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222B1 - 손잡이 - Google Patents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222B1
KR102476222B1 KR1020200075425A KR20200075425A KR102476222B1 KR 102476222 B1 KR102476222 B1 KR 102476222B1 KR 1020200075425 A KR1020200075425 A KR 1020200075425A KR 20200075425 A KR20200075425 A KR 20200075425A KR 102476222 B1 KR102476222 B1 KR 10247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noodles
coupling
suppor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823A (ko
Inventor
성훈
Original Assignee
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훈 filed Critical 성훈
Priority to KR1020200075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2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의 온도가 쉽게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내용물의 온도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손잡이{HOLDER}
본 발명은 국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쉽게 요리될 수 있는 간편식 국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국수(컵라면)는 고온의 물을 붓고 일정시간 기다리면 조리되어 섭취 가능한 상태가 되는 즉석식품의 일종으로서, 컵 또는 사발 형태로 제조된 일회용 식품 용기에 수납된 후 얇은 뚜껑으로 밀봉 폐쇄한 후 판매되고 있다.
이때, 컵국수를 먹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에 밀봉된 뚜껑을 반쯤 개봉한 다음, 용기 내에 뜨거운 물을 적정량 공급하여 개봉한 뚜껑을 다시 덮어 소정의 시간 동안 대기하고 있으면, 용기 내의 국수는 뜨거운 물에 의해 먹을 수 있는 상태로 익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 내에 있는 국수가 뜨거운 물에 의해 익혀지는 과정에서 코팅된 종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뜨거운 물이 오래 지속될 수 있는 보온력을 얻는 반면, 국수를 익히는 뜨거운 물이 용기의 표면에 닿게 되어 있는 상태라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성분의 일부가 국수로 유입하게 된다.
즉, 용기의 소재로 사용된 종이에는 합성수지로 코팅되어 있고, 국수와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도 합성수지로 되어 있어 내부에 뜨거운 물과 닿게 됨으로 인하여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의 성분 가운데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유출될 수 있어 건강에 해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0741호(이하 ‘문헌 1’)의 “컵라면의 용기”는 용기 내에 내포되어 있는 유해한 물질이 라면(국수)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용기 내주연에 알루미늄 호일을 압전하여 형성된 컵라면의 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알루미늄 호일에 의해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유해한 물질이 라면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알루미늄 호일이 마찰에 의해 찢어지면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유해한 물질이 라면에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조리를 위해 전자레인지에 의해 가열할 경우,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59259호(이하 ‘문헌 2’)의 “컵라면 용기”에서, 컵라면 용기 내면에 알루미늄 호일이 장착된 컵라면 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문헌 1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호일 층에 의해 환경 호르몬의 용출이 저하되는 장점이 있지만, 알루미늄 호일이 마찰에 찢어지거나 손상이 가해지면 용기에 포함된 환경호르몬이 라면에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조리를 위해 전자레인지에 의해 가열이 수행될 경우,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9341호(이하 ‘문헌 3’)의 “일회용 식품 용기”에서, 사용자가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고온의 물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저하될 수 있는 1회용 식품 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고온의 식품에 의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저하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파지부의 일단부에 절곡선이 형성되며, 파지부의 타단부는 절곡선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절곡선의 회전이 수행되지 못할 경우, 벨트부재를 파지하게 되어 화상위험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1400호(이하 ‘문헌 4’)의 “컵라면 용기”에서, 컵라면을 손으로 잡기에 편하고, 넣은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컵라면 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제1손잡이부 및 제2손잡이 부에 의해 손으로 잡기 편할 뿐만 아니라, 투명 표시창에 의해 외부로부터 물의 양이 쉽게 파악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제1손잡이부 및 제2손잡이부가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1손잡이부 또는 제2손잡이부의 회전이 수행되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몸체를 파지하도록 형성되어 화상위험이 증가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0741호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592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93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140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조리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간편식 국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 국수라 함은 곡물을 가루 내어 반죽한 것을 가늘게 만든 후, 국물에 말거나, 비비거나, 볶아 먹는 음식의 총칭을 말하며, 일반적인 국수 이외의 라면, 쌀국수, 우동, 짬뽕 등의 가락면(noodle)을 사용한 일체의 음식을 말하고, 면이 곧거나 구부러지는 등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된 용기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내용물에 유입되지 않는 간편식 국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내용물의 온도가 쉽게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제1덮개부가 형성되어 내용물의 온도가 오랫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간편식 국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내용물(4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된 제1몸체부(100); 및 내용물(400)은 제1몸체부(100) 내측에 포함되며, 밀 또는 쌀, 감자전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건조국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몸체부(100) 내측 또는 외측에 포함되며, 정제소금, 향미증진제, 덱스트린, 백설탕, 정제포도당, 간장분말, 물엿, 멸치분말, 고춧가루, 건파, 건미역, 건당근, 멸치엑기스분말, 멸치분, 가쓰오부시분말, 마늘분말, 양파분말, 비프시즈닝파우더, 호박산나트륨, 흑후추분말, 볶음참깨, 매운조미고추맛분, 건조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스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내용물(4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된 제1몸체부(100); 내용물(400)은 제1몸체부(100) 내측에 포함되며, 밀 또는 쌀, 감자전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건조국수; 제1몸체부(100)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2몸체부(200); 제2몸체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손잡이부(210); 제2몸체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손잡이부(220); 및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제2몸체부(200)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결합부(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몸체부(100) 내측 또는 외측에 포함되며, 정제소금, 향미증진제, 덱스트린, 백설탕, 정제포도당, 간장분말, 물엿, 멸치분말, 고춧가루, 건파, 건미역, 건당근, 멸치엑기스분말, 멸치분, 가쓰오부시분말, 마늘분말, 양파분말, 비프시즈닝파우더, 호박산나트륨, 흑후추분말, 볶음참깨, 매운조미고추맛분, 건조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스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제1손잡이부(210) 일측에 관통 형성된 제2관통부(211); 및 제2손잡이부(220) 일측에 제2관통부(211)를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조리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온도가 쉽게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제1덮개부가 형성되어 내용물의 온도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된 용기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유입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 의해 사용자가 내용물의 온도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식 국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편식 국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몸체부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편식 국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전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전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전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몸체부의 전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제1몸체부, 110: 제1지지부, 120: 제2지지부, 121: 제1받침부, 122: 제1공간부, 130: 제3지지부, 140: 제1개폐부, 141: 제2개폐부, 150: 제1개폐보조부, 160: 제3개폐부, 161: 제3개폐보조부, 170: 제4지지부, 171: 제4지지공간, 180: 제5지지부
200: 제2몸체부, 201: 제1결합부, 202: 제2결합부, 203: 제1관통부, 210: 제1손잡이부, 211: 제2관통부, 220: 제2손잡이부, 221: 제1고정부, 222: 제2고정부, 230: 제2받침부, 231: 제3받침부, 240: 제4받침부, 241: 제1절개부, 250: 제5결합부, 260: 제6결합부, 261: 제1결합단부, 262: 제2결합단부, 263: 제3결합단부, 270: 제2절개부, 280: 제3절개부
300: 제1덮개부, 310: 제1연결부, 311: 제1연결고정부, 312: 제2연결고정부
400: 내용물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편식 국수는 제1몸체부(100) 및 건조국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간편식 국수라 함은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일체의 면류를 의미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간단하게 국수라고 하나, 이 국수의 의미는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먼저, 제1몸체부(100)는 내측에 내용물(4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몸체부(1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용물(400)의 온도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며, 내용물(400)의 온도가 일정하게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재료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가공성이 뛰어나고, 경량에 의해 운반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높다고 알려진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1몸체부(100)는 내용물(400)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제1지지부(110), 제2지지부(120), 제3지지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지지부(110)는 제1몸체부(100)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몸체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110)는 제1몸체부(100)를 완전히 덮지 않고 내측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110)가 제1몸체부(100)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400)의 상측이 감싸지도록 형성되어, 외부온도에 의해 내용물(400)의 온도가 쉽게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지지부(120)는 제1몸체부(100)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받침부(12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받침부(121)는 제1몸체부(100) 하측에 형성되어 제1몸체부(100) 내측에 포함된 내용물(400)이 중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제1몸체부(100) 하측을 덮음으로써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받침부(121)는 내측 일측이 상측방향으로 융기되도록 형성된 제1공간부(1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받침부(121)는 제1몸체부(100) 하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1받침부(121) 일측에 제1공간부(122)가 형성됨으로써, 제1받침부(121) 외측면이 지면에 최소의 면적으로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제1받침부(121)는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제1몸체부(100)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받침부(121)의 내측 일측은 상측방향으로 융기되도록 형성되어 제1받침부(121) 중심부에 제1공간부(122)를 포함하여 단면의 형상이 ‘W’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제1받침부(121)의 형상에 의해, 제1몸체부(100)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400)의 온도가 지면의 온도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오랫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받침부(121)가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제2지지부(120)는 제1몸체부(100)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지지부(120)는 제1받침부(121) 하측 외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받침부(121)가 지면으로부터 제2지지부(120)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제2지지부(120)는 제1공간부(122)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2지지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제1받침부(121)가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제1받침부(121)와 제1몸체부(10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내용물(400)의 온도가 오랫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3지지부(130)는 제1지지부(110) 상측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지지부(130)는 제1지지부(110)의 개방된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지지부(130)가 포함됨으로써, 제1몸체부(100) 내측에 내용물(400)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국물을 마실 경우, 제3지지부(130)에 입을 대고 용이하게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사용자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국물을 다치지 않고 마실 수 있도록 제3지지부(130) 상측면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3지지부(130)는 사용자가 제1몸체부(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온수 등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적절히 유입되었는지 외부로부터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110)도 제3지지부(130)와 동일한 크기로 내측이 개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온수가 유입됨으로써 스프가 온수에 섞임으로써 국물을 형성하고, 건조국수가 온수의 온도에 의해 일정시간 후 사용자가 취식할 수 있는 국수형태로 조리될 수 있다.
나아가, 제1몸체부(100)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400)이 외부로부터 오염되지 않고 용이하게 보관되기 위해 제1개폐부(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개폐부(140)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제1개폐부(140)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킴으로써 내용물(400)을 조리 또는 취식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개폐부(140)는 제1지지부(110) 또는 제3지지부(130)와 연동 형성되어 제1몸체부(100)를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1개폐부(140)가 제1지지부(110)와 연동 형성될 경우, 제1지지부(110) 일측에 개방된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개폐부(140)가 제3지지부(130)와 연동 형성될 경우, 제1개폐부(140)는 제3지지부(130) 내주면을 따라 인입되어 형성되며, 제1몸체부(100)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화상 등의 사고를 예방하면서 안정적으로 내용물(400)을 취식할 수 있도록 제3지지부(130)와 연동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제1개폐부(140)가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제1개폐보조부(150)가 포함될 수 있다.
제1개폐보조부(150)가 포함됨으로써, 사용자의 힘에 의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제1개폐보조부(150)가 조작됨과 동시에 제1개폐부(140)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개폐보조부(150)가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조작됨과 동시에 제1개폐부(140)가 용이하게 개방되기 위해, 제2개폐부(141)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개폐부(140) 일측에 제2개폐부(141)가 제1개폐보조부(150)와 연동 형성됨으로써, 제1개폐보조부(150)가 조작됨과 동시에 제2개폐부(141) 부분이 절곡됨으로써 제1개폐부(140)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개폐부(141)는 제1개폐부(140) 일측에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홈 형태로 형성되고, 제1개폐보조부(150)는 제2개폐부(141)가 형성된 곳에 부착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내용물(400)은 제1몸체부(100) 내측에 포함되며, 밀 또는 쌀, 감자전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건조국수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건조국수는 제1몸체부(100) 내에 면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건조국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밀 또는 쌀 85~98중량부, 감자전분 0.1~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밀 또는 쌀이 8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밀 또는 쌀이 적게 포함되어 최종 제조되는 건조국수의 식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98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밀 또는 쌀의 양에 의해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때, 밀 또는 쌀은 50~200mesh의 분말 형태로 형성되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50mesh 이하의 분말이 적용될 경우, 분말 크기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건조국수의 찰기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200mesh 이상의 분말이 적용될 경우, 가루날림에 의해 손실량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감자전분이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감자전분의 양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건조국수의 식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건조국수의 점성이 증가하게 되어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를 취식하기에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선택적으로, 내용물(400)로서 제1몸체부(100) 내측 또는 외측에 스프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때 스프는 파우치 형태로 포장되거나 가루 또는 액상형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1몸체부(100)내측에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스프는 건조국수 100중량부 대비 10~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국수 100중량부 대비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스프가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 국물의 향미, 맛, 식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2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염도가 높아짐으로써 부종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때, 스프는 정제소금, 향미증진제, 덱스트린, 백설탕, 정제포도당, 간장분말, 물엿, 멸치분말, 고춧가루, 건파, 건미역, 건당근, 멸치엑기스분말, 멸치분, 가쓰오부시분말, 마늘분말, 양파분말, 비프시즈닝파우더, 호박산나트륨, 흑후추분말, 볶음참깨, 매운조미고추맛분, 건조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스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소금 25~28중량부, 향미증진제 5~8중량부, 덱스트린 0.1~1중량부, 백설탕 5~15중량부, 정제포도당 10~15중량부, 간장분말 8~10중량부, 물엿 0.1~1중량부, 멸치분말 2~10중량부, 고춧가루 0.1~7중량부, 건파 1~3중량부, 건미역 1~5중량부, 건당근 0.1~2중량부, 멸치엑기스분말 1~3중량부, 멸치분 3~10중량부, 가쓰오부시분말 1~5중량부, 마늘분말 1~5중량부, 양파분말 1~5중량부, 비프시즈닝파우더 0.1~5중량부, 호박산나트륨 0.1~1중량부, 흑후추분말 0.1~1중량부, 볶음참깨 0.1~1중량부, 매운조미고추맛분 0.1~1중량부, 건조김 0.1~1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정제소금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염도를 조절하기 위해 적용되며, 2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관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28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높은 염도에 의해 부종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향미증진제는 식품의 풍미를 돋기 위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식품 본연의 감칠맛과 향을 증가시키고 저염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L-글루타민산나트륨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향미증진제가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식품의 풍미가 저하되어 관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8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복통, 메스꺼움이 유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덱스트린은 녹말을 가수분해시킬 때 녹말에서 말토오스에 이르는 중간단계에서 생기는 가수분해 산물로서, 식품의 조합용이나 부형제로서 적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만약, 덱스트린이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덱스트린의 적은 양에 의해 관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백설탕이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관능이 저하되어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맛을 해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15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당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정제포도당이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정제포도당의 함량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관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5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간장분말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염도를 조절하고, 장기 보존성을 유지하기 위해 적용되며, 8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염도가 낮게 유지되어 관능이 저하되며, 장기간 보관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1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염도가 높게 유지됨으로써,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물엿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당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적용되며,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단맛이 저하되어 관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당도가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멸치분말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고, 2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이 저하되어 관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국물이 탁해지고, 텁텁하며, 이물감이 느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때, 적용되는 멸치분말의 입자크기는 30~60mesh인 것으로, 30mesh 이하의 멸치분말이 적용될 경우 멸치분말의 입자크기에 의해 이물감이 느껴지는 단점이 있고, 60mesh 이상인 멸치분말이 적용될 경우, 입자크기가 너무 작게 적용됨으로써, 멸치의 감칠맛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고춧가루는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잡내를 제거하고, 칼칼한 맛을 제공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잡내가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7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소화기관에 자극이 됨으로써 복통 등이 유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건파는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향미를 증가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건파의 함량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향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3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며, 스프의 맛을 해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건미역은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포만감을 제공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관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5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건당근이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건당근이 적게 포함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향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2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텁텁해질 뿐만 아니라, 탁해지고, 비린내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멸치엑기스분말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과 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고,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과 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3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텁텁해질 뿐만 아니라, 탁해지고, 비린내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멸치분은 멸치엑기스분말과 마찬가지로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과 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고, 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과 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0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때, 멸치분의 입자크기는 100~200mesh인 것으로, 멸치분말보다 좀 더 고운 입자를 가진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멸치분의 입자크기가 100mesh 이하인 것이 적용될 경우, 최종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200mesh 이상인 것이 적용될 경우, 멸치분의 입자크기에 의해 가루날림이 발생되어 제조 시 손실률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가쓰오부시분말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과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과 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5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가 텁텁해지고, 비린내가 날 수 있으며, 느끼해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마늘분말과 양파분말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향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향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5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비프시즈닝파우더가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관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5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가 느끼해지며,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호박산나트륨은 조개류 가공품이나 어육제품, 간장 등의 양조제품 등의 조미료로 사용되며, 호박산의 맛과 짠맛을 합친 맛을 가지고 있으며,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흑후추분말은 잡내를 제거하고 감칠맛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잡내가 제거되지 못하여 이물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1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매운맛이 증가되어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관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볶음참깨는 고소한 향을 제공하고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고소한 향이 저하되어 이물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1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매운조미고추맛분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에 매운맛과 감칠맛을 제공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고,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건조김은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에 감칠맛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감칠맛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200)는 제1몸체부(100)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부(200)가 형성됨으로써 제1몸체부(100)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400)의 온도가 외부온도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2몸체부(200)의 상측길이(H1)는 제1몸체부(100)의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제1몸체부(100)의 둘레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며, 하측길이(H2)는 상측길이(H1)보다 짧게 형성되어, 제2몸체부(200)로부터 제1몸체부(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몸체부(200)는 가공성이 뛰어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종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2몸체부(200) 내측면에 골과 산,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가 더 포함됨으로써, 마찰력이 높아짐으로써 중력에 의해 제1몸체부(100)가 제2몸체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2몸체부(200)는 제1손잡이부(210), 제2손잡이부(220) 및 제2결합부(2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손잡이부(210)는 제2몸체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손잡이부(210)는 제2몸체부(200)의 상측면과 하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제2손잡이부(220)와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손잡이부(220)는 제2몸체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손잡이부(220)는 제2몸체부(200)의 제1손잡이부(210)와 마주보는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2손잡이부(220)는 제2몸체부(200)의 하측면으로부터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제1손잡이부(210)가 제2손잡이부(2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제2몸체부(200)가 제1몸체부(100)를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제2몸체부(200)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결합부(20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결합부(202)는 제2몸체부(200)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면에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함몰 형성되며, 제2결합부(202)의 크기만큼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각각 제2몸체부(2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제2결합부(202)가 형성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가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체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손잡이부(220)는 제1손잡이부(210)와 연동 형성된 제2결합부(202)를 관통함과 동시에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가 서로 교차되어 결합됨으로써, 제2몸체부(200) 내측에 제1몸체부(1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제1관통부(2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부(203) 내측에 제1몸체부(100)가 형성됨으로써, 제1몸체부(100)가 중력에 의해 제2몸체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손잡이부(210)와 연동 형성된 제2결합부(202) 내측면은 제2손잡이부(220)와 연동 형성된 제2결합부(202) 내측면과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이 ‘X’자 모양으로 교차됨으로써,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가 결합됨으로써, 제2몸체부(200) 내측에 제1관통부(203)가 형성되며, 이때 제1관통부(203)는 상측길이(H1)와 하측길이(H2)에 의해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의 결합을 해체시킬 경우, 제2손잡이부(220)를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를 결합시킨 방향의 역방향으로 제1손잡이부(210)와 연동 형성된 제2결합부(202)를 관통시킴으로써 해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가 형성됨에 따라,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제1몸체부(100) 또는 제2몸체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지 않고, 제1손잡이부(210) 및 제2손잡이부(22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화상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2몸체부(200) 상측 타측에 타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20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결합부(201)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손잡이부(220)가 제1손잡이부(210)와 연동 형성된 제2결합부(202)를 관통함과 동시에 교차되어 결합되었을 때, 제1결합부(201)는 제2손잡이부(220) 상측에 안착됨으로써,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결합부(201) 하측 단부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가 하나 이상 더 포함됨으로써, 돌기에 의해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가 결합되었을 때,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의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제2관통부(211) 및 제1고정부(22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관통부(211)는 제1손잡이부(210) 일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부(211)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2관통부(211)를 관통하여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를 움켜쥘 수 있도록 형성되어 화상 등과 같은 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제1몸체부(1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거나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고정부(221)는 제2손잡이부(220) 일측에 제2관통부(211)를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부(221)는 제2관통부(211)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만큼 제2손잡이부(220) 일측에 절개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221)는 제2관통부(211)를 관통함과 동시에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를 안정적으로 움켜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고정부(221)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제2고정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222)는 제1고정부(221)가 제2관통부(211)를 관통함과 동시에 제2손잡이부(2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접히도록 형성되어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고정부(222)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제1고정부(221)가 제2관통부(211)를 관통할 때 제2고정부(222)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2관통부(211)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제2고정부(222)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절개된 부분에 걸림으로써,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관통부(211)가 제2손잡이부(220) 일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고정부(221)와 제2고정부(222)는 제1손잡이부(210)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섭취 중에도 내용물(40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1덮개부(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덮개부(300)는 제3지지부(130)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3지지부(130)와 끼움결합 또는 회전결합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는 외력에 의해 제1개폐부(140)를 개방하여 제1몸체부(100) 내측에 포함된 건조국수와 스프에 뜨거운 물을 유입시키고, 일정시간 후 섭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덮개부(300)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1몸체부(100) 내측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최적의 상태에서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덮개부(300)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제1덮개부(300)가 제3지지부(1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간편식 국수는 제1몸체부(100) 내측에 뜨거운 물을 유입시킴으로써, 건조국수와 스프가 어우러짐과 동시에 제2몸체부(200), 제1손잡이부(210) 및 제2손잡이부(220)에 의해 화상 등의 사고 위험이 저하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간단한 조리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내용물(400)의 온도가 쉽게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제1덮개부(300)가 형성되어 내용물(400)의 온도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된 용기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유입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1결합부(201) 및 제2결합부(202)에 의해 사용자가 내용물(400)의 온도에 의해 화상을 입는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부(203) 내측에 수용된 제1몸체부(100)가 중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제2받침부(230)가 하나 이상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받침부(230)는 제2몸체부(200) 하측에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받침부(230)는 제2몸체부(200)의 하측면을 따라 절개형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받침부(230)가 내측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받침부(230)가 절개형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몸체부(200)의 결합과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2몸체부(200) 형태의 변형이 생기더라도 하나 이상의 제2받침부(230)를 접거나 떼어냄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200)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3받침부(2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3받침부(231)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몸체부(200) 하측 내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받침부(231)가 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몸체부(100)를 제2몸체부(200)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몸체부(200)의 변형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받침부(230) 또는 제3받침부(231)에 의해 제2몸체부(200)로부터 제1몸체부(100)의 하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중력에 의해 제1몸체부(100)가 제2몸체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10) 또는 제3지지부(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제3개폐보조부(161)를 포함하는 제3개폐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3개폐부(160)는 제1지지부(110) 또는 제3지지부(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상측 단부에 제1지지부(110) 또는 제3지지부(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개폐부(160)는 제1지지부(110) 또는 제3지지부(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실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개폐부(160)는 제1몸체부(100)와 동일하도록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3개폐부(160)는 제1개폐부(140)를 대신하여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3개폐부(160)가 제1지지부(110) 또는 제3지지부(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제3개폐보조부(16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개폐보조부(161)는 제3개폐부(160) 일측 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3개폐보조부(161)를 파지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제3개폐부(160)가 제1지지부(110) 또는 제3지지부(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벗겨짐으로써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3개폐부(160) 및 제3개폐보조부(161)가 포함됨으로써, 제1개폐부(140)의 테두리 모양에 의해 베이는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덮개부(300) 일측 외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연결부(3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310)는 제1몸체부(100) 또는 제1지지부(1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 형성됨으로써, 제1덮개부(300)가 제3지지부(13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제1연결부(310)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연결부(310)에 의해 제1덮개부(300)를 분리하거나 간편식 국수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제1덮개부(300)를 분실하지 않게 형성되어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온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연결부(310)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연결부(310)가 용이하게 연결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연결고정부(311) 및 제2연결고정부(3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제1연결고정부(311)는 제1몸체부(100) 또는 제1지지부(1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 형성됨으로써, 제1연결부(310)가 제1몸체부(100) 또는 제1지지부(1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연결고정부(312)는 제1덮개부(300) 일측에 형성되어 제1덮개부(300)가 외력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1덮개부(300)가 제3지지부(130)와 회전 결합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될 경우, 제1연결고정부(311) 또는 제2연결고정부(3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외력에 의해 연결 또는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외력에 의해 제1덮개부(300)가 분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연결고정부(311) 또는 제2연결고정부(3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벨크로, 스냅단추 등을 포함하는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지부(130)는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4지지부(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4지지부(170)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1몸체부(100) 내측에 포함된 내용물 중 내용물(400)을 취식할 때,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4지지부(170)의 상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제4지지공간(17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4지지부(170)에 입 또는 내용물(400)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대고 제1몸체부(100)를 지면을 기준으로 지면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내용물(400)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제4지지공간(171)에 유입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입 또는 내용물(400)을 담을 수 있는 용기에 용이하게 담길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개폐부(140)는 제4지지공간(171)까지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4지지부(170)는 접히도록 형성되어 제4지지부(170)에 의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제4지지부(170)가 접히도록 형성될 경우, 제4지지부(170)의 외측 중심이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접힌 상태가 유지되고, 사용자의 기호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외력에 의해 접힘으로써, 도 9와 같은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0)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5지지부(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5지지부(180)는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5지지부(180)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식 국수를 취식할 경우, 제5지지부(180)의 형태에 의해 건조국수에 포함된 국물이 이탈됨으로써 사용자의 옷 등에 튀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고온의 건조국수를 제5지지부(180)의 형태에 의해 용이하게 식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5지지부(180) 일측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홈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7>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200)는 제4받침부(2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4받침부(240)는 제2몸체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받침부(240)는 제2몸체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절개되도록 형성된 제1절개부(241)에 의해 제4받침부(240)가 제2몸체부(200)와 분리됨과 동시에 내측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4받침부(240)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2몸체부(200)의 내측 공간인 제1관통부(203)의 면적이 제4받침부(240)가 절곡된 만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부(100)가 제1관통부(203)에 인입됨과 동시에 제4받침부(240)는 제1몸체부(100)의 외경을 감싸 쥘 수 있도록 절곡됨으로써, 제4받침부(240)가 제1몸체부(100) 외면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몸체부(100)가 제1관통부(203)로부터 중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4받침부(240) 상측에 제2지지부(1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4받침부(240)가 제2지지부(120)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경우, 제2몸체부(200)는 제1몸체부(100) 뿐만 아니라 제2지지부(120)까지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제4받침부(240)의 길이만큼 선택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몸체부(200)는 제1몸체부(100) 뿐만 아니라 제2지지부(120)까지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4받침부(240) 상측은 제2지지부(120)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4받침부(240) 상측이 제2지지부(120)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경우, 제4받침부(240)는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제4받침부(240)가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어느 하나 이상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제2지지부(120)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몸체부(200)와 제4받침부(240) 사이에 하나 이상 절개되어 형성된 제1절개부(241)가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제1절개부(241)는 도 11, 도 12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4받침부(240)가 내측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것이다.
제4받침부(240)가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제4받침부(240) 상측이 제2지지부(120) 하측을 지지하여 중력에 의해 제1몸체부(100)가 제2몸체부(20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4받침부(240)의 길이만큼 제1몸체부(100)가 지면으로부터 더 이격됨으로써, 제1몸체부(100) 내측에 포함된 내용물(400)의 온도가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제2몸체부(200)는 제1몸체부(100)를 감쌀 수 있도록 제1관통부(203)를 포함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제1몸체부(100)를 제2몸체부(200)로부터 용이하게 조립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제2몸체부(200)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8>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제2몸체부(200)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제2몸체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제2손잡이부(220)가 연장 형성된다면, 제1손잡이부(210)는 제2손잡이부(220)에서 제2몸체부(200)와 마주보는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몸체부(2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에 제1손잡이부(210)가 형성될 경우, 제2손잡이부(220)는 제1손잡이부(210)에서 제2몸체부(200)와 마주보는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몸체부(200)에서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마주보는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5결합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5결합부(250) 외측면은 제2몸체부(200) 내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제5결합부(250)가 제2몸체부(200) 내측면에 고정되었을 때, 제2몸체부(200)가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200) 일측에 제1절개부(241)가 하나 이상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써, 제4받침부(240)를 포함하는 제2몸체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5결합부(250)가 제2몸체부(200)와 결합되었을 때,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제2몸체부(200),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결된 부분은 접을 수 있도록 내측 또는 외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면에 홈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제2손잡이부(220)가 제2몸체부(22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면, 제2손잡이부(220)와 제2몸체부(200)가 연결된 부분의 외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며, 제2손잡이부(220)와 제1손잡이부(210)가 연결된 부분의 내측면에 외측방향으로 홈이 형성됨으로써,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접히게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제1손잡이부(210)가 제2몸체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음으로써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최종 제조되는 간편식 국수의 포장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접히지 않은 상태로 내측면이 제2몸체부(200) 외측면에 부착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제2몸체부(20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접음으로써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제2몸체부(200)로부터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제6결합부(260) 및 제2절개부(27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6결합부(260)는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6결합부(260)에 의해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자가 파지하였을 때,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제2몸체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6결합부(260)와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연결부분의 외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제6결합부(260)가 제2절개부(270)에 관통됨과 동시에 접힘으로써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제2몸체부(200)의 외측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결합부(260)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사선방향으로 절단 형성된 제1결합단부(26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단부(261)가 형성됨에 따라, 제6결합부(260)는 전체적으로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간단한 조립으로도 제6결합부(260)가 제2절개부(270)에 용이하게 관통됨과 동시에 끼움결합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결합부(260)는 제2결합단부(262) 및 제3결합단부(26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2결합부단부(262)는 제6결합부(260) 일측에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6결합부(260)와 제2절개부(270)가 결합하였을 때, 제2결합단부(262)에 걸림으로써, 제2몸체부(200)로부터 제6결합부(26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결합단부(263)는 제6결합부(260)의 모서리에 필렛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결합단부(263)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6결합부(260)의 전체적인 형상에 의해 사용자가 베이는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2절개부(270)는 제2몸체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지면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개부(270)가 제5결합부(250)와 인접한 위치에 절개되어 형성될 경우, 제6결합부(260)가 제2절개부(270)를 관통함과 동시에 제6결합부(260)의 내측면은 제1몸체부(100) 외측면과 밀착 형성되어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제2몸체부(200)로부터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개부(270)가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제2몸체부(200)의 경계 또는 인접한 위치에 절개되어 형성될 경우,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에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제3절개부(28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절개부(280)는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2몸체부(200)와 경계 또는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6결합부(260)는 제2절개부(270) 뿐만 아니라 제3절개부(280)를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1손잡이부(210) 또는 제2손잡이부(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제2몸체부(200)로부터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6결합부(260)의 외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6결합부(260)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편식 국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조리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온도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4)

  1. 내측에 제1관통부(203)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2몸체부(200);
    제2손잡이부(220)에서 제2몸체부(200)와 마주보는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손잡이부(210);
    제1손잡이부(210) 일측에 관통 형성된 제2관통부(211);
    제2몸체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손잡이부(220);
    제2손잡이부(220) 일측에 제2관통부(211)를 관통하여 제1손잡이부(210)와 제2손잡이부(220)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221);
    제2몸체부(200)에서 제1손잡이부(210)와 마주보는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몸체부(200) 내측면에 부착 고정되는 제5결합부(250);
    제2몸체부(200) 일측에 하나 이상 절개되도록 형성된 제1절개부(241)에 의해 제2몸체부(200)와 분리됨과 동시에 내측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제4받침부(240);
    제1손잡이부(210)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6결합부(260);
    제6결합부(260)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사선방향으로 절단 형성된 제1결합단부(261); 및
    제5결합부(250)와 인접한 위치의 제2몸체부(200)에 지면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제2절개부(270); 를 포함하고,
    제2몸체부(200) 내측면에 골과 산,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가 포함되며,
    제4받침부(240)가 제2지지부(120) 하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제4받침부(240)의 길이만큼 제1몸체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6결합부(260)가 제2절개부(270)에 관통됨과 동시에 접힘으로써 제1손잡이부(210) 및 제2손잡이부(220)가 제2몸체부(2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75425A 2019-11-19 2020-06-22 손잡이 KR102476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425A KR102476222B1 (ko) 2019-11-19 2020-06-22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412A KR102132602B1 (ko) 2019-11-19 2019-11-19 간편식 국수
KR1020200075425A KR102476222B1 (ko) 2019-11-19 2020-06-22 손잡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412A Division KR102132602B1 (ko) 2019-11-19 2019-11-19 간편식 국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823A KR20210065823A (ko) 2021-06-04
KR102476222B1 true KR102476222B1 (ko) 2022-12-08

Family

ID=7160405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412A KR102132602B1 (ko) 2019-11-19 2019-11-19 간편식 국수
KR1020200075424A KR102286237B1 (ko) 2019-11-19 2020-06-22 간편식 국수
KR1020200075425A KR102476222B1 (ko) 2019-11-19 2020-06-22 손잡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412A KR102132602B1 (ko) 2019-11-19 2019-11-19 간편식 국수
KR1020200075424A KR102286237B1 (ko) 2019-11-19 2020-06-22 간편식 국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132602B1 (ko)
WO (1) WO2021101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602B1 (ko) * 2019-11-19 2020-07-10 주식회사 현농에프앤씨 간편식 국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86Y1 (ko) * 2006-07-20 2006-10-11 조영섭 라벨 겸용 접이식 손잡이가 부착된 종이컵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347B2 (ja) 1991-10-15 2000-02-21 東陶機器株式会社 擬音発生装置
KR950013205U (ko) * 1993-11-19 1995-06-15 정재훈 절첩식 일회용 컵(cup)
JP3011347U (ja) * 1994-09-19 1995-05-23 一修 三原 発泡性飲料用缶容器
JPH1023872A (ja) * 1996-07-09 1998-01-27 Miyasaka Jozo Kk 保存用即席食品
KR200181752Y1 (ko) * 1997-10-02 2000-06-01 이채홍 컵 홀더
JP2002272582A (ja) * 2001-03-15 2002-09-24 Jiro Kagawa カップ麺用ジョッキ
KR200382710Y1 (ko) * 2005-01-31 2005-04-22 김복희 컵 홀더
KR100798731B1 (ko) * 2007-09-03 2008-01-29 (주)유티앤케미칼 압력 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
KR200450552Y1 (ko) * 2009-01-20 2010-10-11 이경오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종이컵
KR20100012661U (ko) * 2009-06-12 2010-12-22 송진희 컵라면 홀더
KR20110041375A (ko) * 2009-10-15 2011-04-21 김세훈 컵 홀더
KR20120080963A (ko) * 2011-01-10 2012-07-18 이승환 접이식 삼각 종이컵
KR20130087782A (ko) * 2012-01-30 2013-08-07 김재은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KR101486242B1 (ko) 2013-09-23 2015-01-27 화성제관 주식회사 포장용 캔 용기
JP2016166034A (ja) *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ナイクウイン カップ麺ホルダー
KR102132602B1 (ko) * 2019-11-19 2020-07-10 주식회사 현농에프앤씨 간편식 국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86Y1 (ko) * 2006-07-20 2006-10-11 조영섭 라벨 겸용 접이식 손잡이가 부착된 종이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1085A1 (ko) 2021-05-27
KR20210061250A (ko) 2021-05-27
KR20210065823A (ko) 2021-06-04
KR102132602B1 (ko) 2020-07-10
KR102286237B1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222B1 (ko) 손잡이
Lawson How to eat: The pleasures and principles of good food
TW201223452A (en) Cooking method for simultaneously cooking foods
CN102461638A (zh) 一种香辣咖喱面包
JP4535407B1 (ja) 複合セルによって形成される携行食品、即時食品
EA027275B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иправленн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кулинарной обработки и упакова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приправы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данном способе
JP2008109865A (ja) 半調理食品及びその製造法
JP2008035754A (ja) 焼き稲荷飯、焼き稲荷飯弁当及び焼き稲荷飯の製造方法
Lawson Simply Nigella: Feel Good Food
US20140238998A1 (en) Shaped Cooking Vessel
US20080020106A1 (en) Comestible wrap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1218564A (ja) 容器入り即席麺
JP3084480B2 (ja) 天にぎり
JP5229846B2 (ja) カップ食品の料理方法
Chin Katie Chin's Everyday Chinese Cookbook: 101 Delicious Recipes from My Mother's Kitchen
Goldstein The Wine Lover's Cookbook: Great Meals for the Perfect Glass of Wine
Aye Noodle!: 100 Amazing Authentic Recipes
Matsumoto et al. Ultimate Bento: Healthy, Delicious and Affordable: 85 Mix-and-Match Bento Box Recipes
JP2006094815A (ja) 出来たて風味の惣菜およびこの惣菜を含む弁当
JP3082814U (ja) 海鞘殻を包装材とする米飯の包装物
KR20020090173A (ko) 각종 음료가 들어 있는 김밥 및 기타 식품
KR20240000021U (ko) 즉석식컵계란찜조리세트
KR200271130Y1 (ko) 양념용 김가루를 형성한 인스턴트 면,탕반류
JPH08173107A (ja) イナリパスタ
JP3142063U (ja) 稲荷寿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40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601

Effective date: 2022031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