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255B1 - 차 우림구 - Google Patents
차 우림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7255B1 KR100757255B1 KR1020060039684A KR20060039684A KR100757255B1 KR 100757255 B1 KR100757255 B1 KR 100757255B1 KR 1020060039684 A KR1020060039684 A KR 1020060039684A KR 20060039684 A KR20060039684 A KR 20060039684A KR 100757255 B1 KR100757255 B1 KR 1007572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forest
- cup
- tea
- holes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녹차 등 각종 차잎을 담아 일회용 컵을 포함한 각종 컵 형상 용기에 착탈식으로 또는 일체식으로 넣어 내부에 담긴 차잎 등을 우려 마실 수 있도록 한 차 우림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 우림구(1)는 다수의 통공(7)이 측벽과 바닥에 관통되어 있는 차잎(10)을 담는 통 모양의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면 중앙에 지지봉(9)이 컵(30)의 상단 개구부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는 뚜껑(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 컵에 착탈식으로 삽입하여 차를 우려 마실 수 있을 뿐 아니라, 일회용 컵에 일체로 부착하여 보다 편리하게 즉석에서 차를 즐길 수 있게 되며, 몸체의 상단의 지지봉에 의해 차 우림구가 입쪽으로 미끄러져 내리는 불편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차, 차잎, 우림구, 컵, 찻잔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찻잔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a는 종단면도, 도 2b는 저면도.
도 3a 및 3b는 몸체에 슬롯이 절결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종단면도, 도 3b는 저면도.
도 4는 톱니 모양의 받침돌기를 갖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의 종단면도.
도 5는 탄성 밀착편을 갖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의 종단면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a는 종단면도, 도 6b는 통공을 구비한 몸체의 평면도, 도 6c는 슬롯을 구비한 몸체의 평면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a는 정면도, 도 7b는 평면도, 도 7c는 저면도.
도 8은 몸체에 슬롯이 절결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9a는 종단면도, 도 9b는 평면도.
도 10a 및 10b는 몸체가 이중으로 구비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a는 종단면도, 도 10b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의 종단면도.
도 13은 복수의 밀착띠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1,301,401,501,601 : 차 우림구
3,203,303,403,503,603 : 몸체 5 : 뚜껑
7,207,307,407,507,607 : 통공 9,209,309 : 지지봉
10,210,310,410,510,610 : 차잎 11,211,311 : 슬롯
13,15 : 받침돌기 19,419,420 : 밀착편
본 발명은 차 우림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녹차 등 각종 차잎을 담아 일회용 컵을 포함한 각종 컵 형상 용기에 착탈식으로 또는 일체식으로 넣어 내부에 담긴 차잎 등을 우려 마실 수 있도록 한 차 우림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웰빙이 강조되면서 마시는 것에서도 건강을 생각하는 경향이 두드 러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녹차 등 건강 음료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이 녹차 등 우려 마시도록 되어 있는 차들은 두 가지 형태로 시판되고 있는 바, 잔에 직접 넣어 우려내는 방식과 티백 형태로 포장하여 우려내는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잔에 직접 넣어 우려내는 방식의 경우 도 1에 101로 도시된 전용 찻잔을 사용하게 된다. 이 찻잔(101)은 도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잔 몸체(103)와 뚜껑(105) 그리고 몸체(103)와 뚜껑(105) 사이에 위치하도록 몸체(103) 상단 모서리 부분에 놓이는 로더(10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로더(107)는 몸체(103)의 위쪽에 포개져 차잎(110)을 담을 수 있도록 몸체(103)보다 직경이 약간 작고 횡단면 형상이 동일한 또 다른 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부은 물이 몸체(103)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측벽 및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109)이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찻잔(101)을 사용할 때 먼저 몸체(103) 위에 로더(107)를 올려놓고, 그 안에 적정량의 차잎(110)을 채운 후, 더운 물을 부은 다음, 뚜껑(105)을 덮고, 일정 시간 동안 차잎(110)을 우러낸 뒤 로더(107)를 드러내고 마시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찻잔(101)을 이용하여 차잎(110)을 직접적으로 우려내는 전통적인 방식은 로더(107)가 없는 일반적인 잔이나 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곤란하므로, 로더(107)가 있는 전용 찻잔(101)을 구비하여야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로더(107)의 깊이에 일정한 한계가 있으므로, 찻물(120)을 적게 부은 경우 차잎(110)을 충분히 우려낼 수 없는 사용 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차잎을 거름종이에 포장한 티백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차 본래의 맛이 반감되며, 음용 말기에 물에 젖은 티백이 입쪽으로 미끄러져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찻잔이나 티백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반적인 물잔 또는 찻잔 뿐 아니라 일회용 컵 등에 별체 또는 일체로 장착하여 차잎등 내용물을 충분히 우려낼 수 있음은 물론이고, 마실 때 전혀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차 본래의 맛을 훼손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차 우림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통공이 측벽과 바닥에 관통되어 있는 차잎을 담는 통 모양의 몸체와, 이 몸체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면 중앙에 지지봉이 컵의 상단 개구부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 우림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우림 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는 도 2a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차잎(10)을 담는 통 모양의 몸체(3)와 몸체(3)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5)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차잎(10)으로는 보이차, 관음차, 자스민차, 백차, 녹차, 우롱차, 홍차, 가향차, 허브차 등 다양한 종류의 차가 이용될 수 있으며, 몸체(3)는 예컨대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컵(30)에 담긴 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측벽과 바닥에 다수의 통공(7)이 관통되어 있다. 또, 뚜껑(5)은 몸체(3)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예컨대 몸체(3)보다 직경이 약간 큰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몸체(3) 상단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3)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뚜껑(5)의 내주면 하단 모서리 부분에 감금장치로써 기능하는 링 형태의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3)의 외주면 상단에 이 돌출부(33)가 스냅식으로 끼워지는 걸림돌기(31)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있다. 또, 뚜껑(5)의 상단면 중앙에는 지지봉(9)이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바, 이 지지봉(9)은 컵(30)의 상단 개구부에서 컵 뚜껑(40)의 중심 부분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몸체(3)에는 통공(7) 대신에 도 3a와 3b에 도시된 것처럼, 측벽과 바닥에 복수의 슬롯(11)이 절결될 수 있는데, 이 슬롯(11)들은 몸체(3)의 측벽에서 바닥으로 이어지도록 90°로 꺾여져 있으며, 일정한 각도를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몸체(3)는 도 2a 및 2b 또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의 모서리 부분에 복수의 받침돌기(13)가 원주방향으로 예컨대 45°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바닥에 관통된 통공(7) 또는 슬롯(11)을 통한 찻물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받침돌기(15)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톱니와 같이 아래쪽으로 뾰족한 모양으로 제작되어 찻물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몸체(3)를 지지할 수도 있다. 몸체(3)를 지지하는 또 다른 지지수단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복수의 밀착편(19)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밀착편(19)은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가 원주방향으로 인접 배열되어 있다. 특히, 밀착편(19)은 몸체(3)의 바깥쪽으로 탄성을 갖고 휘어질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으므로, 컵(30)의 내벽면에 밀착됨으로써 몸체(3)가 컵(30)의 바닥면 위에 뜬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6a 내지 6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우림 구의 제2 실시예는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차잎(210)을 담고 있는 통 모양의 몸체(20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몸체(203)는 전체적으로 컵(230)과 동일한 경사 각도로 외면이 테이퍼진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측벽 상단에 다수의 통공(207)이 관통되어 있다. 또 컵(230)에 부어진 물이 몸체(203) 안으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몸체(203) 밖으로 원활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컵(230)의 바닥면 중앙에 안착돌기(243)를 형성할 수 있으며, 몸체(203)의 상단면에는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통공(207)이 관통되거나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슬롯(211)이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절결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203)의 상단면 중앙에는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봉(209)이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컵(230)의 상단 개구부까지 뻗어 있다. 따라서, 지지봉(209)의 상단은 컵 뚜껑(240)의 중앙에 형성된 안착홈(241)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몸체(203)는 측벽 외면 상측에 반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복수의 밀착돌기(221,221')가 돌출되어 있는 바, 이 밀착돌기(221,221')들은 원주방 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몸체(203)가 컵(230) 안에서 덜거덕거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구의 제3 실시예는 도 7a 내지 도 8에 도면부호 3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잎(310)을 담는 긴 통 모양의 몸체(303)로 이루어져 있는 바, 몸체(303)는 사용되는 컵보다 직경이 훨씬 작은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또, 몸체(303)는 측면에 다수의 통공(307)이 관통되어 있으며, 특히 하단의 바닥 부분에는 복수의 슬롯(311)이 방사상으로 절결되어 있다. 반대로 몸체(303)의 상단 부분 중앙에는 지지봉(309)이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한편, 몸체(303)에는 다수의 통공(307) 대신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슬롯(312)이 절결될 수 있는데, 이 슬롯(312)들은 몸체(303) 외벽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절결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9a 내지 10b에 도면부호 401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컵(43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원판형의 몸체(403)로 구성되는 바, 몸체(403)와 컵(430) 사이에 차잎(410)을 담고 있다. 여기에서, 몸체(403)는 다수의 통공(407)이 고르게 분포되어 관통되어 있으며,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밀착띠(423)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밀착띠(423)는 필요에 따라 컵(430)의 상단 개구부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밀착띠(423) 사이에는 밀착편(419)이 절첩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이때, 컵(430)이 일회용일 경우 밀착띠(423) 및/또는 밀착편(419)을 컵(430)의 내주면에 부착함으로써 차 우림구(401)를 컵(430)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차 우림구(410)는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403,404)를 이중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위쪽의 원판형 몸체(403)는 밀착띠(423)를 제거하고 외주연을 따라 밀착편(419)만을 돌출시킨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밀착편(419)은 밀착띠(423)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통공(407)이 관통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컵(430)의 상단 개구부까지 길게 연장될 수도 있다. 몸체(403)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몸체(404)는 몸체(403)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통공(408)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관통되어 있고, 외주연을 따라 밀착편(420)이 절첩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몸체(403,404)는 밀착편(419,420)이 컵(43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컵(430)과 몸체(404) 사이에 차잎(410)을 보관하도록 컵(43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구의 제5 실시예가 도 11에 도면부호 501로 도시되어 있다. 이 차 우림구(501)는 도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원뿔대 모양인 몸체(503)로 이루어지며, 이 몸체(503)는 측벽에 다수의 통공(507)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몸체(503)는 컵(530) 바닥과의 사이에 차잎(510)을 보관하도록 하단 모서리 부분이 컵(530)의 바닥에 부착되어 컵(53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2 및 13에 도면부호 601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구의 제6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원추형인 몸체(603)를 가지고 있다. 이 몸체(603)도 마찬가지로 측벽에 다수의 통공(607)이 관통되어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하단 모서리 부분이 컵(630)의 바닥에 부착되어 컵(630)과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컵(630) 바닥과의 사이에 차잎(610)을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몸체(603)는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밀착띠(623)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결됨으로써 컵(630)과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경우, 몸체(603)는 컵(630)의 측벽면상에 지지되어 차잎(610)의 수용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구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2a 내지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1)를 이용해 차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먼저, 몸체(3) 내에 소정량의 차잎(10)을 담고 뚜껑(5)을 닫은 후, 우림구(1) 전체를 컵(30) 안에 넣는다. 그리고 나서, 소정량의 물을 컵(30)에 부으면 통공(7) 또는 슬롯(11)을 통해 차 우림구(1) 안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차잎(10)이 우려지기 시작한다. 물을 부은 다음 컵뚜껑(40)을 닫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차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음용 시 뚜껑(40)과 밀착되어 있는 지지봉으로 인하여 차 우림구(1)가 입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201)도 마찬가지로 몸체(203)를 개폐식으로 제작하여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내부에 차잎(210)을 넣어 반복적으로 우려 마실 수 있을 뿐 아니라, 컵(230)이 일회용인 경우 몸체(203) 내부에 차잎(210)을 넣고 몸체(203)를 일체로 봉한 뒤, 밀착돌기(221,221')에 의해 컵(230) 내부에 밀착시킴으로써 컵(230) 안쪽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컵(230) 안에 물만 부으면 즉석에서 차를 마실 수 있게 되며, 이때에도 뚜껑(40)과 밀착되어 있는 지지봉(209)을 눌러 차 우림구(201)가 입쪽으로 쏠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7a 내지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301)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몸체(303)를 개폐식으로 제작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몸체(303)를 일체로 제작하고 몸체(303) 내부에 적정량의 차잎(310)을 제작 과정에서 미리 담아 두어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10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401)는 일회용 컵(430)에 일체로 부착되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원판형의 몸체(403,404)와 컵(430) 바닥 사이에 차잎(410)을 보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컵(430) 안에 물을 부으면 쉽게 차잎(410)을 우려 마실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및 제6 실시예에 따른 차 우림구(501,601)는 각각 그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과 삼각형으로 다르지만, 컵(503,603)의 바닥과 몸체(503,603) 사이에 차잎(510,610)을 넣고, 몸체(503,603)를 컵(503,603) 내주면에 일체로 부착한 동일한 방식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따라서 일회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회용으로 사용될 경우 컵뚜껑(미도시)을 개방하고 컵(503,603) 안에 물을 붓는 것만으로 편리하게 차를 마실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구에 의하면, 몸체 내부에 차잎을 담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잔이나 컵 등에 착탈식을 삽입하여 차를 우려 마실 수 있을 뿐 아니라, 일회용 컵에 일체로 부착하고 컵과의 사이에 차잎을 저장하여 물만 부으면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즉석에서 차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의 상단에 지지봉을 형성함으로써 차 우림구를 컵 안에 넣은 상태로 차를 마실 경우 컵뚜껑과 밀착되어 있는 지지봉으로 인하여 차 우림구가 입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7)
- 일회용 컵(30) 내에 일체로 장착되고 지지되게 한 차 우림구에 있어서,다수의 통공(7)이 측벽과 바닥에 관통되고, 그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밀착편(19)이 바깥쪽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연장되어 있고,상기 몸체(3)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면 중앙에 지지봉(9)이 컵(30)의 상단 개구부까지 연장되어 몸체(3)를 컵뚜껑(40)에 의하여 지지되게 한 차 우림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203)는 측벽 외면에 반원형 단면을 갖는 복수의 밀착돌기(221)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203)는 측벽 외면에 사각형 단면을 갖는 복수의 밀착돌기(221')가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구.
- 삭제
- 삭제
- 삭제
- 다수의 통공(407)이 관통되어 있으며,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밀착띠(423)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밀착띠(423) 사이에는 밀착편(419)이 절첩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는 원판형의 몸체(40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구.
- 제13 항에 있어서,상기 원판형 몸체(403)의 아래쪽에는 또 다른 원판형 몸체(404)가 구비되며, 상기 원판형 몸체(404)에는 다수의 통공(408)이 관통되어 있으며, 외주연을 따라 밀착편(420)이 절첩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구.
- 측벽에 다수의 통공(507)이 관통되어 있는 원뿔대 모양의 몸체(50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구.
- 제15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603)는 측벽면에 다수의 통공(607)이 관통된 원추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구.
- 제16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603)는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밀착띠(623)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구.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9684A KR100757255B1 (ko) | 2006-05-02 | 2006-05-02 | 차 우림구 |
JP2006239178A JP2007296307A (ja) | 2006-05-02 | 2006-09-04 | 茶こし茶器構造体 |
CNA2006101274907A CN101066185A (zh) | 2006-05-02 | 2006-09-15 | 滤茶网茶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9684A KR100757255B1 (ko) | 2006-05-02 | 2006-05-02 | 차 우림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1821U Division KR200426927Y1 (ko) | 2006-05-02 | 2006-05-02 | 차 우림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57255B1 true KR100757255B1 (ko) | 2007-09-11 |
Family
ID=3873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9684A KR100757255B1 (ko) | 2006-05-02 | 2006-05-02 | 차 우림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7255B1 (ko) |
CN (1) | CN10106618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87944A (zh) * | 2013-12-09 | 2015-06-10 | 余伟文 | 一种泡茶杯 |
KR20200134100A (ko) * | 2019-05-21 | 2020-12-01 | 엘리펀 주식회사 | 일회용 수면침출차컵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125373A (zh) * | 2010-12-31 | 2011-07-20 | 孙善军 | 水杯 |
CN104352165B (zh) * | 2014-11-17 | 2018-02-02 | 东莞市伊恋食品有限公司 | 咖啡机及其过滤杯 |
WO2019243397A1 (en) * | 2018-06-21 | 2019-12-26 | Emsa Gmbh | Tea preparation device for thermos jugs and vacuum mugs |
CN109744811A (zh) * | 2019-03-14 | 2019-05-14 | 六安市品肆食品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泡茶的茶球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327U (ko) | 1985-06-17 | 1987-01-06 | ||
JP2002369749A (ja) * | 2001-06-15 | 2002-12-24 | Takahiro Kobayashi | カップコーヒー&ティーメーカー |
-
2006
- 2006-05-02 KR KR1020060039684A patent/KR1007572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9-15 CN CNA2006101274907A patent/CN101066185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327U (ko) | 1985-06-17 | 1987-01-06 | ||
JP2002369749A (ja) * | 2001-06-15 | 2002-12-24 | Takahiro Kobayashi | カップコーヒー&ティーメーカー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87944A (zh) * | 2013-12-09 | 2015-06-10 | 余伟文 | 一种泡茶杯 |
CN104687944B (zh) * | 2013-12-09 | 2016-03-02 | 德化县丽德家居用品有限公司 | 一种泡茶杯 |
KR20200134100A (ko) * | 2019-05-21 | 2020-12-01 | 엘리펀 주식회사 | 일회용 수면침출차컵 |
KR102226622B1 (ko) * | 2019-05-21 | 2021-03-11 | 엘리펀 주식회사 | 일회용 수면침출차컵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066185A (zh) | 2007-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13964A (en) | Infuser unit for making beverages | |
US7337705B1 (en) | Press and sip device | |
US6844015B2 (en) | Brew-in-the-cup disposable beverage assembly | |
US5806408A (en) | Beverage brewing device | |
US6374726B1 (en) | Lid for beve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inner cover | |
US4619372A (en) | Cap for hot beverage cup | |
US20090250479A1 (en) | Method & device for enhancing aroma from beverage cup | |
KR100757255B1 (ko) | 차 우림구 | |
US20110278314A1 (en) | Sealing means for beverage container | |
KR200459398Y1 (ko) |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 |
WO1999026843A1 (en) | Beverage infuser | |
US6622614B1 (en) | Integrated container and infuser apparatus | |
US20170121065A1 (en) | Disposable coffee filter and cup | |
KR200474817Y1 (ko) | 테이크아웃 컵 | |
KR200455438Y1 (ko) |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 |
KR200426927Y1 (ko) | 차 우림구 | |
JP4476316B2 (ja) |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 |
JP2007296307A (ja) | 茶こし茶器構造体 | |
KR20070114940A (ko) |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 |
KR101409497B1 (ko) | 필터가 부착된 일회용 컵 | |
GB2517182A (en) | Tea Brewing Equipment | |
KR200461353Y1 (ko) |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 |
KR200475781Y1 (ko) |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 |
KR20090000674U (ko) | 거름망용기를 구비한 텀블러 | |
KR200275018Y1 (ko) |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