그 단자 (40, 50) 가 그 이상 들어 올려지는 일은 없고, 회로 기판 (P1) 의 실장면으로부터 플러그 단자 (40, 50) 의 접속부 (41, 51) 가 박리되어 플러그 커넥터 (1) 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가동 하우징 (30) 의 피규제부 (36) 의 피규제면 (36A) 이 고정 하우징 (20) 의 규제부 (22B) 의 규제면 (22B-1) 에 하방에서 맞닿는 힘이 과잉으로 큰 경우, 고정 하우징 (20) 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피유지부 (52) 가, 고정 하우징 (20) 의 피걸림부 (21C) 에 대해 상하 방향에서 걸림 가능한 걸림부 (52B) 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정 하우징 (20) 이 들어 올려졌을 경우에도,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걸림부 (52B) 의 걸림면 (52B-1) 이 고정 하우징 (20) 의 피걸림부 (21C) 의 피걸림면 (21C-1) 에 대해 상방에서 맞닿아 걸림으로써, 그 걸림력으로, 상방을 향한 상기 외력에 대항할 수 있다. 이 결과, 회로 기판 (P1) 의 실장면으로부터의 플러그 단자 (40, 50) 의 접속부 (41, 51) 의 박리 나아가서는 플러그 커넥터 (1) 의 빠짐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걸림부 (52B) 는 플러그 전원 단자 (50) 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의 외력에 대항하기 위한 금구를, 단자 배열 범위 외에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플러그 커넥터 (1) 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대형화되는 일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전원 단자 (50) 의 걸림부 (52B) 는 단자 폭 방향으로 2 개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걸림부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3 개 이상이어도 되고, 또, 걸림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면 1 개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70, 80) 에 있어서, 피유지부 (71, 81) 의 일방의 판면측에 형성되는 제 1 맞닿음부를 돌출부 (72, 82) 로 하고, 타방의 판면측에 형성되는 제 2 맞닿음부를 설편 (73, 83) 으로 했지만, 제 1 맞닿음부 및 제 2 맞닿음부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맞닿음부 및 제 2 맞닿음부의 양방을 돌출부로 해도 되고, 또, 제 1 맞닿음부 및 제 2 맞닿음부의 양방을 설편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에서의 각 위치에 대해 2 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돌출부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 개이어도 되고,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하 방향에서의 각 위치에 돌출부를 1 개만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돌출부를 피유지부의 폭 방향 (X 축 방향) 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그 돌출부의 돌출 정면의 면적, 환언하면, 단자 유지부의 내벽면에 맞닿음 가능한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리셉터클 신호 단자의 자세를 보다 안정시키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 (72, 82) 가 상하 방향에서의 2 지점에 형성되고, 설편 (73, 83) 이 상하 방향에서의 1 지점에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돌출부 및 설편을 형성하는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늘려도 된다. 이로써, 리셉터클 신호 단자의 자세를 보다 더 안정시키기 쉬워진다.
1 플러그 커넥터
2 리셉터클 커넥터
10 플러그 하우징
20 고정 하우징
21C 피걸림부
22 고정측 단벽
30 가동 하우징
40 플러그 신호 단자
41 신호용 접속부
42 고정측 피유지부
43 신호용 접촉부
44 가동측 피유지부
45 신호용 탄성부
45A 하측 만곡부
45B 상측 만곡부
50 플러그 전원 단자
51 전원용 접속부
52 고정측 피유지부
52B 걸림부
53 전원용 접촉부
60 리셉터클 하우징
63A 제 1 신호 단자 유지부
63B 제 2 신호 단자 유지부
70 제 1 리셉터클 신호 단자
71 피유지부
72 돌출부 (제 1 맞닿음부)
73 설편 (제 2 맞닿음부)
77 장접촉 아암부
77B-1 신호용 접촉부
78 단접촉 아암부
78B-1 신호용 접촉부
80 제 2 리셉터클 신호 단자
81 피유지부
82 돌출부 (제 1 맞닿음부)
83 설편 (제 2 맞닿음부)
P1 회로 기판
P2 회로 기판

Claims (4)

  1. 단자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측에 회로 기판의 실장면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 그리고 타단측에 상대 접속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가 형성된 그 단자와, 그 단자를 복수 배열 유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그 하우징이, 상기 단자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과, 그 고정 하우징과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그 고정 하우징에 대해 가동으로 상기 단자의 접촉부를 배치하고 있는 가동 하우징을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고정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고정측 피유지부와, 가동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가동측 피유지부와, 그 고정측 피유지부와 그 가동측 피유지부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를 갖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그 탄성부의 일부에,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직각인 커넥터 높이 방향에서 중복되어 위치하는 부분을 갖도록 만곡된 만곡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길이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으로 되접어 꺽인 상측 되꺾임부 및 하측 되꺾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탄성부 중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만곡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커넥터 높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만곡부와 중복되는 범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신호 단자 및 전원 단자를 가지고 있고,
    그 전원 단자의 접속부는, 상기 신호 단자의 접속부보다,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신호 단자의 접촉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190048663A 2018-04-26 2019-04-25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479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85147A JP7197995B2 (ja) 2018-04-26 2018-04-26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JP-P-2018-085147 2018-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660A KR20190124660A (ko) 2019-11-05
KR102479152B1 true KR102479152B1 (ko) 2022-12-19

Family

ID=6820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663A KR102479152B1 (ko) 2018-04-26 2019-04-25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73181B2 (ko)
JP (1) JP7197995B2 (ko)
KR (1) KR102479152B1 (ko)
CN (1) CN110416770B (ko)
DE (1) DE102019205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8912B2 (ja) * 2018-03-26 2019-10-30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282464B2 (ja) * 2019-05-31 2023-05-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7238675B2 (ja) * 2019-07-31 2023-03-1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および基板用コネクタ
JP7393980B2 (ja) 2020-03-05 2023-12-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付電気コネクタ
JP7369666B2 (ja) * 2020-05-15 2023-10-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I753658B (zh) * 2020-11-16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電源電極結構之浮動連接器
JP7377187B2 (ja) * 2020-12-02 2023-1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12787138B (zh) * 2020-12-30 2022-10-14 立讯精密工业(昆山)有限公司 一种汽车高速连接器组件
US11831093B2 (en) * 2021-03-30 2023-11-28 Cisco Technology, Inc. Socket loc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5352A (ja) * 2013-08-09 2015-02-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6042625A1 (ja) 2014-09-17 2016-03-24 山一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ソケット、および、それらを備える基板接続用コネクタ
WO2018034325A1 (ja) * 2016-08-19 2018-02-22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6804B2 (ja) 1979-05-04 1984-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装置
JP3016164B2 (ja) * 1991-06-19 2000-03-0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可動型コネクタ
JP3905518B2 (ja) * 2004-01-23 2007-04-18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2006120448A (ja) * 2004-10-21 2006-05-11 Sony Corp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07324028A (ja) * 2006-06-02 2007-12-13 Tokai Rika Co Ltd コネクタ構造
JP5185731B2 (ja) * 2008-08-27 2013-04-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用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る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5603790B2 (ja) * 2011-01-28 2014-10-08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CN104584331B (zh) * 2012-09-05 2017-02-22 意力速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JP5499191B1 (ja) * 2013-01-28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84133B2 (ja) * 2013-08-08 2017-02-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2874238A1 (en) * 2013-11-13 2015-05-20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6297928B2 (ja) * 2014-06-02 2018-03-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38382B2 (ja) * 2015-12-15 2018-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9887484B1 (en) * 2017-02-16 2018-02-06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 Zhen) Co., Ltd. Two-part floating electric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5352A (ja) * 2013-08-09 2015-02-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6042625A1 (ja) 2014-09-17 2016-03-24 山一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ソケット、および、それらを備える基板接続用コネクタ
WO2018034325A1 (ja) * 2016-08-19 2018-02-22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73181B2 (en) 2020-06-02
KR20190124660A (ko) 2019-11-05
DE102019205877A1 (de) 2019-10-31
JP7197995B2 (ja) 2022-12-28
CN110416770A (zh) 2019-11-05
JP2019192524A (ja) 2019-10-31
CN110416770B (zh) 2022-04-08
US20190334288A1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152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50966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6475040B1 (en) Electrical contact receptacle to mate with round and rectangular pins
US7320623B2 (en) Connector with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charges accumulated on a mating connector
KR102499444B1 (ko) 전기 커넥터
US1129644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circuit-board-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7107708B2 (ja) コネクタ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US8784133B2 (en) Connector
CN112909608B (zh) 端子零件
US6629864B2 (en) Electrical contact for plug-in connector
US9337557B2 (en) Connector and connection terminal
US7556530B2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US10944217B2 (en) Terminal fitting
US20190267740A1 (en) Connector
KR20150027232A (ko) 조인트 단자
JP2021047994A (ja) コネクタ用雌側端子片及び端子片対
JP2021061124A (ja)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JP2021125315A (ja) ソケットコンタクト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JPH09320693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その組立体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電気コネクタ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