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982Y1 - 타이어 가류 금형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982Y1
KR200394982Y1 KR20-2005-0018675U KR20050018675U KR200394982Y1 KR 200394982 Y1 KR200394982 Y1 KR 200394982Y1 KR 20050018675 U KR20050018675 U KR 20050018675U KR 200394982 Y1 KR200394982 Y1 KR 200394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sectors
mold
vulcanization mold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8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9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9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2Means for forming recesses or protrusions in the tyres, e.g. grooves or ribs, to create the tread or sidewalls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6Surface structure of the mould, e.g. roughness, arrangement of slits, groov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타이어 가류 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개의 섹터(Sector)로 분할된 타이어 가류 금형에 있어서, 각 섹터간의 접합면에 그 접합 위치를 안내하는 요철부를 두어 각 섹터의 접합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한 것임.

Description

타이어 가류 금형{ Tire vulcanizing mold }
본 고안은, 자동차용 타이어 가류 금형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가류금형은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섹터(Sector)로 분할되어지고 콘테이너에 취부되어 하나의 금형을 형성시키게 되는 바, 종래의 가류 금형에 있어서는, 금형의 섹터들을 콘테이너에 취부함에 있어서, 콘테이너에 취부되는 섹터들이 그 접합부위가 정확히 일치되지 못하고 섹터들 간에 축방향이나 경방향에 따라 단차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이러한 오차는 섹터의 가공 잘못에 기인할 수 있으며 콘테이너에 금형을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각 섹터는 단순히 콘테이너에 취부되어질 뿐이므로, 금형 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해서 섹터 간 단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만약 금형이 정확히 가공 형성되어지지 아니하거나, 정확히 제조되었다 하더라도 그 조립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섹터간 단차에 의해 타이어에 식출이나 단차부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섹터와 사이드 파팅(side parting; 사이드월 형성 부위 금형)간의 접합부에서도 이상 식출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가류금형의 각 섹터 접합면에 서로 대향되는 요철부를 두어 이러한 요철부가 접합되는 섹터를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여 각 섹터의 접합에 정확한 일치를 이룰 수 있게 하였다. 즉, 종래의 가류 금형에 있어서는 그 접합면 형상이 평면으로 2차원 형상이었으나, 본 고안은 그 형상을 요철부로 된 3차원화 하여 각 섹터가 그 접합면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를 가지게 하므로서,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섹터간의 단차나 공극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하였는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개의 섹터(1, 2)와 사이드 파팅(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는 타이어 가류 금형에 있어서, 종래에는, 각 섹터(1, 2) 사이의 접합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본 고안은, 그 접합면에 서로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철부는 각 섹터(1, 2)가 그 경방향이나 축방향으로의 위치 정렬 적합성을 가지도록 안내하는 안내자 역할을 하게 하는 것으로 족하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이러한 요철부의 실시예로 일측 섹터(1)의 접합면(31)에는 돌출부(4)를 형성시키고, 다른 섹터(2)의 접합면(32)에는 위 돌출부(4)가 받아들여지는 요함부(5)가 형성된 실시예를 제공한다. 물론, 이러한 돌출부(4)나 요함부(5)의 위치는 서로 바꾸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4)나 요함부(5)의 형상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사다리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에 제한 받을 이유가 없다. 돌출부(4)나 요함부(5)의 돌출 및 함몰 정도는 그 높이 또는 깊이가 5∼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콘테이너(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금형의 각 섹터를 설치함에 있어서 인접하는 섹터(1, 2) 들이, 그 요철부의 요철이 서로 끼워지도록 접합시킴으로서 인접하는 섹터들이 정확한 위치에서 어긋남이 없이 접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금형 제조에 있어서에 잘못이 없다면 적어도 조립 잘못에 의한 섹터간의 단차 등과 같은 부조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식출이나, 단차부에 의한 타이어의 외관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생산된 타이어로부터 식출을 제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타이어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금형에 있어서 접합되는 인접 섹터(Sector)의 대향면 발췌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금형에 있어서 접합되는 인접 섹터(Sector)의 대향면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섹터
31, 32........ 접합면
4 ............... 돌출부
5 ............... 요함부

Claims (3)

  1. 다수개의 섹터와 사이드 파팅으로 구성되는 타이어 가류 금형에 있어서, 섹터와 섹터의 접합면에 서로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요철부는 일측 섹터의 접합면에 형성시키는 돌출부와 타측 섹터의 대응 접합면에 형성시키는 대응 요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돌출부와 요함부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 금형.
KR20-2005-0018675U 2005-06-28 2005-06-28 타이어 가류 금형 KR200394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675U KR200394982Y1 (ko) 2005-06-28 2005-06-28 타이어 가류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675U KR200394982Y1 (ko) 2005-06-28 2005-06-28 타이어 가류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982Y1 true KR200394982Y1 (ko) 2005-09-06

Family

ID=4369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675U KR200394982Y1 (ko) 2005-06-28 2005-06-28 타이어 가류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9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153B1 (ko) * 2011-06-22 2011-11-18 박종선 섹터의 오차 방지를 위한 타이어 몰드
KR102476260B1 (ko) 2022-08-31 2022-12-13 박춘기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153B1 (ko) * 2011-06-22 2011-11-18 박종선 섹터의 오차 방지를 위한 타이어 몰드
KR102476260B1 (ko) 2022-08-31 2022-12-13 박춘기 섹터의 진공방지와 빼기를 위한 타이어 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1640B2 (en) Molded lens having an outer circumference and first and second optical surfaces with cut off peripheral portions, and molding die for the molded lens
US20150306838A1 (en) Two-color molding method and two-color molded article
US20180162016A1 (en) Molding element comprising a special fastening means
KR200394982Y1 (ko) 타이어 가류 금형
JP3213363U (ja) 小型直線運動モジュール
JP4329931B2 (ja) タイヤ加硫成型用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US11179906B2 (en) Set of molding elements for tire mold
KR20160133289A (ko) 차량 램프용 렌즈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
JP4863478B2 (ja) 燈体成形用の金型
CN109789604B (zh) 轮胎硫化模具
KR101120292B1 (ko) 턴테이블 및 그 제조 방법
JP2014141097A (ja) セクター金型におけるパタンブロックの加工用冶具
JP2014015071A (ja) ミラーベース構造
JP2007212744A (ja) 光学レンズ
JP5534483B1 (ja) セクター金型、その製造方法
KR101085153B1 (ko) 섹터의 오차 방지를 위한 타이어 몰드
KR101990434B1 (ko) 차량용 조립부품의 결합구조
JP6741766B2 (ja) タイヤ加硫金型
KR102008711B1 (ko) 인서트 볼트 및 이를 갖춘 사출물
KR102173704B1 (ko) 금형 어셈블리
JP4478168B2 (ja) 樹脂製シールリングの射出成形用金型
JP5087505B2 (ja) ディスク基板の金型
WO2021065214A1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の製造方法
JP4878529B2 (ja) 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並びに、車両用前照灯
JP4478167B2 (ja) 樹脂製シールリ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