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789B1 -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789B1
KR102478789B1 KR1020220013930A KR20220013930A KR102478789B1 KR 102478789 B1 KR102478789 B1 KR 102478789B1 KR 1020220013930 A KR1020220013930 A KR 1020220013930A KR 20220013930 A KR20220013930 A KR 20220013930A KR 102478789 B1 KR102478789 B1 KR 102478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ntistatic
weight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865A (ko
Inventor
타케시 나가쿠라
타카시 츠카다
후미에 스즈키
켄타로 오츠가
히로유키 요시다
모에미 히로카미
히로토 시시도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865A/ko
Priority to KR102022017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a polyether chain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 C08F283/06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on to unsaturated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4Derivatives of hydrazine
    • C08K5/26Semicarbaz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밸런스가 잡힌 점착력을 갖는 것과 함께, 대전 방지 성능과 내오염 성능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 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50중량부 이상과,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1종 이상의 합계를 5∼4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폴리머와,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D) 가교 지연제와, 주석 화합물 이외의 (E) 가교 촉진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2)의 표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박리제층(4)이 적층된 박리 필름(5)을 박리제층(4)을 개재하여 첩합하고, 박리제층(4)의 대전 방지제를 점착제층(2)의 표면에 전사시킨다.

Description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METHOD FOR PRODUCING ANTISTATIC SURFACE-PROTECTIVE FILM, AND ANTISTATIC SURFACE-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 등의 표면 보호 필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밸런스가 잡힌 점착력을 갖는 것과 함께, 대전 방지 성능과 내오염 성능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재인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의 표면을 일시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이 첩합된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 부재를 제조하는 공정에만 사용되고, 광학 부재를 액정 디스플레이에 장착하는 시점에 광학 부재로부터 박리하여 제거된다. 이러한 광학 부재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 부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공정 필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와 같이 광학 부재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성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광학 부재에 첩합할 때까지 그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 처리된 이형 필름이 첩합되어 있다.
그리고,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는 표면 보호 필름이 첩합된 상태로 액정 표시판의 표시 능력, 색상, 콘트라스트, 이물질 혼입 등의 광학적 평가를 수반하는 제품 검사를 받는다. 이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한 요구 성능으로는 점착제층에 기포나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지 않은 것 및 점착제 조성물의 저분자량 성분이 피착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것, 즉, 내오염 성능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 점착제층이 피착체로부터 박리될 때 발생하는 정전기에 수반하여 생기는 박리 대전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기 제어 회로의 고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염려된다. 이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에는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보호 필름으로 불리기도 한다)으로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이외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고리형 올레핀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편광판의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 박리 대전을 일으키기 쉬운 재료의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 때문에, 편광판의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제층에 요구되는 대전 방지 성능이 종래에 비해 우수한 것이 필요하다.
또한, 최종적으로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에는 신속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른바, 고속 박리에 의해, 신속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점착력이 박리 속도에 의해서도 변화가 적은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근래에는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에 대해, (1)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 (2) 내오염 성능을 갖는 것, (3)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것 등이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의 사용 용이성의 점에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에 대한 요구 성능에 대해, 이들 (1)∼(3)의 각각, 개개의 요구 성능을 만족하는 것은 가능해도,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에 요구되는 (1)∼(3)의 모든 요구 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과제였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1)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 (2) 내오염 성능을 갖는 것, 및 (3)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각각 다음과 같은 제안이 알려져 있다.
(1)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에 관해서는, 탄소수가 7 이하인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을 가교제로 가교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의 점착제층에서는, 장기간 접착했을 경우에 점착제의 피착체 측에 대한 이착이 생기고, 또한,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의 경시 상승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탄소수가 8∼10인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공중합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이것을 가교제로 가교 처리한 겔분율이 60% 이상인 점착제층 및 그 점착제층을 형성한 표면 보호 부재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점착제층에서는, 피착체에 대한 접착력이 경시 변화로 증대하는 것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공중합체에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성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소량 배합하여, 이것을 가교제로 가교 처리한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점착제층은 표면 장력이 낮아 표면이 평활한 플라스틱 판 등의 표면 보호에 사용하면, 가공시나 보존시의 가열에 의해 들뜸 등의 박리 현상을 일으키는 문제나, 수작업 영역인 고속 박리 속도에서의 점착력이 커서 재박리성이 열악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 탄소수가 8∼10인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b)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성 화합물 1∼15중량부와, c) 탄소수가 1∼5인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비닐에스테르 3∼100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에, 상기 b) 성분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당량 이상의 가교제를 배합한 점착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에서는, 가공시나 보존시에 있어서, 들뜸 등의 박리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접착력의 경시 상승성이 작아 재박리성이 우수하며, 장기 보존, 특히 고온 분위기하에서 장기 보존해도 작은 힘으로 재박리할 수 있고, 그 때 피착체 상에 점착제 잔여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또한 고속 박리를 행했을 때에도 작은 힘으로 재박리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에서는,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모두 90%이며, 저속 박리 속도에서의 점착력이 과대해지기 쉽고, 점착제층으로부터 미중합 모노머 혹은 올리고머가 용출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대전 방지 성능 및 내오염 성능에 관한 기재는 없고, 박리 대전을 일으키기 쉬운 재료를 피착체로 했을 경우에,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 및 내오염 성능을 구비한 점착제층으로 개량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 내오염 성능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0질량부 이상 0.5질량부 미만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0.6∼9질량부의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및 99.4∼90.5질량부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 이루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 100만 미만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0.1∼5질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특정 조성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가교제로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오토클레이브 처리시의 압력 및 온도에 의한 수축에 추종할 수 있는 가교 구조를 갖는 점착제층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층은 고온·고압 조건하(오토클레이브 처리시)에서도 발포를 억제·방지할 수 있고, 내오염 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투명성도 우수하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에서는, 내오염 성능이 개량되어 있으나,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에 의한 우수한 점착 성능과 함께, 대전 방지 성능을 양립시키는 것은 실현시키지 못하였으며, 추가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또한, (3)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표면 보호 필름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재 필름에 대전 방지제를 혼입시키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대전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a) 4차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1∼3차 아미노기 등의 양이온성기를 갖는 각종 양이온성 대전 방지제, (b) 설폰산염기, 황산에스테르염기, 인산에스테르염기, 포스폰산염기 등의 음이온성기를 갖는 음이온성 대전 방지제, (c) 아미노산계, 아미노황산에스테르계 등의 양성 대전 방지제, (d) 아미노알코올계, 글리세린계, 폴리에틸렌글리콜계 등의 비이온성 대전 방지제, (e) 상기와 같은 대전 방지제를 고분자량화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등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4).
그러나,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는, 피착체에 대한 이물질 부착과 관련된 대전 방지 성능의 부여에 관한 기재는 있으나, 우수한 점착 성능과 함께 내오염 성능을 양립시키는 해결 수단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추가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서 남아 있다.
또한, 근래에는 대전 방지제를 기재 필름에 함유시키거나, 혹은 기재 필름의 표면에 도포하지 않고 직접 점착제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플루오로기 및 설포닐기를 갖는 음이온을 구비한 염이 폴리에테르기를 주쇄 중에 포함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가소제에 용해된 상태로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성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5).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가소제로서 포화 또는 불포화 비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모노 또는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1∼20의 비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알코올로부터 형성되는 에스테르, 혹은, 상기 불포화 비고리형 탄화수소기 중의 불포화기가 에폭시화된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포화 또는 불포화 비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모노 또는 디카르복실산은 점착제층에 사용되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아크릴 단량체의 탄소수와 근접한 탄소수를 가짐으로써, 제전성 점착제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양호해지고, 가소제가 아크릴계 제전성 점착제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블리드 아웃이 억제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제전성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에 있어서는, 대전 방지 성능 및 블리드 아웃의 개량 기술의 개시는 있으나,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점착 성능이 얻어지는 것의 기재는 없고, 우수한 점착 성능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는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2567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561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220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0706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18469호
상기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에 대한 요구 성능으로서, (1)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 (2) 내오염 성능을 갖는 것, (3)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것을 동시에 달성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종래 기술은 찾을 수 없었다.
또한, 종래부터 대전 방지 성능을 구비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점착제층, 및 그것을 사용한 표면 보호 필름의 대전 방지 성능과 피착체에 대한 내오염 성능의 관계는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이며, 대전 방지 성능을 유지한 채로 내오염 성능을 개선하는 것은 곤란했다.
나아가 근래에는 표면 보호 필름이 첩합되는 피착체 재질의 종류가 증가하고, 또한, 피착체의 표면 처리한 상태도 다방면에 걸치기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이 모든 피착체에 대해, 특히, 상기 (1)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 및 (2) 내오염 성능을 갖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밸런스가 잡힌 점착력을 갖는 것과 함께, 대전 방지 성능과 내오염 성능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점 온도(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유 비율을 특정 범위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공·건조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한 후, 그 점착제층의 표면에 적당량의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 및 대전 방지제를 부여함으로써,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을 낮게 억제하고(내오염 성능을 갖고), 피착체인 광학용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압을 낮게 억제하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의 공정 (1)∼(3),
공정 (1):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와, (B)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6.0중량부와, (F)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50중량부를,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함유시키지 않고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폴리머이며,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 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50중량부 이상과,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1종 이상의 합계를 5∼4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가교제로서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추가로 (D) 가교 지연제와, (E) 가교 촉진제로서 주석 화합물 이외의 가교 촉진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작하는 공정과,
공정 (2):투명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을 제작하는 공정과,
공정 (3):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박리제층이 적층된 박리 필름을, 상기 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하고, 상기 박리제층의 상기 대전 방지제를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시키는 공정을, 공정 (1)∼(3)의 순서를 거쳐 제작하며, 상기 박리제층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와,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과,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가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s-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리제층 중의 대전 방지제가 알칼리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와, (B)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6.0중량부와, (F)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50중량부를,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함유시키지 않고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폴리머이며,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 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50중량부 이상과,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1종 이상의 합계를 5∼4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가교제로서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추가로 (D) 가교 지연제와, (E) 가교 촉진제로서 주석 화합물 이외의 가교 촉진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박리제층이 적층된 박리 필름이, 상기 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박리제층의 상기 대전 방지제가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박리제층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와,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과,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가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s-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리제층 중의 대전 방지제가 알칼리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F)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가,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반복수가 3∼14이고,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 중의 디에스테르분이 0.2% 이하이며,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이며, 상기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에 있어서 피착체가 되는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이 TAC계 필름, PMMA계 필름, PET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고, 또한, 상기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의 표면에 실시되어 있는 표면 처리가 미처리, AG 처리, LR 처리, AR 처리, AG-LR 처리, AG-AR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가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가교 지연제가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이고,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D) 가교 지연제를 0.1∼30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E) 가교 촉진제가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 티탄 킬레이트 화합물, 철 킬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이고,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E) 가교 촉진제를 0.001∼0.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D)/상기 (E)의 중량부 비율이 8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HLB값이 6∼12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을 0.01∼0.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리제층 중의 실리콘계 화합물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리제층 중의 대전 방지제가 Li염이고, LiTFSI, LiFSI, LiTF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에 대한 오염이 적고, 피착체에 대한 내오염 성능이 경시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LR 편광판이나 AG-LR 편광판 등의 피착체의 표면이 실리콘 화합물이나 불소 화합물 등에서 방오염 처리되어 있는 광학용 필름으로서도,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 발생하는 박리 대전압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 경시 열화되지 않고 우수한 박리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하면, PMMA를 기재로 하는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도, (1)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 및 (2) 내오염 성능을 갖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점 온도(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유 비율을 특정 범위로 규정함으로써, 특히, PMMA를 기재로 하는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도, (1)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 및 (2) 내오염 성능을 갖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한편,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1종 이상을 함유시키는 것이, (1)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 및 (2) 내오염 성능을 갖는 것을 양립시키는 것에 기여하고 있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생각되는 이유로는, 이들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카르복실기나 아미드기와 같은 극성 관능기, 혹은 C10을 초과하는 장쇄 알킬기를 갖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Tg가 높은 폴리머가 얻어지기 때문에, 가교 상태에 있어서의 점착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것, 또한,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에 있어서 피착체가 되는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이 PMMA계 필름의 경우에는, 당해 PMMA계 필름의 주성분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의 친화성이 향상되는 것 등이 그 이유로서 추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 부품의 실시예의 하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개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은 투명한 기재 필름(1)의 한쪽 면의 표면에 점착제층(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점착제층(2)의 표면에는 수지 필름(3)의 표면에 박리제층(4)이 형성된 박리 필름(5)이 첩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1)으로는, 투명성 및 가요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이 사용된다. 이에 의해,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인 광학 부품에 첩합한 상태로 광학 부품의 외관 검사를 행할 수 있다. 기재 필름(1)으로서 사용하는 투명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외에 필요한 강도를 갖고, 또한 광학 적성을 갖는 것이면,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도 사용 가능하다. 기재 필름(1)은 무연신 필름이어도, 1축 또는 2축 연신된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연신 필름의 연신 배율이나, 연신 필름의 결정화에 수반하여 형성되는 축방향의 배향 각도를 특정값으로 제어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2∼100㎛ 정도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20∼50㎛ 정도의 두께이면 취급하기 쉬워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1)의 점착제층(2)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에,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는 방오층, 대전 방지층, 흠집 방지 하드 코트층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1)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개질, 앵커 코트제의 도포 등의 이접착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에 사용되는 점착제층(2)은 피착체의 표면에 접착되고, 사용이 끝난 후 간단히 박리할 수 있고, 또한, 피착체를 오염시키기 어려운 점착제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학용 필름에 첩합 후의 내구성 등을 고려하면, 아크릴계 폴리머를 가교시킨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점착제층(2)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와, (B)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6.0중량부와, (F)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50중량부를,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함유시키지 않고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폴리머이고,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 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50중량부 이상과,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1종 이상의 합계를 5∼4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가교제로서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추가로 (D) 가교 지연제와, (E) 가교 촉진제로서 주석 화합물 이외의 가교 촉진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는 비고리형(직쇄, 분기상), 고리형(단환, 다환)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상기 (A)의 합계 100중량부 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50중량부 이상과,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1종 이상의 합계를 5∼4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는 상기 (A)의 합계 100중량부 중, 50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중,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s-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펜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헥실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들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6인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4인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며,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s-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1종 이상의 합계는, 상기 (A)의 합계 100중량부 중, 5∼4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4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3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모노머에 대해, 단순히 Tg라고 하는 경우는 호모폴리머의 Tg를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사용되는 (B)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는,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상기 (A)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B)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를 1.0∼6.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2.0∼6.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5.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F)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와는 다른 성분으로서 점착제 조성물에 첨가되어도 된다. 어느 경우도,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가 대전 방지 보조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이 갖는 복수의 수산기 중, 하나의 수산기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 에스테르화된 화합물이면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기가 중합성기가 되므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공중합할 수 있다. 다른 수산기가 OH 그대로인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여도 되고, 다른 수산기가 알킬에테르로 변환된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어도 된다. 한편,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기 (F)에 해당하는 점에서, 수산기를 함유해도 상기 (B)로는 분류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기를 갖는 글리콜 화합물이면 되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가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반복수가 3∼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반복수」란,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분자 구조에 포함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부분에 있어서 알킬렌옥사이드 단위가 반복하는 평균의 수이다.
또한,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 중의 디에스테르분은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중의 디에스테르분」이란,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 중에 포함되는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함유율(중량%)이다.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는,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상기 (A)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 1∼50중량부의 비율로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1∼35중량부의 비율로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25중량부의 비율로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 적절히 공지된 중합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함유시키지 않고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폴리머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산가는 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내오염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산가」란, 산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이며,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폴리머 1g을 중화하기 위해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수로 나타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가교제로서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한다.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류의 뷰렛 변성체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트리메틸올프로판이나, 글리세린 등의 3가 이상의 폴리올과의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비율로는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0.1∼1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6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D) 가교 지연제를 함유한다. (D) 가교 지연제로는 아세토초산메틸, 아세토초산에틸, 아세토초산옥틸, 아세토초산올레일, 아세토초산라우릴, 아세토초산스테아릴 등의 β-케토에스테르나, 아세틸아세톤, 2,4-헥산디온, 벤조일아세톤 등의 β-디케톤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케토엔올 호변이성체 화합물이고,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록함으로써, 가교제의 배합 후에 있어서의 점착제 조성물의 과잉인 점도 상승이나 겔화를 억제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를 연장할 수 있다. (D) 가교 지연제는 특히 아세틸아세톤, 아세토초산에틸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D) 가교 지연제를 0.1∼30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E) 가교 촉진제로서 주석 화합물 이외의 가교 촉진제를 함유한다. (E) 가교 촉진제는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가교제로 하는 경우에, 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의 반응(가교 반응)에 대해 촉매로서 기능하는 물질이면 된다. (E) 가교 촉진제로는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은 중심 금속 원자 M에 1 이상의 다좌 배위자 L이 결합한 화합물이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은 금속 원자 M에 결합하는 1 이상의 단좌 배위자 X를 가져도 되고, 갖지 않아도 된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트리스(2,4-펜탄디오네이트)철(III), 철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타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루테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아연 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지르코늄 테트라키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트리스(2,4-헥산디오네이트)철(III), 비스(2,4-헥산디오네이트)아연, 트리스(2,4-헥산디오네이트)티탄, 트리스(2,4-헥산디오네이트)알루미늄, 테트라키스(2,4-헥산디오네이트)지르코늄 등을 들 수 있다.
(E) 가교 촉진제로는,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 티탄 킬레이트 화합물, 철 킬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E) 가교 촉진제를 0.001∼0.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가교 지연제는 (E) 가교 촉진제와는 반대로 가교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점에서, (D) 가교 지연제와 (E) 가교 촉진제의 비율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를 길게 하고,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D)/(E)의 중량부 비율이 8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7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3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D)/(E)의 중량부 비율이란 (D)의 중량부를 (E)의 중량부로 나누어서 얻어진 몫의 값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임의 성분으로서, (G)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을 함유해도 된다.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은 폴리에테르기를 갖는 실록산 화합물이고, 통상적인 실록산 단위 [-SiR1 2-O-] 외에, 폴리에테르기를 갖는 실록산 단위 [-SiR1(R2O(R3O)nR4)-O-]를 갖는다. 여기서, R1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 R2 및 R3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기, R4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기나 아실기 등(말단기)을 나타낸다. 폴리에테르기로는, 폴리옥시에틸렌기 [(C2H4O)n]나 폴리옥시프로필렌기 [(C3H6O)n]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기를 갖는 실록산 단위에 있어서, 폴리에테르기의 말단이 OH기(상기 화학식에 있어서 R4=H)이어도 된다.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은 HLB값이 6∼12인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이 0.01∼0.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0.3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2∼0.2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HLB값이란, 예를 들면, JIS K3211(계면활성제 용어) 등으로 규정하는 친수 친유 밸런스(친수성 친유성비)이다.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은 예를 들면, 수소화규소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주쇄에 대해, 불포화 결합 및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을 히드로실릴화 반응에 의해 그래프트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을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점착제층의 점착력 및 리워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는 HLB값이 낮고, 분자량이 낮은 편이 상용성은 양호하지만, 분자량이 낮은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이면, HLB값이 비교적 높고,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약간 낮아도 우수한 대전 방지성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한 첨가제에 한정하지 않고, 계면활성제, 경화 촉진제, 가소제, 충전제, 경화 지연제, 가공 보조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가 적절히 배합되어도 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에 사용되는 점착제층(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5∼40㎛ 정도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10∼30㎛ 정도의 두께가 보다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피착체의 표면에 대한 박리 강도(점착력)가 0.03∼0.3N/25㎜ 정도의 미점착력을 갖는 점착제층(2)인 것이 피착체로부터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의 조작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으로부터 박리 필름(5)을 박리할 때의 조작성이 우수한 점에서, 박리 필름(5)의 점착제층(2)으로부터의 박리력이 0.2N/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에 사용되는 박리 필름(5)은 수지 필름(3)의 한쪽 면에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와,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과,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박리제층(4)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 필름(3)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나,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나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은 무연신 필름이어도, 1축 또는 2축 연신된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연신 필름의 연신 배율이나, 연신 필름의 결정화에 수반하여 형성되는 축방향의 배향 각도를 특정값으로 제어해도 된다.
수지 필름(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12∼100㎛ 정도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20∼50㎛ 정도의 두께이면 취급하기 쉬워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지 필름(3)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개질, 앵커 코트제의 도포 등의 이접착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박리제층(4)을 구성하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에는 부가 반응형, 축합 반응형, 양이온 중합형, 라디칼 중합형 등의 공지된 실리콘계 박리제를 들 수 있다. 부가 반응형 실리콘계 박리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예를 들면, KS-776A, KS-847T, KS-779H, KS-837, KS-778, KS-830(신에츠 화학 공업(주) 제조), SRX-211, SRX-345, SRX-357, SD7333, SD7220, SD7223, LTC-300B, LTC-350G, LTC-310(도레이 다우코닝(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축합 반응형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예를 들면, SRX-290, SYLOFF-23(도레이 다우코닝(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형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예를 들면, TPR-6501, TPR-6500, UV9300, VU9315, UV9430(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조), X62-7622(신에츠 화학 공업(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형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예를 들면, X62-7205(신에츠 화학 공업(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제층(4)을 구성하는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로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카르비놀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제층 표면의 대전 방지성을 향상하기 위해,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한 박리제층 중에 상용되어 있는 상태의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용도에는, 변성 실리콘 화합물 중에서도,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에 있어서의 폴리에테르 사슬은,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측쇄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분자량을 선택함으로써, 실리콘 박리제와의 상용성이나 대전 방지 효과 등의 물성이 조정된다.
또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예를 들면, KF-351A, KF-352A, KF-353, KF-354L, KF-355A, KF-642(신에츠 화학 공업(주) 제조), SH8400, SH8700, SF8410(도레이 다우코닝(주) 제조), TSF-4440, TSF-4441, TSF-4445, TSF-4446, TSF-4450(모멘티브 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조), BYK-300, BYK-306, BYK-307, BYK-320, BYK-325, BYK-330(빅 케미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에 대한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의 첨가량은, 실리콘 화합물의 종류나 박리제와의 상용성의 정도에 따라 상이하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 요구되는 박리 대전압, 피착체에 대한 내오염 성능, 점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면 된다.
박리제층(4)을 구성하는 대전 방지제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 용액에 대해 분산성이 양호한 것이며, 또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의 경화를 저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로는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리튬, 나트륨, 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Li, Na, K로 이루어지는 양이온과, Cl-, Br-, I-, BF4 -, PF6 -, SCN-, ClO4 -, CF3SO3 -, (FSO2)2N-, (CF3SO2)2N-, (C2F5SO2)2N-, (CF3SO2)3C-로 이루어지는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금속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박리제층(4) 중의 대전 방지제가 Li염이고, LiTFSI, LiFSI, LiTF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iTFSI는 Li(CF3SO2)2N을 나타낸다. 또한, LiFSI는 Li(FSO2)2N을 나타낸다. 또한, LiTF는 LiCF3SO3를 나타낸다. 이들 알칼리 금속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온성 물질의 안정화를 위해,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에 대한 대전 방지제의 첨가량은 대전 방지제의 종류나 박리제와의 친화성의 정도에 따라 상이하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 요구되는 박리 대전압, 피착체에 대한 내오염 성능, 점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면 된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및 대전 방지제의 혼합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에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및 대전 방지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박리제 경화용 촉매를 첨가·혼합하는 방법,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를 미리 유기 용제로 희석한 후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및 대전 방지제와 박리제 경화용 촉매를 첨가, 혼합하는 방법, 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를 미리 유기 용제에 희석 후, 촉매를 첨가·혼합하고, 그 후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과 대전 방지제를 첨가, 혼합하는 방법 등 어느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 등의 밀착 향상제나 폴리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등의 대전 방지 효과를 보조하는 재료를 첨가해도 된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및 대전 방지제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및 대전 방지제를 고형분으로서 5∼100중량부 정도의 중량비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및 대전 방지제의 고형분 환산 첨가량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의 비율보다 적으면, 점착제층의 표면에 대한 대전 방지제의 전사량도 적어져서 점착제에 대전 방지의 기능이 발휘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및 대전 방지제의 고형분 환산의 첨가량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100중량부의 비율을 초과하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및 대전 방지제와 함께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도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되기 때문에, 점착제의 점착 특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의 기재 필름(1)에, 점착제층(2)을 형성하는 방법 및 박리 필름(5)을 첩합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으로 행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1) 기재 필름(1)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2)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도포,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박리 필름(5)을 첩합하는 방법, (2) 박리 필름(5)의 표면에 점착제층(2)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도포·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기재 필름(1)을 첩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나,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기재 필름(1)의 표면에 점착제층(2)을 형성하는 것은 공지된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리버스 코팅,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슬롯 다이 코팅, 메이어 바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등의 공지된 도공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하게, 수지 필름(3)에 박리제층(4)을 형성하는 것은 공지된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그라비아 코팅, 메이어 바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등의 공지된 도공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으로부터, 박리 필름(5)을 박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으로부터, 박리 필름(5)을 박리함으로써, 박리 필름(5)의 박리제층(4)에 포함되는 대전 방지제(7)의 일부가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의 점착제층(2)의 표면에 전사된다(부착된다). 이 때문에, 도 2에 있어서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2)의 표면에 전사된, 대전 방지제를 부호 7의 반점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박리 필름을 박리한 상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1)을 피착체에 첩합하는데 있어서, 이 점착제층(2)의 표면에 전사된 대전 방지제(7)가 피착체의 표면에 접촉한다. 이로써, 재차, 피착체로부터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압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대전 방지제(7)에 추가로,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이 박리제층(4)으로부터 점착제층(2)의 표면에 전사되어도 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광학 부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으로부터, 박리 필름(5)이 박리되고, 점착제층(2)이 표출된 상태로, 그 점착제층(2)을 개재하여 피착체인 광학 부품(8)에 첩합된다.
즉, 도 3에는 본 실시형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이 첩합된 광학 부품(20)을 나타내고 있다. 광학 부품으로는 편광판, 위상차판, 렌즈 필름, 위상차판 겸용 편광판, 렌즈 필름 겸용 편광판 등의 광학용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부품은 액정 표시 패널 등의 액정 표시 장치, 각종 계기류의 광학계 장치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된다. 또한, 광학 부품으로는 반사 방지 필름, 하드 코트 필름, 터치 패널용 투명 도전성 필름 등의 광학용 필름도 들 수 있다. 특히, 표면이 실리콘 화합물이나 불소 화합물 등에서 방오염 처리되어 있는 저반사 처리 편광판(LR 편광판)이나 안티 글레어 저반사 처리 편광판(AG-LR 편광판) 등의 광학용 필름의 방오염 처리한 면에 첩합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부품에 의하면,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을 피착체인 광학 부품(광학용 필름)으로부터 박리 제거할 때, 박리 대전압을 충분히 낮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드라이버 IC, TFT 소자, 게이트선 구동 회로 등의 회로 부품을 파괴할 우려가 없고, 액정 표시 패널 등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생산 효율을 높이고, 생산 공정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은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의 점착제층(2)이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에 첩합되어도 된다. 여기서,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에 있어서 피착체가 되는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이 TAC계 필름, PMMA계 필름, PET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TAC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PMMA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ET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약칭이다.
또한,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에 있어서 피착체가 되는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의 표면에 실시되어 있는 표면 처리가 미처리, AG 처리, LR 처리, AR 처리, AG-LR 처리, AG-AR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서, AG란 안티 글레어(Anti Glare), LR이란 로우 리플렉션(Low Reflection), AR이란 안티 리플렉션(Anti Reflection)이다.
본 실시형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에 있어서, 박리제층(4)의 대전 방지제가 전사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2)의 표면 저항률이 1.0×10+12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10+11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10+11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층(2)의 표면 저항률이 크면, 점착제층(2)을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 발생한 정전기를 흘려보내는 성능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점착제층(2)의 표면 저항률을 충분히 작게 함으로써, 점착제층(2)을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에 수반하여 생기는 박리 대전압이 저감되어, 피착체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에 있어서, 박리제층(4)의 대전 방지제가 전사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2)은,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저굴절률층에 대한, 점착제층(2)의 박리 대전압이 +0.3∼-0.3kV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불소 화합물로는, 불소화 올레핀류, 불소화 비닐에테르류, 불소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물인 함불소 공중합체, 불소화 알킬기 함유 실란 화합물 등의 축합물을 들 수 있다. 함불소 공중합체는 불소화된 모노머에 더해,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화되어 있지 않은 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저굴절률층은 고굴절률층 등과 조합하여 반사 방지층을 구성해도 된다.
저굴절률층에 대한 박리 대전압을 측정할 때, 표면에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로는, PMMA 기재 및 TAC 기재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에 있어서, 박리제층(4)의 대전 방지제가 전사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2)은 PMMA 기재 및 TAC 기재의 표면에 아무 처리도 되어 있지 않은 플레인층에 대한 박리 대전압이 +0.3∼-0.3kV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2)이 편광판 등의 피착체에 첩합한 후, 온도 60℃, 습도 90%RH의 분위기하에 2일(48hr) 방치하고, 상기 분위기하에서 꺼낸 후, 1일 경과한 후 박리했을 때, 오염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착체로는 편광자에 보호층을 적층하고, 보호층의 표면이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저반사 표면 처리된 편광판을 들 수 있다. 저반사 표면 처리에 사용되는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상술한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저굴절률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보호층 및 표면 처리로는, 상술한 편광자의 보호층 및 그 표면에 실시되어 있는 표면 처리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기재가 TAC계 필름, PMMA계 필름, PET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며, 또한, 상기 표면 기재의 표면에 실시되어 있는 표면 처리가 미처리, AG 처리, LR 처리, AR 처리, AG-LR 처리, AG-AR 처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편광판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에 있어서, 박리제층(4)의 대전 방지제가 전사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2)을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15㎛의 두께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이 편광판의 표면에 첩합된 후,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을 박리할 때, 저속 박리 속도 0.3m/min에서의 점착력이 0.01∼0.1N/25㎜이며, 고속 박리 속도 30m/min에서의 점착력이 1.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속 박리 속도 30m/min에서의 점착력이 0.2∼0.8N/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점착력이 박리 속도에 의해서도 변화가 적은 성능이 얻어지고, 고속 박리에 의해서도, 신속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부착을 위해, 일단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을 박리할 때도 과대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 피착체로부터 박리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10)에 있어서, 박리제층(4)의 대전 방지제가 전사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2)의 겔분율은 95∼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97∼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점착제층(2)의 겔분율이 높음으로써, 저속 박리 속도에서의 점착력이 과대해지지 않고, 점착제층(2)으로부터의 미중합 모노머 혹은 올리고머의 용출이 저감되어, 리워크성이나 고온·고습도에 있어서의 내구성이 개선되어 피착체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 필름은, 본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수지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표면 보호 필름은, 본 실시형태의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이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2)의 표면에 박리제층(4)의 대전 방지제가 전사됨으로써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이 되고,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은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가 우수하며, 추가로 내오염 성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편광판의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박리제층(4)의 대전 방지제가 전사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2)을 적층함으로써, 점착제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방현(안티 글레어) 필름, 자외선 흡수 필름, 적외선 흡수 필름,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부재가 적용되는 기기로는 액정 패널, 유기 EL 패널,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 등의 광학용 표면 보호 필름 및 점착 필름의 경우, 기재 필름 및 점착제층은 충분한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질소 가스를 도입하고, 반응 장치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했다. 그 후, 반응 장치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0중량부,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중량부, 8-히드록시옥틸아크릴레이트 4.5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n=12) 10중량부와 함께 용제(초산에틸)를 첨가했다. 그 후,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중량부를 2시간에 걸쳐 적하시키고, 65℃에서 6시간 반응시켜, 실시예 1의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에 대해, 아세틸아세톤 8.5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코로네이트 HX(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를 2.0중량부, 티타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0.1중량부,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HLB=7) 0.05중량부를 첨가해 교반 혼합하여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6 및 비교예 1∼4]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을 각각 표 1의 기재와 동일하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6 및 비교예 1∼4의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2의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는, 추가로 표 2의 「대전 방지제」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점착제 조성물에 첨가했다. 한편,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의 아크릴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였다. 비교예 4의 아크릴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인 공중합체였다.
표 1의 각 란 및 표 2의 「대전 방지제」에 있어서, 각 성분의 중량부는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계를 100중량부로서 구했다. 표 2의 「(D)/(E)」는 중량부 비율이다. 또한, 표 1의 (B)∼(G)의 각 란에서는 (A), (B), (F)의 중량부의 합계로서 산출되는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부를 100중량부로 했을 때의 각 성분의 함유 비율(중량부)을 괄호( ) 내의 수치로 나타냈다. 또한, 표 2의 「대전 방지제」에 있어서, LiTFSI는 Li(CF3SO2)2N을 나타내고, LiTF는 LiCF3SO3를 나타낸다.
Figure 112022011810672-pat00001
Figure 112022011810672-pat00002
또한, 표 1에 사용한 (A)∼(G)의 각 성분의 약기호의 화합물명을 표 3에 나타낸다. 한편, 코로네이트(등록상표) HX, HL 및 L은 도소 주식회사의 상품명이며, 타케네이트(등록상표) D-140N, D-110N은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의 상품명이다.
또한, (F)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 중, F-1∼F-3은 디에스테르분이 0.2wt% 이하인 모노머이고, F-4는 디에스테르분이 0.8wt%인 모노머이다. n의 값은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반복수를 나타낸다.
또한, (G)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 중, G-1∼G-6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하이다.
Figure 112022011810672-pat00003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실시예 1]
부가 반응형 실리콘(도레이 다우코닝(주) 제조, 품명:SRX-345) 5중량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도레이 다우코닝(주) 제조, 품명:SH8400) 0.15중량부, 대전 방지제로서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염(LiTFSI)을 0.5중량부, 톨루엔과 초산에틸의 1:1의 혼합 용매 95중량부 및 백금 촉매(도레이 다우코닝(주) 제조, 품명:SRX-212 캐탈리스트) 0.05중량부를 혼합해 교반·혼합하고, 실시예 1의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를 조제했다. 두께가 38㎛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실시예 1의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를 건조 후의 두께가 0.2㎛가 되도록 메이어 바로 도포하고, 120℃의 열풍 순환식 오븐에서 1분간 건조하여, 실시예 1의 박리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두께가 38㎛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후, 100℃의 열풍 순환식 오븐에서 2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그 후, 이 점착제층의 표면에 상기에서 제작한 실시예 1의 박리 필름의 박리제층(실리콘 처리면)을 첩합했다. 얻어진 점착 필름을 40℃의 환경하에서 5일간 보온하고, 점착제를 경화시켜, 실시예 1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6]
실시예 1의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의 조성을 각각 표 4의 기재와 동일하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6의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 및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를 각각 실시예 2∼6의 점착제 조성물 및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6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부가 반응형 실리콘(도레이 다우코닝(주) 제조, 품명:SRX-345) 5중량부, 톨루엔과 초산에틸의 1:1의 혼합 용매 95중량부 및 백금 촉매(도레이 다우코닝(주) 제조, 품명:SRX-212 캐탈리스트) 0.05중량부를 혼합해 교반·혼합하고, 비교예 1의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를 조제했다. 두께가 38㎛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비교예 1의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를 건조 후의 두께가 0.2㎛가 되도록 메이어 바로 도포하고, 120℃의 열풍 순환식 오븐에서 1분간 건조하여, 비교예 1의 박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두께가 38㎛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한 후, 100℃의 열풍 순환식 오븐에서 2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그 후, 이 점착제층의 표면에 상기에서 제작한 비교예 1의 박리 필름의 박리제층(실리콘 처리면)을 첩합했다. 얻어진 점착 필름을 40℃의 환경하에서 5일간 보온하고, 점착제를 경화시켜, 비교예 1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비교예 2의 점착제 조성물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4]
실시예 1의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의 조성을 각각 표 4의 기재와 동일하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4의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 및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를 각각 비교예 3∼4의 점착제 조성물 및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도료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4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한편, 표 4의 「대전 방지제」에 있어서, LiTFSI는 Li(CF3SO2)2N을 나타내고, LiFSI는 Li(FSO2)2N을 나타내며, LiTF는 LiCF3SO3를 나타낸다.
Figure 112022011810672-pat00004
<시험 방법 및 평가>
실시예 1∼6 및 비교예 1∼4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각각 온도 23℃, 습도 50%RH의 분위기하에서 7일간 에이징한 후, 이하의 시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한편, 실시예 1∼6 및 비교예 3∼4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이형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박리제층의 대전 방지제를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시킬 수 있다. 비교예 1∼2에서는 점착제층의 전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다.
<점착력의 시험 방법>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두께가 15㎛인 점착제층을 표출시킨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판의 표면에 첩합하여, 1일 방치한 후, 50℃, 5기압, 20분간 오토 클레이브 처리하고, 실온에서 추가로 12시간 방치한 것을 점착력의 측정 시료로 했다. 얻어진 측정 시료를 180°방향으로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저속도(0.3m/min) 또는 고속도(30m/min)에 있어서 박리하여 측정한 박리 강도를 점착력으로 했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의 편광자의 보호층은 AG-LR 처리층을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이다.
<표면 저항률의 시험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에이징한 후, 편광판에 첩합하기 전,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표출하고, 저항률계 하이레스타(등록상표) UP-HT450(미츠비시 케미컬 애널리테크 제조)을 이용하여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률을 측정했다.
<박리 대전압의 시험 방법>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점착제층을 표출시킨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면에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저굴절률층을 갖는 편광판에 첩합했다.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30m/min의 인장 속도로 180°박리했을 때, 피착체가 대전하여 발생하는 전압(대전압)을 고정밀도 정전기 센서 SK-035, SK-200(주식회사 키엔스 제조)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측정값의 최대치를 박리 대전압으로 했다.
<내오염 성능의 시험 방법>
유리판의 한쪽 면 상에, 표 6에 나타내는 표면 기재 및 표면 처리(Plain의 경우는 미처리)를 갖는 편광판을 첩합기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양면 점착 테이프)을 개재하여 첩합했다. 그 후,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기를 사용하여 첩합했다. 피착체에 첩합한 후, 온도 60℃, 습도 90%RH의 분위기하에 2일(48hr) 방치하고, 상기 분위기하에서 꺼낸 후, 1일 경과한 후,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편광판의 표면의 오염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내오염 성능의 판단 기준은 상기 편광판의 표면에 대해 오염이 없는 경우를 「○」, 오염이 조금 있는 경우를 「△」, 오염이 있는 경우를 「×」로 평가했다.
표 5∼6에, 실시예 1∼6 및 비교예 1∼4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5의 「표면 저항률」은 「m×10+n」를 「mE+n」으로 하는 방식(단, m은 임의의 실수값, n은 양의 정수)에 의해 표기했다.
Figure 112022011810672-pat00005
Figure 112022011810672-pat00006
실시예 1∼6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인 편광판에 대한, 저속 박리 속도 0.3m/min에서의 점착력이 0.01∼0.1N/25㎜이며, 고속 박리 속도 30m/min에서의 점착력이 1.0N/25㎜ 이하인 점에서, 저속 박리 속도 및 고속 박리 속도에 있어서 점착력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에 의한 점착 성능이 우수했다.
또한, 실시예 1∼6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은 박리제층의 대전 방지제를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시키고 있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률이 1.0×10+12Ω/□ 이하이며,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저굴절률층에 대한 점착제층의 박리 대전압이 +0.3∼-0.3kV의 범위 내이고,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했다.
또한, 실시예 1∼6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에 첩합한 후, 온도 60℃, 습도 90%RH의 분위기하에 48hr 방치하고, 상기 분위기하에서 꺼내 1일 경과한 후에도 피착체인 각종 편광판에 대한 오염이 없고, 내오염 성능도 우수했다.
즉, 표 5∼6에 나타낸 평가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1∼6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 실증되어 있다.
비교예 1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아크릴계 폴리머에 공중합시킨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Tg가 0℃ 미만이고, 점착제층의 전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며, 박리제층이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과,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지 않는다)에서는 내오염 성능이 약간 열악했다.
또한, 비교예 2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아크릴계 폴리머에 공중합시킨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과다하고,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으며, 점착제층의 전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박리제층이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과,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지 않는다)에서는 점착력이 크고, 박리 대전압이 높으며, 내오염 성능이 열악했다.
또한, 비교예 3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아크릴계 폴리머가 Tg가 0℃ 이상인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고,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한다)에서는 점착력이 크고, 표면 저항값이 크며, 박리 대전압이 높고, 내오염 성능이 열악했다.
또한, 비교예 4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작다)에서는 내오염 성능이 열악했다.
이와 같이, 비교예 1∼4의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1…기재 필름, 2…점착제층, 3…수지 필름, 4…박리제층, 5…박리 필름, 7…대전 방지제, 8…피착체(광학 부품), 10…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11…박리 필름을 박리한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20…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한 광학 부품.

Claims (8)

  1.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의 공정 (1)∼(3),
    공정 (1):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와,
    (B)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6.0중량부와,
    (F)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50중량부를,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함유시키지 않고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폴리머이며,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 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50중량부 이상과,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1종 이상의 합계를 5∼4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B)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가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가교제로서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추가로 (G) HLB값이 6∼12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작하는 공정과,
    공정 (2):투명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을 제작하는 공정과,
    공정 (3):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박리제층이 적층된 박리 필름을, 상기 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하고, 상기 박리제층의 상기 대전 방지제를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시키는 공정을,
    공정 (1)∼(3)의 순서를 거쳐 제작하며,
    상기 박리제층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와,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과,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층 중의 대전 방지제가 알칼리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3. 투명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와,
    (B)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6.0중량부와,
    (F)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적어도 1종 이상의 합계 1.0∼50중량부를,
    카르복실기를 갖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를 함유시키지 않고 공중합시킨,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만 초과 100만 이하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폴리머이며,
    상기 (A) 알킬기의 탄소수가 C1∼C10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합계 100중량부 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50중량부 이상과,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의 1종 이상의 합계를 5∼4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B) 수산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가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가교제로서 (C) 3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추가로 (G) HLB값이 6∼12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박리제층이 적층된 박리 필름이, 상기 박리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박리제층의 상기 대전 방지제가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박리제층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제와, 20℃에 있어서 액체인 실리콘계 화합물과,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층 중의 대전 방지제가 알칼리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F)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가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을 구성하는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반복수가 3∼14이고,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 중의 디에스테르분이 0.2% 이하이며,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 사슬 함유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로서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G) HLB값이 6∼12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을 0.01∼0.5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층 중의 실리콘계 화합물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층 중의 대전 방지제가 Li염이고, LiTFSI, LiFSI, LiTF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KR1020220013930A 2019-06-25 2022-02-03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KR102478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318A KR102554575B1 (ko) 2019-06-25 2022-12-14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7054A JP7244369B2 (ja) 2019-06-25 2019-06-25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JP-P-2019-117054 2019-06-25
KR1020200063814A KR102359536B1 (ko) 2019-06-25 2020-05-27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814A Division KR102359536B1 (ko) 2019-06-25 2020-05-27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318A Division KR102554575B1 (ko) 2019-06-25 2022-12-14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865A KR20220020865A (ko) 2022-02-21
KR102478789B1 true KR102478789B1 (ko) 2022-12-16

Family

ID=7385141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814A KR102359536B1 (ko) 2019-06-25 2020-05-27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KR1020220013930A KR102478789B1 (ko) 2019-06-25 2022-02-03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KR1020220174318A KR102554575B1 (ko) 2019-06-25 2022-12-14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KR1020230088088A KR102647963B1 (ko) 2019-06-25 2023-07-07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814A KR102359536B1 (ko) 2019-06-25 2020-05-27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318A KR102554575B1 (ko) 2019-06-25 2022-12-14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KR1020230088088A KR102647963B1 (ko) 2019-06-25 2023-07-07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244369B2 (ko)
KR (4) KR102359536B1 (ko)
CN (1) CN112126372B (ko)
TW (1) TW2021110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7110B (zh) * 2021-09-08 2024-03-29 中国乐凯集团有限公司 丙烯酸酯聚合物、压敏胶粘剂组合物、压敏胶、保护膜及显示器件
JP7081715B1 (ja) * 2021-12-03 2022-06-07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ならびに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CN114350285B (zh) * 2022-01-04 2023-03-24 江西塔益莱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偏光片保护膜用胶粘剂及其制备方法
CN115287022B (zh) * 2022-08-24 2023-12-15 苏州赛伍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高固低粘胶黏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5677A (ja) 1987-03-13 1988-09-20 Nitto Electric Ind Co Ltd 感圧性接着剤
JP4106749B2 (ja) 1997-06-25 2008-06-25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3923643B2 (ja) 1998-03-11 2007-06-06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イルム用粘着剤と表面保護フイルム
KR20090101761A (ko) * 2008-03-24 2009-09-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JP5396257B2 (ja) 2009-12-10 2014-01-22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JP5718308B2 (ja) 2012-12-14 2015-05-13 三光化学工業株式会社 制電性粘着剤組成物、保護粘着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及び位相差フィルム
KR101710443B1 (ko) * 2013-09-20 2017-02-27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JP6147223B2 (ja) * 2014-05-15 2017-06-14 藤森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6198275B2 (ja) * 2014-08-29 2017-09-20 藤森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6566568B2 (ja) * 2016-02-29 2019-08-28 藤森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521896B2 (ja) * 2016-04-25 2019-05-29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JP6799517B2 (ja) * 2017-09-28 2020-12-16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575B1 (ko) 2023-07-12
JP7244369B2 (ja) 2023-03-22
CN112126372B (zh) 2023-11-10
CN112126372A (zh) 2020-12-25
KR102359536B1 (ko) 2022-02-07
KR20230004375A (ko) 2023-01-06
KR20210000663A (ko) 2021-01-05
KR102647963B1 (ko) 2024-03-15
JP2023065670A (ja) 2023-05-12
JP2021004271A (ja) 2021-01-14
KR20220020865A (ko) 2022-02-21
TW202111046A (zh) 2021-03-16
KR20230107774A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789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KR102544353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2607576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200707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2494199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필름, 표면 보호 필름
JP6871450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2547494B1 (ko) 점착제 조성물
JP7311671B2 (ja) 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7239751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KR20220121181A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JP2021036052A (ja) 粘着フィルム
JP2023067949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偏光板用の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