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695B1 -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695B1
KR102477695B1 KR1020210135338A KR20210135338A KR102477695B1 KR 102477695 B1 KR102477695 B1 KR 102477695B1 KR 1020210135338 A KR1020210135338 A KR 1020210135338A KR 20210135338 A KR20210135338 A KR 20210135338A KR 102477695 B1 KR102477695 B1 KR 10247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unner
pickup
packag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대현
Original Assignee
남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대현 filed Critical 남대현
Priority to KR102021013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25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25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 B29C2045/4233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loading or holding moulded articles in take-off member by fluid e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부를 이용하여 수지제품을 성형하되, 수지제품과 러너가 절단된 상태로 성형시키는 제조단계, 제품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단계에서 성형된 수지제품을 픽업하는 제품픽업단계, 러너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단계에서 발생된 러너를 홀딩하는 러너픽업단계, 상기 제품픽업부와 러너픽업부를 동시에 이동시켜 제2배출부로 러너를 배출시키는 러너배출단계, 및 상기 러너배출단계 후, 제1배출부로 수지제품을 배출시키는 수지제품배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된 수지제품과 러너를 금형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흡착하여 각각 배출시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러너를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Resin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for easy runner discharge}
본 발명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지제품과 러너를 성형 후, 분리된 상태로 각각 배출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러너를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데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제조방법 중 하나로써, 가열 실린더에서 용융시킨 수지를 고압으로 닫혀진 금형의 성형코어에 사출하여 고화 또는 경화시킴으로써 성형코어 형성에 상응하는 사출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러한 금형은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제조될 사출제품과 대응하는 현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성형코어와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는 스프루와 스프루를 통해 주입된 용융 수지를 복수의 성형코어로 분산하 여 공급하는 런너와 런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성형코어에 주입되는 용융수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게이트 등의 구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출성형기의 노즐로부터 사출되는 용융수지는 금형의 스프루와 게이트를 통하여 성형코어로 충전된 후 고화되며, 이렇게 고화된 사출품이 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불필요한 부분인 스프루, 런너 및 게이트도 성형제품과 함께 일체로 취출되므로 사출품으로부터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후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후공정에 따른 작업시간 및 작업공수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형내에서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하여 게이트 또는 런너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6424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성형부를 이용하여 수지제품을 성형하되, 수지제품과 러너가 절단된 상태로 성형시키는 제조단계, 제품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단계에서 성형된 수지제품을 픽업하는 제품픽업단계, 러너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단계에서 발생된 러너를 홀딩하는 러너픽업단계, 상기 제품픽업부와 러너픽업부를 동시에 이동시켜 제2배출부로 러너를 배출시키는 러너배출단계, 및 상기 러너배출단계 후, 제1배출부로 수지제품을 배출시키는 수지제품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성형된 수지제품과 러너를 금형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흡착하여 각각 배출시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러너를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성형부를 이용하여 수지제품을 성형하되, 수지제품과 러너가 절단된 상태로 성형시키는 제조단계, 제품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단계에서 성형된 수지제품을 픽업하는 제품픽업단계, 러너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단계에서 발생된 러너를 홀딩하는 러너픽업단계, 상기 제품픽업부와 러너픽업부를 동시에 이동시켜 제2배출부로 러너를 배출시키는 러너배출단계, 및 상기 러너배출단계 후, 제1배출부로 수지제품을 배출시키는 수지제품배출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부는, 상기 수지제품을 성형시키되, 러너와 절단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금형, 상기 금형으로 용융된 원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재료공급부, 및 상기 금형을 수평방향으로 열거나 닫기 위한 수평프레스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금형은, 좌측부금형, 상기 좌측부금형에 대응되는 우측부금형, 상기 좌측부금형과 우측부금형 사이에 구비되어 수평프레스부에 의해 개방 시, 좌측부금형 및 우측부금형과 이격되는 중간부금형, 상기 좌측부금형과 중간부금형에 각각 구비되어 수지제품이 성형되기 위한 코어부, 상기 금형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부에서 성형된 수지제품과 러너를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부, 절단된 상기 수지제품을 상기 제품픽업부로 밀어서 금형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부, 상기 좌측부금형을 중간부금형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이격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1금형가이드부, 및 상기 중간부금형을 우측부금형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이격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2금형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수평프레스부에 의해 좌측부금형, 중간부금형, 우측부금형이 이격될 경우, 좌측부금형과 중간부금형 사이에 수지제품이 위치되며, 중간부금형과 우측부금형 사이에 러너가 위치되어 각각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조단계는, 좌측부금형과 중간부금형, 우측부금형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융된 원재료를 주입하여 수지제품을 성형시키는 성형단계, 절단부에 의해 성형된 수지제품과 러너를 절단시키는 절단단계, 수평프레스부에 의해 좌측부금형과 중간부금형을 우측부금형에서 이격시키는 금형개방단계, 및 분리부에 의해 코어부에 위치된 수지제품을 분리시키고, 상기 중간부금형과 우측부금형 사이에 위치된 러너를 분리시키는 분리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부는, 제1배출프레임, 상기 제1배출프레임에 복수 구비되는 제1배출롤러, 상기 제1배출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는 제1배출벨트, 및 상기 제1배출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제1배출벨트를 회전시키는 제1배출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부는, 상기 러너픽업부에 의해 배출되는 러너가 투입되기 위한 호퍼, 상기 호퍼로 투입된 러너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 및 진공에 의해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원료를 상기 재료공급부로 순환공급하기 위한 순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배출부는, 배출되는 러너가 상기 호퍼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융착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융착방지부는, 상기 호퍼를 진동시켜 러너의 융착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품픽업부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픽업수평프레임, 상기 제1픽업수평프레임과 직교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제1픽업수평프레임을 따라 수평이동되는 제2픽업수평프레임, 일정 높이를 갖고, 상기 제2픽업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픽업수직프레임, 상기 금형에서 성형되는 수지제품을 흡착하여 상기 제1배출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픽업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픽업흡착부, 상기 제2픽업수평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제1픽업수평구동부, 상기 픽업수직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제2픽업수평구동부, 상기 픽업수직프레임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픽업수직구동부, 및 상기 픽업흡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픽업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픽업흡착부는, 상기 픽업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픽업흡착플레이트, 및 상기 수지제품을 흡착하도록 상기 픽업흡착플레이트에 구비되는 픽업흡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러너픽업부는, 일정 높이를 갖고, 상기 제2픽업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러너픽업수직프레임, 상기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러너를 파지하기 위한 러너홀더, 상기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러너픽업수평구동부, 상기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러너픽업수직구동부, 및 상기 러너홀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러너홀더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품픽업단계는, 상기 금형개방단계시, 픽업수직구동부에 의해 픽업수직프레임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픽업흡착부가 금형의 코어부를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위치시키는 픽업흡착부 위치단계, 상기 분리단계 시, 진공에 의해 픽업흡착부에 수지제품를 흡착시키는 제품흡착단계, 및 픽업수직구동부에 의해 픽업수직프레임을 상측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픽업흡착부를 상승시키는 흡착상승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러너픽업단계는, 상기 픽업흡착부 위치단계와 동시에 동작되며, 러너픽업수직구동부에 의해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러너홀더가 이격된 중간부금형과 우측부금형 사이에 위치시키는 러너홀더 위치단계, 상기 제품흡착단계와 동시에 동작되며, 러너홀더구동부에 의해 러너홀더에 러너를 홀딩시키는 러너홀딩단계, 및 상기 흡착상승단계와 동시에 동작되며, 러너픽업수직구동부에 의해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을 상측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러너홀더를 상승시키는 홀더상승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러너배출단계는, 러너픽업수평구동부에 의해 픽업수직프레임을 제1픽업수평프레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제1수평이동단계, 제1픽업수평구동부에 의해 제1픽업수평프레임을 따라 제2픽업수평프레임을 수평이동시켜 제2배출부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제2수평이동단계, 및 상기 러너홀더구동부에 의해 러너홀더에 홀딩된 러너를 제2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부로 배출되는 러너를 분쇄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활용단계는, 러너가 호퍼로 유입되는 러너유입단계,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된 러너를 분쇄부에 의해 분쇄시키는 러너분쇄단계, 및 진공에 의해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재료를 상기 재료공급부로 순환공급시키는 순환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지제품배출단계는, 제2픽업수평구동부에 의해 픽업흡착부가 제1배출부의 상측으로 위치시키는 제3수평이동단계, 픽업회전구동부에 의해 픽업흡착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단계, 픽업수직구동부에 의해 픽업흡착부가 제1배출부의 제1배출벨트에 근접하도록 하강시키는 흡착하강단계, 및 제1픽업흡착부의 진공을 제거하여 수지제품을 제1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부는, 포장프레임, 포장상자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포장이송부, 상기 포장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상자에 수지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포장픽업부, 및 상기 포장이송부와 포장픽업부를 제어하기 위한 포장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장프레임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장이송부는, 상기 포장프레임의 일측단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1포장이송부, 상기 포장프레임의 전단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2포장이송부, 상기 포장프레임의 타측단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3포장이송부, 및 상기 포장프레임의 후단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4포장이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픽업부는, 상기 포장프레임에 구비되는 포장픽업프레임, 일정 높이를 갖고, 상기 포장픽업프레임을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 상기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 상기 제1배출부에 의해 배출되는 수지제품을 흡착하여 상기 포장상자에 수납시키도록 상기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포장흡착부, 상기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포장수평구동부, 및 상기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포장수직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부로 배출되는 수지제품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단계는, 상기 포장상자를 포장픽업부의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포장상자이송단계, 및 상기 포장픽업부에 의해 제1배출부를 따라 배출되는 수지제품을 픽업하여 상기 포장상자에 수납하는 수납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장상자이송단계는, 상기 제1포장이송부에 의해 복수의 포장상자를 포장프레임의 일측단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1상자이송단계, 상기 제2포장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1상자이송단계에서 이송되는 포장상자를 포장프레임의 전단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2상자이송단계, 상기 제3포장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2상자이송단계에서 이송되는 포장상자를 포장프레임의 타측단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3상자이송단계, 및 상기 제4포장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3상자이송단계에서 이송되는 포장상자를 포장프레임의 후단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4상자이송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단계는, 상기 제3상자이송단계에서 제4포장이송부로 이송된 포장상자에 수지제품을 수납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단계는, 상기 포장흡착부에 의해 제1배출부로 배출되는 복수의 수지제품을 흡착하는 포장흡착단계, 상기 포장수직구동부에 의해 상기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을 상승시켜 포장흡착부를 상승시키는 제1포장상승단계, 상기 포장수평구동부에 의해 상기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포장흡착부를 상기 포장상자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제1포장수평이동단계, 상기 포장수직구동부에 의해 상기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을 하강시켜 포장흡착부를 하강시키는 제1포장하강단계, 상기 포장흡착부의 진공을 제거하여 흡착된 복수의 수지제품을 포장상자에 수납하는 포장진공제거단계, 상기 포장수직구동부에 의해 상기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을 상승시켜 포장흡착부를 상승시키는 제2포장상승단계, 및 상기 포장수평구동부에 의해 상기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포장흡착부를 상기 제1배출부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제2포장수평이동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에 의하면, 성형된 수지제품과 러너를 금형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흡착하여 각각 배출시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러너를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제품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제품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픽업단계와 러너픽업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러너배출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제품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제품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픽업단계와 러너픽업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러너배출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은 제조단계(S10)와 제품픽업단계(S20), 러너픽업단계(S30), 러너배출단계(S40) 및 수지제품배출단계(S50)를 포함한다.
제조단계(S10)는 성형부(100)를 이용하여 수지제품(A)을 성형하되, 수지제품(A)과 러너(B)가 절단된 상태로 성형시킨다.
그리고 제품픽업단계(S20)는 제품픽업부(400)를 이용하여 제조단계(S10)에서 성형된 수지제품(A)을 픽업한다.
러너픽업단계(S30)는 러너픽업부(500)를 이용하여 제조단계(S10)에서 발생된 러너(B)를 홀딩한다.
또한 러너배출단계(S40)는 제품픽업부(400)와 러너픽업부(500)를 동시에 이동시켜 제2배출부(300)로 러너(B)를 배출시킨다.
수지제품배출단계(S50)는 러너배출단계(S40) 후, 제1배출부(200)로 수지제품(A)을 배출시킨다.
여기서,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장치(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부(100)와 제1배출부(200), 제2배출부(300), 제품픽업부(400) 및 러너픽업부(500)를 포함한다.
성형부(100)는 수지제품(A)을 성형하되, 성형된 수지제품(A)과 러너(B)가 분리된 상태로 성형시킨다.
그리고 제1배출부(200)는 성형부(100)에서 성형된 수지제품(A)을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2배출부(300)는 성형부(100)의 러너(B)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품픽업부(400)는 성형부(100)의 수지제품(A)을 제1배출부(200)로 분리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러너픽업부(500)는 성형부(100)의 러너(B)를 제2배출부(300)로 분리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지제품 성형장치(10)에 의하면, 제품픽업부(400)와 러너픽업부(500)는 함께 이동되되, 수지제품(A)과 러너(B)를 제1배출부(200)와 제2배출부(300)로 각각 순착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성형부(1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110)과 재료공급부(120) 및 수평프레스부(130)를 포함한다.
금형(110)은 수지제품(A)을 성형시키되, 러너(B)와 절단시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재료공급부(120)는 금형(110)으로 용융된 원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수평프레스부(130)는 금형(110)을 수평방향으로 열거나 닫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금형(110)은 좌측부금형(111)과 우측부금형(112), 중간부금형(116), 코어부(113), 절단부(114), 분리부(115), 제1금형가이드부(117) 및 제2금형가이드부(118)를 포함한다.
좌측부금형(111)과 우측부금형(112)은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중간부금형(116)은 좌측부금형(111)과 우측부금형(112) 사이에 구비되어 수평프레스부(130)에 의해 개방 시, 좌측부금형(111) 및 우측부금형(112)과 이격된다.
코어부(113)는 좌측부금형(111)과 중간부금형(116)에 각각 구비되어 수지제품(A)이 성형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절단부(114)는 금형(110)에 구비되어 코어부(113)에서 성형된 수지제품(A)과 러너(B)를 절단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분리부(115)는 절단된 수지제품(A)을 제품픽업부(400)로 밀어서 금형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1금형가이드부(117)는 좌측부금형(111)을 중간부금형(116)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이격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금형가이드부(118)는 중간부금형(116)을 우측부금형(112)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이격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분리부(115)는 수평프레스부(130)에 의해 좌측부금형(111), 중간부금형(116), 우측부금형(112)이 이격될 경우, 좌측부금형(111)과 중간부금형(116) 사이에 수지제품(A)이 위치되며, 중간부금형(116)과 우측부금형(112) 사이에 러너(B)가 위치되어 각각 분리된다.
여기서, 코어부(113)에서 성형되는 수지제품(A)은 냉각부에 의해 형상이 유지될 정도로 냉각되는 것으로, 픽업부(400)에 흡착되어도 형상이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냉각됨이 당연하며, 러너(B) 역시, 냉각됨이 바람직하다.
제조단계(S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단계(S11)와 절단단계(S12), 금형개방단계(S13), 및 분리단계(S14)를 포함한다.
성형단계(S11)는 좌측부금형(111)과 중간부금형(116), 우측부금형(1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융된 원재료를 주입하여 수지제품(A)을 성형시킨다.
그리고 절단단계(S12)는 절단부(115)에 의해 성형된 수지제품(A)과 러너(B)를 절단시킨다.
금형개방단계(S13)는 수평프레스부(130)에 의해 좌측부금형(111)과 중간부금형(116)을 우측부금형(112)에서 이격시킨다.
또한 분리단계(S14)는 분리부(114)에 의해 코어부(113)에 위치된 수지제품(A)을 분리시키고, 중간부금형(116)과 우측부금형(112) 사이에 위치된 러너(B)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제1배출부(2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배출프레임(210)과 제1배출롤러(220), 제1배출벨트(230) 및 제1배출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제1배출프레임(210)은 성형부(100)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1배출롤러(220)는 제1배출프레임(210)에 복수 구비된다.
제1배출벨트(230)는 복수의 제1배출롤러(220)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된다.
그리고 제1배출구동부(240)는 제1배출롤러(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제1배출벨트(230)를 회전시킨다.
또한 제2배출부(300)는 배출되는 러너(B)를 재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320)와 분쇄부(330) 및 순환부(340)를 포함한다.
호퍼(320)는 러너픽업부(500)에 의해 배출되는 러너(B)가 투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분쇄부(330)는 호퍼(320)로 투입된 러너(B)를 분쇄하기 위해 구비된다.
순환부(340)는 진공에 의해 분쇄부(330)에 의해 분쇄된 원료를 재료공급부(120)로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배출부(300)는 융착방지부(350)를 더 포함한다.
이 융착방지부(350)는 배출되는 러너(B)가 제2배출판(310)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융착방지부(350)는 제2배출판(310)을 진동시켜 러너(B)의 융착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품픽업부(40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픽업수평프레임(410)과 제2픽업수평프레임(420), 픽업수직프레임(430), 픽업흡착부(440), 제1픽업수평구동부(450), 제2픽업수평구동부(460), 픽업수직구동부(470) 및 픽업회전구동부(480)를 포함한다.
제1픽업수평프레임(410)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2픽업수평프레임(420)은 제1픽업수평프레임(410)과 직교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제1픽업수평프레임(410)을 따라 수평이동된다.
픽업수직프레임(430)은 일정 높이를 갖고, 제2픽업수평프레임(4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픽업흡착부(440)는 금형(110)에서 성형되는 수지제품(A)을 흡착하여 제1배출부(200)로 공급하도록 픽업수직프레임(43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 픽업흡착부(440)는 진공에 의해 수지제품(A)를 흡착시킨다.
제1픽업수평구동부(450)는 제2픽업수평프레임(420)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픽업수평구동부(460)는 픽업수직프레임(430)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픽업수직구동부(470)는 픽업수직프레임(430)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픽업회전구동부(480)는 픽업흡착부(44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픽업흡착부(440)는 픽업흡착플레이트(442)와 제1픽업흡착부(444)를 포함한다.
픽업흡착플레이트(442)는 픽업수직프레임(43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픽업흡착부(444)는 수지제품(A)을 진공에 의해 흡착하도록 픽업흡착플레이트(442)에 구비된다.
또한 러너픽업부(500)는 러너픽업수직프레임(510)과 러너홀더(520), 러너픽업수평구동부(530), 러너픽업수직구동부(540) 및 러너홀더구동부(550)를 포함한다.
러너픽업수직프레임(510)은 일정 높이를 갖고, 제2픽업수평프레임(4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러너홀더(520)는 러너픽업수직프레임(5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러너를 파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러너픽업수평구동부(530)는 러너픽업수직프레임(510)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러너픽업수직구동부(540)는 러너픽업수직프레임(510)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러너홀더구동부(550)는 러너홀더(520)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수지제품 성형장치(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재료공급부(120)에 의해 용융상태를 재료가 금형(110)으로 공급되어 수지제품이 성형된 후, 수평프레스부(130)에 의해 좌측부금형(111)과 중간부금형(116) 및 우측부금형(112)이 상호 이격된다.
이때, 제품픽업부(400)의 픽업흡착부(440)가 이격된 좌측부금형(111)과 중간부금형(116) 사이로 이동되며, 분리부(115)에 의해 수지제품(A)이 픽업흡착부(440)로 밀림과 동시에 흡착된다.
이와 동시에, 러너픽업부(500)의 러너홀더(520)가 중간부금형(116)과 우측부금형(112) 사이로 이동되어 러너(B)를 파지한다.
그리고 픽업흡착부(440)는 픽업수직프레임(430)과, 러너홀더(520)는 러너픽업수직프레임(510)과 함께 각각 상측으로 이동된 후, 제2픽업수평프레임(420)과 제1픽업수평프레임(410)을 따라, 제2배출부(300)로 이동되어 러너(B)을 배출시킨 다음, 제1배출부(200)로 이동되어 수지제품(A)을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과정을 반복하여 진행된다.
여기서, 픽업흡착부(440)는 좌측부금형(111)과 우측부금형(112) 사이에 위치되어 수지제품(A)를 흡착시킬 경우, 세워진 상태로 이동되며, 제1배출부(200)의 상측에 위치될 경우,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수지제품(A)을 배출시킨다.
제품픽업단계(S2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흡착부 위치단계(S21)와 제품흡착단계(S22) 및 흡착상승단계(S23)를 포함한다.
픽업흡착부 위치단계(S21)는 금형개방단계(S13)시, 픽업수직구동부(470)에 의해 픽업수직프레임(43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픽업흡착부(440)가 금형(110)의 코어부(113)를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품흡착단계(S22)는 분리단계(S14) 시, 진공에 의해 픽업흡착부(440)에 수지제품(A)를 흡착시킨다.
흡착상승단계(S23)는 픽업수직구동부(470)에 의해 픽업수직프레임(430)을 상측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픽업흡착부(440)를 상승시킨다.
또한 러너픽업단계(S30)는 러너홀더 위치단계(S31)와 러너홀딩단계(S32) 및 홀더상승단계(S33)를 포함한다.
러너홀더 위치단계(S31)는 픽업흡착부 위치단계(S21)와 동시에 동작되며, 러너픽업수직구동부(540)에 의해 러너픽업수직프레임(51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러너홀더(520)가 이격된 중간부금형(116)과 우측부금형(112)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러너홀딩단계(S32)는 제품흡착단계(S22)와 동시에 동작되며, 러너홀더구동부(550)에 의해 러너홀더(520)에 러너(B)를 홀딩시킨다.
홀더상승단계(S33)는 흡착상승단계(S23)와 동시에 동작되며, 러너픽업수직구동부(540)에 의해 러너픽업수직프레임(510)을 상측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러너홀더(520)를 상승시킨다.
또한 러너배출단계(S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이동단계(S41)와 제2수평이동단계(S42) 및 제2배출단계(S43)를 포함한다.
제1수평이동단계(S41)는 러너픽업수평구동부(530)에 의해 러너수직프레임(510)을 제1픽업수평프레임(410)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수평이동단계(S42)는 제1픽업수평구동부(450)에 의해 제1픽업수평프레임(410)을 따라 제2픽업수평프레임(420)을 수평이동시켜 제2배출부(30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제2배출단계(S43)는 러너홀더구동부(550)에 의해 러너홀더(520)에 홀딩된 러너(B)를 제2배출부(300)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수지제품배출단계(S50)는 제3수평이동단계(S51)와 수평회전단계(S52), 흡착하강단계(S53) 및 제1배출단계(S54)를 포함한다.
제3수평이동단계(S51)는 제2픽업수평구동부(460)에 의해 픽업흡착부(440)가 제1배출부(200)의 상측으로 위치시킨다.
또한 수평회전단계(S52)는 픽업회전구동부(480)에 의해 픽업흡착부(44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흡착하강단계(S53)는 픽업수직구동부(470)에 의해 픽업흡착부(440)가 제1배출부(200)의 제1배출벨트(230)에 근접하도록 하강시킨다.
그리고 제1배출단계(S54)는 제1픽업흡착부(444)의 진공을 제거하여 수지제품(A)을 제1배출부(200)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제2배출부(300)로 배출되는 러너(B)를 분쇄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단계(S5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2배출부(300)는 호퍼(320)와 분쇄부(330) 및 순환부(340)를 포함한다.
호퍼(320)는 제2배출판(310)에 의해 배출되는 러너(B)가 투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분쇄부(330)는 호퍼(320)로 투입된 러너(B)를 분쇄하기 위해 구비된다.
순환부(340)는 진공에 의해 분쇄부(330)에 의해 분쇄된 원료를 재료공급부(120)로 순환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배출부(300)는 융착방지부(350)를 더 포함한다.
이 융착방지부(350)는 배출되는 러너(B)가 제2배출판(310)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융착방지부(350)는 제2배출판(310)을 진동시켜 러너(B)의 융착이 방지된다.
이 재활용단계(S60)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러너유입단계(S61)와 러너분쇄단계(S62) 및 순환단계(S63)를 포함한다.
러너유입단계(S61)는 러너(B)가 호퍼(320)로 유입된다.
그리고 러너분쇄단계(S62)는 호퍼(320)를 통해 공급된 러너(B)를 분쇄부(330)에 의해 분쇄시킨다.
순환단계(S63)는 순환부(330)의 진공에 의해 분쇄부(330)에 의해 분쇄된 재료를 재료공급부(120)로 순환공급시킨다.
또한 제1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제품(A)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단계(S6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1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제품(A)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부(2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포장부(250)는 제1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제품(A)을 포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포장부(250)는 포장프레임(252)과 포장이송부(254), 포장픽업부(256) 및 포장제어부(258)를 포함한다.
포장프레임(252)은 제1배출프레임(210)의 배출단부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포장이송부(254)는 포장상자(P)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포장픽업부(256)는 포장이송부(254)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상자(P)에 수지제품(A)을 수납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포장제어부(258)는 포장이송부(254)와 포장픽업부(256)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포장프레임(252)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포장이송부(254)는 제1포장이송부(2542)와 제2포장이송부(2544), 제3포장이송부(2546) 및 제4포장이송부(2548)를 포함한다.
제1포장이송부(2542)는 포장프레임(252)의 일측단부를 따라 구비된다.
또한 제2포장이송부(2544)는 포장프레임(252)의 전단부를 따라 구비된다.
제3포장이송부(2546)는 포장프레임(252)의 타측단부를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제4포장이송부(2548)는 포장프레임(252)의 후단부를 따라 구비된다.
이러한 제1포장이송부(2542)와 제2포장이송부(2544), 제3포장이송부(2546) 및 제4포장이송부(2548)에 의해 포장상자(P)들을 수지제품(A) 수납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포장픽업부(256)는 포장픽업프레임(2561)과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2562),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2563), 포장흡착부(2564), 포장수평구동부(2565) 및 포장수직구동부(2566)를 포함한다.
포장픽업프레임(2561)은 포장프레임(252)에 구비된다.
그리고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2562)은 일정 높이를 갖고, 포장픽업프레임(2561)을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2563)은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2562)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포장흡착부(2564)는 제1배출부(200)에 의해 배출되는 수지제품(A)을 흡착하여 포장상자(P)에 수납시키도록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2563)에 구비된다.
포장수평구동부(2565)는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2562)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포장수직구동부(2566)는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2563)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포장단계(S70)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상자이송단계(S71)와 수납단계(S72),를 포함한다.
포장상자이송단계(S71)는 포장상자(P)를 포장픽업부(2564)의 하측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수납단계(S72)는 포장픽업부(2564)에 의해 제1배출부(200)를 따라 배출되는 수지제품(A)을 픽업하여 포장상자(P)에 수납한다.
또한 포장상자이송단계(S71)는 제1상자이송단계(S711)와 제2상자이송단계(S712), 제3상자이송단계(S713) 및 제4상자이송단계(S714)를 포함한다.
제1상자이송단계(S711)는 제1포장이송부(2542)에 의해 복수의 포장상자(P)를 포장프레임(252)의 일측단부를 따라 이송시킨다.
그리고 제2상자이송단계(S712)는 제2포장이송부(2544)에 의해 제1상자이송단계(S711)에서 이송되는 포장상자(P)를 포장프레임(252)의 전단부를 따라 이송시킨다.
제3상자이송단계(S713)는 제3포장이송부(2546)에 의해 제2상자이송단계(S612)에서 이송되는 포장상자(P)를 포장프레임(252)의 타측단부를 따라 이송시킨다.
또한 제4상자이송단계(S714)는 제4포장이송부(2548)에 의해 제3상자이송단계(S613)에서 이송되는 포장상자(P)를 포장프레임(252)의 후단부를 따라 이송시킨다.
여기서, 수납단계(S72)는 제3상자이송단계(S713)에서 제4포장이송부(2548)로 이송된 포장상자(P)에 수지제품(A)을 수납한다.
이러한 수납단계(S72)는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흡착단계(S721)와 제1포장상승단계(S722), 제1포장수평이동단계(S723), 제1포장하강단계(S724), 포장진공제거단계(S725), 제2포장상승단계(S726) 및 제2포장수평이동단계(S727)를 포함한다.
포장흡착단계(S721)는 포장흡착부(2564)에 의해 제1배출부(200)로 배출되는 복수의 수지제품(A)을 흡착한다.
그리고 제1포장상승단계(S722)는 포장수직구동부(2566)에 의해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2563)을 상승시켜 포장흡착부(2564)를 상승시킨다.
제1포장수평이동단계(S723)는 포장수평구동부(2565)에 의해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2562)을 수평이동시켜 포장흡착부(2564)를 포장상자(P)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또한 제1포장하강단계(S724)는 포장수직구동부(2565)에 의해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2563)을 하강시켜 포장흡착부(2564)를 하강시킨다.
포장진공제거단계(S725)는 포장흡착부(2564)의 진공을 제거하여 흡착된 복수의 수지제품(A)을 포장상자(P)에 수납한다.
그리고 제2포장상승단계(S726)는 포장수직구동부(2566)에 의해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2563)을 상승시켜 포장흡착부(2564)를 상승시킨다.
제2포장수평이동단계(S727)는 포장수평구동부(2565)에 의해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2562)을 수평이동시켜 포장흡착부(2564)를 제1배출부(20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한다.
10 : 성형장치 100 : 성형부
110 : 금형 120 : 재료공급부
130 : 수평프레스부 200 : 제1배출부
300 : 제2배출부 400 : 픽업부
410 : 제1픽업수평프레임 420 : 제2픽업수평프레임
430 : 픽업수직프레임 440 : 픽업흡착부
450 : 제1픽업수평구동부 460 : 제2픽업수평구동부
470 : 픽업수직구동부 480 : 픽업회전구동부
500 : 러너픽업부

Claims (10)

  1. 코어부를 갖고, 수지제품을 성형하되, 성형된 수지제품과 러너가 분리된 상태로 성형시키는 성형부;
    상기 성형부에서 성형된 수지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배출부;
    상기 성형부의 러너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2배출부;
    상기 성형부의 수지제품을 상기 제1배출부로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제품픽업부;
    상기 성형부의 러너를 상기 제2배출부로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러너픽업부; 및
    상기 제1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수지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수지제품을 성형시키되, 러너와 절단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금형;
    상기 금형으로 용융된 원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재료공급부; 및
    상기 금형을 수평방향으로 열거나 닫기 위한 수평프레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은,
    좌측부금형;
    상기 좌측부금형에 대응되는 우측부금형;
    상기 좌측부금형과 우측부금형 사이에 구비되어 수평프레스부에 의해 개방 시, 좌측부금형 및 우측부금형과 이격되는 중간부금형;
    상기 좌측부금형과 중간부금형에 각각 구비되어 수지제품이 성형되기 위한 코어부;
    상기 금형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부에서 성형된 수지제품과 러너를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부;
    절단된 상기 수지제품을 상기 제품픽업부로 밀어서 금형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부;
    상기 좌측부금형을 중간부금형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이격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1금형가이드부; 및
    상기 중간부금형을 우측부금형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이격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2금형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스부에 의해 좌측부금형, 중간부금형, 우측부금형이 이격될 경우, 좌측부금형과 중간부금형 사이에 수지제품이 위치되며, 중간부금형과 우측부금형 사이에 러너가 위치되며,
    상기 제1배출부는,
    제1배출프레임;
    상기 제1배출프레임에 복수 구비되는 제1배출롤러;
    상기 제1배출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는 제1배출벨트; 및
    상기 제1배출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제1배출벨트를 회전시키는 제1배출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배출부는,
    상기 러너픽업부에 의해 배출되는 러너가 투입되기 위한 호퍼;
    상기 호퍼로 투입된 러너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
    진공에 의해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원료를 상기 성형부로 순환공급하기 위한 순환부; 및
    배출되는 러너가 상기 호퍼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융착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픽업부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픽업수평프레임;
    상기 제1픽업수평프레임과 직교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제1픽업수평프레임을 따라 수평이동되는 제2픽업수평프레임;
    일정 높이를 갖고, 상기 제2픽업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픽업수직프레임;
    상기 성형부에서 성형되는 수지제품을 흡착하여 상기 제1배출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픽업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픽업흡착부;
    상기 제2픽업수평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제1픽업수평구동부;
    상기 픽업수직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제2픽업수평구동부;
    상기 픽업수직프레임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픽업수직구동부; 및
    상기 픽업흡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픽업회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러너픽업부는,
    일정 높이를 갖고, 상기 제2픽업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러너픽업수직프레임;
    상기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러너를 파지하기 위한 러너홀더;
    상기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러너픽업수평구동부;
    상기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러너픽업수직구동부; 및
    상기 러너홀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러너홀더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부는,
    포장프레임;
    포장상자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포장이송부;
    상기 포장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상자에 수지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포장픽업부; 및
    상기 포장이송부와 포장픽업부를 제어하기 위한 포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프레임은,
    위에서 아래로 보았을 때,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장이송부는,
    상기 포장프레임의 일측단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1포장이송부;
    상기 포장프레임의 전단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2포장이송부;
    상기 포장프레임의 타측단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3포장이송부; 및
    상기 포장프레임의 후단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4포장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상자는 복수 위치되어 제1포장이송부, 제2포장이송부, 제3포장이송부 및 제4포장이송부에 의해 수지제품 수납위치로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수지제품이 수납되고,
    상기 포장픽업부는,
    상기 포장프레임에 구비되는 포장픽업프레임;
    일정 높이를 갖고, 상기 포장픽업프레임을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
    상기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
    상기 제1배출부에 의해 배출되는 수지제품을 흡착하여 상기 포장상자에 수납시키도록 상기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포장흡착부;
    상기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포장수평구동부; 및
    상기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포장수직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를 이용하여 수지제품을 성형하되, 수지제품과 러너가 절단된 상태로 성형시키는 제조단계;
    상기 제품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단계에서 성형된 수지제품을 픽업하는 제품픽업단계;
    상기 러너픽업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단계에서 발생된 러너를 홀딩하는 러너픽업단계;
    상기 제품픽업부와 러너픽업부를 동시에 이동시켜 제2배출부로 러너를 배출시키는 러너배출단계;
    상기 러너배출단계 후, 제1배출부로 수지제품을 배출시키는 수지제품배출단계;
    상기 제1배출부로 배출되는 수지제품을 포장하는 포장단계; 및
    상기 제2배출부로 배출되는 러너를 분쇄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단계는,
    좌측부금형과 중간부금형, 우측부금형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융된 원재료를 주입하여 수지제품을 성형시키는 성형단계;
    절단부에 의해 성형된 수지제품과 러너를 절단시키는 절단단계;
    수평프레스부에 의해 좌측부금형과 중간부금형을 우측부금형에서 이격시키는 금형개방단계; 및
    분리부에 의해 코어부에 위치된 수지제품을 분리시키고, 상기 중간부금형과 우측부금형 사이에 위치된 러너를 분리시키는 분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픽업단계는,
    픽업수직구동부에 의해 픽업수직프레임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픽업흡착부가 성형부의 코어부를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위치시키는 픽업흡착부 위치단계;
    상기 분리단계 시, 진공에 의해 픽업흡착부에 수지제품를 흡착시키는 제품흡착단계; 및
    픽업수직구동부에 의해 픽업수직프레임을 상측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픽업흡착부를 상승시키는 흡착상승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러너픽업단계는,
    상기 픽업흡착부 위치단계와 동시에 동작되며, 러너픽업수직구동부에 의해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러너홀더가 이격된 중간부금형과 우측부금형 사이에 위치시키는 러너홀더 위치단계;
    상기 제품흡착단계와 동시에 동작되며, 러너홀더구동부에 의해 러너홀더에 러너를 홀딩시키는 러너홀딩단계; 및
    상기 흡착상승단계와 동시에 동작되며, 러너픽업수직구동부에 의해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을 상측으로 상승시킴에 따라, 러너홀더를 상승시키는 홀더상승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러너배출단계는,
    러너픽업수평구동부에 의해 러너픽업수직프레임을 제1픽업수평프레임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제1수평이동단계;
    제1픽업수평구동부에 의해 제1픽업수평프레임을 따라 제2픽업수평프레임을 수평이동시켜 제2배출부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제2수평이동단계; 및
    상기 러너홀더구동부에 의해 러너홀더에 홀딩된 러너를 제2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평이동단계 시, 상기 픽업수직프레임이 함께 이동되며,
    상기 수지제품배출단계는,
    제2픽업수평구동부에 의해 픽업수직프레임을 이동시켜 픽업흡착부가 제1배출부의 상측으로 위치시키는 제3수평이동단계;
    픽업회전구동부에 의해 픽업흡착부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단계;
    픽업수직구동부에 의해 픽업흡착부가 제1배출부의 제1배출벨트에 근접하도록 하강시키는 흡착하강단계; 및
    제1픽업흡착부의 진공을 제거하여 수지제품을 제1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제1배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단계는,
    상기 포장상자를 포장픽업부의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포장상자이송단계; 및
    상기 포장픽업부에 의해 제1배출부를 따라 배출되는 수지제품을 픽업하여 상기 포장상자에 수납하는 수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상자이송단계는,
    상기 제1포장이송부에 의해 복수의 포장상자를 포장프레임의 일측단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1상자이송단계;
    상기 제2포장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1상자이송단계에서 이송되는 포장상자를 포장프레임의 전단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2상자이송단계;
    상기 제3포장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2상자이송단계에서 이송되는 포장상자를 포장프레임의 타측단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3상자이송단계; 및
    상기 제4포장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3상자이송단계에서 이송되는 포장상자를 포장프레임의 후단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제4상자이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단계는, 상기 제3상자이송단계에서 제4포장이송부로 이송된 포장상자에 수지제품을 수납하고,
    상기 수납단계는,
    상기 포장흡착부에 의해 제1배출부로 배출되는 복수의 수지제품을 흡착하는 포장흡착단계;
    상기 포장수직구동부에 의해 상기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을 상승시켜 포장흡착부를 상승시키는 제1포장상승단계;
    상기 포장수평구동부에 의해 상기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포장흡착부를 상기 포장상자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제1포장수평이동단계;
    상기 포장수직구동부에 의해 상기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을 하강시켜 포장흡착부를 하강시키는 제1포장하강단계;
    상기 포장흡착부의 진공을 제거하여 흡착된 복수의 수지제품을 포장상자에 수납하는 포장진공제거단계;
    상기 포장수직구동부에 의해 상기 포장픽업수직이동프레임을 상승시켜 포장흡착부를 상승시키는 제2포장상승단계; 및
    상기 포장수평구동부에 의해 상기 포장픽업수평이동프레임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포장흡착부를 상기 제1배출부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제2포장수평이동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단계는,
    러너가 호퍼로 유입되는 러너유입단계;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된 러너를 분쇄부에 의해 분쇄시키는 러너분쇄단계; 및
    진공에 의해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재료를 상기 재료공급부로 순환공급시키는 순환단계;를 포함하는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35338A 2021-10-12 2021-10-12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 KR10247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338A KR102477695B1 (ko) 2021-10-12 2021-10-12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338A KR102477695B1 (ko) 2021-10-12 2021-10-12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695B1 true KR102477695B1 (ko) 2022-12-13

Family

ID=8443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338A KR102477695B1 (ko) 2021-10-12 2021-10-12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6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114A (ja) * 1986-07-29 1988-02-13 Hino Motors Ltd 射出成形機のリサイクル装置
JPH08118356A (ja) * 1994-10-20 1996-05-14 Kawasaki Heavy Ind Ltd 型成形用樹脂再生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5178801A (ja) * 2003-12-17 2005-07-07 Star Seiki Co Ltd 容器箱詰めシステム及び箱詰め方法
KR100864249B1 (ko) 2007-05-31 2008-10-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런너분리장치 및 방법
JP2008265107A (ja) * 2007-04-18 2008-11-06 Meiki Co Ltd 導光板の取出装置および導光板の取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4114A (ja) * 1986-07-29 1988-02-13 Hino Motors Ltd 射出成形機のリサイクル装置
JPH08118356A (ja) * 1994-10-20 1996-05-14 Kawasaki Heavy Ind Ltd 型成形用樹脂再生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5178801A (ja) * 2003-12-17 2005-07-07 Star Seiki Co Ltd 容器箱詰めシステム及び箱詰め方法
JP2008265107A (ja) * 2007-04-18 2008-11-06 Meiki Co Ltd 導光板の取出装置および導光板の取出方法
KR100864249B1 (ko) 2007-05-31 2008-10-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런너분리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신한인더스트리. 자동화 포장 (정렬,포장) #안전벨트. 유튜브, [online], 2021.05.11., [2022년 6월 23일 검색], 인터넷:<URL:https://www.youtube.com/watch?v=iLyYmxnuaqQ> 1부.* *
여기에TV. 한국 토종 취출로봇 시연 [PRODUCT] 이 제품에 주목하라. 유튜브, [online], 2021.08.06., [2022년 3월 7일 검색], 인터넷:<URL:https://www.youtube.com/watch?v=g60_lhfR8hM>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30880A1 (en) Method for handling injection molded articles
CN107471534B (zh) 盘式物料自动上料设备
KR102477695B1 (ko)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방법
KR100701595B1 (ko) 게이트 절단장치
JP2005104555A (ja) 容器箱詰めシステム及び箱詰め方法
KR100998705B1 (ko) 렌즈 가공 시스템
CN105690680A (zh) 一种注塑机系统
KR102477692B1 (ko) 수지제품 제조방법
KR102477693B1 (ko) 러너 배출이 용이한 수지제품 제조장치
KR102459491B1 (ko) 수지제품 제조장치
JP4484102B2 (ja) 容器箱詰めシステム及び箱詰め方法
CN202155990U (zh) 电木成型机的改良结构
KR102225042B1 (ko) 사출 금형장치
KR20150108703A (ko) 사출렌즈 커팅 시스템
KR20130139388A (ko) 용기입구측의 사출물 런너 절단장치
CN203780853U (zh) 一种扣式电池包装机的送料机构
CN112706342B (zh) 树脂供给机构、树脂成形装置及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
KR101037640B1 (ko) 사출기의 로딩/언로딩장치
CN111645260A (zh) 一种玻纤伞骨包胶设备
CA2607310A1 (en) A robot for an injection molding system
CN117227099B (zh) 一种中心转塔多色立式注塑机
KR102494911B1 (ko) 수지 밀봉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KR101478653B1 (ko) 카지노 칩 제조장치
CN111344129B (zh) 成型品移除装置
CN217994895U (zh) 一种塑料瓶生产打包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