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260B1 -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 Google Patents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260B1
KR102476260B1 KR1020220110148A KR20220110148A KR102476260B1 KR 102476260 B1 KR102476260 B1 KR 102476260B1 KR 1020220110148 A KR1020220110148 A KR 1020220110148A KR 20220110148 A KR20220110148 A KR 20220110148A KR 102476260 B1 KR102476260 B1 KR 102476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old
groove
vacuum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기
Original Assignee
박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기 filed Critical 박춘기
Priority to KR102022011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1Modular mould systems [MMS], i.e. moulds built up by stacking mould elements, e.g. plates, blocks, rods
    • B29C33/302Assembling a large number of mould elements to constitute one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8개의 몰드 섹터로 분리되어 가공한 후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로 오차 없이 조립이 이루어져 타이어의 성형 후 섹터 사이의 오차(DS)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세트 핀의 진공결합을 방지하여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핀과 홈 몸체를 간편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측으로 몰드 설치공이 형성되며 다수 개로 분할 결합하는 몰드 섹터의 양쪽 결합면에 설치한 핀 설치 홈으로 나사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핀 설치홈에 결합하며 조립 구멍에서 조립 볼트로 나사 구멍에 고정하고 중앙으로 세트 핀이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세트 핀의 상측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핀 몸체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 설치홈에 결합하며 조립 구멍에 조립 볼트로 나사 구멍에 고정하고 중앙으로 결합 홈을 형성한 홈 몸체로 이루어진 세팅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결합 홈의 일측으로 세트 핀이 결합되어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공방지 구멍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핀 몸체와 홈 몸체의 조립 구멍 사이에 빼기 볼트가 결합되어 핀 설치홈에서 핀 몸체와 홈 몸체를 분리하기 위한 빼기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Tire mold for vacuum prevention and removal of sectors}
본 발명은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8개의 몰드 섹터로 분리되어 가공한 후 타이어를 성형하기 위한 몰드로 오차 없이 조립이 이루어져 타이어의 성형 후 섹터 사이의 오차(DS)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세트 핀의 진공결합을 방지하여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핀과 홈 몸체를 간편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타이어 몰드는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사이드 몰드 및 이들 사이에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분할 몰드를 포함한다. 상부 사이드 몰드, 하부 사이드 몰드 및 다수의 분할 몰드는 타이어의 형성을 위해 원통형의 지그에 조립되며, 원주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몰드 섹터는 타이어의 트레드를 형성하는 트레드부가 원통형의 내주면을 형성하도록 원형으로 배치된다.
종래 통상적인 타이어 몰드는 8개의 몰드 섹터(10)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지그에 원형으로 조립한 후 소정의 성형장치(미도시)에 결합하여 타이어를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분할된 몰드 섹터를 원형으로 결합하더라도 8개의 몰드 섹터로 분할되어 있어서 결합한 이후 타이어의 성형작업시에 섹터의 결합부분 사이에서 눈에 보이지 않은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틈새가 있는 상태에서 타이어를 성형하게 되면 타이어의 트레드부 사이에서 몰드 섹터의 결합면을 따라서 석출된 원료에 의한 단차(1mm 정도)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몰드 섹터의 결합면을 따라서 발생하는 간격(DS)을 통하여 단차가 발생하게 되면, 타이어의 성형불량으로 인정되어 유통을 어렵게 하는 결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몰드 섹터의 결합면에서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몰드 섹터의 결합 작업시에 많은 시간과 경비를 소요하게 되므로 인건비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고, 성형 불량으로 인하여 원가의 소모가 많아지는 결점이 발생한다.
또한, 타이어의 성형 공정이 완료되면 생산된 그린 케이스를 최종 완제품으로 만들기 위하여 가류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그린 케이스를 가류시키는 가류공정은 그린 케이스를 타이어 가류장치에 넣고 일정 시간 동안 열과 압력을 가하는데, 그 과정에서 그린 케이스가 가류장치의 가류 몰드 내에 밀칙되어 몰드 섹터(10)와 상, 하 사이드 몰드에 의해 타이어의 패턴과 사이드 부분이 형성된다.
일반적인 타이어 가류장치를 타이어를 성형시키는 다수의 몰드 섹터가 컨터이너에 결합된 구조이며,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성형시키는 다수의 몰드 섹터 또는 세그먼트들이 연결되어 타이어 몰드를 구성한다.
그러나 가류 작업을 위해서는 몰드 섹터를 작업을 반복함에 따라서 결합 및 분리 작업을 연속해서 수행하게 되고, 몰드 섹터를 결합하여 타이어를 성형할 때 압력에 의해 미세함 틈새로 고무 등의 부산물이 형성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등록한 특허등록번호 제1085153호(2011. 11. 14. 등록)는 상측으로 몰드 설치공(13)이 형성되며 다수 개로 분할 결합하는 몰드 섹터(10)의 양쪽 결합면에 설치한 핀 설치 홈(11)으로 나사 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핀 설치홈(11)에 결합하며 조립 구멍(23)에서 조립 볼트(24)로 나사 구멍(12)에 고정하고 중앙으로 세트 핀(22)이 돌출된 핀 몸체(21)와; 상기 핀 설치홈(11)에 결합하며 조립 구멍(27)에 조립 볼트(28)로 나사 구멍(12)에 고정하고 중앙으로 결합 홈(26)을 형성한 홈 몸체(25)로 이루어진 세팅장치(20)를 설치하는 섹터의 오차 방지를 위한 타이어 몰드에 있어서,
상기 핀 몸체(21)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세트 핀(22)이 상측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원뿔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는 핀 몸체(21)에 형성한 세트 핀(22)이 홈 몸체(25)의 결합홈(26)에 조립되며 양쪽의 몰드 섹터(1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결합홈(26)이 요철으로 결합되며 진공이 형성되어 몰드 섹터(10)의 결합상태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게 되어 몰드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발생하였으며, 핀 설치홈(11)에 형성한 나사구멍(12)을 통하여 각각의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조립 볼트(24, 28)로 고정한 상태에서 몰드 섹터(10)의 결합상태가 잘못된 경우에는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다시 분리해 조립해야만 하는데,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핀 설치홈(11)에 한번 고정하면 조립 볼트(24, 28)를 해제 하더라도 쉽게 분리되지 않아 많은 어려움과 시간 및 몰드 섹터(10)나 핀 몸체(21)와 홈 몸체(25)가 손상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2011-0047071호(2011. 05. 06. 공개) [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2005. 0044414호(2005. 05. 12. 공개)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017418호(2011. 02. 17. 등록) [문헌 4].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94982호(2005. 08. 31. 등록) 문헌 5]. 특허등록번호 제1085153호(2011. 11. 14.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일반적으로 8개의 몰드 섹터로 분할되는 타이어 몰드의 섹터가 결합면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몰드 섹터에 핀 몸체와 홈 몸체로 이루어진 세팅장치를 설치하여 몰드 섹터의 결합이 용이하고 몰드 섹터의 결합 후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핀 몸체의 세트 핀이 홈 몸체의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구멍의 외측으로 진공방지 구멍을 설치해 진공이 형성되지 않도록 조립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핀 몸체와 홈 몸체의 대각선 방향에 빼기 나사구멍을 형성해 핀 몸체와 홈 몸체를 몰드 섹터에서 분리할 때 빼기 볼트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측으로 몰드 설치공이 형성되며 다수 개로 분할 결합하는 몰드 섹터의 양쪽 결합면에 설치한 핀 설치 홈으로 나사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핀 설치홈에 결합하며 조립 구멍에서 조립 볼트로 나사 구멍에 고정하고 중앙으로 세트 핀이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세트 핀의 상측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핀 몸체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 설치홈에 결합하며 조립 구멍에 조립 볼트로 나사 구멍에 고정하고 중앙으로 결합 홈을 형성한 홈 몸체로 이루어진 세팅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결합 홈의 일측으로 세트 핀이 결합되어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공방지 구멍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핀 몸체와 홈 몸체의 조립 구멍 사이에 빼기 볼트가 결합되어 핀 설치홈에서 핀 몸체와 홈 몸체를 분리하기 위한 빼기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 핀 몸체의 조립 구멍 사이에 형성되는 빼기나사 구멍은 세트 핀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핀 몸체를 관통하게 형성하는 것과;
상기 홈 몸체의 조립 구멍 사이에 형성되는 빼기나사 구멍은 결합홈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홈 몸체를 관통하게 형성하는 것과;
상기 홈 몸체는 결합홈의 일측으로 형성하는 진공방지 구멍이 결합홈에서 관통되도록 형성하여 진공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8개의 몰드 섹터로 분할되는 타이어 몰드의 섹터가 결합하는 결합면의 사이 한쪽에는 몰드 섹터에 삽입된 세트 핀이 돌출되는 핀 몸체를 고정하고, 반대편에서 세트 핀이 결합하는 몰드 섹터의 면에는 세트 핀이 결합한 는 결합 홈을 갖는 홈 몸체를 설치하여 상기 세트 핀과 결합 홈의 결합으로 몰드 섹터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해소하며, 몰드 섹터에 설치한 세팅장치를 통하여 몰드 섹터를 지그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합하여, 타이어의 생산시에 몰드 섹터 간의 결합면에서 결합 후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핀 몸체의 세트 핀이 홈 몸체의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구멍의 외측으로 진공방지 구멍을 설치해 세트 핀이 결합구멍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진공이 형성되지 않고 안정되고 정확하며 견고하게 조립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핀 몸체와 홈 몸체의 대각선 방향에 빼기 나사구멍을 형성해 핀 몸체와 홈 몸체를 몰드 섹터에서 분리할 때 빼기 볼트를 사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몰드 섹터와 핀몸체와 홈 몸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몰드 섹터에 대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세팅장치 중 핀 몸체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세팅장치 중 홈 몸체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세팅장치에 대한 조립상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세팅장치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세팅장치에 대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섹터 몰드에 대한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 중 홈 몸체에 대한 일부를 단면한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홈 몸체를 분리하기 위한 세팅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홈 홈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세팅장치를 섹터 몰드에 결합한 상태의 오차범위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설치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세팅장치 중 핀 몸체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팅장치 중 홈 몸체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세팅장치에 대한 조립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팅장치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세팅장치에 대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섹터 몰드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컨테이너 등에 결합하는 몰드 설치공(13)을 형성한 몰드 섹터(10)는 필요에 따라서 분할 개수를 달리하지만, 일반적으로 8개의 몰드 섹터(10)로 분할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과 형태 및 디자인을 갖는 원형의 타이어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몰드 섹터(10)의 하측 부분 양쪽에 위치하며 조립시에 서로 만나는 가공면에는 원형이나 사각형 및 다각형 등의 핀 설치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핀 설치홈(11)에 다수 개의 나사 구멍(12)을 형성하여 조립 볼트(24, 28)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 섹터(10)의 핀 설치홈(11)에는 세팅장치(20)를 설치하여 가공면에서 틈새(DS) 또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세팅장치(20)를 설치한다.
상기 세팅장치(20)는, 핀 설치홈(11)과 같은 형상과 높이를 갖는 핀 몸체(21)에 같은 간격으로 조립 구멍(23)을 형성하여 조립 볼트(24)가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핀 몸체(21)의 중앙에는 세트 핀(2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세트 핀(22)은 돌출된 끝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핀 몸체(21)와 원통형이나 삼각뿔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트 핀(22)은 핀 몸체(21)로 부터 54∼66°의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작부분의 지름은 14∼16mm가 되도록 하고, 끝 부분의 지름은 7∼9mm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 구멍(23)의 사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빼기 나사구멍(41)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빼기 나사구멍(41)에는 빼기 볼트(40)가 결합되어 핀 몸체(21)를 핀 설치홈(11)으로부터 힘들이지 않고 빼낼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세팅장치(20)는 핀 설치홈(11)과 같은 형상과 높이를 갖고 가공면의 다른 방향에 설치하는 홈 몸체(25)에 같은 간격으로 조립 구멍(27)을 형성하여 조립 볼트(28)가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홈 몸체(25)의 중앙에는 세트 핀(22)이 결합하는 결합 홈(2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6)의 끝부분에서는 외부와 관통되도록 진공방지 구멍(26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조립 구멍(27)의 사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빼기 나사구멍(51)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빼기 나사구멍(51)에는 빼기 볼트(50)가 결합되어 홈 몸체(25)를 핀 설치홈(11)으로부터 힘들이지 않고 빼낼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 홈(26)은 세트 핀(22)의 형태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팅장치(20)는 몰드 섹터(10)의 재질이 알루미늄이나 스틸로 이루어지므로 알루미늄보다 더 강한 금속재질(SKD11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 몸체(21)와 홈 몸체(25)의 재질은 질지고도 다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며, 냉간 금형용 재질을 사용하여 충격에도 강하고 경도도 매우 높은 편에 속하고, 철강 소재 중에 가장 질지고 단단하다고 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열처리가 되고 나면 단단해져 치수 가공은 거의 불가능하고 연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처리 후 변형이 적은 재질이고, 주로 정밀 가공후 진공열처리를 통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중 홈 몸체에 대한 일부를 단면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홈 몸체를 분리하기 위한 세팅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홈 홈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홈 몸체(25)는 중앙에 형성된 원뿔형태의 결합홈(26) 안쪽으로 진공방지 구멍(26a)이 형성되어 세트 핀(22)이 결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진공상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결합홈(26)에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홈(26)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에 조립구멍(27)을 형성해 조립 볼트(28)를 통하여 핀 설치홈(11)의 나사구멍(12)에 나사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립구멍(27)의 사이에서 대각선 방향에 빼기나사 구멍(51)을 관통되게 형성하며, 빼기나사 구멍(51)에는 빼기 볼트(50)를 결합해 홈 몸체(25)를 핀 설치홈(11)에 조립한 후 빼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세팅장치를 섹터 몰드에 결합한 상태의 오차범위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
몰드 섹터(10)의 핀 설치홈(11)에 각각의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조립 볼트(24, 28)로 조립한 상태에서 인접한 몰드 섹터(10)를 조립하게 되는 경우를 반복함에 따라 몰드 섹터(10)가 핀 몸체(21)와 홈 몸체(2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질에 해당됨에 따라 마모가 이루어지게 되면 핀 몸체(21)와 홈 몸체(25)가 노출되는 경우 몰드 섹터(10)를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핀 설치홈(11)에 결합하는 경우 몰드 섹터(10)의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0.01∼0.03mm의 간격(S)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는, 타이어를 성형하거나, 타이어를 성형한 후에 가류 공정에서 몰드 섹터(10)가 8등분 또는 필요한 개수로 등분되어 타이어 몰드를 성형하는 것이며, 제조한 몰드 섹터(10)의 가공면 하측으로 한쪽에는 핀 설치홈(11)에 핀 몸체(21)를 결합하여 조립 볼트(24)로 조립 구멍(23)을 관통하여 나사 구멍(12)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고, 가공면의 반대편에는 핀 설치홈(11)에 홈 몸체(25)를 결합하여 조립 볼트(28)로 조립 구멍(27)을 관통하여 나사 구멍(12)에 고정함으로써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한 쌍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몰드 섹터(10)는 원통형의 지그 내부에서 원형이 되도록 결합하는 것으로, 몰드 섹터(10)를 결합하면 세팅장치(20)를 통하여 인접하는 몰드 섹터(10)의 가공면에서 핀 몸체(21)의 세트 핀(22)이 돌출되어 있는 것이 다음의 몰드 섹터와 만나는 위치에서 홈 몸체(25)의 결합 홈(26)과 만나면서 요철형태로 결합한다.
세트 핀(22)이 결합 홈(26)과 만나면서 결합되면 가공면에서 만나는 몰드 섹터(10)가 오차 없이 정확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몰드 섹터(10)를 차례로 결합해 원통형을 이루도록 결합하는 것으로 타이어 몰드를 완성하며, 상기 타이어 몰드를 이용 타이어를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가류시에는 몰드 섹터(10)를 분리하여 성형한 타이어를 몰드 섹터(10)의 내부로 공급하여 결합한 후 타이어 가류장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열과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드레드 패턴과 사이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이어를 성형하거나 트레드 패턴과 사이드 부분을 형성하는 가류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몰드 섹터(10)를 반복해서 결합 및 분리하게 되므로 세팅장치(20)를 통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안정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몰드 섹터(10)의 결합에 의한 가공면에서 틈새(DS) 또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핀 설치홈(11)에는 나사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 설치홈(11)의 대향되는 부분에 세팅장치(20)의 주요 구성인 핀 몸체(21)와 홈 몸체(25)가 각각 결합된 후 조립구멍(23, 27)에 조립 볼트(24, 28)를 결합시켜 나사구멍(12)에 나사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핀 몸체(21)와 홈 몸체(25)가 각각 핀 설치홈(11)에 결합된 후에 인접한 몰드 섹터(10)를 결합하면 핀 몸체(21)의 중앙에 돌출된 세트 핀(22)이 홈 몸체(25)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홈(26)에 결합되면서 정확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되고, 결합홈(26)에 세트 핀(22)이 결합되면서 진공상태가 형성될 수 있으나, 결합홈(26)에는 진공방지 구멍(26a)이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홈(26)에서 진공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조립함으로 인한 몰드 섹터(10)의 결합시 서로 잘못된 결합으로 인하여 몰드 섹터(10)를 다시 분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결합홈(26)에 세트 핀(22)이 결합되면서 진공상태가 되면 몰드 섹터(10)가 서로 조립된 후 잘 빠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해 진공방지 구멍(26a)을 통하여 진공상태가 형성되지 않아 몰드 섹터(10)를 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고정한 후에 몰드 섹터(10)의 결합으로 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지만, 종래에는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모되거나, 몰트 섹터(10) 또는 핀 몸체(21)와 홈 몸체(25)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나,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핀 설치홈(11)에서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조립 볼트(24, 28)를 나사구멍(12)과 조립구멍(23, 27)에서 분리한 후에 빼기 볼트(40, 50)를 빼기나사 구멍(41, 51)에 조립시켜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빼기 볼트(40, 50)가 빼기나사 구멍(41, 51)의 선단에서 핀 설치홈(11)에 지지되며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핀 설치홈(11)에서 수직으로 이동시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힘들이지 않고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핀 설치홈(11)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몰드 섹터(10)의 핀 설치홈(11)에 각각의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조립 볼트(24, 28)로 조립한 상태에서 인접한 몰드 섹터(10)를 조립과 분리를 계속해서 반복함에 따라 몰드 섹터(10)가 핀 몸체(21)와 홈 몸체(2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질에 해당되므로 마모가 상태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게 되면 핀 몸체(21)와 홈 몸체(25)가 노출되는 경우 몰드 섹터(10)를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핀 설치홈(11)에 결합하는 경우 몰드 섹터(10)의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0.01∼0.03mm의 간격(S)을 갖도록 들어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S)이 0.01mm 이하인 경우에는 몰드 섹터(10)의 표면이 쉽게 손상되어 핀 몸체(21)와 홈 몸체(25)가 빠르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 몰드 섹터(10)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으며,
간격(S)이 0.03mm 이상인 경우에는 몰드 섹터(10) 간의 결합시 핀 몸체(21)의 세트 핀(22)과 홈 몸체(25)의 결합홈(26)이 안정된 결합상태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므로 몰드 섹터(10)가 결합력이 약화되어 타이어 성형 및 가류작업이 어렵게 되므로 간격(S)은 0.02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핀 몸체(21)와 홈 몸체(25)의 열처리는 진공열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공 중에서 금속의 풀림이나 담금질, 뜨임을 하는 것이고, 겉면이 사화되거나 질화되는 현상을 없해기 위하여 진공 속에서 열처리를 함으로써 겉면의 질이 높아지고 가소성이 종하지게 된다.
진공 가열에 의해서 탈 가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질의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강이나 Ti합금, 규소강판 등의 광휘풀림에 알맛게 됨에 따라 변형이 적고, 고 경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의 성형 및 가류 장치에서 몰트 섹터의 결합과 분리를 반복해서 수행하는 과정에서 몰드 섹터의 결합면에서 조립과 성형에 의한 틈새 또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결합홈의 안쪽에 진공방지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세트 핀의 결합에 의한 진공을 방지해 잘못된 조립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하고, 핀 몸체와 홈 몸체에 빼기나사 구멍을 형성해 빼기 볼트로 간편하게 핀 설치홈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몰드 섹터 11 : 핀 설치홈
12 : 나사 구멍 13 : 몰드 설치공
20 : 세팅장치 21 : 핀 몸체
22 : 세트 핀 23, 27 : 조립 구멍
24, 28 : 조립 볼트 25 : 홈 몸체
26 : 결합 홈 26a : 진공방지 구멍
40, 50 : 빼기 볼트 41, 51 : 빼기나사 구멍

Claims (4)

  1. 상측으로 몰드 설치공(13)이 형성되며 다수 개로 분할 결합하는 몰드 섹터(10)의 양쪽 결합면에 설치한 핀 설치 홈(11)으로 나사 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핀 설치홈(11)에 결합하며 조립 구멍(23)에서 조립 볼트(24)로 나사 구멍(12)에 고정하고 중앙으로 세트 핀(22)이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세트 핀(22)의 상측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핀 몸체(21)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핀 설치홈(11)에 결합하며 조립 구멍(27)에 조립 볼트(28)로 나사 구멍(12)에 고정하고 중앙으로 결합 홈(26)을 형성한 홈 몸체(25)로 이루어진 세팅장치(20)를 설치하되;
    상기 결합 홈(26)의 일측으로 세트 핀(22)이 결합되어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공방지 구멍(26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핀 몸체(21)와 홈 몸체(25)의 조립 구멍(23, 27) 사이에 빼기 볼트(40, 50)가 결합되어 핀 설치홈(11)에서 핀 몸체(21)와 홈 몸체(25)를 분리하기 위한 빼기나사 구멍(41, 51)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몸체(21)의 조립 구멍(23) 사이에 형성되는 빼기나사 구멍(41)은 세트 핀(22)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핀 몸체(21)를 관통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몸체(25)의 조립 구멍(27) 사이에 형성되는 빼기나사 구멍(51)은 결합홈(26)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홈 몸체(25)를 관통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몸체(25)는 결합홈(26)의 일측으로 형성하는 진공방지 구멍(26a)이 결합홈(26)에서 관통되도록 형성하여 진공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KR1020220110148A 2022-08-31 2022-08-31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KR10247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148A KR102476260B1 (ko) 2022-08-31 2022-08-31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148A KR102476260B1 (ko) 2022-08-31 2022-08-31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260B1 true KR102476260B1 (ko) 2022-12-13

Family

ID=8443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148A KR102476260B1 (ko) 2022-08-31 2022-08-31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26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779Y1 (ko) * 1989-06-22 1991-10-05 주식회사 금 호 타이어 가류금형내의 문자변경 및 공기 누출장치
KR20050044414A (ko) 2001-11-13 2005-05-12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타이어용 몰드
KR200394982Y1 (ko) 2005-06-28 2005-09-0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금형
JP2009023188A (ja) * 2007-07-19 2009-02-05 Star Seiki Co Ltd 金型着脱装置及び金型着脱方法
KR101017418B1 (ko) 2008-10-30 2011-02-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의 가황 금형
KR20110047071A (ko) 2009-10-29 2011-05-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몰드 세그먼트,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금형, 및 타이어 가류금형의 조립방법
KR101085153B1 (ko) 2011-06-22 2011-11-18 박종선 섹터의 오차 방지를 위한 타이어 몰드
KR101085152B1 (ko) * 2011-06-22 2011-11-18 박종선 손상 방지대를 갖는 타이어 몰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779Y1 (ko) * 1989-06-22 1991-10-05 주식회사 금 호 타이어 가류금형내의 문자변경 및 공기 누출장치
KR20050044414A (ko) 2001-11-13 2005-05-12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타이어용 몰드
KR200394982Y1 (ko) 2005-06-28 2005-09-0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금형
JP2009023188A (ja) * 2007-07-19 2009-02-05 Star Seiki Co Ltd 金型着脱装置及び金型着脱方法
KR101017418B1 (ko) 2008-10-30 2011-02-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타이어의 가황 금형
KR20110047071A (ko) 2009-10-29 2011-05-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몰드 세그먼트,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금형, 및 타이어 가류금형의 조립방법
KR101085153B1 (ko) 2011-06-22 2011-11-18 박종선 섹터의 오차 방지를 위한 타이어 몰드
KR101085152B1 (ko) * 2011-06-22 2011-11-18 박종선 손상 방지대를 갖는 타이어 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1629B1 (en) Spoke edge geometry for a non-pneumatic tire
EP2370273B1 (en) System for changing sipe blades for molding or retreading tires
JPH07186303A (ja) タイヤの成形金型と成形方法
KR100257500B1 (ko) 타이어 몰드 및 타이어 성형 방법
WO2006080378A1 (ja) ベントピース及び前記ベントピースが装着された金型
KR102476260B1 (ko)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EP1935624A1 (en) Three piece tire mold
KR100835589B1 (ko) 퍼즐몰드와 세미 세그먼트로 형성된 트레드몰드
JPH0872061A (ja) タイヤ成形用金型
JP5401557B2 (ja) モールドツイストロック装置
KR101085152B1 (ko) 손상 방지대를 갖는 타이어 몰드
KR101085153B1 (ko) 섹터의 오차 방지를 위한 타이어 몰드
JP7468222B2 (ja) モールド
CN114953549B (zh) 一种轮胎模具及拆卸方法
EP3023213B1 (en) Mold for spiked tire
KR100411018B1 (ko) 벤트리스 타입 금형의 트레드 링 인서트
KR20160148964A (ko) 타이어 가황금형용 벤트 플러그
KR101996290B1 (ko) 버 형성방지를 위한 필러게이지 일체 가공형 다중 분할 그린타이어 가류금형
US10967589B1 (en) Tire mold with interchangeable element having removably attachable lamelle
KR200442824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필터벤트
JP2013202792A (ja) タイヤ用モール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269551A (zh) 用来硫化车轮轮胎的模具的插入件、用来生产所述插入件的方法和用来硫化轮胎的方法
WO2023172458A1 (en) Methods of making disc sprockets and sprockets
WO2024049804A1 (en) Undulated sipe-molding member for improved tire performance and economical mold fabrication
KR101029552B1 (ko) 강판용 나이프 롤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