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782A -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 Google Patents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782A
KR20130087782A KR1020120008915A KR20120008915A KR20130087782A KR 20130087782 A KR20130087782 A KR 20130087782A KR 1020120008915 A KR1020120008915 A KR 1020120008915A KR 20120008915 A KR20120008915 A KR 20120008915A KR 20130087782 A KR20130087782 A KR 20130087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utting groove
paper cup
finger hol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은
김상백
Original Assignee
김재은
김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은, 김상백 filed Critical 김재은
Priority to KR102012000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7782A/ko
Publication of KR2013008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이재질로 구비되어 상단면 일단에 제1절개홈(101)이 형성되며 하단면 타단에 제2절개홈(102)이 형성되되, 양단을 감아 상기 제1절개홈(101)에 제2절개홈(102)을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2절개홈(102)에 제1절개홈(101)을 삽입시켜 원기둥 형상의 수용부(110)와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부(120)를 형성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수용부(110)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10) 하단을 커버하는 원판 형상의 저면부(200)로 구성되어, 종이를 더 이용하지 않아도 쉽게 종이컵의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종이컵 제작 시 양단을 접어서 손잡이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를 담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음료를 마실 수 있게 하여 상품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Paper cup having a united handle}
본 발명은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용된 음료수가 흔들려서 흘러넘치지 않도록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음료에 따른 종이컵의 온도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장소에 구애받음 없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종이컵은 길거리나 휴게소 및 테이크아웃 커피판매점 등에서 커피나 음료수 등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컵은 그 외주면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음료수를 마실 때 직접 컵의 외부몸체를 직접 손으로 잡아야 한다.
이에 따라 음료가 뜨거운 커피와 같은 뜨거운 음료인 경우에는 손잡이가 없을 경우 컵을 직접 들고 있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뜨거운 음료의 온도가 어느 정도 떨어졌을 때 컵을 잡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이컵은 특성상 컵을 잡았을 때 몸체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 수용되었던 음료가 넘쳐흐르거나 약간의 흔들림에도 음료가 넘쳐흘러 손과 옷 등을 오염시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종이컵은 그 크기가 다양한 가운데 컵의 직경둘레와 길이가 큰 것은 성인들의 손 크기에 적합하나 어린이들의 손의 크기에 적합하지 않아서 컵을 잡기가 어려워서 컵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뜨겁거나 차가운 경우 어린이들이 컵을 잡기가 어려웠고 이러한 컵 취급 시 부주의하여 흔들거나 엎질렀을 경우 어린이들의 손에 화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별도의 손잡이를 구성한 손잡이링이 제조되어 종이컵을 그 손잡이 링의 중앙에 삽입하여 손잡이를 대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종이컵을 제작할 때 별도로 손잡이를 더 형성하기도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별도의 손잡이를 별도의 금형을 통해 제작하거나, 기존의 종이컵에 더 많은 재료를 투입하고 더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서 손잡이를 만들어야만 하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용된 음료수가 흔들려서 흘러넘치지 않도록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음료에 따른 종이컵의 온도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이재질로 구비되어 상단면 일단에 제1절개홈이 형성되며 하단면 타단에 제2절개홈이 형성되되, 양단을 감아 상기 제1절개홈에 제2절개홈을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2절개홈에 제1절개홈을 삽입시켜 원기둥 형상의 수용부와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부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수용부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 하단을 커버하는 원판 형상의 저면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절개홈과 제2절개홈은 상기 수용부의 양단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양 끝단은 핸들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부 양단에는 핑거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핑거홀은 제1핑거홀과 제2핑거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핑거홀과 제2핑거홀 사이에는 접힘부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 양단이 폴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핑거홀과 제2핑거홀은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부의 양 끝단에 접착면이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면부의 외주면에는 소정 높이의 외벽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 하부에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벽 일단에는 상방으로 접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내주면의 제1절개홈과 제2절개홈에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종이를 더 이용하지 않아도 쉽게 종이컵의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종이컵 제작 시 양단을 접어서 손잡이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를 담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음료를 마실 수 있게 하여 상품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의 몸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의 저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의 저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의 수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의 수용부에 접착부가 접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의 몸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의 저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의 저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의 수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의 수용부에 접착부가 접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재질로 구비되어 상단면 일단에 형성된 제1절개홈(101)과, 하단면 타단에 형성된 제2절개홈(102)을 대응시켜 수용부(110)와 핸들부(120)를 형성하도록 하는 몸체부(100)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부(100)의 수용부(110)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10) 하단을 커버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로 이루어져 별도의 종이를 더 이용하지 않아도 쉽게 종이컵의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종이컵 제작 시 양단을 접어서 손잡이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를 담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음료를 마실 수 있게 하여 상품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컵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몸체부(100)와,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종이 재질로 성형되되, 외주면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곡선 모양의 부메랑 형상 또는 중심각 일부가 절개된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몸체부(100)의 상단면 일단에는 제1절개홈(101)이 형성되며, 하단면 타단에는 제2절개홈(102)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절개홈(101)에 제2절개홈(102)이 삽입되거나 상기 제2절개홈(102)에 제1절개홈(101)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절개홈(101)에 제2절개홈(102)을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2절개홈(102)에 제1절개홈(101)을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몸체부(100)가 자연적으로 감겨지게 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제1절개홈(101)과 제2절개홈(102) 사이는 원기둥 형상의 수용부(11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1절개홈(101)과 제2절개홈(102)부터 상기 몸체부(100)의 양 끝단은 상기 수용부(110) 외측으로 돌출되어 핸들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핸들부(120)의 양단에는 핑거홀(121)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120)가 종이컵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핑거홀(121)과 제1,2절개홈(101, 102) 사이에는 소정 길이의 커버부(130)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절개홈(101)에 제2절개홈(102)을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2절개홈(102)에 제1절개홈(101)을 삽입시켜 몸체부(100)가 감겨져 수용부(110)를 형성할 때 상기 커버부(130)가 상기 수용부(110) 외주면을 한 번 더 감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몸체부(100) 양단을 감아 제1절개홈(101)에 제2절개홈(102)을 삽입시키거나 제2절개홈(102)에 제1절개홈(101)을 삽입시키게 되면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수용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10) 외주면을 감싸는 커버부(130)가 형성되어 수용부(110)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 전달 방지 및 종이컵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10)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 형상의 핸들부(120)가 수용부(11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핸들부(120)의 양 끝단이 접착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양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핸들부(120)의 양 끝단을 접착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핸들부(120)에 형성된 핑거홀(121)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핸들부(120) 양단에 형성된 각각의 핑거홀(121)은 제1핑거홀(121a)과 제2핑거홀(121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핑거홀(121a)과 제2핑거홀(121b) 사이에는 접힘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120) 양단이 상기 접힘부(122)를 기준으로 폴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핑거홀(121a)과 제2핑거홀(121b)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마, 접힘부(122)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여 접힘 시 하나의 핑거홀(12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핸들부(120)의 양 끝단에는 접착면(123)이 연장 형성되어 커버부(130) 외주면에 부착되어 손잡이 형상의 핸들부(120)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별도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핸들부(120)에서 접힘부(122)를 기준으로 끝단까지 상부와 하부가 직선 형상으로 성형될 수도 있게 하여 상기 핸들부(120)의 사용자 편의 및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부(20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부(100)의 수용부(110)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10) 하단을 커버한다.
이때, 저면부(200)의 외주면에는 소정 높이의 외벽(210)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10)의 내주면 하부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벽(210) 일단에는 상방으로 접착부(220)가 형성되도록 하여, 몸체부(100)에서 제1절개홈(101)에 제2절개홈(102)을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2절개홈(102)에 제1절개홈(101)을 삽입시킴으로 인해 생성된 수용부(110)의 틈을 상기 접착부(220)가 커버하여 상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착부(220)의 길이는 수용부(110)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도록 하며, 상기 접착부(220)는 접착제를 통해 수용부(110)의 틈에 접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이재질로 구비되어 상단면 일단에 형성된 제1절개홈(101)과, 하단면 타단에 형성된 제2절개홈(102)을 대응시켜 수용부(110), 핸들부(120) 및 커버부(130)를 형성하도록 하는 몸체부(100)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부(100)의 수용부(110)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10) 하단을 커버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200)로 이루어져 종이를 더 이용하지 않아도 쉽게 종이컵의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수용된 음료수가 흔들려서 흘러넘치지 않도록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몸체부(100)의 수용부(110)는 제1절개홈(101)에 제2절개홈(102)을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2절개홈(102)에 제1절개홈(101)을 삽입시켜 상기 몸체부(100)가 감겨지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제1절개홈(101)과 제2절개홈(102) 사이에 형성되며, 커버부(130)는 수용부(110) 외주면을 감싸면서 형성되고, 핸들부(120)는 상기 제1절개홈(101)과 제2절개홈(102)부터 상기 몸체부(100)의 양 끝단에 해당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상기 수용부(1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110)에서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130)에서는 고온이나 저온의 음료가 담긴 경우 수용부(110)에 음료의 온도가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110)와 커버부(130)에 의해 종이컵을 견고하게 하고, 핸들부(120)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수용부(110)를 잡을 수 있게 한다.
이때,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20)에는 핑거홀(12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종이컵을 잡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 일부가 상기 핑거홀(121)에 삽입될 수 있게 하여 종이컵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이컵에 형성된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손잡이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게 하여 상품성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수용부(110) 저면에는 소정 높이의 외벽(210)이 형성된 저면부(200)가 접착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부(110) 하단을 커버함으로써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종이컵의 기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210) 일단에 형성된 접착부(220)를 통해 몸체부(100)의 수용부(110)에 형성된 제1절개홈(101) 및 제2절개홈(102)에 의한 틈을 커버하여 상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은 종이재질로 구비되어 상단면 일단에 제1절개홈이 형성되며 하단면 타단에 제2절개홈이 형성되되, 양단을 감아 상기 제1절개홈에 제2절개홈을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2절개홈에 제1절개홈을 삽입시켜 원기둥 형상의 수용부와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부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수용부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 하단을 커버하는 원판 형상의 저면부로 구성되어 종이를 더 이용하지 않아도 쉽게 종이컵의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종이컵 제작 시 양단을 접어서 손잡이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뜨겁거나 차가운 음료를 담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음료를 마실 수 있게 하여 상품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몸체부 101 : 제1절개홈
102 : 제2절개홈 110 : 수용부
120 : 핸들부 121 : 핑거홀
121a : 제1핑거홀 121b : 제2핑거홀
122 : 접힘부 130 : 커버부
200 : 저면부 210 : 외벽
220 : 접착부

Claims (9)

  1. 종이재질로 구비되어 상단면 일단에 제1절개홈이 형성되며 하단면 타단에 제2절개홈이 형성되되, 양단을 감아 상기 제1절개홈에 제2절개홈을 삽입시키거나 상기 제2절개홈에 제1절개홈을 삽입시켜 원기둥 형상의 수용부와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부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수용부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 하단을 커버하는 원판 형상의 저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홈과 제2절개홈은 상기 수용부의 양단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양 끝단은 핸들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 양단에는 핑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핑거홀과 제1절개홈 및 제2절개홈 사이에는 소정 길이의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핑거홀은 제1핑거홀과 제2핑거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핑거홀과 제2핑거홀 사이에는 접힘부가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 양단이 폴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핑거홀과 제2핑거홀은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양 끝단에 접착면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의 외주면에는 소정 높이의 외벽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 하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벽 일단에는 상방으로 접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 내주면의 제1절개홈과 제2절개홈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KR1020120008915A 2012-01-30 2012-01-30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KR20130087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915A KR20130087782A (ko) 2012-01-30 2012-01-30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915A KR20130087782A (ko) 2012-01-30 2012-01-30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782A true KR20130087782A (ko) 2013-08-07

Family

ID=4921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915A KR20130087782A (ko) 2012-01-30 2012-01-30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77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823A (ko) * 2019-11-19 2021-06-04 성훈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823A (ko) * 2019-11-19 2021-06-04 성훈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5795B1 (ja) コップ
US8146737B2 (en) Beverage cup carrier
US20200140186A1 (en) Ground coffee drip bag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KR20120052215A (ko) 일회용 컵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
US20120267854A1 (en) Cup insulating sleeve flying cylindrical toy attachment
KR100757255B1 (ko) 차 우림구
KR20130087782A (ko) 일체형 손잡이가 형성된 종이컵
KR20120134696A (ko) 종이컵 홀더
US20040134919A1 (en) Multi-piece vessel
KR20180082730A (ko) 테이크아웃 음료컵 홀더
KR101113953B1 (ko) 안전 컵 홀더
KR200450552Y1 (ko)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종이컵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US20200140180A1 (en) Coffee cup sleeve with outside pouch
US9603474B2 (en) Cup holder with a handle
US20120145731A1 (en) Thermal protective sleeve for a drinking cup
KR200322230Y1 (ko) 컵홀더
KR101003803B1 (ko) 일회용 컵 홀더
KR20130073058A (ko) 컵에 장착하는 케익박스
KR102544430B1 (ko) 컵 홀더
KR200426927Y1 (ko) 차 우림구
CN208761277U (zh) 一种咖啡外带包装组合
KR101480020B1 (ko) 커플컵 세트
WO2015186876A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